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743A -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743A
KR20220133743A KR1020210157547A KR20210157547A KR20220133743A KR 20220133743 A KR20220133743 A KR 20220133743A KR 1020210157547 A KR1020210157547 A KR 1020210157547A KR 20210157547 A KR20210157547 A KR 20210157547A KR 20220133743 A KR20220133743 A KR 20220133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voice data
nois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493B1 (ko
Inventor
송상엽
천병갑
김광석
정종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주식회사 한컴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주식회사 한컴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Publication of KR2022013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K9/6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 상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상기 정보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 상속자가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전자 단말을 통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을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SERVICE PROVIDING SERVER TO PROVIDE THE DIGITAL WILL SERVICE THAT CAN VERIFY THE AUTHENTICITY OF THE VOICE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가족 간에 재산 상속 문제를 놓고 갈등을 겪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가족 간 재산 다툼을 사전에 예방하려면 생전에 유언을 남겨 놓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수 있다.
보통, 유언의 종류로는 자필증서, 녹음, 공증증서, 비밀증서 및 구수증서가 존재하는데, 녹음기기와 증인 한명만 존재한다면 언제든지 쉽고 간편하게 유언할 수 있는 녹음유언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녹음유언에는 녹음된 음성이 위변조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에, 녹음된 음성이 진본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관련해서, 기존에는 유언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녹음된 음성을 획득한 상속자가 상기 획득한 음성이 진본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려면 소정의 음성 검증기관에 직접 확인을 의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음성에, 사람의 청력으로는 들을 수 없는 주파수 영역에 해당되는 소정의 노이즈 음원을 음성의 진위 확인을 위한 정보로서 삽입해 둠으로써, 추후 이 노이즈 음원을 기초로 상속자가 유언의 음성이 진본이 맞는지 여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유언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녹음된 음성에, 진본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노이즈 음원을 삽입해 두게 되면, 추후에 유언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녹음된 음성을 입수한 상속자가 자신의 전자 단말을 통해, 해당 녹음된 음성에 삽입되어 있는 노이즈 음원을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해당 녹음된 음성이 진본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속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 상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상기 정보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 상속자가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전자 단말을 통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을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디지털 유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 상기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회원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삽입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회원 식별 정보 확인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노이즈(Noise) 음원 - 상기 노이즈 음원은, 사전 설정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둘 이상의 주파수 성분들의 신호가 결합되어 생성된 음원임 - 을 생성하는 노이즈 음원 생성부, 상기 노이즈 음원이 생성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노이즈 음원을 삽입한 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1 노드 장치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제1 등록 요청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지털 유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회원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삽입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노이즈 음원 - 상기 노이즈 음원은, 사전 설정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둘 이상의 주파수 성분들의 신호가 결합되어 생성된 음원임 - 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생성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노이즈 음원을 삽입한 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1 노드 장치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 상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상기 정보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 상속자가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전자 단말을 통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을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111), 회원 식별 정보 확인부(112), 노이즈 음원 생성부(113), 전송부(114) 및 제1 등록 요청부(115)를 포함한다.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111)에는 상기 디지털 유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회원 식별 정보란 각 회원의 ID, 성명, 연락처, 주소 또는 각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의 식별 번호 등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관련해서,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111)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디지털 유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복수의 회원들 회원 식별 정보
회원 1 회원 식별 정보 1
회원 2 회원 식별 정보 2
회원 3 회원 식별 정보 3
... ...
회원 식별 정보 확인부(112)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회원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서,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삽입 명령이 수신되면,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제1 회원을 상기 표 1과 같은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111)에서의 '회원 1'이라고 하고,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회원 1'이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회원 식별 정보 1' 및 '회원 1'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서,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삽입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회원 식별 정보 확인부(112)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회원 식별 정보 1'과 상기 표 1과 같은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 1'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인 '회원 식별 정보 1'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노이즈 음원 생성부(113)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노이즈 음원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노이즈 음원은, 사전 설정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둘 이상의 주파수 성분들의 신호가 결합되어 생성된 음원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은 사람의 청력으로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20,000Hz 이상 25,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사전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이즈 음원 생성부(113)는 정보 저장부(116), 음성 식별 정보 생성부(117) 및 노이즈 음원 생성 처리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116)에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n(n은 3이상의 자연수임)개의 서로 다른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식별 번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사전 설정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20,000Hz 이상 25,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이라고 하고, n을 '5'라고 하는 경우, 정보 저장부(116)에는 하기의 표 2와 같은 '20,000Hz 이상 25,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5개의 서로 다른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5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식별 번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5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식별 번호
부분 주파수 대역 1 (20,000Hz 이상 21,000Hz 미만) 1
부분 주파수 대역 2 (21,000Hz 이상 22,000Hz 미만) 2
부분 주파수 대역 3 (22,000Hz 이상 23,000Hz 미만) 3
부분 주파수 대역 4 (23,000Hz 이상 24,000Hz 미만) 4
부분 주파수 대역 5 (24,000Hz 이상 25,000Hz 미만) 5
음성 식별 정보 생성부(117)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 중 k(k는 2이상 n미만의 자연수임)개의 식별 번호들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상기 k개의 식별 번호들을 성분으로 갖는 k차원의 제1 식별 벡터를,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서 생성한다.
