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606A -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606A
KR20220131606A KR1020210036417A KR20210036417A KR20220131606A KR 20220131606 A KR20220131606 A KR 20220131606A KR 1020210036417 A KR1020210036417 A KR 1020210036417A KR 20210036417 A KR20210036417 A KR 20210036417A KR 20220131606 A KR20220131606 A KR 2022013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re
predetermined
event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병주
Original Assignee
방병주
주식회사 비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병주, 주식회사 비엔아이 filed Critical 방병주
Priority to KR102021003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606A/ko
Publication of KR2022013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센서를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소정의 센서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는 모니터링 유닛; 모니터링 유닛의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인식하며,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 및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획득되는 소정의 화재 이벤트와 유효 이벤트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선별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selectively sensing flame of fire based on real information}
본 발명은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모니터링되는 영역에 대하여, 자외선, 적외선,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화재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선별적으로 감지하는데, 감지하는 과정에서 복합 센서의 교차적 매칭을 통하여 화재에 대한 판별의 정확성을 높여 화재에 대한 선택적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최근 화재 관련 과학기술/연구개발 정책의 초점은 첨단 정보기술을 활용한 대형건물의 화재 진압 및 화재 발생 사전 예방, 감지 등에 두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소방관의 안전과 시민의 안전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여러 방향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글로벌 소방산업은 화재의 능동적 방화 시장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화재의 능동적 방화(Active Fire Protection) 시장은 2021년 기준 전체 소방 산업의 59%를 차지하며 향후에도 능동적 방화 중심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커 이에 대한 국내 사업자들의 투자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글로벌 소방산업은 개발도상국의 도시화 가속화로 인한 소방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향후 개발도상국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클 전망이다.
대한민국의 소방산업은 수출 비중이 낮은 내수 중심이며 소규모 기업 형태이다. 일부 기업에서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대부분은 품질과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비교 열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화재 관련 기술의 경우, 스마트한 화재진압을 위한 연구로의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한 화재 진압 기술에 해당하는 신흥 센서 및 컴퓨팅 기술과 빌딩 제어 시스템, 소방 장비 및 장비의 융합을 통한 사이버-물리적 시스템을 활용함으로 화재로 인한 손실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물리적 시스템은 저 세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보를 중앙에서 처리하고, 결과를 지역적으로 배포하는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소방에 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화재 진압에 대한 연구는 불꽃 감지, 화재 진압 등에 대하여 많이 시도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등록번호 제10-1784755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객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및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부와, 감지된 불꽃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와, 시각적 및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불꽃감지부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거리감지부를 통해 불꽃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에 따라 불꽃이 화재에 의한 불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에 의한 불꽃이면, 출력부를 통해 경고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복합센서를 활용하여 화재와 비화재를 감지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경보의 작동을 방지하는 공개 특허기술문헌으로는 "복합센서 모듈의 불꽃 감지장치(등록번호 제10-2022404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복합센서 모듈의 불꽃 감지장치는 도플러의 특성을 이용한 센서와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용접, 전열기 등의 비화재 요소와 사람 등의 이동체를 감지하여 사람이나 비화재 요소로 인한 화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도플러센서와 다양한 파장대의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불꽃 감지기에 사람이 접근했을 때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고, 난방기기 등의 비화재 요소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오동작 정보를 방재 시스템에 전달하는 위험성을 방지함으로써 불꽃 감지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화재 현장에 미대피한 사람의 감지 정보를 활용하여 인명 구조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선행 공개문헌으로는 "자외선 센서를 구비한 3파장식 적외선 불꽃 감지기(등록번호 제10-1604571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자외선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여 불꽃 감지기의 오경보를 감소시킨 3파장 적외선 불꽃 감지기에 관한것이다.
