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478B1 -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 Google Patents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478B1
KR101376478B1 KR1020120048977A KR20120048977A KR101376478B1 KR 101376478 B1 KR101376478 B1 KR 101376478B1 KR 1020120048977 A KR1020120048977 A KR 1020120048977A KR 20120048977 A KR20120048977 A KR 20120048977A KR 101376478 B1 KR101376478 B1 KR 10137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umming
sound source
hash valu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460A (ko
Inventor
이근우
Original Assignee
(주)마이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오디 filed Critical (주)마이오디
Priority to KR102012004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47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허밍을 이용해 음원을 검색하고, 이를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쉬값 추출모듈이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하는 해쉬값 추출단계; 상기 해쉬값 추출모듈이 상기 해쉬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해쉬값 전송단계; 상기 서버의 해쉬정보 검색모듈이 상기 해쉬값을 수신하고, 해쉬정보DB에서 상기 해쉬값에 대응하는 해쉬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허밍정보 검색모듈이 상기 해쉬정보를 기초로 허밍DB에서 기준 허밍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허밍정보 저장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허밍정보 저장모듈이 수신된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음원 콘텐츠와 링크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Configuration Method for Finding Source Environment, Source search device and Source search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허밍을 이용해 음원을 검색하고, 이를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의 휴대기기 하드웨어와, 상기 휴대기기를 운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이러한 장치들에 의해 구동되는 각종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콘텐츠에는 음원 및 이미지와 같은 단일 파일형 콘텐츠는 물론, 게임, 정보제공 또는 예약, 예매 등의 편의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복합 파일형 콘텐츠 등 다양하다.
그런데, 휴대기기 내에 콘텐츠의 수가 증가하고 그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상기 휴대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오히려 자신이 보유한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각종 국내외 가요, 팝송, 클래식 등과 같은 음원 콘텐츠는 그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고 다양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기기에 적게는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를 저장하는데, 이 경우 자신의 휴대기기에 어떤 음원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망각하고 대부분의 음원 콘텐츠를 활용하지도 못한 채 저장공간만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사용자가 음원 콘텐츠의 리듬을 알고 있어도 해당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기억하지 못할 경우엔, 자신의 휴대기기에서 상기 음원 콘텐츠를 검색할 수 없으므로, 상기 음원 콘텐츠는 휴대기기에서 재생되지 못하고 저장공간만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기억하더라도 음원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음악재생장치를 조작해 해당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일일이 입력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번거로움은 사용자의 피로감을 높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 또한 음원 콘텐츠를 이용하는 휴대기기 사용자에게는 개선을 요하는 사항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허밍(humming)을 이용한 음원 콘텐츠 검색 기술이 제안되었다(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9096호, 등록특허공보 제10-0888341호 참고).
그런데, 이러한 종래 검색 기술은 사용자가 허밍으로 입력한 오디오데이터를 분석해서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오디오데이터를 갖는 음원 콘텐츠를 검색 및 제공하는 포괄적인 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질의한 오디오데이터를 음원 콘텐츠 검색서버가 분석해서 상기 음원 콘텐츠 검색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전체 음원 콘텐츠를 검색해 해당 질의자(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인 것이다.
