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766A - 모듈형 무릎 보강 콘 - Google Patents

모듈형 무릎 보강 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766A
KR20220134766A KR1020227029721A KR20227029721A KR20220134766A KR 20220134766 A KR20220134766 A KR 20220134766A KR 1020227029721 A KR1020227029721 A KR 1020227029721A KR 20227029721 A KR20227029721 A KR 20227029721A KR 20220134766 A KR20220134766 A KR 20220134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reinforcement
wall
reinforcing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시 힉스
알렉스 드루
존 그린
Original Assignee
앙코르 메디컬, 엘.피.(디/비/에이 디제이오 서지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앙코르 메디컬, 엘.피.(디/비/에이 디제이오 서지컬) filed Critical 앙코르 메디컬, 엘.피.(디/비/에이 디제이오 서지컬)
Publication of KR2022013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34Modular inserts, sleeves or augments, e.g. placed on proximal part of stem for fixation purposes or wedges for bridging a bone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9Tibi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003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 A61F2002/30004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the prosthesis being made from materials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002/30011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the prosthesis being made from materials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poros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99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205Three-dimensional shapes con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61F2002/303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with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of the rib within the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61F2002/303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with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of the rib within the groove
    • A61F2002/30398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61F2002/303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with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of the rib within the groove
    • A61F2002/30398Sliding
    • A61F2002/30401Sliding with additional means for preventing or locking said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61F2002/30403Longitudinally-oriented cooperating ribs and grooves on mating lateral surfaces of a mainly longitudin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0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screwing complementary threads machined on the parts themselves
    • A61F2002/30406Threads machined on spherical, e.g. hemispheric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48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34Modular inserts, sleeves or augments, e.g. placed on proximal part of stem for fixation purposes or wedges for bridging a bone defect
    • A61F2002/30736Augments or augmentation pieces, e.g. wedges or blocks for bridging a bone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 A61F2002/30879Ribs
    • A61F2002/30881Circumferential ribs, flanges or 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002/3092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having an open-celled or open-pored structure

Abstract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 및 상기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이식하는 방법. 시스템은 본체 콘, 콘 벽 내의 제1 절결부를 포함하며,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콘 벽을 포함하는 본체 콘을 포함한다. 제1 절결부에 근접한 콘 벽의 일부는 부착 특징부를 포함한다. 제1 보강 콘은 제1 절결부 내에 위치설정될 수 있고, 제1 보강 콘은 제1 보강 콘을 제1 절결부 내로 부착시키기 위해 콘 벽의 부착 특징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부착 특징부를 포함한다. 본체 콘은 콘 벽에 제2 절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은 제2 보강 콘을 제2 절결부 내에 부착하기 위해 콘 벽의 부착 특징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제2 보강 콘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무릎 보강 콘
모든 우선권주장 출원에 대한 참조에 의한 통합
이 출원은 2020년 1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967,342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무릎 교정 수술에 사용되는 콘(cone) 및 보강부(augments)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본체 콘(main body cone) 및 비대칭 교정 콘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정합될(mated) 수 있는 보강부를 갖는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을 설명한다.
무릎 교체 재수술(revision knee replacement surgery)은 더 이상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무릎 임플란트를 교체하기 위해 수행하는 시술이다. 다양한 콘 보강부(cone augments)이 예를 들어 경골 임플란트(tibial implant)를 수용하기 위해 무릎에 대한 외과 수술 동안에 환자에게 이식된다. 그러한 수술을 위해 필요한 콘은 대칭 콘 또는 비대칭 콘일 수 있다. 비대칭 콘은 콘의 본체 부분 상의 보강부의 위치설정에 기초하여 좌측 비대칭, 우측 비대칭, 또는 이중 비대칭일 수 있다. 보강 콘(augment cones)은 비싸다. 필요에 따라 수술시 올바른 보강 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상이한 유형의 보강 콘이 재고로 보관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용을 절약하고 공급망을 단순화하기 위해,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수술에 사용될 수 있는 단일의 보강 콘 시스템을 갖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의 선택적인 특징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들은 각각 몇몇 양태들을 가지며,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이 그의 바람직한 속성을 단독으로 담당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몇몇 비-제한적인 특징이 이제 간략하게 논의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의 세부 사항은 첨부 도면들 및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된다. 또 다른 특징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발명의 설명, 도면, 및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요 또는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주제의 범위를 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하나의 혁신예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modular augment cone system)을 포함하며, 이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은, 예를 들어, 근위 단부(proximal end), 원위 단부(distal end),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콘 벽(cone wall)을 포함하는 본체 콘으로서, 상기 본체 콘은 콘 벽에 제1 절결부(cutout)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절결부에 근접한 콘 벽의 일부는 콘 벽 부착 특징부(cone wall attachment feature)를 포함하는 것과, 제1 절결부에 위치설정 가능한(positionable) 제1 보강 콘으로서, 상기 제1 보강 콘은 제1 절결부 내에 제1 보강 콘을 부착시키기 위해 콘 벽 부착 특징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보강 부착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은 상이한 양태 또는 특징을 갖는 다수의 상이한 실시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여기서 논의된다. 그러나, 혁신은 여기서 논의되는 상이한 실시형태들 또는 상이한 특징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은, 달리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거나 특징들의 문맥에 의해 나타내지 않는 한, 특정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것으로 명시적으로 기술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듈형 보강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1 보강 콘의 외부 표면은 제1 보강 콘이 제1 절결부에 위치설정될 때 본체 콘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콘 벽 내에 제2 절결부를 더 포함하고, 제2 절결부에 근접한 콘 벽의 일부는 콘 벽 부착 구조부(cone wall attachment structure)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은 제2 절결부에 위치설정 가능한 제2 보강 콘을 더 포함하고, 제2 보강 콘은 제2 절결부 내에 제2 보강 콘을 부착하기 위해 콘 벽 부착 구조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보강 부착 구조부를 포함한다.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의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콘 벽은 다공성 코팅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콘 벽은 다공성 코팅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다공성 코팅은 본체 콘의 원위 단부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다공성 코팅은 본체 콘의 근위 단부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다공성 코팅은 본체 콘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콘 벽의 외부 표면 상에서 본체 콘의 원위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원위 링 구조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다공성 코팅은 원위 링 구조부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콘 벽의 외부 표면 상에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근위 링 구조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다공성 코팅은 근위 링 구조부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콘 벽의 외부 표면 상에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근위 링 구조부, 및 콘 벽의 외부 표면 상에서 본체 콘의 원위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원위 링 구조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다공성 코팅은 근위 링 구조부와 원위 링 구조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1 보강 콘은 다공성 코팅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의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본체 콘의 내부 벽 상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하나 이상의 리브(rib)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리브는 유착(adhesive)이 들러붙게(purchase) 허용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콘 벽 부착 특징부는 슬롯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보강부 상의 부착 특징부는 콘 벽 부착 특징부의 슬롯 내에 끼워지는 연장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보강부 상의 부착 특징부는 슬롯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콘 벽 부착 특징부는 슬롯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콘 벽 부착 특징부는 보강부 상의 부착 특징부의 슬롯 내로 끼워지는 연장 부분을 포함한다.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의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의 원주는 본체 콘의 원위 단부의 원주보다 크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1 절결부는 콘 벽에서 제2 절결부의 반대편에 위치설정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1 절결부 및 제2 절결부는, 제1 절결부의 제1 에지와 제2 절결부의 인접한 제1 에지 사이와의 사이의 콘 벽의 일부가 제1 절결부의 제2 에지와 제2 절결부의 인접한 제2 에지와의 사이의 콘 벽의 일부보다 크도록, 콘 벽에 위치설정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본체 콘의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한 본체 콘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1 절결부는 본체 콘의 근위 단부로부터 본체 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지만 본체 콘의 원위 단부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1 절결부는 본체 콘의 원위 단부로부터 본체 콘의 근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지만, 본체 콘의 근위 단부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를 따른 제1 절결부의 폭(w) 치수는 약 16mm 내지 약 25mm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로부터 본체 콘의 원위 단부를 향한 제1 절결부의 범위를 따른 상기 제1 절결부의 길이(l) 치수는 약 14mm 내지 24mm이다.
