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374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374A
KR20220137374A KR1020210043375A KR20210043375A KR20220137374A KR 20220137374 A KR20220137374 A KR 20220137374A KR 1020210043375 A KR1020210043375 A KR 1020210043375A KR 20210043375 A KR20210043375 A KR 20210043375A KR 20220137374 A KR20220137374 A KR 20220137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sources
dots
le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459B1 (ko
Inventor
박진신
김승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459B1/ko
Priority to EP22781570.1A priority patent/EP4314943A1/en
Priority to PCT/KR2022/004413 priority patent/WO2022211451A1/en
Priority to US17/657,338 priority patent/US11703715B2/en
Publication of KR2022013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4Illuminating devices using photoluminescence, e.g. phosphors illuminated by UV or blue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길게 연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광원; 그리고,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에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개의 광원을 커버하고,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면을 형성하고, 위로 볼록한 제1 돔부;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돔부에 이웃하는 제2 돔부;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을 향해 함몰되며, 상기 복수개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연색(True color)에 가까운 색 표현력 또는 색재현력이 중요한 관심을 받고 있으며, 광균일도를 향상시키고, 자연색을 구현하기 위한 화질개선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및 광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라이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향상시키면서 광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길게 연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광원; 그리고,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에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개의 광원을 커버하고,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면을 형성하고, 위로 볼록한 제1 돔부;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돔부에 이웃하는 제2 돔부;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을 향해 함몰되며, 상기 복수개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및 광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백라이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향상시키면서 광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9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및 기판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 내지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시트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forward direction) 또는 전면(front side or fron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rearward direction) 또는 후면(rear side or rea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upper side) 또는 상면(upp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lower side) 또는 하면(low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right side) 또는 우면(right surface)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left side) 또는 좌면(lef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개의 픽셀이 각 픽셀당 RGB(red, green or blue)를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front substrate) 및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전면 기판으로 전달하거나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들(light sources)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130)의 전방에서 프레임(130)과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시트(125, optical sheet)와 광학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23)은 광학 모듈(123) 또는 광학 유닛(123)이라 칭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복수개의 층들(layers)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는 결합부(125d)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프런트 커버(105), 프레임(130) 및/또는 백 커버(1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결합부(125d)는 프런트 커버(105), 프레임(130) 및/또는 백 커버(150) 상에 형성 또는 결합된 구조물에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성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닛(120) 등의 구성이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디스플페이 디바이스(100)의 후면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프레임(130) 및/또는 프런트 커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50)는 레진(resion)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확산판(129)을 포함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122)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랩(strap)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기판(122)상에 실장될 수 있다. 어댑터와 광 어셈블리(124)를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기판(12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어셈블리(124)와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이 기판(122)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기판(122)에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직경은 기판(122)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즉, 기판(122)의 제2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 어셈블리(124)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 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색 LED는 적색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가 기판(122)의 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기판(122)의 광 어셈블리(124)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복수의 통공(235)을 구비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빛을 전면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시트(126)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반사물질인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 및/또는 반사시트(126) 상에 레진이 증착 또는 도포될 수 있다. 