결국, 종래 기술은 사용자 자신이 보유한 음원 콘텐츠가 아닌 검색서버가 보유한 전체 음원 콘텐츠를 오디오데이터를 기초로 검색하는 기술로 한정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기기에 저장된 수많은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음악재생장치를 수작업으로 조작해 해당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입력하는 종래의 번거로움을 반복하는 문제점이 여전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신의 휴대기기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 해당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일일이 찾지 않고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해쉬값 추출모듈이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하는 해쉬값 추출단계;
상기 해쉬값 추출모듈이 상기 해쉬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해쉬값 전송단계;
상기 서버의 해쉬정보 검색모듈이 상기 해쉬값을 수신하고, 해쉬정보DB에서 상기 해쉬값에 대응하는 해쉬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허밍정보 검색모듈이 상기 해쉬정보를 기초로 허밍DB에서 기준 허밍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허밍정보 저장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허밍정보 저장모듈이 수신된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음원 콘텐츠와 링크해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해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해쉬값 추출모듈;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음원 콘텐츠와 링크해 저장하는 허밍정보 저장모듈; 및
음성 허밍정보와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비교해서, 상기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준 허밍정보를 확인하는 허밍정보 인식모듈;
을 포함하는 허밍을 이용한 음원 검색장치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해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해쉬값 추출모듈;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음원 콘텐츠와 링크해 저장하는 허밍정보 저장모듈; 및 음성 허밍정보와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비교해서, 상기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준 허밍정보를 확인하는 허밍정보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해쉬값에 대한 해쉬정보를 저장하는 해쉬정보DB; 기준 허밍정보를 저장하는 허밍DB;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해쉬값에 대한 해쉬정보를 상기 해쉬정보DB에서 검색하는 해쉬정보 검색모듈; 및 상기 해쉬정보 검색모듈에서 검색한 해쉬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허밍DB에서 검색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허밍정보 검색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확인해서 서버가 사용자별 음원 콘텐츠의 보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허밍 검색을 위한 기준 허밍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사용자가 음원 컨텐츠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더라도 원활한 허밍 검색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의 일실시 예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장치를 통해 음원이 검색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 예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시스템은 단말기(10)와 서버(20)로 구성된다.
단말기(10)는 모바일폰, 태블릿PC 또는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기기는 물론 휴대가 곤란한 일반적인 데스크탑 등 음원 재생이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가 예시될 수 있다.
단말기(10)는 AIFF/AIF, MP1/2/3/4, CDA, MID, MOD, AU 등을 확장자로 갖는 각종 음원 콘텐츠의 저장수단인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과,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서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는 파일 검색모듈(12)과, 검색된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콘텐츠 재생모듈(13)과, 파일 검색모듈(12) 및 음원콘텐츠 재생모듈(13)의 조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음원콘텐츠 재생모듈(13)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해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입출력모듈(14)과 더불어, 상기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해 확인하는 해쉬값 추출모듈(15)과, 서버(20)에서 전송한 기준 허밍정보를 해당 음원 콘텐츠에 링크시켜 저장하는 허밍정보 저장모듈(16)과,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허밍질의 정보를 기준 허밍정보와 동일한 포맷(음성 허밍정보)으로 변환 후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서 검색해서 해당 음원 콘텐츠를 확인하는 허밍정보 인식모듈(17)과,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와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된 기준 허밍정보의 링크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음원 콘텐츠에 대한 해쉬값을 추출하도록 해쉬값 추출모듈(15)을 제어하는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서버(20)와의 통신을 위해 단말기 통신모듈(18)을 더 포함한다.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은 데이터저장을 위한 통상적인 저장수단이다.
파일 검색모듈(12)은 파일 형식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통상적인 모듈로서,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파일들의 헤더를 읽고 검색 대상 파일을 검색하는 OS의 통상적인 검색수단이다.
음원콘텐츠 재생모듈(13)은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파일 형식의 음원 콘텐츠를 읽고 실행시켜서 해당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모듈로써, 파일 검색모듈(12)과 연동해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음원 콘텐츠를 실행시킨다.
입출력모듈(14)은 마이크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입력수단(키보드 또는 마우스 포함 가능)이 전송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해 음원콘텐츠 재생모듈(13)이 해당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해서 스피커 등과 같은 통상적인 출력수단이 해당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해쉬값 추출모듈(15)은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해쉬값을 서버(20)로 전송한다.
참고로, 해쉬함수는 요약함수(要約函數) 또는 메시지다이제스트함수(message digest function)라고도 한다. 주어진 원문(原文)에서 고정된 길이의 의사난수(疑似亂數)를 생성하는 연산기법으로서, 생성된 값은 '해쉬값'이라고 한다. 상기 해쉬값은 불가역적(不可逆的)인 일방향 함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해쉬값에서 원문을 재현할 수는 없다. 또한 같은 해쉬값을 가진 다른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도 극히 어렵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의 암호화 보조수단이나 사용자 인증, 디지털 서명 등에 응용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해쉬값은 파일 생성시 해당 파일에 따라 고유한 형식 또는 이름을 가지므로, 상기 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해쉬값의 이러한 특성을 응용해서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보유한 음원 콘텐츠를 별도의 서버(20)가 확인하고, 서버(20)는 허밍 검색을 위한 기준 허밍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계속해서, 해쉬값 추출모듈(15)은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에 대한 해쉬값을 추출해 확인한다.
