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288A -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288A
KR20220137288A KR1020210043148A KR20210043148A KR20220137288A KR 20220137288 A KR20220137288 A KR 20220137288A KR 1020210043148 A KR1020210043148 A KR 1020210043148A KR 20210043148 A KR20210043148 A KR 20210043148A KR 20220137288 A KR20220137288 A KR 2022013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pouch container
unit
liquid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국
Original Assignee
전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국 filed Critical 전성국
Priority to KR102021004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7288A/ko
Publication of KR2022013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4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 B65B43/3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applied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2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high-frequency electrical means, i.e.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induction welding
    • B65B51/227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high-frequency electrical means, i.e.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induction welding by induction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액상물을 충진하고 포장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것으로서, 테이블몸체의 상단 일측에 각각 파우치용기가 공급되는 파우치공급부와, 상기 파우치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파우치용기 내부에 액상물을 충진하는 충진부와, 상기 충진부의 일측에 구성되는 파우치 포장부를 구성하여 하나의 테이블몸체 상단에서 액상물이 파우치 내부에 충진되어 바로 포장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성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파우치공급부와 충진부 및 파우치포장부가 하나의 테이블몸체 상단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설치공간을 크게 차지 하지 않음으로써 설치공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파우치 용기가 수평이동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흘러 내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우치 용기의 소스 충진 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지지판(11)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11)을 지지하는 프레임(12)이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13)가 구성된 테이블몸체(10)와; 상기 테이블몸체(10)의 지지판(11) 상부 좌측에 구성되어 내측에 파우치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파우치용기를 인출하여 공급하는 파우치공급부(20)와; 상기 파우치공급부(20)에의해 공급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벌려주는 송풍기(31)와 상기 송풍기(31)에 의해 벌려진 파우치용기를 잡아주는 파지부(32)가 구성되고 상단에 충진노즐(33)과 상기 충진노즐(33)과 연결된 액상물수용통(34)으로 구성되는 액상충진부(30)와; 상기 액상충진부(30)에 의해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착하여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고주파용착기(41)가 상단에 구성되는 파우치포장부(40)와; 상기 지지판(11)의 내측에 지지판(11)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우치공급부(20)에 의해 공급되는 파우치용기를 상기 액상충진부(30)로 수평 이동시키고 상기 액상충진부(30)에 의해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를 상기 파우치포장부(40)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내측에 다수의 롤러(51)와 이롤러(51)에 권취된 이송벨트(52)로 구성된 이송부(50)와; 상기 파우치공급부(20)와, 액상충진부(30), 파우치포장부(40) 및 이송부(50)의 구동을 조절하는 콘트롤부(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Pouch type container liquid filling device}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의 소스 충진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치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액상의 소스는 물론 액상의 내용물을 자동으로 충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액상의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파우치용기가 그대로 수평이동되어 바로 파우치용기의 상부가 고주파용착되어 포장되도록 함으로써 충진 포장작업에 따른 작업효율성의 증대와 함께 작업성이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나 린스, 혼합양념, 소스와 같은 액상의 식품 또는 제품들은 파우치팩에 저장되는 바, 이러한 파우치팩은 소정의 액체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파우치팩과, 파우치팩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파우치팩의 내부에 충진된 액상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봉부가 구성되어지며, 통상 개봉부는 파우치팩의 상부에 고 주파용착되는 뚜껑 또는 스파우트 실링구가 열융착에 의해 구성된다.
특히, 최근 환경보호 차원에서 샴푸, 화장품, 세제류 등과 같은 액상물질이 담겨진 합성수지 용기는 그 안에 충진된 내용물을 다 사용하고 난 후에 폐기하지 않고, 새로운 내용물이 충진된 리필용 비닐 파우치용기를 구입하여 최초 사용한 용기에 이 리필용 파우치용기에 채워진 내용물을 다시 채워 넣음으로써 재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음료 등의 식품업계 또한 기존 유리 및 합성수지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제품화하였던 것을 요즘에는 비닐 파우치용기를 사용하여 제품화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내용물이 담겨진 파우치용기의 판매량은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바, 이러한 파우치 용기는 소정 액체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진 파우치용기의 상단에 수용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스파우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파우트는 파우치용기의 개방상단에 삽입되어 열융착 된다.