특허문헌 3의 경우, 불꽃 감지를 위한 복수의 적외선 센서와 자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를 판단하는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불꽃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중앙 처리 유닛은,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부; 입력된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불꽃 감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화재 판별 알고리즘과 감도조절 알고리즘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중앙 처리 유닛은 복수의 적외선 센서로부터 입력된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1차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1차 화재 여부의 판단 결과가 화재인 것으로 판단되면 자외선 센서로부터의 입력된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2차 화재 여부를 더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들의 공개문헌의 경우, 화재에 대한 감시와 복합적인 센서를 활용하여 화재에 대한 선별적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선별적인 검출과정에서의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10-1784755호 등록번호 제10-2022404호 등록번호 제10-1604571호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이벤트 발생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분석하고 판별하여 화재에 대한 경보와 화재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이벤트 중 화재와 비화재에 대하여 명확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정보들을 교차 분석하고 교차 분석된 정보의 판별을 통하여 화재에 대한 비화재보의 문제점에 대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셋째, 화재 시 발생된 정보의 저장을 통하여 화재에 대한 규명 및 화재 진압 과정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정의 센서를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소정의 센서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는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 상기 모니터링 유닛의 상기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인식하며,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 및 상기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획득되는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와 상기 유효 이벤트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선별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data storage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자외선 파장을 모니터링하고, 자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하는 자외선 센싱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적외선 파장을 모니터링하고, 적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하는 적외선 센싱부;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을 촬영하고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공간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로부터 분석한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상기 유효 이벤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선별적으로 판별하는 화재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정보 분석부는, i)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선택적 교차 매칭하여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며, ii)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의 교차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정보에 대한 획득 시간에 따른 정보 변화 여부에 대한 소정의 변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취득하여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상기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 중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파장의 에너지 상승정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상기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 중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파장의 유지정도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상기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가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임의의 패턴인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파장대의 시간대별 추이가 소정의 에너지 상승정도와 소정의 유지정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상기 파장대별 추이를 교차 매칭하여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분석하되, 상기 화재 판별부는, 상기 정보 분석부를 통해 교차 매칭된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의 상기 소정의 정보가 상기 유효 이벤트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그레이 레벨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상기 그레이 레벨의 소정의 패턴 변화와 상기 그레이 레벨의 이상 진행 정도를 파악하도록 하며,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추이에 대한 정보와 상기 그레이 레벨의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은, 상기 소정의 정보로부터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상기 유효 이벤트임이 확인되면, 화재경보 또는 소화장치의 동작이 제어되어 화재가 진압되도록 상기 화재경보와 상기 소화장치의 동작 제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모니터링되는 공간에서 센서로부터 자외선, 적외선,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판별함을 통하여 화재에 대한 분석과 판별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자외선, 적외선, 영상 정보의 교차 매칭과 시간에 따른 정보 분석을 통하여 비화재에 대한 비화재보의 오류를 감소시키며, 화재 시만 화재경보와 소화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셋째, 화재 발생 감지 이전 과거 자외선, 적외선, 영상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화재 발생 시점으로부터 과거 시점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중요한 과거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화재 발생 및 화재 발생 이후의 자외선, 적외선, 영상 정보를 저장하여 화재 발생 이후의 정보들의 저장을 통하여 화재 진압 및 대처에 대한 정보와 미래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에 포함된 각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각 센서를 통하여 각각의 정보를 획득하고 정보가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으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과 하위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획득한 각각의 정보가 정보 분석부, 화재 판별부에 제공되어 분석되고 판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를 통해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의 파장의 에너지 상승 정도가 모니터링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를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발생되는 특정 파장대의 에너지 상승 정보가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따라 상이하게 모니터링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를 통하여 (a)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서 발생되는 임의의 에너지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b) 유효 이벤트에 대한 임의의 에너지 상승 정도와 에너지의 수평 위치 정도가 모니터링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공간 센싱부에서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통하여 영상 정보에 대한 그레이 레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유효 이벤트 임이 판별되면, 화재경보와 소화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이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로 할당되고 소정의 화재 이벤트와 유효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각각의 공간에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1이벤트 정보, 메인 이벤트 정보, 제2이벤트 정보가 제1저장부, 제2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에 포함된 각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각 센서를 통하여 각각의 정보를 획득하고 정보가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으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과 하위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획득한 각각의 정보가 정보 분석부, 화재 판별부에 제공되어 분석되고 판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를 통해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의 파장의 에너지 상승 정도가 모니터링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를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발생되는 특정 파장대의 에너지 상승 정보가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따라 상이하게 모니터링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를 통하여 (a)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서 발생되는 임의의 에너지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b) 유효 이벤트에 대한 임의의 에너지 상승 정도와 에너지의 수평 위치 정도가 모니터링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공간 센싱부에서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통하여 영상 정보에 대한 그레이 레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유효 이벤트 임이 판별되면, 화재경보와 소화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이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로 할당되고 소정의 화재 이벤트와 유효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각각의 공간에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1이벤트 정보, 메인 이벤트 정보, 제2이벤트 정보가 제1저장부, 제2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유닛(100),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100)의 경우, 소정의 센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공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소정의 센서의 경우, 화재를 확인하고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에 해당하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미리 설정된 공간의 경우, 소정의 센서가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모니터링 유닛(100)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화재를 감지하는 공간에 해당한다.
