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913A -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personal transportation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personal transpor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913A
KR20220138913A KR1020210044688A KR20210044688A KR20220138913A KR 20220138913 A KR20220138913 A KR 20220138913A KR 1020210044688 A KR1020210044688 A KR 1020210044688A KR 20210044688 A KR20210044688 A KR 20210044688A KR 20220138913 A KR20220138913 A KR 20220138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operation control
control means
key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5750B1 (en
Inventor
김희태
Original Assignee
(주)위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넥트 filed Critical (주)위넥트
Priority to KR102021004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750B1/en
Publication of KR2022013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9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7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6Power supply in the remote k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3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viding power to equipment other than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a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which can perform unlocking by authenticating a user with an unlock code while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of a locking device through a smart key that is inserted and detach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device mounted on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heft of a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includes a locking means, a locking device, and a smart key.

Description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personal transportation}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personal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이동수단에 장착된 잠금 장치에 대응되어 삽입 탈착 가능한 스마트 키를 통해 상기 잠금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면서 해제 코드로 사용자를 인증하여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안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release code while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through a smart key that can be inserted and detached corresponding to a locking device mounted on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to perform unlocking by authenticating the user.

자동차 등으로 이동시 교통 체증으로 인해 목적지 도착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기에 근거리 이동시에는 오토바이, 킥보드, 자전거 등 다양한 개인이동수단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When moving by ca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rrival time of the destination due to traffic jams, so the use of various personal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motorcycles, kickboards, and bicycles, is increasing for short-distance travel.

특히, 최근 탄소배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이는 동시에 건강 증진을 위해 자전거 또는 킥보드 등을 교통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In particular, various policies and measures have been proposed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carbon emissions and use bicycles or kickboards as means of transportation to improve health.

다양한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인기가 늘어남에 따라 보다 가볍고 동작 효율성을 높이는 고가의 개인이동수단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As the popularity of various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increases, a variety of lighter and more expensiv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that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have been released, and 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for preventing theft accidents have been proposed.

종래 단순한 열쇠 방식의 기계적 잠금 장치들의 경우, 열쇠 잠금을 해제시키는 다양한 해킹 도구들이 개발되어 도난 사고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simple key-type mechanical locks, various hacking tools for unlocking the key have been developed, so it is difficult to ensure safety from theft accidents.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전자적 잠금 장치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적 잠금 장치들의 경우, 이를 제공하는 보관 스테이션이 배치된 장소에서만 제한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lectronic locking devices have been proposed. In the case of such electronic locking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used limitedly only at a place where a storage station providing the same is disposed.

또는 개인이동수단 자체에 장착되는 전자적 잠금 장치들도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들의 경우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잠금 장치를 해제시키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허나 전자적 잠금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가 방전되면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잠금 장치를 해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Alternatively, electronic locking devices mounted on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themselves have been proposed, and in the case of these devices, a function of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s supported. However, when the battery built into the electronic lock is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ck cannot be releas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특히 개인이동수단에 장착된 전자적 잠금 장치의 내장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되는데, 실외에 보관하는 자전거 등 개인이동수단의 보관 특성 상 전자적 잠금 장치의 충전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the built-in battery of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mounted on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needs to be charged frequentl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charge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due to the storag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bicycle stored outdoors.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4567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5672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094857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48573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6895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895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쇠 방식의 기계적 잠금 장치들의 안전성 문제를 해소하고자 전자적 잠금 장치를 통해 보안성이 강화된 개인이동수단의 도난 방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solve the safety problem of key-type mechanical locks, a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with enhanced security through an electronic lock is proposed. want to

특히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를 위한 전자적 잠금 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전거 등의 개인이동수단을 실외 보관함에 따라 배터리 충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며, 나아가서 개인이동수단을 장기간 미사용 방치시에 전자적 잠금 장치의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어 다시 충전하거나 배터리 교체시까지 전자적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할 수 없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to prevent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it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battery is not easy to charge as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bicycles are stored outdoo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electronic lock cannot be unlocked until the battery of the lock is completely discharged and the battery is recharged or the battery is replac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의 일실시예는, 개인이동수단의 바퀴 또는 핸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 수단과; 상기 개인이동수단에 장착되며 스마트 키가 장착되는 키 탈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키의 장착시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스마트 키에 보유된 해제 코드를 보유된 인증 코드와 대비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잠금 수단의 잠금과 해제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 및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키 탈착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동작 제어 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해제 코드를 제공하는 스마트 키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ing means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 wheel or a handle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 key detachable unit mounted on the personal moving means and mounted with a smart key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when the smart key is mounted, and perform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unlock code held in the smart key with the retaine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lock a locking device comprising an operation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means; and a smart key that can be mounted on the key detachable unit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supplies power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provides a release c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보유된 인증 코드와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추출된 해제 코드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의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수단의 잠금과 해제를 동작시키는 잠금 수단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ration control means includes: an authentication unit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a retained authentication code and a release code extracted from the smart key; a locking means control unit for operating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ing means based on the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or; and a power supply receiving power from the smart key.

