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820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820B1
KR102370820B1 KR1020170106072A KR20170106072A KR102370820B1 KR 102370820 B1 KR102370820 B1 KR 102370820B1 KR 1020170106072 A KR1020170106072 A KR 1020170106072A KR 20170106072 A KR20170106072 A KR 20170106072A KR 102370820 B1 KR102370820 B1 KR 10237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frame
guide panel
long side
coup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019A (ko
Inventor
김준승
안대선
이재훈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20B1/ko
Priority to EP18188925.4A priority patent/EP3447571B1/en
Priority to US16/103,561 priority patent/US10656449B2/en
Priority to CN201810953523.6A priority patent/CN109426024B/zh
Publication of KR2019002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019A/ko
Priority to US16/849,262 priority patent/US111568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직부; 그리고, 상기 수직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수직부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슬릿; 상기 복수개의 슬릿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누름부; 그리고, 상기 탄성부와 상기 누름부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결합유닛의 상기 돌기에 걸림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구조를 개선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구조 설계의 제약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 및/또는 분해시 백커버의 변형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 공정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류 체결시 발생하는 나사산 마모에 의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직부; 그리고, 상기 수직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수직부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슬릿; 상기 복수개의 슬릿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누름부; 그리고, 상기 탄성부와 상기 누름부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결합유닛의 상기 돌기에 걸림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상기 누름부를 둘러싸며 서로 만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상기 누름부를 향해 기울어진 가이드면; 그리고, 상기 경사면과 상기 누름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누름부로 연장되는 걸림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과 마주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를 커버하는 측벽; 그리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누름부를 향해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결합유닛의 걸림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브의 높이는 상기 결합유닛의 돌기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브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리브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슬릿 각각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누름부는, 상기 돌기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에 형성된 아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패널은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에 대향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단변, 그리고 상기 제1 단변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단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단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장변에 위치하는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1 장변과 상기 제1 단변이 형성하는 제1 코너에 인접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코너에 인접하되, 상기 돌기와 상기 제1 코너의 거리는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제1 코너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커버는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엣지를 커버하는 프런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엣지를 커버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에서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의 외면을 커버하되,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 파트; 상기 제2 파트에서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파트; 그리고, 상기 제3 파트에서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를 마주하며 연장되는 제4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파트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과 마주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를 커버하는 측벽; 그리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누름부를 향해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결합유닛의 걸림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3 파트와 마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커버 및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프레임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 설계의 제약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 및/또는 분해시 백커버의 변형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 공정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류 체결시 발생하는 나사산 마모에 의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을 참조하면,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forward direction) 또는 전면(front side or fron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rearward direction) 또는 후면(rear side or rea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upper side) 또는 상면(upp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lower side) 또는 하면(low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right side) 또는 우면(right surface)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left side) 또는 좌면(lef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백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백 커버(15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결합되기 위해, 백 커버(150) 및/또는 그에 인접한 다른 구조물에는 돌출부, 슬라이딩부, 결합부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측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측에 위치하는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는 따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개의 픽셀이 각 픽셀당 RGB(red, green or blue)를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front substrate) 및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전면 기판으로 전달하거나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들(light sources)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130)의 전방에서 프레임(130)과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시트(125, optical sheet)와 광 어셈블리(123)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는 