또 다른 혁신예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은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콘 벽을 포함하는 본체 콘을 포함하고, 본체 콘은 보강 콘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콘 벽에 제1 절결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절결부에 근접한 콘 벽의 일부는 콘 벽 부착 특징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혁신예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은 본체 콘의 벽에서의 절결부에 위치설정되도록 구성된 보강 콘을 포함하고, 보강 콘은 벽에 보강 콘을 부착하고 본체 콘의 벽에서의 절결부를 커버하기 위해 본체 콘의 벽에 부착 특징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보강 부착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콘 벽을 갖고, 본체 콘은 콘 벽에 절결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절결부에 근접한 콘 벽의 일부는 보강 콘의 부착 특징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부착 특징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혁신예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환자에게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체 콘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및 제1 절결부 내로 제1 보강 콘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혁신예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환자에게 본체 콘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및 제1 절결부 내로 제1 보강 콘을 위치설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혁신예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보강 콘을 본체 콘의 제1 절결부 내로 위치설정하고 연결하는 단계, 및 본체 콘을 연결된 보강 콘과 함께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체 콘을 연결된 보강 콘과 함께 환자의 무릎의 일부 내로 이식한다.
또 다른 혁신예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이식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제1 보강 콘을 제1 절결부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청구항 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조립하는 단계, 및 본체 콘 및 제1 보강 콘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준비된 공간 내에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혁신예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이식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보강 콘을 본체 콘의 제1 절결부 내로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면에 있어서, 반드시 축적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상이한 문자 접미사를 갖는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의 다른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면은,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일반적으로 본 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예시한다.
도 1a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의 대칭 본체 콘의 실시형태의 예를 예시하는 측면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의 경우이다. 도 1a는 본체 부분의 대향하는 벽에 복수의 절결부를 갖는 모듈형 대칭 콘의 본체 부분(또는 "본체 콘")을 도시하며, 절결부 각각은 보강 콘("보강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모듈형 대칭 콘의 본체 부분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의 편의를 위해 "본체 콘" 또는 "본체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본체 콘의 측면도이며, 본체 콘의 길이방향 축선을 도시한다.
도 1c는 도 1a의 본체 콘의 저면 사시도이며, 본체 콘의 말단부에 있는 원형의 평면 하부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본체 콘의 절결부에 위치설정되도록 구성된 보강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강부는, 보강부가 본체 콘 내로 안착되고 절결부에서 본체 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절결부의 에지 부분을 따라 대응하는 구조부 내로 및/또는 그에 대항하여 끼워지는, 그 에지 부분 근처의 구조부를 포함한다.
도 3은 본체 콘의 절결부들 중 하나에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된 보강부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본체 콘에서의 제2 절결부는 그 안에 위치설정된 보강부를 갖지 않는다. 보강부가 절결부에 안착될 때,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은 비대칭 콘일 것이다. 보강부가 본체 콘에 안착될 때, 보강부의 측면 에지 및 하부("원위") 에지는 절결부의 에지 상의 대응하는 구조부와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보강부의 측면 및 원위 에지는 본체 콘의 절결부의 에지의 상기 대응하는 구조부에 가깝게 근접하여, 및/또는 그와 접촉하여 위치설정된다.
도 4는 본체 콘에서 제1 절결부에 위치설정된 보강부를 갖는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본체 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체 콘의 제1 절결부에 위치설정된 보강부를 갖는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상부("근위") 평면도이다.
도 7은 시멘트 맨틀 단차부(cement mantle steps)(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원주방향 리브로 지칭됨)를 갖고 또한 상부(근위) 링과 하부(원위) 링과의 사이에 포함되는 본체 콘의 외부 표면의 일부 상의 골 성장 코팅(예를 들어, 다공성 격자 표면)을 갖는 본체 콘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시멘트 맨틀 단차부를 갖고, 상부(근위) 링과 하부(원위) 링과의 사이에 포함되는 본체 콘의 외부 표면의 일부 상의 골 성장 코팅(예를 들어, 다공성 격자 표면)을 갖고, 환자에게 이식될 때 시멘트의 회전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리브를 갖는 본체 콘의 일례를 도시하는 다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시멘트 맨틀 단차부를 갖고, 본체 콘의 외부 표면의 일부 상에 골 성장 코팅(예를 들어, 다공성 격자 표면)을 갖고, 환자에게 이식될 때 시멘트의 회전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리브를 갖는 본체 콘의 일례를 도시하는 다른 측단면도이다. 본 예에서, 다공성 격자 표면은 본체 콘의 상부(근위) 표면으로부터 본체 콘의 하부(원위) 표면까지 연장된다.