일례로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키 탈착부는, 상기 스마트 키의 형태에 대응되어 상기 스마트 키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삽입 가능한 키 삽입 공간; 상기 키 삽입 공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키의 상기 키 삽입 공간 장착시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입력 단자; 및 상기 키 삽입 공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키의 상기 키 삽입 공간 장착시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해제 코드를 제공받는 데이터 수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key detachable uni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may include a key inser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mart key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mart key can be inserted; a power input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key insertion space to receive power from the smart key when the key insertion space of the smart key is mounted; and a data receiving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key insertion space to receive a release code from the smart key when the smart key is mounted in the key insertion space.

또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전원부는, 내장 배터리를 포함하여 상기 내장 배터리의 전원을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키의 장착시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내장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including a built-in battery, provides power to the built-in battery, and may receive power from the smart key when the smart key is mounted to charge the built-in battery.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ration control means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a GPS unit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나아가서 상기 스마트 키는,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여 외부 전원으로 충전하고 상기 동작 제어 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해제 코드를 보유하는 해제 코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mart key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charging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including an auxiliary battery and supplying power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d an unlock code storage unit for holding the unlock code.

일례로서 상기 스마트 키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키 탈착부에 삽입 가능한 몸체; 상기 키 탈착부로 삽입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전원 입력 단자에 대응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 및 상기 키 탈착부로 삽입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테이터 수신 단자에 대응되어 해제 코드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mart key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a body insertable into a key detachable par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 power supply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key detachable part, the power supply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d supplying power; and a data providing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inserted into the key detachable part and providing a release code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eiving terminal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의 일실시예는, 동작 제어 수단이 스마트 키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 단계;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상기 스마트 키에 보관된 해제 코드를 추출하는 해제 코드 추출 단계;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보유된 인증 코드와 상기 해제 코드를 대비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인증 결과를 기초로 잠금 수단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step of receiving power from the smart key as the operation control means is equipped with a smart key; a release code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extracts a release code stored in the smart key; an authentication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compares the retaine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lease code to perform authentication; and an unlocking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releases a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일례로서 상기 전원 공급 단계는,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동작 온(ON)될 수 있다.As an example, in the power supply step, the operation control means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from the smart key.

또는 상기 전원 공급 단계는,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내장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power supply step, the operation control means may charge the built-in battery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from the smart key.

나아가서 상기 인증 단계는,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 알람을 출력하고 설정된 외부 단말기로 경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uthentication step may output a warning alarm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and transmit warning information to a set external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상기 스마트 키의 분리에 따라 상기 잠금 수단을 동작시켜 잠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Preferably, the operation control means operates the lock mean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of the smart key to perform the lock.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이동수단 잠금 장치에 간편하게 스마트 키를 장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개인이동수단의 잠금 해제와 잠금 수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imply mounting or detaching the smart key to the locking device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unlocking and locking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can be easily performed.

특히, 스마트 키의 장착시 전자적 잠금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자적 잠금 장치의 배터리 충전 또는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when the smart key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easy to charge or replace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나아가서 스마트 키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절도 행위로 추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로 위치 정보와 경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smart key and theft is estimated, location information and warning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ft of expensiv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가 자전거에 장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의 동작 제어 수단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의 동작 제어 수단에 대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의 스마트 키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에서 스마트 키를 통한 전원 공급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에서 스마트 키를 통한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에서 외부 단말기를 통한 인증 코드를 변경하는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icycle.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thef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of the personal movement means thef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smart key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power supply through a smart key in 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through a smart key in 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changing an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in 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below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m.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개인이동수단에 장착된 잠금 장치에 대응되어 삽입 탈착 가능한 스마트 키를 통해 상기 잠금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면서 해제 코드로 인증하여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방안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of performing lock release by authenticating with a release code while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through a smart key that can be inserted and detached corresponding to a locking device mounted on a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본 발명은 오토바이, 자전거, 킥보드 등의 다양한 개인이동수단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이동수단은 기계적 구동장치, 전자적 구동장치, 수동 구동장치 등을 포함하여 개인이 이동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motorcycles, bicycles, and kickboards. Here,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means various devices that an individual can use as a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a mechanical drive device, an electronic drive device, a manual drive device, and the like.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이동수단의 일례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가 자전거에 장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As an example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icycle.

본 발명은 잠금 장치와 잠금 장치의 잠금 수행과 잠금 해제를 동작시키는 스마트 키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ing device and a smart key for performing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잠금 장치는 자전거(10)에 장착되며, 잠금 수단(100)과 동작 제어 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is mounted on the bicycle 10 , and may include a locking means 100 and an operation control means 200 .

잠금 수단(100)은 자전거의 바퀴 또는 핸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앞바퀴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바퀴살들 사이를 통과하는 걸림대의 동작에 따라 바퀴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자전거의 구동 또는 조작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잠금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10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wheel or handle of the bicycle, and is mounted on the frame supporting the front wheel as shown in FIG. A structure capable of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may be applied.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handlebar of the bicycle, and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locking means for limiting the driving or operation of the bicycle may be applied.

