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962A -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962A
KR20220134962A KR1020210040296A KR20210040296A KR20220134962A KR 20220134962 A KR20220134962 A KR 20220134962A KR 1020210040296 A KR1020210040296 A KR 1020210040296A KR 20210040296 A KR20210040296 A KR 20210040296A KR 20220134962 A KR20220134962 A KR 2022013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formation
event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병주
Original Assignee
방병주
주식회사 비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병주, 주식회사 비엔아이 filed Critical 방병주
Priority to KR102021004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962A/ko
Publication of KR2022013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센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 모니터링 유닛의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인식하며,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 및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으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확인하여, 화재경보 또는 소화장치의 동작을 관장하는 진압 콘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System for suppressing fire equipped with function of selectively sensing flame of fire}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모니터링되는 영역에 대하여 자외선, 적외선,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화재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선별적으로 감지하며, 유효한 이벤트 상황에서만 경보와 소화 장치를 콘트롤 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최근 화재 관련 과학기술/연구개발 정책의 초점은 첨단 정보기술을 활용한 대형건물의 화재 진압 및 화재 발생 사전 예방, 감지 등에 두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소방관의 안전과 시민의 안전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여러 방향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글로벌 소방산업은 화재의 능동적 방화 시장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화재의 능동적 방화(Active Fire Protection) 시장은 2021년 기준 전체 소방 산업의 59%를 차지하며 향후에도 능동적 방화 중심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커 이에 대한 국내 사업자들의 투자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글로벌 소방산업은 개발도상국의 도시화 가속화로 인한 소방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향후 개발도상국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클 전망이다.
대한민국의 소방산업은 수출 비중이 낮은 내수 중심이며 소규모 기업 형태이다. 일부 기업에서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대부분은 품질과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비교 열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화재 관련 기술의 경우, 스마트한 화재진압을 위한 연구로의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한 화재 진압 기술에 해당하는 신흥 센서 및 컴퓨팅 기술과 빌딩 제어 시스템, 소방 장비 및 장비의 융합을 통한 사이버-물리적 시스템을 활용함으로 화재로 인한 손실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물리적 시스템은 저 세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보를 중앙에서 처리하고, 결과를 지역적으로 배포하는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소방에 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화재 진압에 대한 연구는 불꽃 감지, 화재 진압 등에 대하여 많이 시도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등록번호 제10-1784755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객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및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부와, 감지된 불꽃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와, 시각적 및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불꽃감지부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거리감지부를 통해 불꽃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에 따라 불꽃이 화재에 의한 불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에 의한 불꽃이면, 출력부를 통해 경고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공개 특허기술문헌으로는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등록번호 제10-2101698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은,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를 포함하고, 조기 화재감지 서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는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된 경우 감지 신호를 조기 화재감지 서버로 전송하며, 적어도 하나의 CCTV는 촬영된 영상을 조기 화재감지 서버로 전송하며, 조기 화재감지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서버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화재 판단부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화재 알림을 전송하는 화재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선행 공개문헌으로는 "화재 감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등록번호 제10-2216961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3에 따르면,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측정 정보와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측정 정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영상 정보로부터 변화 정보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 정보에 따라 촬영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공개된 선행 공개 특허문헌으로서는 "수동형 디텍터 및 능동형 디텍터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등록번호 제10-2164802호, 이하 특허문헌4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4에 따르면, 가시광 영상 및 적외선 영상의 수집과 자외선을 감지하는 수동형 디텍터와 물체를 감지하는 능동형 디텍터를 하나의 감시 카메라에 통합하여, 복수의 감시대상구역에 설치하고, 각 감시 카메라에서 수집한 적외선 영상, 자외선 및 물체를 감지한 결과를 수집한 가시광 영상에 반영한 블렌딩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블렌딩 영상만으로도 감시대상구역에서의 화재발생, 불꽃발생, 새로운 물체의 출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효율적으로 감시할수 있도록 하는 수동형 디텍터 및 능동형 디텍터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공개문헌의 경우, 화재에 대한 감시 및 감시를 통해 확인되는 화재에 대하여 알림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화재에 대한 선별적인 검출과 디텍팅을 통하여 화재에 대한 소화 장치의 콘트롤에 대하여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화재 시 발생된 정보들에 대한 선별적인 정보 저장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10-1784755호 등록번호 제10-2101698호 등록번호 제10-2216961호 등록번호 제10-2164802호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자외선, 적외선, 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불꽃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선별적으로 화재에 대하여 디텍팅(detecting)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선별적으로 디텍팅된 화재에 대응하여, 알람, 소화장치의 제어 및 관리자에게로의 알림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를 빠르게 인식하여 인명 피해 및 화재 진압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셋째, 화재 발생 감지 이전 과거 영상과 자외선, 적외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과거 영상이 중요한 정보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은 소정의 센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 상기 모니터링 유닛의 상기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인식하며,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 및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효 이벤트를 확인하여, 화재경보 또는 소화장치의 동작을 관장하는 진압 콘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자외선 파장을 모니터링하고, 자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하는 자외선 센싱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적외선 파장을 모니터링하고, 적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하는 적외선 센싱부;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을 