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787A -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787A
KR20220138787A KR1020210143052A KR20210143052A KR20220138787A KR 20220138787 A KR20220138787 A KR 20220138787A KR 1020210143052 A KR1020210143052 A KR 1020210143052A KR 20210143052 A KR20210143052 A KR 20210143052A KR 20220138787 A KR20220138787 A KR 20220138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xtending
members
pair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신택
윤태영
Original Assignee
형제금속 주식회사
윤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금속 주식회사, 윤태영 filed Critical 형제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787A/ko
Publication of KR20220138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02D3/068Vibrating apparatus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와 같은 해양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해저면에 구축되는 마운드의 평탄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디프레임(10);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19);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19)에 설치되는 이동장치(30);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5); 및 상기 이동장치(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3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레이드(40);를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Mound Leve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방파제와 같은 해양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해저면에 구축되는 마운드의 평탄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슨이나 잠제와 같은 해양구조물은 해저면에 구축된 기초사석층 위에 시공된다. 해저면에 구축되는 기초사석층은, 사석을 골라 평탄화한 구조물이다.
종래 기초사석층을 구축하는 작업은, 해저면에 사석을 투하하고, 잠수부가 직접 사석을 골라 평탄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기초사석을 고르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수심은 20m 내외이다. 이러한 수심에서는 잠수병으로 인해 잠수부가 실제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마운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잠수부 인력이 요구된다. 또한 잠수부가 인력으로 사석을 고르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 역시 더딜 수밖에 없었다.
육상에서의 토목 공사는 중장비들이 담당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중장비들은 해저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초사석층의 평탄화 작업을 인력이 아닌 장비로 해낼 수 있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디프레임(10);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19);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19)에 설치되는 이동장치(30);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5); 및 상기 이동장치(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3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레이드(40);를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이동장치(3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블레이드(40)의 전방에 투하된 사석을 밀어 평탄하게 고른다.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재(12);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상부크로스부재(14);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연장부재(11)와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17);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크로스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10)은 긴 빔 형태의 뼈대들로만 구성되어, 해류가 발생하는 해저 환경에서 해류에 의해 바디프레임(10)이 밀리거나 들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19)는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는: 상기 하부연장부재(12)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재(19)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석을 평탄화하는 과정에서, 하부크로스부재(15)는 평탄화 작업을 하는 사석에 놓이고 그 일부 구간은 사석에 묻힐 수 있다. 한 쌍의 레일부재(19)는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는 이동장치(30)를 지지하고 이동장치(30)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이용하여 사석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석과 마찰을 일으킬 염려가 있는 하부크로스부재(15)의 중앙부가 마모될 가능성을 감안하여,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의 연결부재(153)를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는, 중공의 원형관(154)과, 상기 원형관(154)의 양단에 마련된 플랜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관(154)은, 사석에 파묻혀 있던 하부크로스부재(15)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평탄화가 진행된 사석을 다시 흐트러지지 않도록 해주고, 사석과의 마찰력도 최소화해준다.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재(17) 중 2 이상의 개소에는 아우트리거(60)가 설치될 수 있다. 전후방향으로 긴 바디프레임(10)을 해저면에 거치함에 있어서, 높낮이의 차이가 있고 굴곡이 있는 해저면에 바디프레임(10)을 거치할 때, 복수 개의 기둥부재(17)가 놓여지는 개소의 해저면의 높이 차이가 있더라도, 아우트리거(60)를 사용하여 하방으로 기둥부재(17)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면, 바디프레임(10)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60)의 길이 조절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60)는, 상기 기둥부재(17)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커버(61); 상기 아우터커버(61)에 내삽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너커버(62); 상단부가 실린더 힌지(631h)를 통해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연결되는 포스트실린더(631); 상기 포스트실린더(631)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포스트실린더(631)로부터 하방으로 출몰하는 포스트피스톤(632); 및 상기 이너커버(62)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포스트피스톤(632)의 하단부와 피스톤 힌지(632h)를 통해 연결된 하부받침(64);을 포함한다.