그러므로, 액체충진장치에 의해 파우치용기의 개방상단에 결합된 스파우트를 통해 빈 파우치용기의 수용공간으로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며, 상기 스파우트를 밀봉시키기 위한 캡이 나사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파우치 용기의 내부에 액상물을 충진하여 밀봉하는 과정에서 액상물을 충진하는 충진공정과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포장공정이 서로 나뉘어져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액상체를 충진하고 밀봉 즉 포장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작업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먼저 소스충진기와 같은 액상충진기를 이용하여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소스나 샴푸, 린스, 음용수 등을 넣어 충진하고, 이와 같이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가 다시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후 다시 포장기에 의해 개방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고주파용착에 의해 밀봉 포장하는 과정을 거쳐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액상체의 충진 및 포장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충진기와 포장기가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진기와 포장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가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여 예컨대, 건강원이나 한약방 또는 한의원과 같이 한약을 달여 소비자에게 공급하여 주는 소규모 업체들의 경우에는 충진기와 포장기를 따로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가 부족함에 따라 충진작업과 포장작업을 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파우치용기를 이동시켜 작업함으로써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있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538048호인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 포장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구동수단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한 시차로 회전함과 아울러 파우치용기 및 스파우트를 잡아주기 위한 한쌍의 파우치고정홀더와 스파우트고정홀더가 그 외주를 따라 다수 설치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된 홀더의 이송궤도상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를 상기 홀더측에 공급해주는 파우치용기공급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홀더에 고정된 파우치용기의 개방상단에 스파우트를 삽입시켜주는 스파우트삽입수단과, 상기 스파우트가 삽입된 파우치용기의 개방상단을 열융착에 의해 실링해주는 실링수단과, 상기 실링된 스파우트를 통해 액체 내용물을 파우치용기의 수용공간에 충진해주는 액체충진수단과, 상기 액체 내용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스파우트에 캡을 조립하여 밀봉시키는 캡조립수단과, 상기 캡이 조립된 파우치용기를 턴테이블의 홀더로부터 이탈시켜 외부로 반출시키는 파우치용기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용기공급수단은, 상기 파우치용기가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선단에 고정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의 선단에 고정 결합되면서 공기흡입력에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놓인 파우치용기를 흡착하는 제1공기흡입노즐과, 상기 파우치고정홀더를 개폐하도록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우치용기의 상단에 스파우트 및 캡이 결합되는 공정과 더불어 상기 파우치용기의 수용공간으로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공정이 단일의 생산라인을 거쳐 일괄적으로 처리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건비를 줄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내부에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가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되어 포장공정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턴테이블의 회전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많고 복잡하여 장치 전체에 걸치어 생산단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액상체가 파우치용기의 밖으로 흘러나옴으로써 장치 주변환경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액상물을 충진하고 포장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테이블몸체 상단에서 액상물이 파우치 내부에 충진되어 바로 포장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성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파우치공급부와 충진부 및 파우치포장부가 하나의 테이블몸체 상단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설치공간을 크게 차지 하지 않음으로써 설치공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파우치 용기가 수평 이동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흘러 내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우치 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는, 상부에 지지판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가 구성된 테이블몸체와; 상기 테이블몸체의 지지판 상부 좌측에 구성되어 내측에 파우치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파우치용기를 인출하는 파우치공급부와; 상기 파우치공급부에의해 공급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벌려주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벌려진 파우치용기를 잡아주는 파지부가 구성되고 상단에 충진노즐과 상기 충진노즐과 연결된 액상물수용통으로 구성되는 액상충진부와; 상기 액상충진부에 의해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착하여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고주파용착기가 상단에 구성되는 파우치포장부와; 상기 지지판의 내측에 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우치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파우치용기를 상기 액상충진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액상충진부에 의해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를 상기 파우치포장부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내측에 다수의 롤러와 이 롤러에 권취된 이송벨트로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파우치공급부와, 액상충진부, 파우치포장부 및 이송부의 구동을 조절하는 콘트롤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는, 테이블몸체의 상단에 각각 <15> 파우치용기가 공급되는 파우치공급부와, 상기 파우치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파우치용기 내부에 액상물을 충진하는 충진부와, 상기 충진부의 일측에 구성되는 파우치 포장부를 구성하여 하나의 테이블몸체 상단에서 액상물이 파우치 내부에 충진되어 바로 포장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성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파우치공급부와 충진부 및 파우치포장부가 하나의 테이블몸체 상단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설치공간을 크게 차지 하지 않음으로써 설치공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파우치 용기가 수평 이동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흘러 내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상물이 충진되는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송풍기로 불어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벌려줌으로써 액상물의 충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의 구성요부인 파우치포장부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의 구성요부인 액상충진부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의 구성요부인 파우치포장부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의 구성요부인 액상충진부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는,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소스나 샴푸, 두유, 린스등과 같은 액상물을 충진한 후 바로 파우치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것으로, 테이블몸체(10)와, 파우치공급부(20), 액상충진부(30), 파우치포장부(40), 이송부(50), 콘트롤부(60)로 구성되되, 상기 파우치공급부(20)와 액상충진부(30) 및 파우치포장부(40)가 상기 테이블몸체(10)의 상부에 같이 구성되어 있고, 액상물이 충진되어 포장되는 파우치용기가 이송부(50)에 의해 수평상으로 이동되어 작업이 진행됨으로써 작업효율성 및 작업능률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액상충진부(30)와 파우치포장부(40)가 하나의 테이블몸체(10)에 구성됨으로써 설치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이 뛰어나 소규모 점포 등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크게 확대된다.