동작 제어 수단(200)은 잠금 수단(100)의 잠금 수행과 잠금 해제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동작 제어 수단(200)은 잠금 수단(100)의 동작을 전자적 신호로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동작 제어 수단(200)으로부터 길이가 조절되는 와이어 등을 통해 기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controls the locking performance and unlocking of the locking means 100 . To this end,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100 with an electronic signal or may be mechanically controlled through a wire whose length is adjusted from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

동작 제어 수단(200)은 스마트 키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may control its operation by a smart ke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 장치는 다양한 개인이동수단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마트 키를 통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various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nd its operation can be controlled through a smart key. An example is shown.

동작 제어 수단(200)의 몸체(210) 상에는 그 외면에 스마트 키(300)가 삽입 또는 인출되어 탈착 가능한 키 탈착부(220)가 마련된다.On the body 21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the smart key 300 is inserted or withdrawn on the outer surface, and a detachable key detachable unit 220 is provided.

키 탈착부(220)에는 스마트 키(300)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삽입 가능한 키 삽입 공간이 마련되며, 키 삽입 공간의 내부 측면에는 스마트 키(300)를 키 삽입 공간에 장착시 스마트 키(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입력 단자(221)가 구비된다. 전원 입력 단자(221)는 + 단자(221a)와 - 단자(22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key insertion unit 220 is provided with a key insertion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mart key 300 can be inserted, and the smart key 3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key insertion space when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in the key insertion space. ) is provided with a power input terminal 221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input terminal 221 may include a + terminal 221a and a - terminal 221b.

또한 키 삽입 공간의 내부 측면에는 스마트 키(300)의 장착시 스마트 키(300)로부터 해제 코드를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 수신 단자(225)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data receiving terminal 225 for receiving a release code from the smart key 300 when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key insertion space.

아울러 동작 제어 수단(200)의 몸체(210)에는 작동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1), 조작 버튼(212), 음향 출력 스피커(21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21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may include a display 211 for providing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 operation button 212 , a sound output speaker 213 , and the like.

스마트 키(300)는 동작 제어 수단(200)의 키 탈착부(220)에 마련된 키 삽입 공간의 형태에 적어도 일부가 대응되는 몸체(310)를 가진다. 키 탈착부(220)의 키 삽입 공간에 스마트 키(300)의 전체가 완전히 삽입되거나 일부만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smart key 300 has a body 310 at least partial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key insertion space provided in the key detachment unit 22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 The whole of the smart key 300 may be completely inserted or only a part of the smart key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space of the key detachable unit 220 , which may be appropriately deformed as necessary.

상기 도 2에서는 스마트 키(300)의 몸체(310)를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박스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스마트 키(300)의 몸체는 카드 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휴대 용이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body 310 of the smart key 300 is shown in a box shape having a certain thickness in FIG. 2 , the body of the smart key 300 may be variously deformed such as a card shape to promote portability.

스마트 키(300)를 키 탈착부(220)에 삽입 장착시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돌기와 걸림홈 또는 걸림턱 등이 마련될 수도 있고, 또한 탄성력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 키(300)를 키 탈착부(22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키기 위한 배출구성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When the smart key 300 is inserted into the key detachable unit 220 and mounted, a locking protrusion, a locking groove, or a locking jaw, etc. for maintaining a stable mounting state may be provided, and the smart key 300 may be locked using an elastic force. A discharge configuration for easily withdrawing from the detachable unit 220 may be provided.

키 탈착부(220)로 삽입되는 스마트 키(300)의 몸체(310) 일측에는 키 탈착부(220)의 전원 입력 단자(221)에 대응되는 전원 공급 단자(321)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 단자(321)는 + 단자(321a)와 - 단자(321b)를 포함할 수 있다.A power supply terminal 321 corresponding to the power input terminal 221 of the key detachable unit 2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310 of the smart key 300 inserted into the key detachable unit 220 . The power supply terminal 321 may include a + terminal 321a and a - terminal 321b.

또한 스마트 키(300)의 몸체(310) 일측에는 키 탈착부(220)에 스마트 키(300)를 장착시 해제 코드를 동작 제어 수단(200)으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제공 단자(325)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data providing terminal 32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310 of the smart key 300 to provide a release code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when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on the key detachable unit 220 . .

상기 도 2에서는 키 탈착부(220)의 전원 입력 단자(221), 데이터 수신 단자(225) 및 스마트 키(300)의 전원 공급 단자(321), 데이터 제공 단자(325)를 서로 대응되어 접촉시 도통되는 전극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황에 따라서 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가령 어느 한 측은 USB 단자로 형성되고 다른 한 측은 USB 포트로 형성하여 키 탈착부(220)에 스마트 키(300)의 장착시 USB 단자가 USB 포트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FIG. 2 , the power input terminal 221 , the data receiving terminal 225 of the key detachable unit 220 ,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321 and the data providing terminal 325 of the smart key 300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though it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conductive electrode, it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For example, one side is formed as a USB terminal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as a USB port, so that when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on the key detachment unit 220 , the USB terminal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USB port.

아울러 스마트 키(300)는 보조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키 탈착부(220)에 스마트 키(330)를 장착시 전원 공급 단자(321)를 통해 동작 제어 수단(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smart key 300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not shown), and when the smart key 330 is mounted on the key detachable unit 220 , 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321 . do.

