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647A -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 Google Patents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647A
KR20220135647A KR1020210041618A KR20210041618A KR20220135647A KR 20220135647 A KR20220135647 A KR 20220135647A KR 1020210041618 A KR1020210041618 A KR 1020210041618A KR 20210041618 A KR20210041618 A KR 20210041618A KR 20220135647 A KR20220135647 A KR 20220135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frame member
rear frame
fixing sheet
pillow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5940B1 (ko
Inventor
박성현
김병목
최혜정
황정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1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94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1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6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specific support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5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the patient is supported by a specific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가 개시된다. 상기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는 전방 프레임 부재, 후방 프레임 부재 및 측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용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되기 위한 베개로써,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 둘레를 감싸서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는 베개고정시트; 상기 베개고정시트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고, 서로 부착되거나 또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베개고정시트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를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탈부착부재; 충진재가 주입되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1 베개부 및 충진재가 주입되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고정시트의 일면에 연결되는 베개형성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고정시트는 상기 베개형성시트가 연결되는 면의 반대면이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 부착되고, 상기 제1 베개부는 상기 베개고정시트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 둘레를 감쌀 때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의 안쪽을 감싸는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베개부는 정위 수술용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놓일 수 있게 상기 제1 베개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PILLOW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FRAME}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위 수술시 검사를 위해 착용하게 되는 정위 수술 프레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외과학의 경향은 최소한의 절개를 통하여 수술하는 것으로 전산화 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 등 첨단 진단장비를 이용하여 진단하고 개복술, 개두술보다는 무형의 칼이라 불리는 레이저나, 방사선, 내시경 등을 이용하여 수술하는 것을 선호한다. 특히, 뇌종양 수술은 가능하면 전신마취와 피부절개가 없고 후유증이나 합병증이 적은 장점을 가진 정위적 방사선 수술을 선호한다.
정위적 방사선 수술의 한 분야인 감마나이프도 정확도가 매우 높은 수술이다. 정위 수술시 종양의 크기가 크거나 종양의 위치가 중요한 신경 근처에 있을 경우 한 번에 많은 양의 방사선을 조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정위 수술 프레임을 착용하고 며칠 동안 분할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프레임을 착용하고 며칠 동안 지내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가 정위 수술 프레임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편안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는 전방 프레임 부재, 후방 프레임 부재 및 측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용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되기 위한 베개로써,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 둘레를 감싸서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는 베개고정시트; 상기 베개고정시트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고, 서로 부착되거나 또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베개고정시트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를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탈부착부재; 충진재가 주입되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1 베개부 및 충진재가 주입되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고정시트의 일면에 연결되는 베개형성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고정시트는 상기 베개형성시트가 연결되는 면의 반대면이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 부착되고, 상기 제1 베개부는 상기 베개고정시트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 둘레를 감쌀 때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의 안쪽을 감싸는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베개부는 정위 수술용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놓일 수 있게 상기 제1 베개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개고정시트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의 각 면의 폭 이상의 폭을 갖는 3개의 포켓부가 배열되고, 상기 베개형성시트는 상기 제1 베개부에 해당하는 영역이 상기 3개의 포켓부 중 어느 하나의 포켓부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베개부는 상기 제1 베개부로부터 상기 베개형성시트에 고정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개는 상기 3개의 포켓부 각각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개고정시트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를 감싸면 상기 3개의 포켓부는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의 안쪽면, 상기 안쪽면에 평행한 면, 상기 안쪽면 및 상기 평행한 면 사이의 2개의 면 중 하나의 면을 감싸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3개의 포켓부가 감싸는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의 