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183A - 퍼팅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퍼팅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183A
KR20220137183A KR1020210041763A KR20210041763A KR20220137183A KR 20220137183 A KR20220137183 A KR 20220137183A KR 1020210041763 A KR1020210041763 A KR 1020210041763A KR 20210041763 A KR20210041763 A KR 20210041763A KR 20220137183 A KR20220137183 A KR 20220137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exter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410B1 (ko
Inventor
조현덕
하윤식
Original Assignee
조현덕
하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덕, 하윤식 filed Critical 조현덕
Priority to KR102021004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4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05General purpose rendering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56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for statistical or strategic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63B2220/78Surface covering conditions, e.g. of a road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모듈, 메모리와 카메라,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모듈 및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카메라를 통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의 제1 고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제2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제1 고도 정보, 제2 고도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자세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3차원 공간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 상에 중첩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는 골프공, 홀컵, 깃발 또는 외부 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2 시각적 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팅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PROVIDING PUTTING GUIDE}
다양한 실시예들은 퍼팅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퍼팅 가이드 장치는 사용자에게 퍼팅 예상 경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연습 스윙시 스윙 속도에 따른 퍼팅 성공 여부를 제공할 수 있는 퍼팅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골프의 대중화에 따라, 골프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골프 경기를 즐기는 사람들은, 자신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들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골프의 대중화에 발맞춰, 실내 스윙 연습 장치와 같은 골프 연습 장치 및 홀까지의 거리 정보, 높낮이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골프 캐디 기능을 가지는 골프 보조 장치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골프 보조 장치들은 GPS를 기반으로 동작하여, 제공하는 정보의 거리 오차가 존재하고 있고, 그린에서의 홀 컵의 위치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골프 보조 장치들은 그린 주위에서 퍼팅을 가이드 해주는 기능을 제공하기에는 제약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린 주위에서 퍼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는, 그린 주위의 외부 객체를 인식하여, 퍼팅 가이드를 외부 객체에 중첩되도록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는, 사용자가 시각적인 가이드를 보고, 퍼팅 연습을 할 때, 사용자의 퍼팅 속도 또는 스트로크를 감지하여, 제공된 힘의 정보를 바탕으로, 퍼팅의 적절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는, 골프공의 예상 이동 경로와 실제 이동 경로를 비교하여, 이후에 제공하는 예상 이동 경로의 가중치를 제공하여, 예상 이동 경로를 보정하여, 정확한 경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고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제2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고도 정보, 상기 제2 고도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자세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 상에 중첩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는 골프공, 홀컵, 깃발 또는 외부 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각적 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시각적 객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퍼터에 부착가능한(attachable) 외부 전자 장치의 별도의 통신 모듈과 통신 채널을 개설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퍼터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퍼터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의 예상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홀컵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공의 예상 이동 속도와의 비교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는, 그린 주위에서 퍼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는, 퍼팅을 하기 위해 그린위에 서 있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가이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는, 사용자가 미리 연습 스윙을 할 때, 퍼팅의 강도 및 각도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외부 객체들의 표시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표시 장치에 외부 객체들의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가 외부 객체들 사이의 경로를 분할하고, 분할된 경로 상에 경사도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가 외부 객체들 사이의 경로를 획득하고, 경사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표시장치에 외부 객체들 사이의 경로상에 기울기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가 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외부 객체들이 표시된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표시장치에 외부 객체들 사이에서 예상 경로와 필요 속도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를 보조하기 위하여 퍼터에 설치가능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를 보조하는 장치의 움직으로부터, 예상 공의 속도를 획득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가 실제 이동 경로로부터, 예상 이동 경로를 보정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의 구조와 동작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퍼팅 가이드를 위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퍼팅을 통한 공의 이동 경로를 예상하고, 공의 이동 경로에 필요한 퍼터의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카메라(130), 디스플레이(150),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 및 통신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에서 생성되거나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110)에게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110)에게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기록(또는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 디스플레이(150), 카메라(130),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 또는 통신 모듈(17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고, 가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공되거나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메모리(110), 