결합부(125d)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프런트 커버(105), 프레임(130) 및/또는 백 커버(1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결합부(125d)는 프런트 커버(105), 프레임(130) 및/또는 백 커버(150) 상에 형성 또는 결합된 구조물에 체결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광학 시트(125)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빛을 광학 시트(125)에 제공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빛을 발생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성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닛(120) 등의 구성이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디스플페이 디바이스(100)의 후면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프레임(130) 및/또는 프런트 커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50)는 레진(resion)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프레임(130)의 전방에 백라이트 유닛(120)이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 어셈블리(123)와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광학 시트(125)와 프레임(1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확산판(129)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또는/및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서 프레임(130)과 결합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또는/및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 직접 안착될 수 있다. 즉, 광학 시트(125) 또는/및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5)의 가장자리 면은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 또는/및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와 제1 가이드 패널(117)의 플랜지(117a)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의 전방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는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중 가장자리 영역은 프런트 커버(105)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부가 제1 가이드 패널(117)과 프런트 커버(105)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광학 시트(125) 또는/및 확산판(129)은 제2 가이드 패널(11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레임(130)에 제2 가이드 패널(113)이 결합되고, 제2 가이드 패널(113)에 광학 시트(125) 또는/및 확산판(129)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패널(113)은 프레임(130)과 다른 재질일 수 있다. 프레임(130)은 제1,2 가이드 패널(117,113)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또는 제2 가이드 패널(117,113)은 홀더(holder) 또는 지지부재라 칭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105)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즉, 프런트 커버(105)의 일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 어셈블리(123)와, 광 어셈블리(123)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124), 반사시트(126) 및 확산판(129)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이들 중 일부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기판(122)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랩(strap)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에,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124)이 실장될 수 있다. 기판(122)에 어댑터와 광 모듈(124)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2)에 광 모듈(124)과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124)이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22)에,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모듈(124)이 배치될 수 있다. 광 모듈(124)의 직경은 기판(122)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즉, 기판(122)의 제2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 모듈(124)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광 모듈(124)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 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색 LED는 적색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2)의 전면 측에, 반사시트(126)가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기판(122)의 광 모듈(124)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복수의 통공(235)을 구비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광 모듈(124)로부터 방출된 빛을 전면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시트(126)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반사물질인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200)는 반사 시트(126)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200)는 반사 시트(126)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터(200)는 반사 시트(126)와 확산판(129)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서포터(200)는 반사 시트(126)와 광학 시트(12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터(200)에 의하여, 반사 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의 거리가 유지되거나, 반사 시트(126)와 광학 시트(125) 사이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광 모듈(124) 및/또는 반사시트(126) 상에 레진이 증착될 수 있다. 레진은 광 모듈(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산판(129)은 광 모듈(124)로부터 방출된 광을 확산(diffusion)시킬 수 있다. 광 모듈(124)은 점광원(point light source)으로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 모듈(124)에서 전방으로 제공되는 빛은, 광 모듈(124)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휘도를 가질 수 있다. 확산판(129)은, 복수 개의 광 모듈(124)의 배치에 따른 휘도 분포(illumination profile)를 고르게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확산판(129)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의 후면은 확산판(129)에 밀착되고, 광학 시트(12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1 참조)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광학 시트(125)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접착 및/또는 밀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제1 내지 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이고, 제 2, 3 광학 시트(125b, 125c)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로부터 나오는 빛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변들 또는 엣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내지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장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는 비대칭(asymmetric)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 측의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의 결합부(125d)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기판(122)의 전면에 광학 모듈(124)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 모듈(124)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 모듈(124)은 빛(또는 광선)을 전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반사 시트(126)가 기판(122)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6)의 사이에 광학 모듈(124)이 배치될 수 있다.
