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216A -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 - Google Patents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216A
KR20220136216A KR1020220038645A KR20220038645A KR20220136216A KR 20220136216 A KR20220136216 A KR 20220136216A KR 1020220038645 A KR1020220038645 A KR 1020220038645A KR 20220038645 A KR20220038645 A KR 20220038645A KR 20220136216 A KR20220136216 A KR 2022013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ed
coiled fiber
microfibers
material composition
bioabsorbab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슬라자스
Original Assignee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5Coils or wires comprising additional materials, e.g. thrombogenic, having filaments, having fibers, bein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45Coils or wires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54Coils or wires having stretch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금속성 색전 코일과 유사한 코일형 형상을 갖는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를 포함하는 이식체가 동맥류 낭(sac)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식체는 이식체가 흡수됨에 따라 동맥류가 충분히 폐색되고 충분히 치유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긴 흡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식체는 동맥류 내에서 혈전 형성을 개시하기 위한 교차 미세섬유 및/또는 코일형 형상의 연신을 억제하기 위해 코일형 형상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내신축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코일 권선들 사이의 마찰 끼워맞춤, 코일형 섬유에 대한 열 접합 및/또는 내신축성 부재에 대한 고정(securement)에 의해 코일형 섬유에 부착될 수 있다. 코일형 섬유, 교차 미세섬유, 및 내신축성 부재는 동맥류의 일련의 가속화된 폐색 및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상이한 흡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BIO-ABSORBABLE COILED FIB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식가능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정맥 울혈을 유도하기 위한 생체-흡수성 이식체에 관한 것이다.
동맥류는 동맥류의 낭(sac)을 색전 재료로 충전하고/하거나 동맥류의 경부(neck)를 차단하여 동맥류 내로의 혈류를 억제하기 위해 동맥류에 치료 장치를 전달함으로써 혈관 내에서 치료될 수 있다. 동맥류 낭을 충전할 때, 색전 재료는 혈액 응고를 촉진시켜서 동맥류 내에 혈전 덩어리(thrombotic mass)를 생성할 수 있다. 동맥류 낭을 실질적으로 충전하지 않고서 동맥류 경부를 치료할 때, 동맥류의 경부 내로의 혈류는 억제되어서 동맥류 내의 정맥 울혈을 유도할 수 있고 동맥류 내에서의 혈전 덩어리의 자연적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현재의 몇몇 치료에서, 다수의 금속계(예를 들어, 백금) 색전 코일이 사용되어 동맥류 낭을 충전하거나 동맥류 경부의 입구를 치료한다. 동맥류 낭이 색전 코일로 패킹될 때, 동맥류는 전형적으로 그 안에 패킹된 금속 코일의 형상을 취하여, 동맥류가 두개골 내에서 영구적인 부피를 갖게 만든다. 오로지 동맥류 경부에만 색전 코일을 배치하는 것은 혈전이 동맥류 낭 내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게 하고 그 낭이 부피가 감소되게 할 수 있지만, 그러한 배치는 동맥류 낭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전하지 않고는 어렵다. 일부 경우에, 동맥류 낭이 색전 코일로 패킹되거나 또는 경부가 치료될 때, 혈류는 초기 치료 후에 동맥류 내로 재개될 수 있어서, 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해 추가적인 색전 코일 또는 치료 장치가 배치되는 후속 처리를 필요로 하고, 동맥류에서 금속의 체적을 추가로 증가시키고, 가능하게는 동맥류 낭을 확장시킨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체흡수성인 이식체를 동맥류 낭 내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식체는 금속성 색전 코일과 유사한 코일형 형상을 갖는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를 포함한다. 이식체는 이식체가 흡수됨에 따라 동맥류가 충분히 폐색되고 충분히 치유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긴 흡수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식체는 동맥류 내에서 혈전 형성을 개시하기 위한 교차 미세섬유 및/또는 코일형 형상의 연신을 억제하기 위해 코일형 형상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내신축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코일 권선들 사이의 마찰 끼워맞춤, 코일형 섬유에 대한 열 접합 및/또는 내신축성 부재에 대한 고정(securement)에 의해 코일형 섬유에 부착될 수 있다. 코일형 섬유, 교차 미세섬유, 및 내신축성 부재는 동맥류의 일련의 가속화된 폐색 및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상이한 흡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폐색 장치는 코일형 구성의 섬유(코일형 섬유) 및 교차 미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형 섬유는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코일형 섬유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될 수 있고, 코일형 섬유의 외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열, 접착제, 용매 접합, 기계적 래핑(wrapping), 억지 끼워맞춤 또는 마찰 끼워맞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코일형 섬유에 고정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코일형 섬유의 총 길이의 약 1/2 내지 약 1/3로 측정되는 길이를 갖는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에 걸쳐 코일형 섬유에 장착될 수 있다.
