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056A - 상관효과 증강 현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관효과 증강 현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056A
KR20220137056A KR1020227030232A KR20227030232A KR20220137056A KR 20220137056 A KR20220137056 A KR 20220137056A KR 1020227030232 A KR1020227030232 A KR 1020227030232A KR 20227030232 A KR20227030232 A KR 20227030232A KR 20220137056 A KR20220137056 A KR 20220137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e
augmented reality
lighting
image
back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바 메이어 크라우타머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13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1/00Conjuring appliances; Auxiliary apparatus for conjur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1Mixing live action with images projected on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41Special mode during image acquisition
    • G06T2207/10152Varying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증강 현실 시스템은 제1 장면과 제2 장면을 포함한다. 또한, 증강 현실 시스템은 제1 장면, 제2 장면, 관객에 관해 위치되어 부분 반사면을 통해 제1 장면 또는 제2 장면 중 하나의 보기를 용이하게 하고 제1 장면 또는 제2 장면 중 다른 하나를 증강 현실 이미지로서 관객을 향해 반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부분 반사면을 포함한다. 증강 현실 시스템의 센서는 제1 장면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감지 및 생성하도록 설계되고, 상관 효과 시스템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2 장면을 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Description

상관효과 증강 현실 시스템 및 방법
탑승 시스템과 같은 놀이 공원 어트랙션(Amusement park attraction)은 게스트가 AR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증강 현실(AR)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게스트에게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기구(amusement ride)는 게스트에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특징과 협력하여 게스트가 볼 수 있도록 AR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것은 스테이지 장면에 반투명 유령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특수 효과를 만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AR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은 전통적으로 페퍼스 고스트 착시(Pepper's Ghost illusion)로 지칭된다. AR 이미지를 제공하는 이 기술은 19세기에 개발된 것으로 여겨진다. 페퍼스 고스트 착시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료(예: 유리, 플라스틱 또는 폴리에스터 호일)의 반사 특성을 활용하여 관객이 볼 수 있도록 장면에 이미지를 가상으로 투영한다. 예를 들어, 각진 유리창이 스테이지 앞에 위치할 수 있고, 이미지(imagery)가 관객의 시선 외부에서 유리를 향해 투영된 다음 유리판에 의해 관객을 향해 부분적으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관객은 유리 뒤에 그리고 관객의 시선에서 제시된 장면을 보는 것과 관련하여 반사된 이미지를 인지한다. 조명에 따라, 유리 뒤의 광이 반사된 이미지를 통해 계속 관찰 가능하기 때문에 반사된 이미지에 유령같은 외관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조명 기술이 사용되어 배경에서 경쟁하는 광을 제한함으로써 반사된 이미지를 보다 견고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AR은 수년간 활용되어 왔으며, 현재 수많은 놀이동산 어트랙션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관객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이러한 착시의 본질을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이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에는 착시를 보다 현실감 있고 몰입감 있게 만들기 위한 기술의 개선이 필요하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 섹션은 아래에 설명 및/또는 청구되는 본 기술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될 수 있는 기술의 다양한 측면을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측면의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경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진술은 이러한 관점에서 읽어야 하며 선행 기술을 인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개시된 대상 및 범위에 상응하는 특정 실시예가 아래에 요약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단지 특정 개시된 실시예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실제로, 본 개시는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제1 장면 및 제2 장면을 갖는 증강 현실 시스템을 포함한다. 부분 반사면(partially reflective surface)은 제1 장면, 제2 장면 및 관객에 관해 위치되어 부분 반사면을 통해 제1 장면 또는 제2 장면 중 하나의 보기를 용이하게 하고, 제1 장면 또는 제2 장면 중 다른 하나를 증강 현실 이미지로서 상기 관객을 향해 반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센서는 제1 장면의 특성을 감지하고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관 효과 시스템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장면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는 배경 장면 조명을 포함하는 배경 장면과, 증강 현실 장면 조명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면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을 포함한다. 부분 반사면이 배경 장면, 증강 현실 장면 및 관객에 관해 위치되어 부분 반사면을 통해 배경 장면의 보기를 용이하게 하고, 강 현실 장면을 증강 현실 이미지로서 관객을 향해 반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센서는 배경 장면의 조명 특성을 감지하고 조명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관 효과 시스템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장면 조명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는 3차원 스테이징 영역을 포함하는 배경 장면 및 3차원 스테이징 영역을 조정 가능하게 조명하도록 동작 가능한 배경 장면 조명을 갖는 증강 현실 시스템을 포함한다. 증강 현실 시스템은 또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증강 현실 장면 조명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면을 포함한다. 부분 반사면은 배경 장면, 증강 현실 장면 및 관객에 관해 위치되어 부분 반사면을 통해 배경 장면의 보기를 용이하게 하고 관객을 향한 증강 현실 이미지의 반사를 용이하게 한다. 