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362A - 파일럿 버너 - Google Patents

파일럿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362A
KR20220137362A KR1020210043335A KR20210043335A KR20220137362A KR 20220137362 A KR20220137362 A KR 20220137362A KR 1020210043335 A KR1020210043335 A KR 1020210043335A KR 20210043335 A KR20210043335 A KR 20210043335A KR 20220137362 A KR20220137362 A KR 20220137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ipe
air
gas
flame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엔텍
Priority to KR102021004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7362A/ko
Publication of KR2022013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6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with provision for a retention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9/00Pilot flame igni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8/00Control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s
    • F23D2208/10S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는, (수정하자, 발설에 추가하자)노에 메인 버너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메인 버너를 점화시키고 상기 메인 버너의 화염을 유지시키는 파일럿 버너로서, 공기 주입관과 가스 주입관과 점화부와 화염 감지부와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공기 주입관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부를 포함한다. 가스 주입관은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와 가스가 유출되는 가스 유출부를 포함한다. 점화부는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 주입관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화염 감지부는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 주입관 및 점화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가이드부재는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 주입관과 점화부와 화염 감지부를 가이드하며, 복수개이다. 그리고, 가스 주입관은 공기 주입관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파일럿 버너{Pilot Burner}
본 발명은 파일럿 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열로 내에 위치한 메인 버너가 소화되더라도 빠르게 점화시킬 수 있는, 파일럿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 사용되는 버너장치는 가열로의 주 열원이 되는 메인 버너(main burner)와, 메인 버너를 점화시키는 파일럿 버너(pilot burner)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가열로 내에서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가 소화(消火)되는 경우에, 버너장치를 가열로 외부로 이동시켜 메인 버너 및 파일럿 버너를 점화(點火)시킨 후 다시 가열로 내부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상 번거로움과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록 버너장치를 가열로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고 파일럿 버너를 이용하여 메인 버너를 재 점화하더라도, 작업자가 메인 버너의 소화를 인지하기까지는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에서 지속적으로 가스가 유출되어 연료 소비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군다나, 가열로의 용량이 매우 큰 경우에는, 버너장치의 작동 중 소화된 메인 버너를 다시 점화하기 위해 버너장치를 가열로 외부로 이동시키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또는 작업자가 메인 버너의 소화를 인지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1098호 (공개일자 2011년11월07일)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가 가열로 내부에서 소화된 경우에 버너장치를 가열로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고, 쉽고 빠르게, 화염의 소화를 감지하여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를 다시 점화시킬 수 있는, 파일럿 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가스 주입관을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서 중심에 위치시키고, 화염 감지부가 화염의 소화를 감지하고, 점화부가 스파크를 발생시켜 파일럿 버너를 점화하여, 쉽고 빠르게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에서 화염을 지속시킬 수 있는, 파일럿 버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는, 가열로 내부에 메인 버너와 함께 삽입되어 메인 버너를 점화시키고 메인 버너의 화염을 유지시키는 파일럿 버너로서, 공기 주입관과 가스 주입관과 점화부와 화염 감지부와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공기 주입관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부를 포함한다. 가스 주입관은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와 가스가 유출되는 가스 유출부를 포함한다. 점화부는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 주입관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화염 감지부는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 주입관 및 점화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가이드부재는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 주입관과 점화부와 화염 감지부를 가이드하며, 복수개이다. 그리고, 가스 주입관은 공기 주입관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부재는 가스 주입관이 배치되는 가스 주입관 홀과, 점화부가 배치되는 점화부 홀과, 화염 감지부가 배치되는 화염 감지부 홀과, 공기가 관통하는 공기 관통홀을 포함한다. 가스 주입관 홀은 가이드부재에서 중심부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 주입관 홀의 중심은 공기 주입관 및 가스 주입관의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점화부 홀 또는 화염 감지부 홀은 가스 주입관 홀과 지지면 사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한다. 절연부재는 점화부 홀과 화염 감지부 홀에 각각 배치된다. 점화부 홀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는 점화부를 감싸고, 화염 감지부 홀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는 화염 감지부를 감싼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 주입관의 가스 유출부는 중심홀과 측면홀을 포함한다. 