3개의 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부착부재는 벨크로테이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개형성시트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합성수지재의 튜브 형태이고, 상기 제1 베개부 및 상기 제2 베개부에 충진되는 충진재는 에어(air)이고, 상기 충진재가 에어인 경우 상기 제1 베개부 및 상기 제2 베개부는 가장자리가 밀폐된 포켓 및 상기 포켓 내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개형성시트는 섬유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베개부 및 상기 제2 베개부에 충진되는 충진재는 솜이고, 상기 충진재가 솜인 경우 상기 제1 베개부 및 상기 제2 베개부는 가장자리가 밀폐된 포켓 및 상기 포켓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는 정위 수술을 위한 환자가 정위 수술 프레임을 장기간 머리에 고정하여 생활하는 경우 정위 수술 프레임에 부착하여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정위 수술 프레임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편안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정위 수술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개형성시트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베개부 및 제2 베개부가 볼록하게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가 정위 수술 프레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베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정위 수술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개형성시트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베개부 및 제2 베개부가 볼록하게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가 정위 수술 프레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는 도 2에 도시된 전방 프레임 부재(11), 후방 프레임 부재(12) 및 측면 프레임 부재(13)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는 베개고정시트(110), 탈부착부재(120),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30), 베개형성시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개고정시트(110)는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 둘레를 감싸서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개고정시트(11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각 면의 폭 이상의 폭을 갖는 3개의 포켓부(111)가 배열될 수 있고, 상기 3개의 포켓부(111) 중 양측 사이드에 위치하는 2개의 포켓부(111)로부터 연장되는 고정영역(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포켓부(111)는 일측이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개의 포켓부(111)는 단축변 방향에 똑딱 단추(113)가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부재(120)는 상기 베개고정시트(110)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 즉 상기 베개고정시트(110)의 고정영역(112)에 구비되고, 서로 부착되거나 또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베개고정시트(110)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를 감싼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부착부재(120)는 벨크로테이프일 수 있다.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30)는 상기 3개의 포켓부(111) 각각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똑딱 단추(113)를 통해 개폐되는 일측을 통해 각각의 포켓부(11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30)의 폭은 상기 정위 수술 프레임(10)의 각 프레임 부재(11, 12, 13)의 각 면의 폭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3개의 포켓부(111) 내에 수용되어 상기 베개고정시트(110)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에 부착되면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3개의 면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베개형성시트(140)는 충진재가 주입되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1 베개부(141) 및 충진재가 주입되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베개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고정시트(11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베개부(141)는 상기 베개고정시트(110)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 둘레를 감쌀 때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안쪽을 감싸는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베개부(142)는 정위 수술 프레임(10)의 높이 방향으로 놓일 수 있게 상기 제1 베개부(141)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개형성시트(140)는 상기 제1 베개부(141)에 해당하는 영역이 상기 3개의 포켓부(111) 중 어느 하나의 포켓부(111) 일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베개부(142)는 상기 제1 베개부(141)로부터 상기 베개형성시트(140)에 고정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베개부(141)는 3개의 포켓부(111) 중 양측 사이드에 위치하는 2개의 포켓부(111)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베개형성시트(140)는 상기 제1 베개부(141)가 연결되는 면의 반대면이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에 부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베개부(141)가 고정되는 포켓부(111)는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안쪽면을 감싸도록 후방 프레임 부재(12)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개형성시트(140)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합성수지재의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베개부(141) 및 상기 제2 베개부(142)에 충진되는 충진재는 에어(air)일 수 있고, 상기 충진재가 에어인 경우 상기 제1 베개부(141) 및 상기 제2 베개부(142)는 가장 자리가 밀폐된 포켓(141a, 142a) 및 상기 포켓(141a, 142a) 내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개형성시트(140)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베개부(141) 및 상기 제2 베개부(142)에 충진되는 충진재는 솜일 수 있고, 상기 충진재가 솜인 경우 상기 제1 베개부(141) 및 상기 제2 베개부(142)는 가장자리가 밀폐된 포켓 및 상기 포켓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정위 수술 프레임(10)에 본 발명의 베개를 부착하기 위해, 베개고정시트(110)가 상기 정위 수술 프레임(10)의 후방 프레임 부재(12)를 감싸도록 베개고정시트(110)를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에 부착하되 베개형성시트(140)가 부착된 면의 반대면이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를 감싸도록 하여 베개고정시트(110)를 후방 프레임 부재(12)에 부착한다.
