KR20220139263A -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263A
KR20220139263A KR1020220124401A KR20220124401A KR20220139263A KR 20220139263 A KR20220139263 A KR 20220139263A KR 1020220124401 A KR1020220124401 A KR 1020220124401A KR 20220124401 A KR20220124401 A KR 20220124401A KR 20220139263 A KR20220139263 A KR 2022013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requency
raster
offset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581B1 (ko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ublication of KR2022013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263A/ko
Priority to KR102023011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NR(New Radio)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명목상의 동기화 래스터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오프셋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셋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정보는, 채널 중심 주파수 위치와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오프셋, 상기 명목상의 동기화 래스터와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오프셋, 또는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이 포함된 대역폭 부분(BP)의 중심 주파수 위치와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오프셋 중의 하나 이상을 지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IDEBAND OPRATION IN NR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NR(New Radio)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는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프레임워크 및 표준에 대해서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IMT for 2020 and beyond"라 칭하여지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5 세대(5G) 통신을 위한 논의를 진행중이다.
"IMT for 2020 and beyond" 에서 제시하는 요구사항들을 충족하기 위해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New Radio) 시스템은 다양한 시나리오, 서비스 요구사항, 잠재적인 시스템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지금까지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어, 최대 100MHz)을 초과하는 시스템 대역폭을 제공하는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NR 시스템에서의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특히,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는 동기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하여진 바 없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는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를 위해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주파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는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를 위해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는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에 있어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를 결정하고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명목상의 동기화 래스터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오프셋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셋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정보는, 채널 중심 주파수 위치와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오프셋, 상기 명목상의 동기화 래스터와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오프셋, 또는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이 포함된 대역폭 부분(BP)의 중심 주파수 위치와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오프셋 중의 하나 이상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를 위해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주파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를 위해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에 있어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를 결정하고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 블록, SS 버스트, SS 버스트 세트의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광대역 동작을 위한 새로운 채널 대역폭을 지원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광대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가드 대역을 포함하지 않는 광대역 CC 및 연속적인 CC들에 기초한 NR 광대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광대역 CC 대역폭 내의 CC들에 걸쳐서 연속적인 전송 대역폭이 설정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광대역 CC 대역폭 내의 CC들에 걸쳐서 불연속적인 전송 대역폭이 설정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RB 그리드에 정렬되는 sync raster의 주파수축 위치를 지시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RB 정렬을 위한 NR sync raster offset을 지시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SCS 또는 RB 크기에 기초한 채널 래스터가 적용되는 경우의 sync raster의 주파수축 위치를 지시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SS 블록 주파수 위치 시그널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B(eNB), gNodeB(g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비-AP 스테이션(non-AP STA)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채널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채널을 통해서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제어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데이터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들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기존의 시스템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NR 시스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NR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로서 사용되지만, NR 시스템이라는 용어 자체가 복수의 SCS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NR 시스템에서 고려하는 뉴머롤로지(numerology)에 대해서 설명한다.
NR 뉴머롤로지란, NR 시스템의 설계를 위해서 시간-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자원 그리드를 생성하는 기본적인 요소 또는 인자에 대한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LTE/LTE-A 시스템의 뉴머롤로지의 일례로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15kHz (또는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Frequency Network)의 경우에는 7.5kHz)와 노멀 CP(cyclic prefix) 또는 확장 CP에 해당한다. 다만, 뉴머롤로지라는 용어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만을 제한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연관 관계를 가지는(또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CP(Cyclic Prefix) 길이, TTI(Transmit Time Interval) 길이, 소정의 시간 구간 내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개수, 하나의 OFDM 심볼의 듀레이션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CP 길이, TTI 길이, 소정의 시간 구간 내의 OFDM 심볼 개수, 또는 하나의 OFDM 심볼의 듀레이션 중의 하나 이상에서 상이한 값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IMT for 2020 and beyond"에서 제시하는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현재 3GPP NR 시스템은 다양한 시나리오,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 잠재적인 새로운 시스템과의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뉴머롤로지를 고려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뉴머롤로지로는, "IMT for 2020 and beyond"에서 요구하는 보다 높은 주파수 밴드, 보다 빠른 이동 속도, 보다 낮은 지연 등을 지원하기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뉴머롤로지를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uMTC(Ultra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URLLC 또는 eMBB 서비스에 대한 유저 플레인 레이턴시에 대한 요구사항은 상향링크에서 0.5ms 및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서 4ms 이며, 이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LTE-Advanced) 시스템의 10ms 의 레이턴시 요구사항에 비하여 상당한 레이턴시 감소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시나리오 및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하나의 NR 시스템에서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뉴머롤로지를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기존의 LTE/LTE-A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을 지원하는 것과 달리, 복수의 SCS를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복수의 SCS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NR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뉴머롤로지는, 기존의 700MHz 또는 2GHz 등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 또는 캐리어(carrier)에서 넓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6GHz 이상 또는 40GHz 이상과 같은 주파수 범위 또는 캐리어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가정하여 결정될 수도 있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NR 시스템을 새롭게 정의하기 위해서, 단말이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최소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고 셀 식별자를 확인하는 등의 동기화 절차를 정의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NR 시스템에서의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는 동기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정의된 바 없다.
이하에서는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NR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구성 및 광대역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는 동기화 동작을 위한 SS 블록의 위치를 시그널링 또는 결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 블록, SS 버스트, SS 버스트 세트의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SS는 NR-PSS(primary SS) 및 NR-SSS(Secondary SS)를 포함할 수 있고, 만약 지원된다면 NR-TSS(Ternary S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R-TSS는 적어도 SS 블록의 인덱스(index)를 지시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NR-PSS/SSS 전송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에서 SS block 마다 전송되는 NR-PSS/SSS/TSS 의 물리적 자원 위치는 실제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은 아니고, 단지 하나의 SS 블록 내에 적어도 NR-PSS/SSS 및 PBCH 전송이 수행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실제 물리적 자원에 할당되는 NR-PSS/SSS 및 NR-PBCH 등의 다른 시그널 및 채널들에 대한 멀티플렉싱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먼저 SS 블록(SS block)에 대해서 설명한다.
적어도 NR-PSS/SSS가 하나의 SS block 내에서 포함되어 전송된다. 즉, SS block 내에는 적어도 NR-PSS/SSS 전송은 수행된다고 단말은 가정한다. 하지만, 실제 NR-PSS/SSS/PBCH 등의 신호가 가능한 SS block에서 전송될지 그렇지 않을 지는 기지국의 결정에 달려있다. NR-PBCH 전송 주기와 방식에 따라서 하나의 SS block내에 적어도 NR-PSS/SSS/PBCH 전송이 항상 존재할 수도 있고, NR-PSS/SSS/PBCH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특정 SS block에서는 NR-PBCH 전송이 생략(skip)되어 적어도 NR-PSS/SSS 전송만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만약 NR-PBCH 전송이 NR-SS 전송과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SS block 내에서 항상 NR-SS와 NR-PBCH가 함께 전송되지 않는다면, 특정 SS block 내 또는 고정된 SS block 들을 사용해서 NR-PBCH가 전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S 블록에서 다른 시그널들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전송에 대한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해서 RRC IDLE 또는 RRC connected 모드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측정 참조 신호(Measurement Reference Signal, MRS), 또는 적어도 SS block 인덱스를 포함한 시간 도메인의 인덱스들을 지시하기 위한 TSS 등이 상기 NR-PSS/SSS/PBCH들과 함께 하나의 SS block 내에서 멀티플렉싱 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SS block 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NR-SS) 및 브로드캐스트 채널(NR-PBCH) 등이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FDM 및 TDM의 조합을 통해서 물리적 자원에 할당되어 기지국에 의해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
*적어도 SS 버스트 세트(SS burst set)의 주기(periodicity) 내의 SS block 들 사이로 하나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빔(beam) 들이 적용 되어 빔전송 또는 전-방향 빔(omni-directional beam) 전송 기반 SS block이 전송될 수 있다. 특히, 고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에서 발생하는 채널 감쇠를 보상하기 위해서 복수 빔전송 기반 SS block 전송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주파수 밴드에서는(예를 들어, 6GHz 미만) 단일 빔형태 또는 전-방향 빔(omni-directional beam) 전송 형태로 모든 또는 일부 SS block 사이로 한번 또는 반복 전송될 수 있다. 하지만, 전-방향 빔(omni-directional beam) 전송이 하나 또는 복수의 SS block에 적용되어서 NR-SS/PBCH 등의 시그널 및 채널들이 전송될 수 있거나, 보다 좁은 빔(narrow beam)을 기준으로 다중 빔 전송을 기반하는 것에 대한 결정은 순수하게 기지국 구현에 달려 있다. 따라서 SS burst set periodicity 내에 실제 얼마만큼의 SS block/SS burst 들을 사용할지는 빔폭(beam width), 주파수 범위, 채널 환경,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 셀의 타겟 빔 커버리지(target beam coverage) 등에 따라서 기지국 마다 독립적으로 결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SS 버스트(SS burst)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S block 들은 하나의 SS burst를 구성한다. 만약 SS burst 가 SS burst set periodicity 내에 정의될 필요가 없다면, 단순히 연속적인 SS block 들의 물리적 자원 상의 할당으로 보면 된다.
하나의 SS burst를 구성하는 SS block 들은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으로 할당 되거나 불연속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SS burst 단위는 SS burst set 디자인 방법에 따라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SS burst set 내에 연속적인 혹은 불연속적인 SS block 들이 정의된다.