노이즈 음원 생성 처리부(118)는 상기 제1 식별 벡터가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 생성되면, 정보 저장부(116)를 참조하여, 상기 k개의 식별 번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k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k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중심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결합한 신호를, 상기 노이즈 음원으로 생성한다.
관련해서, 이하에서는 음성 식별 정보 생성부(117) 및 노이즈 음원 생성 처리부(118)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회원 식별 정보 확인부(112)에서,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회원 식별 정보 1'과 상기 표 1과 같은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 1'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 1'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음성 식별 정보 생성부(117)는 상기 표 2와 같은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5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인 '1, 2, 3, 4, 5' 중 k개의 식별 번호들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만약, k를 '3'이라고 하고, 음성 식별 정보 생성부(117)에 의해 3개의 식별 번호들이 '2, 3, 5'와 같이 랜덤하게 선택되었다고 하는 경우, 음성 식별 정보 생성부(117)는 상기 3개의 식별 번호들인 '2, 3, 5' 각각을 성분으로 갖는 3차원의 제1 식별 벡터인 '[2 3 5]'를,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음성 식별 정보 생성부(117)에 의해 상기 제1 식별 벡터가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 생성되면, 노이즈 음원 생성 처리부(118)는 상기 표 2와 같은 정보 저장부(116)를 참조하여, 상기 3개의 식별 번호들인 '2, 3, 5' 각각에 대응되는 3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 2와 같은 정보 저장부(116)를 참조하면, 상기 3개의 식별 번호들인 '2, 3, 5' 각각에 대응되는 3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은 '부분 주파수 대역 2, 부분 주파수 대역 3, 부분 주파수 대역 5'이고, '부분 주파수 대역 2, 부분 주파수 대역 3, 부분 주파수 대역 5' 각각의 중심 주파수 성분은 '21,500Hz, 22,500Hz, 24,500Hz'이므로, 노이즈 음원 생성 처리부(118)는 '21,500Hz, 22,500Hz, 24,500Hz'의 신호를 결합한 신호를, 상기 노이즈 음원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노이즈 음원 생성부(113)를 통해 상기 노이즈 음원의 생성이 완료되면, 전송부(114)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노이즈 음원을 삽입한 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한다.
제1 등록 요청부(115)는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되면,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101, 102, 103, 104) 중 어느 하나인 제1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1 노드 장치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에 따라, 노이즈 음원 생성부(113)에 의해 '21,500Hz, 22,500Hz, 24,500Hz'의 신호가 결합된 신호가 상기 노이즈 음원으로 생성되었다고 하는 경우, 전송부(114)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노이즈 음원을 삽입한 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부(114)에 의해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되면, 제1 등록 요청부(115)는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인 '회원 식별 정보 1' 및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인 '[2 3 5]'가 포함된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101, 102, 103, 104) 중 어느 하나인 제1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1 노드 장치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노드 장치는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블록을, 복수의 노드 장치들(101, 102, 103, 104) 중 상기 제1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노드 장치는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제1 트랜잭션과 함께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전 블록의 블록 헤더를 참조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이 포함된 새로운 블록인 상기 제1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제1 노드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블록을 복수의 노드 장치들(101, 102, 103, 104) 중 상기 제1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지시 메시지 전송부(119), 주파수 성분 선택부(120), 확인 벡터 생성부(121), 데이터 검색 요청부(122), 유사도 확인부(123) 및 진본 확인 메시지 전송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시 메시지 전송부(119)는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된 이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 상속자(145)의 제1 전자 단말(150)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서,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을 제1 전자 단말(150)에 사전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주파수 성분 선택부(120)는 상기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가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된 이후, 상속자(145)가,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재생 장치(160)를 통해 출력시키고, 음향 재생 장치(16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제1 전자 단말(150)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식시킴에 따라, 제1 전자 단말(150)로부터,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노이즈 음원을 구성하는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 중 진폭이 큰 순서로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을 선택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단말(150)은 음향 재생 장치(160)를 통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상속자(145)에 의해 음향 재생 장치(16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향 재생 장치(16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인식하여, 