화재 애널라이징(analizing) 유닛(200)의 경우, 모니터링 유닛(100)의 소정의 센서를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인식하며,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소정의 화재 이벤트의 경우, 불꽃 또는 연기가 발생되는 모든 상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화재로의 발전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화재로의 가능성이 적은 용접, 성냥 불꽃, 작은 스파크 등과 같은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유효 이벤트의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로 진행되어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재가 직접적으로 발생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화재의 경우, 자연발화 또는 인화에 의한 발화로 발생될 수 있는데, 자연발화의 경우,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발화에 해당하는 것으로 열의 축적이 열원의 중심에서 발생하고 온도도 중심부가 최대가 되며 발생된다.
아울러, 인화에 의한 발화의 경우, 에너지의 조건을 충족하는 착화원의 존재가 필수적이며, 화염전파의 과정을 거치며 계속적으로 연소됨을 통하여 화재가 진행된다.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의 경우, 유효 이벤트에 해당하는 자연발화 및 인화로 인한 발화를 모두 선별하는 것으로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화재에 대한 발생을 분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의 소정의 센서는 자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에 해당될 수 있으며,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에 대하여 화재를 감별하는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이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것은 센서들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화재에 해당하는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이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의 경우, 모니터링 유닛(100)을 통해 획득되는 소정의 화재 이벤트와 유효 이벤트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선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선별적으로 저장이라 함은, 유효 이벤트와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별도의 공간과 별도의 관리를 통하여 저장되어짐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은 모니터링 유닛(100)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저장되는 것으로, 정보들의 저장을 통하여 화재 조사 등의 정보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저장된 화재에 대한 정보들은 화재 이후 화재 사료로부터 화재의 위험에 대한 고찰 및 연구 등에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은 소정의 화재 이벤트와 유효 이벤트에 대한 모든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선별적으로 유효 이벤트에 대하여 별도의 공간을 할당하여 저장함을 통하여 정보의 임시 저장 및 영구 저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의 경우, 공간 할당부(310), 정보 관리부(320), 정보 어사인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할당부(310)의 경우,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 (300)의 공간을 할당하는 것으로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과 유효 이벤트의 정보들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공간 할당부(310)의 경우,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에서 저장되는 정보들의 공간을 할당하는 정보들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의 정보들에 대하여 저장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관리부(320)의 경우, 단기 저장 및 장기 저장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단기 저장에 대한 정보의 경우, 임시 저장되어짐과 함께 소정의 기간이 지난 정보들에 대하여서는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정보 관리부(320)를 통하여 정보의 저장 및 삭제가 관리되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보 관리부(320)의 경우, 정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간 할당부(310)를 통하여 구획되는 공간들에 정보 관리부(320)의 정보 관리를 통하여 정보들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정보 어사인(assign)부(330)의 경우, 정보들에 대하여 유효 이벤트 시점에 획득된 정보에 해당하는지, 화재와 관계없는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공간 할당부(310)가 구획한 공간 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의 정보 어사인부(330)의 경우,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들의 저장을 통하여 모든 정보들의 데이터를 수집함으로 유효 이벤트 발생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데이터 추출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부(301), 제2저장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부(301)와 제2저장부(302)는 획득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저장부(301)와 제2저장부(302)는 공간 할당부(310)를 통하여 공간이 구획되어질 수 있다.
제1 저장부(301)의 경우, 모니터링 유닛(100)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소정의 기간 동안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1저장부(301)에 저장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획득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저장하는데, 저장되는 정보들의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해당되는 정보들이 저장되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해당되는 정보들이 아닌 일반적으로 획득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서도 제1저장부(301)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제1저장부(301)에 저장되는 정보는,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획득되는 모든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제1저장부(301)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임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시 저장이라 함은, 소정의 기간에 해당되는 기간 내에서 저장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정보들의 삭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저장부(301)에 저장된 정보들이 유효 이벤트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저장된 정보들이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삭제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기간은 관리자의 설정에 의하여 기간이 설정되어질 수 있으며, 컴퓨터 상에서 저장 공간을 지정하여 저장 공간의 일정 공백 여부에 따라서 설정되어질 수도 있다.