해쉬값 추출모듈(15)의 해쉬값 추출 알고리즘은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해쉬값 추출을 위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허밍정보 저장모듈(16)은 서버(20)로부터 전송된 기준 허밍정보를 수신해서 저장하되,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와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된 기준 허밍정보가 서로 링크되도록 한다.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허밍질의 정보를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허밍정보와 동일한 포맷(음성 허밍정보)으로 변환한 후 허밍정보 저장모듈(16)의 기준 허밍정보와 비교해서, 상기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준 허밍정보를 확인하고, 기준 허밍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기준 허밍정보에 링크된 음원 콘텐츠를 확인해서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도록 한다.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의 음원 콘텐츠 검색은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준 허밍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기준 허밍정보와 링크된 음원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이 직접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을 검색할 수도 있고, 상기 음원 콘텐츠 정보를 파일 검색모듈(12)로 전달해서 파일 검색모듈(12)이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을 검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은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준 허밍정보를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서 검색하기 위해서, 상기 음성 허밍정보의 프레밍, 유효소리 구간 구분, 피치 추출, 크로마(음계, chroma), 평활, 멜로디/박자 결정 과정을 통해 음악적 특징을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한 상기 음악적 특징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음악적 특징을 갖는 기준 허밍정보를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음성 허밍정보와 기준 허밍정보의 유사 여부는 허밍정보를 구성하는 프레밍, 유효소리 구간, 피치, 크로마, 멜로디/박자 등의 일치 횟수 등을 확인하고, 상기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피치는 사용자 허밍에서 추출한 음 높이를 알려주며, 오디오 시그널을 일정 단위 시간 크기로 자른 뒤 각 단위의 데이터의 평균 주파수(frequency)를 의미한다. 크로마는 음계라고 번역되며, 역시 각 단위시간 단위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디오 신호가 가지고 있는 12개의 키 값의 분포를 12차원 벡터로 표현한 값이다. 12개의 키 값은 C, F, Bb, Ab, Db(C#), Gb(F#), B, E, A, D, G이다.
계속해서,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은 상기 음악적 특징의 유사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준 허밍정보를 순위화해 검색할 수 있고, 이렇게 검색된 기준 허밍정보의 링크된 음원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의 음원 콘텐츠가 검색된다.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은 일정주기 또는 음원콘텐츠 재생시 기준 허밍정보와 음원 콘텐츠의 링크 상태를 확인하여, 임의의 음원 콘텐츠에 해당하는 기준 허밍정보가 링크되어 있지 않으면 기준 허밍정보 요청을 개시하고, 임의 기준 허밍정보에 해당하는 음원 콘텐츠가 링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삭제한다.
참고로,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음원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새로 저장하면서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된 기준 허밍정보 또한 해쉬값 추출모듈(15)에 의해 새로 저장된 음원 콘텐츠에 대응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기존 음원 콘텐츠를 삭제했다면 단말기(10)의 저장공간의 활용효율 향상과 기준 허밍정보의 저작권 보호 등을 위해서, 링크 대상이 없는 허밍정보 저장모듈(16) 내 기준 허밍정보는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이 삭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말기 통신모듈(18)은 단말기(10)가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해쉬값 추출모듈(15)이 추출한 해쉬값을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가 전송하는 기준 허밍정보를 수신한다.