촬영하고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공간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제공되는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소정의 기간 동안 임시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유효 이벤트의 발생에 대하여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상기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과거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과거 시점에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제1이벤트 정보를 선별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상기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메인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제2저장부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되,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제1이벤트 정보와 상기 메인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미래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소정의 미래 시점에 획득되는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제2이벤트 정보를 상기 메인 이벤트 정보와 함께 상기 제2저장부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상기 진압 콘트롤 유닛은,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상기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소화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신호 제어부; 및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상기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화재 경보의 동작을 제어하는 화재 경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 유닛의 상기 자외선 센싱부, 상기 적외선 센싱부, 상기 공간 센싱부 각각에 제공되는 상기 소정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교차 매칭하여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상기 유효 이벤트를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상시 진압 콘트롤 유닛은,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을 통해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의 매칭을 통해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상기 유효 이벤트임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장치 신호 제어부와 상기 화재 경보 제어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자외선 센싱부, 적외선 센싱부, 공간 센싱부를 통해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상황에 대한 화재 원인을 파악하고 화재임을 선별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선별적으로 감지된 화재에 대하여 알림 및 소화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며, 화재에 대응하여 알림과 소화장치가 동작됨을 통하여 비화재보에 대한 경보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화재 발생 감지 이전 과거 자외선, 적외선, 영상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화재 발생 시점으로부터 과거 시점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중요한 과거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화재 발생 및 화재 발생 이후의 자외선, 적외선, 영상 정보를 저장하여 화재 발생 이후의 정보들의 저장을 통하여 화재 진압 및 대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각 하위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자외선 센싱부, 적외선 센싱부, 공간 센싱부를 통하여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과 공유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이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진압 콘트롤 유닛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이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모니터링 유닛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a) 자외선 파장대 영역에서 화재 발생 시 감지되는 자외선 파장과, (b) 적외선 파장대 영역에서 화재 발생시 감지되는 적외선 파장에 대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의 하위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의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가 구획되고, 제1저장부에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획득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획득된 정보 중 유효 이벤트에 대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가 제2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중 시간에 따라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 유효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제1이벤트 정보, 메인 이벤트 정보, 제2이벤트 정보로 획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제1이벤트 정보, 메인 이벤트 정보, 제2이벤트 정보가 제1저장부, 제2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영상 정보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마다 난수를 부여하고, 난수가 부여된 영상을 랜덤 분할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각 하위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자외선 센싱부, 적외선 센싱부, 공간 센싱부를 통하여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과 공유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이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진압 콘트롤 유닛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이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모니터링 유닛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a) 자외선 파장대 영역에서 화재 발생 시 감지되는 자외선 파장과, (b) 적외선 파장대 영역에서 화재 발생시 감지되는 적외선 파장에 대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의 하위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의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가 구획되고, 제1저장부에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획득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획득된 정보 중 유효 이벤트에 대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가 제2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중 시간에 따라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 유효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제1이벤트 정보, 메인 이벤트 정보, 제2이벤트 정보로 획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제1이벤트 정보, 메인 이벤트 정보, 제2이벤트 정보가 제1저장부, 제2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영상 정보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마다 난수를 부여하고, 난수가 부여된 영상을 랜덤 분할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유닛(100),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 진압 콘트롤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100)의 경우, 소정의 센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공간(MS)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소정의 센서의 경우, 화재를 확인하고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에 해당하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미리 설정된 공간(MS)의 경우, 소정의 센서가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모니터링 유닛(100)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화재를 감지하는 공간에 해당한다.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의 경우, 모니터링 유닛(100)의 소정의 센서를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인식하며,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소정의 화재 이벤트의 경우, 불꽃 또는 연기가 발생되는 모든 상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화재로의 발전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화재로의 가능성이 적은 용접, 성냥 불꽃, 작은 스파크 등과 같은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유효 이벤트의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로 진행되어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재가 직접적으로 발생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화재의 경우, 자연발화 또는 인화에 의한 발화로 발생될 수 있는데, 자연발화의 경우,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발화에 해당하는 것으로 열의 축적이 열원의 중심에서 발생하고 온도도 중심부가 최대가 되며 발생된다.
