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713A -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713A
KR20220133713A KR1020210039183A KR20210039183A KR20220133713A KR 20220133713 A KR20220133713 A KR 20220133713A KR 1020210039183 A KR1020210039183 A KR 1020210039183A KR 20210039183 A KR20210039183 A KR 20210039183A KR 20220133713 A KR20220133713 A KR 20220133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upling
moving
groov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910B1 (ko
Inventor
임채규
Original Assignee
임채규
(주)루멘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규, (주)루멘룩스 filed Critical 임채규
Priority to KR102021003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9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713A/ko
Priority to KR1020230021478A priority patent/KR102595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에 형성된 설치 홀에 삽입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바; 상기 고정 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바; 및 상기 고정 바와 상기 이동 바 내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바와 상기 고정 바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A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variable length bracket}
본 발명은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건물 벽에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홀에 설치 가능한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오피스텔 등과 같은 주거 또는 사무공간에는 실내를 밝히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조명기구가 마련되며, 이러한 조명기구는 대체로 실내의 천장 중앙에 설치되거나 혹은 그 주변에 설치하여 주변을 밝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렇게 조명기구가 설치되는 천장은 환기 덕트 및 기타설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앵커 볼트를 이용한 앵글이 등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는 발광수단의 종류에 따라 엘이디 조명기구, 형광등 조명기구 및 백열등조명기구로 구분되며, 그 설치 방법에 따라 직부 타입과 매입 타입으로 구분된다.
매입 타입의 경우, 천장 등에 형성된 홀에 브라켓 등을 삽입하고, 브라켓에 조명 유닛을 결합시켜 천정 등에 조명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천정 등에 형성된 홀의 크기가 다양하여 브라켓도 홀의 크기에 맞게 제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67270호(2017.06.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물의 벽에 형성된 홀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에 형성된 설치 홀에 삽입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바; 상기 고정 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바; 및 상기 고정 바와 상기 이동 바 내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바와 상기 고정 바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건물의 벽에 형성된 홀의 크기에 상관없이 조명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홀 내에 고정된 브라켓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쉽게 건물 벽의 설치 홀에 조명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가압 이동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가압 이동 부재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천장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구성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구성들의 모양은 구성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10)는 벽에 형성된 설치 홀(H)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조명 장치(10)는 천정(C)의 벽에 설치된 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는 하우징(200), 브라켓(100), 및 광원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일측이 개구(230)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우징(200)은 하측이 개구(230)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내부에 수용 공간(205)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우징(2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200)의 수용 공간(205)은 하측의 개구(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의 개구(230)를 통해 광원 유닛(300)이 하우징(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타측에 그를 관통하는 전선 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유닛(300)과 연결되는 전선(330)이 전선 홀(235)을 통해 하우징(200) 내의 광원 유닛(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타측에 결합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210)은 후술할 브라켓(100)의 결합 부재(160)가 삽입될 수 있다. 결합 홈(210)은 전선 홀(235)과 이격될 수 있다. 결합 홈(21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3 내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브라켓(100)은 하우징(20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벽에 형성된 설치 홀(H)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하우징(200)을 벽에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고정 바(110), 이동 바(120), 탄성 부재(150), 결합 부재(160), 제1 결합 플레이트(130), 및 제2 결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00)은 스토퍼 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바(110)는 내부에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 통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정 바(1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통로(113)는 고정 바(110)의 양단을 연결하는 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고정 통로(113)는 고정 바(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바(110)는 그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는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는 후술할 이동 바(120)의 가이드 홈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바(110)는 제1 스토퍼 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 홀(115)은 고정 바(110)를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토퍼 홀(115)은 고정 통로(11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홀(115)은 하우징(200)과 마주보는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스토퍼 홀(115)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스토퍼 홀들(115) 중 하나는 고정 바(110)의 일단과 인접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스토퍼 홀(115)은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동 바(120)의 길이 방향과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은 평행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고정 바(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내부에 이동 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 통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동 바(12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로(123)는 이동 바(120)의 양단을 연결하는 홀 형상 또는 고정 바(11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바(120)는 제2 스토퍼 홀(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 홀(125)은 이동 바(120)를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토퍼 홀(125)은 이동 통로(12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토퍼 홀(125)은 하우징(200)과 마주보는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스토퍼 홀(125)은 이동 바(120)의 타단과 인접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그의 내측면에 외측으로 함몰된 가이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부는 이동 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부는 전술한 가이드 레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정 바(110)는 이동 바(120)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 통로(123)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바(110)가 이동 바(120)의 이동 통로(123)에 삽입될 때, 가이드 레일부가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와 가이드 홈부는 이동 바(120)가 고정 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바(120)는 고정 바(110)가 이동 통로(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1 결합 플레이트(130)는 고정 바(11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바(110)의 일단은 이동 바(120)와 가장 멀리 떨어진 고정 바(110)의 끝단 영역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은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결합 플레이트(130)는 제1 면(131), 제2 면(133) 및 제1 결합 돌기들(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31)은 고정 바(1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면(131)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면(133)은 제1 면(131)과 대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면(133)은 제1 면(131)의 반대 면일 수 있다. 