서버(20)는 해쉬값에 대한 음원 콘텐츠 정보인 해쉬정보를 저장하는 해쉬정보DB(21)와, 기준 허밍정보를 저장하는 허밍DB(22)와,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해쉬값에 따른 관련 해쉬정보를 해쉬정보DB(21)에서 검색하는 해쉬정보 검색모듈(23)과, 해쉬정보 검색모듈(23)에서 검색한 해쉬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허밍정보를 허밍DB(22)에서 검색하는 허밍정보 검색모듈(24)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20)는 단말기(10)와의 통신을 위해 서버 통신모듈(25)을 더 포함한다.
해쉬정보DB(21)는 서버(20)에서 개별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보유한 음원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해 수집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과, 상기 해쉬값에 링크된 해당하는 해쉬정보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곡이라도 음원은 여러 개일 수 있으므로, 같은 곡에 대해 다양한 해쉬값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해쉬정보DB(21)에는 동일한 곡에 대한 해쉬정보에 다양한 해쉬값이 링크될 수 있다.
허밍DB(22)는 음원 콘텐츠의 오디오를 기준으로 제작된 기준 허밍정보를 저장한다.
해쉬정보 검색모듈(23)은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해쉬값을 확인하고, 상기 해쉬값에 대응하는 해쉬정보를 해쉬정보DB(21)에서 검색한다. 계속해서, 검색된 해쉬정보는 허밍정보 검색모듈(24)로 전달한다.
허밍정보 검색모듈(24)은 상기 해쉬정보를 수신하고, 허밍DB(22)에서 상기 해쉬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허밍정보를 검색한다. 계속해서, 검색된 기준 허밍정보는 서버 통신모듈(25)을 통해 단말기(10)로 전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의 일실시 예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단말기(10)를 이용해 허밍으로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단말기(10)에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장치를 구성하는 해쉬값 추출모듈(15)과 허밍정보 저장모듈(16)과 허밍정보 인식모듈(17),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을 더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해당 모듈(15, 16, 17, 19)은 서버(20) 또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제공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해 설치할 수 있다.
S13; 해쉬값 추출단계
해쉬값 추출모듈(15)은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 또는 사용자가 음원콘텐츠 재생모듈(13) 실행시,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한다.
해쉬값 추출을 위한 알고리즘은 해쉬탭(HashTab), 패스트해쉬(FastHash), 해쉬체크(HashCheck) 등 다양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S14; 해쉬값 전송단계
해쉬값 추출모듈(15)은 허밍정보 저장모듈(16)의 음원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해쉬값을 단말기 통신모듈(18)을 통해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의 해쉬정보 검색모듈(23)은 상기 해쉬값을 수신한다.
서버(20)는 단말기(10)의 IP 또는 ID 등을 확인해서 사용자를 식별하고, 이를 통해 통신 포트 및 채널을 확보한다.
S15; 허밍정보 검색단계
해쉬정보 검색모듈(23)은 수신된 상기 해쉬값을 기초로 해쉬정보DB(21)를 검색하고, 해쉬정보DB(21)에서 상기 해쉬값에 링크된 해쉬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해쉬정보에는 음원 콘텐츠의 명칭, 가사, 가수, 작곡가, 작사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해쉬정보 검색모듈(23)은 검색된 해쉬정보를 허밍정보 검색모듈(24)로 전달한다.
허밍정보 검색모듈(24)은 수신한 상기 해쉬정보를 기초로 허밍DB(22)를 검색하고, 허밍DB(22)로부터 상기 해쉬정보에 링크된 기준 허밍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기준 허밍정보는 음원 콘텐츠의 오디오를 기초로 제작된 것으로서, 음원 콘텐츠의 모든 음절, 소절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16; 허밍정보 전송단계
허밍정보 검색모듈(24)은 검색한 기준 허밍정보를 서버 통신모듈(25)을 통해 단말기(10)로 전송한다.
S17; 허밍정보 저장단계
서버(20)로부터 전송된 기준 허밍정보는 단말기 통신모듈(18)이 수신해서 허밍정보 저장모듈(16)로 전달하고, 허밍정보 저장모듈(16)은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해당 음원 콘텐츠와 링크해 저장한다. 일 예를 들어 "돌아와요 부산항에.mp3"라는 음원 콘텐츠가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되어 있다면, 이에 대응한 기준 허밍정보인 "돌아와요 부산항에.odx"를 서버(2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상기 "돌아와요 부산항에.mp3"와 링크되도록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한다.
