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291A -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 Google Patents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291A
KR20220136291A KR1020220103535A KR20220103535A KR20220136291A KR 20220136291 A KR20220136291 A KR 20220136291A KR 1020220103535 A KR1020220103535 A KR 1020220103535A KR 20220103535 A KR20220103535 A KR 20220103535A KR 20220136291 A KR20220136291 A KR 2022013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sture
period
distance data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현
배순호
우동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니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니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니프
Priority to KR102022010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6291A/ko
Publication of KR2022013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4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gyroscop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 좌판; 상기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좌판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지지부;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제 1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 1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거리 센서;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제 2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 2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거리 센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거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2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범주화하고,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여,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경과 시간이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휴식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상기 제 1 거리 센서, 상기 제 2 거리 센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알람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A CHAIR FOR DETECTING THE USER'S POSTURE}
본 발명은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소정의 조건 해당 시 알람을 제공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학습, 업무 등을 위해 상당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의자의 바른 사용이 사용자의 신체 건강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사용자가 의자에 바르지 못한 자세로 앉을 경우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며, 척추가 옆으로 휘는 척추측만증, 허리 또는 목 디스크 등의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나 의자의 사용자들은 대부분 자신의 착석 자세가 바르지 못하더라도 이를 잘 인식하지 못한다.
또한, 의자의 사용자가 착석 시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자 노력하려고 하더라도 착석 후 일정 시간 이상이 경과하면 의자에서 일어나서 적절한 휴식을 취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적절한 휴식 없이 계속적으로 착석 상태를 유지할 경우 혈액 순환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의자에 각종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데이터를 센싱하는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그 측정의 정확성, 정밀성 등에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할 경우 자세 교정을 위한 적절한 알람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상이한 기준으로 착석 시간을 산출하고 일정 시간의 경과 시 휴식을 권유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69822호 "헬스케어체어 구조", 2017. 06. 21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상이한 기준으로 착석 시간을 산출하고 일정 시간 경과 시 휴식을 권유하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 자세 교정을 권유하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 좌판; 상기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좌판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지지부;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제 1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 1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거리 센서; 실행 모드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여,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경과 시간이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휴식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상기 제 1 거리 센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알람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전에 설정된 함수에 따라 상기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보정 시간은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짧은 시간 또는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긴 시간으로 도출될 수 있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 1 각도는 상기 제 1 거리 센서가 상기 좌판의 전방 모서리를 향해 배향되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와 상기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이 양의 상관 관계를 갖는 선형 함수에 따라 상기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제 1 자세로 범주화하고,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짧은 시간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큰 제 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제 2 자세로 범주화하고,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긴 시간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상기 제 2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클 경우 제 1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 1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제 1 경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는,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제 2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 2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 2 거리 센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각도는 전방에 대해 수평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3 기준값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제 2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3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상기 제 2 자세로 범주화하며, 상기 제 2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3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제 3 자세로 범주화하고,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긴 시간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상기 제 3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클 경우 제 2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 2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제 2 경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후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에서 상기 주기의 단축 후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이후 주기를 원래대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의 각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 또는 상기 제 2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될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작동을 중지하고 초기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등받이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와, 상기 등받이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리 센서 및 상기 제 2 거리 센서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센서가 측정하여 생성한 거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범주화하고, 범주화된 결과에 따라 실제 경과 시간을 보정하여 합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권장 착석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르지 못한 착석 자세가 누적될 경우 사용자는 자세 교정을 위해 즉각적인 알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부재 중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슬립 모드가 적용되어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에서 사용자 자세를 감지하는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의 실행 모드에서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의 대기 모드에서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의 휴식 모드에서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에서 사용자 자세를 감지하는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는 사용자의 자세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여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결과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할 경우 휴식을 권유하는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는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할 경우 자세 교정을 위한 적절한 알람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는 좌판(10), 후방 지지부(20), 제 1 거리 센서(30), 제 2 거리 센서(40), 제어부(50), 알람부(60), 움직임 센서(70) 및 전원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좌판(10), 후방 지지부(20), 제 1 거리 센서(30), 제 2 거리 센서(40) 및 알람부(60)가 나타나 있고, 제어부(50), 움직임 센서(70) 및 전원부(80)는 외관에 나타나 있지 않다. 제어부(50), 움직임 센서(70) 및 전원부(80)는 외관에 나타나지 않고, 좌판(10) 또는 후방 지지부(20)에 내장될 수 있다.