아우터커버(61)와 이너커버(62)는 상하방향의 신축을 안내하고,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포스트실린더(631)와 포스트피스톤(632)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힌지(631h)와 피스톤 힌지(632h)는, 사석으로 이루어져 평탄하지 않은 해저면에 하부받침(64)을 받칠 때, 하부받침(64)이 스스로 안정적인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유도해줄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30)는 유압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이동장치(30)에는 유압호스(H)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프레임(10)은, 복수 개의 상기 상부크로스부재(14)의 하부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커튼레일(113); 상기 커튼레일(113)에 삽입되고 상기 커튼레일(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롤러(114); 및 상기 롤러(114)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연결되는 유압호스(H)를 지지하는 호스고정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부재(19)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랙(19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19)는 그 개방부위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C형강일 수 있고, 랙(191)은 상기 C형강의 내부공간에서 천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석 고르기 과정에서 사석이 레일부재(19)의 내부공간이나 랙(191) 부분에 굴러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31); 상기 크로스빔(3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재(19) 상에 구름 가능하게 거치되는 전방휠(341)과 후방휠(342); 및 상기 랙(191)과 맞물리는 피니언(38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장치(3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에 의해 지지되므로, 전후방향으로 안정적인 자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장치(35)는 상기 피니언(38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35)일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샤프트(36); 상기 유압모터(35)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유압모터(35)에 축설된 제1구동스프라켓(351);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에 축설된 제1종동스프라켓(361);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과 제2구동스프라켓(362)을 연결하는 제1체인(352);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의 양단부에 각각 축설된 한 쌍의 제2구동스프라켓(362); 상기 제1샤프트(36)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샤프트(38);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된 제2종동스프라켓(381); 및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과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을 연결하는 제2체인(363);을 구비하는 구동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35)가 회전하면, 제1구동스프라켓(351)이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제1체인(352)을 통해 제1종동스프라켓(361)에 전달된다. 그러면 제1종동스프라켓(361)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샤프트(36)의 양단에 있는 제2구동스프라켓(362)도 일체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제2체인(363)을 통해 제2종동스프라켓(381)에 전달된다.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되어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과 함께 회전한다. 피니언(382)은 랙(191)의 하부에서 랙(191)과 맞물려 있으므로, 피니언(382)이 회전하면 이동장치(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석의 높이를 고르는 과정에서 블레이드(40)의 높이를 조절하면 구동계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사석을 효율적으로 고를 수 있다. 이에 이동장치(30)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4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장치(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의해 안내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재(41)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41)는 승강구동부(44)에 의해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44)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구동부(44)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 측에 연결된 블레이드실린더(45); 및 상기 블레이드(40) 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로부터 상방으로 출몰하는 블레이드피스톤(46);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구동부는 수동으로 승강 작동을 하는 쟉키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에 따르면, 해저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마운드 평탄화 작업을 기계장치로 진행할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빠르고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이동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레일부재와 유압호스를 표현한 도 1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이동장치의 이동과정을 나타낸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아우트리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9는 이동장치와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블레이드의 승강을 나타낸 도 9의 이동장치와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이라 함은, 사석을 고르게 하기 위해 블레이드가 이동하여 나아가는 방향을 의미한다.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는, 마운드 상에 거치되는 바디프레임(10)과, 상기 바디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마운드 상에 투하된 사석들을 밀어내며 레벨링을 진행하는 블레이드(40)와, 상기 블레이드(40)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5)를 포함한다.
바디프레임(1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뼈대 형태일 수 있다. 바디프레임(10)은,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를 포함하고, 좌측뼈대와 우측뼈대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재와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는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는 각각, 상부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재(11), 하부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재(12), 및 상기 상부연장부재(11)와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를 포함한다.
상부연장부재(11)와 하부연장부재(12)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10)은 기둥부재(17)와 상부연장부재(11)의 교차부위 및 기둥부재(17)와 하부연장부재(12)의 교차부위를 잇는 트러스부재(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를 잇는 상부 연결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상부크로스부재(14)일 수 있다.
