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645A - sur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in elevator hoist way - Google Patents

sur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in elevator hoist 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645A
KR20220138645A KR1020210044563A KR20210044563A KR20220138645A KR 20220138645 A KR20220138645 A KR 20220138645A KR 1020210044563 A KR1020210044563 A KR 1020210044563A KR 20210044563 A KR20210044563 A KR 20210044563A KR 20220138645 A KR20220138645 A KR 20220138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main frame
scaffold
front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0090B1 (en
Inventor
유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디
Priority to KR102021004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90B1/en
Publication of KR2022013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6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Landscapes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nd, more specifically, to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which can firmly support scaffolding installed in an elevator hoistway,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work in the elevator hoistway and enabling scaffolding for work to be easily installed in each floor of a building.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comprises: a main frame provided inside a floor adjacent to an elevator hoistway; a first front plate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main frame; and horizontal installation pip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plate to be located inside the floor. Support pipes for communicating with the elevator hoistway and supporting the scaffolding are inserted into front ends of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ipe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sur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in elevator hoist way}BACKGROUN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진행하는 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각 층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시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not only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work carried out in the elevator hoistway by firmly supporting the scaffold installed in the elevator hoistway, but also to provide a scaffold for work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It relates to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용 레일과 바란스 웨이트용 레일, 그리고 배선케이블 등 여러 가지 시설을 엘리베이터 홀안에 장착하여야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install an elevator in a high-rise building, various facilities such as elevator rails, balance weight rails, and wiring cables must be installed in the elevator hall.

그러나, 주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홀은 지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 수직으로 관통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시설물은 장착하기 위해서는 작업보조시설이 필요하며, 이에대한 종래의 방법을 보면 최하층으로부터 건축용 비계를 조립 설치한후 그 위에 각목으로 작업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통례였다.However, as is well known, since the elevator hall penetrates vertically from the ground floor to the uppermost floor, a work auxiliary facility is required to install the above-mentioned facilities, and i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this, the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is assembled and installed from the lowest floor. After that, it was customary to set up a work platform on top of it with wooden timbers.

다시말해서 수직관통된 에리베이터홀의 내벽에 레일을 부착한다든지 했을때 아래층으로부터 시작하여 최상층까지 작업진행에 따라 비계높이를 그때그때 증축하여 가면서 작업대의 위치를 높여갔던 것이었다.In other words, when attaching rails to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ly penetrating elevator hall, the height of the scaffolding was increased from the lower floor to the top floor as the work progressed, increasing the position of the workbench.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증축해가는 비계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강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결여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이며, 또 이와같은 비계는 설치작업이 본래하고자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작업보다 더큰 작업량이 되는 것일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설치작업이 끝난 후, 철거작업이 향상 뒤따르기 때문에 자재의 손실은 물론 비용 및 인력의 낭비가 심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scaffolding being expanded has a limit in strength as the height increases, so it lacks safety. After the elevator installation work is finished, the demolition work is followed by improvement, so material loss as well as cost and waste of manpower are severe.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고특허 제10-1996-0004045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전,후방의 가로대(11,12)와 좌, 우측의 세로대(13,14)를 사각형으로 연결하되, 각각의 내봉과 외봉파이프로서 길이조절이 가능토록한 후 각자 안쪽으로 다수의 걸고리(15)를 마련해 망체(2)를 긴장되게 걸어주며, 상기한 전방가로대(11)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다리(16)를 일체로 부착하고, 그 중단에는 클램핑기구(3)를 마련하며, 상기한 좌우측 세로대(13,14)의 후단끝에는 한쌍의 버팀기구(4)를 각각 후방으로 돌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04045 as shown in FIGS. 1 and 2 has been proposed, and its technical features are the front and rear crossbars 11 and 12 and Connect the left and right vertical bars (13,14) in a square shape, and after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as each inner rod and outer rod pipe, provide a number of hooks (15) inside each to hang the mesh (2) tensely. , A pair of vertical legs 16 are integral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front crossbar 11, respectively, a clamping mechanism 3 is provided at the middle end, and a pair of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bars 13 and 14 It is characterized by protruding the support mechanism (4) to the rear, respectively.