폐색 장치는 코일형 섬유의 코일형 섬유 루멘 내에 위치된 내신축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내신축성 부재는 코일형 섬유의 원위 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코일형 섬유의 근위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내신축성 부재는 제3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은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 및 제3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과 다를 수 있다. 제2 생체흡수성 조성물은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 및 제3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과 다를 수 있다. 제3 생체흡수성 조성물은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 및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과 다를 수 있다.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은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의 흡수 속도보다 더 높은 흡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 및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은 각각 폴리에틸벤젠, 폴리다이메틸실록산, 폴리글리콜산, 폴리-L-락트산, 폴리카프로락티브,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 폴리다이옥사논,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다이옥사논, 폴리부티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폐색 장치는 완전히 생체흡수성일 수 있고, 즉 생체흡수성 재료만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형 섬유는 약 0.001 인치 내지 약 0.003 인치의 섬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코일형 섬유의 코일형 구성의 외경은 약 0.008인치 내지 약 0.018인치로 측정될 수 있다.
대부분의 교차 미세섬유는 각각 약 0.0002 인치 내지 약 0.001 인치의 직경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코일형 섬유의 원위 부분은 동맥류 내에 외주 배열(arrangement)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은 외주 배열 내에 내부 어레이(array)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폐색 장치는 코일형 구성의 섬유(코일형 섬유), 내신축성 부재, 및 교차 미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내신축성 부재는 코일형 섬유의 코일형 섬유 루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내신축성 부재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코일형 섬유의 외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교차 미세섬유가 코일형 섬유의 원위 부분에 부재하도록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에 걸쳐 코일형 섬유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은 코일형 섬유의 총 길이의 약 1/2 내지 1/3로 측정되는 길이를 갖고, 코일형 섬유의 원위 부분은 코일형 섬유의 총 길이의 약 1/2 내지 약 2/3로 측정되는 길이를 갖는다.
코일형 섬유의 원위 부분은 동맥류 내에 외주 배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은 외주 배열 내에 내부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폐색 장치는 완전히 생체흡수성일 수 있고, 즉 생체흡수성 재료만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형 섬유는 제1 흡수 속도를 갖는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제2 흡수 속도를 갖는 제2 생체흡수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내신축성 부재는 제3 흡수 속도를 갖는 제3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수 속도는 제1 흡수 속도 및 제3 흡수 속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다양한 순서로 그리고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추가 단계와 함께 수행되는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폐색 장치가 동맥류에 혈관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폐색 장치의 코일형 섬유의 원위 부분은 원위 부분이 동맥류의 낭 내에 외주 배열을 형성하도록 동맥류 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은, 코일형 섬유의 외경으로부터 연장되고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을 따라 위치되는 교차 미세섬유가 외주 배열에 의해 동맥류의 경부를 교차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외주 배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방법은 폐색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생체 조직 내로 흡수되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방법은 코일형 섬유의 흡수 속도보다 더 높은 흡수 속도로 교차 미세섬유가 생체 조직 내로 흡수되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의 그리고 추가의 태양이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구조 요소와 특징부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 설명을 참조하여 추가로 논의된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는 않으며,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도면은 본 발명의 장치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를 제한으로서가 아닌 단지 예로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예시적인 이식체의 절결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이식체의 절결도를 도시한다.