디스플레이(150), 카메라(130), 통신 모듈(17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전자 장치(100) 내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메모리(110), 디스플레이(150), 카메라(130), 통신 모듈(17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170))와 전기적으로(electrically) 또는 작동적으로(operably 또는 operatively) 결합(coupled with)되거나 연결될(connected to)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configured with)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본 문서에서 제안하는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 명령어, 제어 명령어 코드, 제어 데이터, 인스트럭션,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1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 OS(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0)는 골프장의 홀 정보, 그린 주변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골프장의 홀 정보는, 홀이 위치하는 그린의 장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 정보는 그린의 위치와 관련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린의 장소정보는 그린이 형성된 표면의 고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린의 장소정보는 그린의 주위에서 동일한 고도를 따라 이어진 등고선을 포함할 수 있고, 일정한 간격별로 형성된 지점에서의 고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린의 장소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고도 정보는 고도가 포함된 지점의 위치와 관련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0)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불휘발성(non-volatile memor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UFS(universal flash storage)와 같은 불휘발성 매체(mediu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카메라(130)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130)는, 카메라(130)의 FOV(field of view)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카메라(130)는, 전자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눈을 추적하기 위해 더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130)는 카메라(130)의 FOV가 전자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눈을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사용자의 눈을 향해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150)는, 컨텐츠, 데이터, 또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15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가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센서들(미도시)과 결합됨으로써,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될(configured with)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들은, 디스플레이(150) 위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15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50)는, 변형가능한(deforma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50)는, 디스플레이(150)의 적어도 일부를 접을 수 있는(foldable) 디스플레이(예: 폴더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가 폴더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를 접을 수 있는 구조(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실제 세계(real-world)를 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AR(augmented reality) 안경인 경우, 디스플레이(150)는, 제1 면으로 향하는 외부 광을 상기 제1 면과 다른 제2 면을 통해 투과하도록(go through) 구성되고, 상기 제2 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에 반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와 상호작용할(interaction) 수 있도록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은, 전자 장치(100)의 자세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130)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은,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은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의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통신 모듈(17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7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 장치(또는 GNSS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7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external device, 예: 스마트폰, 서버, 기지국, AP(access point) 등) 사이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통신 기능들(예: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는 무선 통신 회로(예: 셀룰러 통신 회로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또는 유선 통신 회로(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회로, 또는 전력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는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7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외부 객체들의 표시 방법을 나타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표시 장치에 외부 객체들의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는, 전자 장치(101) 주변에 위치되는 복수의 외부 객체들 중 카메라(130)의 FOV 내에 위치된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는, 카메라(130)의 FOV 내에 위치된 그린, 홀, 깃발, 골프공 및 주변 환경 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는, 카메라(130)에 의해 획득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는, 프리뷰 이미지(preview image)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130)를 통해 획득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를 포함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또는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130)를 이용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표시할 수 있다.
동작 202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17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 주변의 상기 복수의 외부 객체들을 식별하고,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자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객체들 중에서 카메라(130)의 FOV 내에 위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게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170)을 이용하여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통신 모듈(17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130)를 통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의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게 통신 모듈(170)을 이용하여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202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는, 외부 객체의 사물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는 골프장에 위치하는 골프공, 깃발, 나무 등의 사물의 형상, 모양, 색채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홀 컵, 골프공, 또는 깃발과 같은 지정된 객체에 대해서만, 고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외부 객체가 지정된 객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후술할 