그런데, 한국공고특허 제10-1996-0004045호에 기재된 기술은 설치작업이 어려운 비계증축을 하지 않고도 원하는 임의의 층에서 홀의 넓이에 구애받지 않고 곧바로 펼쳐서 지지시킨 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각층의 바닥면의 단부에 상하로 구비되는 바 형상의 클램핑기구(3)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대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04045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fter directly spreading it and supporting it on any desired floo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hall without having to expand the scaffolding, which is difficult to install, but Since the bar-shaped clamping mechanism 3 provided up and down at the end of the bottom surface is not firmly fixed, there is a risk that the work table may fall.

한국공고특허 제10-1996-0004045호Korea Publication No. 10-1996-000404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단에 승강로 위에 위치하도록 제1전면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전면판의 양측에는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되 전방이 승강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 설치관에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를 삽입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in frame to be positioned inside the floor adjacent to the elevator hoistway, and to provide a first front plate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to be positioned on the hoistway. and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floor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installed so that the front communicates with the hoistway so that a support pipe for supporting the scaffol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the eleva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that can stably support a scaffold installed inside the hoistwa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수평 설치관이 구비되어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 작업용 비계 설치시 수직형 지지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설치관은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층간 지지 파이프를 이동시 수직 설치관을 통하여 이동시키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지지 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main frame located inside the floor adjacent to the elevator hoistway, and additionally install a support pipe for supporting the scaffold installed in the hoistway. Not only can it be supported stably, but it can also be easily installed with a vertical support pipe when the scaffolding for separate work is installed, and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is formed to penetrate the floor up and down, so that when moving the interlayer support pipe, it can be moved through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It is to provide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that allows the support pipe to be moved more easi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se problems;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전면판과,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전면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설치관의 전단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연통되어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ain frame provided inside the floor adjacent to the elevator hoistway, a first front plat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and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plate to be located inside the floor, ,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elevator hoistway,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ipe for supporting the scaffold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관이 바닥을 상하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ain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floor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보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전단에는 제2전면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전면판의 일측에는 수평 설치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uxiliary fram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front plate is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auxiliary frame, and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ront plate.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는 메인 간격조절바가 측방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가 삽입되는 보조 간격조절바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와 보조 간격조절바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공에는 간격 조절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ain gap adjusting ba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so as to be drawn out laterally, and an auxiliary gap adjusting bar into which the main gap adjusting bar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frame. An adjustment hole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and a gap adjustment pin is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hole.

한편, 상기 제2전면판의 타측에는 수직 연장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직 연장부의 전면에는 추락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을 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ront plate, a vertical extension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and a support bracket to which a support constituting the fall prevention device is hinged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vertical extension.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후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작동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전부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지지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is installed at the inner rear of the main frame, and a direction changing roller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re connecting the actuator and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do.

또한, 상기 제2전면판과 지지 브라켓 사이에는 보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전면을 모두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einforc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front plate and the support bracket,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to cover both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second front plat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단에 승강로 위에 위치하도록 제1전면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전면판의 양측에는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되 전방이 승강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 설치관에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를 삽입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a main frame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floor adjacent to the elevator hoistway, and a first front plate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to be positioned on the hoistway, and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plate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floor but installed so that the front communicates with the hoistway to insert and fix a support pipe for supporting the scaffold i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thereby stably installing the scaffold installed in the elevator hoistway It has a supportive effect.

그리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수평 설치관이 구비되어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 작업용 비계 설치시 수직형 지지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설치관은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층간 지지 파이프를 이동시 수직 설치관을 통하여 이동시키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지지 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main frame located inside the floor adjacent to the elevator hoistway, and additionally install a support pipe for supporting the scaffold installed in the hoistway to support it more stably Not only can it be done, but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vertical support pipe when installing the scaffolding for separate work, and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is formed to penetrate the floor up and down, so that the interlayer support pipe is moved through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when moving.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support pipe to be easily moved.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비계 지지용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비계 지지용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installation removable workbench.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installation removable workbench.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hoistway to which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upport pipe for supporting a scaffold is installed in a scaffold supporting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support pipe for supporting a scaffold is installed in a scaffold supporting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upport pipe for installing a work scaffold is installed in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비계 지지용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비계 지지용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의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hoistway to which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levator hoistway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upport pipe for supporting scaffolding is installed in a supporting structur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supporting pipe for supporting scaffolding is installed in a scaffolding supporting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upport pipe for installing a work scaffold is installed in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전면판(110)과 상기 제1전면판(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310)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for supporting a scaffold installed in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 and a first front plate 110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00 and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3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plate 110 .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내측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면에는 그 형상이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설치관(310)은 상기 제1전면판(110)의 양측 후면에 설치되어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Here, the main frame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mpty pipe inside, and although the shape is shown as a square pipe in the drawings,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310 is the first front surface.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plate 110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floor.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설치관(310)의 전단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승강로에서 작업을 위하여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510)의 단부가 삽입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31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elevator hoistway, and the end of the support pipe 510 for supporting the scaffold installed for work in the hoistway is inserted. .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서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비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의 위험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performing work in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hoistway, by allowing the scaffold to be installed for the safety of the worker to be more firmly fixed, the worker can work stably without the risk of falling.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관(3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 설치관(320)은 메인 프레임(100)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개방된 상부는 바닥의 상부로 노출된다.In addition, vertical installation pipes 320 are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0 at regular intervals.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s 320 are install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main frame 100 so that the open upper part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oor. do.