확산판(129)이 광 모듈(124)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확산판(129)은 반사 시트(126)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확산판(129)은, 광 모듈(124)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확산판(129)은, 반사 시트(126)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공기층(AL)은, 확산판(129)과 광 모듈(12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층(AL)은, 확산판(129)과 반사 시트(126)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층(AL)은, 안정한 가스(stable ga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층(AL)은, 공기(air)의 조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층(AL)은, 질소 또는/및 산소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판(129)의 전면에 광학 시트(125)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제1 내지 제3 광학 시트(125a, 125b,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판(129)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광학 시트(125b)는 제1 광학 시트(125a)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광학 시트(125c)는 제3 광학 시트(125b)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광학 시트(125)는 제1 광학 시트(125a)와 제2 광학 시트(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일 수 있다. 제2 광학 시트(125b)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광학 시트(125)는 광 모듈(124)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반사 시트(126)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제1 광학 시트(125a)와 제2 광학 시트(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일 수 있다. 제2 광학 시트(125b)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공기층(AL)은 광학 시트(125)와 반사 시트(126)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층(AL)은 광학 시트(125)와 광 모듈(12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반사 시트(126)는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시트(126)는, 프레임(130)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부(132)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6)는, 안착부(132)의 형상에 대응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사 시트(126)는 가로 결합부(HH) 및/또는 세로 결합부(VH)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결합부(HH) 및/또는 세로 결합부(VH)는, 반사 시트(126)의 변을 따라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로 결합부(HH)는, 반사 시트(126)의 마주 보는 두 변을 따라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가로 결합부(HH)는, 예를 들어 반사 시트(126)의 장변을 따라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세로 결합부(VH)는, 반사 시트(126)의 마주 보는 두 변을 따라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세로 결합부(VH)는, 예를 들어 반사 시트(126)의 단변을 따라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프레임(130)은 가로 돌기(130H)와 세로 돌기(130V)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돌기(130H) 또는 세로 돌기(130V)는, 프레임(130)의 마주 보는 두 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돌기(130H)는 프레임(130)의 장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 돌기(130V)는 프레임(130)의 단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로 돌기(130H) 또는 세로 돌기(130V)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가로 돌기(130H) 또는 세로 돌기(130V)는, 반사 시트(126)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돌기(130H)는, 반사 시트(126)의 가로 결합부(HH)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 돌기(130V)는, 반사 시트(126)의 세로 결합부(VH)와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GP)은, 길쭉한 막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GP)은, 반사 시트(126)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GP)은, 반사 시트(126)의 모서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GP)은, 길쭉한 막대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GP)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GP)은,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GP)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GP)은,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프레임(130)과 반사 시트(126)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 모듈(124)은 기판(122)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모듈(124)은, 반사 시트(126)에 형성된 렌즈홀(235)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판(122)은, 가로 방향 또는/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판(122)은 신호 라인(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22)은 신호 라인(121)으로부터 전력 또는/및 전기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반사 시트(126)에 형성된 렌즈홀(125)은, 기판(122)에 배치된 광원(203)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광원(203)은, 렌즈홀(125)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203)과 기판(122)의 일부는, 렌즈홀(125)을 통해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렌즈(124b)는 광원(20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124b)는 렌즈홀(125)을 통해 전방에 노출된 기판(122)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6)는, 서포터 홀(205)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터(200)는, 서포터 홀(205)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200)는, 반사 시트(126)의 전방에 위치한 확산판(129, 도 5 참조) 및/또는 광학 시트(125, 도 5 참조)를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200)에 의해, 반사 시트(126)는 확산판(129, 도 5 참조) 또는/및 광학 시트(125, 도 5 참조)에서 이격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6)는, 복수의 고정핀 홀(206)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핀(202)은, 고정핀 홀(206)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202)은, 프레임(130)에 형성된 프레임 홀(204)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202)은, 반사 시트(126)를 프레임(130)에 체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광학층(123)은 기판(122)과, 반사시트(126)와, 광 어셈블리(124)와, 도광판(128)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23)은 프레임(130)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23)은 프레임(130)과 광학 시트(12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층(123)은 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기판(122)은 프레임(13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2)은 제 1 가이드 패널(117)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제 1 가이드 패널(117)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2)은 제 1 가이드 패널(117), 프레임(130), 탑 케이스(105)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기판(124)은 반사시트(126) 및/또는 도광판(128)의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기판(124)의 전면(前面)이 광학층(123)을 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판(124)과 반사시트(126) 및/또는 도광판(128)은 소정의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도광판(128)을 포함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2)은 광학층(123)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2)은 광학층(12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기판(122)에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방출한 광은 대부분 도광판(128)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도광판(128)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어 도광판(128)에서 반사되어 반사시트(126)를 향하는 빛을 도광판(128)의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반사물질인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 및/또는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잉크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열증착법, 증발법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증착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에는 프린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실크 스크린법을 사용한 코팅층 및/또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접착 및/또는 밀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제1 내지 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일 수 있고, 제 2, 3 광학 시트(125b, 125c)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도광판(128)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내지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장변 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는 비대칭(asymmetric)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 측의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의 결합부(125d)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110c)에서 상측면(110d) 방향으로 발광할 수 있다. 즉, 광 어셈블리(124)에서 방출된 광이 전술한 도광판(128)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110c)부터 상측면(110d)으로 확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 전체에 빛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면(110a)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면(110b)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110c) 및 상측면(110d)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면(110a) 및 좌측면(110b)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가이드 패널(400)은 프레임(300)에 결합 또는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400)은 프레임(30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400)은 수평부(420), 그리고 수직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부(4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엣지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은 수평부(420)와 마주하거나 수평부(420)에 놓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부재(AD) 또는 고정부재(AD)에 의해서 수평부(420)에 고정될 수 있다. 수평부(420)는 광학시트(125)와 접촉할 수 있다. 수평부(420)에 의해 광학시트(125)가 고정될 수 있다.