동작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골프공, 깃발 등의 형상, 모양, 색채와 비교를 하여, 해당 외부 객체가 고도 및 거리 정보가 필요한 객체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외부 객체가 지정된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인공 신경망(예: CNN, BNN, RNN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프로세서(120)가 획득하는 상기 외부 객체의 정보는 외부 객체의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소 정보는 외부 객체가 위치하는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03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제1 고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제2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고도 정보는, 기준면으로부터의 전자 장치(100)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고도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표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1 고도 정보는, 타원 체고로부터 지오이드고를 뺀 전자 장치(101)의 정표고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고도 정보는, 기준면으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고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표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2 고도 정보는, 타원 체고로부터 지오이드고를 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정표고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70)을 통해 획득된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기 제1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상기 제2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160)은 초음파 센서, LIDAR, IR 카메라 또는 Depth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160)은 센서의 송신측(예: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파장(예: 레이저 광, 초음파)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로부터 반사시켜, 수신측(예: 수광부)에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160)은 수신된 파장과 관련된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하고, 프로세서(120)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외부 객체와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와의 거리 및 전자 장치(101)와 지면과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고, 전자 장치의 제1 고도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제2 고도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의 지면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와의 고도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수직 거리를 제1 고도 정보에서 뺀 값과 제2 고도 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지면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가 위치한 지면의 고도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외부 객체의 정보 중 장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고도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된 고도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동작 204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고도 정보, 상기 제2 고도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자세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좌표 체계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 방위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가상의 3차원 공간 좌표계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고도 정보, 상기 제2 고도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1)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보행추측항법(PDR, pedestrian dead reckoning) 알고리즘 및/또는 확장 칼만필터 영속도 보정(IMU/INS-EKF-ZUPT: inertial measurement unit/navigation system-extended Kalman filter-zero velocity update)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205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에 중첩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에 중첩으로 표시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가 중첩됨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프리뷰 이미지(30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리뷰 이미지(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로, 객체(O1), 객체(O2)(예: 골프공, 홀 컵 또는 깃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리뷰 이미지(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 상에 중첩으로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로, 객체(B1) 및 객체(B2) (예: 홀컵의 형상, 공의 형상)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뷰 이미지(260) 내의 객체(B1) 및 객체(B2) 는,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객체(O1) 및 객체(O2) 상에 각각 중첩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객체(O1), 객체(O2), 객체(B1) 및 객체(B2) 각각이 서로 연관됨은 상기 중첩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고도 정보, 상기 제2 고도 정보, 및 전자 장치(101)의 자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 상에 중첩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함으로써, 강화된 증강 현실 서비스(또는 혼합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리뷰 이미지(260)는, 부가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가 정보로, 객체(A)가 프리뷰 이미지(300)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객체(A)는, 외부 객체(O1)과 외부 객체(O2)까지의 거리 및 고도 차이에 관한 정보로, 프리뷰 이미지(300) 상에 중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부가 정보로, 객체(A)가 프리뷰 이미지(300)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후술할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뷰 이미지(300)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고, 시각적 객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실감적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가 외부 객체들 사이의 경로를 분할하고, 분할된 경로 상에 경사도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동작 401 내지 405를 수행하기 위해서, 외부 객체들 사이의 경로를 설정하고, 경로를 분할하여, 분할된 경로들 사이의 기울기 또는 경사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401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들 사이의 직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직선 경로를 일정 거리별로 경로를 분할할 수 있다. 직선 경로는 외부 객체(예: 도 3의 외부 객체(O1))와 상기 외부 객체와 구별되는 다른 외부 객체(예: 도 3의 외부 객체(O2))사이에서 최단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직선 경로는 지표의 굴곡에 따라서 완전한 직선이 아닐 수 있고, 지표에서 수직으로 바라봤을 때, 직선이면 무방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직선 경로의 거리에 따라, 일정한 거리별로 경로를 분할할 수 있다. 경로의 분할은, 미리 설정된 거리에 해당하는 정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동작 402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분할된 경로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정사각 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도형들에 대칭인 도형들로 상기 도형들에 접하는 도형들을 설정할 수 있다. 