상기 좌측뼈대와 우측뼈대를 잇는 하부 연결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크로스부재(15)일 수 있다.
상부크로스부재(14)와 하부크로스부재(15)는, 기둥부재(17)와도 연결될 수 있다.
상부크로스부재(14)와 기둥부재(17) 사이에는 이들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버팀대(14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10)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에서, 긴 빔 형태의 뼈대들로만 구성되어, 해류가 발생하는 해저 환경에서 해류에 의해 바디프레임(10)이 밀리거나 들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장부재(11), 하부연장부재(12), 상부크로스부재(14), 하부크로스부재(15) 및 기둥부재(17) 등은 H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연장부재(11)에는 바디프레임(10)을 크레인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인용고리부재(111)가 설치된다.
레일부재(19)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한 쌍 제공된다. 전후로 길게 연장된 레일부재(19)는, 복수 개의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재(19)는 C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C형강의 하부에 마련된 수평한 부위는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고정될 수 있다. C형강의 상부에 마련된 수평한 부위의 저면에는 랙(191)이 설치될 수 있다. 랙(191)의 이빨은 하방을 향할 수 있다.
C형강의 수직한 부위는 폭방향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C형강의 개방된 부위는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C형강 내부에 사석이 굴러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레일부재(19) 상에는 이동장치(30)가 놓이고, 상기 레일부재(19)는 상기 이동장치(3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한 쌍의 레일부재(19)는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는 이동장치(30)를 지지하고 이동장치(30)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는 연결부재(153) 및 상기 연결부재(153)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레일지지부재(151)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재(19)는 상기 레일지지부재(151) 상에 설치되고, 레일지지부재(151)는 강도 확보를 위해 H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연결부재(153)는 그 길이방향으로의 인장력과 압축력이 주로 작용하는 반면, 사석과 마찰이 일어나는 부재로서, 중공의 원형 관 형태일 수 있다. 연결부재(153)가 원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면, 사석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는 작업 진행 과정에서 사석에 파묻히고 그로부터 들어올려지는 환경에 놓이므로, 마모가 진행되었을 때 교체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53)를 구성하는 원형 관의 양단에는, 상기 레일지지부재(151)와 볼트/너트 등의 수단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15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크로스부재(14)의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커튼레일(113)이 설치된다. 커튼레일(113)은 복수 개의 상기 상부크로스부재(14)의 하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튼레일(113)에는 복수 개의 롤러(114)가 삽입된다. 상기 롤러(114)는 상기 커튼레일(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롤러(114)에는 상기 이동장치(30)에 연결되는 유압호스(H)를 지지하는 호스고정구(115)가 연결된다.
이동장치(30)는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19)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장치(3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31)을 구비한다. 상기 크로스빔(31)은 H형강일 수 있다. 상기 크로스빔(31)은 전후로 이격되어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빔(31)은 상기 레일부재(19)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2개의 크로스빔(31)의 양단부의 하부에는 휠이 마련될 수 있다. 전방에 배치된 크로스빔(31)에는 전방휠(341)이, 후방에 배치된 크로스빔(31)에는 후방휠(342)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은 전후 방향으로 구를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19) 상에 놓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직경이 작아 오목한 홈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레일부재(19)의 상부에 마련된 부재가 상기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은, 레일부재(19)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구름은 자유롭게 이루어지지만, 레일부재(19)로부터 측방으로 이탈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은, 두 크로스빔(31)의 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휠하우징(34)에 축설된다. 상기 휠하우징(3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자 형강일 수 있다. 상기 휠하우징(34)의 전방과 후방은 각각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두 크로스빔(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30)는 그 양단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전방휠(341)과 후방휠(342)에 의해 4점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크로스빔(31) 상에는 동력발생장치로서 유압모터(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35)는 상기 크로스빔(31)의 폭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35)의 회전축에는 제1구동스프라켓(351)이 축설된다. 즉 상기 유압모터(35)가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한다.