다음으로, SS 버스트 세트(SS burst set)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S block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S burst 들을 기반으로 하나의 SS burst set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 관점에서 SS burst set periodicity 마다 동일한 빔형태가 적용된 주기적인 NR-SS 수신을 기대한다.
특정 주파수 밴드 마다 적어도 초기 셀 접속 동안, 단말은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마다 디폴트(default) SS burst 전송 주기 값을 가정한다.
적어도 RRC 연결(RRC Connected), RRC 휴지(RRC IDLE)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단말이 상기 SS burst set 전송 주기에 관해서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렇게 제공받은 정보는 이후 채널 측정(예를 들어,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를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다음으로, SS 블록 내의 자원 할당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NR-PSS/SSS는 초기 셀접속을 위한 시간/주파수 동기화 및 Cell ID 그리고 NR-TSS는 시간 인덱스(예를 들어, SS 블록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으며, NR-PSS/SSS/PBCH와 함께 하나의 SS 블록 내에서 멀티플렉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SS 블록이 3 개의 OFDM 심볼 및 SS BW를 포함하고, 첫 번째 OFDM 심볼에 NR-TSS, NR-PSS, NR-TSS가 FDM 방식으로 매핑되고, 두 번째 OFDM 심볼에 NR-SSS가 매핑되고, 세 번째 OFDM 심볼에 NR-PBCH가 매핑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는, 3 개의 OFDM 심볼에 매핑되는 신호/채널의 시간적 순서를 달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NR-PBCH에 대해서 설명한다.
NR-PBCH에 포함되는 정보(즉, 컨텐츠)는 NR-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으로 칭할 수 있다. NR 시스템의 초기 접속을 위해서 단말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최소 시스템 정보(minimum SI) 중 일부 정보가 MIB로 구성된다. 해당 MIB는 이후 NR-PBCH 채널을 통해서 단말들에게 브로드캐스팅 된다. 현재 NR 시스템은 적어도 다중 빔 전송 및 복수의 뉴머롤로지 등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LTE 시스템에서 정의된 MIB 크기보다는 더 큰 MIB 크기가 예상된다.
현재 NR 시스템을 위한 MIB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는 아래와 같다.
-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의 적어도 일부(At least part of the SFN). 시스템 프레임 번호의 일부는 MIB 내에 제공되고 나머지는 NR-PBCH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서 단말이 획득할 수도 있고, 또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의 전부가 MIB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에서 MIB 내에 7, 10, 또는 17 비트를 이용하여, 시스템 프레임 번호 또는 하이퍼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명시적으로 지시하고 나머지 3 비트 정보는 묵시적으로 PBCH 전송 방법에 의해서 단말이 최종 NR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 CRC(Cyclic Redundancy Check). 상기 MIB 정보 필드 내에 CRC 는 16 비트 또는 24 비트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24 비트의 CR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CRC 체크를 통해서 잘못된 알람(false alarm)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더 낮출 수 있으므로 NR-PBC를 보다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다.
- 최소 시스템 정보(minimum SI)의 남아 있는 정보(Remaining Minimum SI, RMSI)를 수신하기 위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설정 정보(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receive RMSI)이다. 예를 들어, 상기 RMSI 정보를 전달하는 PDSCH 채널을 스케쥴링 하기 위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제어 탐색 영역(PDCCH configuration information)이다. 여기서, MIB내에 포함되는 PDCCH 제어 탐색 영역에 대한 정보는 RMSI를 전송하는 PDSCH가 PDCCH를 통해서 스케줄링 되는 경우에, 해당 PDCCH 수신을 위한 PDCCH 설정 정보에 해당한다.
- SS 블록 인덱스(SS block index). SS block index 정보가 다른 신호(예를 들어, NR-SSS, NR-TSS)를 통해서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NR-PBCH를 통하여 SS block index가 명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 밸류 태그(Value Tag). RMSI 내용이 변경되는 것을 미리 MIB를 통해서 사전에 알리기 위한 정보. 이에 따라 단말이 새로운 시스템 정보(SI)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시간 지연 및 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 PDSCH에 대한 데이터 및 복조 참조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anl, DMRS)의 스크램블링 정보(Scrambling of DMRS and data for PDSCH).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방식으로 RMSI 정보를 PDSCH를 통해서 전송하는 경우에는 특정 식별자(예를 들어, 그룹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함으로써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동작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정보를 MIB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 초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initial uplink transmission). 랜덤 액세스 채널 전송을 위한 설정 정보에 해당함.
- 그 외 추가적인 정보.
전술한 예시들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하는 전체 NR-MIB 정보 비트의 크기는 약 40 비트 내지 100 비트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NR 시스템에서의 광대역 동작(wideband operation)에 대해서 설명한다.
채널 래스터(raster)는 채널의 중심 주파수가 정의되는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채널 래스터가 100kHz인 경우, 채널 중심 주파수는 100kHz의 정수배에 해당할 수 있다.
NR-SS를 위한 래스터(이하, NR-SS 래스터)는 주파수 범위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동작을 허용하는 주파수 범위에서는 단말의 초기 셀 선택(initial cell selection)을 위한 부담을 줄이고, NR 시스템의 배치의 유연성을 위해서 NR-SS 래스터는 LTE 계열 시스템에서의 채널 래스터 또는 SS 래스터(예를 들어, 100kHz) 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LTE 채널 밴드와 그 주변 채널 또는 비-3GPP 서비스를 위한 채널들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현재 LTE 계열 시스템에서의 채널 래스터 또는 SS 래스터(예를 들어, 100kHz)가 NR 시스템에서도 지원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NR-SS를 위한 중심 주파수와 NR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만약 NR-SS 대역폭(BW)이 특정 주파수 밴드에서의 최소 캐리어 대역폭(minimum carrier BW)과 동일하다면 NR-SS 래스터와 해당 캐리어 래스터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NR 셀에 대해서, 동기화 신호(SS)를 위한 중심 주파수는 NR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와 상이할 수도 있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NR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와 SS의 중심 주파수 사이의 관계는 단말의 복잡성 및 유연성을 고려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 기지국(예를 들어, gNB)은 일부 단말들에 대해서는 광대역 CC(component carrier)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다른 단말들에 대해서는 CA(carrier aggregation)가 적용된 대역-내(intra-band) 연속적인 CC들의 세트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광대역 CC 내에서 CC들 사이의 가드 대역(guard band)의 크기가 0(zero)인 경우를 허용하고, 이를 채널 래스터 결정에 고려할 수 있다. 만약 가드 대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광대역 CC 내의 CC들 사이의 가드 대역을 위한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CC 내에서 하나의 또는 복수의 SS 위치를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자원블록그룹(resource block group), 채널상태정보(CSI) 서브대역 등의 설계를 위해서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CC(또는 하나의 광대역 CC)에서 하나 이상의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P)이 설정될 수 있다. BP에 대한 설명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BP는 연속적인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들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BP 내에는 유보된 자원(reserved resource)이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보된 자원은 시스템에 의해서 사용되지는 않지만(즉, 비워두지만) 향후 다른 서비스나 목적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도록 확보해 둔 물리 자원 영역에 해당하고, BP 대역의 일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BP의 대역폭은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 캐퍼빌리티(BW capability)이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BP는 SS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BP의 대역폭은 SS 블록의 대역폭보다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BP 설정을 위해 뉴머롤로지(예를 들어, CP 길이 SCS, 슬롯당 OFDM 심볼 개수(예를 들어, 7개 또는 14개) 등), 중심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PRB 개수) 등의 파라미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BP는 RRC connected 상태의 단말을 위해서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BP 설정은 하나의 뉴머롤로지 설정에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BP는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를 지원할 수도 있고, 복수의 BP가 동일한 뉴머롤로지를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BP(DL BP)와 하나의 상향링크 BP(UL BP)가 특정 시간 동안 설정된 BP들의 집합에서 활성화된다고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연관된 뉴머롤로지를 사용하는 활성화된 DL/UL BP 내에서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PDSCH 및/또는 PDCCH와, PUCCH 및/또는 PUSCH의 조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원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를 지원하는 복수의 BP들이 하나의 단말에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이 동일한 시점에서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를 지원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활성화된(active) DL/UL CP는 하나의 CC 내에서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폭 캐퍼빌리티보다 큰 주파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광대역 동작을 위한 새로운 채널 대역폭을 지원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3GPP 릴리즈 15(Rel 15)에서는 기지국의 송수신 대역폭(Radio Frequency Bandwidth, RFBW)이 600MHz이고 최대 채널 대역폭(CHBW)으로 400MHz를 지원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향후 릴리즈에서는 최대 CHBW로 600MHz를 지원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은 기지국이 동작하는 CHBW보다 넓은 대역폭에서 동작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최대 채널 대역폭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되는 경우에도 레거시 단말들이 새로운 CHBW 상에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지국은 레거시 단말들이 지원하지 않지만 동작은 할 수 있는 새로운 CHBW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레거시 단말에게 설정한 CHBW들을 기반으로 CA(carrier aggregation)를 적용하여 새로운 CHBW를 지원할 수도 있다. 단말에 의해서 지원되는 모든 CHBW들은 규격화(standardization)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일부 CHBW는 의무적(mandatory)으로 지원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최대 CHBW보다 작은 새로운 CHBW를 추가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단말은 해당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즉, 해당 단말이 지원가능한 것 보다 큰) CHBW에서, 해당 CHBW보다 작은 CHBW들에 CA를 적용하여 동작하도록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00MHz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은 두 개의 200MHz CHBW에 대해서 CA를 적용하거나, 네 개의 100MHz CHBW에 대해서 CA를 적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400MHz CHBW 상에서 동작하도록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100MHz, 200MHz와 같은 CHBW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CHBW들이다. 또한, 기지국은 400MHz CHBW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이다.