도 10은 본체 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본체 콘의 제1 절결부에 위치설정된 제1 보강부와 본체 콘의 제2 절결부에 위치설정된 제2 보강부를 도시한다. 도 10은 또한, 본 예에서, 본체 콘 및 제1 및 제2 보강부가 이들 구성요소의 외부 표면 상에 다공성 격자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은 내부에 위치설정된 경골 임플란트를 갖는 본체 콘의 일례의 측면도이며, 여기서 경골 임플란트의 일부는 본체 콘의 벽에서 제1 절결부 및 제2 절결부를 통해 연장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 콘 및 경골 임플란트의 측면도이며, 여기서 도 12의 측면도는 이들 정합된 구성요소의 상이한 측면도를 나타내기 위해 대략 70도 축선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경골 임플란트의 본체 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 콘 및 경골 임플란트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다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개요
본 출원은 예를 들어 환자의 무릎에 임플란트로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modular augment cone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위한 적용예는 지지부를 제공하고 1차 임플란트에 의해 남겨진 공극을 채우기 위해 무릎 교정 수술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대퇴골 콘(femoral cone)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은 본체 콘(main body cone) 및 보강 콘("보강부(augment)")을 포함하며, 이는 비대칭 콘을 생성하기 위해 본체 콘의 벽(wall)의 절결부(cutout)에 보강부를 위치설정시킴으로써 본체 콘과 정합될 수 있다. 본체 콘의 일반적인 형상은 절두형 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두형 콘-형상의 본체 콘은 근위 단부에서 제1 직경을 갖고 원위 단부에서 제2 직경을 가지며,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크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1 직경은 25mm 내지 60mm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1 직경은 32mm 내지 50mm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2 직경은 20mm 내지 55mm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2 직경은 25mm 내지 40mm이다. 본체 콘은 그의 일반적인 구조, 예를 들어 절결부 및 보강 콘을 수반하지 않는 그의 구조의 부분에서 대칭일 수 있다. 절결부에서 보강부와 정합되는 본체 콘의 에지는 부착 특징부(attachment feature)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구조적 구성(예를 들어, 슬롯, 홈, 돌출부, 도브테일(dovetail), 포스트, 디봇(divot), 치형부, 볼, 또는 포스트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내측 대칭(medial symmetric), 또는 외측 대칭(lateral symmetric)이다. 본체 콘의 내경은 오프셋 스템(offset stem)뿐만 아니라 임플란트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넓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체 콘은 트라이얼 콘(trial cone)이다. 트라이얼 콘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트라이얼 콘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영구 잠금 특징부(permanent locking feature)를 갖지 않을 것이다(이식가능한 본체 콘의 실시형태들은 보강부를 본체 콘 내에서 잠금시키기 위해 영구 잠금 특징부를 가짐). 대신에, 트레일(trail) 콘은 임시 잠금 특징부, 예를 들어, 나사, 볼 멈춤쇠(detent)/포스트 및 디봇, 또는 스냅 탭(snap tab)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힘(distal force)이 트라이얼링에 대해 허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면, 트레일 본체 콘 및 보강부는 잠금 특징부, 예를 들어 원위 잠금 특징부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보강부는 개방 상부("근위(proximal)") 부분 및 하부("원위(distal)") 대체로 반구형 부분을 갖는다. 절결부에서 본체 콘과 정합되는 보강부의 에지는 또한 보강부가 본체 콘에 정합된, 절결부 내에 견고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도록 본체 콘의 부착 특징부에 대응하는 부착 특징부(예를 들어, 슬롯, 홈, 돌출부, 도브테일, 포스트, 디봇, 치형부, 볼, 또는 포스트 등 중 하나 이상)를 포함한다. 본체 콘 및 보강부의 부착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구조부(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고, 잠금 장치(예를 들어, 핀, 나사, 또는 또 다른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콘에 대한 비대칭 보강부를 위한 고정은 원위/근위 고정 또는 다양한 잠금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는 슬롯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부분 내의 보강부를 위한 고정은 도브테일, 판 스프링, 잠금 탭, 스프링 로딩 볼(spring loaded ball)/포스트 및 디봇, 나사, 핀, 또는 래칫 치형부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잠금 메커니즘 중 하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보강부가 본체 콘의 절결부에 위치설정될 때, 비대칭 교정 콘(asymmetric revision cone)이 형성된다. 즉, 보강부는 비대칭 콘을 생성하기 위해 대칭 본체 콘과 정합될 수 있다. 본체 콘은 공동을 포함한다. 보강부는 또한 보강부 내부 표면/벽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동을 포함한다. 보강부는 본체 콘과 정합될 때, 절결부를 덮고, 본체 콘으로부터 연장되어, 보강부 공동과 본체 콘 공동이 함께 본체 콘과 보강 콘의 구조에 의해 둘러싸인 더 큰 공동을 형성한다(예를 들어, 본체 콘의 공동(140)과 보강부의 공동(240)이 결합하여 더 큰 공동을 형성하는 도 6을 참조하라).
본체 콘은 "상부" 또는 "근위" 단부(이식될 때 환자의 심장에 근접하게 위치설정됨)를 갖는 것으로, 그리고 "하부" 또는 "원위" 단부(이식될 때 환자의 심장으로부터 원위에 위치설정됨)를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체 콘은 본체 콘의 벽에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또는 갭)를 포함한다. 각각의 절결부 주위에서의 벽의 부분은 보강부를 수용하고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하나의 절결부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2개의 절결부들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3개 이상의 절결부들을 갖는다. 절결부는 이들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참조하여 때때로 "슬롯"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본체 콘 및 보강부의 부착 특징부는 본체 부분의 근위 단부로부터 본체의 벽 내로 보강부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보강 콘이 절결부에 위치설정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 부분은, 보강 콘의 대향 측면들에 있는 홈들이 본체 콘의 벽 상에 끼워지도록 허용하고, 보강부가 절결부 내로 슬라이딩하도록 허용하여, 보강부가 본체 부분 내에 정합하도록 절결부 내로 보강 콘을 위치설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부가 절결부에 위치설정될 때, 보강부의 근위 단부(예를 들어, 표면)는 본체 부분의 근위 에지(또는 표면)와 정렬된다. 즉, 보강부의 근위 단부는 보강부가 절결부에 안착될 때 본체 콘의 근위 단부와 또한 정렬되는 평면과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체 콘은 2개의 절결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결부는 그 안에 위치설정된 보강 콘을 받아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2개의 절결부들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본체 부분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의) 서로 직접적으로 대향하는 본체 부분 벽에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절결부들의 중심은 180도 이격되어 정렬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2개의 절결부들은 서로 대향하는 본체 부분 벽에 구성될 수 있지만, 이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대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결부와 제2 절결부는, 제1 절결부의 제1 에지와 제2 절결부의 인접한 제1 에지와의 사이의 콘 벽의 일부가 제1 절결부의 제2 에지와 제2 절결부의 인접한 제2 에지와의 사이의 콘 벽의 일부보다 크도록, 콘 벽 내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절결부들의 중심은 180도 이격되지 않는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 중심 분리 각도(cutout center separation angle)는 180°가 아니다. 2개의 절결부들을 갖는 본체 콘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절결부 중심 분리 각도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또는 179°,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0.5도이다.
본체 부분 및/또는 보강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내부 표면은 시멘트를 위한 회전 고정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축선방향-정렬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축선방향-정렬된 리브는 본체 콘의 축선 주위에서의 회전력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중심 축선 주위에서 만곡되지 않은 표면에 대해 시멘트가 들러붙도록 허용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임플란트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는 본체를 위한 스템 리머(stem reamer) 상의 오버 림(over ream)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다음에 보강 콘을 위한 보강 리머를 갖춘 오프셋 지그(offset jig)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 및 보강부의 외부 표면(즉, 공동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함)은 뼈 성장을 용이하게 하는 표면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표면 구조는 DJO Surgical에 의한 독점적인 티타늄 다공성 코팅인 P2를 포함한다. P2의 장점은 코팅 자체의 비-구형 비드(bead)가 또한 다공성이어서, 그의 명칭이 P-Squared(P2)라는 것이다. P2는 "용암 암석" 유형의 구조와 매우 유사한 기공 크기의 다양성으로 인해, 우수한 성장 결과를 위해 골의 배치(apposition)를 보조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표면 구조는 또 다른 유형의 다공성의 거친 코팅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표면 구조는 다공성 격자 표면을 생성하기 위해 3D 인쇄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다공성 코팅은 외부 표면(예를 들어, 본체 콘의 외부 표면 및/또는 세그먼트 콘의 외부 표면) 상에서 일정한 깊이이다. 제조 방법에 따라, 다공성 코팅을 포획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본체 콘의 외부 표면 상에 상부(근위) 및 하부(원위) 링이 있을 수 있거나 없을 수 있다. 제조 용이성에 따라 상부 링, 하부 링, 또는 양쪽 모두가 있을 수도 있고, 어느 것도 없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상부 또는 하부 링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 않으며, 코팅은 올-어라운드 코팅(all-around coating)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표면 구조는 전통적인 감산(subtractive) 제조(예를 들어, 본체 콘 및/또는 보강 콘의 외부 표면 또는 표면 코팅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하는 것)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용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용어들이 아래에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다른 용어들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제공된 정의, 용어들의 통상적이고 관습적인 의미, 및/또는 각각의 용어들에 대한 임의의 다른 암시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의 정의들은 이러한 용어들의 의미를 제한하지 않고, 단지 예시적인 정의들을 제공한다.