아울러, 인화에 의한 발화의 경우, 에너지의 조건을 충족하는 착화원의 존재가 필수적이며, 화염전파의 과정을 거치며 계속적으로 연소됨을 통하여 화재가 진행된다.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의 경우, 유효 이벤트에 해당하는 자연발화 및 인화로 인한 발화를 모두 선별하는 것으로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화재에 대한 발생을 분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압 콘트롤 유닛(300)의 경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으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확인하여, 화재경보 또는 소화장치의 동작을 관장할 수 있다.
진압 콘트롤 유닛(300)에서 동작을 관장하는 화재경보의 경우, 경고음, 불빛, 진동 등으로 화재 발생 사실 통보함을 통하여 인명 피해 및 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화재 사실을 알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압 콘트롤 유닛(300)에서 동작을 관장하는 소화장치의 경우, 유효 이벤트임이 확인되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스프링 클러, 가스식 자동 소화장치, 방화벽등에 해당될 수 있다.
진압 콘트롤 유닛(300)의 경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으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확인하여 화재 확산 예방 및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진압 콘트롤 유닛(300)은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에서 화재에 해당하는 유효 이벤트가 확인되면, 화재의 진압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화재 진압에 대한 대응 및 대처에 대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100)의 경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센싱부(110), 적외선 센싱부(120), 공간 센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센싱부(110)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MS)의 자외선 파장을 모니터링하고, 자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파장대는 10에서 400 나노미터의 파장 영역을 가지는데, 화재 시 검출되는 파장대는 185~260 나노미터의 자외선 파장 영역에서 최대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에 따라, 자외선 센싱부(110)를 통하여 센싱 되는 자외선 파장의 경우, 185 나노미터에서 260 나노미터에 해당되는 파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검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외선 센싱부(120)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MS)의 적외선 파장을 모니터링 하고, 적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외선 파장대는 750 나노미터 이상에 해당되는 파장 영역을 가지는데, 화재 시 검출되는 파장대는 4. 3마이크로미터의 적외선 영역에서 최대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에 따라, 적외선 센싱부(120)를 통하여 센싱 되는 적외선 파장의 경우, 4.3 마이크로미터에 해당되는 파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검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간 센싱부(130)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MS)을 촬영하고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공간 센싱부(130)는 공간을 촬영하고, 촬영되는 공간에서 연기, 불꽃 등에 대한 센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기, 불꽃 등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공간(MS)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MS)에서 제공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 유닛(400)의 경우, 모니터링 유닛(100)을 통하여 획득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저장되는 것으로, 정보들의 저장을 통하여 화재 조사 등의 정보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 사례로부터 화재의 위험에 대한 고찰 및 연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저장 유닛(400)은 소정의 화재 이벤트와 유효 이벤트에 대한 모든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선별적으로 유효 이벤트에 대하여 별도의 공간을 할당하여 저장함을 통하여 정보의 임시 저장 및 영구 저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저장 유닛(400)의 경우, 저장 공간 구획부(410), 저장 정보 관리부(420), 정보 어사인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공간 구획부(410)의 경우, 정보 저장 유닛(400)의 공간을 할당하는 것으로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과 유효 이벤트의 정보들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 구획부(410)의 경우, 정보 저장 유닛(400)에서 저장되는 정보들의 공간을 할당하는 정보들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의 정보들에 대하여 저장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 