대칭인 도형들은 상기 분할 경로 또는 상기 외부 객체들 간의 직선경로에 대칭인 도형일 수 있다. 상기 대칭인 도형들은 직선 경로 상에 배치되어, 직선 경로를 분할하는 도형들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도형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도형들을 구성하는 모서리들의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동작 404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도형들을 구성하는 모서리들의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도형들을 형성하는 모서리의 지정된 지점에서의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세서(120)는 도형들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130)로부터, 각각의 모서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동작 203과 유사하게, 모서리 사이의 고도차이를 획득하여, 모서리 사이의 기울기 또는 경사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객체들 사이에 상기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시각적 객체는 상기 기울기 정보와 관련하여, 기울기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도형 또는 애니메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기울어 진 경우 또는 좌측이 고도가 높고, 우측이 고도가 낮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가 외부 객체들 사이의 경로를 획득하고, 경사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카메라(130)의 FOV(V)에서 촬영되는 외부 객체(O1, O2)들을 바탕으로, 경로(501) 및 도형(51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표시장치에 외부 객체들 사이의 경로상에 기울기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동작 405에 따라, 외부 객체들 사이의 경로상에 형성되는 도형에 기울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들(O1, O2)사이의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130))의 FOV(V)의 시야각(θ)의 범위내에 있는 외부 객체들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외부 객체들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외부 객체들 중에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미리 지정된 외부 객체(예: 골프공, 홀컵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미리 지정된 외부 객체 중 골프공에 해당하는 외부 객체(O1)와 홀컵에 해당하는 외부 객체(02)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외부 객체들(O1, O2) 사이의 직선 경로 또는 최단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직선 경로는 최단 경로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직선 경로(501)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볼 때, 직선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직선 경로(501)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도형들을 설정하고, 상기 직선 경로(501)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형들에 접하는 복수개의 추가 도형들을 설정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도형들은 상기 직선 경로(501)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고도 정보로부터, 각각의 복수개의 도형(510)들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이 위치하는 위치에서의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0)에 저장된 고도 정보가 해당 위치에서의 고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인접한 모서리 또는 꼭지점으로부터 해당 지점의 고도 정보를 추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0)에 해당 홀을 포함하는 그린의 고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로, 해당 모서리까지의 거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로부터 수신된 거리정보, 전자 장치(100)의 지면과의 수직 거리, 직선 경로의 거리, 외부 객체와의 거리, 외부 객체 또는 도형의 모서리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 또는 모서리 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고도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지면과의 수직거리, 카메라로부터 도형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까지 형성되는 선과 지면과의 각도, 및,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지면의 지점에서 해당 모서리 또는 꼭지점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프로세서(120)는 해당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서의 고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편평한 지면으로 가정할 때, 지면과의 거리와, 기울기를 가져, 기울어 졌을 때 이루는 각도일 때, 지면과의 거리의 차이를 비교하여, 고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도형들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의 고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고도들을 바탕으로, 각각의 도형들에 대응되는 지점에서의 경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경사도를 바탕으로, 각각의 도형들이 가지는 기울기를 프리뷰(600) 상에 표시된 기울기를 나타내는 제2 시각적 객체들(510, 610)을 표현할 수 있다. 제2 시각적 객체들(510, 610)은 직선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직선 경로에 대칭인 도형들(510) 및 상기 도형들(510)이 가지는 경사도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객체(610)일 수 있다. 상기 경사도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객체(610)들은, 화살표 형태로, 경사도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객체(610)들은 상기 도형들 내에서, 아래로 향하는 방향을 도시하는 형태일 수 있다. 객체(610)들은 기울기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하여, 화살표의 길이 또는 두께를 상이하게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50)에 해당 도형이 위치하는 영역의 경사도가 심한 경우에, 화살표를 길게 표현하거나, 두껍게 표현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 화살표를 짧게 표현하거나, 얇게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객체(510)의 형상 및 객체(610)의 시각적인 표현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가 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외부 객체들이 표시된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표시장치에 외부 객체들 사이에서 예상 경로와 필요 속도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프로세서(120)는 도형들이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고도 정보로부터 모서리들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고, 동작 702에서 상기 획득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외부 객체 중 홀까지의 공의 예상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도형에 표시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골프공이 홀컵 까지의 이동시에 예상되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공이 위치하는 사각형의 기울기를 바탕으로, 최초 이동시에 지면의 경사에 의해 발생하는 공의 이동 경로를 반영하고, 이동 경로에 따라 새로운 도형에 진입하면, 상기 새로운 도형에서 가지고 있는 경사도 정보를 반영하여, 공의 이동 경로를 반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프로세서(120)는 홀컵까지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공의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전체 예상 이동 경로를 상기의 각각의 도형들에서의 경로를 병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그린의 환경을 인식하고, 동작 704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식한 그린의 환경에 기반하여, 공이 홀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 1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로부터, 