레진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산판(129)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확산판(129)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의 후면은 확산판(129)에 밀착되고, 광학 시트(12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밀착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광학 시트(125)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접착 및/또는 밀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제1 내지 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이고, 제 2, 3 광학 시트(125b, 125c)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로부터 나오는 빛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변들 또는 엣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내지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장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는 비대칭(asymmetric)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 측의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의 결합부(125d)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평판부(130P), 그리고 경사부(131,132,133,134)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부(130P)는 프레임(130)의 중앙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30)의 강성향상을 위해서 평판부(130P)는 프레스되어 굴곡이 형성되는 포밍부(130F, 도 8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31,132,133,134)는 프레임(13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경사부(131,132,133,134)는 제1 경사부(131), 제2 경사부(132), 제3 경사부(133), 그리고 제4 경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131)의 엣지는 제1 장변(LS1)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경사부(132)의 엣지는 제2 장변(LS2)을 형성할 수 있고, 제3 경사부(133)의 엣지는 제1 단변(SS1)을 형성할 수 있고, 제4 경사부(134)의 엣지는 제2 단변(SS2)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122)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기판(122)은 프레임(130)의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을 따라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기판(122)의 길이방향은 프레임(130)의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과 나란할 수 있다. 기판(122)은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기판(122)은 프레임(130)의 상하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6개의 기판(122)이 60 미리미터의 간격으로 프레임(130)의 상하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제1 기판(122a), 제2 기판(122b), 그리고 제3 기판(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22a)은 제2 단변(SS2)에 인접하여 제2 단변(SS2)으로부터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에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122c)은 제2 단변(SS2)에 인접하여 제1 단변(SS1)으로부터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에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22b)은 제1 기판(122a)과 제3 기판(122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22a)과 제2 기판(122b)은 제1 영역(A1)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제3 기판(122c)은 제2 영역(A2)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중앙부(1260), 그리고 사이드부(1261,126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1260)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P)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사이드부(1261,1263)는 프레임(130)의 경사부(131,13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기판(12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광 어셈블리(124)는 기판(1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길게 연장된 바 형상(bar-shape)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파워기판(CP1)은 기판들(122a,122b)과 교차하면서 프레임(130, 도 4 참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워기판(CP2)은 프레임(130)과 기판들(122a,12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워기판(CP2)은 프레임(130)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들(CN1,CN2)이 제1 파워기판(CP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기판(122a)은 제1 커넥터(CN1)에 의해 제1 파워기판(CP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122b)은 제2 커넥터(CN2)에 의해 제1 파워기판(CP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 도 3 참조)의 중앙부(1260)는 기판들(122a,12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의 중앙부(1260)는 제1 파워기판(CP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층이 제1 파워기판(CP1) 상에 도포되는 경우, 제1 파워기판(CP1) 상에 반사시트(126)는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파워기판(CP2)은 기판들(122b,122c)과 교차하면서 프레임(1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파워기판(CP2)은 프레임(130)과 기판들(122b,122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파워기판(CP2)은 프레임(130)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들(CN3)이 제2 파워기판(CP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기판(122c)은 제3 커넥터(CN3)에 의해 제2 파워기판(CP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 도 3 참조)의 중앙부(1260)는 기판들(122b,122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의 중앙부(1260)는 제2 파워기판(CP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층이 제2 파워기판(CP2) 상에 도포되는 경우, 제2 파워기판(CP2) 상에 반사시트(126)는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판(122)은 평판부(130P)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평판부(130P)는 홀더들(130H1,130H2)을 구비할 수 있다. 홀더들(130H1,130H2)은 기판(122)의 양측에 접촉하거나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2)은 홀더들(130H1,130H2)에 의해 기판(122) 상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기판(122) 상에 복수개의 광원들(1241)이 실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들(1241)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기판(122) 상에 기판(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241)은 LED일 수 있다.
렌즈(1242)는 광원(1241)을 덮으면서 기판(122) 상에 장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렌즈(1242)는 길게 연장된 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1242)의 길이는 20 내지 25 미리 미터일 수 있고, 렌즈(1242)의 폭은 10 내지 12 미리 미터일 수 있고, 렌즈(1242)의 높이는 3 내지 5 미리 미터일 수 있다. 하나의 렌즈(1242)는 복수개의 광원들(1241)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렌즈(1242)는 4 내지 5개의 광원들(1241)을 덮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광원(1241)에서 제공되는 빛은 렌즈(1242)를 통해 굴절 또는 반사되어 광원(1241) 보다 넓은 지향각으로 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241)은 blue LED일 수 있다. 광원(1241)에서 제공되는 빛은, 예를 들어, 청색 계열의 빛일 수 있다.
반사시트(1260)는 기판(12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0)는 기판(122) 상에 반사물질이 도포되어 기판(122)의 상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광학시트(128)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광원(124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시트(128)는 녹색 계열의 형광체 및/또는 적색 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128)는 QD(Quantum Dot)시트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241)과 광학시트(128)의 거리는 10 미리 미터 이하일 수 있다.
광원(1241)에서 제공되어 렌즈(1242)를 통과한 빛은 반사시트(1260)에서 반사되어 광학시트(128)로 향할 수 있고, 광학시트(128)에서 반사되어 반사시트(1260)를 향하는 빛은 반사시트(1260)에 의해 다시 광학시트(128)로 반사될 수 있다. 광원(1241)에서 제공되는 빛은 렌즈(1242)를 통해 광원(1241)과 광학시트(128) 사이에서 리사이클링(re-cycling)될 수 있다.