센서는 배경 장면 또는 증강 현실 장면 중 하나의 특성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센서는 또한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관 효과 시스템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경 장면 또는 증강 현실 장면 중 다른 하나의 특징(aspect)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 측면 및 이점은 유사한 문자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개시의 측면에 따른, 관객이 시청하도록 배열된 증강 현실(AR)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투영 소스가 가상 발광 물체에 대해 스테이지의 조명을 조정하고 물리적 물체에 대한 가상 발광 물체의 표시 포지셔닝을 조정하도록 동작하는 AR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부분 반사면의 경계 부근에 조명 시스템이 배열되고 가상 발광 물체에 대한 스테이지의 조명을 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AR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배경 장면의 아이템 상에 가상 물체의 반사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모방하도록 이미지 소스가 동작하는 AR 시스템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장면의 아이템에 대한 가상 이미지의 반사를 모방하도록 스테이지 조명이 동작하는 AR 시스템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장면의 아이템에 대한 가상 이미지의 반사를 모방하도록 조명 어레이가 동작하는 AR 시스템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다수의 3차원 장면의 조명이 조명 감지기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다수의 장면 중 하나 이상의 조명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AR 시스템의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실제 구현의 모든 특징이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는 않는다.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실제 구현을 개발할 때, 시스템 관련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 조건(이는 구현마다 다를 수 있음)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구현 관련 결정을 내려야 한다. 더욱이,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를 위한 설계, 제조 및 제작의 일상적인 사업이 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소개할 때, 관사("a", "an" 및 "the")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있음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포함하는(comprising)", "구비하는(including)" 및 "갖는(having)"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나열된 요소 이외의 추가 요소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인용된 특징을 또한 포함하는 추가 실시예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증강 현실(AR) 시스템은 AR 이미지를 관객(예: 시청자)과 배경 장면(가령, 스테이지, 전자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설정)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 반사면(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 또는 폴리에스터 호일)에 투영하도록 동작하는 AR 이미지 소스(예, 프로젝터 또는 조명된 장면(lighted scene))을 포함할 수 있다. AR 이미지 소스 및 배경은 참조된 특징의 조합을 포함한다. AR 이미지는, AR 이미지가 배경 장면에 대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관객을 향해 반사하는 스크린에 투영된 다양한 이미지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AR 이미지는 캐릭터(예: 사람), 유령, 물체(예: 책상), 텍스트, 가상의 발광 물체(예: 불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 반사면은 소스로부터 관객을 향해 AR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반사하는 반투명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부분 반사면은 AR 이미지(AR imagery)으로서 관객을 향해 AR 장면을 반사한다. 관객은 반투명 거울에서 반사된 AR 이미지가 물리적 프롭(physical props), 전자 디스플레이(예: 프로젝터 스크린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는 배경 장면과 겹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AR 이미지는 마치 배경 장면의 특징과 상호 작용하고/하거나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처럼 관객에게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AR 이미지에는 3차원(3D)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고, 이 이미지는 적절한 렌즈(예: 3D 안경의 편광 렌즈 또는 컬러 렌즈)를 통해 볼 때 3차원으로 보이는 2차원 이미지로 설명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부분 반사면(예: 유리, 메쉬)을 나타내는, 반투명 거울은 관객 및 AR 이미지 소스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으므로 페퍼스 고스트 효과가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페퍼스 고스트 효과는 뷰어가 부분 반사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특징과 함께 부분 반사면의 AR 이미지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AR 이미지를 반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페퍼스 고스트 효과로 인해 AR 이미지가 부분 반사면 뒤에 위치한 물체나 이미지에 겹쳐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이미지로 표시되고 부분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사람의 모습은 관객의 관점에서 부분 반사면 뒤의 스테이지에 놓인 실제 의자에 앉아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관객이 직접 보는 부분 반사면 뒤의 장면을 배경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부분 반사면에서 반사된 후 관객에게 보이는 AR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면은 AR 장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배경 장면 및 AR 장면은 물리적 구성요소(예: 스테이지 프롭, 배우, 구조물) 및/또는 전자 디스플레이(예: 프로젝터,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패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 화면은 비디오가 투영되는 화면(예: 영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AR 장면은 조명이 있는 프롭 및 부분 반사면에서 광이 반사되도록 배치된 배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AR 장면은, 관객이 직접 볼 수 없지만 관객을 향한 반사를 위해 부분 반사면을 향해 광을 지향하도록 위치하는 스테이지 아래의 챔버에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특징들의 반대 또는 상이한 조합이 배경 장면 및 AR 장면 각각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배경 장면과 AR 장면에서 제공하는 이미지가 결합되어 페퍼스 고스트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각 장면의 상대적 조명은 관객이 보는 방식과 관련하여 효과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배경 장면이 AR 장면보다 실질적으로 훨씬 밝다면, 관객은 자신을 향해 반사된 AR 이미지를 거의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배경 장면이 AR 장면보다 상당히 어두우면, AR 이미지가 지배적일 수 있고 배경 장면이 관객에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AR 이미지는 반사에 의해 볼 수 있도록 관객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되는 AR 이미지의 특징(예: 움직이는 캐릭터)은 관객이 실제 특징을 기대하는 방식으로 배경 장면을 비추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 기능(예: 사람, 램프 또는 자동차)의 AR 이미지는 배경 장면의 실제 거울이 해당 기능을 적절하게 반영하도록 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발광 기능(예: 램프, 손전등, 불꽃 또는 기타 발광 물체)의 AR 이미지는 배경 장면에서 광과 해당 그림자가 생성되도록 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조명 효과를 조정하고 배경 및 AR 장면으로부터 결합된 이미지의 원하는 중첩 인식을 달성하기 위해 배경 장면 및 AR 장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서 조명을 추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배경 장면이 관객이 예상하는 방식으로 영향을 받도록 AR 이미지에 제공된 특징의 예상 조명 효과를 에뮬레이트하는 조명 특징을 포함하며, 이는 프레젠테이션의 몰입 특성을 개선한다. 