단말은 기지국에게 대역폭 캐퍼빌리티를 알려줄 수 있고, 또한 해당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동작 방식(예를 들어, CA)에 대해서도 알려줄 수 있다.
어떤 CHBW들의 조합에 대해서 CA가 적용되는지는 기지국의 복잡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모든 정의된 CHBW는 단말 캐퍼빌리티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에 의해서 지원가능해야 한다. 단말은 해당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보다 작은 CHBW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CBW들의 집합은 SCS 특정(specific)으로 또한 주파수 대역 특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CHBW와 기지국의 RFBW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RFBW는 가장 큰 CHBW 보다 클 수도 있다.
단말에 의해서 지원되는 최대 CHBW는 UL 특정으로, DL 특정으로, 또한 SCS 특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릴리즈 15에서의 최대 CHBW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100MHz로 정의될 수 있고, 24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400MHz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SCS에 대해서 서로 다른 최대 CHBW가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어떤 SCS에 대한 최대 CHBW는 주파수 대역 별로 정의되는 최대 CHBW 이하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모든 단말이 최대 CHBW를 지원해야 하도록 요구되지는 않지만, 단말에 대해서 정의되는 최대 CHBW는 기지국에 대해서 정의되는 최대 CHBW보다는 낮지 않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을 위한 NR-SS 래스터 설정 및 지시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광대역 동작(wideband operation): 하나의 CC(single CC)에 대해서,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4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고,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는 동작.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는 단말은, 위와 같이 설정된 광대역폭에 대해서 오직 하나의 CC로 설정되어 동작하도록 설정되거나, 위와 같이 설정된 광대역폭보다 작은 전송 대역폭들에 대한 CA 적용을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되거나, 위와 같이 설정된 광대역폭의 일부 대역폭의 부분에서만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광대역폭은, 기지국의 대역폭 캐퍼빌리티, 기지국의 RF 캐퍼빌리티, 단말의 대역폭 캐퍼빌리티, 단말의 RF 캐퍼빌리티,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지원되는 대역폭의 조합 등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 NR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 특정 대역에서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을 기준으로, 채널의 중심 주파수가 위치할 수 있는 후보 위치의 집합. 예를 들어, 채널의 중심 주파수의 후보 위치들이 그리드(grid) 구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그리드 구조의 주파수 상의 위치를 채널 래스터라고 칭할 수도 있다. NR 시스템에서의 채널 래스터는 LTE 계열의 시스템에서의 채널 래스터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 NR 동기화 래스터(Sync Raster): SS 블록(예를 들어, NR-SS(예를 들어, NR-PSS, NR-SSS, TSS 중의 하나 이상)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예를 들어, NR-PBCH)을 포함하는 단위)이 위치할 수 있는 후보 위치의 집합. 예를 들어, SS 블록의 후보 위치들이 그리드 구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그리드 구조의 주파수 상의 위치를 NR 동기화 래스터 또는 NR-SS 래스터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적어도 SS 블록 대역폭 이상의 최소 대역폭의 크기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하나의 CC 내에서 NR 동기화 래스터는 NR 채널 래스터의 단위 그리드 크기보다 더 큰 단위 그리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NR 동기화 래스터는 CC 내의 NR 채널 래스터의 빈도보다 덜 빈번하게 위치할 수 있다. LTE 계열의 시스템에서 채널 래스터와 동기화 래스터가 동일한 위치를 가지는 것과 달리, NR 시스템에서의 NR 동기화 래스터와 NR 동기화 래스터는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NR 동기화 래스터는, SS 블록이 자원블록(RB) 그리드와 정렬(align)되는(즉, SS 블록의 시작 위치가 임의의 RB의 시작 위치와 동일하게 되는)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 명목상의 동기화 래스터(Nominal Sync raster): 본 개시에서 가정하는 잠재적인 NR 동기화 래스터. 명목상의 동기화 래스터는 NR 채널 래스터의 부분집합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명목상의 동기화 래스터는 NR 채널 래스터의 정수배와 동일한 값(또는 위치)을 가질 수 있다. 명목상의 동기화 래스터는, SS 블록이 위치하는 실제 NR 동기화 래스터와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의 정도를 주파수 오프셋(offset)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뉴머롤로지(Numerology, NM): 하나의 물리계층 전송 구조를 정의하는데 고려해야 하는 파라미터들의 집합. 예를 들어, NM을 정의하는 파라미터들은, CP 길이, SCS, 하나의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M을 정의하는 각각의 파라미터들의 값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대응하는 전송 구조에 대한 주파수-시간 축에서의 자원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광대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서브대역(예를 들어, BP 또는 CC)에 SS 블록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광대역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NR 시스템에서의 광대역 동작을 LTE 계열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 시스템에서 하나의 CC를 위해 할당하는 광대역폭은 하나의 BP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BP로 나눠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CC에 해당하는 광대역폭에 대응하는 BP의 개수는 단말의 대역폭 캐퍼빌리티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예시에서와 같이, 단말의 대역폭 캐퍼빌리티, 기지국의 BP 설정, 기지국의 CC 설정에 따라서 다양한 광대역 동작이 지원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하나의 RF 체인을 가지는 단말(UE with one RF chain)은 하나의 광대역 캐리어(또는 광대역 CC) 상에서 동작할 수 있고, 하나의 광대역 CC는 4 개의 서브대역(또는 BP)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및 네 번째 서브대역(또는 BP)은 SS 블록을 포함하지 않고, 두 번째 및 세 번째 서브대역(또는 BP)는 SS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예시에서 복수의 RF 체인을 가지는 단말(UE with multiple RF chains)에 대해서는, 4 개의 CC(여기서 CC는 광대역 CC보다 좁은 전송 대역폭에 대응함)가 설정되고, 4개의 CC들(즉, non-standalone CC, standalone CC, standalone CC, non-standalone CC)에 대해서 대역내 CA(intra-band CA)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SS 블록을 포함하는 서브대역(또는 BP)은 자립형(standalone) CC로서 설정되어 단말이 동작할 수 있다. SS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대역(또는 BP)은 비자립형(non-standalone) CC로서 설정되어, 적어도 하나의 자립형 CC와 함께 CA 또는 DC(dual connectivity)를 적용하여 단말이 동작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왼쪽 도면은 LTE 계열 시스템에서의 CA 기반의 광대역 동작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2 개의 CC에 대해서 CA를 적용하여 결합된 채널 대역폭(aggregated channel bandwidth)을 구성하고, 기지국은 다중-캐리어 동작을 지원한다. 여기서 낮은 주파수 위치의 CC와 높은 주파수 위치의 CC가 각각 PCell(primary cell) 및 SCell(secondary cell)로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각각 SCell 및 PCell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단말은 낮은 주파수 위치의 하나의 CC 내에서 동작할 수도 있고, 높은 주파수 위치의 하나의 CC에서 동작할 수도 있고, 2 개의 연속적인 CC 상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오른쪽 도면은 NR 시스템에서 BP 기반의 광대역 동작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광대역폭이 하나의 CC(즉, 광대역 CC)에 해당하며, 이는 PCell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일 광대역 캐리어 동작을 지원하게 된다. 이 경우, 단말은 광대역 CC 내의 낮은 주파수 위치의 하나의 CC(또는 좁은 전송 대역폭, 또는 BP) 내에서 동작하거나, 광대역 CC 내의 높은 주파수 위치의 하나의 CC(또는 좁은 전송 대역폭, 또는 BP) 내에서 동작하거나, 광대역 CC 내의 2 개의 연속적인 CC 상에서 동작할 수도 있고, 하나의 광대역 CC 내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NR 채널 래스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LTE 계열(또는 E-UTRA) 시스템의 래스터는 채널 래스터와 동기화 래스터를 구분하지 않고 E-UTRA 주파수 밴드내 100kHz 마다 정의된다. GSM 및 UTRA 시스템에서의 래스터는 200kHz 마다 정의되며 추가적으로 일부 UTRA 대역에서 100kHz 크기의 오프셋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들이 NR 시스템에서도 지원되는 것을 고려하면, 무선 통신 사업자들은 고유의 채널 중심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서 인접 채널과 인접 비-3GPP 서비스로부터 주파수 오프셋 값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국가별 규제에 따라서 100kHz로 정의된 채널 래스터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100kHz의 채널 래스터 값은 NR 시스템에서도 지원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00kHz 채널 래스터를 지원함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그리드(Grid) 또는 RB 그리드에 대한 정렬(alignment)를 고려할 수 있다. 100kHz 채널 래스터를 서브캐리어 그리드 또는 RB 그리드와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아래의 표 1 및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널 스페이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표 1은 100kHz 채널 래스터에 대한 서브캐리어 그리드 정렬을 위한 채널 스페이싱을 나타낸다. 표 2는 100kHz 채널 래스터에 대한 RB 그리드 정렬을 위한 채널 스페이싱을 나타낸다.
