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935A -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935A
KR20220136935A KR1020220040101A KR20220040101A KR20220136935A KR 20220136935 A KR20220136935 A KR 20220136935A KR 1020220040101 A KR1020220040101 A KR 1020220040101A KR 20220040101 A KR20220040101 A KR 20220040101A KR 20220136935 A KR20220136935 A KR 20220136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ing device
image
imaging system
data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나탄 데무트
크리스토프 카제나페
Original Assignee
칼 짜이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짜이스 아게 filed Critical 칼 짜이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3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30Polynomial surface descri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15/506Illumination models
    • G06T5/8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5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5/2257
    • H04N5/232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48Transform domain processing
    • G06T2207/20056Discrete and fast Fourier transform, [DFT, F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Abstract

본 발명은,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화상 형성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의해 제공되고, 제1 데이터를 갖는 제1 데이터 레코드가 제공된다. 제1 데이터 레코드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된다.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된다. 처리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 레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되거나 검출된다.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은,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생성되고, 출력 화상은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수의 출력 화상 픽셀들을 갖는다.

Description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 {METHOD FOR FORMING AN IMAGE OF AN OBJECT,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MAGE FORMING SYSTE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본 발명은,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으며, 광학 촬상 시스템은 렌즈와 화상 캡처 유닛을 포함한다. 화상 캡처 유닛은, 예를 들어, 전자 화상 센서로서 형성된다. 특히, 전자 화상 센서는, 예를 들어, CMOS 형태의 디지털 화상 캡처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화상 캡처 유닛이 감광성 화학막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다수의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시퀀스도 알려져 있는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알려져 있는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형성된 화상은, 이하에서 실제로 형성된 화상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알려져 있는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형성된 화상 시퀀스는 이하에서 실제로 형성된 화상 시퀀스라고도 칭한다.
알려져 있는 광학 촬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특히, 카메라가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름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카메라가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전술한 카메라의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유닛 및 조리개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스톱(stop)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렌즈는, 오브젝트에 대한 렌즈의 초점을 설정하고/설정하거나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렌즈의 광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갖는다. 렌즈 그룹은, 이전 및 이후에서 단일 렌즈 요소 또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갖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도 가질 수 있다.
알려져 있는 광학 촬상 시스템에 의해 실제로 형성된 화상에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구면 수차, 기하학적 왜곡 및/또는 비네팅(vignetting)으로 인해 촬상 에러가 있다. 이 경우, 기하학적 왜곡은 본질적으로 화상 내의 직선의 왜곡이다. 비네팅은 주변부를 향한 광의 감소, 즉, 화상의 에지를 향한 음영이다. 실제로 형성된 화상 시퀀스에도 전술한 촬상 에러가 있을 수 있다.
사진 및 영화 분야에는, 화상 또는 영화의 시청자의 주의를 화상의 특정 콘텐츠로 유도하거나 시청자가 정교한 미적 인상을 얻도록 화상의 이러한 콘텐츠를 특별하게 수정하기 위한 문체(stylistic)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종래부터 매우 특별한 렌즈 또는 특별한 렌즈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가 큰 렌즈는, 렌즈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피사계 심도가 얕은 화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진 및 영화 촬영에 유리하다. 피사계 심도는 카메라의 렌즈 앞의 영역이며, 렌즈는 오브젝트를 촬상하는 데 사용된다. 오브젝트가 이 영역, 즉, 피사계 심도 내에 있으면, 오브젝트는 렌즈에 의해 초점이 맞춰져 촬상된다. 이 영역에 있는 오브젝트는, 이 오브젝트에 렌즈를 초점을 맞춤으로써 화상에서 초점이 맞춰져 표현되며, 화상의 선명도가 떨어짐으로 인해 실제로는 피사계 심도 밖의 공간이 흐릿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시청자의 주의는 오브젝트의 선명한 화상 영역으로 향하게 된다. 달리 표현하면, 매우 특별한 오브젝트 면 상에 렌즈를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초점이 맞지 않는 오브젝트 면의 앞뒤에 있는 오브젝트의 부분들을 촬상함으로써 오브젝트를 선명하고 정밀하게 촬상할 수 있다. 이들 부분은 초점이 맞지 않는 상태로 촬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체 장치는 좋은 미적 인상을 얻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특정 영역이 화상에서 특정 형태를 취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촬상될 오브젝트의 일부이고 초점이 맞춰진 오브젝트 면의 상당히 외부에 있는 강력한 국부 광원이 화상에서 균질한 원형 디스크로서 표현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화상에서 오브젝트의 이들 특정 영역의 형태와 화질은,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보케(bokeh)라고 지칭된다. 보케는, 오브젝트 화상에서 초점이 맞지 않는 영역의 (주관적이지만) 미적 품질을 설명한다. 이 경우, 보케는, 초점이 맞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화상에서 오브젝트의 촬상된 영역의 형질을 나타낸다.
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가 다수의 3차원 표현의 시퀀스를 갖는 3차원 장면을 생성할 수 있고/있거나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3차원 표현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어서, 이러한 데이터는 이 3차원 장면을 2차원 화상 시퀀스로 변환하고/변환하거나 3차원 표현을 2차원 화상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이 방법을 렌더링이라고도 한다.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을 생성하기 위해, 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는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의 수학적 모델을 사용한다.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표현될 모델링될 오브젝트의 형태, 색상 및 표면 마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더욱이,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조명, 특히 모델링될 광원의 로케이션, 유형, 색상 및 방향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수학적 모델은, 캡처 방향, 관측 시야, 초점 거리, 포커싱, 화상 포맷, 화상 캡처 유닛의 크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 및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오브젝트의 위치를 포함한다. 이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2차원 화상 및/또는 2차원 화상 시퀀스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을 위해, 가상 카메라가 핀홀 카메라로서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카메라의 촬상은 복사 정리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핀홀 카메라에는 어떠한 촬상 에러도 없으므로, 계산된 2차원 화상 및/또는 계산된 2차원 화상 시퀀스에는 화상 에러가 없다.
또한, 렌더링에 의해 (즉, 본질적으로는 인위적으로) 형성된 2차원 화상 또는 2차원 화상 시퀀스를 광학 촬상 시스템, 예를 들어, 필름 카메라로 형성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와 혼합하는 것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앞서 언급한 혼합은, 3D 컴퓨터 그래픽 및 영화 촬영에서 "시각 효과"(visual effects)(종종 VFX로 약칭됨)라고 하는 효과의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혼합을 증강이라고도 칭한다. 증강은, 예를 들어, 영화 필름의 사후 제작 중에, 특히, 상이한 소스들로부터 나온 화상들이 결합되는 소위 영상 합성(compositing)에 있어서 발생한다. 오브젝트 또는 장면에 대한 좋은 미적 인상과 가능한 한 사실적인 인상을 전달하기 위해, 영상 합성에 의해 생성된 혼합된 화상에서 및/또는 영상 합성에 의해 생성된 혼합된 화상 시퀀스에서 렌더링에 의해 형성되는 2차원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가, 실제로 형성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와 구별가능한 약간의 차이점만이 있거나 구별가능한 차이점이 전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더링에 의해 본질적으로 인위적으로 형성된 2차원 화상 또는 2차원 화상 시퀀스를 혼합하지 않고 완전히 애니메이션화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에 사용하는 것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 및/또는 가상 현실 분야에서 사용되며, 가상 현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게임, 조종사 훈련용 기내 시뮬레이터, 선장 훈련용 선박 시뮬레이터 및/또는 기차 운전사 훈련용 훈련 시뮬레이터에 사용된다. 또한, 여기서, 오브젝트 또는 장면에 대한 좋은 미적 인상과 가능한 한 사실적인 인상을 전달하기 위해, 렌더링에 의해 본질적으로 인위적으로 형성된 2차원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가, 실제로 형성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와 구별가능한 약간의 차이점만이 있거나 구별가능한 차이점이 전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실제로 형성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의 촬상 에러가 수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오브젝트의 인위적으로 형성된 표현이 실제로 형성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와 구별가능한 차이점이 전혀 없거나 구별가능한 약간의 차이점만이 있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8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화상 형성 시스템의 프로세서로 로딩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로딩되었을 때, 실행 동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방식으로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청구항 19의 특징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20의 특징을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다음에 따르는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또는 첨부 도면으로부터 나온다.
본 발명은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이 경우,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이전 및 이후에 오브젝트를 설명하는 임의의 데이터로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오브젝트의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입력 화상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적어도 하나의 3차원 표현이다.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양측 실시예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오브젝트의 다차원, 예컨대, 2차원 또는 3차원 표현이 계산될 수 있는 데이터임을 제공한다. 전술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열거를 완전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오브젝트를 설명하고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적합한 오브젝트에 관한 임의의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이하에서 더 설명한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중앙 유닛 및 주변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중앙 유닛은, 로컬 컴퓨터, 서버 장치, 다수의 워크스테이션이 있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기반 가상 서버, 태블릿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폰이다. 주변 장치는, 예를 들어, 특히 키보드의 형태로 된 입력 및/또는 출력 유닛으로서 및/또는 모니터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데이터 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 레코드는 제1 데이터를 갖고, 제1 데이터는, (i)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촬상 시스템의 적어도 제1 촬상 파라미터 및/또는 (ii)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 상에 오브젝트의 화상이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촬상 시스템의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결국, 제1 데이터는,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촬상 시스템의 적어도 제1 촬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촬상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제1 촬상 시스템의 제1 메타 데이터, 특히, 제1 카메라 데이터 및 제1 렌즈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의 추가 예는 아래에서 추가로 언급된다.