여기서, 상기 수직 설치관(320)에도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거나 고정하기 위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5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파이프(520)는 'T'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도어를 통하여 승강로 내측으로 삽입되어 비계를 지지하게 된다.Here, as shown in FIG. 6 to support or fix the scaffold installed in the elevator hoistway also in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320, a support pipe 520 is installed, and the support pipe 520 is a 'T' shape. Alternatively, it is formed in a '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hoistway through the door of the elevator hoistway to support the scaffold.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보조 프레임(200)이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 프레임(200) 역시 메인 프레임(100)처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Meanwhile, auxiliary frames 20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00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auxiliary frames 200 are also formed in a pipe shape like the main frame 100 .

여기서, 상기 보조 프레임(200)의 전단에는 제2전면판(210)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전면판(210)의 일측에는 수평 설치관(3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평 설치관(310)은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전단은 개방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Here, a second front plate 21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frame 200 , and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3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ront plate 210 ,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310 . i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floor, the front end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elevator hoistway.

따라서, 상기 제2전면판(210)에 설치된 수평 설치관(310)에도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510)의 단부가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비계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nd of the support pipe 510 for supporting the scaffold is also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310 installed on the second front plate 210 to more firmly support the scaffold.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메인 간격조절바(120)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200)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120)에 대응되도록 보조 간격조절바(220)가 형성된다.An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00, the main gap adjusting bar 12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side, an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frame 200, the auxiliary gap adjusting bar to correspond to the main gap adjusting bar (120) 220 is formed.

여기서,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120)는 상기 보조 간격조절바(2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데,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120)와 보조 간격조절바(2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조절공(122,222)이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된다.Here, the main gap adjusting bar 1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auxiliary gap adjusting bar 220 and slidingly moved. The adjustment holes 122 and 222 ar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at intervals.

이때, 상기 조절공(122,222)에는 조절핀(미도시)이 삽입되어 메인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200)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폭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치하게 된다.At this time, an adjustment pin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holes 122 and 222 to adjust and fix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frame 100 and the auxiliary frame 200, so that the adjustment is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loor adjacent to the elevator hoistway. will install it.

이러한 본 발명의 메인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200)은 건물 또는 구조물을 설치할 때,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처음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거나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작업시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작업용 비계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The main frame 100 and the auxiliary fram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erted and installed when installing a building or structure, so that the first elevator is installed or when working in the elevator hoistway for maintenance of the elevator, more easily and strongly for work By allowing scaffolding to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safety of workers.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200)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관(3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 설치관(310)은 보조 프레임(200)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T'자나 'ㄱ'자 형상의 지지파이프(520)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안정적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vertical installation pipes 320 are installed in the auxiliary frame 200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s 310 are install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auxiliary frame 200 to form a 'T' or 'L' shap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scaffold installed in the elevator hoistway by installing the support pipe 520 of the.

이때, 상기 보조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수직 설치관(310)은 모두 바닥을 완전히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각 층에 위치하는 수직 설치관(31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At this time, all of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s 310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200 and the main frame 100 are installed to completely penetrate the floor up and down, and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s 310 located on each floor correspond to each other. will be installed in place.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하기 위한 비계뿐만 아니라 복도에 작업을 위하여 비계를 설치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에 위치하는 수직 설치관(320)에 지지파이프(530)를 삽입하여 작업용 비계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installing scaffolds for work in corridors as well as scaffolds for installation in the elevator hoistway, as shown in FIG. 7, by inserting the support pipe 530 into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320 located on each floor for work Scaffolding can be installed.