중심홀은 가스 주입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홀은 가스 주입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가스 주입관의 길이방향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스 유입부로 유입된 가스는 중심홀과 측면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점화부는 전기 전도성이 있는 전극봉이며, 점화부의 일단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한다. 점화부의 일단부는 공기 유출부 또는 가스 유출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염 감지부는 공기 유출부 또는 가스 유출부 주위에서의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는 스파크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스파크 발생 장치는 점화부 및 화염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파크 발생 장치는 고전압을, 점화부로 흘러 점화부의 일단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하거나 또는 화염 감지부로 흘러 화염 감지부의 일단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는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를 포함한다.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는 점화부 및 화염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는 미세 전류를, 점화부로 흘러 점화부의 일단부에서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화염 감지부로 흘러 화염 감지부의 일단부에서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는,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가 가열로 내부에서 소화된 경우에 버너장치를 가열로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쉽고 빠르게, 화염의 소화를 감지할 수 있고,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를 다시 점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로의 용량이 매우 큰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주입관 내부에서 공기와 가스가 쉽게 혼합될 수 있고, 공기와 가스가 혼합되는 비율이 일정할 수 있다.
또한, 버너장치의 이동이나 화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일럿 버너의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스 주입관과 점화부와 화염 감지부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스 주입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스 유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가스 주입관의 가스 유출부 주위에서 공기와 가스가 만나 화염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점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화염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절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가스 주입관이 공기 주입관 내에서 중심부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스피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에어 스피너에 의해 만들어지는 화염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 사용되는 버너장치는 가열로의 주 열원이 되는 메인 버너(main burner)와, 메인 버너를 점화시키는 파일럿 버너(pilot burner)로 구성된다.
파일럿 버너는 가열로 내부에 메인 버너와 함께 삽입되어 메인 버너를 점화시키고 메인 버너의 화염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가 가열로 내에서 소화되는(화염이 꺼지는) 경우에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를 이동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파일럿 버너를 점화시켜,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의 화염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는 파일럿 버너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Pilot Burner)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파일럿 버너의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공기 주입관(10), 가스 주입관(20), 점화부(30), 화염 감지부(40), 가이드부재(50), 절연부재(60) 및 에어 스피너(70)(Air Spinner)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 주입관(10)>
공기 주입관(10)은 원통형의 관형(管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원통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각통 형상일 수 있다.
공기 주입관(10)은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중공)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공기 주입관(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길이는 파일럿 버너(1)가 메인 버너(Main Burner)와 함께 노(爐) 내로 인입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노의 깊이가 수 미터(meter)인 경우에,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도 수 미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롱 버너(long burner)일 수 있다.
공기 주입관(10)은 공기 유입부(11)와 공기 유출부(12)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부(11)는 공기 주입관(10)의 일측에 해당(위치)하고, 공기 유출부(12)는 공기 주입관(10)의 타측에 해당(위치)한다. 공기는 공기 유입부(11)로 유입되어 공기 유출부(12)에서 유출된다.
도 1 및 도 2에는 공기 유입부(11)가 소정의 길이를 갖고, 원통형의 관형이며,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결(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스듬한 방향이란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과 수평이 되는 방향이나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되지 아니하고 한쪽으로 기운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 유입부(11)에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장치가 연결 호스(hose)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공기를 유입시키는 장치는 펌프(pump)나 모터(motor)일 수 있다. 펌프나 모터의 작동에 의해, 공기는 공기 유입부(11)로 유입될 수 있고 공기 유출부(12)로 유출될 수 있다.