즉, 베개고정시트(110)의 3개의 포켓부(111) 중 베개형성시트(140)의 제1 베개부(141)가 고정된 포켓부(111)가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안쪽면, 즉 정위 수술 프레임(10)을 착용한 환자의 머리 후두부에 마주하는 안쪽면을 감싸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베개형성시트(140)의 양측의 탈부착부재(120)를 통해 베개고정시트(110)를 후방 프레임 부재(12)에 고정한다.
이때, 베개고정시트(110)가 고정되면 베개고정시트(110)의 3개의 포켓부(111) 내에 수용된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30)는 3개의 포켓부(111)가 감싸는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각 면에 지지되며, 베개형성시트(140)의 제1 베개부(141)는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안쪽면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환자의 머리의 후두부, 즉 환자의 뒷목에 마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30)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면들에 지지되므로 베개고정시트(110)가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둘레 방향으로 미끄러져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베개고정시트(110)의 부착된 상태가 변동 없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개형성시트(140)가 튜브 형태인 경우, 제1 베개부(141) 및 제2 베개부(142)에 에어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에어가 충진되면 제1 베개부(141) 및 제2 베개부(142)는 볼록하게 형성되어 베개 형상을 이루게 되고, 이때 제1 베개부(141)는 상기 환자의 뒷목을 받칠 수 있고, 제2 베개부(142)는 베개고정시트(110)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정위 수술 프레임(10)의 위쪽으로 배치시키면 상기 환자의 후두부, 즉 뒷통수 부분을 받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개형성시트(140)가 섬유 형태이고 충진재가 솜인 경우, 상기 솜은 제1 베개부(141) 및 제2 베개부(142) 내에 미리 채워진 상태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베개고정시트(110)를 후방 프레임 부재(12)에 부착하면 제1 베개부(141)는 즉시 환자의 뒷목을 받칠 수 있고, 제2 베개부(142)는 환자의 뒷통수 부분을 받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를 이용하면 정위 수술을 위한 환자가 정위 수술 프레임(10)을 장기간 머리에 고정하여 생활하는 경우 정위 수술 프레임(10)에 부착하여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정위 수술 프레임(1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편안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전방 프레임 부재(11), 후방 프레임 부재(12) 및 측면 프레임 부재(13)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사용되기 위한 베개로써,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 둘레를 감싸서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에 부착되는 베개고정시트(110);
    상기 베개고정시트(110)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고, 서로 부착되거나 또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베개고정시트(110)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를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탈부착부재(120);
    충진재가 주입되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1 베개부(141) 및 충진재가 주입되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베개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고정시트(110)의 일면에 연결되는 베개형성시트(140)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고정시트(110)는 상기 베개형성시트(140)가 연결되는 면의 반대면이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 부착되고,
    상기 제1 베개부(141)는 상기 베개고정시트(110)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 둘레를 감쌀 때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안쪽을 감싸는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베개부(142)는 정위 수술 프레임(10)의 높이 방향으로 놓일 수 있게 상기 제1 베개부(141)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고정시트(11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각 면의 폭 이상의 폭을 갖는 3개의 포켓부(111)가 배열되고,
    상기 베개형성시트(140)는 상기 제1 베개부(141)에 해당하는 영역이 상기 3개의 포켓부(111) 중 어느 하나의 포켓부(111)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베개부(142)는 상기 제1 베개부(141)로부터 상기 베개형성시트(140)에 고정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개는 상기 3개의 포켓부(111) 각각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개고정시트(110)가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를 감싸면 상기 3개의 포켓부(111)는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안쪽면, 상기 안쪽면에 평행한 면, 상기 안쪽면 및 상기 평행한 면 사이의 2개의 면 중 하나의 면을 감싸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상기 3개의 포켓부(111)가 감싸는 상기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3개의 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재(120)는 벨크로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형성시트(140)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합성수지재의 튜브 형태이고,