정보 관리부(420)의 경우, 단기 저장 및 장기 저장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단기 저장에 대한 정보의 경우, 임시 저장되어짐과 함께 소정의 기간이 지난 정보들에 대하여서는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저장 정보 관리부(420)를 통하여 정보의 저장 및 삭제가 관리되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 정보 관리부(420)의 경우, 정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저장 공간 구획부(410)를 통하여 구획되는 공간들에 저장 정보 관리부(420)의 정보 관리를 통하여 정보들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정보 어사인(assign)부(430)의 경우, 정보들에 대하여 유효 이벤트 시점에 획득된 정보에 해당하는지, 화재와 관계없는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저장 공간 구획부(410)가 구획한 공간 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 유닛(400)의 정보 어사인부(430)의 경우,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들의 저장을 통하여 모든 정보들의 데이터를 수집함으로 유효 이벤트 발생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데이터 추출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40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부(401), 제2저장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부(401)와 제2저장부(402)는 획득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저장부(401)와 제2저장부(402)는 저장 공간 구획부(410)를 통하여 공간이 구획되어질 수 있다.
제1 저장부(401)의 경우, 모니터링 유닛(100)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소정의 기간 동안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401)에 저장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MS)에서 획득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저장하는데, 저장되는 정보들의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해당되는 정보들이 저장되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해당되는 정보들이 아닌 일반적으로 획득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서도 제1저장부(401)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제1저장부(401)에 저장되는 정보는, 미리 설정된 공간(MS)에서 획득되는 모든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제1저장부(401)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임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시 저장이라 함은, 소정의 기간에 해당되는 기간 내에서 저장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정보들의 삭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저장부(401)에 저장된 정보들이 유효 이벤트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저장된 정보들이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삭제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기간은 관리자의 설정에 의하여 기간이 설정되어질 수 있으며, 컴퓨터 상에서 저장 공간을 지정하여 저장 공간의 일정 공백 여부에 따라서 설정되어질 수도 있다.
제2저장부(402)의 경우,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 획득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가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제2저장부(402)에 저장되는 정보는, 유효 이벤트 발생 사실이 확인되면, 제2저장부(402)에 선택적으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유효 이벤트 발생 시 발생한 정보 및 유효 이벤트 발생 전후의 소정의 기간에 대하여 획득된 정보들도 동시에 제2저장부(402)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저장부(401)와 제2저장부(402)에 저장되는 정보의 경우, 정보 어사인부(430)를 통하여 유효 이벤트에서 발생된 정보인지의 확인을 통하여 제1저장부(401)와 제2저장부(402)에 선별적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4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공간(MS)에서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과거 시점을 설정하고, 소정의 과거 시점에 제1저장부(401)에 저장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한 제1이벤트 정보를 선별적으로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저장부(401)는 미리 설정된 공간(MS)에서 획득되는 모든 정보들에 대하여 저장되는 것으로 제1저장부(401)에 저장된 정보 중에는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간 전에 획득되고 저장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간 전이라 함은, 유효 이벤트가 발생됨이 확인된 시점으로부터 관리자에 의하여 혹은 컴퓨터의 설정에 의하여 설정된 기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10분, 20분, 30분, 1시간 전과 같은 시간으로 기간이 설정되어질 수 있다.