제2저장부(302)의 경우,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 획득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가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2)에 저장되는 정보는, 유효 이벤트 발생 사실이 확인되면, 제2저장부(302)에 선택적으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유효 이벤트 발생 시 발생한 정보 및 유효 이벤트 발생 전후의 소정의 기간에 대하여 획득된 정보들도 동시에 제2저장부(302)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저장부(301)와 제2저장부(302)에 저장되는 정보의 경우, 정보 어사인부(330)를 통하여 유효 이벤트에서 발생된 정보인지의 확인을 통하여 제1저장부(301)와 제2저장부(302)에 선별적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과거 시점을 설정하고, 소정의 과거 시점에 제1저장부(301)에 저장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한 제1이벤트 정보를 선별적으로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저장부(301)는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획득되는 모든 정보들에 대하여 저장되는 것으로 제1저장부(301)에 저장된 정보 중에는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간 전에 획득되고 저장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간 전이라 함은, 유효 이벤트가 발생됨이 확인된 시점으로부터 관리자에 의하여 혹은 컴퓨터의 설정에 의하여 설정된 기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10분, 20분, 30분, 1시간 전과 같은 시간으로 기간이 설정되어질 수 있다.
제1이벤트 정보의 선별적 추출의 경우, 정보 어사인부(330)를 통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간 전에 해당되는 정보에 대한 제1저장부(301)에 저장된 정보들에 대하여 정보 저장 유닛(300) 중 정보 어사인부(330)는 소정의 기간에 속하는 정보들을 선별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은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공간에서 유효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한 메인 이벤트 정보를 제2저장부(302)에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은 제1이벤트 정보와 메인 이벤트 정보를 제2저장부(30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벤트 정보와 메인 이벤트 정보가 제1 저장부(301)에 저장되어야 하는지, 제2저장부(302)에 저장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의 정보 어사인부(330)를 통하여 저장되어야 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각각 개별적으로 분별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에서 유효 이벤트가 발생된 것이 확인되면,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정보들,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 제2저장부(302)에 개별적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효 이벤트 발생 시 발생되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메인 이벤트를 제2 저장부(30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 이벤트에 발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들이 제1저장부(301)에 저장되어짐과 동시에 제2저장부(302)에 저장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벤트의 경우, 제2 저장부(302)에 바로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저장부(302)에 저장되는 정보의 경우, 메인 이벤트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의 저장과 동시에 제1이벤트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들에 대하여서도 함께 제2저장부(302)에 저장되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미리 시점을 설정하여, 소정의 미리 시점에 획득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한 제2이벤트 정보를 메인 이벤트 정보와 함께 제2저장부(302)에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이벤트에 따라, 제2저장부(302)에 각각의 할당된 공간에 유효 이벤트에 대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302a, 302b와 같은 각각의 공간에 각각 저장하여, 유효 이벤트에 따른 정보가 빠르게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미래 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데, 미래 시점은 유효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으로부터 미래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재 진압 이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소정의 미래 시점이라 함은, 미래의 시점이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되어질 수도 있으며, 컴퓨터 상에서 제공되는 기간에 해당될 수도 있다.
예컨대, 소정의 미래 시점의 경우, 유효 이벤트 발생 이후 10분 후, 30분 후, 1시간 후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제1이벤트 정보가 획득되는 기간에 해당되는 소정의 과거 시점과 제2이벤트 정보가 획득되는 기간에 해당되는 소정의 미래 시점의 경우, 유효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그 설정되는 기간이 동일하게 설정되어질 수도 있으며, 관리자에 의하여 제1이벤트 정보 획득 기간이 혹은 제2이벤트 정보 획득 기간 중 하나의 기간이 더 길게 설정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100)의 경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센싱부(110), 적외선 센싱부(120), 공간 센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센싱부(110)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자외선 파장을 모니터링 하고, 자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외선 파장대는 10에서 400 나노미터의 파장 영역을 가지는데, 화재 시 검출되는 파장대는 185~260 나노미터의 자외선 파장 영역에서 최대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에 따라, 자외선 센싱부(110)를 통하여 센싱되는 자외선 파장의 경우, 185 나노미터에서 260 나노미터에 해당되는 파장에서 검출되는 에너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검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외선 센싱부(120)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적외선 파장을 모니터링 하고, 적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외선 파장대는 750 나노미터 이상에 해당되는 파장 영역을 가지는데, 화재 시 검출되는 파장대는 4.1 내지 4.7 마이크로미터의 적외선 영역에서 