도 2b 및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예시적인 이식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이식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예시적인 이식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동맥류 내의 외주 배열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도 4a의 외주 배열 내의 내부 어레이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4c는 도 4b의 내부 어레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동맥류의 치유 및 폐색과 예시적인 이식체의 흡수를 도시하는 일련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동맥류 치료 단계의 개요를 서술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수치 값 또는 범위에 대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집합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그의 의도된 목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적합한 치수 허용오차를 나타낸다. 더 구체적으로, "약" 또는 "대략"은 열거된 값의 ±20%의 값의 범위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약 90%"는 71% 내지 99%의 값의 범위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흡수 속도"는 생체흡수성 재료 및 생체흡수성 구조물의 비교 특성이다. 2개의 생체흡수성 재료가 흡수되고 있는 조건(예를 들어, 기하학적 구조, 주변 환경 등)이 동일하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더 높은 흡수 속도를 갖는 생체흡수성 재료는 비교용 생체흡수성 재료보다 더 빠르게 조직 내로 흡수된다. 더 높은 흡수 속도를 갖는 생체흡수성 구조물은 동등한 환경에서 비교용 생체흡수성 구조물보다 더 짧은 기간 동안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고; 비교된 생체흡수성 구조물은 동일하거나 별개인 재료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흡수 시간"은 구조물이 흡수되고 있는 환경에 있는 동안 생체흡수성 구조물이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는 기간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생체흡수성"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조직 또는 체액, 특히 생체 조직 및 유사하게 정의된 것(definition)에 흡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튜브형" 및 "튜브"는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직원기둥(right cylinder)이거나 단면이 엄격하게 원주형이거나 길이 전반에 걸쳐 균일한 단면을 갖는 구조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튜브형 구조물 또는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직원기둥형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튜브형 시스템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테이퍼 형성된 또는 굴곡된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는 일반적으로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체흡수성인 이식체를 동맥류 낭 내로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는 금속성 색전 코일과 유사한 코일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일형 형상의 잠재적인 이점은 일부 예에서 코일형 섬유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색전 코일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식체는 동맥류 낭 내에서 혈전 형성을 개시하기 위한 교차 미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형 형상의 또 다른 잠재적인 이점은 교차 미세섬유가 억지 끼워맞춤 또는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코일형 섬유의 권선들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식체는 코일형 형상의 연신을 억제하기 위해 코일형 형상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내신축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코일 권선들 사이의 마찰 끼워맞춤, 코일형 섬유에 대한 열 접합 및/또는 내신축성 부재에 대한 고정에 의해 코일형 섬유에 부착될 수 있다.
이식체는 이식체가 흡수됨에 따라 동맥류가 충분히 폐색되고 충분히 치유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긴 흡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코일형 섬유, 교차 미세섬유, 및 내신축성 부재는 동맥류의 일련의 가속화된 폐색 및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상이한 흡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식체에 적합한 생체흡수성 물질에는 폴리에틸벤젠, 폴리다이메틸실록산, 폴리글리콜산, 폴리-L-락트산, 폴리카프로락티브,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 폴리다이옥사논,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다이옥사논, 폴리부티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식체의 구성 부품의 재료 조성물은 각각의 구성 부품에 대해 원하는 흡수 속도/시간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기하학적 구조는 또한 흡수 속도/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결과 동일한 재료 조성물 및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2개의 구성 부품이 상이한 흡수 속도/시간으로 흡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차 미세섬유와 코일형 섬유가 동일한 재료 조성물을 가질 때, 교차 미세섬유는 교차 미세섬유의 더 큰 표면적 대 부피의 비로 인하여 코일형 섬유에 비해 더 짧은 흡수 시간 내에 흡수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이식체(100)의 절결도를 도시한다. 