제1 촬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렌즈 요소를 갖는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이다.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촬상 시스템이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다수의 3차원 표현의 시퀀스를 갖는 3차원 장면이 생성되게 하는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의 대안으로,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3차원 표현이 생성된다. 이어서, 제1 데이터 레코드의 제1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러한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전술한 수학적으로 계산된 데이터는 2차원 화상 시퀀스로 및/또는 2차원 화상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제1 데이터는 2차원 화상 시퀀스로 및/또는 2차원 화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3차원 표현 또는 3차원 장면의 데이터는 수학적으로 계산된다. 이를 위해, 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는, 예를 들어,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의 수학적 모델을 이용한다.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특히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표현될 모델링될 오브젝트의 형태, 색상 및 표면 마감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더욱이,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조명, 특히, 모델링될 광원의 로케이션, 유형, 색상 및 방향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수학적 모델은, 캡처 방향, 관측 시야, 초점 거리, 포커싱, 화상 포맷, 화상 캡처 유닛의 크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 및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오브젝트의 위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는,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적어도 제2 촬상 시스템의 제2 촬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촬상 시스템의 특성을 이용할 때, 오브젝트의 화상은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촬상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제2 촬상 시스템의 제2 메타 데이터, 특히, 제2 카메라 데이터 및 제2 렌즈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의 추가 예는 아래에서 추가로 언급된다.
제2 촬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렌즈 요소를 갖는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이다.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촬상 시스템이 가상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는, 제2 촬상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가상 카메라가 실제로 오브젝트를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는 오브젝트의 화상이 표시 유닛 상에 표현되는 효과를 갖는다. 달리 표현하면, 오브젝트의 화상은, 제2 촬상 파라미터에 의해 선택된 특성을 갖는 카메라가 오브젝트를 실제로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표시 유닛 상에 표현되고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학적 계산에 의해 형성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의 제1 데이터 레코드의 로딩이 또한 발생한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데이터 교환을 위해 서로 연결된다. 특히,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라인에 의해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데이터 교환이 발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간의 무선 연결은 무선 연결 또는 WLAN을 통한 연결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중앙 유닛을 갖는 전자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중앙 유닛은, 로컬 컴퓨터, 서버 장치, 다수의 워크스테이션이 있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기반 가상 서버, 태블릿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폰이다. 또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는, 예를 들어, 주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특히, 예를 들어, 키보드의 형태로 된 입력 및/또는 출력 유닛으로서 및/또는 모니터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제2 데이터 레코드를 데이터 메모리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를 갖고, 제2 데이터는, (i) 제1 촬상 시스템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 및/또는 (ii) 제2 촬상 시스템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제2 데이터는, 제1 촬상 시스템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데이터는,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때(특히, 전술한 오브젝트의 2차원 입력 화상을 형성할 때) 발생한 촬상 에러를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수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히, 수정 데이터를 사용하면, 촬상 에러가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정 데이터는 제1 촬상 시스템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데이터는,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때(특히 전술한 오브젝트의 2차원 입력 화상을 형성할 때) 발생한 촬상 에러를 감소시키거나 완전히 보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보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수정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촬상 에러를 재구성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수정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촬상 에러가 화상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데이터는, 제2 촬상 시스템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달리 표현하면, 수정 데이터의 도움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제2 촬상 시스템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수정은, 예를 들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수정이 전술한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 또는 전술한 가상 카메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거나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효과를 갖는 방식으로 발생한다.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예를 들어, 다항식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다항식은, 예를 들어,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고 렌즈로부터 다시 출사하는 광 빔이 가상 카메라의 화상 캡처 유닛에서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다항식은 다음 형태를 갖는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xs와 ys는 화상 캡처 유닛의 표면 상에서 방출되는 광 빔의 빔 위치를 나타내고, xa와 ya는 가상 정지면에 입사하는 광 빔의 빔 위치를 나타내며, β는 원하는 촬상 스케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특히 제2 데이터 레코드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생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는 보정 맵을 포함한다. 이의 대안으로,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변경 없이 사용됨을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검출하는 것을 제공한다. 특히,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변경 없이 사용되는 것을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예를 들어, 특히,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이 형성되며, 출력 화상은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수의 출력 화상 픽셀들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형성된 보정 맵은 오브젝트의 2차원 입력 화상 위에 배치되고, 촬상 에러의 보정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형성된 2차원 출력 화상은 보정이 제공된 오브젝트의 2차원 입력 화상이다.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특히 다항식의 형태로 된 제2 데이터 레코드로서 형성되면, 전술한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 또는 전술한 가상 카메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거나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상이 2차원 출력 화상으로서 형성되는 방식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와 함께 처리된다. 이어서,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은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제로 형성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의 촬상 에러 또는 다수의 촬상 에러가 쉽게 수정될 수 있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제로 형성된 화상의 촬상 에러 또는 다수의 촬상 에러가 수정될 수 있는, 특히, 완전히 또는 상당히 보정될 수 있는 적합한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항상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브젝트의 인위적으로 생성된 표현이 실제로 형성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와 구별가능한 차이가 없거나 간신히 구별가능한 차이만 있음을 보장한다. 또한, 이를 위해, 오브젝트의 인위적으로 생성된 표현이 대응하여 처리될 수 있는 적합한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항상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 로딩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거나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됨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거나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됨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또한,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 로딩되고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의 대안으로,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고 2차원 출력 화상이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 로딩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오브젝트의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입력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오브젝트의 입력 화상은 미리 결정된 수의 입력 화상 픽셀들을 갖는다. 2차원 입력 화상은, 예를 들어, 카메라의 형태로 된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입력 화상을 로딩 및 제공하는 데이터 캐리어에 2차원 입력 화상을 저장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의 형성 동안, 오브젝트의 입력 화상의 미리 결정된 수의 입력 화상 픽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화상 픽셀은,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처리되며, 오브젝트의 입력 화상의 입력 화상 픽셀의 픽셀 값들은 처리 데이터 레코드의 데이터로 수정된다. 예를 들어, 입력 화상 픽셀의 그레이스케일 값 또는 컬러 값이 수정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3차원 표현에 관한 것을 제공한다.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제1 차원의 제1 데이터 콘텐츠, 제2 차원의 제2 데이터 콘텐츠, 및 제3 차원의 제3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3차원 표현에 대하여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임의의 원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바디를 갖는 3차원 표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는 구형, 직육면체, 및/또는 회전 대칭이다. 이들 바디는 특히 더하거나 빼는 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3차원 표현의 시퀀스를 갖는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은,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의 수학적 모델이 사용된다.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특히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표현되도록 모델링될 오브젝트의 형태, 색상, 및 표면 마감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조명, 특히, 로케이션, 유형, 색상, 및 모델링될 광원의 방향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수학적 모델은, 캡처 방향, 관측 시야, 초점 거리, 포커싱, 화상 포맷, 화상 캡처 유닛의 크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오브젝트의 위치를 포함한다.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의 형성 동안,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콘텐츠, 제2 데이터 콘텐츠, 및/또는 제3 데이터 콘텐츠는,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처리되며, 제1 데이터 콘텐츠, 제2 데이터 콘텐츠, 및/또는 제3 데이터 콘텐츠는 처리 데이터 레코드의 데이터로 수정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이 제1 촬상 시스템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은 제1 렌즈와 제1 화상 캡처 유닛을 갖는다. 제1 화상 캡처 유닛은, 예를 들어, 전자 화상 센서로서 형성된다. 특히, 전자 화상 센서는, 예를 들어, CMOS의 형태로 된 디지털 화상 캡처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이의 대안으로, 화상 캡처 유닛이 감광성 화학막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특히, 카메라가 영화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름 카메라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의 대안으로, 카메라가 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1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유닛, 및 조리개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스톱 유닛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렌즈는, 오브젝트 상에 제1 렌즈의 포커싱을 설정하도록 및/또는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도록 제1 렌즈의 광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갖는다. 렌즈 그룹은, 이전 및 이후에서 단일 렌즈 요소 또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갖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촬상 시스템의 제1 메타 데이터가 제1 촬상 파라미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1 메타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1 촬상 시스템의 촬상 특성 및/또는 기능 유닛을 포함한다. 제1 메타 데이터는, 특히,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또는 제1 촬상 시스템의 특성에 대응하는 데이터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판독되거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수동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이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촬상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카메라에 관한 제1 카메라 데이터;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렌즈에 관한 제1 렌즈 데이터;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스톱 유닛에 관한 제1 스톱 유닛 데이터;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포커싱 유닛에 대한 제1 포커싱 유닛 데이터;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에 관한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 데이터;
- 공간에서 제1 촬상 시스템의 위치와 로케이션에 관한 제1 정보. 달리 표현하면, 예를 들어, 3차원 공간에서 제1 촬상 시스템의 위치와 정렬에 관한 제1 정보가 제공된다.