제1이벤트 정보의 선별적 추출의 경우, 정보 어사인부(430)를 통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간 전에 해당되는 정보에 대한 제1저장부(401)에 저장된 정보들에 대하여 정보 저장 유닛(400) 중 정보 어사인부(430)는 소정의 기간에 속하는 정보들을 선별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400)은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공간(MS)에서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한 메인 이벤트 정보를 제2저장부(402)에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 유닛(400)은 제1이벤트 정보와 메인 이벤트 정보를 제2저장부(40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벤트 정보와 메인 이벤트 정보가 제1 저장부(401)에 저장되어야 하는지, 제2저장부(402)에 저장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정보 저장 유닛(400)의 정보 어사인부(430)를 통하여 저장되어야 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각각 개별적으로 분별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에서 유효 이벤트가 발생된 것이 확인되면,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정보들,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 제2저장부(402)에 개별적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효 이벤트 발생 시 발생되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메인 이벤트를 제2 저장부(40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 이벤트에 발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들이 제1저장부(401)에 저장되어짐과 동시에 제2저장부(402)에 저장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벤트의 경우, 제2저장부(402)에 바로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저장부(402)에 저장되는 정보의 경우, 메인 이벤트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의 저장과 동시에 제1이벤트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들에 대하여서도 함께 제2저장부(402)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400)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미래 시점을 설정하여, 소정의 미래 시점에 획득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한 제2이벤트 정보를 메인 이벤트 정보와 함께 제2저장부(402)에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이벤트에 따라, 제2저장부(402)에 각각의 할당된 공간에 유효 이벤트에 대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402a, 402b와 같은 각각의 공간에 각각 저장하여, 유효 이벤트에 따른 정보가 빠르게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미래 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데, 미래 시점은 유효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으로부터 미래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재 진압 이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소정의 미래 시점이라 함은, 미래의 시점이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되어질 수도 있으며, 컴퓨터 상에서 제공되는 기간에 해당될 수도 있다.
예컨대, 소정의 미래 시점의 경우, 유효 이벤트 발생 이후 10분 후, 30분 후, 1시간 후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제1이벤트 정보가 획득되는 기간에 해당되는 소정의 과거 시점과 제2이벤트 정보가 획득되는 기간에 해당되는 소정의 미래 시점의 경우,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그 설정되는 기간이 동일하게 설정되어질 수도 있으며, 관리자에 의하여 제1이벤트 정보 획득 기간이 혹은 제2이벤트 정보 획득 기간 중 하나의 기간이 더 길게 설정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진압 콘트롤 유닛(300)은, 장치 신호 제어부(310), 화재 경보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신호 제어부(310)의 경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공간(MS)에서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소화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경보 제어부(320)의 경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공간(MS)에서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화재 경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신호 제어부(310)를 통해 제어되는 소화장치의 경우, 물 또는 그 밖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 기구 또는 설비에 해당하며, 장치 신호 제어부(310)를 통하여 즉시 소화활동 및 소화활동을 돕는 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소화장치의 경우, 예컨대, 가스 자동 소화장치, 분말 자동 소화 장치, 물 분무 소화 장치에 해당하는 스프링 클러 등, 가스를 통한 소화 장치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 소화 설비 등, 방화문에 대한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경보 제어부(320)는 화재 경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화재 경보의 경우,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기계, 기구 또는 설비에 해당할 수 있다.
화재 경보의 경우, 예컨대, 비상 경보 설비에 해당하는 비상벨, 사이렌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시각 경보기, 비상 방송 설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화재 경보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MS)에서 유효 이벤트 즉, 화재가 발생되었음이 확인되면, 관리자의 모니터에 "불꽃이 감지되었습니다."와 같은 문구가 모니터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화재 발생을 빠르게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은, 모니터링 유닛(100)의 자외선 센싱부(110), 적외선 센싱부(120), 공간 센싱부(130) 각각에 제공되는 소정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교차 매칭함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분별할 수 있다.
화재 시 검출되는 적외선과 자외선 파장대는 185~260 나노미터의 자외선 파장 영역과 4.3 마이크로미터의 적외선 영역에서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화재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마찰, 단열 압축, 자연발화, 전기불꽃, 열선, 광선 등이 발화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과 연기, 불꽃(flame), 연소가스 연소음을 감지하여 화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가연성 액체 및 기체의 불꽃에서 방사되는 복사 에너지를 검출하는 열과 연기를 감지하는 방식을 통하여 화재를 인식할 수 있다.