상기 테이블몸체(10)는, 상부에 지지판(11)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11)을 지지하는 프레임(12)이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13)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1)의 상면에는 좌측에서부터 각각 파우치공급부(20)와, 액상충진부(30) 및 파우치포장부(40)가 구성되어 지는 것으로, 하나의 지지판(11)의 상면에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전부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성이 빠르게 진행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생산성 및 생산능률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파우치공급부(20)는, 상기 테이블몸체(10)의 지지판(11) 상부 좌측에 구성되어 내측에 파우치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파우치용기를 인출하여 공급한다.
상기 파우치공급부(20)의 전면에는 파우치공급부(20)의 수용부(21)에 수용된 파우치용기를 전면측으로 한 장씩 인출하는 인출기(22)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기(22)는 에어흡입에 의해 작동되는 일반적인 흡입장치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충진부(30)는 상기 파우치공급부(20)에 의해 공급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벌려주는 송풍기(31)와 상기 송풍기(31)에 의해 벌려진 파우치용기를 잡아주는 파지부(32)가 구성되고 상단에 충진노즐(33)과 상기 충진노즐(33)과 연결된 액상물수용통(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31)는, 상기 파우치공급부(20)에 의해 공급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바람을 불어주고 상기 송풍기(31)의 하부측에는 파우치공급부(20)의 하부를 벌려주는 파우치확개부(35)가 더 구성되어진다.
상기 파우치확개부(35)는 구성된 확개실린더(36)에 의해 파우치용기의 하부를 벌려줌으로써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액상물을 충진할 때 발생되는 용기로스율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기 파우치포장부(40)는, 상기 액상충진부(30)에 의해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착하여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고주파용착기(41)가 상단에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상충진부(30)에 의해 내부에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가 이송부(50)를 타고 이동되면 상기 고주파용착기(41)에 의해 개방된 파우치용기의 상부가 고주파용접되어 밀봉됨으로써 포장이 완료된다.