제2 면(133)은 브라켓(100)이 설치 홀(H)에 설치될 때, 설치 홀(H)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면(133)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결합 돌기들(135)은 제2 면(13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돌기들(135)은 제2 면(133)으로부터 고정 바(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들(135)의 각각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돌기들(135)의 각각은 강도가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결합 돌기들(135) 각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돌기들(135)은 격자 패턴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돌기들(135)은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결합 플레이트(140)는 제1 결합 플레이트(13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결합 플레이트(140)는 이동 바(12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바(120)의 일단은 고정 바(110)와 가장 멀리 떨어진 이동 바(120)의 끝단 영역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플레이트(140)의 길이 방향은 이동 바(120)의 길이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결합 플레이트(140)는 제3 면(141), 제4 면(142) 및 제2 결합 돌기들(1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141)은 이동 바(12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면(141)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 면(142)은 제1 면(131)과 대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면(142)은 제3 면(141)의 반대 면일 수 있다. 제4 면(142)은 브라켓(100)이 설치 홀(H)에 설치될 때, 설치 홀(H)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면(142)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결합 돌기들(145)은 제4 면(14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돌기들(145)은 제4 면(142)으로부터 이동 바(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들(145)의 각각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돌기들(145)의 각각은 강도가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결합 돌기들(145) 각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돌기들(145)은 격자 패턴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돌기들(145)은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결합 부재(160)는 브라켓(100)을 하우징(200)의 타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160)는 고정 바(110) 및 이동 바(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160)는 이동 바(120)에 설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160)는 이동 바(120)와 하우징(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160)는 후술할 하우징(200)의 결합 홈(210)에 삽입되어 하우징(20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160)는 걸림부(161)와 연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160)에 자세한 사항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탄성 부재(150)는 고정 바(110)와 이동 바(1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150)는 고정 통로(113)와 이동 통로(12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이동 바(120)와 고정 바(110)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150)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150)는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 및 이동 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부재(170)는 제1 스토퍼 홀(115)과 제2 스토퍼 홀(125)에 삽입되어, 이동 바(120)가 고정 바(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토퍼 부재(170)는 제2 스토퍼 홀(125)에 위치될 수 있다. 스토퍼 부재(170)는 제1 스토퍼 홀(115)과 제2 스토퍼 홀(125)이 동일 선 상에 위치될 때, 제1 스토퍼 홀(115)과 제2 스토퍼 홀(12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바(12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스토퍼 홀(125)은 하나 제공되나,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스토퍼 홀(125)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스토퍼 홀들(125)은 이동 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광원 유닛(300)은 하우징(200)의 수용 공간(205)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 유닛(300)은 하우징(200)의 개구(230)를 통해 하우징(200) 외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광원 유닛(300)은 백열등 광원, LED 광원 등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결합 부재(160)는 걸림부(161)와 연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61)는 이동 바(120) 및 고정 바(110)와 이격될 수 있다. 걸림부(161)는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걸림부(161)는 연결부(162)의 둘레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161)의 폭(W1)은 연결부(162)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61)는 후술할 결합 홈(210)의 제1 홈부(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홈(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62)는 걸림부(161)를 고정 바(110) 및 이동 바(120)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62)는 제1 폭(W1)보다 작은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부(162)는 이동 바(120)로부터 이동 바(120)의 길이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62)는 후술할 걸림부(161)의 제2 홈부(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홈(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베이스부(220), 둘레부(225), 및 결합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은 개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하우징(200)의 개구(230)와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하우징(200)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220)는 브라켓(10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220)는 원형 플레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둘레부(225)는 베이스부(2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둘레부(225)는 베이스부(220)의 경계로부터 개구(23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둘레부(225)는 하우징(200)의 수용 공간(205)을 둘러쌀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둘레부(225)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210)은 둘레부(225)와 베이스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210)은 하우징(200)의 외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210)은 둘레부(225)에 형성된 제1 영역과 베이스부(220)에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영역의 일단은 하우징(200)의 개구(230)와 인접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타단은 베이스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역의 일단은 제1 영역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역은 제1 영역의 타단으로부터 제1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된 둘레부(225)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결합 홈(210)은 제1 홈부(211), 제2 홈부(212), 및 제3 홈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홈(210)은 제4 홈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211)에는 걸림부(161)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홈부(211)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211)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211)의 폭(W3)은 걸림부(161)의 제1 폭(W1)보다 크게 형성될 있다. 이에 따라, 제1 홈부(211)에 삽입된 걸림부(161)는 제1 홈부(2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홈부(212)는 제1 홈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212)는 제1 홈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홈부(212)는 제1 홈부(211)로부터 브라켓(100)을 향해 연장되어 제1 홈부(211)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홈부(212)의 폭(W4)은 제1 폭(W1)보다 작으면서 제2 폭(W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홈부(211)에 삽입된 걸림부(161)는 제2 홈부(212)를 통해 결합 홈(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홈부(212)에 삽입된 연결부(162)는 제2 홈부(2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 홈부(213)는 베이스부(220)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홈부(213)는 베이스부(220)의 중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홈부(213)는 제2 홈부(212)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홈부(213)의 폭(W5)은 제2 홈부(212)의 폭(W4)보다 클 수 있다.