여기서, 한 층의 작업이 끝나고 다른 층으로 비계를 이동시킬 때,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수직 설치관(320)을 통하여 지지파이프(530)를 상부 또는 하부의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량을 줄여주게 된다.Here, when the work of one floor is finished and the scaffolding is moved to another floor, the support pipe 530 is moved to the upper or lower floor through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320 installed to penetrate the floor without using stairs or elevators. It can be moved to reduce the amount of work.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파이프(520,530)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직 설치관(320)에는 마개(미도시)를 구비하여 층간을 차단하여 이물질 등이 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upport pipes 520 and 530 are not installed, a stoppe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320 to block the interlay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moving between the floors. .

그리고, 상기 제2전면판(210)의 타측에는 수직 연장부(212)가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 연장부(212)의 전면에는 추락방지장치(400)가 설치된다.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ront plate 210, the vertical extension 212 is formed so as to extend downward, the front of the vertical extension 212, the fall prevention device 400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추락방지장치(40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하여 일반인이나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추락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주어 부상을 최소화하게 된다.Here, the fall prevention device 400 detects and unfolds when an ordinary person or a worker falls through the elevator hoistway, thereby reducing the impact generated during a fall and minimizing injuries.

이때, 상기 추락방지장치(400)는 추락시 작동하여 충격을 줄여주기 위한 지지대(430)와 상기 지지대(430)의 하단이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브라켓(420)은 상기 수직 연장부(2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4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all prevention device 400 is made to include a support 430 for reducing the impact by operating during a fall, and a support bracket 420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430 is installed by a hinge coupling, the support The bracket 42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extension 212 to stably support the support 430 .

한편, 바닥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대(4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410) 및 제어장치(미도시)가 내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줄여 줌으로써, 작업자가 승강로 내에서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frame 100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floor is formed in a hollow pipe shape inside as described above, and an actuator 410 and a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430 . is installed on the inside to reduce the portion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breakdowns that may occur when the operator works in the hoistway.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410)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츄에이터(410)의 단부에는 지지대(430)와 연결되어 지지대(430)의 절첩을 제어하는 와이어가 연결된다.Here, the actuator 410 is made of a cylinder or the like, and an end of the actuator 4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430 and a wire for controlling the folding of the support 430 is connected.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410)는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 후부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 전부에는 와이어의 방향을 양측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 롤러(440)가 설치되어 지지대(430)의 절첩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ctuator 410 is install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440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re to both sides is installed on the front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100. The folding of the 430 is controlled stably.

즉, 엘리베이터 승강로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추락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구비되는데, 상기 감지 센서에서 추락을 감지할 경우, 각 층에 구비되는 추락방지장치(400)의 제어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장치는 액츄에이터(410)를 작동시켜 지지대(430)가 펼쳐지도록 하여 추락자가 지지대(430)에 부딛혀 추락하는 속도를 줄이거나 지지대(43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최악의 상황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the elevator hoistway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fall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a fall,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400 provided on each floor transmits, and the control device operates the actuator 410 so that the support 430 is unfolded to reduce the speed of the person falling by hitting the support 430 or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430, so that the worst situation will prevent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전면판(110)과 보조 프레임(200)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2전면판(210)의 전체를 커버하는 보강 플레이트(540)가 구비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front plate 110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second front plate 210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frame 200 . )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late 540 covering the entirety.

여기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5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전면판(110)과 제2전면판(210)의 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540)의 양측에는 추락 방지 장치(400)를 구성하는 지지 브라켓(420)이 각각 설치되어, 지지 브라켓(4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reinforcing plate 5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all of the first front plate 110 and the second front plate 210 , and the fall prevention device 4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late 540 . ) constituting the support brackets 420 are installed, respectively, so that even if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bracket 420 increases, it can be stably suppor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os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진행하는 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각 층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시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not only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work carried out in the elevator hoistway by firmly supporting the scaffold installed in the elevator hoistway, but also to provide a scaffold for work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It relates to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100 : 메인 프레임 110 : 제1전면판
120 : 메인 간격조절바 200 : 보조 프레임
210 : 제2전면판 220 : 보조 간격조절바
310 : 수평 설치관 320 : 수직 설치관
400 : 추락방지장치 410 : 액츄에이터
420 : 지지 브라켓 430 : 지지대
440 : 방향전환롤러 510,520,530 : 지지파이프
540 : 보강 플레이트
100: main frame 110: first front panel
120: main gap adjustment bar 200: auxiliary frame
210: second front panel 220: auxiliary gap adjustment bar
310: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320: vertical installation pipe
400: fall prevention device 410: actuator
420: support bracket 430: support
440: direction change roller 510, 520, 530: support pipe
540: reinforcement plate