- 제1 촬상 시스템의 해상도에 관한 제1 정보. 달리 표현하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해상도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해상도는 소위 "풀 HD" 해상도, 즉, 구체적으로 1920Х1080 픽셀의 해상도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해상도는 소위 2k 해상도, 즉, 구체적으로 2560Х1440 픽셀의 해상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해상도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해상도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정보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입력될 수 있는 원하는 목표 해상도를 갖는 것을 제공한다. 목표 해상도는, 예를 들어, 전술한 해상도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이 제2 촬상 시스템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은 제2 렌즈 및 제2 화상 캡처 유닛을 갖는다. 제2 화상 캡처 유닛은, 예를 들어, 전자 화상 센서로서 형성된다. 특히, 전자 화상 센서는, 예를 들어, CMOS의 형태로 된 디지털 화상 캡처 유닛으로서 사용된다. 이의 대안으로, 제2 화상 캡처 유닛이 감광성 화학막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특히, 카메라는 영화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름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의 대안으로, 카메라가 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2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유닛, 및 조리개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스톱 유닛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렌즈는, 오브젝트 상에 제2 렌즈의 포커싱을 설정하도록 및/또는 제2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도록 제2 렌즈의 광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갖는다. 렌즈 그룹은, 이전 및 이후에서 단일 렌즈 요소 또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갖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촬상 시스템의 제2 메타 데이터가 제2 촬상 파라미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2 메타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2 촬상 시스템의 촬상 특성 및/또는 기능 유닛을 포함한다. 제2 메타 데이터는, 특히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또는 제2 촬상 시스템의 특성에 대응하는 데이터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판독되거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수동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다음에 따르는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이 제2 촬상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카메라에 관한 제2 카메라 데이터;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렌즈에 관한 제2 렌즈 데이터;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스톱 유닛에 관한 제2 스톱 유닛 데이터;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포커싱 유닛에 관한 제2 포커싱 유닛 데이터;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에 관한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 데이터;
- 공간에서의 제2 촬상 시스템의 위치 및 로케이션에 관한 제2 정보. 달리 표현하면, 예를 들어, 3차원 공간에서의 제2 촬상 시스템의 위치 및 정렬에 대한 제2 정보가 제공된다.
- 제2 촬상 시스템의 해상도에 관한 제2 정보. 달리 표현하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해상도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해상도는 소위 "풀 HD" 해상도, 즉, 구체적으로 1920Х1080 픽셀의 해상도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해상도는 소위, 2k 해상도, 즉, 구체적으로 2560Х1440 픽셀의 해상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해상도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해상도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정보가 특히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해상도를 갖는 것을 제공한다. 목표 해상도는, 예를 들어, 전술한 해상도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촬상 시스템의 왜곡을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정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촬상 시스템의 비네팅을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정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촬상 시스템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정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촬상 시스템의 비네팅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정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가상 카메라가 제2 촬상 시스템으로서 사용되고, 오브젝트의 화상은 제2 촬상 파라미터에 의해 선택된 특성을 갖는 카메라가 오브젝트를 실제로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는 수학적 계산에 의해 가상 카메라로 형성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수학적 맵핑 규칙, 특히, 푸리에 전개 또는 다항식이 제2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되고, 수학적 맵핑 규칙은,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고 다시 렌즈로부터 출사하는 광 빔이 가상 카메라의 화상 캡처 유닛 상에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하는 것을 제공한다. 수학적 맵핑 규칙이 전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적으로 주목한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수학적 맵핑 규칙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가 오브젝트 및/또는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의 식별 데이터를 갖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달리 표현하면, 식별 데이터를 통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제1 데이터 레코드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2차원 입력 화상 및/또는 3차원 표현과 관련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사용자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 인가를 포함한다. 사용 인가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했거나, 가까운 장래에 지불할 예정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신용 한도를 제공받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센스를 획득했을 때마다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음의 방법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하며, 즉,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확인하고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 단계들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거나 검출하기 전에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 로딩한 후, 다음에 따르는 방법 단계들이 수행되는데, 즉, (i)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가 다시 한번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로딩되는 단계, (ii)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처리 데이터 레코드는,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생성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 단계들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거나 검출하기 전에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의 형성 후에, 2차원 출력 화상이 다시 한번 수정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제2 데이터 레코드의 제2 데이터가, 제1 촬상 시스템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의 촬상 에러를 통합하도록 오브젝트의 형성된 출력 화상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처리 데이터 레코드는, 형성되거나 검출된 후에, 수정 데이터에 기초하는 처리 데이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서,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의 수정은,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처리 데이터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의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수의 출력 화상 픽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화상 픽셀을 처리함으로써 발생하며,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의 출력 화상 픽셀의 픽셀 값들은 처리 데이터로 수정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생성된 실제 화상의 경우와 같이, 예를 들어, 거의 자연스러운 미적 인상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촬상 에러를 통합함으로써 이전에 완전히 또는 사실상 완전히 보정되었으며 촬상 에러가 없는 출력 화상이 처리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추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은, 전술한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추가로 전술한 특징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에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마찬가지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 및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관련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추가로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은, 또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적어도 제1 데이터 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 레코드는 제1 데이터를 갖고, 제1 데이터는,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촬상 시스템의 적어도 제1 촬상 파라미터 및/또는 (ii)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 상에 오브젝트의 화상이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촬상 시스템의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1 촬상 파라미터, 제1 촬상 시스템, 제2 촬상 파라미터, 및 제2 촬상 시스템에 관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에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의 제1 데이터의 로딩도 발생한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추가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에서,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의 생성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발생한다.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는, 본질적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적합한 제2 데이터 레코드가 복호화(즉, 개방)될 수 있는 전자 키이다. 이어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의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의 로딩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은, 또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제2 데이터 레코드를 데이터 메모리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를 갖고, 제2 데이터는, 제1 촬상 시스템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 및/또는 (ii) 제2 촬상 시스템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2 데이터 레코드와 관련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추가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에서, 제2 데이터 레코드의 복호화는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에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제2 데이터 레코드에 기초하여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는 보정 맵을 포함한다. 이의 대안으로, 제2 데이터 레코드가 변경 없이 데이터 처리 레코드로서 사용됨을 검출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에서,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로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맵이 형성되고, 출력 화상은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수의 출력 화상 픽셀들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형성된 보정 맵은 오브젝트의 2차원 입력 화상 위에 배치되고, 촬상 에러의 보정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형성된 2차원 출력 화상은 보정이 제공된 오브젝트의 2차원 입력 화상이다.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특히 다항식 형태의 제2 데이터 레코드로서 형성되면, 전술한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거나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상 또는 전술한 가상 카메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이 2차원 출력 화상으로서 방식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와 함께 처리된다. 이어서,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이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방법은, 추가로 이미 전술한 이점도 갖는다. 이들은 여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화상 형성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로딩될 수 있거나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에 로딩되었을 때, 실행 동안, 전술한 또는 추가로 후술하는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술한 또는 추가로 후술하는 특징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을 이용하는 방법이 실행되는 방식으로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어한다.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은, 프로세서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로딩될 수 있거나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세서에서의 실행 동안, 전술한 또는 추가로 후술하는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술한 또는 추가로 후술하는 특징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을 이용하는 방법이 실행되는 방식으로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은, 예를 들어, 모니터로서 형성된 표시 유닛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표시 유닛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표시 유닛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은 제1 촬상 시스템 및 제2 촬상 시스템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은,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1 데이터를 갖는 제1 데이터 레코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다. 제1 데이터는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촬상 시스템의 적어도 제1 촬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데이터는, 오브젝트의 화상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촬상 시스템의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1 촬상 파라미터 및 제2 촬상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제1 촬상 시스템 및 제2 촬상 시스템과 관련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추가 설명을 참조한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중앙 유닛 및 주변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중앙 유닛은, 로컬 컴퓨터, 서버 장치, 다수의 워크스테이션이 있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기반 가상 서버, 태블릿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폰이다. 