본 실시예는 또한 배경 장면에서 특징을 추적하도록 동작하는 추적 시스템을 포함하여 그에 상관되는 원하는 AR 이미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물리적 랜턴 등이 배경 장면에서 이동하고 랜턴에 대한 포지셔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추적될 수 있다. 이 포지셔닝 정보는 결합된 배경 장면과 AR 이미지가 관객에게 랜턴이 밝혀지고 광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도록 랜턴의 위치(position)와 상관되도록 부분 반사면 상의 위치에 AR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불꽃과 같은 발광 물체는 랜턴의 물리적 위치에 따라 추적되는 발광 물체를 관객이 볼 수 있는 위치에서 부분 반사면 또는 스크린에 투영될 수 있다. 또한, 배경 장면 조명은 예를 들어 랜턴의 인조 조명으로 인한 것처럼 그림자를 드리우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R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AR 시스템(10)은 배경 장면(12), AR 장면(14),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부분 반사면(16)(부분 반사 층 또는 스크린(16)으로도 지칭될 수 있음)을 포함한다. 관객(18)은 AR 장면(14)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포함하는 AR 이미지(20)는, 가상 이미지(21)에 의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AR 이미지(20)가 배경 장면(12)에 위치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부분 반사면(16)으로부터 관객(18)을 향해 반사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배경 장면(12)은 관객(18)이 부분적으로 투명한 부분 반사면(16)을 통해 직접 볼 수 있도록 위치된다. 배경 장면(12) 및 AR 장면(14)은 물리적 프롭, 라이브 배우, 전자적으로 생성된 이미지 등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 장면(12)은 물리적 특징(예를 들어, 의자, 테이블 및 실제 배우)을 갖는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AR 장면(14)은 AR 이미지(20)를 부분 반사면(16)을 향해 지향시키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경 장면(12) 및 AR 장면(14) 각각의 모두를 포함하여 물리적 특징 및 전자적으로 생성된 이미지의 다른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부분 반사면(16)은 특수 호일, 유리, 플라스틱, 부분 거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관객(18)이 부분 반사면(16)을 통해 보고 적절한 조명 조건에서 반사된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동작 가능하다. AR 시스템(10)은 또한 실시예에 따라 원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24, 26) 및 조명 시스템(28, 30)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컨트롤러일 수 있는 상관 효과 시스템(22)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관 효과 시스템(22)은 실제로 센서(24, 26) 및 조명 시스템(28, 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센서(24, 26)는 배경 장면(12) 및 AR 장면(14)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R 시스템(10)은 AR 시스템(10)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 AR 착시 내의 관객(18)의 몰입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AR 시스템(10)이 AR 장면(14)의 측면를 배경 장면(12)의 측면와 상관시킬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갖는 상관 효과 시스템(22)을 포함한다. AR 시스템(10)은 또한 특정 상관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부분 반사면(16)의 조작(예를 들어, 재배치(repositioning))을 용이하게 하는 액츄에이터(19)와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AR 시스템(10) 및/또는 상관 효과 시스템(22)은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32), 프로세서(34), 및/또는 메모리(36)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다른 시스템 특징의 동작을 지시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3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재기록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광 디스크, 및/또는 다른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AR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4)는 하나 이상의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36)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컨트롤러(PLC) 또는 다른 컴퓨터 기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특징(예를 들어, 컨트롤러(36), 프로세서(34), 및 메모리(32))은 상관 효과 시스템(22) 또는 개별 특징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들 특징은 실행될 때 동작(예를 들어, 조명의 디밍 또는 액츄에이터의 조작)을 개시하는 저장된 명령어(예를 들어, 코드)를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AR 시스템(10)은 AR 이미지(20)와 배경 장면(12)의 직접 볼 수 있는 측면들 사이의 조정을 개선하기 위해 AR 장면(14)과 배경 장면(12) 사이의 조명 특성을 상관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이미지(20)가 배경 장면(12)의 색상과 유사한 색상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센서(24, 26)를 통해 AR 장면(14) 또는 배경 장면(12) 중 어느 하나에서 조명 특성을 관찰하고, 및 조명 시스템(28, 30)을 통해 AR 장면(14) 또는 배경 장면(12) 중 다른 하나에서 대응하는 조명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센서(24, 26)는 특정 시스템에 포함 및/또는 사용될 수 있다. 감지 및 조정할 수 있는 조명 특성의 예로는 세기, 위치/방향, 밝기, 색상, 온도, 대비 및 품질이 있다. 한 장면의 특성은 다른 장면의 다른 특성에 기초하여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관 효과 시스템(22)은 AR 장면(14)의 콘트라스트에 기초하여 배경 장면(12)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물리적(예, 극장 스테이지) 또는 가상 장면(예,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와 같은 전자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공되는 장면) 중 어느 하나(또는 둘 모두)에서 조명을 감지하고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 장면(12) 및 AR 장면(1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센서(24, 26)는 디스플레이 설정(예를 들어, 색상 설정)을 감지할 수 있고 조명 시스템(28, 30)은 센서(24, 26)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 변화에 더하여, 본 실시예는 부분 반사면(16)의 물리적 포지셔닝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 장면(12)에 대한 부분 반사면(16)의 각도, AR 장면(14) 및 관객(18)은 원하는 시청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상관 효과 시스템(22)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19)로 조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투영 소스(60)가 가상 발광 물체(64)에 대한 스테이지(62)의 조명을 조정하고, 물리적 물체(66)에 대한 가상 발광 물체(64)의 포지셔닝을 조정하도록 동작하는 AR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배경 장면(12)은 움직이는 배경 물체인 물리적 물체(66) 및 스테이지(62)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리적 물체(66)는 임의의 수의 이동 가능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이는 물체는 로봇 모양, 횃불, 검, 배우 또는 기타 추적 가능한 물체일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물리적 물체는 실제로 자체적으로 광을 방출하지 않는 프롭 랜턴(prop lantern)이다.
