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385A -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 Google Patents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385A
KR20220134385A KR1020210039986A KR20210039986A KR20220134385A KR 20220134385 A KR20220134385 A KR 20220134385A KR 1020210039986 A KR1020210039986 A KR 1020210039986A KR 20210039986 A KR20210039986 A KR 20210039986A KR 20220134385 A KR20220134385 A KR 20220134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late
coffee beverage
main body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영
장문
임동희
이상희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385A/ko
Publication of KR2022013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1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cold condition, e.g. ice and ice crea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4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음료 제조장치의 전면부에 최대한 많은 수의 커피 음료 수취부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고 양측면은 밀폐된 형태로 구비되며, 로봇에 의해 이동된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 상에 직립되어, 상기 안착판과 함께 회전되는 위상에 따라서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셔터판; 및 상기 안착판과 셔터판을 회전시키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Rotary type coffee beverage receiver}
본 발명은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음료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커피 음료를 주문자가 수취할 수 있도록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커피를 판매하는 커피 전문점 또한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커피 전문점에서는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마끼야또, 카푸치노 등 다양한 종류의 원두커피와, 다양한 종류의 향료와 색소를 포함한 시럽이 첨가된 음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종래 커피 전문점에서는 바리스타의 수작업에 의해 커피 음료를 제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커피 음료의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 절감을 위한 목적으로, 소비자가 주문한 커피 음료를 로봇을 이용하여 무인으로 제조 및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피 음료 제조장치의 전면부에는 소비자가 주문한 커피 또는 음료를 수취하기 위한 커피 음료 수취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종래의 커피 음료 수취부는 로봇에 의해 이동된 커피 음료가 수용된 컵이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을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상기 안착판 상측 공간의 전면부를 개폐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커피 음료 수취부의 구조에 의하면, 커피 음료 제조장치의 전면부에 커피 음료 수취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커피 음료 수취부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커피 음료 제조장치의 전면부에 설치 가능한 커피 음료 수취부의 개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커피 음료 제조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30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4778호 등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피 음료 제조장치의 전면부에 최대한 많은 수의 커피 음료 수취부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은 밀폐된 형태로 구비되며, 로봇에 의해 이동된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 상에 직립되어, 상기 안착판과 함께 회전되는 위상에 따라서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셔터판; 및 상기 안착판과 셔터판을 회전시키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판은 수평하게 배치된 원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판은 상기 안착판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 상에 직립된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상기 안착판 상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판이 상기 본체의 전면을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후면을 개방하는 제1위치로 회전되어 위치하고,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상기 안착판 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을 주문자가 수취할 수 있도록 상기 셔터판이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후면을 밀폐하는 제2위치로 회전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 상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주문자에 의해 수취되면, 상기 셔터판은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감지수단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셔터판이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와, 상기 컵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컵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셔터판의 상단에는 원형판으로 이루어져 수평하게 배치된 셔터 상판이 결합되고, 상기 셔터 상판의 상부에는 상기 셔터 상판의 회전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셔터 상판과 상기 커버에는, 상기 셔터판이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셔터 상판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잠금되고, 상기 셔터판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동안에는 상기 셔터 상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잠금해제되는 잠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셔터 상판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셔터 상판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된 돌기와, 상기 셔터 상판의 회전 시 상기 돌기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상기 커버에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를 상기 돌기와 걸림되는 잠금위치와 상기 돌기와 걸림해제되는 잠금해제위치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스토퍼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셔터 상판이 회전된 위상을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감지수단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잠금위치 또는 잠금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에 의하면, 커피 음료 수취부를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커피 음료 수취부가 차지하는 높이를 줄임으로써 커피 음료 제조장치 전면의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수의 커피 음료 수취부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가 커피 음료 