광학 패턴(200)은 기판(122)과 렌즈(1242) 사이에서 기판(122) 상에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다. 광학 패턴(200)은 노란색 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패턴(200, optical pattern)은 반사 패턴(200, reflective pattern), 흡광 패턴(200, absorbing light pattern) 또는 변광 패턴(200, changing light pattern)이라 칭할 수 있다. 광학 패턴(200)은 다양한 형상으로 기판(12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제공되는 빛의 색차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원(1241)은 기판(122)의 길이방향에서 기판(122) 상에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장착될 수 있다. 광학 패턴(200)은 기판(122) 상에 기판(122)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학 라인(210)은 광원(1241)과 기판(122)의 일 장변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광학 라인(220)은 광원(1241)과 기판(122)의 타 장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2)의 일 장변은 광원(1241)에 대하여 기판(122)의 타 장변과 대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라인들(200)은 노란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광학 라인들(200)은 검은색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 제어를 위해 광학 라인(200)에 포함되는 물질 또는 형광체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원(1241)은 기판(122)의 길이방향에서 기판(122) 상에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장착될 수 있다. 광학 패턴(200)은 복수개의 세그먼트들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패턴(200)은 전체적으로 기판(122) 상에 기판(122)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분포될 수 있다.
제1 광학 패턴(210)은 광원(1241)과 기판(122)의 일 장변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광학 패턴(220)은 광원(1241)과 기판(122)의 타 장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2)의 일 장변은 광원(1241)에 대하여 기판(122)의 타 장변과 대향할 수 있다.
제1 광학 패턴(210)은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11)과 제2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11)은 점선을 형성하며 기판(122)의 일 장변을 따라서 위치할 수 있다. 제2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12)은 점선을 형성하며 광원들(1241)과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12)은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11)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학 패턴(220)은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21)과 제4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21)은 점선을 형성하며 기판(122)의 타 장변을 따라서 위치할 수 있다. 제4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22)은 점선을 형성하며 광원들(1241)과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22)은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221)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그먼트들(200)은 노란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세그먼트들(200)은 검은색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 제어를 위해 세그먼트들(200)에 포함되는 물질 또는 형광체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광학 패턴(200)은 광학층(200)이라 칭할 수 있다. 광학층(optical layer, 200)은 흡광층(absorbing light layer, 200), 반사층(reflective layer, 200) 또는 변광층(changing light layer, 200)이라 칭할 수 있다. 광학층(200)은 광원(1241)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층(200)은 기판(122)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광원(1241)을 둘러싸는 사각형일 수 있다.
레그홀(LH)은 기판(122)상에 형성될 수 있다. 레그홀(LH)은 기판(122)이 함몰되거나 스텝 다운(stepped down)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레그홀(LH)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그홀(LH1)은 제2 레그홀(LH2)과 광원(1241)에 대하여 대향할 수 있다. 제1 레그홀(LH1)의 깊이는 제2 레그홀(LH2)의 깊이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레그홀(LH2)은 1단계 스텝 다운될 수 있고, 제1 레그홀(LH1)은 2단계로 스텝 다운될 수 있다. 제3 레그홀(LH3)은 제4 레그홀(LH4)과 광원(1241)에 대하여 대향할 수 있다. 제4 레그홀(LH4)의 깊이는 제3 레그홀(LH3)의 깊이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레그홀(LH3)은 1단계 스텝 다운될 수 있고, 제4 레그홀(LH4)은 2 단계 스텝 다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200)은 노란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광학층(200)은 검은색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 제어를 위해 광학층(200)에 포함되는 물질 또는 형광체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광학층(200)은 광원(1241)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층(200)은 기판(122)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광원(1241)을 둘러싸는 사각형일 수 있다. 광학층(200)은 복수개의 광원들(1241)을 둘러싸는 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200)은 5개의 광원(1241)을 둘러싸는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일 수 있다. 광원(1241)과 광원(1241) 사이는 광학층(200)이 없는 기판(122)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200)은 노란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광학층(200)은 검은색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 제어를 위해 광학층(200)에 포함되는 물질 또는 형광체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광학층(200)은 광원(1241)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층(200)은 기판(122)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광원(1241)을 둘러싸며 길게 연장되는 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들(1241)은 광학층(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광학층(20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200)은 노란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광학층(200)은 검은색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 제어를 위해 광학층(200)에 포함되는 물질 또는 형광체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광학층(200)은 광원(1241)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층(200)은 기판(122)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광원(1241)을 둘러싸는 원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200)은 노란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광학층(200)은 검은색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 제어를 위해 광학층(200)에 포함되는 물질 또는 형광체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6및 17을 참조하면, 렌즈(1242)는 상부(12421), 하부(12426), 측부(12424,12425), 그리고 수용부(124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242)는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bar shape)일 수 있다. 상부(12421)는 제1 돔부(12421a)와 제2 돔부(12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돔부(12421a)는 길게 연장되고 위로 볼록한 루프(roof)형상일 수 있다. 제2 돔부(12421b)는 길게 연장되고 위로 볼록한 루프(roof) 형상으로 제1 돔부(12421a)와 나란하게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돔부(12421a)와 제2 돔부(12421b)는 렌즈(124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12426)는 상부(12421)와 대향하고 평편한 하면을 구비할 수 있다. 하면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수용부(12420)는 하부(12426)로부터 상부(12421)를 향해서 하면이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420)는 하부(12426)가 컷 아웃(cut-out)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420)는 하부(12426)에서 커넬(canal)을 형성할 수 있다.