추적 시스템(70)은 배경 장면(12)에서 물리적 움직임을 추적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추적 시스템(70)은 공간에서 물리적 물체(66) 및/또는 배우(80)를 추적하도록 조정하는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72), 프로세서(74), 및 메모리(76)를 포함한다. 배경 장면(12)에서 이러한 물리적 측면(예를 들어, 물리적 물체 및 배우(80))을 추적함으로써, 조명 시스템(60)에 대한 적절한 조명 조정이 AR 시스템(10)의 증강 현실 표현을 보다 몰입적으로 만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이미지(20)는 조명 시스템(60)의 프로젝터(82)를 통해 부분 반사면(16) 상에 제시될 수 있어 AR 이미지(20)의 포지셔닝은 관객(18)에 대한 시선 라인(84)에 관한 물리적 물체(66)의 포지셔닝과 상관된다. 도시된 프로젝터(82)는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광범위한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82)는 화염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평면 스크린 텔레비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부분 반사면(16)에 의해 반사되어 화염이 물리적 물체(66) 상에 또는 내부에 실제로 위치된다는 착시를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젝터(82)는 전면 투영 또는 후면 투영을 통해 이미지를 수신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스크린 텔레비전에서와 같이, 스크린 상에 제공된 이미지는 원하는 착시를 생성하기 위해 부분 반사면(16)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프로젝터(82)는 원하는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젝터(82)는 스테이지(62)에 대한 착시 이미지의 원하는 포지셔닝과 상관되는 반사를 제공하기 위해 액추에이터를 통해 공간 주위에서 조작될 수 있는 물리적 특징(예를 들어, 켜진 양초)로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염두에 두고, 추적 시스템(77)과 조명 시스템(60)의 결합된 동작은 AR 시스템(10)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능하지 않는 랜턴 프롭인 물리적 물체(66)가 켜지고 불꽃을 방출하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는데, 이는 AR 이미지(20)가 불꽃을 나타내고 적절하게 위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명 시스템(60)의 스테이지 조명(86)은 AR 이미지(2)의 포지셔닝과 상관되는 그림자(88)를 투영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스테이지 조명(86)의 하나 이상의 특정 램프(90)가 AR 이미지(20)가 그림자(88)를 일으키는 것처럼 보이도록 동작시킴으로서 그림자(88)가 드리워질 수 있다. 상관 효과 시스템(22)(예: 자동화 컨트롤러)은 추적 시스템(70)으로부터 입력을 얻고 조명 시스템(60)으로 출력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관 효과 시스템(22)은 또한 알려진 포지셔닝 정보(예를 들어, 물리적 물체(66) 및/또는 AR 이미지(20)에 대한 정의된 경로)를 사용하여 상관 및 몰입 효과를 제공하도록 조명 시스템(6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턴 프롭은 자동화를 사용하여 스테이지(62)를 가로질러 조작될 수 있고, 횡단 패턴은 원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젝터(82)와 조정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효율성을 개선하고 물리적 특징(예를 들어, 물리적 물체(66))을 추적하는 것과 관련된 처리 시간 및/또는 비용을 제거할 것이다.
물리적 물체(66) 및/또는 배우(80)는 추적 시스템(70)에 의한 감지 또는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예를 들어, 형상, 색상, 얼굴 특징, 또는 RFID)으로 인해 추적 시스템(70)에 의해 추적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추적 시스템(70)은 위치 데이터(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본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물리적 물체(66)의 특정 형상을 식별하고 물리적 물체(66)의 움직임을 추적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메모리(76) 및 프로세서(74)는 데이터를 해석하고/하거나 센서(72)로부터 얻은 데이터로부터 외삽하기 위해 프로그래밍(예를 들어, 물체 인식 또는 얼굴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추적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조명 시스템(60)을 제어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절한 위치가 식별될 수 있다.