Sub carrier spacing (kHz) Channel spacing for subcarrier grid alignment (kHz)
15 N * 300
30 N * 300
60 N * 300
120 N * 600
240 N * 1200
RB size
(kHz)
Channel spacing for RB alignment
(kHz)
180 N * 900
360 N * 1800
720 N * 3600
1440 N * 7200
2880 N * 14400
표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캐리어 그리드 정렬을 위해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과 100kHz 채널 래스터 값의 공배수 형태로 채널 스페이싱을 적용할 수 있다.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 그리드 정렬을 위해서 RB 크기와 100kHz 채널 래스터 값의 공배수 형태로 채널 스페이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N은 정수에 해당한다. 즉, 서브캐리어 또는 RB 그리드와 정렬하면서 채널 래스터인 상기 채널 스페이싱들은 소정의 크기의 단위의 정수배(즉, N 배)에 해당하는 주파수 위치 후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초광대역 주파수가 존재하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의 값이 120kHz 또는 240kHz인 경우에는, 서브캐리어 또는 RB 그리드 정렬을 위해서 필요한 채널 스페이싱의 값이 너무 커져서 주파수 자원 활용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활용하기 위한 관점에서는, 해당 상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적용된 주파수 밴드에서는 100kHz 채널 래스터 값이 선호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기존 UTRA/E-UTRA 채널을 지원하고 비-3GPP 서비스와의 공존 등을 위해서 100kHz 채널 래스터 값을 사용하고,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효율적인 서브캐리어/RB 그리드 정렬 및 유연한 주파수 자원 활용을 위해서 SCS(예를 들어, 상기 표 1) 또는 RB 크기(예를 들어, 상기 표 2)와 동일한 채널 래스터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본 개시에서 가정하는 2가지 채널 래스터 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이하의 채널 래스터 값은 단지 예시적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6GHz 미만 또는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100kHz의 채널 래스터 값을 사용한다. 이는 LTE 계열 시스템의 대역을 재사용하거나 공존을 위해서 100kHz 채널 래스터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6GHz 이상 또는 초과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SCS 또는 RB 크기에 기초한 채널 래스터 값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표 1의 SCS는 표 2의 RB 크기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RB가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것을 가정하면, 표 1에서 15kHz의 SCS는 표 2에서 180kHz의 RB 크기에 대응하고, 표 1에서 30kHz의 SCS는 표 2에서 360kHz의 RB 크기에 대응하고, 표 1에서 60kHz의 SCS는 표 2에서 720kHz의 RB 크기에 대응하고, 표 1에서 120kHz의 SCS는 표 2에서 1440kHz의 RB 크기에 대응하고, 표 1에서 240kHz의 SCS는 표 2에서 2880kHz의 RB 크기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적어도 NR 시스템을 위해서 새롭게 고려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RB 크기와 동일한 채널 래스터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 2에서 고려하는 값들 중 하나를, 하나의 NR 채널 래스터 값으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는 동기화 동작을 위한 SS 블록의 위치를 시그널링 또는 결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히, 본 개시에서는 NR 동기화 래스터를 설정 및 지시하는 구체적인 예시들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가드 대역을 포함하지 않는 광대역 CC 및 연속적인 CC들에 기초한 NR 광대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SS 대역폭(즉, SS 블록이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최소 시스템 대역폭보다 작은 경우, NR 동기화 래스터(sync raster)의 주파수 축에서 나타나는 빈도가 NR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비하여 낮은(즉, 덜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하나의 CC의 sync raster는 NR channel raster 보다 덜 빈번하게 주파수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raster에 대한 정의는, 하나의 cell(즉, 채널 또는 캐리어)을 구성할 때 특정 주파수 밴드 내에 NR carrier 의 중심 주파수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단말의 셀 서치(cell search) 복잡도와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가능한 sync raster 위치(즉, 명목상의 동기화 래스터(nominal sync raster))에 기초하여, NR 시스템 구성 시나리오와 NR 채널(또는 주파수) 환경에 맞춰 실제 SS block이 전송되는 sync raster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채널 중심(channel center)에 가까운 nominal sync raster에서는 SS block 전송을 설정 또는 할당하지 않은 것(no sync)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5에서는 광대역 CC 대역폭(wideband CC BW) 내의 다른 nominal sync raster에서는 SS block 전송을 설정 또는 할당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NR channel raster와 SS block 전송이 존재하는 sync raster가 동일한 주파수 위치에 할당될 수도 있다.
도 5의 예시에서는 channel raster와 nominal sync raster가 서로 배수 관계를 가지는 것을 가정하였다. 즉, NR channel raster 값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값이 nominal sync raster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 carrier를 중심으로 소정의 주파수 크기(예를 들어, 100kHz, 또는 RB 크기)에 해당하는 주파수 간격마다 channel raster가 존재하며, 상기 소정의 주파수 크기의 정수배(예를 들어, 100kHz * N, 또는 RB 크기*N)에 해당하는 주파수 간격마다 nominal sync raster가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연속하는 두 개의 nominal sync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주파수 간격은, 연속하는 두 개의 channel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주파수 간격의 10 배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지만, 본 개시가 배수의 특정 값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NR wideband operation에 있어서 단말이 이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캐퍼빌리티(BW capability) 및 지원가능한 동작 모드(예를 들어, CA 또는 DC 지원여부)를 고려하여, 하나의 광대역 채널(wideband channel) 내에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폭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나타내는 제1 단말(UE1) 내지 제6 단말(UE6)의 동작 설정의 예시와 같은 wideband operation에 관련된 설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어떤 단말이 최대로 지원 가능한 BW capability 내에서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BW가, wideband CC인 단일 캐리어(single carrier)인 경우, CA가 적용된 경우, 또는 BP가 설정된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1에 대해서는 단일 캐리어인 wideband CC에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UE1은 하나의 wideband CC 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BW capability와 RF capability를 가지는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UE2 및 UE3에 대해서는 wideband CC BW 내의 일부 대역폭(예를 들어, UE2에 대해서는 CC#1 BW, UE3에 대해서는 CC#2 BW)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UE4는 UE1과 동일한 BW capability를 지원할 수 있지만, 하나의 RF chain에서 지원하는 최대 BW가 제한되기 때문에(즉, wideband CC BW보다 작기 때문에) 복수의 RF chain을 이용한 CA를 적용하여 wideband 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UE4는 CC#1 및 CC#2에 대한 CA를 적용하여(즉,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wideband CC BW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폭에서 동작할 수 있다.
UE5는 UE2, UE3, UE4에 비하여 좁은 전송 대역폭(즉, UE5에 대한 CC#1 BW)이 설정될 수 있고, 해당 주파수 대역폭 상에서만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UE6에 대해서는, UE5에 대해서 설정된 대역폭(즉, UE6에 대한 CC#1 BW)에 추가적인 대역폭(즉, UE6에 대한 CC#2 BW)이 CA 설정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UE6에게 할당되는 CC#2에 해당하는 대역에는 SS block 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자립형(non-standalone) CC에 해당한다.
도 5의 예시에서 wideband CC보다 좁은 대역폭을 가지는 다양한 크기의 CC들의 각각은 BP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CC 내에 하나 이상의 BP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nominal sync raster의 일부에, 실제 sync raster(즉, 실제로 전송되는 SS block(도 5에서 Sync)의 중심 주파수)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NR 시스템에서의 광대역 동작에 있어서, sync raster의 간격이 서브캐리어 그리드 또는 RB 그리드와 정렬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SS block을 검출한 주파수 위치를 기준으로 서브캐리어 그리드 또는 RB 그리드를 결정하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할 수도 있고, 기지국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절차가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그리드 또는 RB 그리드로 인한 서브캐리어간(inter-subcarrier) 또는 RB 간(inter-RB) 간섭에 대한 회피 설계와 추가적인 가드 대역이 요구될 수도 있다. 따라서, NR 시스템에서 sync raster와 서브캐리어 그리드 또는 RB 그리드의 정렬을 위한 정확한 정보가 단말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Nominal sync raster란, 하나의 주파수 밴드 내에 잠재적으로 SS block 중심이 위치할 수 있는 주파수 위치들을 의미하며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을 기반으로 채널의 minimum BW, SS block BW 그리고 channel raster 값을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유도한다.