이식체(100)는 코일형 섬유(102)와, 코일형 섬유(102)의 코일형 형상의 외경(D2)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교차 미세섬유(104)를 포함한다. 코일형 섬유(102)는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가질 수 있고, 교차 미세섬유(104)는 제1 생체흡수성 재료와 동일하거나 다른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생체흡수성 재료는 동일한 흡수 속도 또는 상이한 흡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차 미세섬유(104)는 코일형 섬유(102)보다 더 짧은 흡수 시간 및 더 높은 흡수 속도를 갖는다. 교차 미세섬유(104)의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은 코일형 섬유(102)의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의 흡수 속도보다 높은 흡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의 흡수 시간/속도는 동맥류 낭 내에서 세포 활성 및/또는 대사 활성을 촉진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코일형 섬유(102)의 흡수 시간/속도는 예컨대 치유 및 폐색 동안 동맥류로부터의 교차 미세섬유의 이동을 억제하고/하거나 동맥류 폐색 및 치유 동안 동맥류 낭 내로의 혈액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코일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104)는 더 신속한 세포 반응을 촉진하고 동맥류의 치유를 가속화하기 위해 자극물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차 미세섬유(104)는 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약물,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약물, 혈관신생 약물, 또는 이물질 반응 또는 세포 반응을 초래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자극물과 조합하여 생체흡수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104)는 자극물로 실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교차 미세섬유(104)는 자극물로 매립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104)는 열, 접착제, 용매 접합, 기계적 래핑(wrapping), 억지 끼워맞춤 또는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코일형 섬유(102)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형 섬유(102)는 길이방향 축(L-A)을 따라 연장되고 코일형 형상의 근위 단부(116)와 원위 단부(114) 사이에서 측정된 길이(L)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섬유(102)는 근위 단부(116)와 원위 단부(114)에서 캡핑될 수 있다. 원위 단부(114)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노출되거나 비외상성 캡을 가질 수 있다. 근위 단부(116)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식체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금속성 색전 코일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전달 시스템, 이의 변형, 또는 이의 대안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분리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이식체(100)와 유사하지만 코일형 섬유(102)의 원위 부분(108) 상에 교차 미세섬유(104)가 부재하는 다른 예시적인 이식체(200)의 절결도를 도시한다. 근위 부분(106)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분포된 교차 미세섬유(10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부분(106)은 코일형 섬유(102)의 총 길이(L)의 약 1/2 내지 약 1/3로 측정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원위 부분은 코일형 섬유(102)의 총 길이(L)의 약 1/2 내지 약 2/3로 측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는 도 2a에 표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이식체(2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교차 미세섬유(104)는 코일형 섬유(102)의 코일형 형상의 루멘(112)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서 코일형 형상을 빠져나갈 수 있다. 이식체(20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교차 미세섬유(104)의 양 단부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형상의 동일한 측면을 빠져나가도록 코일의 권선 주위에서 약 180° 만곡되는 교차 미세섬유(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식체(200)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루멘(112)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교차 미세섬유(104), 코일의 권선 주위로 만곡되는 교차 미세섬유, 및 이의 다른 변형 또는 이의 대안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코일형 섬유(102)는 약 0.001 인치(약 2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0.003 인치(약 76 마이크로미터)의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코일형 섬유(102)의 코일형 구성의 외경(D2)은 약 0.008 인치(약 20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0.018 인치(약 460 마이크로미터)로 측정될 수 있다. 대부분의 교차 미세섬유(104)는 각각 약 0.0002 인치(약 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0.001 인치(약 25 마이크로미터)의 직경(D3)을 가질 수 있다.