보강 콘(augement cone):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그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보강 콘은 본체 콘의 개구부(또는 절결부) 내로 위치설정가능하고, 보강 콘과 본체 콘의 대응하는 부착 구조에 의해 본체 콘에 부착될 수 있다. 보강 콘은 보강 콘 구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동을 포함한다. 사용시, 보강부는 본체 콘에 부착되고, 본체 콘/보강 콘 시스템이 환자에게 이식되기 전에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체 콘(main body cone):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그 예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본체 콘은 절두형 콘-형상이고, 임플란트(예를 들어, 경골 임플란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 콘은 보강 콘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부(또는 절결부)를 포함한다. 본체 콘은 하나 이상의 절결부를 가질 수 있고, 본체 콘은 또한 본체 콘 구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동을 포함한다. 보강 콘이 본체 콘에 부착될 때, 보강 콘의 공동은 본체 콘의 공동과 연속하여, 본체 콘의 공동보다 큰 공동을 형성한다.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modular augement cone system): 본체 콘 및 하나 이상의 보강 콘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그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은 본체 콘에 부착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P 2 : DJO Surgical의 신규한 독점적인 티타늄 다공성 코팅으로서, 비-구형 비드 자체도 다공성이며, P-Squared(P2)라는 이름을 가진 세계 최초의 다공성 코팅이다. "용암 암석" 유형의 구조와 매우 유사한, 기공 크기에 있어서의 변동성으로 구성되어, P2는 우수한 성장 결과를 위한 골의 배치를 돕는다. P2는 2개의 범위의 공극 크기 - 인터-(Inter-) 및 인트라-(Intra-)비드로 구성된다. 기공 크기 범위에 있어서의 이러한 가변성은 급속한 골 성장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P2에 뚜렷한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비드 기공 크기의 예에서, 각각의 비-구형 비드 사이의 기공 크기는 200 내지 525 미크론(㎛)과 동일하다. 인트라-비드 기공 크기의 예에서, 각각의 비-구형 비드 내의 기공 크기는 25 내지 65 미크론(㎛)과 동일하다.
특정 구성요소의 목록
다음은 상기 열거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 설명되고 열거된 특정 구성요소들의 목록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명명되든 명명되지 않든, 도면들에 예시된 장치들의 임의의 양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추가적인 설명을 갖거나 갖지 않고서, 그러한 양태들에 관한 청구항 한정에 대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열거된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A 벽의 내향 테이퍼 각도
l 절결부의 길이
w 절결부의 폭
dc 골 성장 코팅의 깊이
100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
101 대칭 본체콘
102 비대칭 본체 콘
103 근위 단부
104 원위 단부
105 제1 절결부
106 절결부 측면 에지
107 절결부 하부 에지
108 본체 콘의 벽
109 본체 콘의 길이방향 축선
110 제2 절결부
111 상부 링
112 하부 링
113 내부 벽 본체 콘
114 내부 벽 본체 콘 상의 시멘트 맨틀 단차부/원주방향 리브
115 본체 콘의 상부
116 절결부의 에지 상의 벽의 홈
117 콘 벽 부착 특징부
118 콘 벽 부착 특징부의 외부
119 축선방향-정렬 리브
120 본체 콘의 하부
121 본체콘의 원위 단부의 구멍
125 상부 표면
130 하부 표면
135 외부 표면 본체 콘/골 성장 표면
140 공동
150 비대칭 본체 콘의 큰(긴) 벽
151 비대칭 본체 콘의 작은(짧은) 벽
200 보강 콘
201 보강 콘의 내측 에지
202 외측 단부
203 근위 단부
204 원위 단부
205 보강 콘의 외부 벽
210 에지 부분
213 내부 벽 보강 콘
215 홈/보강 부착 특징부
216 부착 특징부
217 부착 특징부
218 보강 부착 특징부의 돌기
220 상부 표면 보강 콘
235 보강 콘의 골 성장 표면 부분
240 보강 콘의 공동
260 경골 임플란트
262 경골 임플란트 킬(keel)
264 상부 경골 임플란트
266 하부 경골 임플란트
268 경골 임플란트의 바닥 표면
무릎 보강 콘 시스템 및 방법의 예
도 1a 내지 도 1c는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a는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의 대칭 본체 콘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 사시도이다. 모듈형 대칭 콘의 본체 부분은 참조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본체 콘" 또는 "본체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본체 콘(101)을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본체 콘(101)의 길이방향 축선(109)을 도시한다. 도 1c는 도 1a의 본체 콘(101)의 하부 사시도로서, 본체 콘(101)의 원위 단부(104) 상의 원형 평면인 하부 표면(130)을 도시한다. 도 1c의 도면은 또한 하부 표면(130)에 의해 둘러싸인 본체 콘의 원위 단부(104) 내의 원형 구멍(121)을 도시한다.
본체 콘(101)은 본체 콘(101)의 벽(108)의 대향 부분들에 절결부(105, 110)들을 포함한다.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108)의 부분은 "절결부"(105, 110)로 지칭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절결부"는, 적어도 그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벽에서의 이들 갭이 본체 콘 벽의 재료를 제거하거나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것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용어 "절결부"는, 예를 들어,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관계없이, 보강 콘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갭을 포함하는 본체 콘 벽의 일부를 지칭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체 콘(101)은 캐비티(140)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절결부(105, 110) 각각은 보강 콘(예를 들어, 도 2의 보강 콘(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a에 도시된 예에서, 본체 부분(101)은 절두형 콘-형상이고, 본 예에서는 대칭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101)의 상부 부분(115)은 본체 콘(101)의 하부 부분(120)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절결부(105, 110)는 본체 부분(101)의 상부 표면(125)으로부터 본체(101)의 하부 표면(130)을 향해 연장된다. 각각의 절결부는 폭(w) 및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절결부의 치수는 본체 콘의 크기, 및/또는 본체 콘(101)과 함께 사용되는 임플란트의 크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를 따른 제1 절결부의 폭(w) 치수는 약 16mm 내지 약 25mm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를 따른 제1 절결부의 폭(w) 치수는 12mm, 13mm, 14mm, 15mm, 16mm, 17mm, 18mm, 19mm, 20mm, 21mm, 22mm, 23mm, 24mm, 25mm, 26mm, 27mm, 28mm, 또는 29mm,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0.5mm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로부터 본체 콘의 원위 단부를 향한 제1 절결부의 범위를 따른 제1 절결부의 길이(l) 치수는 약 14mm 내지 24mm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를 따른 제1 절결부의 길이(l) 치수는 9mm, 10mm, 11mm, 12mm, 13mm, 14mm, 15mm, 16mm, 17mm, 18mm, 19mm, 20mm, 21mm, 22mm, 23mm, 24mm, 25mm, 26mm, 27mm, 28mm, 29mm, 30mm, 또는 31mm,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0.5mm이다. 본 예에서, 절결부(105, 110)들은 벽(108)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지 않고, 대신에 상부 표면(125)으로부터 본체 부분 벽(108)의 높이의 약 절반보다 큰 길이로 벽(108) 내로 연장된다. 또 다른 예들은 상이할 수 있고, 절결부(105, 110)는 예시된 예보다 더 멀리 연장될 수 있거나, 예시된 예만큼 멀리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a는 또한 표면을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표면 내로의 골 성장을 용이하게 하도록 만들어진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 상의 골 성장 표면 부분 표면 구조부(135)(더 어두운 표면으로서 도시됨)를 예시한다. 