측부(12422,12423,12424,12425)는 상부(12421)와 하부(12426)를 연결할 수 있다. 측부(12422,12423,12424,12425)는 렌즈(1242)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면(12422)은 제1 돔부(12421a)가 형성하는 상면과 하부(12426)의 하면을 연결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2 측면(12423)은 제2 돔부(12421b)가 형성하는 상면과 하부(12426)의 하면을 연결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3 측면(12424)은 렌즈(1242)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제1 측면(12422)과 제2 측면(12423)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측면(12425)은 제3 측면(12424)과 대향하고,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제1 측면(12422)과 제2 측면(12423)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측면(12424)과 제4 측면(12425)은 렌즈(1242)의 단면 형상을 보여줄 수 있다.
레그(L)는 렌즈(1242)의 하면에 고정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레그(L)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레그(L)는 제1 레그(L1), 제2 레그(L2), 제3 레그(L3), 그리고 제4 레그(L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L1)는 제2 측면(12423)과 제4 측면(12425)이 형성하는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레그(L2)는 제1 측면(12422)과 제4 측면(12425)이 형성하는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3 레그(L3)는 제2 측면(12423)과 제3 측면(12424)이 형성하는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4 레그(L4)는 제1 측면(12422)과 제3 측면(12424)이 형성하는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레그(L1)의 높이는 제2 레그(L2)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제4 레그(L4)의 높이는 제3 레그(L3)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제1 레그(L1)의 높이는 제4 레그(L4)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레그(L2)의 높이는 제3 레그(L3)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레그(L1) 및/또는 제4 레그(L4)는 기판(122)의 레그홀(LH1, LH4)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접착될 수 있고, 제2 레그(L2) 및/또는 제3 레그(L3)는 기판(122)의 레그홀(LH2, LH3)에 고정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1242)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렌즈(1242)는 사이드 곡면(12429)을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곡면(12429)은 렌즈(1242)의 길이방향에서 렌즈(124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렌즈(1242)의 제3 측면(12424)이 곡면 가공되어 사이드 곡면(12429)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곡면(12429)은 제1 측면(12422), 제2 측면(12423), 상부(12421)의 상면, 그리고 하부(12426)의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렌즈(1242)의 사이드 곡면(12429)은 프레임(130, 도 4 참조)의 제1 단변(SS1) 및/또는 제2 단변(SS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렌즈(1242)의 사이드 곡면(12429)은 프레임(130)의 제1 단변(SS1) 및/또는 제2 단변(SS2)을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1242)의 사이드 곡면(12429)을 통해 렌즈(1242) 내부에서 광 사이클링 하는 빛의 유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 단변(SS1, 도 4 참조) 및/또는 제2 단변(SS2)에서 형성되는 암부(dark area or dark line)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광 패턴(230)은 반사시트(126)에 위치할 수 있다. 광 패턴(230)은 흡광 패턴(230) 이라 칭할 수 있다. 기판(122) 및 렌즈(1242)는 반사시트(126)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기판(122)은 반사시트(126)의 상하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렌즈(1242)는 반사시트(126)의 좌우방향에서 기판(122)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1242)는 4개 또는 5개의 광원(1241)을 덮을 수 있다.