인식되는 음향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을 생성한 후,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들 중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을 확인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로 지정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부(114)를 통해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제1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된 이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 상속자(145)의 제1 전자 단말(15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인 '회원 식별 정보 1'이 수신되면서,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지시 메시지 전송부(119)는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을 제1 전자 단말(150)에 사전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지시 메시지 전송부(119)를 통해 상기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가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된 이후, 상속자(145)는,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재생 장치(16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음향 재생 장치(160)를 통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상속자(145)에 의해 음향 재생 장치(16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이 제1 전자 단말(150)에 인가되면, 제1 전자 단말(150)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향 재생 장치(160)에서 출력되는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향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제1 전자 단말(150)은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향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을 생성한 후,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들 중 '20,000Hz 이상 25,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예에 따르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는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노이즈 음원은 '21,500Hz, 22,500Hz, 24,500Hz'의 신호가 결합되어 생성된 신호이므로,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에는 '21,500Hz, 22,500Hz, 24,500Hz'의 주파수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전자 단말(150)이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들 중 '20,000Hz 이상 25,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을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들 중 '20,000Hz 이상 25,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로, '21,000Hz, 21,500Hz, 22,500Hz, 24,500Hz'가 확인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1 전자 단말(150)은 '21,000Hz, 21,500Hz, 22,500Hz, 24,500Hz'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노이즈 음원을 구성하는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로 지정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15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노이즈 음원을 구성하는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로, '21,000Hz, 21,500Hz, 22,500Hz, 24,500Hz'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주파수 성분 선택부(120)는 '21,000Hz, 21,500Hz, 22,500Hz, 24,500Hz' 중 진폭이 큰 순서로 3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을 선택할 수 있다.
관련해서, '21,000Hz, 21,500Hz, 22,500Hz, 24,500Hz'를 진폭이 큰 순서로 나열하면 '21,500Hz, 22,500Hz, 24,500Hz, 21,000Hz'와 같다고 하는 경우, 주파수 성분 선택부(120)는 상기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로, '21,500Hz, 22,500Hz, 24,500Hz'를 선택할 수 있다.
확인 벡터 생성부(121)는 상기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이 선택되면,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중 상기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 각각이 속하는 k개의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을 확인한 후, 상기 k개의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성분으로 갖는 k차원의 확인 벡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검색 요청부(122)는 상기 확인 벡터가 생성되면, 복수의 노드 장치들 (101, 102, 103, 104)중 어느 하나인 제2 노드 장치에 대해, 상기 제2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회신할 것을 요청하는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을 전송한다.
유사도 확인부(123)는 상기 제2 노드 장치가, 상기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검색함에 따라, 상기 제2 노드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검색 결과로 수신되면,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식별 벡터와, 상기 확인 벡터 간의 벡터 유사도를 연산한 후, 상기 벡터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벡터 유사도로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른 코사인 유사도 또는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른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S는 벡터 A와 벡터 B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로,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Ai는 벡터 A의 i번째 성분, Bi는 벡터 B의 i번째 성분을 의미한다. 관련해서, 두 벡터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가 클수록 두 벡터가 서로 유사한 벡터라고 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벡터 A와 벡터 B 사이의 D는 유클리드 거리로, Ai는 벡터 A의 i번째 성분, Bi는 벡터 B의 i번째 성분을 의미한다. 관련해서, 두 벡터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작을수록 두 벡터가 서로 유사한 벡터라고 볼 수 있다.