일부 예에서, 표면 구조부(135)는 P2이다. 일부 예에서, 이 표면은 예를 들어 3-D 프린터로 적층 제조 공정(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으로 본체 콘 상에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표면 구조부(135)는 감산 제조 공정(subtractive manufacturing process)으로 형성된다. 본 예에서, 본체 콘(101)은 본체 콘의 근위 단부(103)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링(111), 및 본체 콘의 원위 단부(104)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링(112)을 포함한다. 표면 구조부(135)는 상부 링(111)과 하부 링(112) 사이에서 본체 콘의 외부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절결부 측면 에지(106) 및 절결부 하부 에지(107)에서는, 그러한 에지(106, 107)는 보강 콘이 절결부 내로 슬라이딩하도록 허용하고, 보강부가 절결부에 안착될 때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 구조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100)의 본체 콘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보강 콘("보강부")(200)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의 예에서, 보강 콘(200)은, 보강부(200)가 절결부(또는 "슬롯")(105, 110) 중 하나에 위치설정될 때, 공동(140)으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본체 부분(101)과 함께 비대칭 콘-형상 구조를 생성하는, 본 예에서 일반적으로 반구형인 만곡된 외측 벽(205)을 포함한다. 본체 코인과 보강 콘의 공동은 더 큰 결합된 공동을 형성한다. 그러한 보강 콘(200)은 각각의 절결부(105, 110)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보강부는 만곡된 외측 벽(205)의 대향 측면들 상에 에지 부분(210)을 포함하고, 각각의 에지 부분은, 보강부(200)가 본체의 슬롯 내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본체 부분 상의 대응하는 구조부 내의 2개의 홈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도록, 절결부(105, 110)의 에지 상의 본체의 구조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215)을 포함한다. 도 2는 또한 표면을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표면 내로의 골 성장을 용이하게 하도록 만들어진 보강 콘(200)의 외부 표면 상의 골 성장 표면 부분(235)(더 어두운 표면으로서 도시됨)을 예시한다. 일부 예들에서, 표면 구조부(135)는 P2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표면(235)은 3-D 프린터로 형성된다.
도 3은 본체 콘(101)의 2개의 절결부들 중 하나에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된 보강부(200)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본체 콘의 제2 절결부는 내부에 위치설정된 보강 콘을 갖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200)는 보강부(200)의 홈(215)을 본체 콘(101)의 벽(108)의 슬롯의 측면 상의 대응하는 구조부(117)와 결합시킴으로써 본체 콘의 슬롯 내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보강부(200)가 절결부에 완전히 위치설정되면, 보강부(200)의 일부(220)는 절결부 근처의 벽(108)의 대응 표면(125)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다. 보강부(200)는 본체 콘(101)의 상응하는 부착 특징부(구조부)(117)와 보강부의 홈(215)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 위치에 (적어도 2개의 방향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부착 특징부(117)는 보강부(200)의 대응하는 홈(215) 내로 끼워지는 도브테일이다. 부착 특징부(117) 및 대응하는 홈(215)은 보강부(200)가 제자리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하도록 폐쇄되지만 이동 가능한 끼워맞춤부를 갖도록 상응하여 형상화된다. 즉, 보강부(200)는 본체 콘(101)의 근위 단부로부터 절결부 내로 슬라이딩되고 절결부 내에 안착될 때까지 원위 단부(104)를 향해 이동된다. 보강부(200)가 절결부에 안착될 때,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은 비대칭 콘일 것이다. 보강부가 본체 콘에 안착될 때, 보강부의 측면 에지 및 하부("원위") 에지는 절결부의 에지 상의 대응하는 구조부와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보강부의 측면 및 원위 에지는 본체 콘의 절결부의 에지의 상기 대응하는 구조부에 근접하여 및/또는 그와 접촉하여 위치설정된다. 보강 콘(200)은 일단 그것이 절결부에 완전히 안착되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비대칭 본체 콘(102)의 제1 절결부(110)에 위치설정된 보강부(200)를 갖는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예시에서, 본체 콘(102)이 하나 이상의 축선방향-정렬 리브(119)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실시형태는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축선방향-정렬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콘은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축선(109)(도 1b) 주위에서의 본체 콘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축선방향-정렬 리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 본체 콘(102)의 제2 절결부는 그 안에 위치설정된 보강부를 갖지 않는다. 일부 예에서,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의 사용이 특정 응용예에서 단일 보강부만을 필요로 한다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의 제2 절결부는 개방된 채로 남겨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2 절결부는 비대칭 본체 콘(102)의 미사용 절결부(105)에 보강부 또는 커버 플레이트를 위치설정시킴으로써 채워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제2 절결부는 제1 절결부에 직접적으로 대향하지 않고, 오히려 본체 콘(102) 내의 제1 및 제2 절결부의 위치설정은 비대칭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절결부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본체 콘의 길이방향 축선(109)(도 1b)까지 선형으로 형성된 각도인 절결부 중심 분리 각도는 180도보다 작다. 비교를 위해, 도 6은 서로 직접적으로 반대편에 위치설정된 2개의 절결부를 갖는 본체 콘의 예를 도시한다(예를 들어, 절결부 중심 분리 각도는 180°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부(200)가 본체 콘의 절결부에 안착될 때, 보강부의 상부 표면(또는 "근위 표면")은 본체 콘의 상부 표면(또는 "근위 표면")과 일치하고, 보강부의 에지는 본체 콘에 보강부를 보유하는 본체 콘 상의 절결부의 에지의 대응하는 구조부에 가깝게 근접하여 및/또는 그와 접촉하여 위치설정된다. 본 예에서, 본체 콘의 에지들 상의 구조부의 형상은 "도브테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본체 콘 상에 보강부(200)를 유지하기 위해 함께 정합하는 보강부 및 본체 콘 상의 대응하는 구조부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는 비대칭 본체 콘(102)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105, 110)들은, 절결부(105, 110)들 사이의 벽(108)의 제1 부분(151)이 벽(108)의 제2 부분(150)보다 거리(즉, 절결부(105, 110)들의 수직 에지들 사이의 벽의 원주방향 길이(run))가 더 짧도록, 본체 콘(101)의 벽(108)에 배열된다. 본체 콘(102)은 시멘트가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구조부가 접촉할 수 있는 내부 벽(133)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세팅될 때 본체 콘의 축선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본체 콘(102)은 본체 콘(102)의 근위 단부(103)로부터 원위 단부(104)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119)(본 예에서는 3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리브(119)는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리브(119)는 경사질 수 있지만 여전히 수직 측면을 갖는 표면을 갖는다. 본체 콘(102)은 또한 본체 콘(102)의 내측 표면(113)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복수의 시멘트 맨틀 단차부(114), 예를 들어 3개의 시멘트 맨틀 단차부(11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부분(102)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설정된 절결부(105, 110)들은 절결부들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 킬(baseplate keel)을 수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 참조).