좌판(10)은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좌판(10)은 일반적인 의자에 적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 지지부(20)는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좌판(10)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 지지부(20)는 일반적인 의자에 적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방 지지부(2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등받이(21)와,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등받이(21)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22)와, 등받이(21)와 헤드레스트(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리 센서(30)는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제 1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 1 거리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거리 센서(30)는 후방 지지부(20)의 연결부(23)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거리 센서(30)는 ToF(Time of Flight)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각도는 제 1 거리 센서(30)가 좌판(10)의 전방 모서리를 향해 배향되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 거리 센서(40)는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제 2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 2 거리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거리 센서(40)는 후방 지지부(20)의 연결부(23)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거리 센서(30)와 마찬가지로 제 2 거리 센서(40)는 ToF 센서, 라이다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각도는 전방에 대해 수평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 2 각도는 0도(즉, 수평 방향과 평행)가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0도를 기준으로 10도 정도 증감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실행 모드에서 제 1 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여,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경과 시간이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전에 설정된 함수에 따라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와 상기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이 양의 상관 관계를 갖는 선형 함수에 따라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함수 외에도 각종 비선형 함수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거리 데이터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선형 함수에 따라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이 도출되되, 제 1 거리 데이터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이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의 함수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가 제 1 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는 기본적인 방향은 사용자의 자세가 상대적으로 좋은 상태라고 보여지는 제 1 거리 데이터가 얻어질 경우 보정 시간을 실제 경과 시간보다 짧게 산출하고, 사용자의 자세가 상대적으로 나쁜 상태라고 보여지는 제 1 거리 데이터가 얻어질 경우 보정 시간을 실제 경과 시간보다 길게 산출되도록 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 또는 제 1 거리 데이터와 제 2 거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2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범주화하고,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여,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경과 시간이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50)에는 보정 시간의 도출 및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의 생성 등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알람부(60)는 상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휴식 알람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알람부(60)는 조명으로 알람을 생성하기 위한 광원, 소리로 알람을 생성하기 위한 음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LED 광원이 될 수 있고, 음 발생부는 부저(buzzer)가 될 수 있다.
움직임 센서(70)는 좌판(10) 또는 후방 지지부(20)에 설치되어 좌판(10) 또는 후방 지지부(2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짐임 데이터를 생성한다. 움직임 센서(70)가 생성한 움직임 데이터는 제어부(50)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움직임 센서(70)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움직임 센서(70)에 의해 생성되는 움직임 데이터는 가속도 센서가 생성하는 가속도 데이터 또는 자이로 센서가 생성하는 각속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전원부(80)는 제 1 거리 센서(30), 제 2 거리 센서(40), 제어부(50), 알람부(60) 및 움직임 센서(7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80)는 각종 전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의 작동의 구체적인 작동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실행 모드에서 주기적으로 제 1 거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자세를 범주화할 수 있다. 실행 모드에서 제어부(50)는 각 주기에서의 범주화 결과에 따라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여,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경과 시간이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는 제어부(50)가 제 1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며 시작될 수 있다(S101). 이어서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102). 판단 결과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자세를 제 1 자세로 범주화하고(S103),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는데(S104), 이 경우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짧은 시간으로 도출한다.
또한,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 이상이고 제 1 기준값보다 큰 제 2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105).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 이상이고 제 1 기준값보다 큰 제 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자세를 제 2 자세로 범주화한다(S106).