공기 주입관(10)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부(cm)를 가질 수 있다. 공기 주입관(10)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조립(또는 삽입)하기 위해, 몇 개로 분리되어 형성(제작)될 수 있다. 몇 개로 분리되어 형성(제작)된 공기 주입관(10)은 각각의 연결부(cm)를 갖고, 각각의 연결부(cm)는 볼트 체결방식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는 가스 주입관(20), 점화부(30), 화염 감지부(40), 가이드부재(50), 절연부재(60) 및 에어 스피너(70)가 배치된다.
<가스 주입관(2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스 주입관과 점화부와 화염 감지부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스 주입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스 유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가스 주입관의 가스 유출부 주위에서 공기와 가스가 만나 화염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스 주입관(20)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가스 주입관(20)은 원통형의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원통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각통 형상일 수 있다.
가스 주입관(20)은 가스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구체적으로 가스 주입관(20)의 내부(중공)는 가스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가스는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또는 액화 석유 가스(Liquefied Petroleum Gas)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가스는 메탄가스(CH4)일 수 있다.
가스 주입관(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길이는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가스 주입관(20)은 가스 유입부(21)와 가스 유출부(22)를 포함한다.
가스 주입관(20)은 속이 빈 원통형의 관형으로, 가스 유입부(21)는 가스 주입관(20)의 일측에 해당(위치)하고, 가스 유출부(22)는 가스 주입관(20)의 타측에 해당(위치)한다. 가스는 가스 유입부(21)로 유입되어 가스 유출부(22)에서 유출된다.
가스 유입부(21)는 공기 주입관(10)의 외주면 또는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가스 유출부(22)는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유입부(21)는 공기 주입관(10)의 공기 유입부(1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가스 유출부(22)는 공기 주입관(10)의 공기 유출부(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가스 유입부(21)가 소정의 길이를 갖고, 원통형의 관형이며,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결(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비스듬한 방향이란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과 수평이 되는 방향이나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되지 아니하고 한쪽으로 기운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스 유입부(21)에는 가스를 유입시키는 장치가 연결 호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가스를 유입시키는 장치는 가스 저장 탱크일 수 있다. 가스 저장 탱크에 저장된 고압 가스는 밸브(valve) 등의 조작으로 가스 저장 탱크로부터 가스 유입부(21)로 유입될 수 있고 가스 유출부(22)로 유출될 수 있다.
가스 유출부(22)는 중심홀(22a)과 측면홀(22b)을 포함한다.
가스 유입부(21)로 들어온 가스는 가스 유출부(22)의 중심홀(22a)과 측면홀(22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가스 유출부(22)의 중심홀(22a)은 가스 주입관(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스 유출부(22)의 측면홀(22b)은 가스 주입관(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가스 유출부(22)의 측면홀(22b)이 가스 주입관(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지 않고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화염 감지부(40)의 이온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스는 가스 유출부(22)의 중심홀(22a) 뿐만 아니라 측면홀(22b)을 통해 유출됨으로써 가스 유출부(22) 주위를 지나는 공기와 보다 쉽게 혼합(또는 반응)될 수 있다. 가스와 공기의 혼합(또는 반응)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점화부(30)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지면 화염이 쉽게 소화되지 않고(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가스 주입관(20)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가이드부재(50)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고, 지지될 수 있다.