도 6은 대칭 본체 콘(101)의 제1 절결부(105)에 위치설정된 보강부(200)를 갖는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예에서, 본체 콘의 제2 절결부(110)는 본체 콘의 제1 절결부(105)에 직접적으로 대향하여 위치설정된다. 제2 절결부(110)는 그 안에 위치설정된 보강부를 가지지 않는다. 보강부가 본체 콘의 절결부에 안착될 때, 보강부(200)의 상부 표면(또는 "근위 표면")(220)은 본체 콘(101)의 상부 표면("근위 표면")(125)과 일치하고, 보강부(200)의 에지(210)는 본체 콘(101) 상의 제1 절결부(105)의 에지(106)의 대응하는 구조부에 가깝게 근접하여 및/또는 접촉하여 위치설정되고, 이는 보강부(200)를 본체 콘(101) 내에 유지한다. 도 6은 또한, 본체 부분 상에 보강부를 유지하기 위해 함께 정합하는 보강부(200) 상의 그리고 본체 부분 상의 대응하는 구조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 보강부는 보강부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착 특징부(218)를 포함하며, 이는 절결부의 에지 상의 콘 벽(108)의 홈(116) 내로 끼워진다.
도 7은 본체 콘(102)의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콘(102)의 내부 표면(113)은 원주방향 시멘트 맨틀 단차부(114)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차부는 내부 표면(113)을, 단차부가 근위 단부(103)로부터 원위 단부(104)로 진행함에 따라, 본체 콘(102)의 축선방향 경도를 향해 더 내측으로 연장한다. 이 단면도는 또한 본체 콘의 외부 표면의 일부 상의 골 성장 코팅(135)을 도시하며, 이는 상부(근위) 링(111)과 하부(원위) 링(112) 사이에 포함된다. 도 7은 또한 본체 콘(102) 외부 벽이 근위 단부(103)로부터 원위 단부(104)까지 각도(A)만큼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것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각도(A)는 0° 내지 30°, 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또는 30°,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0.5°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각도(A)는 5° 내지 15°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각도(A)는 8° 내지 12°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각도(A)는 9° 내지 11°이다.
도 8은 본체 콘(102)의 일례를 도시하는 다른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본체 콘(102)은 또한 시멘트 맨틀 단차부(114)와, 상부 링(111)과 하부 링(112) 사이에 포함되는 본체 콘의 외부 표면의 일부 상에 골 성장 코팅(135)(예를 들어, 다공성 격자 표면)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본체 콘(120)은 또한 본체 콘(102)의 근위 단부(103)로부터 원위 단부(104)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연장되고, 내부 벽(113)으로부터 본체 콘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수직") 리브(119)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리브(119)는 0.5mm, 1mm, 2mm, 3mm, 4mm, 5mm, 6mm, 7mm, 8mm, 또는 9mm,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0.5mm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브(119)는 내부 벽(113)으로부터 1mm 내지 4mm 연장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본체 콘은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축선방향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19)는 시멘트가 들러붙기 위한 수직 측면을 갖는 표면을 제공하며, 이는 환자에게 이식될 때 본체 콘의 회전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돕도록 힘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도 9는 시멘트 맨틀 단차부(114)와, 본체 콘의 외부 표면의 일부 상의 골 성장 코팅(135)(예를 들어, P2)을 또한 갖는,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리브(119)를 갖는 본체 콘(102)의 예를 도시하는 다른 측단면도이다. 본 예에서, 본체 콘은 상부 링 또는 하부 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골 성장 코팅(135)은 본체 콘의 근위 단부(103)로부터 본체 콘(102)의 원위 단부(104)로 외부 표면 상에서 연장된다.
도 10은 비대칭 본체 콘(102), 본체 콘(102)의 제1 절결부(105)에 위치설정된 제1 보강부(200a), 및 본체 콘(102)의 제2 절결부(110)에 위치설정된 제2 보강부(200b)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또한 본 예에서, 본체 콘(102)과 제1 및 제2 보강부(200a, 200b)들이 이들 구성요소의 외부 부분들, 즉,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이 환자에게 이식될 때 뼈와 접촉/또는 인접할 이들 구성요소의 부분들 상에 골 성장 표면(135)을 포함한다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도 10의 실시형태는 본체 콘(102)의 내벽(113)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3개의 리브(119)를 추가로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이들 2개의 구성요소가 함께 사용되는 상황을 도시하기 위해, 내부에 위치설정된 경골 임플란트(260)를 갖는 본체 콘(102)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내부에 위치설정된 경골 임플란트(260)를 갖는 본체 콘(102)의 예의 측면도이다. 경골 임플란트(260)는 본체 콘(102)의 근위 단부에 위치설정된 상부 부분(264), 및 본체 콘(102)의 원위 단부(104)에서 구멍(121)을 통해 본체 콘(102)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부분(266)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경골 임플란트(260)의 킬 부분(262)은 본체 콘의 벽들에서 제1 절결부 및 제2 절결부를 통해 연장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 콘(102) 및 경골 임플란트(260)의 측면도이며, 여기서 도 12의 측면도는 이들 정합된 구성요소의 상이한 측면도를 나타내기 위해 대략 70도 축선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본체 콘(102) 및 경골 임플란트(26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 콘(102) 및 경골 임플란트(260)의 저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골 임플란트(260)는 본체 콘(102)의 근위 단부(103)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되는 하부 표면(268)을 포함한다. 도 14는 또한 본체 콘(102)이 비대칭 콘이며, 제1 절결부의 에지와 제2 절결부의 에지 사이에 긴 벽(150)을 가지며, 제1 절결부(105)의 다른 에지와 제2 절결부(110)의 다른 에지 사이에 짧은 벽(151)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스(300)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무릎 교정 수술은 일부 또는 전체 무릎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새로운 임플란트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외과 수술의 특정 요건에 기초한 다양한 유형의 교정 콘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수술 전 계획, 특수 임플란트 및 도구를 필요로 할 수 있는 복잡한 외과 수술일 수 있다.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은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가 손에(on-hand)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외과 수술을 위해 필요할 때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해 무릎을 준비하는 단계의 예에서, 경골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경골의 중심 부분을 천공하기 위해 스템 림(stem ream)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경골의 근위 단부의 일부를 리밍(ream)하기 위해 콘 림(cone ream)이 사용되어 본체 콘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생성한다. 보강 림(augement ream)은 보강 콘을 수용하기 위해, 콘에 대한 공동에 인접한 작은 공동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300)의 블록(305)에서, 모듈형 콘 보강 시스템이 제공된다. 모듈형 콘 보강 시스템은 본체(교정) 콘 및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본체 콘 및 보강부(예를 들어, 도 10 참조)가 있다. 블록(310)에서, 제1 보강부는 본체 콘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본체 콘의 제1 절결부에 위치설정된다. 본체 콘과 보강부 각각은 공동을 포함하고, 제1 보강부를 본체 콘의 제1 절결부에 고정하는 것은 본체 콘의 내부 표면과 보강부의 내부 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결합된 공동을 형성하며, 결합된 공동은 본체 콘의 공동보다 크다. 블록(315)에서, 선택적으로 제2 보강 콘이 본체 콘의 제2 절결부에 위치설정된다. 