사용자의 자세가 제 2 자세로 범주화된 경우 제어부(50)는 실행 모드에서 사용자의 자세가 제 2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큰지 판단한다(S107). 판단 결과 제 2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큰 경우 제 1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고, 알람부는 제 1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제 1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S108). 제 2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크지 않거나 제 1 경고 알람의 발생 후, 제어부(50)는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는데(S104), 이 경우에는 보정 시간을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긴 시간으로 도출한다.
또한,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 및 제 2 기준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50)는 제 2 거리 데이터를 수신한다(S109). 이어서 제어부(50)는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3 기준값보다 큰지 판단한다(S110).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3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자세를 상기 제 2 자세로 범주화한다. 반면,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3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자세를 제 3 자세로 범주화한다(S111).
사용자의 자세가 제 3 자세로 범주화된 경우 제어부(50)는 실행 모드에서 사용자의 자세가 제 3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큰지 판단한다(S112). 판단 결과 제 3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큰 경우 제 2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고, 알람부는 제 2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제 2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S113). 제 3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크지 않거나 제 2 경고 알람의 발생 후, 제어부(50)는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는데(S104), 이 경우에는 보정 시간을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긴 시간으로 도출한다.
한편,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보정 시간의 도출 후, 제어부(50)는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경과 시간이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4).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경과 시간이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50)는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고, 알람부(60)는 휴식 알람 명령을 발생시킨다(S115). 또한,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경과 시간이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01)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면, 제 1 기준값은 100~200㎜ 중에서 선택된 값, 제 2 기준값은 300~400㎜ 중에서 선택된 값, 제 3 기준값은 250~350㎜ 중에서 선택된 값이 될 수 있으며, 제 1 경고 알람과 관련한 설정 횟수는 30, 제 2 경고 알람과 관련한 설정 횟수는 5가 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행 모드의 한 주기는 5초가 될 수 있다. 한편, 제 1 자세는 바른 자세로 볼 수 있는 자세로서, 사용자의 자세가 제 1 자세로 범주화된 경우 제어부(50)는 보정 시간을 실제 시간보다 20% 짧은 4초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자세 및 제 3 자세는 나쁜 자세로 볼 수 있는 자세(제 3 자세가 상대적으로 더 나쁜 자세)로서, 사용자의 자세가 제 1 자세로 범주화된 경우 제어부(50)는 보정 시간을 실제 시간보다 20% 긴 6초로 도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 1 자세 즉, 바른 자세로 착석한 경우 실제 착석 시간보다 짧은 시간이 보정 시간으로 도출되어 경과 시간이 실제 착석한 시간보다 적게 누적되며, 제 2 자세 즉, 나쁜 자세로 착석한 경우 실제 착석 시간보다 긴 시간이 보정 시간으로 도출되어 경과 시간이 실제 착석한 시간보다 많이 누적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자세를 많이 취할수록 설정 시간의 도달이 늦어져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착석 후 휴식 알람이 울리게 되며, 사용자가 제 2 자세 또는 제 3 자세를 많이 취할수록 설정 시간의 도달이 빨라져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착석 후 휴식 알람이 울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후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 이것은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나쁜 자세로 착석한 상태이므로 주기를 짧게 하여 집중적인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주기는 5초에서 1초로 단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위와 같은 비율(20%)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 자세의 범주화 결과에 따라 보정 시간은 1.2초 또는 0.8초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실행 모드에서 주기의 단축 후 임의의 주기에서 제 1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이후 주기를 원래대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가 5초에서 1초로 단축되었던 경우 주기는 다시 5초로 복원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실행 모드의 각 주기에서 제 1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 또는 제 2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을 근거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될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작동을 중지하고 초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 또는 제 2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이 10~100㎜ 중에서 선택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횟수와 관련하여 설정된 횟수는 300이 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 또는 제 2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 외에도 가속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좌판(10) 또는 후방 지지부(20)의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행 모드에서 제어부(50)가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은 연속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전혀 감지되지 않는 상태는 사용자가 부재 중인 상태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는 전원부(80)에 의해 전원 공급이 개시될 때, 곧바로 실행 모드로 진입하지 않고 대기 모드로 진입한 후 소정의 조건 만족 시 실행 모드가 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대기 모드에서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 및 제 2 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될 경우 실행 모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보다 작고,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5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실행 모드가 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보다 작고,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5 기준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실행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대기 모드에서 제어부(50)는 제 2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고(S201),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202).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고(S203),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5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한다(S204).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 미만이고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5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50)는 실행 모드가 된다(S205).