제조장치에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 1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의 (a) 사시도 및 (b)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의 전면이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측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의 전면이 닫힌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면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의 스토퍼 구동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의 스토퍼가 잠금위치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의 스토퍼가 잠금해제위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의 제어 블록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70)가 적용되는 일 실시예로서, 커피 음료 제조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커피 음료 제조장치(1)는, 소비자가 주문한 커피 또는 음료를 로봇(2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조 및 공급하기 위한 자동화 장치로서, 부스(Booth)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커피 음료를 제조 및 공급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의 중간 패널(11) 상에 구비되어 소비자가 주문한 커피 음료를 수용하는 컵(C)을 집게 형태의 파지부(21)로 파지하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로봇(20), 상기 로봇(20)에 의해 파지될 컵(C)을 상하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적재하며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컵 디스펜서(30), 소비자가 주문한 커피를 추출하여 공급하는 커피 머신(40), 소비자가 주문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디스펜서(50), 소비자가 냉커피 또는 냉음료를 주문한 경우에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제빙기(60),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제조된 커피 음료를 주문자가 수취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커피 음료 수취부(70), 커피 음료의 제조 시에 제조 불량이 발생한 커피 음료 또는 주문자가 일정 시간 동안 주문한 커피 음료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 커피 음료를 폐기하는 커피 음료 폐기부(81)와 컵(C)을 폐기하는 컵 폐기부(82)를 포함하는 폐기부(80), 및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소비자가 원하는 커피 음료의 종류를 선택하여 주문하고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주문단말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7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70)는, 다수개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70-1,70-2,70-3,70-4,70-5,70-6)가 커피 음료 제조장치(1)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70)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100)의 전면(S1)을 개폐하는 셔터(200), 및 상기 셔터(200)의 상부에 결합된 커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양측단에서 상측으로 직립되도록 결합된 측면판(120,130) 및 상기 측면판(120,130)의 상단에 결합된 상판(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면(S1)과 후면(S2)이 개방되고 양측면은 상기 측면판(120,130)에 의해 밀폐된 형태로 구비되며, 로봇(20)에 의해 이동된 커피 음료가 담긴 컵(C)이 수용되는 공간(S)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10)의 상면 중앙부에는 원형의 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홈(111)의 중앙부에는 축관통홀(112)과 그 둘레로 원형의 돌출턱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113)의 양측으로 홈(111)의 상면에는 한 쌍의 간격유지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10)의 상면에는 셔터(200)의 안착판(210)이 안착되는데, 상기 안착판(210)은 상기 홈(111)이 형성된 부위의 둘레에 안착되고, 상기 안착판(210)의 저면에는 상기 간격유지돌기(114)가 점접촉되므로, 상기 안착판(210)의 회전 시 바닥판(110)과의 마찰을 줄여 안착판(21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축관통홀(112)에는 셔터 구동부(240)의 종동축(245)이 아래에서 위로 관통되고, 상기 돌출턱(113)의 내측에는 안착판(210)의 저면에 형성된 원형의 돌출부(미도시됨)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측면판(120,130)에는 커피 음료가 담긴 컵(C)이 상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수단(121,122)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감지수단(121,122)은 발광부(121-1)와 수광부(121-2)로 이루어진 광센서(121)와, 컵(C)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컵(C)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1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감지수단(121,122)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400)로 송출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제1감지수단(121,122)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준으로 셔터 구동부(2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상판(140)의 중앙에는 셔터(200)의 셔터 상판(230)이 관통하는 개구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200)는, 상기 본체(100) 내부 공간(S)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C)이 안착되는 안착판(210)과, 상기 안착판(210)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 상에 직립되어, 상기 안착판(210)과 함께 회전되는 위상에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S1)을 개폐하는 셔터판(220)과, 상기 셔터판(2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셔터 상판(230), 및 상기 안착판(210)과 셔터판(220) 및 셔터 상판(230)을 회전시키는 셔터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안착판(210)과 셔터 상판(230)은 수평하게 배치된 원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판(220)은 상기 안착판(210)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 상에 직립되어 상기 셔터 상판(230)에 결합된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셔터 구동부(240)는, 구동모터의 구동축(241)에 결합된 제1풀리(242)와, 상기 제1풀리(242)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243)와, 상기 제1풀리(242)의 동력을 상기 벨트(243)를 통하여 전달받는 제2풀리(244)와, 상기 제2풀리(244)의 회전중심에 결합된 종동축(245), 및 상기 종동축(245)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체결홀(246)을 포함한다. 