전후에 배치되는 상기 두 크로스빔(31) 사이에는 제1샤프트(36)가 설치된다. 제1샤프트(36)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단부 부근이 베어링(37)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37)은 두 크로스빔(31)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휠하우징(34)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36)에서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과 마주하는 부위에는, 제1종동스프라켓(361)이 축설된다.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61)은 상기 제1샤프트(36)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에 고정된다.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과 제1종동스프라켓(361)은 제1체인(352)에 감겨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의 회전력은 제1체인(352)을 통해 제1종동스프라켓(361)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36)의 양단부에는 제2구동스프라켓(362)이 축설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은 상기 제1샤프트(36)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은 상기 베어링(37)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37)보다 측방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장치(30)는 이동장치(30)의 구동을 위한 상기 구성들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하우징(32)을 구비한다. 가령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한 쌍의 크로스빔(31), 유압모터(35), 제1샤프트(36) 등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양단에는 상기 크로스빔(31)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의 레일지지부재(151)와는 간섭되지 않는 사이드플레이트(3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3)의 하부에는 제2샤프트(38)가 설치된다. 상기 제2샤프트(38)가 설치된 높이는, 대략 상기 레일부재(19)의 C형강의 내부에 대응하는 높이일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38)에서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종동스프라켓(381)이 설치된다.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은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과 제2체인(363)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구동스프라켓(362)의 회전력은 제2종동스프라켓(381)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샤프트(38)에는 피니언(382)이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레일부재(19)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랙(191)과 맞물린다.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를 위해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과 직접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피니언(382)과 제2종동스프라켓(381)이 제2샤프트(38)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거나, 제2샤프트(38)에 대해 회전 구속되도록 축설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샤프트(38)를 통해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2종동스프라켓(381)이 제2샤프트(38)를 통해 피니언(382)에 전달되어야 하므로, 피니언(382)과 제2종동스프라켓(381)이 제2샤프트(38)에 대해 회전 구속되도록 축설된다.
상기 레일부재(19)의 상부는 상기 전방휠(341)과 후방휠(342), 그리고 상기 피니언(382)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장치(30)는 상기 레일부재(19)에 적절히 구속되어, 상기 레일부재(19)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사이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샤프트(36), 제2샤프트(38), 제2구동스프라켓(362), 제2종동스프라켓(381) 및 제2체인(363)을 내부에 수용하며 보호하고, 상기 레일부재(19)의 내부가 외측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준다.
이에 따라, 이동장치(30)를 전진시키기 위해 상기 유압모터(3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구동스프라켓(35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제1체인(352)을 통해 제1종동스프라켓(361)에 전달된다. 그러면 제1종동스프라켓(361)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샤프트(36)의 양단에 있는 제2구동스프라켓(362)도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제2체인(363)을 통해 제2종동스프라켓(381)에 전달되고, 피니언(382) 역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이동장치(30)를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유압모터(35)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결과적으로 피니언(382) 역시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장치(30)가 후진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빔(31)의 전방에는 블레이드(40)가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40)는 중앙부가 더 전방으로 돌출된 ">"자 형상을 가진다. 이동장치(30)가 그 전방에 쌓여 있는 사석들을 밀면서 평탄화할 때, 사석이 많이 쌓여 있으면 구동계에 큰 부하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환경에서는, 높이 쌓여 있는 사석의 윗부분을 먼저 밀어내면서 평탄화하고, 다시 그보다 밑부분을 추가적으로 밀어내면서 평탄화하는 방식으로, 평탄화 작업을 2 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이동장치(30)에 대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장치(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이동장치(30)의 전방에 마련된 크로스빔(31)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는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0)에는, 그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 역시 폭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부재(41)를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40)의 전방 돌출 정도에 따라, 상기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의 길이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즉 폭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부서포트(42)와 하부서포트(43)가 더 전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40), 복수 개의 상부서포트(42), 하부서포트(43) 및 승강부재(41)는 일체로 거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1)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는 대략 정사각형의 각관 형태이고, 상기 승강부재(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보다 단면이 작은 H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들의 단면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부재(41)가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의 내주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는 형상이면 다른 다양한 단면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의 전방에는 승강서포트부재(312)가 고정 연결된다. 상기 승강서포트부재(312)는 상기 상부서포트(42)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4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44)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는, 블레이드실린더(45)와 블레이드피스톤(4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는 상기 승강서포트부재(312)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피스톤(46)은 상기 상부서포트(42)의 하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가 신장되면 상기 블레이드(40)는 상승하고, 상기 유압실린더가 수축되면 상기 블레이드(40)는 하강한다.