최대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에 따라, 적외선 센싱부(120)를 통하여 센싱되는 적외선 파장의 경우, 4.1 내지 4.7 마이크로미터에 해당되는 파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검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간 센싱부(130)의 경우, 미리 설정된 공간을 촬영하고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공간 센싱부(130)는 공간을 촬영하고, 촬영되는 공간에서 연기, 불꽃 등에 대한 센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기, 불꽃 등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의 경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분석부(210), 화재 판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10)의 경우, 모니터링 유닛(100)에 제공되는 자외선 센싱부(110), 적외선 센싱부(120), 공간 센싱부(130)로부터 각각의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제공받아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소정의 화재 이벤트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불꽃 또는 연기가 발생되는 상황에 해당하며, 화재로의 발전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 또는 화재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컨대, 용접, 스토브에 의한 불꽃 및 연기, 화로의 연기와 불꽃이 발생되는 상황에 해당되는 소정의 화재 이벤트는 화재로의 진행되어질 가능성이 있기에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화재 발전의 가능성과 화재로의 발전이 되는지를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화재로의 발전 가능성과 화재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분석하며,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의 교차 매칭 혹은 각각의 시간대별 획득되는 정보들의 변화를 바탕으로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에 해당하는 화재 정보인지를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 판별부(220)의 경우, 정보 분석부(210)로부터 분석한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선별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화재 판별부(220)는 정보 분석부(210)에서 분석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선별하고 판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210)의 경우, i)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를 선택적 교차 매칭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며, ii)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의 교차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소정의 정보에 대한 획득 시간에 따른 정보 변화 여부에 대한 소정의 변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취득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소정의 화재 이벤트 상황에서 모니터링 유닛(100)으로부터 획득되는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에 대하여 정보 분석부(210)는 각각의 정보들을 교차적으로 매칭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데, 예컨대,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에 해당되는 경우, 자외선 파장 정보, 적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는 화재에 대한 파장대와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되는데,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는 화재에 대한 파장대의 에너지 방출량, 에너지 방출 지속 시간, 에너지 방출 최대 방출 파장대에 대하여 동일한 화재에 대한 정보를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영상 정보는 화재를 촬영하는 화면을 통하여 불꽃, 연기 등에 대한 감지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 것이다.
즉, 모든 정보들의 교차 매칭을 통하여 화재에 대하여 교차 매칭되는 정보들의 확인과 분석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화재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적외선 파장 정보, 자외선 파장 정보, 영상 정보의 교차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예컨대, 영상 정보를 통하여 불꽃이 확인되었지만, 자외선 파장 정보를 통하여 검출되는 파장대의 에너지가 화재에 대한 에너지에 대한 파장대가 아닌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는 예컨대, 용접, 촛불 불꽃 등과 같은 상황일 수 있다.
즉,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가 특정 에너지 파장대에서 검출되는 에너지의 양이 각각 상이한 경우 또는 영상 정보와 에너지에 대한 방출의 결과가 화재에 대한 에너지 파장대와 영상의 연기 등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각각의 정보들에 대하여 획득 시간 대비 정보 변화를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각각의 시간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것은, 하나의 정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을 조사하기 위함이며, 예컨대, 영상 정보를 통하여 하나의 불꽃이 다른 쪽으로 옮겨 가는 경우가 발생되면 시간에 따라 불꽃의 확장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파장 정보를 통하여 획득되는 적외선 파장 에너지의 상승 정보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정도 및 방출되는 에너지양을 조사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로 발전되고 있는지를 확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21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적외선 파장 정보와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추이를 분석하고, 파장대별 추이의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파장의 상승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적외선 파장 정보와 자외선 파장 정보의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파장대별 추이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예컨대, 화재가 발생된 경우, 적외선 파장 정보의 경우, 4.3 마이크로미터의 파장대에서 감지되는 에너지의 파장이 다른 파장대에 비하여 상승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자외선 파장의 경우, 185 내지 260 나노미터의 파장대에서 감지되는 에너지의 파장이 다른 파장대에 비하여 상승되어 나타날 수 있다.