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672A -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672A
KR20220138672A KR1020210044631A KR20210044631A KR20220138672A KR 20220138672 A KR20220138672 A KR 20220138672A KR 1020210044631 A KR1020210044631 A KR 1020210044631A KR 20210044631 A KR20210044631 A KR 20210044631A KR 20220138672 A KR20220138672 A KR 2022013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ignal
inspection
unit
fir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061B1 (ko
Inventor
박경연
박창교
Original Assignee
박경연
박창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연, 박창교 filed Critical 박경연
Priority to KR102021004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0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와, 화재 감지기의 정상작동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신호를 화재감지기에 송출하는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를 구비하고, 화재감지기는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로부터 점검신호를 수신하는 점검신호 수신부와, 열, 연기, 불꽃,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대상 소스로 하여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화재감지센서와, 화재감지센서에서 감지하는 센싱대상소스를 점검용으로 발생하는 감지소스 발생부와, 점검신호 수신부로부터 점검신호가 수신되면 감지소스 발생부로부터 센싱대상 소스가 발생되게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에 의하면, 점검대상 화재감지기의 설치 높이에 대한 점검제약을 해소함과 아울러 점검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remote control check support system of fire dector}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점검대상 화재감지기의 설치 높이에 대한 점검제약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된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로 인해 화재발생시 막대한 인명피해로 이어 질수 있다. 특정 소방대상물은 연1회 이상 작동기능점검 및 종합정밀점검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소방 시설물로서 화재를 감지하고 경보를 발령하는 화재감지시스템이 구축된다. 업무용, 주거용 등의 각종 건축물의 내부에서 불시에 발생될 수 있는 화재에 대한 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천정 등에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되며, 화재감지기로부터의 화재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경보를 발령하는 화재수신기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로는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smoke)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와, 열(heat)을 감지하는 열감지기,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기, 화재시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감지기 등이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보통 가정의 거실/방 또는 사무실 등의 천정에 위치하는데, 해당 화제감지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점검기구를 이용하여 열 또는 연기를 각 감지기에 직접 가하는 방법으로 개별적인 점검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검기구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67612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점검기구는 접이식 파이프의 연장길이로 측정가능 높이가 제한되며, 주차장, 실내 경기장, 또는 공장시설과 같이 그 높이가 예를 들어 10m 이상의 높은 곳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는데는 상단의 흔들림에 의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점검 작업자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리프터가 구비된 특장차량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점검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자원의 낭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점검대상 화재감지기의 설치 높이에 대한 점검제약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원격으로 점검을 지원하는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는 건축물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와;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정상작동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신호를 상기 화재감지기에 송출하는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로부터 점검신호를 수신하는 점검신호 수신부와; 열, 연기, 불꽃,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대상 소스로 하여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감지하는 센싱대상소스를 점검용으로 발생하는 감지소스 발생부와; 상기 점검신호 수신부로부터 점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감지소스 발생부로부터 센싱대상 소스가 발생되게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화재감시센서의 센싱대상 소스에 대한 반응결과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단말제어부에 제공하는 반응결과 신호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반응 결과신호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반응결과 신호를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검사 신호 송출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반응결과 신호 검출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시 화재수신반으로 이어지는 신호전송선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단말제어부에 전송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는 점검신호로서 레이저광을 송출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점검신호 발생을 지시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점검신호 발생 지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레이저 점검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하는 점검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검신호 수신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송출되는 레이저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점검신호는 레이저광이 온/오프 출사되면서 생성되는 펄스코드신호가 적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검신호 수신부는 입사된 레이저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태양전지가 적용되고,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충전하여 화재감지기의 구동전력으로 이용하는 충전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에 의하면, 점검대상 화재감지기의 설치 높이에 대한 점검제약을 해소함과 아울러 점검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를 통한 점검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재감지기의 네트워킹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은 블록도이도,
도 3은 도 1의 화재감지기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를 통한 점검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100)는 화재감지기(110)와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150)를 구비한다.
화재감지기(110)는 건축물의 천정면(1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한다. 화재감지기(110)는 정상작동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신호를 수신하는 점검신호 수신부(12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위치마다 장착되어 통신망(50)을 통해 화재수신반(80)으로 화재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망(50)은 유선 또는 무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화재 감지기(110)의 상세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재 감지기(110)는 점검신호 수신부(120), 충전부(125), 화재감지센서(130), 감지소스발생부(132), 반응결과 신호검출부(140), 단말통신부(142), 단말제어부(145)를 구비한다.
점검신호 수신부(120)는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150)로부터 송출되는 점검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제어부(145)에 제공한다.