제2 보강부를 본체 콘에 부착하는 것은 콘/보강부들의 결합된 공동의 체적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제2 보강부는 또한 부착 구조(예를 들어, 나사, 핀, 클립, 또는 또 다른 체결구)를 사용하여 본체 콘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조립된 콘/보강 시스템은 환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듈형 무릎 보강 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다른 프로세스(350)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프로세스(350)의 블록(355)에서, 모듈형 콘 보강 시스템이 제공된다. 모듈형 콘 보강 시스템은 본체(교정) 콘 및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체 콘 및 보강부(예를 들어, 도 10 참조)가 있다. 블록(360)에서, 보강부는 본체 콘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본체 콘의 절결부에 위치설정된다. 본체 콘과 보강부 각각은 공동을 포함하고, 보강부를 본체 콘의 제1 절결부 내로 고정하는 것은 본체 콘의 내부 표면과 보강부의 내부 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결합된 공동을 형성하며, 결합된 공동은 본체 콘의 공동보다 크다. 블록(365)에서, 본체 콘 및 부착된 보강부는 예를 들어 무릎 교정 수술 동안에 환자 내에 위치설정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특정 실시형태들을 기술한다. 그러나, 전술한 것이 텍스트로 아무리 상세히 나타나더라도,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은 많은 방식들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특징들 또는 양태들을 설명할 때 특정 용어의 사용은 그 용어가 연관되는 기술의 특징들 또는 양태들의 임의의 특정 특성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도록 그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재-규정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도록 취해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다른 것들 중에서도 특히, "can", "could", "can", "might" 또는 "may"와 같은 조건부 언어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특정 실시형태들이 특정 특징들,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한편, 다른 실시형태들은 이들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문맥 내에서 달리 이해된다. 따라서, 그러한 조건부 언어는, 특징들,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대해 임의의 방식으로 요구된다는 것,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가 사용자 입력 또는 프롬프팅(prompting)을 갖거나 갖지 않고서 이들 특징들,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이 임의의 특정 실시형태에 포함되거나 또는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을 반드시 포함한다는 것을 암시하도록 일반적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제목은 참조를 위해 그리고 다양한 섹션들을 찾는 것을 돕기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들 제목은 그에 관하여 설명된 개념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그러한 개념들은 전체 명세서 전반에 걸쳐 적용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문구 "X, Y, 또는 Z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분리 언어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아이템, 용어 등이 X, Y, 또는 Z,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예를 들어, X, Y, 및/또는 Z)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맥과 달리 이해된다. 따라서, 그러한 분리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실시형태들이 X 중 적어도 하나, Y 중 적어도 하나, 또는 Z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존재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그렇지 않아야 한다.
문구 "기초한다(based on)"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그것만에 기초한다(based only on)"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기초한다"라는 문구는 "그것만에 기초한다"와 "적어도 그것에 기초한다(based at least on)"를 모두 설명한다.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a" 또는 "an"과 같은 관사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재된 항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구성된 장치(a device configured to)"와 같은 문구는 하나 이상의 인용된 장치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설명된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실시형태들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 포함된 부분들은 다른 실시형태들과 상호교환가능하고; 도시된 실시형태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은 임의의 조합으로 다른 도시된 실시형태들과 함께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되거나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은 다른 실시형태들에 결합, 교환 또는 배제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여러 방법 및 재료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방법 및 재료의 변경뿐만 아니라 제작 방법 및 장비의 변경을 허용한다. 그러한 변경은 본 개시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를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지만, 첨부된 청구항에서 구체화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모든 수정들 및 대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출원인은 신규하고 명백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는 개시된 발명의 조합 및 하위 조합에 관한 청구권을 제출할 권리를 보유한다. 특징, 기능, 요소 및/또는 특성의 다른 조합 및 하위 조합으로 구현된 발명은 본 출원 또는 관련 출원에서 이들 청구항의 수정 또는 새로운 청구항의 제시를 통해 청구될 수 있다. 그러한 수정된 또는 새로운 청구항들은, 그것들이 동일한 발명 또는 상이한 발명에 관한 것인지 여부, 그리고 그들이 원래의 청구항들에 대해 범위가 상이한지, 더 넓은지, 더 좁은지 또는 동일한지 여부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들의 주제 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또 다른 예는, 다음의 열거된 실시형태들(Example Enumerated Embodiments, EEE)에 의해, 제한 없이, 규정된다:
EEE1.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콘 벽을 포함하는 본체 콘으로서, 상기 본체 콘은 콘 벽에 제1 절결부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절결부에 근접한 콘 벽의 일부는 콘 벽 부착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과; 제1 절결부에 위치설정 가능한 제1 보강 콘으로서, 상기 제1 보강 콘은 제1 절결부 내에 제1 보강 콘을 부착시키기 위해 콘 벽 부착 특징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보강 부착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 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
EEE2.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의 원주는 본체 콘의 원위 단부의 원주보다 크다.
EEE3.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 콘은 콘 벽 내에 제2 절결부를 더 포함하고, 제2 절결부에 근접한 콘 벽의 일부는 콘 벽 부착 구조부를 포함한다.
EEE4. EEE3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절결부는 콘 벽의 제2 절결부의 반대편에 위치설정된다.
EEE5. EEE3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절결부 및 제2 절결부는, 제1 절결부의 제1 에지와 제2 절결부의 인접한 제1 에지와의 사이의 콘 벽의 일부가 제1 절결부의 제2 에지와 제2 절결부의 인접한 제2 에지와의 사이의 콘 벽의 일부보다 크도록, 콘 벽에 위치설정된다.
EEE6.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 콘은 본체 콘의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한 본체 콘의 단면이고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EEE6.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절결부는 본체 콘의 근위 단부로부터 본체 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지만, 본체 콘의 원위 단부에 도달하지 않는다.
EEE7.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절결부는 본체 콘의 원위 단부로부터 본체 콘의 근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지만, 본체 콘의 근위 단부에 도달하지 않는다.
EEE8.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를 따른 제1 절결부의 폭 치수는 15mm 내지 30mm이다.
EEE9.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 콘의 근위 단부로부터 본체 콘의 원위 단부를 향한 제1 절결부의 범위를 따른 제1 절결부의 길이 치수는 15mm 내지 30mm이다.