주변 장치는, 예를 들어, 특히 키보드의 형태로 된 입력 및/또는 출력 유닛으로서 및/또는 모니터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은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다. 특히,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라인에 의해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데이터 교환이 발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간의 무선 연결은 무선 연결 또는 WLAN 연결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중앙 유닛을 갖는 전자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중앙 유닛은, 로컬 컴퓨터, 서버 장치, 다수의 워크스테이션이 있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기반 가상 서버, 태블릿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폰이다. 또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는, 예를 들어, 주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특히, 예를 들어, 키보드의 형태로 된 입력 및/또는 출력 유닛으로서 및/또는 모니터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은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를 추가로 갖고,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를 갖는다. 제2 데이터는, 제1 촬상 시스템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정 데이터는 제1 촬상 시스템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데이터는 제2 촬상 시스템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갖는다. 데이터 메모리는,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메모리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의 유닛인 것을 제공한다. 데이터 메모리의 로케이션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의 로케이션과 동일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데이터 메모리는, 또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위치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에는, 전술한 또는 추가로 후술하는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술한 또는 추가로 후술하는 특징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탑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촬상 시스템이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특히,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렌즈 요소를 갖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은 제1 렌즈 및 제1 화상 캡처 유닛을 갖는다. 제1 화상 캡처 유닛은, 예를 들어, 전자 화상 센서로서 형성된다. 특히, 전자 화상 센서는, 예를 들어, CMOS 형태의 디지털 화상 캡처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화상 캡처 유닛이 감광성 화학막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특히, 카메라는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름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카메라는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1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유닛 및 조리개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렌즈는, 오브젝트에 대한 제1 렌즈의 초점을 설정 및/또는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도록 제1 렌즈의 광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갖는다. 렌즈 그룹은 이전 및 이후에 단일 렌즈 요소 또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갖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촬상 시스템이 다수의 3차원 시퀀스를 갖는 3차원 장면이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되는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대안으로,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을 이용하여, 3차원 표현이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된다. 이어서, 제1 데이터 레코드의 제1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러한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전술한 수학적으로 계산된 데이터는 2차원 화상 시퀀스 및/또는 2차원 화상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제1 데이터는 2차원 화상 시퀀스 및/또는 2차원 화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3차원 장면 또는 3차원 표현의 데이터는 수학적으로 계산된다. 이를 위해, 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는, 예를 들어,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의 수학적 모델을 사용한다.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특히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표현될 모델링될 오브젝트의 형태, 색상 및 표면 마감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더욱이,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조명, 특히, 모델링될 광원의 로케이션, 유형, 색상 및 방향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수학적 모델은, 캡처 방향, 관측 시야, 초점 거리, 포커싱, 화상 포맷, 화상 캡처 유닛의 크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촬상 시스템이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요소를 갖는다.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특히, 카메라는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름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의 대안으로, 카메라는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2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유닛 및 조리개가 있는 하나의 스톱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렌즈는, 오브젝트에 대한 제2 렌즈의 포커싱 및/또는 제2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도록 제2 렌즈의 광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갖는다. 렌즈 그룹은 이전 및 이후에 단일 렌즈 요소 또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갖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촬상 시스템이 가상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는, 제2 촬상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가상 카메라가 실제로 오브젝트를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는 오브젝트의 화상이 표시 유닛 상에 표현되는 효과를 갖는다. 달리 표현하면, 오브젝트의 화상은, 제2 촬상 파라미터에 의해 선택된 특성을 갖는 카메라가 오브젝트를 실제로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학적 계산에 의해 형성되고 표시 유닛 상에 표현되도록 의도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촬상 시스템이 제1 카메라, 제1 렌즈, 제1 스톱 유닛, 제1 포커싱 유닛, 및/또는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제1 카메라와 제1 렌즈와 관련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추가 설명을 참조한다. 제1 스톱 유닛은, 예를 들어, 조절가능한 조리개가 있는 스톱이다. 제1 포커싱 유닛과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은, 예를 들어, 단일 렌즈 요소 또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가지며, 이러한 렌즈 요소들은 결합되어 렌즈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단일 또는 다수의 렌즈는 이동 가능하게 설계되어, 한편으로는 제1 촬상 시스템이 오브젝트에 초점을 맞출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촬상 시스템의 초점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촬상 시스템이, 제2 카메라, 제2 렌즈, 제2 스톱 유닛, 제2 포커싱 유닛 및/또는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제2 카메라 및 제2 렌즈와 관련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추가 설명을 참조한다. 제2 스톱 유닛은, 예를 들어, 조절가능한 조리개가 있는 스톱이다. 제2 포커싱 유닛과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은, 예를 들어, 단일 렌즈 요소 또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가지며, 이러한 렌즈 요소들은 결합되어 렌즈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단일 또는 다수의 렌즈는 이동 가능하게 설계되어, 한편으로는 제2 촬상 시스템이 오브젝트에 초점을 맞출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촬상 시스템의 초점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촬상 파라미터에 의해 선택된 특성을 갖는 카메라가 오브젝트를 실제로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2 촬상 시스템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학적 계산에 의해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가상 카메라임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수학적 촬상 규칙, 특히, 다항식으로서 또는 푸리에 전개로서 형성되고, 수학적 맵핑 규칙은,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고 다시 렌즈로부터 출사하는 광 빔이 가상 카메라의 화상 촬상 유닛 상에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하는 것을 제공한다. 수학적 맵핑 규칙이 전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적으로 주목한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수학적 맵핑 규칙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제 실시예 및 이점은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카메라 형태의 촬상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추가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 방법 단계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2차원 입력 화상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데이터의 3차원 표현을 도시한다.
도 8은 촬상 시스템의 촬상 파라미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은, 예를 들어, 모니터로서 형성된 표시 유닛(2)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표시 유닛(2)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표시 유닛(2)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시스템(1)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를 갖는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는, 예를 들어, 중앙 유닛 및 주변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중앙 유닛은, 로컬 컴퓨터, 서버 장치, 다수의 워크스테이션이 있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기반 가상 서버, 태블릿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폰이다. 주변 장치는, 예를 들어, 특히, 키보드의 형태로 된 입력 및/또는 출력 유닛으로서 및/또는 모니터로서 형성된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은, 또한,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연결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를 갖는다. 특히, 라인에 의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연결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데이터 교환이 발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 간의 무선 연결은 무선 연결 또는 WLAN 연결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는 인터넷을 통해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는, 예를 들어, 중앙 유닛을 갖는 전자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중앙 유닛은, 로컬 컴퓨터, 서버 장치, 다수의 워크스테이션이 있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기반 가상 서버, 태블릿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폰이다. 또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는, 예를 들어, 주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특히, 예를 들어, 키보드의 형태로 된 입력 및/또는 출력 유닛으로서 및/또는 모니터로서 형성된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은 데이터 메모리(5)를 또한 갖는다. 데이터 메모리(5)는,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메모리(5)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의 유닛인 것을 제공한다. 데이터 메모리(5)의 로케이션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의 로케이션과 동일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데이터 메모리(5)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위치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은 또한 제1 촬상 시스템(6)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촬상 시스템(6)은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서 형성된다. 제1 광학 촬상 시스템 형태의 제1 촬상 시스템(6)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요소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광학 촬상 시스템 형태의 제1 촬상 시스템(6)은 제1 렌즈 및 제1 화상 캡처 유닛을 갖는다. 제1 화상 캡처 유닛은, 예를 들어, 전자 화상 센서로서 형성된다. 특히, 전자 화상 센서는, 예를 들어, CMOS 형태의 디지털 화상 캡처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화상 캡처 유닛이 감광성 화학막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1 광학 촬상 시스템 형태의 제1 촬상 시스템(6)은, 예를 들어,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특히, 카메라는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름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의 대안으로, 카메라는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1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유닛 및 조리개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 유닛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렌즈는, 오브젝트 상의 제1 렌즈의 포커싱을 설정하고/설정하거나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도록 제1 렌즈의 광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갖는다. 렌즈 그룹은, 이전 및 이후에 단일 렌즈 요소 또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갖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3은 카메라(1000) 형태의 제1 촬상 시스템(6)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카메라(10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카메라(1000)는, 예를 들어, 사진 카메라 또는 필름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카메라(1000)는 렌즈(1002)가 배치되는 하우징(1001)을 갖는다. 렌즈(1002)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캡처하는 화상 캡처 유닛(1003)은 하우징(1001)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화상 캡처 유닛(1003)은 디지털 화상 캡처 유닛, 특히 CMOS 센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 캡처 유닛의 용도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화상 캡처 유닛, 예를 들어, 사진 필름이 화상 캡처 유닛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렌즈(1002)는 교환가능 렌즈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렌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카메라(1000)의 하우징(1001)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되지 않은 렌즈도 본 발명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XD 데이터 인터페이스(1017)는 데이터 메모리 유닛의 연결을 위해 렌즈(1002) 상에 배치된다.