진본 확인 메시지 전송부(124)는 상기 벡터 유사도가 상기 기준 유사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 것으로 확인한 후,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지시하는 진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관련해서, 이하에서는 확인 벡터 생성부(121), 데이터 검색 요청부(122), 유사도 확인부(123) 및 진본 확인 메시지 전송부(124)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예와 같이, 주파수 성분 선택부(120)에 의해 상기 3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이 '21,500Hz, 22,500Hz, 24,500Hz'와 같이 선택되었다고 하는 경우, 확인 벡터 생성부(121)는 상기 표 2와 같은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5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중 '21,500Hz, 22,500Hz, 24,500Hz' 각각이 속하는 3개의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표 2와 같은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5개의 주파수 대역들 중 '21,500Hz, 22,500Hz, 24,500Hz' 각각이 속하는 부분 주파수 대역은 '부분 주파수 대역 2, 부분 주파수 대역 3, 부분 주파수 대역 5'이므로, 확인 벡터 생성부(121)는 '부분 주파수 대역 2, 부분 주파수 대역 3, 부분 주파수 대역 5'를 상기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확인 벡터 생성부(121)는 '부분 주파수 대역 2, 부분 주파수 대역 3, 부분 주파수 대역 5'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인 '2, 3, 5' 각각을 성분으로 갖는 3차원의 확인 벡터를 '[2 3 5]'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확인 벡터 생성부(121)에 의해 상기 확인 벡터가 생성되면, 데이터 검색 요청부(122)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101, 102, 103, 104)중 어느 하나인 제2 노드 장치에 대해, 상기 제2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인 '회원 식별 정보 1'과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인 '[2 3 5]'를 검색하여 회신할 것을 요청하는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노드 장치는 상기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인 '회원 식별 정보 1'과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인 '[2 3 5]'를 검색한 후,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인 '[2 3 5]'를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 노드 장치가, 상기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검색함에 따라, 상기 제2 노드 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검색 결과로 수신되면, 유사도 확인부(123)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식별 벡터인 '[2 3 5]'와, 상기 확인 벡터인 '[2 3 5]' 간의 벡터 유사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벡터 유사도가 '1'과 같이 연산되었다고 하고, 사전 설정된 기준 유사도가 '0.9'라고 하는 경우, 유사도 확인부(123)는 상기 벡터 유사도인 '1'이 상기 기준 유사도인 '0.9'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벡터 유사도인 '1'이 상기 기준 유사도인 '0.9' 이상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진본 확인 메시지 전송부(124)는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 것으로 확인한 후,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지시하는 진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본 확인 메시지 전송부(124)는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하되,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를 사전 구축된 음성 합성 모델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음성 합성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에 대응되는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에 대응되는 합성 음성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150)로 추가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150)은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와 함께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에 대응되는 합성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를 화면 상에 텍스트로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에 대응되는 합성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속자(145)는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조회 이력 정보 생성부(125) 및 제2 등록 요청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회 이력 정보 생성부(125)는 진본 확인 메시지 전송부(124)를 통해,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가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 완료되면, 제1 전자 단말(150)로부터 제1 전자 단말(15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가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 완료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로 구성된 조회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현재 위치 정보 1'이라고 하고, 상기 시간 정보를 '시간 정보 1'이라고 하는 경우, 조회 이력 정보 생성부(125)는 '현재 위치 정보 1', '시간 정보 1' 및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로 구성된 조회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등록 요청부(126)는 상기 조회 이력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조회 이력 정보가 포함된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101, 102, 103, 104) 중 어느 하나인 제3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3 노드 장치로,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2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3 노드 장치는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3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제2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2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을, 복수의 노드 장치들(101, 102, 103, 104) 중 상기 제3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노드 장치는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제2 트랜잭션과 함께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전 블록의 블록 헤더를 참조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이 포함된 새로운 블록인 상기 제2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제3 노드 장치는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을 복수의 노드 장치들(101, 102, 103, 104) 중 상기 제3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가 제1 전자 단말(150)로 전송 완료되면, 상기 조회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해 둘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상기 디지털 유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를 유지한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회원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삽입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노이즈 음원(상기 노이즈 음원은, 사전 설정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둘 이상의 주파수 성분들의 신호가 결합되어 생성된 음원임)을 생성한다.