도 3은 AR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여기서 조명 시스템(60)의 스테이지 조명(86)이 부분 반사면(16)의 경계(102)에 근접하게 배열되고 AR 시스템(10)에 관해 배경 장면의 스테이지(62)의 조명을 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이는 가상 발광 물체, 특히 가상 불꽃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시된다. 관객(18)은 가상 이미지(21)에 의해 일반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물체(66) 앞에 및 스테이지(62)의 중간에 존재하는 가상 불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AR 시스템(10)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배열된다. 즉, 가상의 발광 물체인 AR 이미지(20)는 배경 장면(12)의 3차원 공간 내에 위치된 것처럼 보이도록 그리고 그림자(88)를 생성하기 위해 배경 물체(66)와 상호작용하도록 프로젝터(82)에 의해 부분 반사면(16)에 투영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스테이지 조명(86)은 부분 반사면(16)의 가장자리 상에 또는 그 부근에 장착된다. 이러한 포지셔닝은 AR 이미지(20)의 포지셔닝에 기초하여 스테이지 조명(86)의 다양한 램프(90)(예를 들어, LED 조명)가 활성화되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림자(88)인 배경 장면(12)에 사실적인 영향을 줄 수 있게 하며, 이는 가상 이미지(21)로 표현된 가상 불꽃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R 이미지(20)가 3차원 장면 주위를 이동하는 깜박이는 불꽃을 모방하기 위해 부분 반사면(16) 주위를 이동하는 깜박이는 불꽃을 나타내는 경우, 스테이지 조명(86)은 모방된 포지셔닝에 기초하여 상이한 그림자를 드리우도록 주위를 이동하고, 또한 적절한 그림자 형성을 유발하도록 깜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램프(90) 자체는 이동하지 않지만, 부분 반사면(16) 주위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위치된 상이한 램프가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사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과 시스템을 사용하면, 수많은 페퍼스 고스트 착시를 본 관객(18)조차도 효과에 더 몰입하게 될 것이다. 다양한 램프(90)의 포지셔닝은 또한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램프(90)의 활성화와 조합하여 조정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램프(90)가 경계(102)에 결합된 경우, 램프(90)는 원하는 관찰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액추에이터(27)를 사용하여 부분 반사면(16) 전체를 이동함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별도의 액추에이터가 각 램프(9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프로젝션 소스(112)(예를 들어, 영화 프로젝터, 텔레비전 스크린, 프로젝션 스크린)가 AR 이미지(20)에 의해 배경 장면(12) 내 표면(124)에 제공된 가상 물체(118)의 이미지(116)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반사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모방하도록 동작하는 AR 시스템(10)의 측면 개략도이며,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는 스테이지(62) 상에 위치된 인조 거울(faux mirror)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면(124)은 광택 가구, 유리창, 접시 세트, 금속 패널 등과 같은 다른 항목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AR 시스템(10)의 배경 장면(12)은 표면(124)으로서 인조 거울을 포함하고, 여기서 인조 거울은 실제로 관객에게 이미지(116)를 제시하기 위한 투영 표면이다. 가상 물체(118)는 가상 이미지(21)로 위치된 것처럼 보일 것이기 때문에, 배경 장면(12)의 실제 거울(또는 다른 반짝이는 표면)에서 실제로 반사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반사 외관을 얻고 실제 반사를 모방하여 관객 몰입도를 높인다.
인조 거울은 실제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표면(124) 앞에 위치된 투영 소스(112)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거울의 반사 속성을 모방하는 프롭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후방 투영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투영 소스(112) 및 표면(124)은 평면 스크린 텔레비전과 같은 결합된 특징부일 수 있다. 배경 장면(12)이 사실적으로 보이고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관객(18)의 몰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관 효과 시스템(22)은 프로젝션 소스(112) 및 프로젝터(82)의 동작을 조정한다. 프로젝터(82)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물체(118)의 이동은, 표면(124)이 가상 물체(118)를 반사하고 있다는 착시를 제공하기 위해 투영 소스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116)와 조화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것은 이미지(116)를 제공하기 위해 가상 물체(118)로부터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방되는 표면(예: 가구의 약간 광택 있는 페인트)에 따라, 이미지(116)가 흐릿하게 나타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프로젝션 소스(112) 및 프로젝터(82)는 임의의 수의 이미지 제공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명되는 스테이지, 기존 프로젝터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조명(86)이 배경 장면(12)의 아이템 상에 가상 이미지(21)의 반사를 모방하도록 동작하는 AR 시스템(10)의 측면 개략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물리적 반사 물체(152)(예를 들어, 반짝이는 공, 모래 시계, 광택 있는 그림, 광택 있는 가구)가 배경 장면(12)에 위치된다. AR 장면(14)에서, 물리적 조명 물체(154) (예를 들어, 프로젝터, 텔레비전 스크린, 양초, 조명 아래 있는 물체)는, 물리적 조명 물체(154)의 이미지가 물리적 조명 물체(154)가 실제로 배경 장면(12)에 존재하고 가상 이미지(21)로서 위치되는 착시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부분 반사면(16)으로부터 관객(18)을 향해 반사되도록 배치된다. 센서(24)(예, 카메라)는 물리적 조명 물체(154)가 가상 이미지(21)로서 실제로 배경 장면(12)에 위치된 경우 물리적 반사 물체(152)의 표면에 존재할 조명 조건을 감지하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가상 이미지(21)가 배경 장면(12)에 실제로 존재한다면 물리적 반사 물체(152)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물리적 조명 물체(154)를 보는 센서(24)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AR 장면에서 물리적 조명 물체(154)에 대해 45도 각도로 위치될 수 있는데, 이는 반짝이는 고무 공이 가상 이미지(21)가 배경 장면(12)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위치에 대해 45도 각도로 위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모델링 기술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근사치는 원하는 착시를 제공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가상 이미지(21)가 스크린(예를 들어, 텔레비전 스크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기초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24)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적절한 방식으로 배경 장면(12)으로 투영되거나 반사될 스테이지 조명(85)으로부터 광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스테이지 조명(85)의 중앙 쌍은 원하는 반사 효과를 생성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도록 선택되었다. 결과적인 조명 효과가 가상 이미지(21)에 대해 인지된 것처럼 위치했다면 물리적 반사 물체(152)에 부딪쳤을 광의 위치 및 품질 모두와 일치하기 때문에, 물리적 반사 물체(152)는 정확하고 믿을 수 있는 방식으로 투영된 광에 반응할 것이다.