도 3은 수직 단면으로 도 2에 따른 카메라(1000)의 추가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1002)는, 렌즈(1002)의 광축(OA)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제1 렌즈 유닛(1004)과 제2 렌즈 유닛(1005)을 갖는다. 렌즈(1002)는, 예를 들어, 프리즘 또는 미러의 형태로 소정 수의 개별 렌즈 요소, 렌즈 그룹 및/또는 추가 광학 유닛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의 소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임의의 적합한 렌즈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직경(D)을 갖는 조절가능 조리개가 있는 스톱 유닛(1016)은 제1 렌즈 유닛(1004)과 제2 렌즈 유닛(1005) 사이에 배치된다. 카메라(1000)는 프로세서(1006) 및 모니터(1007)도 갖는다. 화상 캡처 유닛(1003)은, 또한, 카메라(1000) 상에 제공된다. 화상 캡처 유닛(1003)의 방향으로 촬상되는 오브젝트(O)로부터, 제1 오브젝트(O), 이어서 렌즈(1002), 이어서 화상 캡처 유닛(1003)이 배치된다. 또한, 카메라(1000) 및/또는 렌즈(1002)는, SLAM 모듈(1008)을 가지며, 이의 구성, 기능 및 동작 모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SLAM 모듈(1008)은 관성 측정 유닛, 심도 카메라, 및 환경 카메라를 갖는다. SLAM 모듈(1008)의 관성 측정 유닛은 가속도 센서 및 회전율 센서를 가지며, 이는, 예를 들어, 카메라(1000) 또는 렌즈(1002)의 움직임을 자유도 6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한다. 관성 측정 유닛은, 본질적으로 관성 항법 시스템이고, 움직임을 검출하고 공간에서의 카메라(1000) 또는 렌즈(1002)의 로케이션을 확립하는 역할을 한다. SLAM 모듈(1008)의 심도 카메라는 공간의 한 지점, 즉, 카메라(1000) 환경의 한 지점으로부터의 렌즈(1002)의 거리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심도 카메라는, 플렌옵틱(plenoptic) 촬상 유닛, 입체 촬상 유닛, ToF(time-of-flight) 촬상 유닛(즉, TOF 촬상 유닛) 및/또는 패턴 투영 및 캡처 유닛(예를 들어, 포인트 클라우드의 투영 또는 구조화된 광 투영)으로서 형성된다. 플렌옵틱 촬상 유닛, 예를 들어, 플렌옵틱 카메라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플렌옵틱 카메라에 의해, 화상 캡처 유닛(1003) 상에서 광 빔의 위치와 세기를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 빔이 입사되는 방향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카메라 형태의 입체 촬상 유닛도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것은 스테레오스코피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TOF 카메라 형태의 TOF 촬상 유닛도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TOF 카메라의 경우, 오브젝트(O)와 TOF 카메라 사이의 거리는 TOF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거리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전술한 촬상 유닛의 용도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오히려, 임의의 적합한 방법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촬상 유닛이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측정기로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SLAM 모듈(1008)의 환경 카메라는 카메라(1000)의 환경을 캡처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1000)에는 통신 장치(1009)도 제공된다. 이의 대안으로, 렌즈(1002)에는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통신 장치(1009)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1009)는, 전송 경로 또는 다수의 전송 경로 상에서 전송 표준 또는 다수의 전송 표준을 사용하는 무선 장치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가 전송 표준으로서 사용된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 즉, WLAN도 전송에 사용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통신 장치(1009)는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촬상 시스템(6)이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되는 다수의 3차원 표현의 시퀀스를 갖는 3차원 장면을 이용하는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대안으로,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으로, 3차원 표현이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된다. 계산을 위해, 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는, 예를 들어,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의 수학적 모델을 사용한다.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특히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표현될 모델링될 오브젝트의 형태, 색상 및 표면 마감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더욱이,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조명, 특히 모델링될 광원의 로케이션, 유형, 색상 및 방향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수학적 모델은, 캡처 방향, 관측 시야, 초점 거리, 포커싱, 화상 포맷, 화상 캡처 유닛의 크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오브젝트의 위치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은 제2 촬상 시스템(7)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촬상 시스템(7)은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서 형성된다. 제2 광학 촬상 시스템 형태의 제2 촬상 시스템(7)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요소를 갖는다. 제2 광학 촬상 시스템 형태의 제2 촬상 시스템(7)은, 예를 들어, 제2 렌즈를 갖는 카메라로서 형성된다. 특히, 카메라가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름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의 대안으로, 카메라가 촬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2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유닛 및 조리개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 유닛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렌즈는, 오브젝트 상에 제2 렌즈의 포커싱을 설정하도록 및/또는 제2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도록 제2 렌즈의 광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가질 수 있다. 렌즈 그룹은 이전 및 이후에서 단일 렌즈 요소 또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갖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도 가질 수 있다.
제2 촬상 시스템(7)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촬상 시스템(7)이 가상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가상 카메라의 경우, 오브젝트의 화상은, 수학적 계산에 의해 형성되고, 가상 카메라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카메라가 실제로 오브젝트를 촬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표시 유닛(2) 상에 표현된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은 제1 프로세서(8)와 제2 프로세서(9)를 갖는다. 제1 프로세서(8)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할당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프로세서(8)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8)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의 유닛인 것을 제공한다. 제2 프로세서(9)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할당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프로세서(9)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9)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의 유닛인 것을 제공한다.
제1 프로세서(8)와 제2 프로세서(9)는, 제1 프로세서(8) 및/또는 제2 프로세서(9)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갖는다.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 동안, 화상 형성 시스템(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 단계(S1)에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의해 제공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오브젝트를 설명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오브젝트의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입력 화상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적어도 하나의 3차원 표현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오브젝트의 다차원, 예를 들어, 2차원 또는 3차원 표현이 계산될 수 있는 데이터인 것을 제공한다. 전술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열거를 완전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오브젝트를 설명하고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적합한 오브젝트에 관한 임의의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입력 화상을 포함한다. 도 6은 2차원 입력 화상(1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이러한 화상은, 미리 결정된 수의 입력 화상 픽셀(Pop)을 갖고, 여기서 o와 p는 정수이며, 이에 대하여 1≤o≤n 및 1≤p≤n이 적용된다. 여기서, n은 입력 화상 픽셀의 총 수에 해당한다. 도 6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n = 81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입력 화상 픽셀들 중 4개는 참조 부호로 구체적으로 P11, P19, P91 및 P99로 특정하게 표시된다. 입력 화상 픽셀들의 총 수가 전술한 값으로 제한되지 않음에 명시적으로 주목한다. 오히려, 입력 화상 픽셀들의 총 수는 적합한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다. 특히, 입력 화상 픽셀들의 총 수는 6자리 이내, 7자리 이내, 8자리 이내, 또는 9자리 범위 이내에 있다.
2차원 입력 화상(10)은, 예를 들어, 제1 촬상 시스템(6)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2차원 입력 화상(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카메라(1000)로 형성된다. 이러한 정도로, 상술한 정의에 따른 2차원 입력 화상(10)이 실제 형성된 화상이다. 특히,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가 입력 화상(10)을 로딩하고 제공하는 데이터 캐리어(도시되지 않음)에 2차원 입력 화상(10)을 저장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3차원 표현을 포함한다. 도 7은 3차원 표현(11)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것은 제1 차원(D1)의 제1 데이터 콘텐츠, 제2 차원(D2)의 제2 데이터 콘텐츠, 및 제3 차원(D3)의 제3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 콘텐츠, 제2 데이터 콘텐츠, 및 제3 데이터 콘텐츠는, 예를 들어, 복셀(Vijk)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i, j 및 k는, 예를 들어, 1≤i≤m, 1≤j≤m, 및 1≤k≤m이 적용되는 정수들이다. 여기서, m은 복셀의 총 수에 해당한다. 복셀의 총 수는 임의의 적합한 값을 취할 수 있다. 특히, 복셀의 총 수는 6자리 이내, 7자리 이내, 8자리 이내 또는 9자리 범위 이내에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표현과 관련하여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전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도 적용되는 위의 추가 설명을 참조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3차원 표현의 시퀀스를 갖는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은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의 수학적 모델이 사용된다.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특히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표현될 모델링될 오브젝트의 형태, 색상 및 표면 마감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더욱이, 수학적 모델은,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조명, 특히 모델링될 광원의 위치, 유형, 색상 및 방향을 설명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수학적 모델은, 캡처 방향, 관측 시야, 초점 거리, 포커싱, 화상 포켓, 화상 캡처 유닛의 크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장면 및/또는 3차원 표현에서 오브젝트의 위치를 포함한다. 수학적 모델로 계산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이다.
방법 단계(S2)에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는 제1 데이터 레코드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레코드는 다음에 따르는 제1 데이터를 포함한다.
(i)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사용자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 인가를 포함한다. 사용 인가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했거나, 가까운 장래에 지불할 예정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신용 한도를 제공받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센스를 획득했을 때마다 존재할 수 있다.
(ii)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명확한 식별이 가능한 식별 데이터.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2차원 입력 화상(10) 및/또는 3차원 표현(11)과 관련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iii)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촬상 시스템(6)의 적어도 제1 촬상 파라미터, 및/또는 오브젝트의 화상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2) 상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촬상 시스템(7)의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
결과적으로, 제1 데이터는,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촬상 시스템(6)의 적어도 제1 촬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상 파라미터의 예는 도 8에 표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메타 데이터(12A)가 제1 촬상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제1 메타 데이터(12A)는, 예를 들어, 제1 촬상 시스템(6)의 촬상 특성 및/또는 기능 유닛을 포함한다. 이들은 특히 오브젝트의 데이터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의해 판독되거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수동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제1 메타 데이터(12A)는 다음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카메라(1000)에 관한 제1 카메라 데이터(13A);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오브젝트(1002)에 관한 제1 오브젝트 데이터(14A);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스톱 유닛(1016)에 관한 제1 스톱 유닛 데이터(15A);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렌즈 유닛(1004)과 제2 렌즈 유닛(1005) 형태의 제1 포커싱 유닛에 관한 제1 포커싱 유닛 데이터(16A);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렌즈 유닛(1004)과 제2 렌즈 유닛(1005) 형태의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에 관한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 데이터(17A);
- 공간에서의 카메라(1000) 형태의 제1 촬상 시스템(6)의 위치 및 로케이션에 관한 제1 정보(18A). 달리 표현하면, 예를 들어, 3차원 공간에서 제1 촬상 시스템(6)의 위치 및 정렬에 관한 제1 정보(18A)가 제공됨;
- 제1 촬상 시스템(6)의 해상도에 관한 제1 정보(19A).