EEE10: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보강 콘을 본체 콘의 제1 절결부 내로 위치설정하는 단계, 및 본체 콘을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EEE11.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보강 콘을 제1 절결부에 위치설정함으로써,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조립하는 단계, 및 본체 콘과 제1 보강 콘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준비된 공간 내로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EEE12.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EEE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보강 콘을 본체 콘의 제1 절결부 내로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laims (20)

  1.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modular augment cone system)으로서,
    근위 단부(proximal end), 원위 단부(distal end), 및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콘 벽을 포함하는 본체 콘(main body cone)으로서, 상기 본체 콘은 상기 콘 벽에 제1 절결부(cutout)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결부에 근접한 상기 콘 벽의 일부는 콘 벽 부착 특징부(cone wall attachment feature)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제1 절결부에 위치설정 가능한 제1 보강 콘(augment cone)으로서, 상기 제1 보강 콘은 상기 제1 절결부 내에 상기 제1 보강 콘을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콘 벽 부착 특징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보강 부착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
    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콘은 상기 콘 벽에 제2 절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결부에 근접한 상기 콘 벽의 일부는 콘 벽 부착 구조부(cone wall attachment structure)를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는, 상기 제1 절결부의 제1 에지와 상기 제2 절결부의 인접한 제1 에지와의 사이의 상기 콘 벽의 일부가 상기 제1 절결부의 상기 제2 에지와 상기 제2 절결부의 인접한 제2 에지와의 사이의 상기 콘 벽의 일부보다 크도록, 상기 콘 벽에 위치설정되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은 상기 제2 절결부에 위치설정 가능한 제2 보강 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강 콘은 상기 제2 절결부 내에 상기 제2 보강 콘을 부착하기 위해 상기 콘 벽 부착 구조부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보강 부착 구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콘의 상기 콘 벽은 다공성 코팅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은 상기 본체 콘의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은 상기 본체 콘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은 상기 본체 콘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 콘은 상기 콘 벽의 외부 표면 상에서 상기 본체 콘의 원위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원위 링 구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코팅은 상기 원위 링 구조부로 연장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 콘은 상기 콘 벽의 외부 표면 상에서 상기 본체 콘의 근위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근위 링 구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코팅은 상기 근위 링 구조부로 연장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 콘은 상기 콘 벽의 외부 표면 상에서 상기 본체 콘의 근위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근위 링 구조부, 및 상기 콘 벽의 외부 표면 상에서 상기 본체 콘의 원위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원위 링 구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코팅은 상기 근위 링 구조부와 상기 원위 링 구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콘은 다공성 코팅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콘은 상기 본체 콘의 내부 벽 상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설정된 하나 이상의 리브(rib)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는 유착(adhesive)이 들러붙게(purchase) 허용하는 표면을 제공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 벽 부착 특징부는 슬롯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 상의 부착 특징부는 상기 콘 벽 부착 특징부의 슬롯 내에 끼워지는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 상의 부착 특징부는 슬롯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 벽 부착 특징부는 슬롯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콘 벽 부착 특징부는 상기 보강부 상의 부착 특징부의 슬롯 내로 끼워지는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코드 시스템.
  19.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청구항 1의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본체 콘의 제1 절결부 내로 보강 콘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 콘 및 부착된 보강 콘을 무릎 교정 수술 동안에 환자 내로 위치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으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콘 벽을 포함하는 본체 콘으로서, 상기 본체 콘은 보강 콘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콘 벽 내의 제1 절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결부에 근접한 상기 콘 벽의 일부는 상기 보강 콘을 상기 콘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
    을 포함하는, 모듈형 보강 콘 시스템.
KR1020227029721A 2020-01-29 2021-01-28 모듈형 무릎 보강 콘 KR202201347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67342P 2020-01-29 2020-01-29
US62/967,342 2020-01-29
PCT/US2021/015517 WO2021155014A1 (en) 2020-01-29 2021-01-28 Modular knee augment co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766A true KR20220134766A (ko) 2022-10-05

Family

ID=7696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721A KR20220134766A (ko) 2020-01-29 2021-01-28 모듈형 무릎 보강 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60199B2 (ko)
EP (1) EP4096584A4 (ko)
JP (1) JP2023512050A (ko)
KR (1) KR20220134766A (ko)
AU (1) AU2021212170A1 (ko)
WO (1) WO2021155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6098A1 (de) * 2020-05-14 2021-11-18 Aesculap Ag Knochenimplantatsystem
US20230190475A1 (en) * 2021-12-21 2023-06-22 Lindsay L. GILSON Modular tibial cone augments and method of surgically using the same
US20230277325A1 (en) * 2022-03-07 2023-09-07 Howmedica Osteonics Corp. Hybrid Knee Prosthesi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335A (en) * 1986-12-15 1988-03-01 Jurgutis John A Hip prosthesis
US20030065397A1 (en) 2001-08-27 2003-04-03 Hanssen Arlen D. Prosthetic implant support structure
US20040162619A1 (en) 2001-08-27 2004-08-19 Zimmer Technology, Inc. Tibial augments for use with knee joint prostheses, method of implanting the tibial augment, and associated tools
US7291174B2 (en) 2002-09-09 2007-11-06 Depuy Products, Inc. Prosthetic tibial component with modular sleeve
US7892290B2 (en) * 2004-05-28 2011-02-22 Smith & Nephew, Inc. Fluted sleeve hip prosthesis for modular stem
US8366782B2 (en) 2004-08-05 2013-02-05 Depuy Products, Inc. Modular orthopaedic implant system with multi-use stems
US8157869B2 (en) * 2007-01-10 2012-04-17 Biomet Manufacturing Corp. Knee joint prosthesis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ation
EP2394607B1 (en) 2008-06-03 2016-08-24 DePuy (Ireland) Porous titanium tibial sleeves
WO2012162180A1 (en) * 2011-05-20 2012-11-29 Zimmer, Inc. Stabilizing prosthesis support structure
EP2797520A1 (en) 2011-12-30 2014-11-05 Howmedica Osteonics Corp. Systems for preparing bone voids to receive a prosthesis
EP2812357B1 (en) 2012-02-10 2020-11-04 F.Hoffmann-La Roche Ag Single-chain antibodies and other heteromultimers
US9526513B2 (en) 2013-03-13 2016-12-27 Howmedica Osteonics Corp. Void filling joint prosthesis and associated instruments
US10596009B2 (en) * 2013-03-15 2020-03-24 Smith & Nephew, Inc. Knee augment
EP3071153B1 (en) * 2013-11-13 2018-06-06 Zimmer, Inc. Augment system for an implant
AU2015237852B2 (en) * 2014-03-27 2018-11-15 Medacta International Sa Multi-layered prosthetic element
CN107530170B (zh) * 2015-05-13 2021-09-21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解剖学成形的增强物
CN107567321B (zh) * 2015-05-13 2022-08-23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解剖学去除的增强物
CN106304107B (zh) 2015-06-29 2020-06-23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站布局方法及系统
US10603180B2 (en) * 2017-07-17 2020-03-31 Aaron MARLOW Tapered fixation device for a knee replacement
KR102413389B1 (ko) * 2020-11-10 2022-06-29 주식회사 코렌텍 모듈러 오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1793A1 (en) 2023-09-28
US20210228366A1 (en) 2021-07-29
WO2021155014A1 (en) 2021-08-05
US11660199B2 (en) 2023-05-30
AU2021212170A1 (en) 2022-08-11
EP4096584A4 (en) 2024-02-21
EP4096584A1 (en) 2022-12-07
JP2023512050A (ja)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4766A (ko) 모듈형 무릎 보강 콘
CN107072791B (zh) 关节窝植入物
US7749274B2 (en) Intervertebral cage with medial fixing plate
EP3089709B1 (en) Reverse shoulder systems
EP3231396B1 (en) Components for artificial joints
US10575958B2 (en) Augment insert, shoulder prosthesis and kit comprising the augment insert
EP3053549B1 (en) Glenoid defect-filling component
US11602436B2 (en) Expandable vertebral body replacement device and method
CN110772360A (zh) 模块化肩关节假体的基板和用于将其植入的相关方法
US20220000641A1 (en) Acetabular liner
JP5238345B2 (ja) モジュール式補綴コンポーネント
KR102413389B1 (ko) 모듈러 오그먼트
US11000378B2 (en) Acetabular surgical implant for segmental pelvic defect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KR20190045646A (ko) 인공견관절의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US9943413B2 (en) Revision stepped tibial implant
US20200038190A1 (en) Acetabular prosthesis including modular component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