가스 주입관(20)은 가이드부재(50)에 의해 공기 주입관(10) 내에서 중심이 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점화부(30)>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점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점화부(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이며, 전기 전도성이 있는 금속재질이다. 점화부(30)는 일종의 전극봉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스파크(spark) 발생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부(30)는 스파크 발생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파크 발생 장치 및 스파크 발생 장치가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방식은, 종래의 스파크 발생 장치 및 스파크 발생 방식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스파크 발생 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A 박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스파크 발생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는 A 박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점화부(30)는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점화부(30)의 일단부(31)는 공기 주입관(10)의 공기 유출부(12) 또는 가스 주입관(20)의 가스 유출부(2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점화부(30)의 타단부(32)는 스파크 발생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파크 발생 장치에서 만들어진 고전압은 점화부(30)로 흐르며, 점화부(30)의 일단부(31)에서는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에서, 스파크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또는 반응)된 곳(가스 유출부(22) 및/또는 그 인접한 곳)에서 발생하여 점화가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파일럿 버너(1)에 화염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파일럿 버너(1)에서 발생한 화염은 메인 버너를 점화시켜 메인 버너에 화염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파일럿 버너(1)에서 화염이 지속되는 동안 메인 버너에서도 화염이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화염 감지부(40)에서 화염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화염이 지속되다가 소화된 경우에), 스파크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점화부(30)의 일단부(31)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럿 버너(1)에 점화 및 화염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파일럿 버너(1)에서 화염의 존재 여부 및 화염 감지부(40)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일정한 시간 주기(예를 들어 30초)마다 스파크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점화부(30)의 일단부(31)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하여, 파일럿 버너(1)에 점화 및 화염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럿 버너(1)에서 화염이 지속되다가 소화된 경우에도, 화염 감지부(40)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일정한 시간 (예를 들어 약 30초) 이후에는 점화부(30)의 일단부(31)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므로 파일럿 버너(1)에 점화 및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일정한 시간 주기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펄스(pulse)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
스파크 발생 장치는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고,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스파크 발생 장치는 점화부(30)의 일단부(31)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점화부(30)는 가이드부재(50)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고, 지지될 수 있다.
점화부(30)는 가스 주입관(2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화부(30)는 공기 주입관(10) 내에서 가이드부재(50)에 의해 가스 주입관(2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파크 발생 장치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화염 감지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스파크 발생 장치는 점화부(30) 및 화염 감지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파크 발생 장치는 고전압을, 점화부(30)로 흘러 점화부(30)의 일단부(31)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하거나 또는 화염 감지부(40)로 흘러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파크 발생 장치에서 만들어진 고전압은 화염 감지부(40)로 흐르며,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에서는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염 감지부(40) 아래에도 접지부(33b)가 배치되므로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당해 실시예는 점화부(30)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점화부(30)와 스파크 발생 장치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는 등 점화부(30)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화염 감지부(40)를 이용하여 파일럿 버너(1)에 점화 및 화염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화염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염 감지부(4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이며, 전기 전도성이 있는 금속재질이다. 화염 감지부(40)는 일종의 이온 감지봉일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구체적으로 파일럿 버너(1)의 공기 유출부(12) 또는 가스 유출부(22) 주위)에서 화염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는 공기 주입관(10)의 공기 유출부(12) 또는 가스 주입관(20)의 가스 유출부(22) 주위에서의 화염(연기) 입자로 인해 이온 전류(미세 전류)의 흐름이 저항을 받아 이온 전류(미세 전류)에 변동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는 이온화 센서 또는 이온화식 연기(불꽃) 감지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는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 및 상기 장치가 화염을 감지하는 방식은, 종래의 이온화 센서나 이온화식 연기(불꽃) 감지기가 화염을 감지하는 방식을 가지는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 및 상기 장치가 화염을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A 박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는 A 박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는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는 공기 주입관(10)의 공기 유출부(12) 또는 가스 주입관(20)의 가스 유출부(2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의 타단부(42)는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는 공기 유출부(12) 또는 가스 유출부(22) 주위의 화염을 감지하여 파일럿 버너(1)에서 화염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화염 감지부(40)에서 화염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화염이 지속되다가 소화된 경우에), 스파크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점화부(30)의 일단부(31)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럿 버너(1)에 점화 및 화염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염 감지부(40)와 점화부(30)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는 화염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점화부(30)에 전기적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받은 점화부(30)는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일럿 버너(1)에는 점화가 이루어져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염 감지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와, 점화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파크 발생 장치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는 화염 감지부(40)로부터 화염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스파크 점화 장치에 전기적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받은 스파크 점화 장치는 점화부(30)에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일럿 버너(1)에는 점화가 이루어져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는 가이드부재(50)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고, 지지될 수 있다.