Figure pat00001
보다 구체적으로, NR sync raster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내의 SS BW의 중심 주파수 또는 SS BW의 PRB 경계가, 시스템 BW 내의 PRB 또는 PRB 경계와 정렬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nominal sync raster의 위치와 실제 SS BW의 PRB 경계의 위치 사이에 간격(또는 오프셋)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NR sync raster 설정에 있어서, 가드 대역의 적용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NR 시스템 대역에서는 대역폭 조합에 따라서 CC들(또는 BP들) 사이에 가드 대역(또는 가드 서브캐리어)이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CC들(또는 BP들) 사이에 가드 대역(또는 가드 서브캐리어) 없이 연속적인 서브캐리어 또는 연속적인 PRB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광대역 동작에서의 가드 대역의 적용 여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광대역 CC 대역폭 내의 CC들에 걸쳐서 연속적인 전송 대역폭이 설정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연속적인 전송 대역폭(예를 들어, 연속적인 CC들 또는 연속적인 BP들) 사이에 가드 대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CC들 사이에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unused subcarrier)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wideband CC에서 동작하는 단말과 각각의 CC에서 동작하는 단말 사이의 서브캐리어 정렬 또는 RB 정렬이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광대역 CC 대역폭 내의 CC들에 걸쳐서 불연속적인 전송 대역폭이 설정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예시에서와 같이 연속적인 전송 대역폭(예를 들어, 연속적인 CC들 또는 연속적인 BP들) 사이에 가드 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CC들 사이에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unused subcarrier 또는 gap subcarrier)가 존재한다. 따라서, SS BW의 주파수축 위치 결정 또는 지시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6GHz 미만 또는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100kHz의 채널 래스터가 적용되는 경우에서의 sync raster(또는 SS block 주파수 위치)를 결정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RB 그리드에 정렬되는 sync raster의 주파수축 위치를 지시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예시에서 채널 래스터는 예시적으로 100kHz인 것으로 가정하고, nominal sync raster는 채널 래스터의 정수배 또는 상기 언급한 수학식 1에서 유도한 값으로 가정한다. 또한, DC 캐리어를 고려하여 채널 중심 주파수에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절반인 SCS/2 만큼 이격된 주파수 위치에서부터 PRB 단위가 시작될 수 있다.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S block이 전송되는 대역폭인 Sync BW의 경계가 RB 경계와 일치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Sync BW의 중심 주파수(Sync center)의 위치는 nominal sync raster에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nominal sync raster가 RB 경계와 일치하지 않아 Sync BW의 경계와 RB 경계 사이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제 sync BW의 중심 주파수 또는 sync raster의 위치를 sync BW 중심 PRB 경계에 일치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첫 번째 예시로서, 채널 중심 주파수(channel center)로부터 Sync BW의 중심 주파수(즉, sync raster)까지의 오프셋(즉, offset#1)의 값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은 주파수 축 상에서의 거리(예를 들어, kHz 단위), 서브캐리어 개수, PRB 개수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offset#1은 채널 중심 주파수(channel center)로부터 Sync BW의 PRB 경계까지의 오프셋 값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Sync BW의 PRB 경계는 channel center에 가까운 PRB 경계(도 8의 예시에서는 낮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고, channel center에서 먼 PRB 경계(도 8의 예시에서는 높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다.
두 번째 예시로서, nominal sync raster의 주파수 위치로부터 Sync BW의 중심 주파수(즉, sync raster)까지의 오프셋(즉, offset#2)의 값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offset#2의 기준이 되는 nominal sync raster는 Sync BW와 가장 가까운 nominal sync raster의 주파수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오프셋은 주파수 축 상에서의 거리(예를 들어, kHz 단위), 서브캐리어 개수(즉, 0~11로 4비트), PRB 개수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셋 값은 해당 SS block이 전송되는 뉴머롤러지(즉, subcarrier spacing) 를 기반으로 정의된다.
또한, offset #2는 가장 가까운 nominal sync raster로부터 가장 가까운 nominal sync raster로부터 Sync BW 의 PRB 경계까지의 오프셋 값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즉, Sync BW의 중심 PRB 경계에 가장 가까운 nominal sync raster 까지의 오프셋 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Sync BW의 PRB 경계는 channel center에 가까운 PRB 경계(도 8의 예시에서는 낮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고, channel center에서 먼 PRB 경계(도 8의 예시에서는 높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세 번째 예시로서, CC 중심 주파수(또는 BP 중심 주파수)로부터 Sync BW의 중심 주파수(즉, sync raster)까지의 오프셋(즉, offset#3)의 값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은 주파수 축 상에서의 거리(예를 들어, kHz 단위), 서브캐리어 개수, PRB 개수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offset #3은 CC 중심 주파수(또는 BP 중심 주파수)로부터 Sync BW 의 PRB 경계까지의 오프셋 값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Sync BW의 PRB 경계는 channel center에 가까운 PRB 경계(도 8의 예시에서는 낮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고, channel center에서 먼 PRB 경계(도 8의 예시에서는 높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이 CC 중심 주파수(또는 BP 중심 주파수)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SI)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시스템 정보 내에 정의하는 추가 정보로서, 단말이 획득한 SS block이 위치하는 CC(또는 BP) 내에서의 실제 SS block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offset#1, offset#2, offset#3를 시그널링하는 예시들에 있어서, 기지국은 전술한 표 1 또는 표 2와 같은 채널 스페이싱 값을 기반으로 sync raster의 주파수 축 상에서의 후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S 또는 RB 크기에 따라서 특정가능한 nominal Sync raster (예를 들어, 15kHz의 SCS인 경우에는 900kHz의 정수배 위치)에 가까운 RB 인덱스를 기지국은 사전에 미리 정해둘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각각의 nominal sync raster에 해당하는 RB 인덱스를 매핑 테이블의 형태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ominal sync raster의 위치에 대응하는 RB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해당 nominal sync raster를 기준으로 하는 + 또는 - 오프셋 값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최종적인 RB 인덱스를 기지국이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오프셋 값과 RB 인덱스에 연관된 시그널링 정보를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 그 연관관계를 기반으로 SS block이 위치하는 PRB 인덱스(예를 들어, SS block이 할당된 중심 PRB 인덱스 또는 SS block이 할당된 경계 PRB 인덱스)를 단말이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오프셋 관련 정보를 단말에게 시그널링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에게 실제 SS block이 위치하는 주파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단말은 이에 기초하여 SS block의 주파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후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제어/RS 신호의 송수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들에 있어서, NR 시스템에서 SS BW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최소 캐리어 대역폭(minimum carrier BW)과 같다면 sync raster와 channel raster는 같다. 만약 sync raster가 channel center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DC 캐리어를 위한 SCS/2 값은 sync raster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만약 sync raster와 channel center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에는 DC 캐리어를 고려하여 sync raster 값을 결정하기 위한 SCS/2=0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channel center와 sync raster의 주파수 상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에는 DC subcarrier를 제외한 channel center 양 쪽에 SS BW가 위치한다.
만약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SS BW가 minimum system BW보다 작을 때는 sync raster가 주파수 축에서 나타나는 빈도가 channel raster 보다는 덜 빈번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의 초기 셀 선택(initial cell selection)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NR 시스템 구성의 유연성에 제한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이런 경우에서는 DC 캐리어로 인한 SCS/2 값을 고려해서 NR sync raster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ync raster가 channel center에 위치하지 않고 해당 channel BW 내에 위치하는 경우, 즉 channel center와 SS BW의 center(즉, sync raster)가 동일하지 않은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sync raster가 결정된 주파수 위치는 SS block이 할당되는 SS BW의 중심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도 8에서 nominal sync raster 값은 channel raster (예를 들어, 100kHz)에 정수배에 해당하는 값으로 가정했다. nominal sync raster는 channel raster 보다 덜 빈번하게 나타나므로, 단말은 initial cell search 중에 sync raster 를 중심으로 NR-SS (즉, NR-PSS/SSS) 복호를 시도하여 셀 식별자(Cell ID) 획득 및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SS block 검출에 성공하였다 할지라도, 해당 SS BW가 어떤 주파수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SS BW의 중심 또는 경계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이 단말에게 제공하는 주파수 offset에 대한 정보는, SS BW의 중심 또는 경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offset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특정 뉴머롤로지를 기준으로 정의된 PRB 그리드의 경계와 SS BW의 경계가 정렬되는 것을 전제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RB 그리드내의 PRB 인덱스는 단말이 가정하는 특정 뉴머롤로지를 기준으로 사용되고 미리 가정된 PRB 인덱스를 기준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sync raster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상기 표 1 또는 표 2를 참고해서 각각의 SCS 또는 RB 크기와, RB 정렬을 위한 채널 스페이싱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1 또는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CS 값과 연관된 RB 크기에 따라서 선호되는 NR sync raster의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프셋 값은, nominal sync raster와 가장 가까운 RB에 정렬되는 NR SS block의 주파수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해당 NR SS block이 전송될 수 있는 NR SS BW를 지시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단말의 initial cell search 복잡도를 최소화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RB 그리드 정렬을 위한 NR sync raster에 대한 정보에 대한 일례로서 nominal sync raster와 sync raster(즉, SS BW의 중심 주파수 위치) 사이의 offset(즉, 도 8에서 offset#2)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은 관계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는 채널 중심(channel center)를 기준으로 높은 주파수 방향(즉, + 방향)의 NR sync raster의 중심의 주파수 위치를 나타낸다. 