상기 승강구동부(44)와 동력발생장치(35)에 유압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이동장치(30)에는 유압호스(H)가 연결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10)에 대해 이동장치(30)는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하므로, 상기 유압호스(H)는 상기 커튼레일(1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호스고정구(115)에 고정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을 걷거나 치듯이 이동장치(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프레임(10)은 해저면에 조성된 마운드 상에 거치되어 사석을 고르는 작업을 수행한다. 아직 사석을 평탄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바디프레임(10)이 마운드 상에 거치되기에, 바디프레임(10)이 거치되는 표면은 평탄도가 좋지 않다. 따라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그보다 더욱 긴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는 바디프레임(10)이 먼저 마운드 상에 수평하게 놓여져야 한다.
이에 실시예의 마운드 평탄화 장치는, 상기 바디프레임(10)이 마운드 상에 수평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아우트리거(60)를 구비한다.
바디프레임(10)은 그 좌측과 우측에서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기둥부재(17)를 구비한다. 아우트리거(60)는 이러한 기둥부재(17)에 모두 설치되거나, 균일한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하나 건너 하나씩 기둥부재(17)에 아우트리거(60)가 설치된 구조가 예시된다.
전후방향으로 긴 바디프레임(10)을 해저면에 거치함에 있어서, 높낮이의 차이가 있고 굴곡이 있는 해저면에 바디프레임(10)을 거치할 때, 복수 개의 기둥부재(17)가 놓여지는 개소의 해저면의 높이 차이가 있더라도, 아우트리거(60)를 사용하면, 바디프레임(10)을 수평하게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우트리거(60)의 길이 조절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60)는, 상기 기둥부재(17)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커버(61)와, 상기 아우터커버(61)에 내삽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너커버(62)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커버(61)는 상기 기둥부재(17)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커버(62)는 상기 아우터커버(61)보다 더 하방으로 출몰하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단부가 실린더 힌지(631h)를 통해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연결되는 포스트실린더(631)와, 상기 포스트실린더(631)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포스트실린더(631)로부터 하방으로 출몰하는 포스트피스톤(632)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포스트피스톤(632)은 상기 이너커버(62)에 힌지 결합되고, 이너커버(62)의 하단부에 하부받침(64)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포스트피스톤(632)은 이너커버(62)의 하단부로 노출되는 하부받침(64)에 힌지 연결되고, 이너커버(62)는 자중에 의해 아우터커버(61)로부터 하강하며, 이너커버(62)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받침(64) 상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커버(62)의 하단부와 하부받침(64)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우터커버(61)와 이너커버(62)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포스트실린더(631)와 포스트피스톤(632)을 보호하고 상하방향의 신축을 안내한다. 유압실린더에 어느 정도 자유도를 부가하면, 사석으로 이루어져 평탄하지 않은 해저면에 하부받침(64)을 받칠 때, 하부받침(64)이 스스로 안정적인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유도해줄 수 있다.
상기 하부받침(64)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면(641)과, 상기 바닥면(64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1챔퍼면(642)과 제2챔퍼면(6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받침(64)의 형상은, 굴곡이 있는 사석 바닥에 아우트리거(60)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해준다.