화염 감지부(40)는 가스 주입관(20) 및 점화부(3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염 감지부(40)는 공기 주입관(10) 내에서 가이드부재(50)에 의해 가스 주입관(20) 및 점화부(3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는 점화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는 점화부(30) 및 화염 감지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는 미세 전류를, 점화부(30)로 흘러 점화부(30)의 일단부(31)에서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화염 감지부(40)로 흘러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에서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는 점화부(30)에 미세 전류를 흘러 보내고 상기 미세 전류에 변동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하여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당해 실시예는 화염 감지부(40)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화염 감지부(40)와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는 등 화염 감지부(40)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점화부(30)를 이용하여 파일럿 버너(1)에 화염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 및 절연부재(60)>
도 9 및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절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가스 주입관이 공기 주입관 내에서 중심부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3, 도 6,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50)는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가이드부재(50)는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스 주입관(20)과 점화부(30)와 화염 감지부(40)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는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이드부재(5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50)는 상면과 하면 및, 상면과 하면 사이에 연결된 외주면(상면과 하면 사이의 최단거리는 가이드부재(50)의 두께일 수 있다)을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부재(50)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과 지지면(55)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관통홀은 가스 주입관 홀(51)과 점화부 홀(53)과 화염 감지부 홀(52)과 공기 관통홀(54)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면(55)은 가이드부재(50)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공기 주입관(10)의 내면(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이다.
지지면(55)은 가이드부재(50)를 이루는 외주면(가이드부재(5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연결된 외주면)의 일부일 수 있다.
가스 주입관 홀(51)은 가이드부재(50)에서 중심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50)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스 주입관 홀(51)의 중심은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
가스 주입관 홀(51)에는 가스 주입관(20)이 배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50) 및 가스 주입관(20)이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스 주입관 홀(51)의 중심은 가스 주입관(2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 이는 가스 주입관(20)이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스 주입관(20)은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스 주입관(20)이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위치하므로, 가스 주입관(20)의 가스 유출부(22)에서 나오는 가스와 가스 유출부(22) 주위를 지나는 공기가 혼합이 잘 이루어지고, 공기와 가스가 혼합되는 비율이 일정하며, 점화가 지연되지 않고(빠른 점화 효과), 화염이 균일하며 쉽게 소화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가스 주입관 홀(51)의 크기(지름)는 가스 주입관(20)의 단면 지름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단면 지름은 가스 주입관(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직경을 말한다.
도 12는 가이드부재(50) 및 가스 주입관(20)이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스 주입관 홀(51)의 중심이 공기 주입관(10) 및/또는 가스 주입관(2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일치함을 나타낸다.
가스 주입관 홀(51)의 형상은 가스 주입관(2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단면 형상은 가스 주입관(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갖는 형상을 말한다.
가이드부재(50)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복수개 배치됨으로써 가이드부재(50)는 가스 주입관(20)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버너의 이동이나 화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가스 주입관(20)이 흔들리지 않도록 가스 주입관(20)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강하다.
점화부 홀(53)은 가이드부재(50)의 가스 주입관 홀(51)과 지지면(5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점화부 홀(53)은 가스 주입관 홀(51) 및 화염 감지부 홀(5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점화부 홀(53)에는 점화부(30)와 절연부재(6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화부 홀(53)에는 점화부(30)와, 점화부(30)를 감싸는 절연부재(60)가 배치될 수 있다.
점화부 홀(53)의 크기(지름)는 절연부재(60)의 단면 지름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단면 지름은 절연부재(6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직경을 말한다.
점화부 홀(53)의 형상은 절연부재(6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단면 형상은 절연부재(6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갖는 형상을 말한다.
가이드부재(50)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복수개 배치됨으로써 가이드부재(50)는 점화부(30)를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버너의 이동이나 화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점화부(30)가 흔들리지 않도록 점화부(3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강하다.