스마트 키(300)의 몸체(310)에는 보조 배터리의 잔량을 시현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부(311)가 마련되며, 또한 스마트 키(300)의 몸체(31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3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충전 단자는 USB 포트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충전 단자(312)를 USB 포트로 구비시에 이를 통신 포트로 활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마트 키(300)에 보관된 해제 코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The body 310 of the smart key 300 is provided with a remaining battery level indicator 311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body 310 of the smart key 300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A charging terminal 312 for doing so is provided. Here, the charging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 USB port. 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terminal 312 is provided as a USB port, i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by using it as a communication port, and the release code stored in the smart key 300 can be changed through this.

이하에서는 동작 제어 수단(200)과 스마트 키(30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and the smart key 300 will be described through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의 동작 제어 수단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of the personal movement means thef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작 제어 수단(200)은, 기본적으로 잠금 수단 제어부(230), 인증부(240), 전원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GPS부(260), 통신부(270), 조작부(280), 중앙 제어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may basically include a locking unit control unit 230 , an authentication unit 240 , a power supply unit 250 , and the like, and additionally a GPS unit 260 , a communication unit 270 , and an operation unit as necessary. 280 , a central control unit 290 , and the like.

잠금 수단 제어부(230)는 인증부(240)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개인이동수단의 바퀴 또는 핸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근 수단(100)을 작동시키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 수단 제어부(230)가 잠금 수단(100)의 작동을 전자적 신호로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길이가 조절되는 와이어 등을 통해 기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The locking means control unit 230 operates the locking means 100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wheels or handles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unit 240.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means control unit 230 is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100 may be controlled by an electronic signal or may be controlled mechanically through a wire whose length is adjusted.

인증부(240)는 인증 코드를 보유하고 스마트 키(300)로부터 추출된 해제 코드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한다. The authentication unit 240 holds the authentication code and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unlock code extracted from the smart key 300 .

일례로서 동작 제어 수단(200)에 스마트 키(300)가 장착되면 스마트 키(300)에 보관된 해제 코드를 추출하여 인증 코드와 대비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인가된 사용자인지 또는 미인가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 아울러 인증부(240)는 인증 결과를 중앙 제어부(290)로 전달하여 인증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As an example, when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on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the unlock code stored in the smart key 300 is extracted and compared with the authentication cod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or an unauthorized user .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unit 24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290 to support subsequent actions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전원부(250)는 스마트 키(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동작 제어 수단(200)의 각 구성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제공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receives power from the smart key 300 and provides power so that each componen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operates.

일례로서, 동작 제어 수단(200)에는 배터리 등의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 키(300)의 장착시 전원부(250)를 통해 스마트 키(3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동작 제어 수단(200)이 동작 온(ON) 상태로 자동 활성화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operates as power is supplied from the smart key 30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50 when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in a state where a means for supplying power such as a battery is not provided. The control means 200 may be automatically activated in an operation-on state.

또는 전원부(250)는 내장 배터리를 보유하여 내장 배터리를 통해 동작 제어 수단(2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스마트 키(300)의 장착시 스마트 키(3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으로 내장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250 holds the built-in battery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through the built-in battery. It can also be recharged.

GPS부(260)는 현재 개인이동수단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해 현재 개인이동수단의 위치를 검색하는 경우 GPS부(260)는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인증부(240)의 인증 결과에 따라 미인가된 사용자일 경우에 개인이동수단 도난 경보를 위해 현재 개인이동수단의 위치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 GPS unit 260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For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the current location of a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the GPS unit 260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r in the case of an unauthorized user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or 240 , the individu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may be provided to an external terminal to alert the theft of the transportation means.

통신부(270)는 외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와 동작 제어 수단(200) 간에 통신 채널을 형성시키거나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로 단발적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70 may support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270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er's external terminal and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or transmit a one-shot message to a preset external terminal of the user.

조작부(280)는 동작 제어 수단(200)의 몸체에 구비된 버튼,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스피커 등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조작 신호를 입력받거나 동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280 may include a button, a display, a sound output speaker, etc. provided in the body of the motion control means 200 , and may receive a manipulation signal or provide motion information through this.

그리고 중앙 제어부(290)는 동작 제어 수단(200)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And the central control unit 290 controls each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 제어 수단(200)과 관련하여 도 4에 도시된 구현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 control mean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중앙 제어부(290)로는 MCU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보급되는 MCU 또는 동작 제어 수단(20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해 최적화된 개별적인 MCU가 적용될 수도 있다. MCU를 중심으로 동작 제어 수단(200)의 각 구성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제어되면서 동작된다.An MCU may be applied as the central control unit 290 , and an individual MCU optimized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of the generally popular MCU or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may be applied. Each componen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is operated while being mutually organically controlled with the MCU as the center.

GPS부(260)는 GPS 모듈 형태로 구현되어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부(270)에는 3G, 4G, 5G 등의 다양한 모바일 통신이나 와이파이, 와이브로,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기 위한 각각의 모듈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GPS unit 26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PS module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270 includes various mobile communications such as 3G, 4G, 5G,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WiBro, and Bluetooth, respectively. A module of may be optionally provided.