수학식 2에서 SCS/2는 kHz 단위의 값이고, RB size는 kHz 단위의 값이고, NR channel raster는 6GHz 미만 또는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100kHz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t 및 N 값은, RB size * t 의 값과 NR channel raster * N의 값이 NR channel raster와 RB 크기의 공배수와 동일하게 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B size가 180kHz이고, NR channel raster가 100kHz인 경우, 이들의 공배수 중에서 채널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900kHz에 해당하고, 이고, 이에 따라 t 값은 5이고, N 값은 9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Gap은 가드 대역이 존재하는 경우(도 7 참조)에는 gap subcarrier의 크기에 해당하며 0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만약 가드 대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6 참조)에는 Gap은 0 값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SCS/2의 값을 결정함에 있어서, SCS은 DC 캐리어가 할당되는 BP 또는 CC에서 가정하는 SCS의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2에서의 SCS는, SS block이 전송되는 BP와 DC carrier가 존재하는 CP 사이에서 가정하는 SCS와 다를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RB 정렬을 위한 NR sync raster offset을 지시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예시에서 24 PRBs 보다 큰 대역폭을 가지는 NR BP 내에서, 24 PRBs 크기인 NR SS 블록이 전송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SS 블록의 중심(예를 들어, PRB#11과 PRB#12의 경계)과 실제 NR sync raster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사이의 간격을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만약 NR SS 블록이 채널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DC 서브캐리어를 제외하고 NR SS 블록 대역폭이, 낮은 주파수 방향으로 12개의 PRB와 높은 주파수 방향으로 12개의 PRB에 해당하는 대역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NR sync raster와 채널 중심 주파수(또는 캐리어 중심 주파수)가 동일하고 오프셋 값은 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SS block 검출을 위해서, DC 캐리어 및 SS 블록을 위한 SCS의 값을 디폴트(default) SCS인 15kHz인 것으로 가정하고, channel raster 값이 100kHz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nominal sync raster 값은 channel raster 값과 RB 크기의 공배수가 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과 뉴머롤로지를 가정한 경우, RB 정렬을 고려한 sync raster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와 같이, 최대한 PRB 경계에 가까운 nominal sync raster의 주파수 위치는 100kHz와 180kHz의 배수인 900kHz가 될 수 있다. 즉, t 값은 5이고, N 값은 9가 될 수 있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서 Gap 서브캐리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면(즉, Gap=0), DC 캐리어를 고려한 SCS/2에 해당하는 7.5kHz를 계산에 포함하여 907.5 kHz가 PRB 경계가 될 것이고, 이 경우의 nominal sync raster (= channel raster * N)는 900kHz가 될 수 있다. 따라서 PRB 경계와 정렬시키기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7.5 kHz에 대한 offset 값과 연관된 PRB 인덱스 값을 제공하여, 단말이 해당 SS block이 위치하는 주파수 축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여 향후 데이터 송수신의 기초로서 이용하게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6GHz 이상 또는 초과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SCS 또는 RB 크기에 기초한 채널 래스터가 적용되는 경우에서의 sync raster(또는 SS block 주파수 위치)를 결정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1에서는 SCS 또는 RB 크기와 채널 래스터의 공배수에 해당하는 nominal sync raster를 기준으로 실제 sync raster의 주파수 위치가 제한되지만,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이러한 제한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다 유연한 주파수 자원 활용이 가능하다. 즉, 실시예 2에서는 임의의 nominal sync raster를 기준으로 실제 sync raster를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channel raster가 소정의 SCS 또는 RB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채널 래스터가 100kHz로 고정된 실시예 1에 비하여 RB 정렬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SCS 또는 RB 크기에 기초한 채널 래스터가 적용되는 경우의 sync raster의 주파수축 위치를 지시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예시에서 채널 래스터는 예시적으로 180kHz인 것으로 가정하고, nominal sync raster는 채널 래스터의 정수배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DC 캐리어를 고려하여 채널 중심 주파수에서 SCS/2 만큼 이격된 주파수 위치에서부터 PRB 단위가 시작될 수 있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S block이 전송되는 대역폭인 Sync BW의 경계가 RB 경계와 일치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Sync BW의 중심 주파수(Sync center)의 위치는 nominal sync raster에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sync BW의 중심 주파수 또는 sync raster를 단말에게 지시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첫 번째 예시로서, 채널 중심 주파수(channel center)로부터 Sync BW의 중심 주파수(즉, sync raster)까지의 오프셋(즉, offset#1)의 값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은 주파수 축 상에서의 거리(예를 들어, kHz 단위), 서브캐리어 개수, PRB 개수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offset#1은 채널 중심 주파수(channel center)로부터 Sync BW의 PRB 경계까지의 오프셋 값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Sync BW의 PRB 경계는 channel center에 가까운 PRB 경계(도 10의 예시에서는 낮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고, channel center에서 먼 PRB 경계(도 10의 예시에서는 높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다.
두 번째 예시로서, nominal sync raster의 주파수 위치로부터 Sync BW의 중심 주파수(즉, sync raster)까지의 오프셋(즉, offset#2)의 값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offset#2의 기준이 되는 nominal sync raster는 Sync BW와 가장 가까운 nominal sync raster의 주파수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오프셋은 주파수 축 상에서의 거리(예를 들어, kHz 단위), 서브캐리어 개수, PRB 개수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offset #2는 가장 가까운 nominal sync raster로부터 Sync BW 의 PRB 경계까지의 오프셋 값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Sync BW의 PRB 경계는 channel center에 가까운 PRB 경계(도 10의 예시에서는 낮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고, channel center에서 먼 PRB 경계(도 10의 예시에서는 높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세 번째 예시로서, CC 중심 주파수(또는 BP 중심 주파수)로부터 Sync BW의 중심 주파수(즉, sync raster)까지의 오프셋(즉, offset#3)의 값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은 주파수 축 상에서의 거리(예를 들어, kHz 단위), 서브캐리어 개수, PRB 개수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offset #3은 CC 중심 주파수(또는 BP 중심 주파수)로부터 Sync BW 의 PRB 경계까지의 오프셋 값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Sync BW의 PRB 경계는 channel center에 가까운 PRB 경계(도 10의 예시에서는 낮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고, channel center에서 먼 PRB 경계(도 10의 예시에서는 높은 주파수 방향의 PRB 경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RB 그리드 정렬을 위한 NR sync raster에 대한 정보에 대한 일례로서 nominal sync raster와 sync raster(즉, SS BW의 중심 주파수 위치) 사이의 offset(즉, 도 10에서 offset#2)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은 관계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4는 채널 중심(channel center)를 기준으로 높은 주파수 방향(즉, + 방향)의 NR sync raster의 중심의 주파수 위치를 나타낸다. 수학식 4에서 SCS/2는 kHz 단위의 값이고, NR channel raster는 RB size의 정수배의 값으로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GHz 이상 또는 초과의 주파수 대역에서 RB size가 180kHz 인 경우, NR channel raster는 RB size의 정수배인 180kHz * k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NR channel raster * N은 nominal sync raster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B 그리드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15kHz SCS에 기초한 하나의 RB의 크기에 해당하는 180kHz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channel raster를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예시들에서 오프셋 값에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는 시스템 정보의 형태로(예를 들어, NR-PBCH, RMSI, OSI(other system information))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오프셋 값에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는 MAC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SS 블록 주파수 위치 시그널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예시적인 방법은 단말의 초기 셀 액세스 동작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110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NR-SS 및 NB-PBCH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단말은 nominal sync raster에 기초하여 NR-SS를 검출하고, NR-PBCH를 통하여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셀 액세스 과정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설정한 RB 그리드를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nominal sync raster를 기준으로 NR-SS에 대한 블라인드 서치 또는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하나의 nominal sync raster를 기준으로 RB 그리드와 정렬되는 NR-SS 주파수 위치 후보들을 가정하고, 각각의 후보들에 대해서 NR-SS 복호를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NR-SS 블라인드 복호를 위해서 가정하는 주파수 위치 후보들은 미리 정해진 개수 또는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nominal sync raster에 대해서 NR-SS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함으로써, 특정 nominal sync raster에 연관된 실제 NR sync raster를 기준으로 NR-SS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NR-PBCH 복호 및 MIB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125에서 기지국은 오프셋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셋 정보는 채널 중심 주파수 위치와 실제 sync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1), nominal sync raster와 실제 sync raster 주파수 위치(SS block 중심 PRB 경계)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2), 또는 CC(또는 BP) 중심 주파수 위치와 실제 sync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3)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오프셋 정보가 단계 S1110에서 NR-PBCH를 통해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단계 S1125는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오프셋 정보가 NR-PBCH를 통해서 제공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RMSI, OSI 등의 형태로 오프셋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1130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터 획득한 오프셋 정보에 기초하여 RB 경계 상에서 SS 블록의 실제 주파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계 S1120에서 단말은 자신이 검출한 NR-SS가 포함되는 SS 블록의 실제 주파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오프셋 정보에 기초하여 SS 블록의 실제 주파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SS 블록이 포함되는 CC(또는 BP)에 대한 설정 정보와, 상기 단계 S1130에서 결정한 SS 블록의 실제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CC(또는 BP)의 중심 주파수, 뉴머롤로지, 대역폭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SS 블록이 연관된 주파수 실제 PRB 인덱스 등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참조신호,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시그널링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1200)는 프로세서(1210), 안테나부(1220), 트랜시버(1230), 메모리(1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1211) 및 물리계층 처리부(1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1211)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215)는 물리(physical,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기지국 장치(1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2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230)는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40)는 프로세서(12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기지국 장치(12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장치(1200)의 프로세서(121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지국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0)의 상위계층 처리부(1211)는 오프셋 정보 생성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프셋 정보 생성부(1212)는 채널 중심 주파수 위치와 실제 sync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1), nominal sync raster와 실제 sync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2), 또는 CC(또는 BP) 중심 주파수 위치와 실제 sync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3)의 형태로 오프셋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프셋 정보는 NR-PBCH를 통한 시스템 정보, 또는 PDSCH 등을 통한 RMSI, OSI 등의 형태로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0)의 물리계층 처리부(1215)는 NR-SS 매핑부(1216), NR-PBCH 매핑부(1217)를 포함할 수 있다.
