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199A -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 Google Patents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199A
KR20220138199A KR1020210044040A KR20210044040A KR20220138199A KR 20220138199 A KR20220138199 A KR 20220138199A KR 1020210044040 A KR1020210044040 A KR 1020210044040A KR 20210044040 A KR20210044040 A KR 20210044040A KR 20220138199 A KR20220138199 A KR 20220138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nel
indoor space
panel body
p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찬
Original Assignee
허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찬 filed Critical 허찬
Priority to KR102021004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199A/ko
Publication of KR2022013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두께의 살균수단을 사용함과 아울러 별도의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 대류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과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에 있어서, 하부에 공기유입부(11)가 구비되고 상부에 공기배출부(12)가 구비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본체(10); 공기유입부(11)와 공기배출부(12) 사이에 배치되도록 패널본체(10)에 구비되며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살균 정화하는 공기정화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부(20)는 자외선을 방사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UV-A 램프(21)와, 표면에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된 복수의 글래스비드가 압착되어 형성되며 UV-A 램프(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촉매 필터(22)를 포함하며, 상기 UV-A 램프(21)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자연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Non-Power Air Sterilizing Pannel for Deviding Indoor Space}
본 발명은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두께의 살균수단을 사용함과 아울러 별도의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 대류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과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을 여러 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가벽으로 칸막이와 같은 실내 공간 분할용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 공간 분할용 패널은 하부는 바닥에 밀착되고 상부는 천장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 사이에 단열재를 배치함으로써 공간 사이에서 단열 및 방음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실내 공간 분할용 패널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분할하게 되면, 전원선이 패널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침은 물론 외부로 노출된 전원선의 피복이 벗겨질 경우 감전 및 화재의 위험성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실내 공간 분할용 패널에 전원선을 내장함으로써 노출된 전기선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실내 공간 분할용 패널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분할할 경우 창문에 면한 공간의 경우에는 환기가 자유롭게 이루어지지만, 창문이 없는 공간의 경우에는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기가 급속하게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 분할용 패널의 내부에 송풍팬과 공기정화시설을 설치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정화하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실내 공간 분할용 패널의 내부에 송풍팬과 공기정화시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해 패널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송풍팬과 공기정화시설의 설치로 인해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송풍팬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킴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국내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실내공간을 필요에 알맞도록 구획하며, 발포성합성수지의 양측에 합성수지표면재가 부착되고, 상기 합성수지표면재의 외면에 초배지가 일체로 압착되는 한편, 상기 발포성합성수지 및 합성수지표면재는 결합수단을 구성하는 결합홀더로 관통된 후 상기 결합홀더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구에 의해 견고한 결속상태를 이룸으로써, 칸막이의 외면에 도배지를 발라 미려한 분위기를 연출함은 물론 단열성이 뛰어나고, 전체적인 중량이 가벼워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며, 상기 칸막이를 결합수단을 매개로 견고하게 결속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내 단열 겸용 칸막이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연기 또는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닥부가 하향 경사진 정화통 내부에는, 하부 일측에 각각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칸막이를 등간격으로 다단 설치하고, 상기 정화통의 최하부측에는 배수구를 형성하며, 승하강하면서 상기 배수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판을 상기 배수구의 앞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조절판의 상부에는 상기 정화통에 고정된 작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배수구의 하부에는 배출관을 갖는 저수통을 위치시키고, 상기 정화통의 배수구 위치 반대측 상부에는 급수관을 연결하며, 상기 급수관과 상기 저수통의 배출관을 펌프를 갖는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물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 정화통과 칸막이의 사이 또는 상기 각 칸막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걸름망을 삽탈가능하게 각각 위치시키며, 상기 정화통의 상부에 뚜껑을 덮어 각 칸막이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 또는 개방 토록 하고, 상기 각 칸막이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의 공간부 상부 뚜껑에는 주입구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공간에 알콜 또는 기름을 주입 토록 하며, 상기 알콜 또는 기름이 주입된 공간부의 측벽 