    상기 제1 베개부(141) 및 상기 제2 베개부(142)에 충진되는 충진재는 에어(air)이고,
    상기 충진재가 에어인 경우 상기 제1 베개부(141) 및 상기 제2 베개부(142)는 가장자리가 밀폐된 포켓(141a, 142a) 및 상기 포켓(141a, 142a) 내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구(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용 프레임용 베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형성시트(140)는 섬유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베개부(141) 및 상기 제2 베개부(142)에 충진되는 충진재는 솜이고,
    상기 충진재가 솜인 경우 상기 제1 베개부(141) 및 상기 제2 베개부(142)는 가장자리가 밀폐된 포켓 및 상기 포켓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KR1020210041618A 2021-03-31 2021-03-31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KR102595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18A KR102595940B1 (ko) 2021-03-31 2021-03-31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18A KR102595940B1 (ko) 2021-03-31 2021-03-31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647A true KR20220135647A (ko) 2022-10-07
KR102595940B1 KR102595940B1 (ko) 2023-10-27

Family

ID=8359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618A KR102595940B1 (ko) 2021-03-31 2021-03-31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616B1 (ko) 2022-11-23 2023-03-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변환기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한 높이 가변 교체형 베개 받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8908A1 (en) * 2000-11-06 2002-10-03 Long-Win Wang Adjustable pillow
KR200293896Y1 (ko) * 2002-07-19 2002-11-04 이훈영 휴대용 헤드 레스트
KR20100013064U (ko) * 2009-06-24 2010-12-31 주식회사 그린씨케이 에어 베개를 갖춘 야외용 돗자리
KR102320157B1 (ko) * 2020-07-21 2021-11-01 박해영 목 베개 양압 헤드 쉴드
KR20220051489A (ko) * 2020-10-19 2022-04-26 김은경 베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8908A1 (en) * 2000-11-06 2002-10-03 Long-Win Wang Adjustable pillow
KR200293896Y1 (ko) * 2002-07-19 2002-11-04 이훈영 휴대용 헤드 레스트
KR20100013064U (ko) * 2009-06-24 2010-12-31 주식회사 그린씨케이 에어 베개를 갖춘 야외용 돗자리
KR102320157B1 (ko) * 2020-07-21 2021-11-01 박해영 목 베개 양압 헤드 쉴드
KR20220051489A (ko) * 2020-10-19 2022-04-26 김은경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616B1 (ko) 2022-11-23 2023-03-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변환기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한 높이 가변 교체형 베개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940B1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0191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mmobilization of a human's body part
US9827046B2 (en) Frame for fixation of equipment to the head of a patient during neurological diagnosis, stereotactic imaging, therapy or surgery
US20080272318A1 (en) Radiation attenuating head cover
US20210121066A1 (en) Wearable open and adjustable mri head coil
KR102595940B1 (ko)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US11576630B1 (en) Radiation shielding eye mask
KR200486464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CN109044619B (zh) 一种新生儿眼罩耳罩一体装置
CN109620230B (zh) 磁共振头颈固定装置
CN201814586U (zh) 多功能x线摄影架
US5419342A (en) Adjustable radiation shield assembly for protecting the breast of a patient
WO201612423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mmobilization of a human's body part
CN211187324U (zh) 一种放射科用头部护罩
KR20180052278A (ko) 의료용 부목
CN110664430A (zh) 眼睛甲状腺一体化防辐射服
CN211883835U (zh) 一种婴幼儿ct检查固定装置
JPH06220708A (ja) かつら
US20150083141A1 (en) Hearing protection means for use with a magnetic resonance tomography device and magnetic resonance tomography device with hearing protection means
CN205729362U (zh) 一种开放式磁共振检查床
CN217548061U (zh) 适用于pet/mri设备头颅相关检查的快速定位辅助固定装置
CN110236545B (zh) 一种用于磁共振成像引导聚焦超声诊治脑病的固定装置
CN219229921U (zh) 小儿dr检查护理固定装置
KR20230148488A (ko) 정위 수술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 체결 방법
CN211068799U (zh) 肿瘤放疗头颈保护装置
CN214856848U (zh) 一种ct检查的隔离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