제1 기판(122a)은 제1 장변(LS1)에 인접하여 제1 장변(LS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22b)은 상하방향에서 제1 기판(122a)에 이웃하여 제1 장변(LS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122c)은 상하방향에서 제2 기판(122b)에 이웃하여 제1 장변(LS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기판(122d)은 상하방향에서 제3 기판(122c)에 이웃하여 제1 장변(LS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광 패턴(230)은 기판(122)과 기판(122) 사이에서 반사시트(126)의 중앙부(1260)에 형성될 수 있다. 흡광 패턴(230)은 검은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반사시트(126) 상에 프린트될 수 있다.
제1 흡광 패턴(231)은 제1 기판(122a)과 제2 기판(122b) 사이에서 반사시트(126)의 중앙부(126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광 패턴(232)은 제2 기판(122b)과 제3 기판(122c) 사이에서 반사시트(126)의 중앙부(1260)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흡광 패턴(233)은 제3 기판(122c)과 제4 기판(122d) 사이에서 반사시트(126)의 중앙부(126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22)과 기판(122) 사이에서 렌즈(1242)로부터 굴절 또는 반사되는 빛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명부의 광량 또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0을 도 19와 함께 참조하면, 광 패턴(234)은 사이드부(1261)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부(1261)는 렌즈(1242)에서 굴절되는 빛에 의해 명부가 형성될 수 있고, 광 패턴(234)은 사이드부(1261)의 명부의 광량 또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사이드부(1261)에 형성되는 광 패턴(234)은 사이드 패턴(234)이라 칭할 수 있다.
사이드 패턴(234)은 제1 도트 영역(HA1)과 제2 토트 영역(H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트 영역(HA1)의 도트들(2341)은 제2 도트 영역(HA2)의 도트들(2342,2343)과 다를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HA1)은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에 인접하여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트 영역(HA2)은 제1 장변(LS1)과 제1 도트 영역(HA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HA1)은 제1 수평 도트 영역(HA1)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도트 영역(HA2)은 제2 수평 도트 영역(HA2)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HA1)의 도트들(2341)은 서클 형상일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HA1)에 프린트되는 도트들(2341)은 동일한 크기를 지닐 수 있고, 서로 다른 크기를 지닐 수도 있다.
제2 도트 영역(HA2)의 도트들(2342,2343)은 서클 도트(2342)와 포인트 도트(234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클 도트들(2342)은 포인트 도트들(2343)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서클 도트(2342)의 직경은 제1 도트 영역(HA1)에 위치하는 도트들(234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포인트 도트들(2343)의 직경은 서클 도트들(2342)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고, 제1 도트 영역(HA1)에 위치하는 도트들(2341)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HA1)의 도트들(2341)의 수밀도는 제2 도트 영역(HA2)의 도트들(2342,2343)의 수밀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도트 영역(HA2)의 흡광량이 제1 도트 영역(HA1)의 흡광량 보다 클 수 있다.
도 21을 도 19와 함께 참조하면, 광 패턴(234)은 사이드부(1263)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부(1263)는 렌즈(1242)에서 굴절되는 빛에 의해 명부가 형성될 수 있고, 광 패턴(234)은 사이드부(1261)의 명부의 광량 또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사이드부(1261)에 형성되는 광 패턴(234)은 사이드 패턴(234)이라 칭할 수 있다.
사이드 패턴(234)은 제1 도트 영역(VA1)과 제2 토트 영역(V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트 영역(VA1)의 도트들(2341)은 제2 도트 영역(VA2)의 도트들(2342,2343)과 다를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VA1)은 제1 단변(SS1) 또는 제2 단변(SS2)에 인접하여 제1 단변(SS1) 또는 제2 단변(SS2)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트 영역(VA2)은 제1 단변(SS1)과 제1 도트 영역(VA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VA1)은 제1 수직 도트 영역(VA1)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도트 영역(VA2)은 제2 수직 도트 영역(VA2)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VA1)의 도트들(2341)은 서클 형상일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VA1)에 프린트되는 도트들(2341)은 동일한 크기를 지닐 수 있고, 서로 다른 크기를 지닐 수도 있다.
제2 도트 영역(VA2)의 도트들(2342,2343)은 서클 도트(2342)와 포인트 도트(234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클 도트들(2342)은 포인트 도트들(2343)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서클 도트(2342)의 직경은 제1 도트 영역(VA1)에 위치하는 도트들(234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포인트 도트들(2343)의 직경은 서클 도트들(2342)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고, 제1 도트 영역(VA1)에 위치하는 도트들(2341)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도트 영역(VA1)의 도트들(2341)의 수밀도는 제2 도트 영역(VA2)의 도트들(2342,2343)의 수밀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도트 영역(VA2)의 흡광량이 제1 도트 영역(VA1)의 흡광량 보다 클 수 있다.