화염 감지부 홀(52)은 가이드부재(50)의 가스 주입관 홀(51)과 지지면(5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화염 감지부 홀(52)은 가스 주입관 홀(51) 및 점화부 홀(53)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화염 감지부 홀(52)에는 화염 감지부(40)와 절연부재(6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염 감지부 홀(52)에는 화염 감지부(40)와, 화염 감지부(40)를 감싸는 절연부재(60)가 배치될 수 있다.
화염 감지부 홀(52)의 크기(지름)는 절연부재(60)의 단면 지름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단면 지름은 절연부재(6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직경을 말한다.
화염 감지부 홀(52)의 형상은 절연부재(6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단면 형상은 절연부재(6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갖는 형상을 말한다.
가이드부재(50)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복수개 배치됨으로써 가이드부재(50)는 화염 감지부(40)를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버너의 이동이나 화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화염 감지부(40)가 흔들리지 않도록 화염 감지부(4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강하다.
공기 관통홀(54)은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관통홀(54)은 공기 주입관(10)의 공기 유입부(11)로 들어온 공기가 가이드부재(50)를 관통하는(지나가는) 통로이다.
공기 관통홀(54)은 가이드부재(50)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공기 관통홀(54)은 가이드부재(5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50)의 외주면의 일부가 가이드부재(50)의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는 가이드부재(50)에 형성된 상기 홈과 공기 주입관(10)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홀(hole)(54)을 지나 공기 유출부(12)가 있는 방향으로 흐른다
공기 관통홀(54)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55)은 가이드부재(50)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공기 주입관(10)의 내면(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이다. 지지면(55)은 가이드부재(50)를 이루는 외주면(가이드부재(5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연결된 외주면)의 일부일 수 있다.
지지면(55)은 가이드부재(50)에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부재(50)는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와, 상기 가이드부재(50)와 이웃하는 가이드부재(50)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부재(50a, 50b, 50c) 중에서 공기 유출부(12) 또는 가스 유출부(2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가이드부재(50c)(이하에서'마지막 가이드부재(50c)'라 한다)는 접지부(33)를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접지부(33)는 접지(earth)역할을 할 수 있다.
접지부(33)는 복수개(33a, 33b)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접지부(33a)는 점화부(30)의 일단부(31)와 가까운 위치에 점화부(30)의 일단부(31)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접지부(33b)는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와 가까운 위치에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접지부(33b)를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와 가까운 위치에도 배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마지막 가이드부재(50c)에는 접지부(33)가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의 파일럿 버너와 달리, 점화부(30)와 화염 감지부(40)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점화부(30)와 화염 감지부(40)를 교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파일럿 버너는 고전압과 고열에 노출되므로 점화부의 손상률이 높아 사용의 지속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마지막 가이드부재(50c)에 복수개의 접지부(33a, 33b)를 사용함으로써, 점화부(30)가 손상되더라도 교차사용으로 인해 화염 감지부(40)를 점화부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재(50c)에 형성된 접지부(33a, 33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지부(33)는 가이드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가이드부재(50)와 별개로 제작되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의 점화부 홀(53)과 화염 감지부 홀(52)에는 절연부재(60)가 배치될 수 있다.
절연부재(60)는 점화부(30) 또는 화염 감지부(40)를 감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부재(6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의 형상을 가지며, 절연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6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61)에 점화부(30) 또는 화염 감지부(40)가 배치된다.
절연부재(60)의 단면 형상(막대 또는 봉의 단면 형상)은 점화부 홀(53) 또는 화염 감지부 홀(5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단면 형상은 절연부재(6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갖는 형상을 말한다.