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서도 각각의 상황에 따라 감지되는 에너지 파장대의 상승구간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장대에 따라 감지되고 감지된 에너지의 파장에 대한 상승 추이가 시간에 따라 매우 가파르게 나타나는 경우, 혹은 특정 에너지 파장에 대한 상승 추이가 점차 상승되는 경우와 같은 상황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황들을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장의 상승 정도라 함은, 특정 파장대에 대한 에너지 파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정도 혹은 파장대에서의 에너지가 눈에 띄게 상승되는 정도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에너지 파장이 검출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분석부(210)는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검출되는 특정 에너지 영역대의 검출 에너지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 대의 적외선 파장 정보에서의 상승과,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 대의 자외선 파장 정보의 상승이 동일하게 나타남이 모니터링되는 경우, 특정 영역 대의 에너지 파장 상승 정도를 통하여 화재 가능성과 화재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210)의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 각각의 파장대별 추이를 분석하고, 파장대별 추이의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파장의 수평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파장의 수평정도라 함은, 특정 파장대에서의 에너지가 눈의 띄게 상승되어진 후 특정 파장대에서의 파장에서 검출되는 파장의 에너지의 위치가 유지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특정한 파장 대에서의 에너지의 위치 정도에 대한 에너지의 유지됨이라 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10)의 경우, 파장에 대한 에너지의 위치가 얼마나 유지되어지는 확인하고 분석함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분석하는 것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특정 에너지가 방출되는 에너지의 위치가 유지되는 시간의 분석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화재에 해당되는지를 분석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라 함은, 1분, 2분, 5분 등의 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관리자의 임의 설정 혹은 선택적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의 의하여 임의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특정 에너지가 방출되는 에너지의 위치가 유지되면, 예컨대, 1분 이상 특정 방출되는 에너지의 위치가 지속되면, 이는 특정한 이벤트라 정의할 수 있으며, 특정 에너지가 방출되는 파장대가 화재에 대한 파장대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한 이벤트는 화재임이 확인될 수 있다.
화재의 경우 골든타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예컨대, 화재 진압에 대한 골든 타임이 1분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에너지가 방출되는 에너지의 위치에 대한 유지 시간을 30초 이후부터 카운트되어 5초/10초 등의 간격으로 모니터링되도록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모니터링과 분석을 통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하여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 대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상승이 일어난 후 특정 영역 파장대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위치가 유지되는 경우, 이는 지속적인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이라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이때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에너지의 특정 파장대 영역이 화재 발생 시 검출되는 에너지의 특정 파장대에 해당하는 경우, 이를 화재로 분석하여, 방출되는 에너지의 지속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 대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상승은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따라 상이하게 모니터링 되어질 수 있는데, 특정 파장 대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에 대한 상승 정도에 따라 화재의 여부를 확인하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210)의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 각각의 파장대별 추이를 분석하고, 파장대별 추이의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임의의 패턴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용접이 발생하는 경우,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파장대에서 에너지 방출에 대한 임의의 패턴이 나타날 수 있는데, 용접과 같이 임의로 발생되는 특정한 상황의 경우, 에너지 방출이 상승과 감소가 규칙적이지 않으며, 임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용접, 성냥 불꽃 등과 같은 특정 파장대에서 에너지의 방출이 임의의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정보 분석부(210)는 임의의 패턴을 분석하고 모니터링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황이 화재에 해당하는지 임의적인 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 즉, 화재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파장대에서의 에너지 방출의 상승과 에너지 방출에 대한 에너지 위치가 수평 유지될 수 있는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모니터링과 특정 파장대에서의 방출되는 에너지의 임의의 패턴을 모니터링함으로 유효 이벤트에 해당되는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210)의 경우, 파장대의 시간대별 추이가 소정의 상승 정도와 소정의 유지 정도를 유지하는 경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자외선 파장 정보의 파장대별 추이를 교차 매칭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화재 판별부(220)는, 정보 분석부(210)를 통해 교차 매칭된 소정의 화재 이벤트의 소정의 정보가 유효 이벤트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10)를 통하여 모니터링되는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특정 파장대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상승 정도에 따라 특정 파장대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에너지 위치의 유지 정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자외선 파장 정보의 파장대별 추이를 분석할 수 있다.