도 3a는 코일형 섬유(102)의 루멘(112) 내에 내신축성 부재(110)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이식체(3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내신축성 부재(110)는 길이방향 힘이 가해질 때 연신에 저항하는 섬유, 튜브 또는 다른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신축성 부재(110)는 코일형 섬유(102)의 원위 단부(114)에 고정되고 코일형 섬유(102)의 근위 단부(116)에 고정될 수 있다. 내신축성 부재는 제3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생체흡수성 재료는 제1 생체흡수성 재료와 동일하거나 다른 흡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제3 생체흡수성 재료의 흡수 속도는 제2 생체흡수성 재료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내신축성 부재(110)의 흡수 시간/속도는 예를 들어 치유 및 폐색 동안 동맥류로부터의 교차 미세섬유의 이동을 억제하고/하거나 동맥류 폐색 및 치유 동안 동맥류 낭 내로의 혈액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코일형 섬유(102) 및/또는 교차 미세섬유(104)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예시적인 이식체(3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교차 미세섬유(104)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것과 이의 변형을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으로 내신축성 부재(110) 주위로 감싸질 수 있다. 이식체(300)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형상의 동일한 측면을 빠져나가는 단부들을 갖는 교차 미세섬유(104),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형상의 양 측면을 빠져나가는 단부들을 갖는 교차 미세섬유, 및/또는 서로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코일형 형상을 빠져나가는 단부들을 갖는 교차 미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교차 미세섬유의 일 단부만이 코일형 형상의 루멘을 빠져나가도록 내신축성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식체(100, 200, 300)와 유사하게 구성된 예시적인 폐색 장치를 갖는 동맥류(A)의 치료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폐색 장치는 도 2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이식체(200, 300)와 유사한 이식체의 원위 부분(108) 상에는 교차 미세섬유가 결여된다. 전달 튜브(150)는 동맥류(A)의 경부(N)에 및/또는 동맥류(A)의 낭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이식체(200, 300)는 전달 튜브(150)를 통해 동맥류 낭 내로 원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a는 동맥류(A) 내의 외주 배열(118)의 형성을 예시한다. 이식체(200, 300)의 원위 부분은 이식체(200, 300)가 전달 튜브(150)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맥류 낭 내에서 꾸불꾸불 진행되고, 그 결과 코일형 섬유(102)는 동맥류(A)의 벽에서 동맥류(A)의 경부(N)를 가로질러
종횡 교차 망상조직(crisscrossing network)을 형성한다. 동맥류(A)의 경부(N)를 가로질러 종횡으로 교차하는 코일형 섬유(102)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외주 배열(118)은 동맥류 경부(N)을 가로지르는 장벽을 형성하여 이식체(200, 300)의 근위 부분(106)이 동맥류 낭을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이식체는 도 4a에 도시된 외주 배열(118)을 형성하도록 이식될 수 있다. 외주 배열(118)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동맥류의 경부(N)를 가로질러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식체(100)는 코일형 섬유(102)의 길이(L)를 따라 교차 미세섬유(104)를 가질 수 있고, 외주를 따라 도 4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내부 어레이(1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외주 배열(118) 내의 내부 어레이(120)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4c는 도 4b의 내부 어레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내부 어레이(120)는 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교차 미세섬유(104)를 갖는 코일형 섬유(102)를 포함한다. 교차 미세섬유(104)는 외주 배열(118)에 의해 동맥류(A)의 경부(N)를 가로질러 인접 혈관(BV)으로 진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동맥류의 치유 및 폐색과 예시적인 폐색 장치의 흡수를 도시하는 일련의 도면이다. 폐색 장치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과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이의 변형과 유사하게 이식될 수 있다. 폐색 장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식체(100, 200, 300)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이의 변형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의 일련의 도면은 조직에 흡수됨에 따라 크기가 감소된 폐색 장치(100, 200, 300)를 도시한다. 폐색 장치(100, 200, 300)의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동맥류(A)의 부피도 또한 감소된다. 교차 미세섬유(104)는 동맥류의 낭에서 신속한 혈전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코일형 섬유(102)는 동맥류(A)가 치유됨에 따라 이식체(100, 200, 300)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104)의 압도적 대부분은 대부분의 코일형 섬유(102)가 흡수되기 전에 흡수될 수 있다.
도 6은 동맥류 치료를 위한 방법(400)의 단계의 개요를 서술하는 흐름도이다.