상부에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알콜 또는 기름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알콜 또는 기름과 함께 배출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정화통의 최상단부에는 연기 또는 공기주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정화통의 최하단부 측과 칸막이 사이의 공간 상부로 통하도록 상기 뚜껑에는 연기 또는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연기 또는 공기정화장치를 구성하여 소각장, 공장, 건축물 또는 아파트, 발전소, 지하철과 같은 장소에서 발생되는 연기, 실내 또는 차량의 연기,또는 차량내 공기, 외부공기를 연기 또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하면 상기 주입된 연기 또는 공기속의 오염물질이 물과 알콜 또는 기름에 용해되어 제거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깨끗한 연기 또는 공기는 상기 정화통의 최하단부 측과 칸막이 사이의 공간 상부에 모였다가 상기 연기 또는 공기배출구를 통해 대기중으로, 소각장의 외부 또는 발전소의 외부 또는 건축물의 실내 또는 외부로 또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로, 또는 각종 운송수단 내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오염물질을 포함한 물은 각 칸막이 하부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폭기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이용한 연기 또는 공기정화장치를 통해 오염된 연기 또는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평판; 일정 두께의 판재가 그 단면이 'ㅁ'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배선공간을 형성한 프레임과, 프레임의 일측면에 다수 개의 톱니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두 개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칭되게 형성된 삽입돌부와, 삽입돌부와 반대편의 프레임에 톱니와 체결되고, 두개가 대칭되게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된 연결부재;로 구성되며, 칸막이를 형성하는 벽체의 내부에 전기 배선을 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고, 벽체와 벽체의 결합 구조가 단순한 요철 결합이 아닌 다수의 돌기에 의한 치합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벽체와 벽체의 연접부를 은폐시키는 가림판의 구조를 가진 배선공간이 형성된 칸막이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내부 공간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흡입구; 천장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구비된 송풍기를 통해 내부 공간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미세먼지필터와 정화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장치; 내부에 덕트가 구비되고 내부 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덕트에 연통된 공기토출구가 구비되며 내부 공간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조립식패널; 상기 흡입구와 정화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흡기유로; 상기 조립식패널의 상단부와 정화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정화장치에서 정화된 공기가 상기 조립식패널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며 출구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는 배기유로; 내부 공간에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실내공기센서부; 및 상기 실내공기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정화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구획된 내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초미세먼지 정화용 조립식패널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5는, 사각 형상을 이루는 패널본체와; 상기 패널본체의 전면에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에 형성되어 실내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안내되도록 패널본체 내부에 형성된 안내통로와; 상기 안내통로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과정에서 이물질의 집진이 이루어지는 집진필터;를 포함하며, 실내 공기에 포함된 황사,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의 지속적인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실내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패널을 개시하고 있다.
KR 20-0397312 Y1 KR 10-2007-0097385 A KR 10-1446884 B1 KR 10-2044104 B1 KR 10-2185984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살균수단을 사용함과 아울러 별도의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 대류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살균수단 사용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에 있어서, 하부에 공기유입부가 구비되고 상부에 공기배출부가 구비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본체;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패널본체에 구비되며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살균 정화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부는 자외선을 방사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UV-A 램프와, 표면에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된 복수의 글래스비드가 압착되어 형성되며 UV-A 램프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UV-A 램프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자연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입부는 전면에 복수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부는 전면에 복수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부의 전면에 내부를 밀폐하도록 패널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따르면, 상기 패널본체의 하부에 한 쌍의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패널본체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아웃베이스 채널과, 하단 부분에 높이조절볼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가 아웃베이스 채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베이스 채널과, 높이조절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지지하도록 패널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베이스 리테이너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따르면, 상기 패널본체의 상단에 천정에 밀착되는 실링 채널(Ceiling