달리 표현하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해상도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해상도는 소위 "풀 HD" 해상도, 즉, 구체적으로 1920Х1080 픽셀의 해상도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해상도는 소위 2k 해상도, 즉, 구체적으로 2560Х1440 픽셀의 해상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해상도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는 임의의 적합한 해상도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목표 해상도를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촬상 시스템(6)은,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다수의 3차원 표현의 시퀀스를 갖는 3차원 장면이 생성되는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의 대안으로,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수학적 계산에 의해 3차원 표현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데이터 레코드의 제1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러한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전술한 수학적으로 계산된 데이터는 2차원 화상 시퀀스 및/또는 2차원 화상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제1 데이터는 2차원 화상 시퀀스 및/또는 2차원 화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는 제2 촬상 시스템(7)의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를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촬상 시스템(7)의 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오브젝트의 화상은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2) 상에 표현되도록 의도된다. 제2 광학 촬상 시스템(7)이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해, 제2 촬상 파라미터의 예가 도 8에 표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촬상 시스템(7)의 제2 메타 데이터(12B)가 제2 촬상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제2 메타 데이터(12B)는, 예를 들어, 제2 촬상 시스템(7)의 촬상 특성 및/또는 기능 유닛을 포함한다. 이들은 특히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의해 판독되거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수동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제2 메타 데이터(12B)는 다음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2) 상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카메라(1000)에 관한 제2 카메라 데이터(13B);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2) 상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렌즈(1002)에 관한 제2 렌즈 데이터(14B);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2) 상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스톱 유닛(1016)에 관한 제2 스톱 유닛 데이터(15B);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2) 상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1 렌즈 유닛(1004)과 제2 렌즈 유닛(1005) 형태의 제2 포커싱 유닛에 관한 제2 포커싱 유닛 데이터(16B);
-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유닛(2) 상에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1 렌즈 유닛(1004)과 제2 렌즈 유닛(1005) 형태의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에 관한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 데이터(17B);
- 공간에서의 카메라(1000) 형태의 제2 촬상 시스템(7)의 위치 및 로케이션에 관한 제2 정보(18B). 달리 표현하면, 예를 들어, 3차원 공간에서의 제2 촬상 시스템(7)의 위치 및 정렬에 관한 제2 정보(18B)가 제공됨; 및
- 제2 촬상 시스템(7)의 해상도에 관한 제2 정보(19B).
달리 표현하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해상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해상도는 소위 "풀 HD" 해상도, 즉, 구체적으로 1920Х1080 픽셀의 해상도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해상도는 소위 2k 해상도, 즉, 구체적으로 2560Х1440 픽셀의 해상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해상도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적합한 임의의 해상도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목표 해상도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촬상 시스템(7)이 가상 카메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는, 제2 촬상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가상 카메라가 오브젝트를 실제로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오브젝트의 화상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 상에 표현되는 효과를 갖는다. 달리 표현하면, 오브젝트의 화상은, 제2 촬상 파라미터에 의해 선택된 특성을 갖는 카메라가 오브젝트를 실제로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학적 계산에 의해 형성되고 표시 유닛(2) 상에 표현되도록 의도된다.
방법 단계(S3)에서는, 제1 데이터 레코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의 로딩이 발생한다. 이어서, 방법 단계(S4)에서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제2 데이터 레코드의 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의 로딩이 발생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선택되고 이어서 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된다. 제1 데이터 레코드가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관한 것이라면,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수정 데이터는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제1 데이터 레코드가 제2 촬상 시스템(7)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관련된 경우,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촬상 시스템(7)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제2 데이터는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수정 데이터는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달리 표현하면, 제2 데이터는,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때(특히, 전술한 오브젝트의 2차원 입력 화상(10)을 형성할 때) 발생한 촬상 에러를 감소시키거나 완전히 보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보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정 데이터는 제1 촬상 시스템(6)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1 촬상 시스템(6)의 비네팅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보정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데이터는, 제2 촬상 시스템(7)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달리 표현하면, 수정 데이터의 도움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가 제2 촬상 시스템(7)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수정은, 예를 들어,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수정이 전술한 제2 광학 촬상 시스템(7)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거나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상 또는 전술한 가상 카메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효과를 갖는 방식으로 발생한다.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예를 들어, 다항식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다항식은, 예를 들어,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고 렌즈로부터 다시 출사하는 광 빔이 가상 카메라의 화상 캡처 유닛에서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다항식은 다음 형태를 갖는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xs와 ys는 화상 캡처 유닛의 표면 상에서 방출되는 광 빔의 빔 위치를 나타내고, xa와 ya는 가상 정지면에 입사하는 광 빔의 빔 위치를 나타내며, β는 원하는 촬상 스케일이다.
방법 단계(S5)에서는, 제2 데이터 레코드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의 로딩이 발생한다. 이 경우,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관한 식별 데이터가 제2 데이터 레코드와 함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에 관한 정보가 제2 데이터 레코드와 함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될 수 있다는 것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비용에 동의하면, 방법 단계(S6)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비용에 동의하지 않으면, 제2 데이터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삭제되고 방법이 중단된다. 이의 대안으로, 방법을 계속 수행하기 위한 비용을 사용자에게 통지한 다음 방법 단계(S6)를 수행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방법 단계(S6)에서는,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제2 데이터 레코드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는 보정 맵을 포함한다. 이의 대안으로,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변경되지 않고 사용되는 것을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검출하는 것을 제공한다.
방법 단계(S7)에서,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은,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형성되며, 출력 화상은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수의 출력 화상 픽셀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형성된 보정 맵이 오브젝트의 2차원 입력 화상(10) 위에 배치되고, 촬상 에러의 보정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형성된 2차원 출력 화상은 보정이 제공된 오브젝트의 2차원 입력 화상(10)이다.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특히 다항식의 형태의 제2 데이터 레코드로서 형성되는 경우,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는, 전술한 제2 광학 촬상 시스템(7)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 또는 전술한 가상 카메라로 형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거나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상이 2차원 출력 화상으로서 형성되는 방식으로 처리 데이터 레코드와 함께 처리된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이 표시 장치(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서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가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갖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데이터 레코드가 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로딩되는 방법 단계(S4)를 수행하기 전에,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조금이라도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본 실시예는 도 9에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방법 단계(S3A)에서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 인가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했거나, 가까운 장래에 지불할 예정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신용 한도를 제공받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센스를 획득했을 때마다 존재할 수 있다.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 경우, 방법 단계(S3B)에 따라 방법 단계(S4)가 수행된다. 사용 인가가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료를 지불하거나 라이센스를 획득함으로써 사용 인가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 인가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 방법 단계(S3B)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중단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제거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생성되거나 검출되는 방법 단계(S6)를 수행하기 전에, 먼저 제2 데이터 레코드의 사용을 위한 사용 인가가 조금이라도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본 실시예는 도 10에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방법 단계(S5) 후에, 제1 방법 단계(S5A)가 수행된다. 이 경우,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다시 한번 로딩된다. 방법 단계(S5B)에서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확인한다. 사용 인가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했거나, 가까운 장래에 지불할 예정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신용 한도를 제공받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센스를 획득했을 때마다 존재할 수 있다.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 경우, 방법 단계(S5C)에 따라 방법 단계(S6)가 수행된다. 인가 데이터 레코드는, 사용 인가가 있는 경우에만 생성되거나 검출된다. 사용 인가가 없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료를 지불하거나 라이센스를 획득함으로써 사용 인가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 인가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방법 단계(S5C)에 따라 중단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제거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법 단계(S7)를 수행한 후에, 추가 방법 단계(S8)를 수행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방법 단계(S8)는 도 11에 표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본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의 형성 후에, 2차원 출력 화상이 다시 한번 수정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에 촬상 에러를 통합하도록 제2 데이터 레코드의 제2 데이터가 오브젝트의 형성된 출력 화상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처리 데이터 레코드는, 형성 또는 검출된 후에 수정 데이터에 기초하는 처리 데이터를 갖는다. 방법 단계(S8)에서,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은, 처리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의 미리 결정된 수의 출력 화상 픽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 픽셀을 처리함으로써 수정되고, 오브젝트의 출력 화상의 출력 화상 픽셀의 픽셀 값들은 처리 데이터로 수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 생성된 실제 화상의 경우와 같이, 예를 들어, 거의 자연스러운 미적 인상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촬상 에러를 통합함으로써 이전에 완전히 또는 사실상 완전히 보정되었으며 촬상 에러가 없는 출력 화상이 처리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에 기초한다. 따라서,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추가 설명을 먼저 참조한다. 도 12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방법 단계(S1 내지 S3)를 갖는다. 방법 단계(S3) 후에, 방법 단계(S10)가 수행된다. 방법 단계(S10)에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는, 본질적으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적합한 제2 데이터 레코드를 복호화(즉, 개방)할 수 있는 전자 키이다.