화재의 경우, 다양한 상황을 통하여 발생되며, 예컨대, 마찰이 화원에 해당하는 경우, 연기가 먼저 발생되어질 수 있으며, 전기 불꽃이 화원에 해당하는 경우, 국부적으로 불꽃이 발생되어질 수 있으며, 가스가 화원에 해당되는 경우, 열 방출 등을 통하여 초기에 대한 상황이 센싱되어질 수 있다.
다양한 화원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되기에, 모니터링 유닛(100)에서 모니터링되는 자외선 센싱부(110), 적외선 센싱부(120), 영상 센싱부(130)에서 획득되는 정보들을 각각 매칭하여, 화재임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센싱부(110)와 적외선 센싱부(120) 및 영상 센싱부(130)에서 획득되는 정보들의 종합적인 매칭, 예컨대, 자외선 파장대는 185~260에서의 에너지 방출 여부와 4.3마이크로미터의 적외선 영역에서의 에너지 방출 여부와 함께, 영상 센싱부(130)에서 연기 혹은 불꽃이 확인되는지의 여부를 교차 적으로 매칭하여 확인함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임이 분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의 진압 콘트롤 유닛(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을 통해 획득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의 매칭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임이 확인되는 경우, 장치 신호 제어부(310)와 화재경보 제어부(320)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압 콘트롤 유닛(300)은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을 통해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의 매칭과 유효 이벤트의 확인을 통하여 장치 신호 제어부(310)와 화재 경보 제어부(320)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의 정보 매칭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가 아님이 확인되면, 신호 제어부(310)와 화재 경보 제어부(320)는 동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이벤트가 아님이 확인되는 경우, 모니터링 유닛(100)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공간(MS)에 대하여 지속적인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점 정보의 선택적 어사인 기능을 구비한 선별적 알림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400)은, 유효 이벤트 발생 과거시점부터 미래시점까지 저장된 영상 정보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마다 연속되는 난수를 부여하고, 난수가 부여된 영상 정보를 랜덤으로 분할하여 정보 저장 유닛의 독립된 공간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저장 유닛(400)은 모니터링 유닛(100)을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 정보에 대하여 랜덤 숫자 즉 난수를 부여하는데, 예컨대, 1초에 한 번씩 영상 정보에 난수를 부여하는데 소정의 시간에 대하여서는 연속되는 난수를 부여하여 영상 정보를 정보 저장 유닛(400)에 저장할 수 있다.
난수가 부여된 영상 정보는 정보 저장 유닛(400)의 독립된 공간에 랜덤으로 분할되어 저장되어질 수 있는데, 독립된 공간은 정보 저장 유닛(400)에 물리적으로 구획된 별도의 섹터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난수가 부여된 영상 정보는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지 않고, 복수 개의 파일로 분산된 후 물리적으로 분할된 공간에 개별 저장하게 하는데, 이렇게 분할된 공간에 개별 저장된 영상 정보는 연속되는 난수에 대하여 결합되어 짐을 통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재결합되어질 수 있다.