절연부재(60)는 절연체로써, 전기(電氣) 또는 열(熱)을 통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부재(60)는 점화부(30) 또는 화염 감지부(40)에 흐르는 전기 또는 열이 가이드부재(5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50)에는 절연부재(60)가 배치된다. 가이드부재(50)에 절연부재(60)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고압방전이 발생하여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에어 스피너(Air Spinner)(7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실시예에 따라 에어 스피너(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가 에어 스피너(70)를 포함하는 경우로써, 에어 스피너(70)를 설명한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스피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에어 스피너에 의해 만들어지는 화염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에어 스피너(7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스피너(70)는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에어 스피너(70)는 공기 주입관(10)의 공기 유출부(12) 또는 가스 주입관(20)의 가스 유출부(2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에어 스피너(70)는 링(ring)부(71)와, 상기 링부(71)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홀(72)과, 상기 링부(71)에서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부(73)를 포함한다.
링부(71)는 링(ring) 형상일 수 있다.
에어 스피너(70)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 경우에, 링부(71)의 외주면은 공기 주입관(10)의 내면(또는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링부(71)의 외주면과 공기 주입관(10)의 내면이 접촉하는 부분은 링부(71)의 외주면 전체일 수 있고, 또는 링부(71)의 외주면의 일부일 수 있다.
링부(71)의 외주면과 공기 주입관(10)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부분은 용접이나 다양한 체결수단 및/또는 체결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링부(71)의 중심에는, 링부(71)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홀(72)이 형성된다. 중심홀(72)에는 가스 유출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심홀(72)에는 점화부(30)의 일단부(31) 또는 화염 감지부(40)의 일단부(41)가 배치될 수 있다. 중심홀(72)에는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이동할 수 있고, 또는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날개부(73)는, 에어 스피너(70)가 공기 주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된 경우에, 링부(71)의 일면으로부터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이를 '위쪽 방향'이라 한다)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73)는, 링부(71)의 일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링부(71)의 일면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되, 링부(71)의 일면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73)는, 링부(71)의 일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링부(71)의 중심홀(72)의 중심점을 지나는 중심축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중심축은 링부(71)의 일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의 축을 말한다.
날개부(73)는 복수개일 수 있다.
날개부(73)와, 상기 날개부(73)와 이웃하는 날개부(73)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배치)될 수 있다. 즉, 날개부와 이웃하는 날개부 사이에는 공간(틈)(74)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73)와 이웃하는 날개부(73) 사이의 간격(공간)(74)은 일정할 수 있다.
에어 스피너(70)는, 복수개의 날개부(73)로 인해, 화염이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화염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스피너(70)는 빠르고 강한 고속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스피너(70)는, 복수개의 날개부(73)로 인해, 화염에 와류(渦流)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에어 스피너(70)는 화염이 강하게 회전하면서 공기 주입관(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일럿 버너(1)에서 발생한 화염은 파일럿 버너(1) 및 메인 버너의 화염이 소화되지 않고 장시간 지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파일럿 버너(1) 및 메인 버너의 화염이 꺼지더라도 최단시간에 다시 점화 및 화염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스피너(70)는 원주방향으로 강한 회오리 유동을 형성하므로 가스 유출부(22) 근처에서 공기와 가스의 혼합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공기 주입관 및 가스 주입관 등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가열로의 용량이 매우 큰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가 가열로 내부에서 소화된 경우에 버너장치를 가열로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쉽고 빠르게, 화염의 소화를 감지할 수 있고, 메인 버너 및/또는 파일럿 버너를 다시 점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버너(1)는, 특수한 가열로 환경에서도 우수한 연소특성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공기 주입관
20: 가스 주입관
30: 점화부
40: 화염 감지부
50: 가이드부재
60: 절연부재
70: 에어 스피너

Claims (10)

  1. 가열로 내부에 메인 버너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메인 버너를 점화시키고 상기 메인 버너의 화염을 유지시키는 파일럿 버너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주입관;
    상기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와 가스가 유출되는 가스 유출부를 포함하는 가스 주입관;
    상기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 주입관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점화부;
    상기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 주입관 및 상기 점화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화염 감지부; 및
    상기 공기 주입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 주입관과 상기 점화부와 상기 화염 감지부를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주입관은 상기 공기 주입관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위치하는, 파일럿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스 주입관이 배치되는 가스 주입관 홀과, 상기 점화부가 배치되는 점화부 홀과, 상기 화염 감지부가 배치되는 화염 감지부 홀과, 공기가 관통하는 공기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주입관 홀은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파일럿 버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관 홀의 중심은 상기 공기 주입관 및 상기 가스 주입관의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파일럿 버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 홀 또는 상기 화염 감지부 홀은 상기 가스 주입관 홀과 지지면 사이에 형성되는, 파일럿 버너.