잠금 수단 제어부(230)는 잠금 컨트롤러(231)을 포함하여 MCU의 제어를 통해 전자적 또는 기계적으로 잠금 수단(100)의 잠금 수행 또는 잠금 해제를 작동시킨다.The locking means controller 230 includes the locking controller 231 to electronically or mechanically operate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 locking means 100 through the control of the MCU.

조작부(280)는 조작 버튼(281), 디스플레이(미도시), 부져(285) 등을 포함하여 조작 정보를 입력받고 동작 상태를 시현하거나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280 may receive manipul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manipulation button 281 , a display (not shown), a buzzer 285 , and the like, and display an operating state or output the sound.

전원부(250)는 내장 배터리(251)와 내장 배터리(251)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기(255)를 포함하여 스마트 키(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장 배터리(251)를 충전하고 내장 배터리(251)의 전원을 동작 제어 수단(200)의 각 구성들에 제공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receives power from the smart key 300 including the built-in battery 251 and the battery charger 255 for charging the built-in battery 251 to charge the built-in battery 251 and the built-in battery 251 ) to provide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

인증부(240)는 디코더 IC(241)를 포함하여 스마트 키(300)로부터 추출되는 해제 코드를 복호화하고 기보유된 인증 코드와 대비하여 인증을 수행한다.The authentication unit 240 decrypts the unlock code extracted from the smart key 300 including the decoder IC 241 and performs authentication in comparison with a pre-owned authentication code.

다음으로 도 5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의 스마트 키에 대한 일실시예를 살펴본다.Next, an embodiment of the smart key of the device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스마트 키(300)는 전원 공급부(330)와 해제 코드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key 300 may include a power supply 330 and a release code storage 250 .

전원 공급부(330)는 보조 배터리와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원 공급부(330)는 동작 제어 수단(200)에 스마트 키(300)의 장착시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동작 제어 수단(200)으로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330 may include an auxiliary battery and a charger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by receiving external power.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330 supplies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when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on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

해제 코드 저장부(250)는 동작 제어 수단(200)으로 제공할 해제 코드를 보유한다. 여기서 해제 코드는 암호화되어 보관될 수 있다. 동작 제어 수단(200)에 스마트 키(300)의 장착시 동작 제어 수단(200)은 해제 코드 저장부(250)에 저장된 해제 코드를 추출하여 복호화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unlock code storage unit 250 holds a release code to be provided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 Here, the unlock code may be encrypted and stored. When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on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extracts and decrypts the release code stored in the release code storage unit 250, and based on this, the user can be authenticated. .

나아가서 스마트 키(300)는 통신 포트(미도시)를 구비하여 외부 단말기와 통신 포트로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단말기를 통해 해제 코드 저장부(350)에 저장된 해제 코드에 대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mart key 300 may have a communication port (not shown)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port, and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 release code stored in the release code storage unit 350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의 실시예들을 함께 참조하여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by using the anti-theft device for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o, let's take a look at how to prevent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은 개략적으로 동작 제어 수단(200)에 스마트 키(300)가 장착됨에 따라 동작 제어 수단(200)이 스마트 키(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 단계; 동작 제어 수단(200)이 스마트 키(300)에 보관된 해제 코드를 추출하는 해제 코드 추출 단계; 동작 제어 수단(300)이 보유된 인증 코드와 스마트 키(300)에서 추출한 해제 코드를 대비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동작 제어 수단(200)이 잠금 수단(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ally includes a power supply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receives power from the smart key 300 as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on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 a release code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extracts the unlock code stored in the smart key 300; an authentication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300 compares the retaine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unlock code extracted from the smart key 300 to perform authentication; and an unlocking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releases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100 .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A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shown in FIGS. 6 to 9 .

개인이동수단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키(300)를 개인이동수단에 장착된 동작 제어 수단(200)의 키 탈착부(220)에 삽입하여 장착(S110)한다.A user who wants to use the personal moving means inserts the smart key 300 he has into the key detachable unit 22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mounted on the personal moving means and mounts (S110).

스마트 키(300)의 장착에 따라 스마트 키(300)로부터 동작 제어 수단(200)에 전원이 공급(S120)된다. 여기서 전원 공급은 동작 제어 수단(200의 전원부(250)에 내장 배터리가 구비되는 경우와 내장 배터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로 구분되어 그 동작이 상이할 수 있다.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from the smart key 300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smart key 300 (S120). Here, the power supply is divided into a case in which the built-in battery is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25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and a case in which the built-in battery is not provided, and thus the operation may be different.

일례로서 전원 공급 과정(S120)을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의 (a)는 동작 제어 수단(200)의 전원부(250)에 내장 배터리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 흐름이고, 상기 도 7의 (b)는 동작 제어 수단(200)의 전원부(250)에 내장 배터리가 구비된 경우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the power supply process (S120) of FIG. 7 , FIG. 7 (a) is an operation flow when the power supply unit 25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is not equipped with a built-in battery, and FIG. 7 (b)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shows the operation flow when the built-in battery is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250).