NR-SS 매핑부(1216)는 정해진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상에 NR-SS를 매핑하고 트랜시버(1230)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NR-PBCH 매핑부(1217)는 정해진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상에 NR-PBCH를 매핑하고 트랜시버(1230)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1250)는 프로세서(1260), 안테나부(1270), 트랜시버(1280), 메모리(12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1261) 및 물리계층 처리부(12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1261)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265)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단말 장치(125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27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28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90)는 프로세서(1260)의 연산 처리된 정보, 단말 장치(125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250)의 프로세서(126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단말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60)의 물리계층 처리부(1265)는 NR-SS 및 NR-PBCH 검출부(1266), 오프셋 결정부(1267), SS 블록 주파수 위치 결정부(1268)를 포함할 수 있다.
NR-SS 및 NR-PBCH 검출부(1266)는 nominal sync raster에 기초하여 NR-SS를 검출하고, NR-PBCH를 통하여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NR-SS 및 NR-PBCH 검출부(1266)는 각각의 nominal sync raster에 대해서 NR-SS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함으로써, 특정 nominal sync raster에 연관된 실제 NR sync raster를 기준으로 NR-SS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NR-PBCH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오프셋 결정부(1267)는 기지국으로부터 NR-PBCH, PDSCH 등을 통하여 MIB, RMSI, OSI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오프셋 정보로부터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오프셋 정보는, 채널 중심 주파수 위치와 실제 sync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1), nominal sync raster와 실제 sync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2), 또는 CC(또는 BP) 중심 주파수 위치와 실제 sync raster 주파수 위치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3)의 형태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SS 블록 주파수 위치 결정부(1268)는 기지국으로터 획득한 오프셋 정보에 기초하여 SS 블록의 실제 주파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NR-SS 및 NR-PBCH 검출부(1266)에 의해서 검출된 NR-SS가 포함되는 SS 블록의 실제 주파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오프셋 정보에 기초하여 SS 블록의 실제 주파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200) 및 단말 장치(1250)의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

Claims (42)

  1. 무선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복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블록들 중에서 제1 SS 블록을 수신하도록 하되, 상기 제1 SS 블록은 제1 동기 신호 및 제1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BCH는 상기 제1 SS 블록과 제1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그리드(grid) 간의 제1 서브캐리어(subcarrier) 오프셋과 관련된 값(value)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과 상기 제1 SS 블록의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RB 그리드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제1 RB 그리드의 상기 결정된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 중 하나 이상을 디코딩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SS 블록들은 상기 제1 SS 블록 및 제2 SS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SS 블록은 제2 동기 신호 및 제2 PBCH를 포함하고,
    상기 제2 PBCH는 상기 제2 SS 블록과 제2 RB 그리드 간의 제2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값을 지시하고, 및
    상기 제1 SS 블록과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간의 거리(distance)는 상기 제2 SS 블록과 상기 캐리어의 상기 중심 주파수 간의 거리와 상이한, 무선 사용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에 기초하여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도록 하되,
    상기 제1 SS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frequency bandwidth)은 복수의 PRB들의 총 주파수 대역폭들(total frequency bandwidths)에 대응하고, 및
    상기 복수의 PRB들의 개수(quantity)는 짝수인, 무선 사용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1 RB 그리드에 기초하여 PRB 인덱스를 결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PRB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신호, 상기 제어 채널 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자원들을 결정하도록 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은 서브캐리어들의 개수(quantity)로 표현되고, 및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은 0,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0,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서브캐리어들의 개수와 관련된 4비트 값으로 지시되는, 무선 사용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은 상기 제1 SS 블록의 상기 주파수 위치와 PRB의 주파수 위치 간의 오프셋을 지시하고, 및
    상기 PRB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상기 PRB의 경계(boundary)와 관련된, 무선 사용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 블록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동기 래스터(synchronization raster)와 관련된, 무선 사용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래스터는 명목상 동기 래스터(nominal synchronization raster)인, 무선 사용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동기 래스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신호 및 상기 제1 PBCH를 검출(detect)하도록 하고; 및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PBCH의 디코딩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을 확인(retrieve)하도록 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B 그리드 및 상기 제2 RB 그리드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사용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상기 캐리어 내의 복수의 동기 래스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S 블록의 중심의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S 블록들은 상기 캐리어 내에 위치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13. 무선 사용자 장치(wireless user device)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안테나;
    프로세서; 및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복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블록들 중에서 제1 SS 블록을 수신하도록 하되, 상기 제1 SS 블록은 제1 동기 신호 및 제1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BCH는 상기 제1 SS 블록과 제1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그리드(grid) 간의 제1 서브캐리어(subcarrier) 오프셋과 관련된 값(value)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 중에서 제2 SS블록을 수신하도록 하되, 상기 제2 SS 블록은 제2 동기 신호 및 제2 PBCH를 포함하고, 상기 제2 PBCH는 상기 제2 SS 블록과 제2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그리드(grid) 간의 제2 서브캐리어(subcarrier) 오프셋과 관련된 값(value)을 지시하고;
    상기 제1 RB 그리드의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제1 제어 채널 또는 제1 데이터 채널 중 하나 이상을 디코딩하도록 하되, 상기 제1 RB 그리드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 및 상기 제1 SS 블록의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및
    상기 제2 RB 그리드의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제2 제어 채널 또는 제2 데이터 채널 중 하나 이상을 디코딩하도록 하되, 상기 제2 RB 그리드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 및 상기 제2 SS 블록의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사용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상기 제1 SS 블록과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간의 거리(distance)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상기 제2 SS 블록과 상기 캐리어의 상기 중심 주파수 간의 거리와 상이한, 무선 사용자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제1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관련되고,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상이한 제2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관련된, 무선 사용자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제1 SS 버스트 전송 구간(SS burst transmission period)과 관련되고,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SS 버스트 전송 구간과 상이한 제2 SS 버스트 전송 구간과 관련된, 무선 사용자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에 기초하여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도록 하되,
    상기 제1 SS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frequency bandwidth)은 복수의 PRB들의 총 주파수 대역폭들(total frequency bandwidths)에 대응하고, 및
    상기 복수의 PRB들의 개수(quantity)는 짝수인, 무선 사용자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1 RB 그리드에 기초하여 PRB 인덱스를 결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PRB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신호, 상기 제1 제어 채널 또는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자원들을 결정하도록 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은 서브캐리어들의 개수(quantity)로 표현되고, 및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은 0,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0,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서브캐리어들의 개수와 관련된 4비트 값으로 지시되는, 무선 사용자 장치.
  21.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은 상기 제1 SS 블록의 상기 주파수 위치와 PRB의 주파수 위치 간의 오프셋을 지시하고, 및
    상기 PRB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상기 PRB의 경계(boundary)와 관련된, 무선 사용자 장치.
  22.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 블록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제1 동기 래스터(synchronization raster)와 관련되고, 및
    상기 제2 SS 블록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제2 동기 래스터와 관련되는, 무선 사용자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래스터는 명목상 동기 래스터(nominal synchronization raster)인, 무선 사용자 장치.
  2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동기 래스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신호 및 상기 제1 PBCH를 검출(detect)하도록 하고; 및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PBCH의 디코딩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을 확인(retrieve)하도록 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2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BCH의 MIB는 시스템 프레임 넘버(system frame number)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을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2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B 그리드는 제1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RB 그리드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상이한 제2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사용자 장치.
  2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은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가,
    주파수 대역폭 내의 복수의 동기 래스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S 블록의 중심의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28. 무선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복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블록들 중에서 제1 SS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SS 블록은 제1 동기 신호 및 제1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BCH는 상기 제1 SS 블록과 제1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그리드(grid) 간의 제1 서브캐리어(subcarrier) 오프셋과 관련된 값(value)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SS 블록들 중에서 제2 SS블록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SS 블록은 제2 동기 신호 및 제2 PBCH를 포함하고, 상기 제2 PBCH는 상기 제2 SS 블록과 제2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그리드(grid) 간의 제2 서브캐리어(subcarrier) 오프셋과 관련된 값(value)을 지시하고;
    상기 제1 RB 그리드의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제1 제어 채널 또는 제1 데이터 채널 중 하나 이상을 디코딩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RB 그리드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 및 상기 제1 SS 블록의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및
    상기 제2 RB 그리드의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제2 제어 채널 또는 제2 데이터 채널 중 하나 이상을 디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RB 그리드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 및 상기 제2 SS 블록의 주파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 블록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간의 거리(distance)는 제2 SS 블록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상기 캐리어의 상기 중심 주파수 간의 거리와 상이한, 방법.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제1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관련되고,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상이한 제2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관련된, 방법.
  31.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제1 SS 버스트 전송 구간(SS burst transmission period)과 관련되고,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SS 버스트 전송 구간과 상이한 제2 SS 버스트 전송 구간과 관련된, 방법.
  32.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에 기초하여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SS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frequency bandwidth)은 복수의 PRB들의 총 주파수 대역폭들(total frequency bandwidths)에 대응하고, 및
    상기 복수의 PRB들의 개수(quantity)는 짝수인, 방법.
  33.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B 그리드에 기초하여 PRB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PRB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신호, 상기 제1 제어 채널 또는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자원들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34.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은 서브캐리어들의 개수(quantity)로 표현되고, 및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은 0,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0,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서브캐리어들의 개수와 관련된 4비트 값으로 지시되는, 방법.
  36.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은 상기 제1 SS 블록의 상기 주파수 위치와 PRB의 주파수 위치 간의 오프셋을 지시하고, 및
    상기 PRB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상기 PRB의 경계(boundary)와 관련된, 방법.
  37.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 블록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제1 동기 래스터(synchronization raster)와 관련되고, 및
    상기 제2 SS 블록의 상기 주파수 위치는 제2 동기 래스터와 관련되는, 방법.