점검신호 수신부(120)는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150)로부터 송출되는 레이저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검검신호 수신부(120)는 레이저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레이저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단말제어부(145)에 제공하도록 구축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점검신호 수신부(120)는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150)로부터 송출되어 입사된 레이저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태양전지가 적용되고, 충전부(125)는 태양전지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충전하여 화재감지기(110)의 구동전력으로 이용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점검신호 수신부(120)는 입사된 레이저광에 대응되는 태양전지의 충전부(125)로의 출력신호에 대한 파형신호 또는 전압신호를 단말제어부(145)에 점검신호로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화재 감지센서(130)는 열, 연기, 불꽃,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대상 소스로 하여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화재 감지센서(130)는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면 단말제어부(145)에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화재감지센서(130)는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면 화재수신반(80)으로 이어지는 신호전송선(82)을 통해 화재감지신호를 전송하고, 후술되는 반응결과 신호검출부(140)에서 화재감지센서(130)의 화재감지신호 발생유무를 검출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화재 감지센서(130)은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통상으로 적용되는 것을 적용하면 된다.
감지소스 발생부(140)는 화재감지센서(130)에서 감지하는 센싱대상소스를 점검용으로 발생한다. 즉, 감지소스 발생부(130)는 화재감지센서(130)가 열을 감지하도록 구축된 경우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축된다. 이 경우 감지소스 발생부(130)는 단말제어부(145)에 제어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로 구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지소스 발생부(130)는 화재감지센서(130)가 연기를 감지하도록 구축된 경우 연기를 발생시키도록 구축되고, 불꽃을 감지하도록 구축된 경우 불꽃을 발생시키도록 구축되며, 가스를 감지하도록 된 경우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구축된다.
반응결과 신호 검출부(140)는 화재감시센서(130)의 센싱대상 소스에 대한 반응결과 신호를 검출하여 단말제어부(145)에 제공한다.
반응결과 신호 검출부(140)는 화재감지센서(130)로부터 화재감지시 화재수신반(80)으로 이어지는 신호전송선(82)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대응되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예를 들면 화재감지시 스위치온되어 신호전송선(82)을 통해 발생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반응결과 신호로서 단말제어부(145)에 전송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30)에서 발생되는 화재감지신호가 단말제어부(145)에 제공되고 화재감지센서와 화재수신반(80)이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축된 경우 반응결과 신호 검출부(140)는 생략될 수 있다.
단말제어부(145)는 점검신호 수신부(120)로부터 점검신호가 수신되면 감지소스 발생부(140)로부터 센싱대상 소스가 발생되게 제어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45)는 반응 결과신호 검출부(140)로부터 수신된 반응결과 신호를 단말 통신부(142)를 통해 원격검사 신호 송출기(150)로 전송한다.
또 다르게는 단말제어부(145)는 반응 결과신호 검출부(140)로부터 수신된 반응결과 신호를 단말 통신부(142)를 통해 화재 수신반(80)으로 전송한다.
이와는 다르게, 화재감지센서(130)에서 화재감지신호를 단말제어부(145)에 제공하도록 구축된 경우 단말제어부(145)는 화재감지센서(130)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단말통신부(142)를 통해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150)로 점검신호에 대한 화재감지센서(130)의 반응결과에 대한 응답정보가 원격검사 신호 송출기9150)로 송출되게 처리한다.
한편,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150)는 화재 감지기(110)의 정상작동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신호를 화재감지기(110)의 점검신호 수신부(120)로 송출하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150)는 레이저 발생부(160), 조작부(170), 표시부(175), 점검통신부(180), 점검제어부(190) 및 기억부(195)를 구비한다.
레이저 발생부(160)는 점검제어부(190)에 제어되어 점검신호로서 레이저광을 를 송출한다.
조작부(170)는 점검신호 발생을 포함한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175)는 점검제어부(190)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점검통신부(180)는 단말통신부(14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제어부(145)에 제공한다.
기억부(195)는 점검 제어부(190)에 제어되어 기록대상 정보를 기록한다.