  5. 제 2 항에 있어서,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점화부 홀과 상기 화염 감지부 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점화부 홀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는 상기 점화부를 감싸고, 상기 화염 감지부 홀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는 상기 화염 감지부를 감싸는, 파일럿 버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관의 가스 유출부는 중심홀과 측면홀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홀은 상기 가스 주입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홀은 상기 가스 주입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가스 주입관의 길이방향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 유입부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중심홀과 측면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파일럿 버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전기 전도성이 있는 전극봉이며, 상기 점화부의 일단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고,
    상기 점화부의 일단부는 상기 공기 유출부 또는 상기 가스 유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파일럿 버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감지부는 상기 공기 유출부 또는 상기 가스 유출부 주위에서의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하는, 파일럿 버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 및 상기 화염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파크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크 발생 장치는 고전압을, 상기 점화부로 흘러 상기 점화부의 일단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화염 감지부로 흘러 상기 화염 감지부의 일단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하는, 파일럿 버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 및 상기 화염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화 화염 감지 장치는 미세 전류를, 상기 점화부로 흘러 상기 점화부의 일단부에서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화염 감지부로 흘러 상기 화염 감지부의 일단부에서 화염의 지속 여부를 감지하는, 파일럿 버너.
KR1020210043335A 2021-04-02 2021-04-02 파일럿 버너 KR20220137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335A KR20220137362A (ko) 2021-04-02 2021-04-02 파일럿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335A KR20220137362A (ko) 2021-04-02 2021-04-02 파일럿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62A true KR20220137362A (ko) 2022-10-12

Family

ID=8359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335A KR20220137362A (ko) 2021-04-02 2021-04-02 파일럿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73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098A (ko) 2010-04-30 2011-11-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 점화용 파일럿 버너 및 그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098A (ko) 2010-04-30 2011-11-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 점화용 파일럿 버너 및 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978B2 (en) Combined high energy igniter and flame detector
CA1240256A (en) Burner with ignition device
JP2015522788A5 (ko)
US20100183989A1 (en) Air-Gas Pilot Burner that can Operate with Oxygen
EP2908051B1 (en) Igniter l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urner having said igniter lance
RU90532U1 (ru) Фак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20220137362A (ko) 파일럿 버너
KR20220137363A (ko) 파일럿 버너
CN106287810B (zh) 组合式点火器火花和火焰杆
CA3030273C (en) Pilot assemblies and methods for elevated flare stacks
US2903051A (en) Oil burner
Platvoet et al. Process Burners
JPH1068510A (ja) 燃料噴射ガン
RU2169885C1 (ru) Запальник
US3431057A (en) Gas fueled igniter
RU2424469C1 (ru) Зап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731139C1 (ru) Способ факельного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овоздушной угольной смес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KR102588208B1 (ko) 타겟 점화방식용 연소기기
JP2009257672A (ja) 予混合バーナ
US9482431B2 (en) Radially firing igniter
SU991110A1 (ru) Зап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106338U1 (ru) Пилотная горелка
RU2633442C1 (ru) Способ группового розжига сводовых горелок тепловых агрегатов
KR20020076103A (ko) 화염안정기능이 내장된 Elect Rod식 Pilot Burner
JP2006322680A (ja) パイロット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