도 6은 AR 시스템(10)의 측면 개략도로서, 조명 어레이(162)(예를 들어, 시준된 광의 평면 어레이, 광 필드 디스플레이, 레이저 패널)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배경 장면(12)의 아이템 상에 가상 이미지(21)의 반사를 모방하도록 동작한다. 도 6의 AR 시스템(1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도 6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스테이지 조명(86)은 조명 어레이(162)를 포함한다. 조명 어레이(162)는 연관된 광 원뿔이 실질적으로 확장되고 블러링(blurring) 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특정 위치로 광의 포인트를 지향할 수 있는 다양한 집속 조명 시스템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24)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도 5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명 어레이(162)는 광이 배경 장면(12)으로 적절하게 반사되도록 부분 반사면(16)의 후방을 향해 원하는 패턴의 광을 지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어레이(162)가 라이트 필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특정 광선은 가상 이미지(21)의 인지된 위치에서 수렴하도록 지향될 수 있고(인지된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24)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후 가상 이미지가 실제로 존재하는 경우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곳에서 발산할 수 있다. 이것은 물리적 반사 물체(152) 상의 가상 이미지(21)의 거울 반사(specular reflection)의 매우 정확한 착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다중 3차원 장면의 조명이 조명 감지기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다수의 장면 중 하나 이상의 조명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AR 시스템(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경 장면(12) 및 AR 장면(14) 모두는 3차원 스테이징 영역이다. 배경 장면(12)은 배경 장면 조명(202)에 의해 조명되고 이 조명은 배경 장면 센서(204)(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AR 장면은 AR 장면 조명(212)에 의해 조명되고 이 조명은 AR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AR 장면(14)의 프롭(218)은 AR 장면 조명(212)으로부터 부분 반사면(16)을 향해 광을 반사하고, 이어서 이는 관객(18)을 향해 지향된다. 배경 장면(12)과 AR 장면(14)의 결합된 조명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명 시스템(60) 및 관련 센서(204, 214)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상관 효과 시스템(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관 효과 시스템(22)은 AR 이미지(20)가 관객(18)에게 반투명하게 나타나도록 조명 시스템(60)을 제어할 수 있고, 이는 AR 이미지(20)에 고스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관 효과 시스템(22)에 의한 이러한 컨트롤은 배경 장면 센서(204) 및/또는 AR 장면 센서(214)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배경 장면 조명(202) 및 AR 장면 조명(212)에 대한 조명 조정은 또한 시청 경험에 대한 다른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배경 장면 센서(204) 및/또는 AR 장면 센서(214)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관 효과 시스템(2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이미지(20)는 더 견고하게 보이도록 만들어질 수 있거나 배경 장면(12)과 AR 장면(14)의 더 나은 상관관계(예를 들어, 좌표 채색, 대비)를 위해 다양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배경 장면(12) 및 AR 장면(14)이 3차원 스테이지 설정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다수의 상이한 특징들이 결합되어 배경 장면(12) 및 AR 장면(14)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82)는 조명 시스템(60)의 일부일 수 있고, 추가 AR 이미지(20)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222)(예를 들어, LCD 스크린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는 스테이지(62)의 물리적 물체(66)와 함께 배경 장면(12)의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이러한 특징(예: 디스플레이(222), 프로젝터(82), 조명(202, 212))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예상 이미지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효과를 조정함으로써 관객에게 증강 현실의 몰입형 프레젠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상관 효과 시스템(22)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측면이 도 1 내지 5 및 이들의 대응 설명에 의해 예시된다. 예를 들어, 도 4는 배경 장면(12)에서 AR 이미지(20)의 가짜 반사를 제공하는 반면, 도 5는 배경 장면(12) 및 AR 장면(12)과 같은 3차원 스테이징 영역의 특정 배열의 예를 제공하고, 이러한 장면은 AR 프레젠테이션에서 조정된 조명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장면을 제공한다. 이들은 본 개시에 의해 커버되고 상이한 결합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더 넓은 특징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는 실시예의 특정 측면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가짜 반사가 도 3의 조명 디바이스와 함께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과 협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은 AR 시스템(10)의 개시된 특징의 모든 조합을 커버한다.