Channel)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본체의 상하 길이는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은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촉매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살균 정화함은 물론 자외선 램프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자연대류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공기순환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및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따르면, 공기정화부의 전면에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공기정화부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따르면, 패널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부의 높이조절볼트를 이용하여 패널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너베이스 채널과 아웃베이스 채널을 통해 높이조절볼트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미감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따르면, 패널본체의 상하길이를 가변적으로 함에 따라 실내 공간의 높이에 무관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패널본체의 상부에 실링채널이 구비됨에 따라 천장과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전선 등의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의 수평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의 수평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에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에 있어서, 하부에 공기유입부(11)가 구비되고 상부에 공기배출부(12)가 구비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본체(10)와; 공기유입부(11)와 공기배출부(12) 사이에 배치되도록 패널본체(10)에 구비되며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살균 정화하는 공기정화부(20)와; 상기 패널본체(10)를 지지하도록 패널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30); 및 상기 패널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천정에 밀착되는 실링 채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패널본체(10)에 구비되는 공기유입부(11) 및 공기배출부(12)는 패널본체(10)의 일측에만 형상될 수도 있고,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본체(10)의 상하 길이는 실내 공간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가변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널본체(10)의 내부에는 공기정화부(20)를 형성하는 UV-A 램프(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13)과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본체(10)의 공기유입부(11)를 통해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정화부(20)에서 살균 및 정화된 후 공기배출부(1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부(20)는 자외선을 방사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UV-A 램프(21)와, 표면에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된 복수의 글래스비드가 압착되어 형성되며 UV-A 램프(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촉매 필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기정화부(20)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정화부(20)의 전면에는 커버(25)가 구비되어 상기 패널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25)는 공기정화부(20)로부터 미처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내부를 밀폐할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부(11)에서 공기정화부(20)로 유입된 공기는 광촉매필터(22)에 형성된 다수의 공극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UV-A 램프(2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필터(22)의 이산화티타늄에 의해 살균 및 정화된다. 그리고, 살균 정화된 공기는 공기정화부(20)로부터 상기 공기배출부(21)로 공급된 후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UV-A 램프(21)에 의해 공기가 가열됨에 따라 온도 차이에 의해 자연 대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공기 순환을 위한 별도의 송풍팬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즉, 상기 UV-A 램프(21)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상승 이동하는 대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공기정화부(20)의 하부에 위치한 공기유입부(11)에는 부압이 작용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정화부(20)의 상측에 위치한 공기배출부(12)에는 정화된 공기의 유입에 따른 양압이 작용하여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부(11)는 전면에 복수의 공기유입구(11a)가 형성되는 것으로, 패널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한 한 쌍의 지지부재(11b)가 상하에 각각 배치되고, 상측에 위치한 지지부재(11b)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멍(11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배출구멍(11c)을 통해 상기 공기정화부(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 상기 공기배출부(12)는전면에 복수의 공기배출구(12a)가 형성되는 것으로, 패널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한 한 쌍의 지지부재(12b)가 상하에 각각 배치되고, 하측에 위치한 지지부재(12b)에는 상기 공기정화부(2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12d)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구멍(12d)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배출구(12a)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본체(10)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아웃베이스 채널(31)과, 하단 부분에 높이조절볼트(3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가 아웃베이스 채널(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베이스 채널(32)과, 높이조절볼트(33)에 체결되는 너트부재(34)를 지지하도록 패널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베이스 리테이너 클립(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볼트(33)를 회전시킬 경우 이너베이스 채널(32)이 승강하게 되어, 바닥면으로부터 패널본체(10)의 하단 높이를 조절할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너베이스 패널(32)의 상단부가 아웃베이스 채널(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높이조절볼트(33) 및 너트부재(3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지지부(30)로 인한 미감저하가 방지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패널본체