Claims (7)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전면판과,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전면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설치관의 전단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연통되어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A main frame provided inside the floor adjacent to the elevator hoistway;
a first front plat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It consists of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plate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floor,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communicates with the elevator hoistway, and a support pipe for supporting the scaffold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관이 바닥을 상하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is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installation pipe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floor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보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전단에는 제2전면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전면판의 일측에는 수평 설치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uxiliary fram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front plate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frame,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installation pip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ront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는 메인 간격조절바가 측방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가 삽입되는 보조 간격조절바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와 보조 간격조절바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공에는 간격 조절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4. The method of claim 3,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main gap adjustment bars are formed to be drawn out laterally,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frame, an auxiliary interval adjustment bar into which the main interval adjustment bar is inserted is formed,
Adjusting holes are formed in the main gap adjusting bar and the auxiliary gap adjusting bar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characterized in that a gap adjusting pin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판의 타측에는 수직 연장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직 연장부의 전면에는 추락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4. The method of claim 3,
A vertical extension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ront plate to extend downward,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bracket to which a support constituting a fall prevention device is hinged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extension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후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작동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전부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지지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A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frame,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characterized in that a direction changing roller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a wire connecting the actuator and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entir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판과 지지 브라켓 사이에는 보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전면을 모두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A reinforc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front plate and the support bracket,
The reinforcing plate is a scaffol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hoistw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cover both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second front plate.
KR1020210044563A 2021-04-06 2021-04-06 sur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in elevator hoist way KR1026200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63A KR102620090B1 (en) 2021-04-06 2021-04-06 sur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in elevator hoist 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63A KR102620090B1 (en) 2021-04-06 2021-04-06 sur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in elevator hoist 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45A true KR20220138645A (en) 2022-10-13
KR102620090B1 KR102620090B1 (en) 2024-01-02

Family

ID=8359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563A KR102620090B1 (en) 2021-04-06 2021-04-06 sur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in elevator hoist 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09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045A (en) 1994-07-29 1996-02-23 전성원 Fault prediction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and its method
JPH0899781A (en) * 1994-09-30 1996-04-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Scaffold board for lower side work in elevator shaft
KR101944307B1 (en) * 2018-10-01 2019-01-31 유종길 a fall-prevention system for an elevator hoist w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045A (en) 1994-07-29 1996-02-23 전성원 Fault prediction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and its method
JPH0899781A (en) * 1994-09-30 1996-04-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Scaffold board for lower side work in elevator shaft
KR101944307B1 (en) * 2018-10-01 2019-01-31 유종길 a fall-prevention system for an elevator hoist 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090B1 (en)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032B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US9611663B2 (en) Self-lifting concrete form adapted to accommodate horizontal reinforcing steel
EP2246288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goods, and use thereof
US20100122872A1 (en) Scaffold elevator
AU2019409113B2 (en) Building site device having a climbing formwork and an elevator system
US20190194957A1 (en) Telescoping Break-Away Canopy Assembly
KR102212061B1 (en) Elevator hoistway fall prevention device
CN110259088B (en) Method for erecting external protection scaffold of building with twisted vertical face
US6145630A (en) Sliding elevator-door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098490B2 (en) Self-lifting concrete form with platform adapted to accommodate horizontal reinforcing steel
AU2021107613A4 (en) A perimeter safety screen assembly
KR20220138645A (en) sur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in elevator hoist way
CN210659200U (en) High-rise building elevator shaft operation platform
CN210976461U (en) Integrated integral construction platform in elevator shaft
KR100583785B1 (en) Construction-material lift being installed at the outside of the construction-structure
KR101541044B1 (en) Gondola for post-tension construction
KR101111234B1 (en) Elevator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construction workbench
KR101725899B1 (en) Separated climbing formwork apparatus
KR20180073829A (en) Bridge of tower crane
JP4011722B2 (en) Hanging stairs
KR200356598Y1 (en) Construction-material lift being installed at the outside of the construction-structure
JP2002020051A (en) Working floor device in pit for elevator
KR101031313B1 (en) The construction workbench for an elevator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CN219471499U (en) Hanging basket device for heightening and erecting building top layer
JPH06305657A (en) Elevator and its elevator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