본 개시의 특정 특징만이 여기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많은 수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정신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현재 기술 분야를 명백하게 개선하는 실제적 성격의 구체적인 예 및 물질적 대상 에 적용되고 참조되며, 따라서 그 자체로 추상적인, 무형의 또는 순수 이론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끝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범위는 "...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또는 "...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로서 지정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 U.S.C. 112(f)에 따라 해성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다른 방식으로 지정된 요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클레임의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증강 현실 시스템으로서,
    제1 장면과,
    제2 장면과,
    부분 반사면(partially reflective surface)으로서, 상기 부분 반사면을 통해 상기 제1 장면 또는 상기 제2 장면 중 하나의 보기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 장면 또는 상기 제2 장면 중 다른 하나를 증강 현실 이미지로서 관객을 향해 반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 장면, 상기 제2 장면 및 상기 관객에 대해 위치되는 상기 부분 반사면과,
    상기 제1 장면의 특성을 감지하고 상기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센서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장면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상관 효과 시스템(correlative effect system)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면은 제1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장면은 제2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특성은 조명 특성이며, 상기 상관 효과 시스템은 상기 제1 장면의 조명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조명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면은 배경 장면이고, 상기 제1 조명은 배경 장면 조명이며, 상기 제2 장면은 증강 현실 장면이고, 상기 제2 조명은 증강 현실 조명인,
    증강 현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면은 증강 현실 장면이고, 상기 제1 조명은 증강 현실 조명이며, 상기 제2 장면은 배경 장면이고, 상기 제2 조명은 배경 장면 조명인,
    증강 현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면은 이미지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관 효과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생성기에 의해 제공되는 이미지의 색상, 대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조정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1 장면의 조명을 나타내는,
    증강 현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장면에서 물리적 물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관 효과 시스템은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가 상기 물리적 물체의 위치에 관해 위치되도록 상기 제2 장면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장면에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의 반사를 모방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생성기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면은 3차원 스테이지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3차원 스테이지 설정의 조명 특성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면은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움직임 및 조명 특성에 대해 상기 제1 장면 및 상기 제2 장면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센서 중 하나인,
    증강 현실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효과 시스템은 상기 부분 반사면 상의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의 가상 발광 물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장면에서 그림자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장면의 조명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시스템.
  12. 증강 현실 시스템으로서,
    배경 장면 조명을 포함하는 배경 장면과,
    증강 현실 장면 조명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면과,
    부분 반사면으로서, 상기 부분 반사면을 통해 상기 배경 장면의 보기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증강 현실 장면을 증강 현실 이미지로서 관객을 향해 반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배경 장면, 상기 증강 현실 장면 및 상기 관객에 대해 위치되는 상기 부분 반사면과,
    상기 배경 장면의 조명 특성을 감지하고 상기 조명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센서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증강 현실 장면 조명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관 효과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장면에서 물리적 물체의 포지셔닝(positioning)을 감지하고 상기 물리적 물체의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포지셔닝에 가상 물체를 제공하도록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션 감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장면은 극장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반사면은 부분 미러링된 포일(partially mirrored foil)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의 반사를 모방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배경 장면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장면의 추가 조명 특성을 감지하고 상기 추가 조명 특성을 나타내는 추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추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관 효과 시스템은 상기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장면 조명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장면은 3차원 스테이징 영역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18. 증강 현실 시스템으로서,
    3차원 스테이징 영역 및 상기 3차원 스테이징 영역을 조정 가능하게 조명하도록 구성되는 배경 장면 조명을 포함하는 배경 장면과,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장면 조명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면과,
    상기 배경 장면, 상기 증강 현실 장면 및 관객에 관해 위치되어 부분 반사면을 통해 상기 배경 장면의 보기를 용이하게 하고 관객을 향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의 반사를 용이하게 하는 상기 부분 반사면과,
    상기 배경 장면 또는 상기 증강 현실 장면 중 하나의 특성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 상기 센서는 또한 상기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됨 - 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장면 또는 상기 증강 현실 장면 중 다른 하나의 특징(aspect)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관 효과 시스템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장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 현실 장면 조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배경 장면의 조명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관 효과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와 상관된 증강 현실 이미지의 특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조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장면에서 물리적 물체의 포지셔닝을 감지하고, 상기 물리적 물체의 검출된 포지셔닝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상 물체를 제공하도록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션 감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KR1020227030232A 2020-01-31 2021-01-21 상관효과 증강 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7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79,148 2020-01-31