마운드 평탄화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력은 유압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압은 유압호스(H)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유압 발생 장치는 바지선에 설치되고, 유압 발생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유압호스(H)는 상기 마운드 평탄화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압호스(H)는 상기 이동장치(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장치(30)의 이동을 위한 동력발생장치인 유압모터(35)와, 상기 블레이드(4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구동부(44)의 유압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하는 장치에 유압호스(H)가 연결되므로, 유압호스(H)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압호스(H)는 마치 커튼처럼 상기 커튼레일(113)의 호스고정구(1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압호스(H)는, 상기 아우트리거(60)의 유압실린더에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60)는 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유압호스(H)는 바디프레임(10)에 고정 배선될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60)의 유압실린더는, 아우트리거(60)마다 개별적으로 작동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트리거(60)가 전개되는 위치마다 다른 바닥의 레벨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마운드 평탄화 장치에 따르면, 마운드의 사석 고르기 작업을 매우 빠르게, 그리고 저가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인력의 활용을 최소화하여 인사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바디프레임
11: 상부연장부재
111: 인양고리부재
113: 커튼레일
114: 롤러
115: 호스고정구
12: 하부연장부재
14: 상부크로스부재
141: 버팀대
15: 하부크로스부재
151: 레일지지부재
153: 연결부재
154: 원형관
155: 플랜지
17: 기둥부재
171: 트러스부재
19: 레일부재
191: 랙
30: 이동장치
31: 크로스빔
311: 전방승강가이드부재
312: 승강서포트부재
32: 하우징
33: 사이드플레이트
34: 휠하우징
341: 전방휠
342: 후방휠
35: 동력발생장치(유압모터)
351: 제1구동스프라켓
352: 제1체인
36: 제1샤프트
361: 제1종동스프라켓
362: 제2구동스프라켓
363: 제2체인
37: 베어링
38: 제2샤프트
381: 제2종동스프라켓
382: 피니언
40: 블레이드
41: 승강부재
42: 상부서포트
43: 하부서포트
44: 승강구동부
45: 블레이드실린더
46: 블레이드피스톤
60: 아우트리거
61: 아우터커버
62: 이너커버
631: 포스트실린더
631h: 실린더 힌지
632: 포스트피스톤
632h: 피스톤 힌지
64: 하부받침
641: 바닥면
642: 제1챔퍼면
643: 제2챔퍼면
H: 유압호스

Claims (10)

  1.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디프레임(10);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19);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19)에 설치되는 이동장치(30);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35); 및
    상기 이동장치(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3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레이드(40);를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재(12);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연장부재(1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상부크로스부재(14);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연장부재(11)와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17);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연장부재(1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크로스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19)는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 상에 설치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크로스부재(15)는:
    상기 하부연장부재(12)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재(19)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5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53);를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53)는, 중공의 원형관(154)과, 상기 원형관(154)의 양단에 마련된 플랜지(155)를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둥부재(17) 중 2 이상의 개소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60)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트리거(60)는,
    상기 기둥부재(17)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커버(61);
    상기 아우터커버(61)에 내삽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너커버(62);
    상단부가 실린더 힌지(631h)를 통해 상기 아우터커버(61)에 연결되는 포스트실린더(631);
    상기 포스트실린더(631)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포스트실린더(631)로부터 하방으로 출몰하는 포스트피스톤(632); 및
    상기 이너커버(62)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포스트피스톤(632)의 하단부와 피스톤 힌지(632h)를 통해 연결된 하부받침(64);을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10)은;
    복수 개의 상기 상부크로스부재(14)의 하부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커튼레일(113);
    상기 커튼레일(113)에 삽입되고 상기 커튼레일(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롤러(114); 및
    상기 롤러(114)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연결되는 유압호스(H)를 지지하는 호스고정구(115);를 더 포함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19)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랙(191)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31);
    상기 크로스빔(3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가 상기 레일부재(1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재(19) 상에 구름 가능하게 거치되는 전방휠(341)과 후방휠(342); 및
    상기 랙(191)과 맞물리는 피니언(382);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발생장치(35)는 상기 피니언(38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35)는, 상기 크로스빔(31)에 설치되는 유압모터(35)이고,
    상기 이동장치(30)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재(19)에 다다르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장치(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샤프트(36);
    상기 유압모터(35)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유압모터(35)에 축설된 제1구동스프라켓(351);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에 축설된 제1종동스프라켓(361);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351)과 제2구동스프라켓(362)을 연결하는 제1체인(352);
    상기 제1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36)의 양단부에 각각 축설된 한 쌍의 제2구동스프라켓(362);
    상기 제1샤프트(36)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30)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샤프트(38);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된 제2종동스프라켓(381); 및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62)과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을 연결하는 제2체인(3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382)은 상기 제2샤프트(38)에 축설되어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81)과 함께 회전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의해 안내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재(41)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41)는 승강구동부(44)에 의해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이동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44)는,
    상기 전방승강가이드부재(311) 측에 연결된 블레이드실린더(45); 및
    상기 블레이드(40) 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에 내삽되되 유압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실린더(45)로부터 상방으로 출몰하는 블레이드피스톤(46);을 구비하는, 마운드 평탄화 장치.