수직부(440)는 수평부(42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부(440)는 수평부(420)와 함께 전체적으로 T형상일 수 있다. 수직부(440)는 슬롯(480)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측벽(300S)은 수직부(440)의 슬롯(480)에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슬롯(480)은 홈(480)일 수 있다.
가이드 패널(400)은 홈(460) 또는 홀(460)을 구비할 수 있고, 프레임(300)의 측벽(300S)은 돌기(300P)를 구비할 수 있다. 측벽(300S)의 돌기(300P)는 가이드 패널(400)의 홈(460) 또는 홀(460)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400)은 고정돌기(48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돌기(480)는 가이드 패널(400)의 수직부(44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480)는 가이드 패널(400)의 수직부(440)의 외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500)는 가이드 패널(40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500)는 제1 파트(510), 제2 파트(520), 제3 파트(530), 제4 파트(540), 그리고 제5 파트(5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파트(510)는 가이드 패널(400)의 수직부(4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엣지 인근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파트(520)는 제1 파트(510)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520)는 가이드 패널(400)의 수직부(440)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파트(520)는 수직부(440)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제2 파트(520)와 수직부(440) 사이에 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트(530)는 제2 파트(520)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540)는 제3 파트(530)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540)는 수직부(440)와 마주하거나 수직부(440)에 접촉할 수 있다. 제3 파트(530)는 제2 파트(520)와 제4 파트(540)를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400)은 개구부(560)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560)는 제4 파트(540)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400)의 고정돌기(480)는 제4 파트(540)의 개구부(560)에 삽입될 수 있다. 개구부(560)의 폭(W1)은 고정돌기(480)의 좌우길이(L1)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6, 17 및 23을 참조하면, 가이드 패널(400)은 결합유닛(490)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유닛(490)은 탄성부(491), 돌기(492), 누름부(493), 리브(494), 그리고 슬릿(SL1,SL2)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491)는 가이드 패널(400)의 수직부(440)의 일부일 수 있다. 가이드 패널(400)은 수직부(440)에 복수개의 슬릿(SL1,SL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SL1)은 수직부(440)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슬릿(SL2)은 제1 슬릿(SL1)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수직부(440)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491)는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돌기(492)는 탄성부(491)의 외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돌기(492)는 걸림면(492H), 그리고 가이드면(492G)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면(492H)은 탄성부(491)와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경사를 지닐 수 있다. 가이드면(492G)은 걸림면(492H)과 탄성부(491)의 외면을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면(492G)의 경사는 걸림면(492H)의 경사 보다 완만할 수 있다.
누름부(493)는 탄성부(491)의 외면에서 걸림면(492H)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SL1)은 누름부(493)를 둘러싸면서 제2 슬릿(SL2)과 만날 수 있다. 즉, 제1 슬릿(SL1) 및 제2 슬릿(SL2)은 탄성부(491)의 둘레를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슬릿(SL1)과 제2 슬릿(SL2)은 전체적으로 U 형상일 수 있다.