파장대별 추이는, 파장대별로 시간에 대한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파장대별 추이의 분석을 통하여 특정 파장대, 예컨대, 화재에 대한 자외선, 적외선 파장 영역에서의 파장대별 추이가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에서 동일한 파장대별 추이를 나타내는 경우 이를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의 교차 매칭을 통하여 하나의 파장대에서의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아닌 교차적 매칭을 통하여 화재 감별에 대하여 보다 명확하게 분석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화재 판별부(220)는 교차 매칭된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서 발생된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가 유효 이벤트에 해당되는지를 판별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획득된 자외선 파장 정보와 적외선 파장 정보에서 화재에 대한 특정 파장대의 에너지가 검출되며, 검출된 에너지의 상승 정도와 에너지 위치에 대한 유지 정도에 따라 화재임을 판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210)는, 영상 정보에 대한 그레이 레벨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그레이 레벨의 소정의 패턴 변화와 그레이 레벨의 이상 진행 정도를 파악하도록 하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추이에 대한 정보와 그레이 레벨의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정보는 모니터링 유닛(100) 중 공간 센싱부(130)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 정보에 대하여 그레이 레벨을 인식하고 그레이 레벨이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추이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100)은 상시 정해진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정해진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영상에 대하여 획득하는데, 모니터링한 영상인 영상 정보는 화면의 빛의 양을 나타내도록 하는 회색조의 그레이 스케일을 가지게 된다.
정보 분석부(210)는 이러한 그레이 스케일에 대하여 검은색과 흰색의 음영의 정도를 나타내는 그레이 레벨에 대한 추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영상 정보에서 그레이 레벨은 예컨대, 장면의 변경 또는 외부인의 출입 등으로 변화될 수 있는데, 외부인의 출입과 같은 상황에서의 그레이 레벨 변화는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연기 등으로 인하여 영상 정보에 대한 그레이 레벨이 점차 변화될 수 있다.
그레이 레벨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 것은 소정의 화재 이벤트 중 화재로서의 가능성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 그레이 레벨이 영상 속 감지된 연기로 인하여 (b)에서 (c)로 변화되는 경우, 또한, 변화된 그레이 레벨이 지속되는 경우, 화재에 대하여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즉, 그레이 레벨의 변화가 일시적인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는 유효 이벤트가 아니며, 그레이 레벨의 변화가 급격하면서 지속성을 띄는 경우, 소정의 화재 이벤트는 유효 이벤트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그레이 레벨의 이상 진행 정도라 함은, 그레이 레벨의 변화가 일시적이지 않고 급격하면서 지속성을 띄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며, 그레이 레벨이 임계점을 오버하는지, 임계점을 오버하여 얼마나 지속되는지에 대한 진행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레이 레벨이 임계점을 오버하여 지속적으로 상승하는지 여부와 임계점 이상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유지 정도를 확인하여 유효 이벤트에 해당되는지 확인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분석부(210)를 통하여 분석된 적외선 파장 정보와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추이에 대한 정보와 그레이 레벨의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에 저장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에 저장됨을 통하여 화재 이후의 화재에 대한 발생 원인, 발생 과정, 화재 진압 과정 등에 대하여 규명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300)에 저장되는 파장대별 추이와 그레이 레벨의 변화 추이를 통하여 후에 발생될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정보로부터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유효 이벤트임의 확인되면, 화재경보(10) 또는 소화장치(20)의 동작이 제어되어 화재가 진압되도록 화재경보(10)와 소화장치(20)의 동작 제어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재경보(10)는, 예컨대, 경고음, 불빛, 진동 등으로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하여 인명 피해 및 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화재 사실을 알려 경보하는 장치와 시스템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소화장치(20)의 경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스프링 클러, 가스식 자동 소화장치, 방화벽등이 해당될 수 있다.