반사영역(NDA)은 제1 도트 영역(VA1)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영역(NDA)은 도트들(234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반사영역(NDA)은 도트가 없는 영역(Non Dot Area)으로 칭할 수 있다. 반사영역(NDA)은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반사영역(NDA)은 제1 단변(SS1)을 따라서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반사영역(NDA)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반사영역(NDA1)은 제1 기판(122a)과 제2 기판(12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반사영역(NDA2)은 제2 기판(122b)과 제3 기판(122c)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반사영역(NDA3)은 제3 기판(122c)과 제4 기판(122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암부(dark area)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렌즈들(1242)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들(1242)의 이격 거리는 약 1.2 미리미터일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중앙부(1260)와 브릿지(126B)를 구비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복수개의 중앙부들(126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중앙부(1260b)는 제1 기판(122a)과 제2 기판(12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중앙부(1260a)는 제1 기판(122a)에 대하여 제2 중앙부(1260b)와 대향할 수 있다. 제3 중앙부(1260c)는 제2 기판(122b)에 대하여 제2 중앙부(1260b)와 대향할 수 있다.
브릿지들(126B)은 제1 중앙부(1260a)와 제2 중앙부(1260b)를 연결할 수 있다. 또 브릿지들(126B)은 제2 중앙부(1260b)와 제3 중앙부(1260c)를 연결할 수 있다. 브릿지들(126B)은 렌즈들(12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12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암부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 내지 2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길게 연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광원; 그리고,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에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개의 광원을 커버하고,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면을 형성하고, 위로 볼록한 제1 돔부;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돔부에 이웃하는 제2 돔부;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을 향해 함몰되며, 상기 복수개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돔부와 상기 제2 돔부가 형성하는 경계는 상기 기판과 나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레그홀; 상기 어느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상기 제1 레그홀과 대향하는 제2 레그홀; 상기 복수개의 광원 중 다른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 레그홀; 그리고, 상기 다른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상기 제3 레그홀과 대향하는 제4 레그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홀의 깊이는 상기 제2 레그홀의 깊이 보다 크고, 상기 제4 레그홀의 깊이는 상기 제3 레그홀의 깊이 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레그홀에 삽입되는 제1 레그; 상기 렌즈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레그홀에 삽입되는 제2 레그; 상기 렌즈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3 레그홀에 삽입되는 제3 레그; 그리고, 상기 렌즈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4 레그홀에 삽입되는 제4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의 높이는 상기 제2 레그의 높이 보다 크고, 상기 제4 레그의 높이는 상기 제3 레그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일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광학 라인; 그리고,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타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광학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일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광학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패턴은: 상기 기판의 일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 그리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복수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과 상기 제2 복수개의 세그먼트들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타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광학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 패턴은: 상기 기판의 타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 그리고, 상기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복수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과 상기 제4 복수개의 세그먼트들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의 각각의 주위에 형성되고, 노란색 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광학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 그리고, 상기 기판의 주위에서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는 흡광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일 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제1 기판;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흡광패턴은,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일 변과 상기 제1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의 일부를 흡수하는 사이드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 패턴은: 도트들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 변과 상기 제1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도트 영역; 그리고, 도트들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 변과 상기 제1 도트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도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트 영역의 도트들의 크기는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도트들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트 영역의 도트들의 수밀도는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도트들의 수밀도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트 영역의 도트들은, 서클 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도트들은, 서클 도트들과 포인트 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트 영역의 서클 도트들의 크기는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서클 도트들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포인트 도트들의 크기는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서클 도트들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기판상의 렌즈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길게 연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광원; 그리고,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에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개의 광원을 커버하고,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면을 형성하고, 위로 볼록한 제1 돔부;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돔부에 이웃하는 제2 돔부;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을 향해 함몰되며, 상기 복수개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돔부와 상기 제2 돔부가 형성하는 경계는 상기 기판과 나란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레그홀;
    상기 어느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상기 제1 레그홀과 대향하는 제2 레그홀;
    상기 복수개의 광원 중 다른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 레그홀; 그리고,
    상기 다른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상기 제3 레그홀과 대향하는 제4 레그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홀의 깊이는 상기 제2 레그홀의 깊이 보다 크고,
    상기 제4 레그홀의 깊이는 상기 제3 레그홀의 깊이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레그홀에 삽입되는 제1 레그;
    상기 렌즈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레그홀에 삽입되는 제2 레그;
    상기 렌즈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3 레그홀에 삽입되는 제3 레그; 그리고,
    상기 렌즈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4 레그홀에 삽입되는 제4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의 높이는 상기 제2 레그의 높이 보다 크고,