영상 정보를 복수 개의 파일로 분산하고 물리적으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것은 외부에서 부분적인 영상에 대한 삭제, 위조, 변경에 대하여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점 정보의 선택적 어사인 기능을 구비한 선별적 알림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저장 유닛(400)은, 소정의 시간마다 부여된 연속되는 난수에 따라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연속되는 난수의 공백을 검열하여 영상 정보의 부분 삭제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분할 저장되어 관리되는 정보들은 특정 시간대에 연속적인 난수를 매개로 하여 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전산적으로 침입하는 해커 등은 난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지 않는 한 영상에 대한 정보 재조합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속되는 난수에 대하여 재결합하여 영상 정보가 조합하는 경우, 연속되는 난수의 공백을 검열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영상 정보가 부분적으로 삭제된 경우, 연속되는 난수의 공백 검열을 통하여 삭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보 저장 유닛(400)에 제2저장부(402)에 저장된 유효 이벤트에 대한 정보 중 영상 정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삭제됨이 확인되면, 정보 저장 유닛(400)의 독립적인 공간에 저장된 난수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확인하고, 영상 정보 중 연속되는 난수의 공백을 확인하여, 부분적으로 삭제된 영상 정보에 해당되는 부분이 확인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저장된 영상 정보를 통하여 제2저장부(402)에서 삭제된 영상의 복구 혹은 회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MS: 미리 설정된 공간(monitoring space) 100: 모니터링 유닛
110: 자외선 센싱부 120: 적외선 센싱부
130: 공간 센싱부 200: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
300: 진압 콘트롤 유닛 310: 장치 신호 제어부
320: 화재 경보 제어부 400: 정보 저장 유닛
401: 제1저장부 402: 제2저장부
410: 저장 공간 구획부 420: 저장 정보 관리부
430: 정보 어사인부

Claims (10)

  1. 소정의 센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
    상기 모니터링 유닛의 상기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인식하며,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 및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효 이벤트를 확인하여, 화재경보 또는 소화장치의 동작을 관장하는 진압 콘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자외선 파장을 모니터링하고, 자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하는 자외선 센싱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적외선 파장을 모니터링하고, 적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하는 적외선 센싱부;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을 촬영하고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공간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제공되는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소정의 기간 동안 임시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유효 이벤트의 발생에 대하여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상기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과거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과거 시점에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제1이벤트 정보를 선별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상기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메인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제2저장부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되,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제1이벤트 정보와 상기 메인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유닛은,
    상기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미래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소정의 미래 시점에 획득되는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제2이벤트 정보를 상기 메인 이벤트 정보와 함께 상기 제2저장부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압 콘트롤 유닛은,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상기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소화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신호 제어부; 및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상기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화재 경보의 동작을 제어하는 화재 경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 유닛의 상기 자외선 센싱부, 상기 적외선 센싱부, 상기 공간 센싱부 각각에 제공되는 상기 소정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교차 매칭하여 상기 화재 이벤트로부터 상기 유효 이벤트를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압 콘트롤 유닛은,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에서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의 매칭을 통해 상기 화재 이벤트가 상기 유효 이벤트임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장치 신호 제어부와 상기 화재 경보 제어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0210040296A 2021-03-29 2021-03-29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KR20220134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296A KR20220134962A (ko) 2021-03-29 2021-03-29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296A KR20220134962A (ko) 2021-03-29 2021-03-29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962A true KR20220134962A (ko) 2022-10-06

Family

ID=8359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296A KR20220134962A (ko) 2021-03-29 2021-03-29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496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755B1 (ko) 2016-12-26 2017-10-1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01698B1 (ko) 2018-07-12 2020-04-17 주식회사동우유니온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164802B1 (ko) 2019-08-13 2020-10-13 이세홍 수동형 디텍터 및 능동형 디텍터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102216961B1 (ko) 2020-03-26 2021-02-19 주식회사 인콘 화재 감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755B1 (ko) 2016-12-26 2017-10-1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01698B1 (ko) 2018-07-12 2020-04-17 주식회사동우유니온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164802B1 (ko) 2019-08-13 2020-10-13 이세홍 수동형 디텍터 및 능동형 디텍터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102216961B1 (ko) 2020-03-26 2021-02-19 주식회사 인콘 화재 감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102101698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03150856B (zh) 火灾火焰视频监测预警系统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17201316A (ja) マルチモード検出
KR102277968B1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426331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519560B (zh) 一种智能预警方法、装置及系统
KR101640152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20220131606A (ko)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5884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20210051376A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EP1233386B1 (en) Improvements to fire detection sensors
KR102585768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9516A (ko) 구조 대상 파악 시스템 및 방법
CN114501324A (zh) 一种火灾逃生指引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储存介质
KR20070115412A (ko) 촬영 영상을 이용한 화재 자동 경보 시스템 및 그에 의한화재감시방법
KR20220134962A (ko)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WO202025615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34963A (ko) 시점 정보의 선택적 어사인 기능을 구비한 선별적 알림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30275B1 (ko) 다중카메라 화재감지기
JP6845722B2 (ja) 火災対応支援装置、火災対応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82800B (zh) 一种基于多维度数据联动的消防预警方法及系统
KR102507540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통합 화재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