리브(494)는 가이드 패널(4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바 또는 기둥일 수 있다. 리브(494)는 제1 리브(4941), 그리고 제2 리브(49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리브(4941)는 제1 슬릿(SL1)에 인접하여 제1 슬릿(SL1)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리브(4942)는 제2 슬릿(SL2)에 인접하여 제2 슬릿(SL2)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500)는 가이드 패널(400) 및/또는 프레임(300)과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500)의 제4 파트(540)는 홀(H)을 구비할 수 있고, 가이드 패널(400) 및/또는 프레임(300)은 제4 파트(540)의 홀(H)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들(H)을 구비할 수 있다. 홀(H)에 스크류가 체결되면서 프런트 커버(500), 가이드 패널(400), 및/또는 프레임(300)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9 내지 21을 참조하면, 백커버(600)는 프레임(300)의 후방 또는 후면을 커버하면서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600)는 백플레이트(610), 측벽(620), 그리고 걸림부(630)를 구비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610)는 프레임(300)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측벽(620)은 백플레이트(610)에서 백커버(600) 또는 프레임(300)의 전방을 향해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측벽(620)은 프런트 커버(500)의 제4 파트(540)를 덮을 수 있다.
걸림부(630)는 측벽(620)으로부터 프런트 커버(500)의 제4 파트(540)를 향해 굽어질 수 있다. 걸림부(630)는 프런트 커버(500)의 제3 파트(530)와 마주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커버(6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600)는 소정의 탄성을 지닐 수 있다. 걸림부(630)는 고정돌기(480)에 걸림될 수 있다. 걸림부(630)는 결합유닛(490)의 돌기(492)에 걸림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백커버(600)가 결합유닛(490)에 끼워지면, 탄성부(491)는 피봇 운동을 할 수 있다. 누름부(493)는 피봇 운동의 최대 스트로크를 형성할 수 있다. 백커버(600)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백커버(600)의 걸림부(630)는 결합유닛(490)의 돌기(492)의 가이드면(492G)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백커버(600)의 걸림부(630)에 의해 돌기(492)가 눌려질 수 있다. 백커버(600)의 걸림부(630)가 가이드면(492G)에서 걸림면(492H)으로 넘어가면, 걸림부(630)가 걸림면(492H)과 마주하면서 백커버(600)는 결합유닛(49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리브(494)는 탄성부(491)의 평면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리브(494)의 높이는 걸림면(492H)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걸림면(492H)의 높이(PH)와 리브(4941,4942)의 높이(LH)의 차이는 백커버(600)의 걸림부(630)의 물림량일 수 있다. 제1 슬릿(SL1)은 제1 리브(494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SL1)은 일단에 아치부(AC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슬릿(SL2)은 제2 리브(4942)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릿(SL2)은 일단에 아치부(AC2)를 구비할 수 있다. 아치부(AC1,AC2)는 탄성부(491)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누름부(493)는 제1 경사면(4931)과 제2 경사면(49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931)은 제2 경사면(4932)과 대칭일 수 있다. 제1 경사면(4931)은 제2 경사면(4932)과 누름부(493)의 중앙에서 만날 수 있다. 제1 경사면(4931)은 제2 경사면(4932)과 함께 전체적으로 볼록할 형상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프레임(300)에 결합된 백커버(600)를 분리하기 위해, 백커버(600)와 프런트 커버(500) 사이에 도구(TL)가 삽입될 수 있다. 도구(TL)는 얇은 나이프 형상일 수 있다. 도구(TL)가 삽입되면서, 프런트 커버(500) 및/또는 백커버(600) 사이에 갭이 발생할 수 있다. 갭을 통해 도구(TL)가 결합유닛(490)을 향해 들어갈 수 있다. 도구(TL)가 삽입되면, 도구(TL)는 결합유닛(490)의 누름부(493)를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491) 및/또는 누름부(493)의 스트로크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구(TL)의 삽입위치 또는 누름부(493)를 누르는 위치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구(TL)의 위치에 불구하고, 누름부(493)는 일정한 스트로크로 눌려질 수 있다. 