그린의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은 습도 센서 또는 기압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은 습도 센서 또는 기압계를 바탕으로, 그린 주위의 습도 및 기압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그린 위에서 공에 전달되는 힘에 따른 공의 구름 정도를 보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160)들은 카메라와 같은 광학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광학 입력 장치를 통해서, 그린에 자란 잔디의 길이 또는 높이와, 그린의 상태(예: 피벗의 존재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그린의 상태에 따른 보정을 통하여, 공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에 대한 속도의 감소를 반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그린의 환경에 기반하여, 산출된 이동 경로상의 마찰력 또는 그린 상태에 따른 속도의 감소로부터, 공이 홀까지 이동하기 위한 초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골프공으로부터 홀컵까지의 경사도와 이동 경로상의 상태를 파악하여, 정확한 초기 속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퍼팅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객체들 사이에 상기 경로 및 필요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산출된 공의 초기 이동 속도와 예상 이동 경로를 프리뷰상에 시각적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50)에 외부 객체(O1, O2)를 표시하고, 상기 외부 객체들 사이에서 공의 이동 경로(P) 및 공의 초기 속도에 대응되는 시각적 객체(v)들을 포함하는 시각적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공의 이동 경로(P)는 그린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산출된 경로일 수 있다. 그린의 경사도는 도 4 내지 도 6에서의 산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각각의 도형의 경사도를 바탕으로, 프로세서(120)는 공의 예상 이동 경로(P)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공의 예상 이동 경로(P)를 바탕으로, 그린의 환경(예: 그린 잔디의 길이, 그린 주위의 습도)에 따른 마찰력을 고려하여, 초기 필요 공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50)에 프리뷰(800)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한 프리뷰 상에 중첩되도록, 공의 이동 경로(p)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 및 초기 필요 공의 속도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v)를 표시할 수 있다. 공의 이동 경로(p)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는 경사도를 고려하여, 기준선과 벗어나는 곡선 형태로 공을 지칭하는 객체(O1)으로부터, 홀컵을 지칭하는 객체(O2)까지 이어지는 선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아니고, 경사도가 거의 없는 그린 지역에서, 이동경로(p)는 기준선과 거의 일치하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의 초기 속도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v)는 공의 이동 경로(p)를 나타내는 출발점에서 접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공의 초기 속도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v)는 공의 방향과 공의 초기 속도를 모두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의 초기 속도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v)는 공의 초기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고, 화살표의 길이 또는 크기는 공의 초기 속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를 보조하기 위하여 퍼터에 부착가능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보조 장치(900)는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공의 초기 이동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보조 장치(900)는 사용자의 퍼터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 장치(900)는 퍼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퍼터에 부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보조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930)에 의해서, 퍼터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퍼터의 자세 또는 자세 변화를 통하여, 프로세서(920)는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공의 이동 속도를 예상할 수 있다.
보조 장치(900)는 메모리(910), 프로세서(920), 적어도 하나의 센서(93), 통신 모듈(940) 및/또는 출력 장치(9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20)는 전자 장치(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2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92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장치(900)는 퍼터에 부착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중량에 민감할 수 있어, 보조 장치(900)에 부착되는 장치들의 사양은 저사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20)는 전자 장치(9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20)는 프로그램에서 생성되거나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20)는 메모리(910), 적어도 하나의 센서(930), 통신 모듈(940) 또는 출력 장치(95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고, 가공할 수 있고, 가공되거나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메모리(910), 적어도 하나의 센서(930), 통신 모듈(940) 또는 출력 장치(9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본 문서에서 제안하는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910)는 보조 장치(900)를 제어하는 명령어, 제어 명령어 코드, 제어 데이터, 인스트럭션,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91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 OS(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0)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불휘발성(non-volatile memor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UFS(universal flash storage)와 같은 불휘발성 매체(mediu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930)는, 보조 장치(900)의 자세 정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930)는,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9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93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보조 장치(900)의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통신 모듈(940)은, 전자 장치(100) 사이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통신 기능들(예: 블루투스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는 전자 장치(100)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출력 장치(950)는 보조 장치(900)에 포함되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장치일 수 있다. 