동작 제어 수단(200)의 전원부(250)에 내장 배터리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자체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스마트 키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 제어 수단(200)은 비활성화된 상태가 된다. If the power supply unit 25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is not equipped with a built-in battery, its own power is not supplied, s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is in a deactivat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 key is not mounted.

동작 제어 수단(200)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도 7의 (a)와 같이 스마트 키(300)의 장착에 따라 스마트 키(300)로부터 동작 제어 수단(200)에 전원이 공급(S121)될 수 있고, 스마트 키(300)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동작 제어 수단(200)이 동작 온(ON)이 되어 활성화 상태로 변경(S122)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is deactivated, power may be supplied (S121) from the smart key 300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smart key 300 as shown in FIG. 7 (a).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may be turned on by power supply from the smart key 300 and changed to an activated state (S122).

이와 다르게 동작 제어 수단(200)의 전원부(250)에 내장 배터리가 구비된 경우, 자체 내장 배터리로 동작 제어 수단(200)이 동작할 수 있으나, 점차적인 내장 배터리의 소모로 인해 충전이 필요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supply unit 25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is provided with a built-in battery,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may operate with its own built-in battery, but charging is required due to the gradual consumption of the built-in battery. .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도 7의 (b)와 같이 스마트 키(300)의 장착에 따라 스마트 키(300)로부터 동작 제어 수단(200)에 전원이 공급(S125)될 수 있고, 스마트 키(300)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동작 제어 수단(200)은 전원부(250)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S126)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power may be supplied (S125)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from the smart key 300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smart key 300 as shown in FIG. 7 (b), and the smart key 300 By supplying power from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the built-in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250 can be charged (S126).

스마트 키(300)의 장착에 따라 동작 제어 수단(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 제어 수단(200)은 스마트 키(300)를 장착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S130)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smart key 300,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performs authentication as to whether the user equipped with the smart key 300 is a legitimate user (S130) do.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제어 수단(200)의 인증부(240)는 스마트 키(300)에 보관된 해제 코드를 추출(S131)한다. 이때 해제 코드는 암호화되어 스마트 키(300)에 보관될 수도 있으며, 해제 코드가 암호화된 경우 동작 제어 수단(200)의 인증부(240)는 암호화된 해제 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relation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the authentication unit 24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extracts the release code stored in the smart key 300 (S131). At this time, the unlock code may be encrypted and stored in the smart key 300 , and when the release code is encrypted, the authenticator 24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may decrypt the encrypted release code.

그리고 동작 제어 수단(200)의 인증부(240)는 보유된 인증 코드와 해제 코드를 대비하여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판단(S132)한다. 만약 인증 코드와 해제 코드가 동일한 경우 해당 사용자는 인가된 사용자로 판단하여 정상 인증으로 처리(S133)하며, 정상 인증에 따라 후속 과정(S140)을 수행한다. 만약 인증 코드와 해제 코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해당 사용자는 미인가된 사용자로 판단하여 비정상 인증으로 처리(S134)하며, 비정상 인증에 따라 후속 과정(S150)을 수행한다.And the authentication unit 24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compares the retaine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lease code to determine whether a legitimate user (S132). If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lease code are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and is processed as a normal authentication (S133), and a subsequent process (S14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ormal authentication. If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lease code are not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an unauthorized user and is processed as an abnormal authentication (S134), and a subsequent process (S15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normal authentication.

정상 인증으로 처리되는 경우, 동작 제어 수단(200)의 잠금 수단 제어부(230)는 잠금 수단(100)을 작동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S140)한다. 잠금 수단(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사용자는 개인이동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the case of normal authentication, the lock means control unit 23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operates the lock means 100 to release the lock state (S140). As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100 is released, the user is in a state in which the personal movement means can be used.

비정상 인증으로 처리되는 경우, 동작 제어 수단(200)은 비인가된 사용자의 절도 행위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잠금 수단(10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작부(280)를 통해 경고 음향을 출력(S150)한다. When it is processed as abnormal authentication,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estimates that an unauthorized user's theft has occurred and output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operation unit 280 while maintain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100 (S150) do.

추가적으로 동작 제어 수단(200)은 통신부(270)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외부 단말기로 경고 정보를 전송(S150)할 수도 있다. 이때 동작 제어 수단(200)은 GPS부(260)를 통해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경고 정보에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may transmit warning information to a prese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70 ( S150 ). In this case,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may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unit 260 and transmit the warn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정상 인증에 따라 잠금 수단(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가 개인이동수단을 이용한 후 동작 제어 수단(200)에서 스마트 키(300)를 분리(S160)하면, 동작 제어 수단(200)은 이를 인식하여 잠금 수단(100)의 잠금을 수행한다. 이때 스마트 키(300)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로 스마트 키(300)의 분리를 인식할 수도 있고 또는 동작 제어 수단(200)의 탈착부(22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통해 스마트 키(300)의 분리를 인식할 수도 있다.When the lock state of the locking means 100 is released according to normal authentication and the user uses the personal movement means and then separates the smart key 300 from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S160),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Recognizes and locks the locking means 100 . At this time, the separation of the smart key 300 may be recognized by whether or not power is supplied from the smart key 300 , or the smart key 300 may be removed through a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detachable unit 22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 Separation may be recognized.