  38. 제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래스터는 명목상 동기 래스터(nominal synchronization raster)인, 방법.
  39. 제28 항에 있어서,
    동기 래스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신호 및 상기 제1 PBCH를 검출(detect)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PBCH의 디코딩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을 확인(retrieve)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BCH의 MIB는 시스템 프레임 넘버(system frame number)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오프셋과 관련된 상기 값을 포함하는, 방법.
  41.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B 그리드는 제1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및
    상기 제2 RB 그리드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상이한 제2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42. 제28 항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폭 내의 복수의 동기 래스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S 블록의 중심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124401A 2017-06-15 2022-09-29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571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424A KR102643632B1 (ko) 2017-06-15 2023-08-23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75778 2017-06-15
KR1020170075778 2017-06-15
KR1020220004958A KR102451082B1 (ko) 2017-06-15 2022-01-13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958A Division KR102451082B1 (ko) 2017-06-15 2022-01-13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0424A Division KR102643632B1 (ko) 2017-06-15 2023-08-23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263A true KR20220139263A (ko) 2022-10-14
KR102571581B1 KR102571581B1 (ko) 2023-08-28

Family

ID=6500654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742A KR102352364B1 (ko) 2017-06-15 2017-11-17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0220004958A KR102451082B1 (ko) 2017-06-15 2022-01-13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0220124401A KR102571581B1 (ko) 2017-06-15 2022-09-29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0230110424A KR102643632B1 (ko) 2017-06-15 2023-08-23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0240028922A KR20240037902A (ko) 2017-06-15 2024-02-28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742A KR102352364B1 (ko) 2017-06-15 2017-11-17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0220004958A KR102451082B1 (ko) 2017-06-15 2022-01-13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0424A KR102643632B1 (ko) 2017-06-15 2023-08-23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0240028922A KR20240037902A (ko) 2017-06-15 2024-02-28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10999118B2 (ko)
EP (1) EP3639583A4 (ko)
KR (5) KR102352364B1 (ko)
CN (2) CN1109994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8631B (zh) * 2016-01-26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识别同步信息的方法、通信方法和装置、可读存储介质
KR102352364B1 (ko) * 2017-06-15 2022-01-18 주식회사 아이티엘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CA3066681C (en) 2017-08-11 2023-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CN109714141B (zh) 2017-08-11 2020-0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理资源块prb网格的指示方法及设备
KR20240001287A (ko) * 2017-08-23 2024-01-03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동기화 신호 블록 선택
US11363493B2 (en) * 2017-08-23 2022-06-14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s in wireless systems
US11323971B2 (en) * 2017-09-06 2022-05-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11178012B2 (en) * 2017-09-06 2021-11-16 Apple Inc. Configuration schemes for secondary cell, bandwidth part and physical resource block indexing
US11751147B2 (en) * 2017-09-08 2023-09-0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ynchronization signal scanning based at least in part on a synchronization raster
EP3515123B1 (en) 2017-11-17 2022-03-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hannel and device therefor
US11050598B2 (en) * 2017-11-28 2021-06-29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information signaling in a 5G network
KR102429264B1 (ko) * 2017-12-06 2022-08-0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CN109936430B (zh) * 2017-12-18 2024-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接收方法及设备
US20200221405A1 (en) * 2019-01-04 2020-07-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ounding reference signal for uplink-based multi-cell measurement
US10834690B2 (en) 2019-02-01 2020-11-10 Qualcomm Incorporated Staggered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in frequency sub-bands for beamformed wireless communications
AR118002A1 (es) * 2019-02-04 2021-09-08 Ericsson Telefon Ab L M Emplazamiento de portador de lte m con banda de protección en banda nr
WO2020165487A1 (en) * 2019-02-14 2020-08-20 Nokia Technologies Oy Resource configuration for a bandwidth part for a wireless network
CN115664616A (zh) * 2019-04-02 2023-01-3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20220191810A1 (en) * 2019-05-14 2022-06-16 Apple Inc. Channel raster and synchronization signal raster for nr unlicensed spectrum
US11412514B2 (en) * 2019-11-22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ubcarrier offset in unlicensed spectrum
CN112511987B (zh) * 2020-03-05 2024-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传输方法和装置、信息确定方法和装置、电子设备
US11700589B2 (en) 2020-06-05 2023-07-11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transmissions in non-terrestrial networks
US20220078838A1 (en) * 2020-09-09 2022-03-10 Qualcomm Incorporated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forwarding, a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management by wireless forwarding node
CN115462152A (zh) * 2021-02-23 2022-12-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同步信号的确定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20230007626A1 (en) * 2021-07-01 2023-01-05 Nokia Technologies Oy Bli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detection for narrowband new radi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505A1 (ko) * 2012-12-26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밴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70064685A1 (en) * 2015-08-26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7039373A1 (en) * 2015-09-02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center frequency offset for narrowband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1491A1 (en) * 2012-05-11 2013-11-14 Shafi Bashar Scheduling synchronization signals in a new carrier type
WO2013180518A1 (ko) * 2012-05-31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843382B (zh) * 2012-09-24 2018-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广播消息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EP3429295B1 (en) * 2013-08-07 2019-10-23 Sun Patent Trust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4704898B (zh) * 2013-09-27 2018-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11212760B2 (en) * 2015-09-24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synchronization channel design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WO2018048187A1 (en) * 2016-09-06 2018-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source block structure for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888311B (zh) * 2016-09-30 2019-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处理方法、装置和设备
US10512050B2 (en) * 2016-10-07 2019-12-17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and broadcast channel design with flexible bandwidth allocations
US10499371B2 (en) * 2016-11-03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flexible data transmissions and receptions in next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WO2018082018A1 (zh) * 2016-11-04 2018-05-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号接收方法及装置
WO2018127833A1 (en) * 2017-01-06 2018-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umerology combination sets for multi-carrier operation
EP3547583B1 (en) * 2017-01-07 2023-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erminal resend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10425264B2 (en) * 2017-01-09 2019-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0568102B2 (en) * 2017-02-23 2020-02-18 Qualcomm Incorporated Usage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index in new radio
CN108633046B (zh) * 2017-03-24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和装置
KR101975579B1 (ko) * 2017-04-14 201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SG11201910065WA (en) * 2017-04-28 2019-11-28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3602853B1 (en) * 2017-05-02 2022-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initial access in next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JP7068282B2 (ja) * 2017-05-02 2022-05-1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US10897743B2 (en) * 2017-06-04 2021-01-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KR102352364B1 (ko) * 2017-06-15 2022-01-18 주식회사 아이티엘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750466B2 (en) * 2017-06-16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RS) configuration and transmission from serving and neighbor cell for mobility
WO2019029809A1 (en) * 2017-08-10 2019-02-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MISSION DEVICE, RECEIV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CN110430029B (zh) * 2017-08-11 2020-11-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US11337170B2 (en) * 2017-10-02 2022-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47008B2 (en) * 2017-11-15 2021-10-12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physical broadcast channel for new radio
CN109936430B (zh) * 2017-12-18 2024-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接收方法及设备
US10728079B2 (en) * 2018-01-09 2020-07-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source grid offset indication in mixed numerologies
CN110035493B (zh) * 2018-01-12 2022-04-1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指示、确定方法、终端及基站
EP3753191A1 (en) * 2018-02-16 2020-12-23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hysical layer transmission of paging and broadcasted system information
US10886993B2 (en) * 2018-03-22 2021-01-05 Apple Inc. Inter-cell beam management
US11160050B2 (en) * 2018-03-28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arge subcarrier spacing for SS/PBCH block
BR112020022869A2 (pt) * 2018-05-11 2021-02-23 Ntt Docomo, Inc. terminal de usuário e método de radiocomunicação
CN115484683A (zh) * 2018-09-05 2022-12-1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15428577A (zh) * 2021-01-15 2022-12-02 Lg电子株式会社 用于执行信道接入过程的方法和用于该方法的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505A1 (ko) * 2012-12-26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밴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70064685A1 (en) * 2015-08-26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7039373A1 (en) * 2015-09-02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center frequency offset for narrowband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7370 *
3GPP R1-170919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99118B2 (en) 2021-05-04
CN110999428B (zh) 2022-09-20
KR20230127955A (ko) 2023-09-01
KR20240037902A (ko) 2024-03-22
CN115442882A (zh) 2022-12-06
US20210218613A1 (en) 2021-07-15
US11438209B2 (en) 2022-09-06
EP3639583A1 (en) 2020-04-22
KR102643632B1 (ko) 2024-03-05
US20190028315A1 (en) 2019-01-24
CN110999428A (zh) 2020-04-10
KR20220012958A (ko) 2022-02-04
KR20180136868A (ko) 2018-12-26
US20230396481A1 (en) 2023-12-07
KR102352364B1 (ko) 2022-01-18
EP3639583A4 (en) 2021-04-07
US20220345350A1 (en) 2022-10-27
KR102571581B1 (ko) 2023-08-28
KR102451082B1 (ko) 2022-10-06
US11777780B2 (en)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082B1 (ko)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CN11087037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处理多个参数集的方法和设备
US11729703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US11432286B2 (en) Methods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ser data on a carrier
CN107580791B (zh) 用于非授权频谱上的部分子帧传输和广播信道的方法和装置
KR102040167B1 (ko) 무선 시스템용 시그널링 구성
JP2019145869A (ja)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