결국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된 기준 허밍정보와,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는 상기 링크를 통해 짝을 이루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 허밍질의 정보를 기준 허밍정보와 비교하고 자신이 보유한 음원 콘텐츠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은 일정주기 또는 음원콘텐츠 재생시 기준 허밍정보와 음원 콘텐츠의 링크 상태를 확인해서, 링크 상대가 부재(不在)하는 기준 허밍정보 또는 음원 콘텐츠가 확인되면 해당 기준 허밍정보 요청을 개시하거나 또는 허밍정보 삭제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된 기준 허밍정보가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와 항시 짝을 이루도록 한다.
S13 내지 S17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11, S12; 허밍정보 확인단계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은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를 확인해서, 상기 음원 콘텐츠와 링크된 기준 허밍정보의 부재 여부를 확인한다. 일 예를 들어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이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서 "돌아와요 부산항에.mp3"를 검색하고, 해당 음원 콘텐츠와 짝을 이루는 링크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돌아와요 부산항에.mp3"의 음원 콘텐츠에 상기 링크 정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은 상기 음원 콘텐츠의 기준 허밍정보가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부재한 것으로 간주하고, 해쉬값 추출모듈(15)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음원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서, 해쉬값 추출모듈이 전술한 과정으로 상기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하도록 한다.(S14 이후 과정)
한편,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은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된 기준 허밍정보의 링크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콘텐츠를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서 검색해서, 해당 음원 콘텐츠가 미검색될 경우 상기 기준 허밍정보의 음원 콘텐츠가 부재한 것으로 간주한다.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19)은 이렇게 확인된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장치를 통해 음원이 검색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 예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21; 허밍정보 인식단계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음원 콘텐츠를 청취할 목적으로 상기 음원 콘텐츠의 검색을 시도한다. 여기서 상기 음원 콘텐츠의 검색 경로는 파일 형식의 음원 콘텐츠를 파일 검색모듈(12)을 통해 수행하는 과정과, 허밍정보 확인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장치를 통해 수행하는 과정이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검색 방법으로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입출력모듈(14)의 마이크 등으로 음성 허밍정보를 입력하고,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은 이를 수신한다.
마이크 등을 통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화 과정은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솔루션 설명은 생략한다.
S22; 허밍정보 매칭단계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은 상기 음성 허밍질의 정보를 기준 허밍정보와 동일한 포맷(음성 허밍정보)으로 변환 후 상기 음성 허밍정보와,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된 기준 허밍정보를 서로 비교해서 상기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준 허밍정보를 확인한다.
음성 허밍정보와 기준 허밍정보 간의 동일 또는 유사 여부 확인을 위해서,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은 상기 허밍정보들의 프레밍, 유효소리 구간 구분, 피치 추출, 크로마(음계, chroma), 평활, 멜로디/박자 결정 과정을 통해 음악적 특징을 추출 및 분석한다. 음성 허밍정보와 기준 허밍정보 각각의 음악적 특징을 확인해서 서로의 동일 또는 유사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은 공지,공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23, S24; 음원 검색단계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은 상기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준 허밍정보를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서 검색하고, 해당 기준 허밍정보와 링크된 음원 콘텐츠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음원 콘텐츠 정보는 서버(20)로부터 상기 기준 허밍정보가 전송될 때 함께 전송되어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저장될 수도 있고, 허밍정보 저장모듈(16)에 해당 기준 허밍정보가 저장될 때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의 해당 음원 콘텐츠로부터 정보를 확인해서 생성 및 저장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허밍정보 저장모듈(16)의 기준 허밍정보와,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의 음원 콘텐츠가 링크되도록 되므로,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이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준 허밍정보를 제시했다면, 상기 기준 허밍정보에 해당하는 음원 콘텐츠가 당연히 검색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의 경우 허밍정보 저장모듈(16)의 기준 허밍정보와,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의 음원 콘텐츠 중 서로 링크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할 수도 있으므로,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이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준 허밍정보를 제시했더라도, 상기 기준 허밍정보에 해당하는 음원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을 수도 있다.