유효 이벤트임이 확인되면, 화재 확산 예방 및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200)의 경우, 화재에 해당하는 유효 이벤트가 확인되면, 화재 진압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소화장치(20)의 동작 제어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의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화재경보(10)를 통하여 화재 사실에 대하여 알리도록 하여 화재 상황에서 대응 및 대처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화재경보 20: 소화장치
100: 모니터링 유닛 110: 자외선 센싱부
120: 적외선 센싱부 130: 공간 센싱부
200: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 210: 정보 분석부
220: 화재 판별부 300: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
301: 제1저장부 302: 제2저장부
310: 공간 할당부 320: 정보 관리부
330: 정보 어사인부

Claims (10)

  1. 소정의 센서를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소정의 센서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는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
    상기 모니터링 유닛의 상기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인식하며,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로부터 유효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 및
    상기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획득되는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와 상기 유효 이벤트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선별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data storage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자외선 파장을 모니터링하고, 자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하는 자외선 센싱부;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의 적외선 파장을 모니터링하고, 적외선 파장 정보를 획득하는 적외선 센싱부;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공간을 촬영하고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공간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로부터 분석한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상기 유효 이벤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선별적으로 판별하는 화재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i)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를 선택적 교차 매칭하여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며,
    ii)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 상기 영상 정보의 교차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정보에 대한 획득 시간에 따른 정보 변화 여부에 대한 소정의 변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취득하여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상기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 중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파장의 에너지 상승정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상기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 중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파장의 유지정도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에 대한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상기 파장대별 시간에 따른 에너지변화 추이가 소정의 파장대에 대한 임의의 패턴인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파장대의 시간대별 추이가 소정의 에너지 상승정도와 소정의 유지정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상기 파장대별 추이를 교차 매칭하여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를 분석하되,
    상기 화재 판별부는,
    상기 정보 분석부를 통해 교차 매칭된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의 상기 소정의 정보가 상기 유효 이벤트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그레이 레벨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상기 그레이 레벨의 소정의 패턴 변화와 상기 그레이 레벨의 이상 진행 정도를 파악하도록 하며, 상기 적외선 파장 정보와 상기 자외선 파장 정보의 각각의 파장대별 추이에 대한 정보와 상기 그레이 레벨의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 유닛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애널라이징 유닛은,
    상기 소정의 정보로부터 상기 소정의 화재 이벤트가 상기 유효 이벤트임이 확인되면, 화재경보 또는 소화장치의 동작이 제어되어 화재가 진압되도록 상기 화재경보와 상기 소화장치의 동작 제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036417A 2021-03-22 2021-03-22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31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17A KR20220131606A (ko) 2021-03-22 2021-03-22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17A KR20220131606A (ko) 2021-03-22 2021-03-22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06A true KR20220131606A (ko) 2022-09-29

Family

ID=8346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417A KR20220131606A (ko) 2021-03-22 2021-03-22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16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1688A (zh) * 2022-11-03 2023-01-24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火灾极早期探测预警报警系统及方法
CN117636565A (zh) * 2024-01-24 2024-03-01 贵州道坦坦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光谱特征数据融合的多光谱火焰探测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571B1 (ko) 2015-07-22 2016-03-22 유정무 자외선 센서를 구비한 3파장식 적외선 불꽃 감지기
KR101784755B1 (ko) 2016-12-26 2017-10-1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2404B1 (ko) 2019-04-09 2019-09-18 주식회사 비에스엘 복합센서 모듈의 불꽃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571B1 (ko) 2015-07-22 2016-03-22 유정무 자외선 센서를 구비한 3파장식 적외선 불꽃 감지기
KR101784755B1 (ko) 2016-12-26 2017-10-1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2404B1 (ko) 2019-04-09 2019-09-18 주식회사 비에스엘 복합센서 모듈의 불꽃 감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1688A (zh) * 2022-11-03 2023-01-24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火灾极早期探测预警报警系统及方法
CN117636565A (zh) * 2024-01-24 2024-03-01 贵州道坦坦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光谱特征数据融合的多光谱火焰探测系统
CN117636565B (zh) * 2024-01-24 2024-04-26 贵州道坦坦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光谱特征数据融合的多光谱火焰探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1606A (ko) 현장 정보에 기초한 유효 이벤트의 선택적 감지의 효율성을 구비하는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US6788197B1 (en) Fire alarm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EP0877347B1 (en) Fire alarm systems
KR101640152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0985804B1 (ko)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US6818893B2 (en) Fire detection sensors
CN101587630A (zh) 可过滤误报警的智能视频监控系统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585768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US7154400B2 (en) Fire detection method
JP6543127B2 (ja) 火災検知装置及び火災検知方法
KR20160109516A (ko) 구조 대상 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5412A (ko) 촬영 영상을 이용한 화재 자동 경보 시스템 및 그에 의한화재감시방법
KR20150109830A (ko) 불꽃 오감지 영역이 제거된 화재 영역 선정 방법, 이를 이용한 물대포 발사 목표점 또는 발사 순서 선정 및 화재 진압 방법
KR20100036717A (ko) 전력선통신기반의 화재 방어시스템
CN107016814A (zh) 一种火灾智能预警系统
KR20220134962A (ko) 선별적 유효 이벤트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KR20220134963A (ko) 시점 정보의 선택적 어사인 기능을 구비한 선별적 알림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CN111882800B (zh) 一种基于多维度数据联动的消防预警方法及系统
KR20130068334A (ko) 무장강도 자동인식 대응 시스템 및 방법
TWI765720B (zh) 用於偵測輸送帶系統的溫度的方法及系統
CN111950400A (zh) 火灾监测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242038B (zh) 一种火情确定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091234B2 (ja) 画像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