    상기 제4 레그의 높이는 상기 제3 레그의 높이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일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광학 라인; 그리고,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타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광학 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일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광학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패턴은:
    상기 기판의 일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 그리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복수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세그먼트들과 상기 제2 복수개의 세그먼트들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타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광학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 패턴은:
    상기 기판의 타 장변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 그리고,
    상기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복수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복수개의 세그먼트들과 상기 제4 복수개의 세그먼트들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의 각각의 주위에 형성되고, 노란색 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광학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 그리고,
    상기 기판의 주위에서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는 흡광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일 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제1 기판;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흡광패턴은,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 변과 상기 제1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의 일부를 흡수하는 사이드 패턴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턴은:
    도트들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 변과 상기 제1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도트 영역; 그리고,
    도트들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 변과 상기 제1 도트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도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트 영역의 도트들의 크기는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도트들의 크기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트 영역의 도트들의 수밀도는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도트들의 수밀도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트 영역의 도트들은, 서클 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도트들은, 서클 도트들과 포인트 도트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트 영역의 서클 도트들의 크기는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서클 도트들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포인트 도트들의 크기는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서클 도트들의 크기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기판상의 렌즈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043375A 2021-04-02 2021-04-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6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375A KR102560459B1 (ko) 2021-04-02 2021-04-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22781570.1A EP4314943A1 (en) 2021-04-02 2022-03-29 Display device
PCT/KR2022/004413 WO2022211451A1 (en) 2021-04-02 2022-03-29 Display device
US17/657,338 US11703715B2 (en) 2021-04-02 2022-03-3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375A KR102560459B1 (ko) 2021-04-02 2021-04-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74A true KR20220137374A (ko) 2022-10-12
KR102560459B1 KR102560459B1 (ko) 2023-07-26

Family

ID=8345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375A KR102560459B1 (ko) 2021-04-02 2021-04-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03715B2 (ko)
EP (1) EP4314943A1 (ko)
KR (1) KR102560459B1 (ko)
WO (1) WO2022211451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579A (ko) * 2010-01-26 2011-08-03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Led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15034948A (ja) * 2013-08-09 2015-02-1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50093037A (ko) * 2014-02-06 2015-08-17 주식회사 루멘스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과,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KR20160019601A (ko) * 2014-08-11 2016-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51566A (ko) * 2014-10-31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67020A (ko) * 2014-12-03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색 발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65237A (ja) * 2015-12-22 2019-09-2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0769B2 (ja) * 2011-03-23 2014-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Led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203950B1 (ko) * 2014-02-05 2021-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102161206B1 (ko) * 2017-06-02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040338A (ko) * 2018-10-08 2020-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579A (ko) * 2010-01-26 2011-08-03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Led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15034948A (ja) * 2013-08-09 2015-02-1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50093037A (ko) * 2014-02-06 2015-08-17 주식회사 루멘스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과,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KR20160019601A (ko) * 2014-08-11 2016-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51566A (ko) * 2014-10-31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67020A (ko) * 2014-12-03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색 발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65237A (ja) * 2015-12-22 2019-09-2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459B1 (ko) 2023-07-26
WO2022211451A1 (en) 2022-10-06
US20220317518A1 (en) 2022-10-06
EP4314943A1 (en) 2024-02-07
US11703715B2 (en)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80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393775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N111430403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8786804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CD unit
JP2008010693A (ja) 液晶表示装置
TWI444720B (zh) 背光元件
JP2017207624A (ja) 表示装置
CN108319071B (zh) 显示装置
KR1024733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045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7082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82797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8240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38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375019B1 (ko) 백색 발광장치,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액정표시장치
KR102400494B1 (ko) 광학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1012738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60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EP4375737A1 (en) Display device
KR1026748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7117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1768402B2 (en) Display device
US20240160064A1 (en) Display device
KR10182797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023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