S25; 음원 재생단계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은 확인된 음원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콘텐츠를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음원 콘텐츠를 음원콘텐츠 재생모듈(13)에 전달한다. 여기서, 음원콘텐츠 재생모듈(13)은 하나 이상의 음원 콘텐츠를 입출력모듈(14)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최종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시되는 음원 콘텐츠가 다수인 경우 유사도에 따라 다수의 음원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시된 다수의 음원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해서 음원콘텐츠 재생모듈(13)이 선택된 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음원콘텐츠 저장모듈(11)에서의 음원 콘텐츠 검색은 음원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허밍정보 인식모듈(17)이 직접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음원 콘텐츠 정보를 파일 검색모듈(12)로 전달해서 상기 검색을 파일 검색모듈(12)이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단말기 11; 음원콘텐츠 저장모듈 12; 파일 검색모듈
13; 음원콘텐츠 재생모듈 14; 입출력모듈
15; 해쉬값 추출모듈 16; 허밍정보 저장모듈
17; 허밍정보 저장모듈 18; 단말기 통신모듈
19;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 20; 서버
21; 해쉬정보DB 22; 허밍DB
23; 해쉬정보 검색모듈 24; 허밍정보 검색모듈
25; 서버 통신모듈

Claims (8)

  1. 단말기의 해쉬값 추출모듈이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하는 해쉬값 추출단계;
    상기 해쉬값 추출모듈이 상기 해쉬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해쉬값 전송단계;
    상기 서버의 해쉬정보 검색모듈이 상기 해쉬값을 수신하고, 해쉬정보DB에서 상기 해쉬값에 대응하는 해쉬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허밍정보 검색모듈이 상기 해쉬정보를 기초로 허밍DB에서 기준 허밍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허밍정보 저장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허밍정보 저장모듈이 수신된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음원 콘텐츠와 링크해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쉬값 추출단계 이전에,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이 상기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 중 기준 허밍정보와의 링크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기준 허밍정보와 링크되지 않은 음원 콘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해쉬값 추출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음원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해쉬값 추출모듈로 전달하는 허밍정보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밍정보 확인단계에서, 상기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은 상기 허밍정보 저장모듈의 기준 허밍정보와 링크된 음원 콘텐츠를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서 검색하고, 음원 콘텐츠가 미검색된 기준 허밍정보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
  4.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해쉬값 추출모듈;
    상기 해쉬값을 통해 해당하는 기준 허밍정보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지는 상기 서버로부터 기준 허밍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음원 콘텐츠와 링크해 저장하는 허밍정보 저장모듈; 및
    음성 허밍정보와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비교해서, 상기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준 허밍정보를 확인하는 허밍정보 인식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밍을 이용한 음원 검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 중 기준 허밍정보와의 링크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기준 허밍정보와 링크되지 않은 음원 콘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해쉬값 추출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음원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해쉬값 추출모듈로 전달하는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밍을 이용한 음원 검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은
    상기 허밍정보 저장모듈의 기준 허밍정보와 링크된 음원 콘텐츠를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서 검색하고, 음원 콘텐츠가 미검색된 기준 허밍정보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밍을 이용한 음원 검색장치.