상기 종동축(245)은 전술한 본체(100)의 바닥판(110) 중앙에 형성된 축관통홀(112)을 관통하고, 상기 축관통홀(112)을 관통한 종동축(245)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홀(246)에는, 상기 셔터(200)의 안착판(2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1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12)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C)이 상기 안착판(210) 상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판(220)이 상기 본체(100)의 전면(S1)을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0)의 후면(S2)을 개방하는 제1위치로 회전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C)이 상기 안착판(210) 상에 위치하게 되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C)을 주문자가 수취할 수 있도록 상기 셔터판(220)이 상기 본체(100)의 전면(S1)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0)의 후면(S2)을 밀폐하는 제2위치로 회전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판(210) 상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C)이 주문자에 의해 수취되면, 상기 셔터판(220)은 다시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전술한 제1감지수단(121,122)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셔터판(220)이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240)의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도 6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셔터 상판(230)에는 상기 셔터 상판(230)의 회전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 회전축(2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231)을 기준으로 대향된 위치의 셔터 상판(230)에는 한 쌍의 돌기(234)와 한 쌍의 피감지편(23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231)의 둘레로 셔터 상판(230)에는 4개의 홀(233)이 90°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300)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 회전축(231)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부 회전축 삽입홀(30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300)에는 상기 셔터 상판(230)이 회전된 위상을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수단(310,320)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감지수단(310,320)은, 상기 셔터 상판(230)에 형성된 한 쌍의 피감지편(232)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310)와, 상기 셔터 상판(230)에 형성된 홀(233)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3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감지수단(310,32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400)로 송출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제2감지수단(310,320)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준으로 스토퍼 구동부(3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셔터 상판(230)과 커버(300)에는, 상기 셔터판(220)이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셔터 상판(23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잠금되고, 상기 셔터판(220)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동안에는 상기 셔터 상판(2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잠금해제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셔터 상판(23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셔터 상판(23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된 돌기(234)와, 상기 셔터 상판(230)의 회전 시 상기 돌기(234)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상기 커버(300)에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스토퍼(336)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336)를 상기 돌기(234)와 걸림되는 잠금위치(도 10 참조)와 상기 돌기(234)와 걸림해제되는 잠금해제위치(도 11 참조)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스토퍼 구동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2감지수단(310,32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336)가 상기 잠금위치 또는 잠금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동부(33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 구동부(330)는, 솔레노이드(331)와, 상기 솔레노이드(331)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후진 구동되는 로드(332)와, 상기 로드(332)에 나란하게 결합된 제1링크부재(333)와, 상기 링크부재(333)의 단부가 중간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제2링크부재(334)와, 상기 제2링크부재(334)의 타측단에 구비되어 제2링크부재(334)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힌지부(335)와, 상기 제2링크부재(334)의 일측단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300)에 형성된 관통구(30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스토퍼(336)와, 상기 제2링크부재(334)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링크부재(334)의 양방향 회동 시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 부재(337), 및 기 솔레노이드(331)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336)가 상기 돌기(234)에 걸림되는 잠금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2링크부재(334)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338)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셔터(20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331)에 전류가 차단되고, 로드(332)와 제1링크부재(333) 및 제2링크부재(334)는 탄성부재(338)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당겨져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2링크부재(334)는 힌지부(335)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토퍼(336)는 돌기(234)의 회전궤적(L)과 대응되는 잠금위치에 있게 되므로, 스토퍼(336)와 돌기(234)가 걸림되어 셔터 상판(230) 및 이에 결합된 셔터(200)의 회전이 방지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셔터(20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되거나,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회전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331)에 전류가 인가되고, 로드(332)와 제1링크부재(333) 및 제2링크부재(334)는 탄성부재(338)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2링크부재(334)는 힌지부(335)를 중심으로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토퍼(336)는 돌기(234)의 회전궤적(L)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잠금해제위치에 있게 되므로, 스토퍼(336)와 돌기(234)가 걸림해제되어 셔터 상판(230) 및 이에 결합된 셔터(20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커피 음료 수취부(70)를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커피 음료 수취부(70)가 차지하는 높이를 줄임으로써 커피 음료 제조장치(1) 전면의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수의 커피 음료 수취부(70-1,70-2,70-3,70-4,70-5,70-6)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커피 음료 제조장치 10 : 커피 음료 제조장치의 본체
20 : 로봇 21 : 파지부
30 : 컵 디스펜서 40 : 커피 머신