상기 고주파용착기(41)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파우치용기의 양면에 밀착되고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에어실린더(42)가 각각 양측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양측에 각각 구성되는 고주파용착기(41)의 내측으로 파우치용기가 인입되면 양측의 고주파용착기(41)가 인입된 파우치용기측으로 이동되어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착하여 고주파용착기(41)에 의해 고주파용착한 다음, 상기 고주파용착기(41)가 파우치용기로부터 벌어져 고주파용착되어 밀봉 포장된 파우치용기가 파우치포장부(40)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고주파용착기(41)가 서로 근접되거나 벌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송부(50)는, 상기 지지판(11)의 내측에 지지판(11)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우치공급부(20)에 의해 공급되는 파우치용기를 상기 액상충진부(30)로 수평 이동시키고 상기 액상충진부(30)에 의해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를 상기 파우치포장부(40)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내측에 다수의 롤러(51)와 이 롤러(51)에 권취된 이송벨트(52)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벨트(52)가 권취된 롤러(51)들 중 끝단의 롤러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가 더 구성되는 것으로, 회전구동부는 일반적인 회전동력수단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공급부(20)와, 액상충진부(30), 파우치포장부(40) 및 이송부(50)의 구동을 조절하는 콘트롤부(60)가 구성되며 상기 콘트롤부(60)의 상면에는 기계의 작동유무를 멀리서도 식별가능하도록 작동램프(61)가 더 구성되어지며, 상기 작동램프(61)는 각각의 색상을 달리하여 기계의 구동, 기계의 정지, 기계의 상황발생 등을 색상으로 식별하여 작업자가 멀리서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테이블몸체 11 : 지지판
12 : 프레임 13 : 이동바퀴
20 : 파우치공급부 21 : 수용부
30 : 액상충진부 31 : 송풍기
32 : 파지부 33 : 충진노즐
34 : 액상물수용통 40 : 파우치포장부
41 : 고주파용착기 50 : 이송부
51 : 롤러 52 : 이송벨트
60 : 콘트롤부

Claims (1)

  1. 상부에 지지판(11)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11)을 지지하는 프레임(12)이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13)가 구성된 테이블몸체(10)와;
    상기 테이블몸체(10)의 지지판(11) 상부 좌측에 구성되어 내측에 파우치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파우치용기를 인출하여 공급하는 파우치공급부(20)와;
    상기 파우치공급부(20)에의해 공급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벌려주는 송풍기(31)와 상기 송풍기(31)에 의해 벌려진 파우치용기를 잡아주는 파지부(32)가 구성되고 상단에 충진노즐(33)과 상기 충진노즐(33)과 연결된 액상물수용통(34)으로 구성되는 액상충진부(30)와;
    상기 액상충진부(30)에 의해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착하여 파우치용기의 상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고주파용착기(41)가 상단에 구성되는 파우치포장부(40)와;
    상기 지지판(11)의 내측에 지지판(11)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우치공급부(20)에 의해 공급되는 파우치용기를 상기 액상충진부(30)로 수평 이동시키고 상기 액상충진부(30)에 의해 액상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를 상기 파우치포장부(40)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내측에 다수의 롤러(51)와 이 롤러(51)에 권취된 이송벨트(52)로 구성된 이송부(50)와;
    상기 파우치공급부(20)와, 액상충진부(30), 파우치포장부(40) 및 이송부(50)의 구동을 조절하는 콘트롤부(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기의 소스충진 포장장치.
KR1020210043148A 2021-04-02 2021-04-02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 KR20220137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48A KR20220137288A (ko) 2021-04-02 2021-04-02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48A KR20220137288A (ko) 2021-04-02 2021-04-02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288A true KR20220137288A (ko) 2022-10-12

Family

ID=8359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148A KR20220137288A (ko) 2021-04-02 2021-04-02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72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750B1 (ko) 파우치용기의 소스 충진 포장장치
KR100955487B1 (ko) 겔 또는 액상 소스 충진 포장장치
JP2007118961A (ja)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RU23655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озлива
KR101129461B1 (ko) 필름 공급장치 및 이 필름 공급장치를 구비한 충전 포장시스템
JP2015057325A (ja) 容器のハンドル部分のガス充填方法
JPH0648401A (ja) キヤツプ付注出口を有する袋の自動充填包装方法
KR102103342B1 (ko) 자동 포장 충진 장치
WO2008067437A2 (en) System, method and machine for continuous loading of a product
KR100538048B1 (ko)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포장 장치
JP2020507526A (ja) 包装機械および包装機械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JP4329066B2 (ja) 無菌試験サンプリ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20137288A (ko) 파우치형 용기 액상 충진장치
KR101574271B1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의 밀봉팩 자동부착장치
US11142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ouble bag
KR101579066B1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KR100978679B1 (ko) 삼면 벌크 포장기
EP0984887B1 (en) Device and process in a tube filling machine
KR20170014417A (ko) 스파우트 부착 제대 충전 포장기
KR102300739B1 (ko) Pet 병 포장 마감장치 및 그 마감장치를 이용한 포장 마감방법
KR20220137287A (ko)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액상 충진장치
JPH03240615A (ja) 回転テーブル式包装装置に於けるガス置換方法
JP6119806B2 (ja) 無菌袋詰め方法及び装置
KR20170023378A (ko) 파우치용기의 소스 충진 포장장치
EP1789351B1 (en) Apparatus for feeding pouches and their respective spouts to a rotary machine for the processing of the same and relative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