즉, 누름부(493)의 제1 경사면(4931)과 제2 경사면(4932)에 의해 도구(TL)는 누름부(493)을 일정한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도구(TL)가 도구(TL)의 위치에 불구하고, 누름부(493)의 중앙을 누름에 따라서 탄성부(491) 및/또는 누름부(493)의 스트로크는 일정할 수 있다. 누름부(493)의 최대 스트로크는 백커버(600)의 걸림부(630)의 최대 물림량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백커버(600)의 걸림부(630)는 결합유닛(490)의 리브(4941,49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백커버(600)의 걸림부(630)는 결합유닛(490)의 누름부(493)를 향해 삽입될 수 있는데, 리브(4941,4942)에 의해 최대 삽입위치가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백커버(600)의 걸림부(630)와 결합유닛(490)의 걸림면(492H)의 중첩 범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중첩 범위는 백커버(600)의 걸림부(630)와 결합유닛(490)의 걸림면(492H)의 물림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구(TL)가 누름부(493)를 누르면서 누름부(493)가 누름부(493)의 최대 스트로크에 도달하면, 백커버(600)의 걸림부가 결합유닛(490)의 걸림면(492H)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커버(600)를 용이하게 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커버(600)가 금속재질의 프레스 고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백커버(600)가 분리되면서 백커버(600)가 변형될 수 있는데, 전술한 결합 유닛은 이러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고정돌기(480,A1,A2)는 가이드 패널(400)의 제1 장변(LS1)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유닛(490,B1~B4)은 가이드 패널(400)의 제1 단변(SS1) 및/또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유닛(490,b1~B4)은 복수개가 가이드 패널(400)의 제1 단변(SS1) 및/또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480,A1)는 가이드 패널(400)의 제1 장변(LS1)에서 제1 코너(C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유닛(490,B1)은 가이드 패널(400)의 제1 단변(SS1)에서 제1 코너(C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너(C1)로부터 제1 고정돌기(480,A1)까지의 거리(DA1)는 제1 코너(C1)에서 제1 결합유닛(490,B1)까지의 거리(DB1)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고정돌기(480,A2)는 가이드 패널(400)의 제1 장변(LS1)에서 제2 코너(C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3 결합유닛(490,B3)은 가이드 패널(400)의 제2 단변(SS2)에서 제2 코너(C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코너(C2)로부터 제2 고정돌기(480)까지의 거리(DA2)는 제2 코너(C2)에서 제3 결합유닛(490)까지의 거리(DB3)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결합유닛(490,B2)은 제1 단변(SS1)에서 제1 결합유닛(490,B1)과 제4 코너(C4)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결합유닛(490,B4)은 제2 단변(SS2)에서 제3 결합유닛(490,B3)과 제3 코너(C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유닛(490,B1)은 제1 코너(C1)로부터, 제3 결합유닛(490,B3)은 제2 코너(C2)로부터 최대한 멀수록 백커버(60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480,A1)는 제1 코너(C1)에, 제2 고정돌기(480,A2)는 제2 코너(C2)에 최대한 가까울수록 백커버(600)의 결합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고정돌기(480,A1,A2)는 결합유닛(490,B1~B4)과, 결합유닛(490,B1~B4)은 고정돌기(480,A1,A2)와 서로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백커버(600)는 개구부(640)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640)는 백커버(600)의 백플레이트(610)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640)는 백커버(600)의 하단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커버(650)는 상기 개구부(640)를 막거나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600)는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커버(650)는 합성 수지일 수 있다. 프레임(300, 도 21 참조)과 보조 커버(650) 사이에 무선통신부(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부(미도시)는 Wi-Fi 수신기일 수 있다.