방법 단계(S11)에서는,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의 로딩이 발생한다. 이 경우,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관한 식별 데이터는,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와 함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에 관한 정보가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와 함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될 수 있다는 것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비용에 동의하면, 방법 단계(S12)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비용에 동의하지 않으면,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삭제되고 방법이 중단된다. 이의 대안으로, 방법을 계속 수행하기 위한 비용을 사용자에게 통지한 다음 방법 단계(S12)를 수행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방법 단계(S12)에서,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된다.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를 갖고, 제2 데이터는, (i)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 특히,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 및/또는 (ii) 제2 촬상 시스템(7)의 제2 촬상 파라미터에 따라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2 데이터 레코드와 관련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추가 설명을 참조한다.
방법 단계(S13)에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는 이어서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제2 데이터 레코드를 복호화하는 데 사용된다. 방법 단계(S13) 후에는, 방법 단계(S6) 및 그 이후에 가능하게 뒤따르는 모든 추가 방법 단계가 수행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에 로딩된 제1 데이터 레코드가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의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갖는 것을 제공한다. 도 1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가 생성되는 방법 단계(S10)를 수행하기 전에, 먼저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조금이라도 존재하는 여부에 대한 확인이 수행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 인가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했거나, 가까운 장래에 지불할 예정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신용 한도를 제공받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센스를 획득했을 때마다 존재할 수 있다.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 경우, 방법 단계(S10)가 수행된다. 사용 인가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료를 지불하거나 라이센스를 획득함으로써 사용 인가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 인가를 취득하지 못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중단된다.
도 1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데이터 레코드가 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되는 방법 단계(S12)를 수행하기 전에, 먼저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조금이라도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것을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본 실시예는 도 10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먼저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가 다시 한 번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된다.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를 사용하여 확인한다. 사용 인가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했거나, 가까운 장래에 지불할 예정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신용 한도를 제공받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센스를 획득했을 때마다 존재할 수 있다.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 경우, 방법 단계(S12)가 수행된다. 사용 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료를 지불하거나 라이센스를 획득함으로써 사용 인가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 인가를 취득하지 못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중단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삭제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기초한다. 따라서,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추가 설명을 먼저 참조한다. 도 13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방법 단계(S1 내지 S4)를 갖는다. 방법 단계(S4) 후에, 방법 단계(S14)가 수행된다. 방법 단계(S14)에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는,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거나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되고 있음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되고(방법 단계(S15))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가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방법 단계(S16)) 것을 제공한다. 이의 대안으로, 방법 단계(S14) 후에,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가 오브젝트의 2차원 출력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고(방법 단계(S17)) 2차원 출력 화상이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되는(방법 단계(S18)) 것을 제공한다. 출력 화상의 형성과 관련하여, 여기에도 적용되는 전술한 추가 설명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실제로 형성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의 촬상 에러 또는 다수의 촬상 에러가 쉬운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는, 특히, 보정될 수 있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화상 형성 시스템(1)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실제로 형성된 화상의 촬상 에러 또는 다수의 촬상 에러가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보정될 수 있는 적절한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항상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브젝트의 인위적으로 생성된 표현이 실제로 형성된 화상 및/또는 화상 시퀀스와 구별가능한 약간의 차이점만이 있거나 구별가능한 차이점이 전혀 없음을 보장한다. 또한, 이를 위해, 인위적으로 생성된 오브젝트 표현이 상응하게 처리될 수 있는 적절한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항상 제공된다.
본 명세서,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및 임의의 조합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실현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그리고 관련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의 지식을 고려하여 가변될 수 있다.
1 화상 형성 시스템
2 표시 유닛
3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5 데이터 메모리
6 제1 촬상 시스템
7 제2 촬상 시스템
8 제1 프로세서
9 제2 프로세서
10 입력 화상
11 3차원 표현
12A 제1 메타 데이터
12B 제2 메타 데이터
13A 제1 카메라 데이터
13B 제2 카메라 데이터
14A 제1 렌즈 데이터
14B 제2 렌즈 데이터
15A 제1 스톱 유닛 데이터
15B 제2 스톱 유닛 데이터
16A 제1 포커싱 유닛 데이터
16B 제2 포커싱 유닛 데이터
17A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 데이터
17B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 데이터
18A 위치와 로케이션에 관한 제1 정보
18B 위치와 로케이션에 관한 제2 정보
19A 제1 촬상 시스템의 해상도에 관한 제1 정보
19B 제2 촬상 시스템의 해상도에 관한 제2 정보
1000 카메라
1001 하우징
1002 렌즈
1003 화상 캡처 유닛
1004 제1 렌즈 유닛
1005 제2 렌즈 유닛
1006 프로세서
1007 모니터
1008 SLAM 모듈
1009 통신 장치
1016 스톱 유닛
1017 XD 데이터 인터페이스
O 오브젝트
OA 광축
D 직경
D1 제1 차원
D2 제2 차원
D3 제3 차원
S1 내지 S8 방법 단계들
S10 내지 S18 방법 단계들
S3A 내지 S3B 방법 단계들
S5A 내지 S5C 방법 단계들
V 복셀

Claims (24)

  1. 오브젝트(O)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의해 적어도 제1 데이터 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데이터 레코드는 제1 데이터를 갖고, 상기 제1 데이터는, (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촬상 시스템(6)의 적어도 제1 촬상 파라미터(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및/또는 (i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2) 상에 상기 오브젝트(O)의 화상이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촬상 시스템(7)의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12B, 13B, 14B, 15B, 16B, 17B, 18B, 19B)를 포함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레코드를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된 상기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제2 데이터 레코드를 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를 갖고, 상기 제2 데이터는, (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 및/또는 (ii)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의 제2 촬상 파라미터(12B, 13B, 14B, 15B, 16B, 17B, 18B, 19B)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에 기초하여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되고 있음을 검출하는 단계; 및
    -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O)의 2차원 출력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출력 화상은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수의 출력 화상 픽셀들을 갖는, 단계
    의 방법 단계로 오브젝트(O)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되고,
    -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는,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되고 있음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는 상기 오브젝트(O)의 2차원 출력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는,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되고 있음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i)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가 상기 오브젝트(O)의 2차원 출력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단계; 및
    (ii)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가 상기 오브젝트(O)의 2차원 출력 화상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2차원 출력 화상이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되는, 단계
    중 하나의 방법 단계를 갖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오브젝트(O)의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입력 화상(10)을 포함하고,
    - 상기 오브젝트(O)의 입력 화상(10)은 미리 결정된 수의 입력 화상 픽셀들(Pop)을 갖고,
    - 상기 오브젝트(O)의 출력 화상의 형성 동안, 상기 오브젝트(O)의 입력 화상(10)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의 입력 화상 픽셀들(Pop)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화상 픽셀(Pop)은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처리되고, 상기 오브젝트(O)의 입력 화상(10)의 입력 화상 픽셀(Pop)의 픽셀 값들은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의 데이터로 수정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3차원 표현(11)에 관한 것이고,
    -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는, 제1 차원(D1)의 제1 데이터 콘텐츠(Vijk), 제2 차원(D2)의 제2 데이터 콘텐츠(Vijk), 및 제3 차원(D3)의 제3 데이터 콘텐츠(Vijk)를 포함하고,
    - 상기 오브젝트(O)의 출력 화상의 형성 동안, 상기 제1 데이터 콘텐츠(Vijk), 상기 제2 데이터 콘텐츠(Vijk), 및/또는 상기 제3 데이터 콘텐츠(Vijk)는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처리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콘텐츠(Vijk), 상기 제2 데이터 콘텐츠(Vijk), 및/또는 상기 제3 데이터 콘텐츠(Vijk)는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의 데이터로 수정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광학 촬상 시스템(1000)이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으로서 사용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메타 데이터(12A);
    (i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카메라(1000)에 관한 제1 카메라 데이터(13A);
    (ii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렌즈(1002)에 관한 제1 렌즈 데이터(14A);
    (iv)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스톱 유닛(1016)에 관한 제1 스톱 유닛 데이터(15A);
    (v)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포커싱 유닛(1004, 1005)에 관한 제1 포커싱 유닛 데이터(16A);
    (v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1004, 1005)에 관한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 데이터(17A);
    (vii) 공간에서의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위치와 로케이션에 관한 제1 정보(18A);
    (vii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의 해상도 및/또는 원하는 목표 해상도에 관한 제1 정보(19A)
    와 같은,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촬상 파라미터(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로서 사용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이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으로서 사용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상기 제2 광학 촬상 시스템(7)의 제2 메타 데이터(12B);
    (i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표시 유닛(2) 상에 표시되도록 의도된 상기 특성을 갖는 제2 카메라(1000)에 관한 제2 카메라 데이터(13B);
    (ii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표시 유닛(2) 상에 표시되도록 의도된 상기 특성을 갖는 제2 렌즈(1002)에 관한 제2 렌즈 데이터(14B);
    (iv)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표시 유닛(2) 상에 표시되도록 의도된 상기 특성을 갖는 제2 스톱 유닛(1016)에 관한 제2 스톱 유닛 데이터(15B);
    (v)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표시 유닛(2) 상에 표시되도록 의도된 상기 특성을 갖는 제2 포커싱 유닛(1004, 1005)에 관한 제2 포커싱 유닛 데이터(16B);
    (v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표시 유닛(2) 상에 표시되도록 의도된 상기 특성을 갖는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1004, 1005)에 관한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 데이터(17B);
    (vii) 공간에서의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의 위치와 로케이션에 관한 제2 정보(18B);
    (vii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의 해상도 및/또는 원하는 목표 해상도에 관한 제2 정보(19B)
    와 같은, 상기 제2 촬상 시스템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촬상 파라미터(12B, 13B, 14B, 15B, 16B, 17B, 18B, 19B)로서 사용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왜곡을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정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단계;