출력 장치(95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출력 장치로 대신할 수 있고, 이 경우, 보조 장치(900)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장치(900)는 스윙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송신하고,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퍼터의 자세 또는 퍼터의 자세 변화에 따른 공의 속도를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공의 속도를 바탕으로, 공의 초기 필요 속도와 비교하여, 결과를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5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를 보조하는 장치의 움직으로부터, 예상 공의 속도를 획득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의 예상 공의 속도 산출하는 동작은, 전자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900)에 포함된 프로세서(120, 9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001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그린의 환경에 기반하여, 공이 홀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를 산출하고, 동작 1002에서, 프로세서(120)는 퍼터에 부착된 외부 전자 장치(예: 보조 장치(900))로 산출된 속도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70)과 보조 장치(900)의 통신 모듈(940)간에 통신 채널을 개설할 수 있고, 보조 장치(900)로 산출된 속도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보조 장치(900)의 프로세서(920)는 상기 전송된 속도에 기반하여, 퍼터의 움직임에 따른 예상 공의 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전송된 속도 정보를 메모리에 임시저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930)로부터 획득된 퍼터의 자세 또는 자세 변화를 바탕으로, 예상 공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상기 산출된 예상 공의 속도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속도 정보를 비교하여, 적절한 퍼팅 스윙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20)는 산출된 예상 공의 속도가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속도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한 범위 내이면, 적절한 스윙으로 판단하고,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면, 부적절한 스윙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002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1002 동작이 생략되는 경우, 1003의 동작은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1003의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퍼터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수신 받고, 프로세서(120)가 퍼터의 움직임에 따른 예상 공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동작 1001에서 산출한 초기 필요 속도와 산출된 예상 공의 속도를 비교하여, 스윙의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004에서, 보조 장치(900)의 프로세서(920)는 상기 공의 속도 비교에 따른 스윙의 적절성 판단에 따라 출력 장치(950)를 통하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150)를 통하여, 스윙의 적절성과 관련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바탕으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연습 스윙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연습 스윙을 바탕으로 한, 실제 스윙시, 퍼팅의 성공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장치가 실제 이동 경로로부터, 예상 이동 경로를 보정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동작 1101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보조 장치(900)로부터 사용자의 퍼팅이 수행되는 경우, 퍼팅시 발생하는 퍼터의 자세 또는 자세 변화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보조 장치(90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930)는 사용자의 퍼팅시, 퍼터의 자세 감지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보조 장치(900)의 프로세서(920)는 퍼터의 이동에 따른 자세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102에서, 프로세서(120)는 공의 실제 이동 경로를 획득할 수 있고, 동작 1103에서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퍼터 자세와 관련된 데이터 및 공의 실제 이동 경로에 기반한 공의 예상 이동 경로의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130)로부터, 공의 실제 이동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퍼팅이후, 공의 이동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공의 위치를 연결하여, 공의 실제 이동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퍼터 자세 또는 자세 변화와 관련된 데이터로부터, 공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속도를 기준으로 계산된 이동 경로와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실제 이동 경로가 계산된 이동 경로를 비교하여, 경사에 따라 형성되는 경로의 휘어짐 정도가 심하면, 공의 이동 경로에서 휘어짐에 대한 가중치를 합할수 있고, 반대로, 실제 이동 경로가 경사에 따라 형성되는 경로의 휘어짐 정도보다 덜하면, 가중치를 빼는 방식으로, 이후 공의 예상 이동 경로의 산출을 진행할 때, 보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모듈, 메모리와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고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제2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고도 정보, 상기 제2 고도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자세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 상에 중첩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는 골프공, 홀컵, 깃발 또는 외부 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각적 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시각적 객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들 사이의 직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직선 경로를 일정 거리로 경로를 분할하고, 상기 일정 거리로 분할된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일정 거리에 해당하는 도형들을 설정하고, 상기 도형들에 접하고,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대칭인 도형들을 설정하고, 상기 도형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서리들의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모서리들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외부 객체들 사이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는 상기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시각적 객체, 상기 도형들 및 상기 도형들에 포함되는 상기 기울기 정보를 시각화한 시각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객체들은, 상기 카메라의 FOV(field of view)의 범위에 포함되는 외부 객체들이고, 상기 경로는 상기 외부 객체들 중 상기 골프공 및 상기 홀컵 사이의 직선 경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도형들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고도 정보로부터, 상기 모서리들의 고도 정보로부터 모서리들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들 중 상기 골프공 및 상기 홀컵 사이의 상기 골프공의 예상 이동 경로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골프공의 예상 이동 경로는 상기 골프공 및 상기 홀컵 사이에서 연속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들이 위치하는 그린의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상기 그린의 환경을 바탕으로,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홀컵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를 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린의 환경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그린의 잔디 길이, 잔디 형상,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그린 주변의 습도 또는 기압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외부 객체들 중 상기 골프공과 상기 홀컵 사이의 상기 골프공의 예상 이동 경로 및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홀컵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시각적 객체는 상기 홀컵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골프공의 예상 이동 경로에 접하는 직선으로 표시되는 시각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퍼터에 부착가능한(attachable) 외부 전자 장치의 별도의 통신 모듈과 통신 채널을 개설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퍼터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퍼터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의 예상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홀컵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공의 예상 이동 속도와의 비교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고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의 제2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고도 정보, 상기 제2 고도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자세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각적 객체 상에 중첩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는 골프공, 홀컵, 깃발 또는 외부 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각적 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시각적 객체인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들 사이의 직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직선 경로를 일정 거리로 경로를 분할하고,