단계(S240)에서는 상기 노이즈 음원이 생성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노이즈 음원을 삽입한 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S250)에서는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1 노드 장치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 노드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상기 제1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30)에서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n(n은 3이상의 자연수임)개의 서로 다른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식별 번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 중 k(k는 2이상 n미만의 자연수임)개의 식별 번호들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상기 k개의 식별 번호들을 성분으로 갖는 k차원의 제1 식별 벡터를,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벡터가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 생성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k개의 식별 번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k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k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중심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결합한 신호를, 상기 노이즈 음원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 상속자의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서,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을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사전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상속자가,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재생 장치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음향 재생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식시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노이즈 음원을 구성하는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 중 진폭이 큰 순서로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이 선택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중 상기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 각각이 속하는 k개의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을 확인한 후, 상기 k개의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성분으로 갖는 k차원의 확인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 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2 노드 장치에 대해, 상기 제2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회신할 것을 요청하는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 장치가, 상기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검색함에 따라, 상기 제2 노드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검색 결과로 수신되면,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식별 벡터와, 상기 확인 벡터 간의 벡터 유사도를 연산한 후, 상기 벡터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 유사도가 상기 기준 유사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 것으로 확인한 후,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지시하는 진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자 단말은 상기 음향 재생 장치를 통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상기 상속자에 의해 상기 음향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음향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인식하여, 인식되는 음향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을 생성한 후,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들 중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을 확인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로 지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 완료되면,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 완료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로 구성된 조회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 이력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조회 이력 정보가 포함된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3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3 노드 장치로,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2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노드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3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제2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2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상기 제3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111: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 112: 회원 식별 정보 확인부
113: 노이즈 음원 생성부 114: 전송부
115: 제1 등록 요청부 116: 정보 저장부
117: 음원 식별 정보 생성부 118: 노이즈 음원 생성 처리부
119: 지시 메시지 전송부 120: 주파수 성분 선택부
121: 확인 벡터 생성부 122: 데이터 검색 요청부
123: 유사도 확인부 124: 진본 확인 메시지 전송부
125: 조회 이력 정보 생성부 126: 제2 등록 요청부
135: 제1 회원
140: 제1 클라이언트 단말
145: 상속자
150: 제1 전자 단말
160: 음향 재생 장치
101, 102, 103, 104: 복수의 노드 장치들

Claims (12)

  1.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유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
    상기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회원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삽입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회원 식별 정보 확인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노이즈(Noise) 음원 - 상기 노이즈 음원은, 사전 설정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둘 이상의 주파수 성분들의 신호가 결합되어 생성된 음원임 - 을 생성하는 노이즈 음원 생성부;
    상기 노이즈 음원이 생성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노이즈 음원을 삽입한 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1 노드 장치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제1 등록 요청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상기 제1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음원 생성부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n(n은 3이상의 자연수임)개의 서로 다른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식별 번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 중 k(k는 2이상 n미만의 자연수임)개의 식별 번호들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상기 k개의 식별 번호들을 성분으로 갖는 k차원의 제1 식별 벡터를,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서 생성하는 음성 식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식별 벡터가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 생성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k개의 식별 번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k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k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중심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결합한 신호를, 상기 노이즈 음원으로 생성하는 노이즈 음원 생성 처리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 상속자의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서,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을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사전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지시 메시지 전송부;
    상기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상속자가,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재생 장치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음향 재생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식시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노이즈 음원을 구성하는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 중 진폭이 큰 순서로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을 선택하는 주파수 성분 선택부;
    상기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이 선택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중 상기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 각각이 속하는 k개의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을 확인한 후, 상기 k개의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성분으로 갖는 k차원의 확인 벡터를 생성하는 확인 벡터 생성부;
    상기 확인 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2 노드 장치에 대해, 상기 제2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회신할 것을 요청하는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을 전송하는 데이터 검색 요청부;
    상기 제2 노드 장치가, 상기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검색함에 따라, 상기 제2 노드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검색 결과로 수신되면,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식별 벡터와, 상기 확인 벡터 간의 벡터 유사도를 연산한 후, 상기 벡터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유사도 확인부; 및
    상기 벡터 유사도가 상기 기준 유사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 것으로 확인한 후,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지시하는 진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진본 확인 메시지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단말은