11...공기유입부
11a...공기유입구
11b...지지부재
11c...공기배출구멍
12...공기배출부
12a...공기배출구
12b...지지부재
12c...공기유입구멍
20...공기정화부
21...UV-A 램프
22...광촉매 필터
25...커버
30...지지부
31...아웃베이스 채널
32...이너베이스 채널
33...높이조절볼트
34...너트부재
35...베이스 리테이너 클립
40...실링 채널

Claims (5)

  1. 실내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에 있어서,
    하부에 공기유입부(11)가 구비되고 상부에 공기배출부(12)가 구비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본체(10);
    상기 공기유입부(11)와 공기배출부(12) 사이에 배치되도록 패널본체(10)에 구비되며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살균 정화하는 공기정화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부(20)는 자외선을 방사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UV-A 램프(21)와, 표면에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된 복수의 글래스비드가 압착되어 형성되며 UV-A 램프(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촉매 필터(22)를 포함하며,
    상기 UV-A 램프(21)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자연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11)는 전면에 복수의 공기유입구(11a)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부(12)는 전면에 복수의 공기배출구(1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20)의 전면에 내부를 밀폐하도록 패널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10)의 하부에 한 쌍의 지지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30)는 패널본체(10)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아웃베이스 채널(31)과, 하단 부분에 높이조절볼트(3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가 아웃베이스 채널(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베이스 채널(32)과, 높이조절볼트(33)에 체결되는 너트부재(34)를 지지하도록 패널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베이스 리테이너 클립(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10)의 상단에 천정에 밀착되는 실링 채널(40)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본체(10)의 상하 길이는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KR1020210044040A 2021-04-05 2021-04-05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KR20220138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40A KR20220138199A (ko) 2021-04-05 2021-04-05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40A KR20220138199A (ko) 2021-04-05 2021-04-05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99A true KR20220138199A (ko) 2022-10-12

Family

ID=8359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040A KR20220138199A (ko) 2021-04-05 2021-04-05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19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312Y1 (ko) 2005-07-20 2005-09-29 박상민 실내 단열 겸용 칸막이
KR20070097385A (ko) 2007-07-27 2007-10-04 한상관 칸막이를 이용한 연기 또는 공기정화장치를 통해 오염된연기 또는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
KR101446884B1 (ko) 2013-12-31 2014-10-06 윤종희 배선공간이 형성된 칸막이
KR102044104B1 (ko) 2018-10-22 2019-11-12 허찬 초미세먼지 정화용 조립식패널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KR102185984B1 (ko) 2020-03-10 2020-12-03 동양디앤에프 주식회사 실내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312Y1 (ko) 2005-07-20 2005-09-29 박상민 실내 단열 겸용 칸막이
KR20070097385A (ko) 2007-07-27 2007-10-04 한상관 칸막이를 이용한 연기 또는 공기정화장치를 통해 오염된연기 또는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
KR101446884B1 (ko) 2013-12-31 2014-10-06 윤종희 배선공간이 형성된 칸막이
KR102044104B1 (ko) 2018-10-22 2019-11-12 허찬 초미세먼지 정화용 조립식패널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KR102185984B1 (ko) 2020-03-10 2020-12-03 동양디앤에프 주식회사 실내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003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CN100350193C (zh) 通风和空气净化装置
RU189481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CN105276720A (zh) 模块化洁净室单元设备
CN2921664Y (zh) 嵌入式空气净化器
KR102311002B1 (ko)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20041031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1992285B1 (ko) 설치공간의 제약을 해소한 공기 청정 순환 장치
KR20140017938A (ko) 환기 시스템
JP2018110689A (ja) 互換性を有する通気継手で連結した清浄・浄化システム
KR20220138199A (ko) 실내 공간 분할용 무동력 공기 살균 패널
KR100821511B1 (ko) 다기능 출입구용 신발털이장치
CN205245406U (zh) 模块化洁净室单元设备
KR101975714B1 (ko) 열회수환기장치
RU18857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KR20140051203A (ko) 소음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0635515B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KR20240010145A (ko) 천장형 실내 공기 청정기
KR101126308B1 (ko) 흡음관이 내장된 직접 급기 방식의 벽걸이형 복합 기능 환기 장치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20210116076A (ko) 실내용 식생부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
CN2786223Y (zh) 用于空调系统可净化室内空气的装饰隔断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102232373B1 (ko) 클린하우스용 자연대류식 악취제거시스템
CN207975795U (zh) 一种室内空气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