KR1020210143052A 2021-04-05 2021-10-25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KR20220138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052A KR20220138787A (ko) 2021-04-05 2021-10-25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221A KR102319678B1 (ko) 2021-04-05 2021-04-05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KR1020210143052A KR20220138787A (ko) 2021-04-05 2021-10-25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221A Division KR102319678B1 (ko) 2021-04-05 2021-04-05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787A true KR20220138787A (ko) 2022-10-13

Family

ID=784763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221A KR102319678B1 (ko) 2021-04-05 2021-04-05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KR1020210143052A KR20220138787A (ko) 2021-04-05 2021-10-25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221A KR102319678B1 (ko) 2021-04-05 2021-04-05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96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509B1 (ko) * 1999-12-18 2002-04-20 김태한, 이기관 교량 평탄화 작업기계
KR20060031833A (ko) * 2006-03-22 2006-04-13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모노레일식 운반대차의 안내레일
KR100985647B1 (ko) * 2008-04-11 2010-10-05 홍기표 수중 면고르기 장치
KR200468586Y1 (ko) * 2012-12-24 2013-08-26 이한준 굴삭기의 전원공급용 케이블 리프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678B1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373B1 (ko) 외부 단부의 지지 표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형 요소를 세우는 디바이스 및 방법
CN110952550B (zh) 一种悬空自支撑式打桩方法及打桩机
KR20130113380A (ko) 해상 풍력 터빈용 토대, 그 해상 풍력 터빈 및 그 설치 방법
EP3508653B1 (en) A manufacturing facilit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jacket structure
CN105464117A (zh) 旋转式水上打桩导架及水上群桩基础打桩工艺
KR20160119125A (ko) 배관장치 및 배관방법
US3218739A (en) Dredge
CN112144535A (zh) 一种抛石整平船的工作方法
CN107663859B (zh) 打桩机
CN112573113A (zh) 一种抛石整平船
CN108005047B (zh) 防涌潮的打桩机
KR102319678B1 (ko)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 고르기 및 평탄화 장치
JP5686649B2 (ja) 超低空頭掘削装置、それに使用するケリーロッド、その掘削反力取得方法及びその移動装置
JP2012026089A (ja) 作業床の昇降方法および昇降装置
CN107460876B (zh) 改进的打桩机平台
KR102295251B1 (ko) 해양구조물 구축을 위한 기초사석층의 시공 및 고르기 방법
TWI570047B (zh)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Disassembling Method of Giant Crane Crane
CN213625592U (zh) 一种抛石整平船中整平架的升降、搁置和锚定装置
JP2023544796A (ja) 土壌を除去するための、土木機械及び土木工法
US5145279A (en) Public works machine usable more particularly for laying vertical drains
CN216428307U (zh) 一种水下破土机器人
CN213323580U (zh) 一种抛石整平船整平架装置的姿态调整装置
CN211494398U (zh) 一种抛石整平船的溜石管装置
JPH0543809B2 (ko)
CN213324785U (zh) 一种抛石整平船的料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