예를 들면, 제 4 기준값은 400~500㎜ 중에서 선택된 값, 제 5 기준값은 400~500㎜ 중에서 선택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의자의 형태 등에 따라 제 4 기준값 및 제 5 기준값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제어부(50)는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 미만이고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5 기준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부재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부재 횟수를 가산한다(S206). 이어서 제어부(50)는 가산된 사용자 부재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 보다 큰지 판단하며(S207), 사용자가 부재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클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작동을 중지하고 초기화될 수 있다(S208). 사용자가 부재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는 다시 제 2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1)로 되돌아가 대기 모드의 주기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50)는 대기 모드에서 소정의 주기로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반복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부재 중인 것으로 판단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될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작동을 중지하고 초기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움직임 센서(70)에 의해 의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50)는 슬립 모드에서 벗어나 시스템을 다시 가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는 실행 모드에서 휴식 알람이 발생된 경우 이후 휴식 모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식 알람의 발생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휴식 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50)는 휴식 모드에서 사용자가 일어나서 의자를 벗어나 휴식을 취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착석 중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휴식 권유 알람 명령을 생성하며, 알람부(60)는 휴식 권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휴식 모드에서 제어부(50)는 제 2 거리 데이터를 수신한다(S301). 이어서 제어부(50)는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보다 큰지 판단한다(S302).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를 수신한다(S303). 제 1 거리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5 기준값보다 큰지 판단한다(S304). 만약,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5 기준값보다 크지 않을 경우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착석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휴식 권유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며, 알람부(60)는 휴식 권유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휴식 권유 알람을 발생시킨다(S305).
한편, 휴식 모드에서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값보다 크거나,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4 기준 데이터보다 크지 않지만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5 기준값보다 큰 경우 또는 휴식 권유 알람이 발생된 경우 제어부(50)는 해당 주기의 경과 시간을 휴식 시간으로 합산한다(S306). 만약 합산된 휴식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예를 들면, 5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50)는 초기화될 수 있다(S308). 그러나 합산된 휴식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50)는 제 1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0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식 모드에서 사용자가 의자를 벗어나거나 휴식 권유 알람을 무시하고 계속 앉아 있을 경우 소정의 설정 시간 경과 후 시스템이 초기화된다. 한편, 사용자가 의자를 벗어났다가 소정의 설정 시간 경과 전 다시 착석하게 되면 휴식 권유 알람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범주화하고, 범주화된 결과에 따라 실제 경과 시간을 보정하여 합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권장 착석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바르지 못한 착석 자세가 누적될 경우 사용자는 자세 교정을 위해 즉각적인 알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좌판 20: 후방 지지부
30: 제 1 거리 센서 40: 제 2 거리 센서
50: 제어부 60: 알람부
70: 움직임 센서 80: 전원부

Claims (14)

  1.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 좌판;
    상기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좌판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지지부;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제 1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 1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거리 센서;
    실행 모드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여, 도출된 보정 시간을 합산한 경과 시간이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휴식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휴식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상기 제 1 거리 센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알람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전에 설정된 함수에 따라 상기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보정 시간은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짧은 시간 또는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긴 시간으로 도출될 수 있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는 상기 제 1 거리 센서가 상기 좌판의 전방 모서리를 향해 배향되는 각도로 설정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와 상기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이 양의 상관 관계를 갖는 선형 함수에 따라 상기 각 주기의 보정 시간을 도출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제 1 자세로 범주화하고,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짧은 시간으로 도출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제 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큰 제 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제 2 자세로 범주화하고,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긴 시간으로 도출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상기 제 2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클 경우 제 1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 1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제 1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7. 