나아가서 동작 제어 수단(200)에 보관된 인증 코드와 스마트 키(300)에 보관된 해제 코드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외부 단말기를 통해 동작 제어 수단(200)에 접속하여 인증코드와 해제 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Furthermore,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and the unlock code stored in the smart key 300, access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to change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lease code.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동작 제어 수단(200)에 스마트 키(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동작 제어 수단(200)의 통신부(270)를 통해 외부 단말기가 접속(S210)될 수 있다. 외부 단말기가 접속되면 동작 제어 수단(200)의 인증부(24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해제 코드를 입력받고 이를 보관된 인증 코드와 대비하여 외부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S220)한다.An external terminal may be connected ( S210 )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7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in a state where the smart key 300 is mounted on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 When the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the authentication unit 240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receives a release code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compares it with the stored authentication code to authenticate the external terminal (S220).

만약 비정상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는 경우, 외부 단말기에 대한 동작 제어 수단(200)의 접근을 차단(S250)한다.If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bnormally, the access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200 to the external terminal is blocked (S250).

정상 인증이 이루어지는 경우, 동작 제어 수단(200)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신규 코드를 입력(S230)받으며, 동작 제어 수단(200)은 인증부(240)에 보관된 인증 코드와 스마트 키(300)의 해제 코드 저장부(250)에 저장된 해제 코드를 입력받은 신규 코드로 변경한다.When norm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receives a new code input from the external terminal (S230),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releases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mart key 300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unit 240 . The release code stored in the code storage unit 250 is changed to the received new cod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시로 또는 필요시에 인증을 위한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code for authentication can be changed at any time or when necessary.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이동수단 잠금 장치에 간편하게 스마트 키를 장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개인이동수단의 잠금 해제와 잠금 수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imply mounting or detaching the smart key to the locking device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unlocking and locking of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can be easily performed.

특히, 스마트 키의 장착시 전자적 잠금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자적 잠금 장치의 배터리 충전 또는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when the smart key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easy to charge or replace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나아가서 스마트 키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절도 행위로 추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로 위치 정보와 경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smart key and theft is estimated, location information and warning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ft of expensiv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잠금 수단,
200 : 동작 제어 수단,
210 : 동작 제어 수단 몸체,
220 : 키 탈착부,
221 : 전원 입력 단자, 225 : 데이터 수신 단자,
230 : 잠금 수단 제어부, 240 : 인증부,
250 : 전원부, 260 : GPS부,
270 : 통신부, 280 : 조작부,
290 : 중앙 제어부,
300 : 스마트 키,
310 : 스마트 키 몸체,
321 : 전원 공급 단자, 325 : 데이터 제공 단자,
330 : 전원 공급부, 250 : 해제 코드 저장부.
100: locking means,
200: motion control means;
210: motion control means body,
220: key detachable part,
221: power input terminal, 225: data receiving terminal,
230: lock means control unit, 240: authentication unit,
250: power unit, 260: GPS unit,
270: communication unit, 280: operation unit,
290: central control;
300: smart key;
310: smart key body;
321: power supply terminal, 325: data providing terminal,
330: a power supply unit, 250: a release code storage unit.

Claims (12)