단계(410)에서, 폐색 장치는 동맥류에 혈관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폐색 장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폐색 장치 및 이식체(100, 200, 300), 이들의 변형, 및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이에 대한 대안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단계(420)에서, 폐색 장치의 코일형 섬유의 원위 부분이 동맥류의 낭 내에 위치되어, 그 원위 부분이 동맥류 낭 내에 외주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코일형 섬유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코일형 섬유(102), 이의 변형, 및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이에 대한 대안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생성된 외주 배열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외주 배열(118), 이의 변형, 및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이에 대한 대안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106)은 코일형 섬유의 외경으로부터 연장되고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을 따라 위치되는 교차 미세섬유가 외주 배열에 의해 동맥류의 경부를 교차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외주 배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차 미세섬유(104), 이의 변형, 및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이에 대한 대안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방법(400)은 폐색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생체 조직 내로 흡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교차 미세섬유는 코일형 섬유의 흡수 속도보다 더 높은 흡수 속도로 생체 조직 내로 흡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이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안적인 기계적 구성, 대안적인 기하학적 구조, 대안적인 재료 선택, 보조 처리 단계 등을 비롯하여 폐색 장치와 이식체를 치료하는 방법의 많은 변형 및 수정을 고려한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당업자에게 명백한 수정 및 변형이 이어지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코일형 구성의 섬유로서, 상기 코일형 섬유는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기 섬유; 및
    상기 코일형 섬유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형 섬유의 외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교차 미세섬유들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차 미세섬유들의 적어도 일부는 열, 접착제, 용매 접합, 기계적 래핑(wrapping), 억지 끼워맞춤 또는 마찰 끼워맞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코일형 섬유에 고정되는, 폐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차 미세섬유들은 상기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에 걸쳐 상기 코일형 섬유에 장착되고,
    상기 근위 부분은 상기 코일형 섬유의 총 길이의 약 1/2 내지 약 1/3로 측정되는 길이를 포함하는, 폐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섬유의 코일형 섬유 루멘 내에 위치되고, 상기 코일형 섬유의 원위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형 섬유의 근위 단부에 고정되고 제3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신축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폐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은 상기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 및 제3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과 다르고,
    상기 제2 생체흡수성 조성물은 상기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 및 제3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과 다르고,
    상기 제3 생체흡수성 조성물은 상기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 및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과 다른, 폐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은 상기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의 흡수 속도보다 더 높은 흡수 속도를 포함하는, 폐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 및 제2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은 각각 폴리에틸벤젠, 폴리다이메틸실록산(PDMS), 폴리글리콜산(PGA), 폴리-L-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티브,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 폴리다이옥사논,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다이옥사논(PDO), 폴리부티로락톤(PBL), 폴리발레로락톤(PVL),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PLGA),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각각 포함하는, 폐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장치의 재료들은 생체흡수성 재료들로 이루어지는, 폐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섬유(102)는 약 0.001 인치 내지 약 0.003 인치의 직경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섬유의 코일형 구성의 외경은 약 0.008 인치 내지 약 0.018 인치로 측정되는, 폐색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차 미세섬유들의 대부분은 각각 약 0.0002 인치 내지 약 0.001 인치의 직경을 각각 포함하는, 폐색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섬유의 원위 부분은 동맥류 내에 외주 배열(arrangement)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은 상기 외주 배열 내에 내부 어레이(array)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폐색 장치.
  13. 코일형 구성의 섬유("코일형 섬유");
    상기 코일형 섬유의 코일형 섬유 루멘 내에 위치된 내신축성 부재; 및
    상기 내신축성 부재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코일형 섬유의 외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교차 미세섬유들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차 미세섬유들은 상기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에 걸쳐 상기 코일형 섬유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교차 미세섬유들은 상기 코일형 섬유의 원위 부분에 부재하고,
    상기 근위 부분은 상기 코일형 섬유의 총 길이의 약 1/2 내지 1/3로 측정되는 길이를 포함하는, 폐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섬유의 상기 원위 부분은 동맥류 내에 외주 배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일형 섬유의 상기 근위 부분은 상기 외주 배열 내에 내부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폐색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장치의 재료들은 생체흡수성 재료들로 이루어지는, 폐색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섬유는 제1 흡수 속도를 포함하는 제1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교차 미세섬유들은 제2 흡수 속도를 포함하는 제2 생체흡수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내신축성 부재는 제3 흡수 속도를 포함하는 제3 생체흡수성 재료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흡수 속도는 상기 제1 흡수 속도 및 상기 제3 흡수 속도보다 더 높은, 폐색 장치.