50 : 음료 디스펜서 60 : 제빙기
70,70-1,70-2,70-3,70-4,70-5,70-6 :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80 : 폐기부 81 : 커피 음료 폐기부
82 : 컵 폐기부 90 : 주문단말기
100 : 커피 음료 수취부의 본체 110 : 바닥판
111 : 홈 112 : 축관통홀
113 : 돌출턱 114 : 간격유지돌기
120,130 : 측면판 121,122 : 제1감지수단
121-1 : 발광부 121-2 : 수광부
140 : 상판 141 : 개구부
200 : 셔터 210 : 안착판
211 : 관통홀 212 : 체결부재
220 : 셔터판 230 : 셔터 상판
231 : 상부 회전축 232 : 피감지편
233 : 홀 234 : 돌기
240 : 셔터 구동부 241 : 구동축
242 : 제1풀리 243 : 벨트
244 : 제2풀리 245 : 종동축
246 : 체결홀 300 : 커버
301 : 상부 회전축 삽입홀 302 : 관통구
310,320 : 제2감지수단 330 : 스토퍼 구동부
331 : 솔레노이드 332 : 로드
333 : 제1링크부재 334 : 제2링크부재
335 : 힌지부 336 : 스토퍼
337 : 댐퍼부재 338 : 탄성부재
400 : 제어부 C : 컵
S : 커피 음료 수취부의 본체 내부 공간
S1 : 커피 음료 수취부의 본체 전면
S2 : 커피 음료 수취부의 본체 후면

Claims (11)

  1.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은 밀폐된 형태로 구비되며, 로봇에 의해 이동된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 상에 직립되어, 상기 안착판과 함께 회전되는 위상에 따라서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셔터판; 및
    상기 안착판과 셔터판을 회전시키는 셔터 구동부;
    를 포함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수평하게 배치된 원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판은 상기 안착판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 상에 직립된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상기 안착판 상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판이 상기 본체의 전면을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후면을 개방하는 제1위치로 회전되어 위치하고,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상기 안착판 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을 주문자가 수취할 수 있도록 상기 셔터판이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후면을 밀폐하는 제2위치로 회전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 상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주문자에 의해 수취되면, 상기 셔터판은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커피 음료가 담긴 컵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감지수단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셔터판이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와, 상기 컵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컵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판의 상단에는 원형판으로 이루어져 수평하게 배치된 셔터 상판이 결합되고,
    상기 셔터 상판의 상부에는 상기 셔터 상판의 회전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상판과 상기 커버에는, 상기 셔터판이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셔터 상판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잠금되고, 상기 셔터판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동안에는 상기 셔터 상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잠금해제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셔터 상판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셔터 상판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된 돌기와, 상기 셔터 상판의 회전 시 상기 돌기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상기 커버에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돌기와 걸림되는 잠금위치와 상기 돌기와 걸림해제되는 잠금해제위치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스토퍼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셔터 상판이 회전된 위상을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감지수단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잠금위치 또는 잠금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KR1020210039986A 2021-03-26 2021-03-26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KR20220134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86A KR20220134385A (ko) 2021-03-26 2021-03-26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86A KR20220134385A (ko) 2021-03-26 2021-03-26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385A true KR20220134385A (ko) 2022-10-05

Family

ID=8359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986A KR20220134385A (ko) 2021-03-26 2021-03-26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43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339B1 (ko) * 2022-10-07 2023-02-07 (주)플레토로보틱스 무인 음료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다회용 컵 출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339B1 (ko) * 2022-10-07 2023-02-07 (주)플레토로보틱스 무인 음료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다회용 컵 출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088B1 (ko) 무인 커피음료 제조시스템
US11220397B2 (en) Container for preparation of a beverage and machine for automated filling of the container
EP0462591B1 (en)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AU777677B2 (en) Vending apparatus for dispensing hot pizzas
KR20220134385A (ko) 회전식 커피 음료 수취부
US20210268648A1 (en) Robot gripper for manufacturing coffee beverages
EP2567643B1 (en) Tea machine base, control method thereof and tea machine
CA2909352A1 (en) Portable coffee brewer
CN107689109A (zh) 一种自动售货机
EP1915076B1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able spouts
CN214226031U (zh) 全自动饮品售卖机
KR102497339B1 (ko) 무인 음료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다회용 컵 출입 장치
KR102429305B1 (ko) 무인카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2562195B (zh) 全自动饮品售卖机
KR102251571B1 (ko) 음료용기 공급장치
CN210783695U (zh) 出杯机构
KR20220146948A (ko) 커피 음료 제조장치
KR20220134383A (ko) 컵 디스펜서
CN209015314U (zh) 送杯压盖机构及现冲饮品售卖机
KR20180043419A (ko) 커피 드립퍼
JP4517990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キャップ装着装置
CN111150360A (zh) 锁止驱动机构、锁止控制系统和洗碗机
CN217365474U (zh) 一种煎烤机
JP2006268258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キャップ装着装置
CN214475292U (zh) 全自动饮品售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