US16/779,148 US11138801B2 (en) 2020-01-31 2020-01-31 Correlative effect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PCT/US2021/014425 WO2021154581A1 (en) 2020-01-31 2021-01-21 Correlative effect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056A true KR20220137056A (ko) 2022-10-11

Family

ID=7462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232A KR20220137056A (ko) 2020-01-31 2021-01-21 상관효과 증강 현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38801B2 (ko)
EP (2) EP4096801B1 (ko)
JP (1) JP2023511733A (ko)
KR (1) KR20220137056A (ko)
CN (1) CN114980987A (ko)
CA (1) CA3164665A1 (ko)
WO (1) WO2021154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94904A1 (en) * 2020-09-24 2022-03-24 Universal City Studios Llc Projection media three-dimensional simulation and extrusion
US11394549B1 (en) * 2021-01-25 2022-07-19 8 Bit Develop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epper's ghost artifice in a virtual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US11675212B2 (en) 2021-10-19 2023-06-13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ing images from light field displays based on positional tracking data
US11675213B2 (en) 2021-10-19 2023-06-13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ing images from light field displays based on reflected light rays
US11899348B2 (en) * 2022-03-02 2024-02-13 Universal City Studios Llc Show effect system for attra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5744A1 (en) * 2001-08-10 2004-07-15 Oliver Bimber Virtual showcases
KR100668958B1 (ko) 2005-09-05 2007-01-1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플래쉬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GB0522150D0 (en) * 2005-10-31 2005-12-07 Musion Systems Ltd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2150081A (zh) 2008-07-14 2011-08-10 穆申Ip有限公司 用于产生佩珀尔幻象的方法和系统
EP2310908B1 (en) 2008-07-14 2015-04-08 Holicom Film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filming
US20100253700A1 (en) * 2009-04-02 2010-10-07 Philippe Bergeron Real-Time 3-D Interactions Between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US8692738B2 (en) 2011-06-10 2014-04-08 Disney Enterprises, Inc. Advanced Pepper's ghost projection system with a multiview and multiplanar display
US8525829B2 (en) 2011-09-19 2013-09-03 Disney Enterprises, Inc. Transparent multi-view mask for 3D display systems
JP2015007734A (ja) 2013-06-26 2015-01-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投影装置、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投影方法及び表示装置
CN106133796B (zh) * 2014-03-25 2019-07-16 苹果公司 用于在真实环境的视图中表示虚拟对象的方法和系统
US9819907B2 (en) 2014-09-25 2017-11-14 Steve H. McNelley Communication stage and related systems
US10298877B2 (en) * 2014-09-25 2019-05-21 Steve H. McNelley Communication stage and display systems
US9849399B2 (en) 2014-11-12 2017-12-26 Ventana 3D, Llc Background imagery for enhanced pepper's ghost illusion
EP3268096A4 (en) 2015-03-09 2018-10-10 Ventana 3D LLC Avatar control system
US9961301B1 (en) * 2016-10-14 2018-05-01 Telepresence Technologies, Llc Modular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US9989777B1 (en) * 2017-06-05 2018-06-05 Disney Enterprises, Inc. Accurate and balanced lighting in a pepper's ghost projection system for live cinematic performances
GB201709199D0 (en) * 2017-06-09 2017-07-26 Delamont Dean Lindsay IR mixed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gaming system
US11054656B2 (en) * 2018-07-24 2021-07-06 Disney Enterprises, Inc. Auto-stereo imaging for viewing i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36952A1 (en) 2021-08-05
EP4349440A2 (en) 2024-04-10
JP2023511733A (ja) 2023-03-22
WO2021154581A1 (en) 2021-08-05
US11836868B2 (en) 2023-12-05
EP4096801B1 (en) 2024-03-06
US11138801B2 (en) 2021-10-05
CA3164665A1 (en) 2021-08-05
CN114980987A (zh) 2022-08-30
US20220020221A1 (en) 2022-01-20
EP4096801A1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6868B2 (en) Correlative effect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US8328368B2 (en) Projection system
US10156730B1 (en) Accurate and balanced lighting in a Pepper's ghost projection system for live cinematic performances
WO1995010063A1 (en) Virtual image theater production system
KR20110061548A (ko) 페퍼스 고스트(Pepper's Ghost)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9219910B2 (en) Volumetric display system blending two light types to provide a new display medium
EA023245B1 (ru) Способ съемки субъект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отснятого материала, подходящего для проецирования способом, формирующим изображение "привидение пеппера" субъекта
US9942539B2 (en) Scanning laser-based three dimensional (3D) display systems for viewers wearing 3D glasses
US20140340490A1 (en) Portable simulated 3d projection apparatus
EP2193311B1 (en) Method of illuminating a 3d object with a modified 2d image of the 3d object by means of a projector, and projector suitable for performing such a method
US20240036353A1 (en) Aerial imaging using retroreflection
US11087529B2 (en) Introducing real-time lighting effects to illuminate real-world physical objects in see-through augmented reality displays
CA2815975A1 (en) Portable simulated 3d projection apparatus
JP6985140B2 (ja) 模型物のための立体的な背景効果を演出する装置
GB2543368A (en) Display apparatus
JP2024506636A (ja) インタラクティブペッパーズゴースト効果システム及び方法
CN116867555A (zh) 交互式佩珀尔幻象效果系统和方法
KR20210099094A (ko) 애니메이션 윈도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