제 5 항에 있어서,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제 2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 2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 2 거리 센서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각도는 전방에 대해 수평한 각도로 설정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거리 데이터가 제 3 기준값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제 2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3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상기 제 2 자세로 범주화하며, 상기 제 2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3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제 3 자세로 범주화하고, 해당 주기에서의 보정 시간을 해당 주기보다 소정 비율 긴 시간으로 도출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상기 제 3 자세로 범주화된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보다 클 경우 제 2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 2 경고 알람 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제 2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의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후 주기를 단축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에서 상기 주기의 단축 후 임의의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이후 주기를 원래대로 연장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모드의 각 주기에서 상기 제 1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 또는 상기 제 2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될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작동을 중지하고 초기화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등받이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와, 상기 등받이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리 센서 및 상기 제 2 거리 센서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KR1020220103535A 2020-12-15 2022-08-18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KR20220136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535A KR20220136291A (ko) 2020-12-15 2022-08-18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38A KR102496621B1 (ko) 2020-12-15 2020-12-15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KR1020220103535A KR20220136291A (ko) 2020-12-15 2022-08-18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38A Division KR102496621B1 (ko) 2020-12-15 2020-12-15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291A true KR20220136291A (ko) 2022-10-07

Family

ID=820578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38A KR102496621B1 (ko) 2020-12-15 2020-12-15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KR1020220103535A KR20220136291A (ko) 2020-12-15 2022-08-18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38A KR102496621B1 (ko) 2020-12-15 2020-12-15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96621B1 (ko)
WO (1) WO202213178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822A (ko) 2015-12-11 2017-06-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케어체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611A (ko) * 2009-07-20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세 교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0136B1 (ko) * 2014-11-14 2016-11-29 윤성재 거북목 증후군 예방 시스템
EP3240459B1 (en) * 2014-12-29 2021-07-14 Herman Miller, Inc. System architecture for office productivity structure communications
KR101712279B1 (ko) * 2015-08-07 2017-03-03 곽정오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KR20200001748A (ko) * 2018-06-28 2020-01-07 김학송 사용자의 착석 자세를 가이드 하는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822A (ko) 2015-12-11 2017-06-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케어체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49A (ko) 2022-06-22
WO2022131782A1 (ko) 2022-06-23
KR102496621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64188A (ja) ゲーム使用時間カウント機能付き学習机
US10638842B2 (en) Smart sea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388856B1 (ko) 자세 경고 시트 및 자세 경고 의자
CN108209929B (zh) 一种坐姿识别系统和坐姿识别方法
JP6105483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方法
KR102082510B1 (ko) 앉은 자세를 측정 및 평가하여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09348B2 (en) Standing motion assist device, standing motion assis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579351B2 (ja) 生体状態推定システムおよび生体状態推定方法
WO2010038497A1 (ja) 姿勢判定装置、姿勢判定機能付座席装置
KR20110089646A (ko) 기능성 의자
KR102496621B1 (ko) 사용자 자세 감지 의자
CN108791080A (zh) 用于汽车的控制系统
JP2007309084A (ja) 人体感知距離の自動調節機能を有するビデ
CN105844866B (zh) 一种坐姿提醒装置
US10793024B2 (en) Seat and seat control system
CN109141346A (zh) 穿戴式设备的坐姿更正引导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00064560A (ko)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JP7208485B2 (ja) シートシステム
KR102481287B1 (ko) 자세 감지 헤드레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세 감지 의자
JP2011087610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160097942A (ko) 사용자 어깨 위치 정밀 검출 안마의자
JP6659953B2 (ja) 状態監視システム
CN108608896A (zh) 用于汽车的驾驶位座椅的控制系统
TW200820929A (en) An apparatus with alarm system to prevent user in bad sitting posture
JP2006247181A (ja) 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