  7. 단말기의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의 해쉬값을 추출해서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해쉬값 추출모듈; 상기 해쉬값을 통해 해당하는 기준 허밍정보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지는 상기 서버로부터 기준 허밍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음원 콘텐츠와 링크해 저장하는 허밍정보 저장모듈; 및 음성 허밍정보와 상기 기준 허밍정보를 비교해서, 상기 음성 허밍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준 허밍정보를 확인하는 허밍정보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해쉬값에 대한 해쉬정보를 저장하는 해쉬정보DB; 기준 허밍정보를 저장하는 허밍DB;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해쉬값에 대한 해쉬정보를 상기 해쉬정보DB에서 검색하는 해쉬정보 검색모듈; 및 상기 해쉬정보 검색모듈에서 검색한 해쉬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허밍정보를 상기 허밍DB에서 검색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허밍정보 검색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음원 콘텐츠 중 기준 허밍정보와의 링크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기준 허밍정보와 링크되지 않은 음원 콘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해쉬값 추출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음원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해쉬값 추출모듈로 전달하는 허밍정보 업데이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KR1020120048977A 2012-05-09 2012-05-09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KR10137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977A KR101376478B1 (ko) 2012-05-09 2012-05-09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977A KR101376478B1 (ko) 2012-05-09 2012-05-09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460A KR20130125460A (ko) 2013-11-19
KR101376478B1 true KR101376478B1 (ko) 2014-03-19

Family

ID=4985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977A KR101376478B1 (ko) 2012-05-09 2012-05-09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4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42A (ko) * 2018-11-14 2020-05-22 네오사피엔스 주식회사 대상 화자 음성과 동일한 음성을 가진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WO2020101411A1 (ko) * 2018-11-14 2020-05-22 네오사피엔스 주식회사 대상 화자 음성과 동일한 음성을 가진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996A (ja) 1999-04-12 2000-12-26 Alpine Electronics Inc 音楽検索システム
KR20030067377A (ko) * 2002-02-08 200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멜로디 기반 음악 검색방법과 장치
KR20040000796A (ko) * 2002-06-25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멜로디 기반 검색이 가능한 음악 재생장치
KR20090083972A (ko) * 2008-01-31 2009-08-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 검색을 위한 음악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허밍 질의를 입력으로 하여 음악을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996A (ja) 1999-04-12 2000-12-26 Alpine Electronics Inc 音楽検索システム
KR20030067377A (ko) * 2002-02-08 200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멜로디 기반 음악 검색방법과 장치
KR20040000796A (ko) * 2002-06-25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멜로디 기반 검색이 가능한 음악 재생장치
KR20090083972A (ko) * 2008-01-31 2009-08-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 검색을 위한 음악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허밍 질의를 입력으로 하여 음악을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42A (ko) * 2018-11-14 2020-05-22 네오사피엔스 주식회사 대상 화자 음성과 동일한 음성을 가진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WO2020101411A1 (ko) * 2018-11-14 2020-05-22 네오사피엔스 주식회사 대상 화자 음성과 동일한 음성을 가진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KR102275406B1 (ko) * 2018-11-14 2021-07-09 네오사피엔스 주식회사 대상 화자 음성과 동일한 음성을 가진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US11664015B2 (en) 2018-11-14 2023-05-30 Neosapience, Inc. Method for searching for contents having same voice as voice of target speaker, and apparatus for execu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460A (ko)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563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15522B1 (ko) 음악 컨텐츠 분류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6307139B1 (en) Search index for a music file
JP2006106818A (ja) 音楽検索装置、音楽検索方法及び音楽検索プログラム
KR20030059503A (ko) 사용자별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음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13988B1 (ko)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76478B1 (ko) 허밍 기반 음원 검색환경 구성방법과 이를 위한 음원 검색장치 및 음원 자동 재생을 위한 음원 검색시스템
JP5034599B2 (ja) 楽曲紹介文生成装置、ナレーション付加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551997A (zh) 一种乐曲辅助学习系统
JP4824055B2 (ja) 類似プレイリスト検索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JP2006004152A (ja) 検索装置、検索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00293572A1 (en) Update method and update apparatus
US20220188062A1 (en) Skip behavior analyzer
JP5949823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742818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70027332A (ko)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JP5552968B2 (ja) 楽曲検索装置および楽曲検索方法
Font SOURCE: A Freesound community music sampler
JP2006243887A (ja) 情報検索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133179A (ko)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에서의 플레이리스트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2195B1 (ko) 인공지능 합주 시스템 및 인공지능 합주 방법
US20110077756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d playing back an audio recording
JP5713775B2 (ja) 楽曲検索装置
KR100887602B1 (ko) 인터넷을 통한 가사 검색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인터넷을 통한 가사제공시스템
KR100967125B1 (ko) 네트워크 휴대용 장치에서의 특징 추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