  18. 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폐색 장치를 동맥류에 혈관을 통해 전달하는 단계;
    상기 폐색 장치의 코일형 섬유의 원위 부분이 동맥류의 낭(sac) 내에 외주 배열을 형성하도록 상기 원위 부분을 상기 동맥류 낭 내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일형 섬유의 외경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코일형 섬유의 근위 부분을 따라 위치되는 교차 미세섬유들이 상기 외주 배열에 의해 상기 동맥류의 경부(neck)를 가로지르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기 외주 배열 내에 상기 코일형 섬유의 상기 근위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생체 조직 내로 흡수되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섬유의 흡수 속도보다 더 높은 흡수 속도로 상기 교차 미세섬유들이 상기 생체 조직 내로 흡수되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038645A 2021-03-31 2022-03-29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 KR20220136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18,968 2021-03-31
US17/218,968 US20220313267A1 (en) 2021-03-31 2021-03-31 Bio-absorbable coiled fi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216A true KR20220136216A (ko) 2022-10-07

Family

ID=8099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645A KR20220136216A (ko) 2021-03-31 2022-03-29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13267A1 (ko)
EP (1) EP4066753A3 (ko)
JP (1) JP2022159143A (ko)
KR (1) KR20220136216A (ko)
CN (1) CN115137429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0607B2 (en) * 1998-01-27 2006-07-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ioabsorbable polymeric implant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create occlusions
US5935145A (en) * 1998-02-13 1999-08-10 Target Therapeutics, Inc. Vaso-occlusive device with attached polymeric materials
ES2440650T3 (es) * 2004-05-21 2014-01-29 Covidien Lp Bobinas metálicas enlazadas con polímeros o fibras sintéticas biológicas o biodegrabables para la embolización de una cavidad corporal
US10524799B2 (en) * 2007-03-05 2020-01-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ploying embolic coils
US10675376B2 (en) * 2012-05-24 2020-06-09 Ethicon Llc Mechanically strong absorbable polymeric blend compositions of precisely controllable absorption rates, processing methods, and products therefrom
CN112690853A (zh) * 2013-03-15 2021-04-23 恩波医疗有限公司 栓塞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6753A2 (en) 2022-10-05
JP2022159143A (ja) 2022-10-17
US20220313267A1 (en) 2022-10-06
EP4066753A3 (en) 2022-12-28
CN115137429A (zh)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2170B2 (ja) 副鼻腔炎又はアレルギー性鼻炎治療用プロテーゼシステム
JP7014610B2 (ja) 副鼻腔炎の治療のための埋込み可能な足場
AU2014350794B2 (en) Left atrial appendage occluder
US20130072959A1 (en) Non-Fragmenting Low Friction Bioactive Absorbable Coils for Brain Aneurysm Therapy
US20040260384A1 (en) Superelastic coiled stent
KR20080005939A (ko) 부비동 이상의 치료 장치 및 방법
WO201802714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ung volume reduction
US8585723B2 (en) Coil anchor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14366183A (zh) 封堵装置与封堵系统
US11944313B2 (en) Implantable embolization device
JP2018506376A (ja) 軟組織固定のための縫合糸
JP2021178876A (ja) 副鼻腔炎の処置のための移植可能な足場
US20060085028A1 (en) Vessel occlusion system
JP2009183600A (ja) 生体管路ステント
KR20220136216A (ko) 생체-흡수성 코일형 섬유
CN111658056B (zh) 医学用栓塞颗粒及制备方法
KR102109138B1 (ko) 메쉬 봉합사에 대한 니들의 간접 부착
US20230021788A1 (en) Multi-layer drug delivery apparatus
EP2814531B1 (en) Drug eluting insert for implantable body
US20100234934A1 (en) Balloon Deployable Coronary Stent
US2024006569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increase implantable device volume for treatment of aneurysms
CN112156362B (zh) 固定结构及电极导线
EP2848267A1 (en) Anti-tumor macrophage m1 morphology inducer
US20170202702A1 (en) Fallopian Tube Occluding Device, Delivery Catheter and Method
US20230141333A1 (en) Sutures with Coatings for Detecting and Reporting Tissue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