백커버(600)는 체결부재(f)에 의해 프레임(300, 도 21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f)는 백커버(600)의 하변을 따라서 체결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직부; 그리고,
    상기 수직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수직부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슬릿;
    상기 복수개의 슬릿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누름부; 그리고,
    상기 탄성부와 상기 누름부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결합유닛의 상기 돌기에 걸림되며,
    상기 가이드 패널은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에 대향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단변, 그리고 상기 제1 단변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단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단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장변에 위치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1 장변과 상기 제1 단변이 형성하는 제1 코너에 인접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코너에 인접하되,
    상기 돌기와 상기 제1 코너의 거리는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제1 코너의 거리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상기 누름부를 둘러싸며 서로 만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누름부를 향해 기울어진 가이드면; 그리고,
    상기 가이드면과 상기 누름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누름부로 연장되는 걸림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과 마주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를 커버하는 측벽; 그리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누름부를 향해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결합유닛의 걸림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높이는 상기 결합유닛의 돌기의 높이 보다 낮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리브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슬릿 각각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돌기를 향해 볼록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에 형성된 아치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엣지를 커버하는 프런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엣지를 커버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에서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의 외면을 커버하되,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 파트;
    상기 제2 파트에서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파트; 그리고,
    상기 제3 파트에서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를 마주하며 연장되는 제4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파트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과 마주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수직부를 커버하는 측벽; 그리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누름부를 향해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결합유닛의 걸림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3 파트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 및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프레임에 스크류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70106072A 2017-08-22 2017-08-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70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072A KR102370820B1 (ko) 2017-08-22 2017-08-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18188925.4A EP3447571B1 (en) 2017-08-22 2018-08-14 Display device
US16/103,561 US10656449B2 (en) 2017-08-22 2018-08-14 Display device
CN201810953523.6A CN109426024B (zh) 2017-08-22 2018-08-21 显示装置
US16/849,262 US11156863B2 (en) 2017-08-22 2020-04-1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072A KR102370820B1 (ko) 2017-08-22 2017-08-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019A KR20190021019A (ko) 2019-03-05
KR102370820B1 true KR102370820B1 (ko) 2022-03-07

Family

ID=6325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072A KR102370820B1 (ko) 2017-08-22 2017-08-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56449B2 (ko)
EP (1) EP3447571B1 (ko)
KR (1) KR102370820B1 (ko)
CN (1) CN1094260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820B1 (ko) 2017-08-22 202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43635B1 (ko) * 2019-04-15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874A1 (ko) * 2014-01-22 2015-07-30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6766A (en) * 1988-08-17 1991-01-2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ti-overstress latch
GB2256769B (en) * 1991-06-17 1994-08-31 Lo Kun Nan Monitor housing
JP3567818B2 (ja) * 1999-09-28 2004-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TWM242728U (en) * 2003-02-27 2004-09-0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module
US7040905B1 (en) * 2005-05-18 2006-05-09 Epo Science & Technology Inc. Structure for combining printing circuit board with rack
EP2172802A4 (en) * 2007-09-14 2013-03-27 Sharp Kk FRAME STRUCTURE AND SCREEN EQUIPPED WITH SAID STRUCTURE
JP5304628B2 (ja) * 2009-12-22 2013-10-02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
US9063362B2 (en) * 2011-09-01 2015-06-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2062373B1 (ko) * 2012-06-27 2020-0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167522B2 (ja) * 2013-01-08 2017-07-26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4164276A (ja) * 2013-02-27 2014-09-08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4202830A (ja) * 2013-04-02 2014-10-27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5621015B1 (ja) * 2013-05-31 2014-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導光板、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135917B1 (ko) * 2013-12-20 2020-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형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2145892B1 (ko) * 2014-01-22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1075B1 (ko) * 2014-10-27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964787B2 (en) * 2014-11-20 2018-05-08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having frames
KR102370820B1 (ko) 2017-08-22 202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874A1 (ko) * 2014-01-22 2015-07-30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56449B2 (en) 2020-05-19
KR20190021019A (ko) 2019-03-05
EP3447571A1 (en) 2019-02-27
US11156863B2 (en) 2021-10-26
US20190064579A1 (en) 2019-02-28
CN109426024A (zh) 2019-03-05
CN109426024B (zh) 2022-04-01
US20200241351A1 (en) 2020-07-30
EP3447571B1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2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007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611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327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825758A1 (en) Display device
KR2018013237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7082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7629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9659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3818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2542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0446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038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4804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11683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3002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8454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966110B2 (en) Display device
KR2018000446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1363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258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09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790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6428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8570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