개인이동수단의 바퀴 또는 핸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 수단과;
상기 개인이동수단에 장착되며 스마트 키가 장착되는 키 탈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키의 장착시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스마트 키에 보유된 해제 코드를 보유된 인증 코드와 대비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잠금 수단의 잠금과 해제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 및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키 탈착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동작 제어 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해제 코드를 제공하는 스마트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a locking mean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wheels or handles of the individual moving means;
A key detachable unit mounted on the personal moving means and mounted with a smart key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when the smart key is mounted, and perform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unlock code held in the smart key with the retaine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lock a locking device comprising an operation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means; and
The device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comprising a smart key that can be mounted on the key detachable par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d supplies power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d provides a release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보유된 인증 코드와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추출된 해제 코드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의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수단의 잠금과 해제를 동작시키는 잠금 수단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 authentication unit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retaine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unlock code extracted from the smart key;
a locking means control unit for operating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ing means based on the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or; and
Anti-theft device for personal movement means comprising a power supply receiving power from the smart ke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키 탈착부는,
상기 스마트 키의 형태에 대응되어 상기 스마트 키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삽입 가능한 키 삽입 공간;
상기 키 삽입 공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키의 상기 키 삽입 공간 장착시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입력 단자; 및
상기 키 삽입 공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키의 상기 키 삽입 공간 장착시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해제 코드를 제공받는 데이터 수신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key detachable uni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 key inser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mart key,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mart key can be inserted;
a power input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key insertion space to receive power from the smart key when the key insertion space of the smart key is mounted; and
and a data receiving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key insertion space to receive a release code from the smart key when the smart key is mounted in the key insertion sp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전원부는,
내장 배터리를 포함하여 상기 내장 배터리의 전원을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키의 장착시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 anti-theft device for personal mo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power to the built-in battery, including a built-in battery, and receives power from the smart key to charge the built-in battery when the smart key is install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 communication unit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nti-theft device for personal mo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PS uni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는,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여 외부 전원으로 충전하고 상기 동작 제어 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해제 코드를 보유하는 해제 코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key is
a power supply unit for charging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including an auxiliary battery and supplying power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d
Personal movement means anti-thef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ease code storage unit for holding the release c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키 탈착부에 삽입 가능한 몸체;
상기 키 탈착부로 삽입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전원 입력 단자에 대응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 및
상기 키 탈착부로 삽입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의 테이터 수신 단자에 대응되어 해제 코드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mart key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insertable into the key detachable por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 power supply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key detachable part, the power supply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d supplying power; and
and a data providing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key detachable part and providing a release code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eiving terminal of the operation control means.
동작 제어 수단이 스마트 키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 단계;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상기 스마트 키에 보관된 해제 코드를 추출하는 해제 코드 추출 단계;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보유된 인증 코드와 상기 해제 코드를 대비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인증 결과를 기초로 잠금 수단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
a power supply step of receiving power from the smart key as the operation control means is equipped with the smart key;
a release code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extracts a release code stored in the smart key;
an authentication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compares the retaine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lease code to perform authentication; and
and an unlocking step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locking means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계는,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동작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wer supply step is
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mobility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control means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from the smart ke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계는,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wer supply step is
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control means charges the built-in battery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from the smart ke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는,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 알람을 출력하고 설정된 외부 단말기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uthentication step is
A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a warning alarm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and transmitting the warning information to a set external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상기 스마트 키의 분리에 따라 상기 잠금 수단을 동작시켜 잠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control means operates the locking mean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of the smart key to perform the lock.
KR1020210044688A 2021-04-06 2021-04-06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personal transportation KR1024857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688A KR102485750B1 (en) 2021-04-06 2021-04-06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personal transpor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688A KR102485750B1 (en) 2021-04-06 2021-04-06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personal transpor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913A true KR20220138913A (en) 2022-10-14
KR102485750B1 KR102485750B1 (en) 2023-01-09

Family

ID=8359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688A KR102485750B1 (en) 2021-04-06 2021-04-06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personal transpor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7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806B1 (en) * 2023-03-10 2024-05-07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Parking system for personal mobile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934A (en) * 1991-11-28 1993-11-09 Hochiki Corp Key controlling device for security facility
KR100948573B1 (en) 2009-04-03 2010-03-19 주식회사 이고 Electronic bicycle locking device, operation system for rental bicycle
KR20160037632A (en) * 2014-09-29 2016-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Locking device of bike
KR101845672B1 (en) 2017-08-25 2018-04-04 김민성 Locking device for bicycles
KR20180107870A (en) * 2017-03-23 2018-10-04 김원섭 Locking device for bicycles
KR20190068951A (en) 2017-12-11 2019-06-19 조상현 Personal transportation robbery warning app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934A (en) * 1991-11-28 1993-11-09 Hochiki Corp Key controlling device for security facility
KR100948573B1 (en) 2009-04-03 2010-03-19 주식회사 이고 Electronic bicycle locking device, operation system for rental bicycle
KR20160037632A (en) * 2014-09-29 2016-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Locking device of bike
KR20180107870A (en) * 2017-03-23 2018-10-04 김원섭 Locking device for bicycles
KR101845672B1 (en) 2017-08-25 2018-04-04 김민성 Locking device for bicycles
KR20190068951A (en) 2017-12-11 2019-06-19 조상현 Personal transportation robbery warning ap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806B1 (en) * 2023-03-10 2024-05-07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Parking system for personal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750B1 (en)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6788B (en) Portable lock and an unlocking method thereof
CN100420596C (en) Vehicle security device and id code management device
US7813773B2 (en) Electronic key apparatus for vehicle
US20130338865A1 (en) Augmented Battery and Ecosystem for Electric Vehicles
US20110060481A1 (en) Antitheft method and system for motorcycles
CN110469206B (en) Portable lock
JP5831524B2 (en) Vehicle charging cable
EP3680865A1 (en) Control system for interconnecting electric bike and electronic lock
US9377764B2 (en) Plug lock device
KR20220138913A (en)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personal transportation
TWI676564B (en) Open cockpit carrier
US11958562B2 (en) Open-cabin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JP6771459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electric or hybrid vehicles
KR1016296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cycle locking using wireless charging authentification
CN113696848A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keyless starting of motorcycle
KR20170078667A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electric or hybrid vehicles compris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KR101192587B1 (en) low power type bycle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20070660A1 (en) Anti-theft system for a motorized two-wheeled vehicle
CN108068758B (en) Intelligent driving control method
JPH10176448A (en) Keyless entry device
JP2010136015A (en) Portable unit and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JP2011103754A (en) Charging device for vehicle, electric motorbike, and antitheft system
JP2012016132A (en) Charging device
JP4720143B2 (en) Cardless ETC in-vehicle device and in-vehicle system
KR102262153B1 (en) Smart lock with emergenc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