    상기 음향 재생 장치를 통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상기 상속자에 의해 상기 음향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음향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인식하여, 인식되는 음향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을 생성한 후,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들 중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을 확인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로 지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 전송부를 통해,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 완료되면,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 완료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로 구성된 조회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조회 이력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조회 이력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조회 이력 정보가 포함된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3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3 노드 장치로,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2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제2 등록 요청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노드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3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제2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2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상기 제3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6.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유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회원의 유언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삽입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노이즈(Noise) 음원 - 상기 노이즈 음원은, 사전 설정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둘 이상의 주파수 성분들의 신호가 결합되어 생성된 음원임 - 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생성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기 노이즈 음원을 삽입한 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1 노드 장치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제1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상기 제1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음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사전 선택된 n(n은 3이상의 자연수임)개의 서로 다른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식별 번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회원 식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회원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 중 k(k는 2이상 n미만의 자연수임)개의 식별 번호들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상기 k개의 식별 번호들을 성분으로 갖는 k차원의 제1 식별 벡터를,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벡터가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로 생성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k개의 식별 번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k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k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중심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결합한 신호를, 상기 노이즈 음원으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노이즈 음원이 삽입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 상속자의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서,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을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사전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향 인식 지시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상속자가,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재생 장치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음향 재생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식시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출력 음향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노이즈 음원을 구성하는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 중 진폭이 큰 순서로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이 선택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n개의 부분 주파수 대역들 중 상기 k개의 제1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 각각이 속하는 k개의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을 확인한 후, 상기 k개의 제1 부분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성분으로 갖는 k차원의 확인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 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2 노드 장치에 대해, 상기 제2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회신할 것을 요청하는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 장치가, 상기 데이터 검색 요청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회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검색함에 따라, 상기 제2 노드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가 검색 결과로 수신되면, 상기 제1 음성 식별 정보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식별 벡터와, 상기 확인 벡터 간의 벡터 유사도를 연산한 후, 상기 벡터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 유사도가 상기 기준 유사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인 것으로 확인한 후,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진본임을 지시하는 진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단말은
    상기 음향 재생 장치를 통해, 상기 획득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상기 상속자에 의해 상기 음향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인식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음향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인식하여, 인식되는 음향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을 생성한 후,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들 중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을 확인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노이즈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정보로 지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 완료되면,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 완료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진본 확인 메시지로 구성된 조회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 이력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조회 이력 정보가 포함된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3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3 노드 장치로,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제2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노드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3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제2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2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상기 제3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57547A 2021-03-25 2021-11-16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59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9105 2021-03-25
KR1020210039105 2021-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743A true KR20220133743A (ko) 2022-10-05
KR102559493B1 KR102559493B1 (ko) 2023-07-25

Family

ID=8359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547A KR102559493B1 (ko) 2021-03-25 2021-11-16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4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65B1 (ko) * 2018-10-11 2020-02-12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화자 식별 노이즈의 삽입을 통해 발화자의 식별이 가능하게 하는 음성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57316A (ko) *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7707A (ko) * 2019-03-08 202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자 인식을 위한 등록 방법 및 장치
KR20200107881A (ko) * 2020-07-24 2020-09-16 넷마블 주식회사 유언장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65B1 (ko) * 2018-10-11 2020-02-12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화자 식별 노이즈의 삽입을 통해 발화자의 식별이 가능하게 하는 음성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57316A (ko) *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7707A (ko) * 2019-03-08 202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자 인식을 위한 등록 방법 및 장치
KR20200107881A (ko) * 2020-07-24 2020-09-16 넷마블 주식회사 유언장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493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91B1 (ko) 음향 객체 정보 융합 장치 및 방법
US20020088336A1 (en) Method of identifying pieces of music
US20040194611A1 (en) Music delivery system
JP4376461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50113614A (ko) 오디오 핑거프린팅에서 디지털 사일런스의 핸들링
CN110474902B (zh) 账户绑定的方法、系统、计算设备和介质
CN108391141A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559493B1 (ko) 음성에 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유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128153B1 (ko) 기계 학습을 이용한 음악 소스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CN110970027B (zh) 一种语音识别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系统
CN111274433A (zh) 语音资源库的更新方法及装置
JP57694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052121A1 (zh) 一种音乐识别系统、装置及音乐管理服务器和方法
KR102500740B1 (ko) 콘텐츠 데이터의 조회에 사용되는 노이즈 음원을 실시간 영상에 삽입할 수 있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JP4327165B2 (ja) 楽曲再生装置
Porter Evaluating musical fingerprinting systems
KR102618619B1 (ko) 상품의 구매를 위한 구매 사이트 정보를, 상품 판매를 위한 실시간 쇼핑 방송 영상에 삽입하여 송출할 수 있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11114079B2 (en) Interactive music auditio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KR20210148916A (ko) 오디오 개인화를 지원하기 위한 오디오 트랙 분석 기술
CN108538303B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376478B1 (ko)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KR102466736B1 (ko)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기초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음성 기반의 사용자 인증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23119629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データ構造
US20230230570A1 (en) Call environment generation method, call environment generation apparatus, and program
CN114400022B (zh) 音质比对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