    상기 일정 거리로 분할된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일정 거리에 해당하는 도형들을 설정하고, 상기 도형들에 접하고,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대칭인 도형들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도형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서리들의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모서리들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외부 객체들 사이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적 객체는 상기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시각적 객체, 상기 도형들 및 상기 도형들에 포함되는 상기 기울기 정보를 시각화한 시각적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객체들은, 상기 카메라의 FOV(field of view)의 범위에 포함되는 외부 객체들이고,
    상기 경로는 상기 외부 객체들 중 상기 골프공 및 상기 홀컵 사이의 직선 경로인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도형들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고도 정보로부터, 상기 모서리들의 고도 정보로부터 모서리들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들 중 상기 골프공 및 상기 홀컵 사이의 상기 골프공의 예상 이동 경로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골프공의 예상 이동 경로는 상기 골프공 및 상기 홀컵 사이에서 연속 적인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들이 위치하는 그린의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상기 그린의 환경을 바탕으로,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홀컵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를 산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의 환경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그린의 잔디 길이, 잔디 형상,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그린 주변의 습도 또는 기압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외부 객체들 중 상기 골프공과 상기 홀컵 사이의 상기 골프공의 예상 이동 경로 및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홀컵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시각적 객체는 상기 홀컵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골프공의 예상 이동 경로에 접하는 직선으로 표시되는 시각적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퍼터에 부착가능한(attachable) 외부 전자 장치의 별도의 통신 모듈과 통신 채널을 개설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퍼터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퍼터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의 예상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홀컵까지 이동하기 위한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공의 예상 이동 속도와의 비교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41763A 2021-03-31 2021-03-31 퍼팅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2573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763A KR102573410B1 (ko) 2021-03-31 2021-03-31 퍼팅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763A KR102573410B1 (ko) 2021-03-31 2021-03-31 퍼팅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183A true KR20220137183A (ko) 2022-10-12
KR102573410B1 KR102573410B1 (ko) 2023-09-05

Family

ID=8359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763A KR102573410B1 (ko) 2021-03-31 2021-03-31 퍼팅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4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644A (ko) * 2016-04-18 2017-10-27 (주)씨랩시스 퍼팅 어시스트 장치 및 방법
KR20200025775A (ko) * 2018-08-31 2020-03-10 (주)지앤서비스 골프 그린라이 분석장치
KR20200137073A (ko) * 2019-05-28 2020-12-09 (주)아이엔에스 에이밍 기능이 구비된 퍼팅정보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644A (ko) * 2016-04-18 2017-10-27 (주)씨랩시스 퍼팅 어시스트 장치 및 방법
KR20200025775A (ko) * 2018-08-31 2020-03-10 (주)지앤서비스 골프 그린라이 분석장치
KR20200137073A (ko) * 2019-05-28 2020-12-09 (주)아이엔에스 에이밍 기능이 구비된 퍼팅정보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410B1 (ko)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2278B2 (en) Space carving based on human physical data
US10521944B2 (en) Repositioning user perspectives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92234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between interface modes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US11198508B2 (en) Electronic device moved based on distance from external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05102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nue based augmented reality
US20190235622A1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Method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9116011B2 (en) Three dimensional routing
US9047688B2 (en) Depth cursor and depth measurement in images
KR20210046592A (ko) 증강 현실 데이터 제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US201202124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cenes to a user
US20140160170A1 (en) Provision of an Image Element on a Display Worn by a User
US11380011B2 (en) Marker-based positioning of simulated reality
US9672588B1 (en) Approaches for customizing map views
US11554316B2 (en) Thermopile array fusion tracking
US2022041274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573410B1 (ko) 퍼팅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1914660B1 (ko) 자이로 센서를 기반으로 증강현실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3286B1 (ko) 혼합 현실 내에서의 공간 좌표 정보 보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939530B1 (ko) 지형정보 인식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5174522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59130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154389A (zh) 终端设备及其数据处理方法、无人机及其控制方法
KR102079278B1 (ko) 혼합 현실을 위한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4958835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06584A (ko) 지형정보 인식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