점검제어부(190)는 조작부(170)로부터 점검신호 발생 지시신호가 수신되면 레이저 발생부(160)로부터 레이저 점검신호에 해당하는 레이저광이 송출되게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발생부(160)에서 발생되는 점검신호는 레이저광이 온/오프 발생되면서 생성되는 펄스코드신호가 적용된다. 이 경우 화재감지기(110)는 외부 노이즈광 또는 의도하지 않은 레이저광과 점검신호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화재감지기(110)의 단말제어부(145)는 점검신호수신부(120)로부터 점검신호가 수신되면 화재감지센서(130) 및 또는 반응결과신호검출부(140)로부터 정상적인 화재감지 반응신호가 제공되면 고유식별정보 및 정상반응정보를 포함한 응답정보를 단말통신부(142)를 통해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150)로 송출하고, 원격검사신호 송출기(150)의 점검제어부(190)는 점검통신부(180)를 통해 수신된 응답정보를 기억부(195)에 점검일시와 함께 점검 결과정보로 기록처리한다. 기억부(195)에 기록된 점검결과 기록정보는 원격검사신호 송출기(150)의 통신인터페이스(미도시) 또는 점검통신부(180)를 통해 관리대상 단말기 또는 서버로 송출이 지원되게 구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에 의하면, 점검대상 화재감지기의 설치 높이에 대한 점검제약을 해소함과 아울러 점검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화재감지기 120: 점검신호 수신부
125: 충전부 130: 화재감지센서
132: 감지소스발생부 140: 반응결과 신호검출부
142: 단말통신부 145: 단말제어부
150: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 160: 레이저 발생부
170: 조작부 175: 표시부
180: 점검통신부 190: 점검제어부
195: 기억부

Claims (6)

  1. 건축물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와;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정상작동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신호를 상기 화재감지기에 송출하는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로부터 점검신호를 수신하는 점검신호 수신부와;
    열, 연기, 불꽃,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대상 소스로 하여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감지하는 센싱대상소스를 점검용으로 발생하는 감지소스 발생부와;
    상기 점검신호 수신부로부터 점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감지소스 발생부로부터 센싱대상 소스가 발생되게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센서의 센싱대상 소스에 대한 반응결과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단말제어부에 제공하는 반응결과 신호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반응 결과신호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반응결과 신호를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검사 신호 송출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결과 신호 검출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시 화재수신반으로 이어지는 신호전송선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단말제어부에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검사신호 송출기는
    점검신호로서 레이저광을 송출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점검신호 발생을 지시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점검신호 발생 지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레이저 점검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하는 점검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검신호 수신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송출되는 레이저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점검신호는 레이저광이 온/오프 출사되면서 생성되는 펄스코드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신호 수신부는 입사된 레이저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태양전지가 적용되고,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충전하여 화재감지기의 구동전력으로 이용하는 충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KR1020210044631A 2021-04-06 2021-04-06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KR102545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631A KR102545061B1 (ko) 2021-04-06 2021-04-06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631A KR102545061B1 (ko) 2021-04-06 2021-04-06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72A true KR20220138672A (ko) 2022-10-13
KR102545061B1 KR102545061B1 (ko) 2023-06-16

Family

ID=8359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631A KR102545061B1 (ko) 2021-04-06 2021-04-06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0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565A (ja) * 2001-03-22 2002-09-27 Hochiki Corp 防災監視設備及び複合型警報器
JP2007011987A (ja) * 2005-07-04 2007-01-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393517B1 (ko) * 2012-12-18 2014-05-14 주식회사 하이맥스 연기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00105563A (ko) * 2019-02-28 2020-09-08 양성환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KR20200105564A (ko) * 2019-02-28 2020-09-08 양성환 화재감지기 점검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565A (ja) * 2001-03-22 2002-09-27 Hochiki Corp 防災監視設備及び複合型警報器
JP2007011987A (ja) * 2005-07-04 2007-01-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393517B1 (ko) * 2012-12-18 2014-05-14 주식회사 하이맥스 연기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00105563A (ko) * 2019-02-28 2020-09-08 양성환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KR20200105564A (ko) * 2019-02-28 2020-09-08 양성환 화재감지기 점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061B1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7540B2 (en) Wireless linking of smoke/CO detection units
KR101615933B1 (ko)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20150136962A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950793B1 (ko) 소방전용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
KR102221843B1 (ko) 자가 점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KR101984624B1 (ko) 유선식 화재감지기의 보조 화재경보 시스템
KR102072985B1 (ko) 재난감지 및 재난방재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30094097A (ko)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KR102545061B1 (ko)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지원장치
KR20160146095A (ko) 주택용 화재감지기
KR101102488B1 (ko) 공간적 분석을 이용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1120114B1 (ko) 화재 감지기 무선 연동 시스템
KR101006548B1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
KR102084376B1 (ko) 소방시설의 화재감지기 자동 원격 점검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화재수신기
JP6399572B1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KR20110108038A (ko) 현장 설정 관리가 가능한 p형 수신기를 이용한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93517B1 (ko) 연기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10016666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방법 및 센서
KR20210076694A (ko) 홈 edge 허브를 활용한 공동주택 환경에서 긴급 상황 대응 시스템
KR20120117534A (ko) 온도 감지 광센서를 구비한 선박용 유무선 방재 시스템
JP2020009465A (ja) 支援システム
JP2016118828A (ja) 自動火災報知設備及び火災感知器
KR100661753B1 (ko) 근거리용 무선 화재 경보 장치
KR20070112650A (ko) 소방용 수신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