    (i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비네팅을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정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단계;
    (ii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정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단계;
    (iv)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비네팅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정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가상 카메라가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제2 촬상 파라미터에 의해 선택된 특성을 갖는 카메라가 상기 오브젝트(O)를 실제로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상기 가상 카메라로 상기 오브젝트(O)의 화상이 형성되는, 단계;
    (ii) 상기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며 상기 렌즈로부터 다시 출사하는 광 빔이 상기 가상 카메라의 화상 캡처 유닛 상에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하는 수학적 맵핑 규칙이,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되는, 단계;
    (iii) 상기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며 상기 렌즈로부터 다시 출사하는 광 빔이 상기 가상 카메라의 화상 캡처 유닛 상에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하는 다항식이,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되는, 단계;
    (iv) 상기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며 상기 렌즈로부터 다시 출사하는 광 빔이 상기 가상 카메라의 화상 캡처 유닛 상에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하는 푸리에 전개가,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되는 제1 데이터 레코드는,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의 식별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갖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를 사용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가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의 방법 단계가 실행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i) 상기 식별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데이터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다시 한번 로딩되는 단계; 및
    (ii)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를 사용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가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 인가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의 방법 단계가 실행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의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O)의 출력 화상에 촬상 에러를 통합하도록 상기 오브젝트(O)의 형성된 출력 화상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하고,
    -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는, 형성되거나 검출된 후에, 상기 수정 데이터에 기초하는 처리 데이터를 갖고,
    -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 및/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상기 처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오브젝트(O)의 출력 화상의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수의 출력 화상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화상 픽셀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O)의 출력 화상을 수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오브젝트(O)의 출력 화상의 출력 화상 픽셀의 픽셀 값들은 상기 처리 데이터로 수정되는, 단계의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오브젝트(O)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의해 적어도 제1 데이터 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데이터 레코드는 제1 데이터를 갖고, 상기 제1 데이터는, (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제1 촬상 시스템(6)의 적어도 제1 촬상 파라미터(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및/또는 (i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2) 상에 상기 오브젝트(O)의 화상이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제2 촬상 시스템(7)의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12B, 13B, 14B, 15B, 16B, 17B, 18B, 19B)를 포함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레코드를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된 상기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로 로딩된 상기 제1 데이터 레코드에 따라 제2 데이터 레코드를 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로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를 갖고, 상기 제2 데이터는, (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 및/또는 (ii)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의 제2 촬상 파라미터(12B, 13B, 14B, 15B, 16B, 17B, 18B, 19B)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 상기 라이센스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를 복호화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로서 사용되고 있음을 검출하는 단계; 및
    - 상기 처리 데이터 레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O)의 2차원 출력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출력 화상은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수의 출력 화상 픽셀들을 갖는, 단계
    의 방법 단계로 오브젝트(O)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19. 화상 형성 시스템(1)의 프로세서(8, 9)로 로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프로세서(8, 9)에 로딩되었을 때, 실행 동안,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방식으로 상기 화상 형성 시스템(1)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0. 오브젝트(O)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1)으로서,
    - 표시 유닛(2);
    - 제1 촬상 시스템(6);
    - 제2 촬상 시스템(7);
    -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1 데이터를 갖는 제1 데이터 레코드를 제공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로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적어도 제1 촬상 파라미터(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및/또는 (ii)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유닛(2) 상에 상기 오브젝트(O)의 화상이 표현되도록 의도된 특성을 갖는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의 적어도 제2 촬상 파라미터(12B, 13B, 14B, 15B, 16B, 17B, 18B, 19B)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 데이터 교환을 위해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3)에 연결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4);
    -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5)로서,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는 제2 데이터를 갖고, 상기 제2 데이터는, (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의 제1 촬상 파라미터(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에 따라 촬상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 및/또는 (ii)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의 제2 촬상 파라미터(12B, 13B, 14B, 15B, 16B, 17B, 18B, 19B)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 제19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로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 9)
    를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1).
  21. 제20항에 있어서,
    (i)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이 제1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서 형성되고, 및/또는
    (ii)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이 제2 광학 촬상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시스템(1).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시스템(6)은,
    (i) 제1 카메라(1000);
    (ii) 제1 렌즈(1002);
    (iii) 제1 스톱 유닛(1016);
    (iv) 제1 포커싱 유닛(1004, 1005);
    (v) 제1 초점 거리 설정 유닛(1004, 1005)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1).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은,
    (i) 제2 카메라(1000);
    (ii) 제2 렌즈(1002);
    (iii) 제2 스톱 유닛(1016);
    (iv) 제2 포커싱 유닛(1004, 1005);
    (v) 제2 초점 거리 설정 유닛(1004, 1005)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1).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시스템은,
    (i) 상기 제2 촬상 시스템(7)이, 상기 제2 촬상 파라미터에 의해 선택된 특성을 갖는 카메라가 상기 오브젝트(O)를 실제로 촬상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오브젝트(O)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O)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가상 카메라인 특징;
    (ii)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상기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며 상기 렌즈로부터 다시 출사하는 광 빔이 상기 가상 카메라의 화상 캡처 유닛 상에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하는 수학적 맵핑 규칙으로서 형성되는 특징;
    (iii)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상기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며 상기 렌즈로부터 다시 출사하는 광 빔이 상기 가상 카메라의 화상 캡처 유닛 상에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하는 다항식으로서 형성되는 특징;
    (iv) 상기 제2 데이터 레코드가, 상기 가상 카메라를 나타내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하며 상기 렌즈로부터 다시 출사하는 광 빔이 상기 가상 카메라의 화상 캡처 유닛 상에 촬상되는 방식과 위치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하는 푸리에 전개로서 형성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1).
KR1020220040101A 2021-04-01 2022-03-31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 KR20220136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66594.8A EP4068198B1 (de) 2021-04-01 2021-04-01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bilds eines objekts, computerprogrammprodukt und bilderzeugungssyste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21166594.8 2021-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935A true KR20220136935A (ko) 2022-10-11

Family

ID=7536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101A KR20220136935A (ko) 2021-04-01 2022-03-31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98803A1 (ko)
EP (1) EP4068198B1 (ko)
JP (1) JP7364726B2 (ko)
KR (1) KR20220136935A (ko)
CN (1) CN115209044A (ko)
AU (1) AU2022202187B2 (ko)
CA (1) CA3154316A1 (ko)
NZ (1) NZ786795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8596A1 (de) * 2002-08-22 2004-03-04 Siemens Ag Verteiltes System und Verfahren zur Darstellung und Bearbeitung medizinisch relevanter Datenobjekte
JP4769661B2 (ja) * 2006-08-11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JP2016045815A (ja) 2014-08-26 2016-04-04 泰章 岩井 仮想現実提示システム、仮想現実提示装置、仮想現実提示方法
DE102018118187A1 (de) * 2018-07-27 2020-01-30 Carl Zeiss Ag Verfahren und Datenverarbeitungssystem zur Synthese von Bildern
CN110675348B (zh) * 2019-09-30 2022-06-21 杭州栖金科技有限公司 增强现实图像显示方法、装置及图像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59118A (ja) 2022-10-17
CN115209044A (zh) 2022-10-18
AU2022202187A1 (en) 2022-10-20
EP4068198B1 (de) 2023-12-27
AU2022202187B2 (en) 2023-03-16
EP4068198C0 (de) 2023-12-27
JP7364726B2 (ja) 2023-10-18
EP4068198A1 (de) 2022-10-05
US20220398803A1 (en) 2022-12-15
CA3154316A1 (en) 2022-10-01
NZ786795A (en)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6987B (zh) 一种投影仪畸变校正方法、装置和投影仪
US1145574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extrinsic calibration of cameras a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JP3568195B2 (ja) 立体画像生成方法
US8014985B2 (en) Setting and visualizing a virtual camera and lens system in a computer graphic modeling environment
US6930685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9510311A (ja) 平面の鏡を用いたステレオ画像システムを較正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2005050035A (ja) 画像撮影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7510831A (ja) 3dライトフィールドカメラ及び撮影方法
CN107534731B (zh)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US7428482B2 (en) Visualization and setting of a virtual camera and lens system in a computer graphic modeling environment
US1025566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WO2016175043A1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1016621A (ja) 多眼式データ入力装置
JP667464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6017632A (ja) 3次元画像処理装置、光軸調整方法、光軸調整支援方法
JP668445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367803B2 (ja) オブジェクト空間のオブジェクト点の記述の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実施のための結合体
KR20220136935A (ko) 오브젝트의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시스템
JP2008140297A (ja) 動画像生成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050033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生成装置
JP4266737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23546037A (ja) 画像記録装置
KR20240053443A (ko) Hud 고스트 이미지 측정 방법 및 장치
JPH0926153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20153951A (ja) 包装材データ算出装置および包装材データ算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