제3 홈부(213)는 제1 홈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홈부(213)의 폭(W5)은 제1 홈부(211)의 폭(W3)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홈부(213)의 폭(W5)은 제1 폭(W1)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홈부(211) 내에서 이동하는 걸림부(161)가 하우징(200)의 하중에 의해 제3 홈부(213)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161)가 제3 홈부(213)에 삽입될 때, 걸림부(161)는 결합 홈(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은 움직이지 못할 수 있다.
제4 홈부(214)는 결합 홈(210)의 일단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홈부(214)는 둘레부(225)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홈부(214)의 폭(미부호)은 제1 홈부(211)의 폭(W3)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4 홈부(214)의 폭은 제1 폭(W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160)의 걸림부(161)는 제4 홈부(214)를 통해 제1 홈부(211)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홈부(214)는 둘레부(225)의 하단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4 홈부(214)는 둘레부(225)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11)는 하우징(200), 브라켓(100), 및 광원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일측이 개구(230)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개구(230), 베이스부(220), 둘레부(225) 및 결합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하우징(20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고정 바(110), 이동 바(120), 탄성 부재(150), 결합 부재(160), 제1 결합 플레이트(130), 제2 결합 플레이트(140) 및 스토퍼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브라켓(100)은 가압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110)는 내부에 고정 통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정 통로(113)는 고정 바(11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해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바(110)는 그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는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바(110)는 제1 스토퍼 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내부에 이동 통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동 통로(123)는 이동 바(12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해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고정 바(110)의 고정 통로(11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고정 통로(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외측면에 고정 바(110)의 가이드 레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부는 이동 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바(120)는 제2 스토퍼 홀(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플레이트(130)는 고정 바(11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플레이트(130)는 제1 면(131), 제2 면(133) 및 제1 결합 돌기들(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 플레이트(140)는 이동 바(12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플레이트(140)는 제3 면(141), 제4 면(142) 및 제2 결합 돌기들(14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부재(400)는 제1 결합 플레이트(130)와 제2 결합 플레이트(140)를 가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가압 부재(400)는 제1 회동 바(410), 제2 회동 바(420), 및 힌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 바(410)는 고정 바(110)의 타단과 제2 회동 바(420)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회동 바(410)의 일단은 고정 바(11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동 바(420)는 제1 회동 바(410)와 제2 결합 플레이트(140)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회동 바(420)의 일단은 제1 회동 바(410)와 연결되고, 제2 회동 바(420)의 타단은 제2 결합 플레이트(1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동 바(420)의 일단은 제1 회동 바(410)의 양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힌지부(430)는 제1 회동 바(410)의 양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힌지부(430)는 제2 회동 바(420)의 일단과 제1 회동 바(410)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부(430)는 제1 회동 바(410)와 제2 회동 바(420)가 힌지부(430)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동 바(410)와 제2 회동 바(420)는 힌지부(43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가압 부재(400)는 도 2의 조명 장치(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동 바(410)의 일단은 제1 결합 플레이트(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동 바(420)는 이동 바(120)의 타단과 제1 회동 바(4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 바(410)의 타단 영역에 제2 회동 바(420)를 향해 외력(F)을 가할 때, 제1 회동 바(410)와 제2 회동 바(420)는 힌지부(430)가 이동 바(120) 또는 고정 바(110)를 향해 이동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동 바(410)의 일단과 제2 회동 바(420)의 타단 간의 이격 거리(L)가 증가할 수 있다.
제1 회동 바(410)의 일단과, 제2 회동 바(420)의 타단 간의 이격 거리(L)가 증가함에 따라, 제2 회동 바(420)는 제2 결합 플레이트(140)를 홀의 내벽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동 바(410)는 고정 바(110)를 제1 결합 플레이트(130)를 향해 가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동 바(410)는 고정 바(110)를 통해 제1 결합 플레이트(130)를 홀의 내벽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제1 결합 플레이트(130)와 제2 결합 플레이트(140)는 탄성 부재(150)에 의해 충분히 홀의 내벽을 가압하여 브라켓(100)을 천정(C)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 부재(400)는 제1 결합 플레이트(130)와 제2 결합 플레이트(140)가 홀의 내벽에 충분히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150)를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 부재(160)는 걸림부(161)와 연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210)은 제1 홈부(211), 제2 홈부(212), 제3 홈부(213) 및 제4 홈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가압 이동 부재(155)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가압 이동 부재(155)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12)는 하우징(200), 브라켓(100), 및 광원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일측이 개구(230)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개구(230), 베이스부(220), 둘레부(225) 및 결합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하우징(20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고정 바(110), 이동 바(120), 탄성 부재(150), 결합 부재(160), 제1 결합 플레이트(130), 제2 결합 플레이트(140) 및 스토퍼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브라켓(100)은 가압 이동 부재(155)(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이동 부재(155)는 고정 통로(113)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가압 이동 부재(155)는 탄성 부재(15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이동 부재(155)는 고정 통로(113)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탄성 부재(150)를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이 커질 수 있다.
가압 이동 부재(155)는 고정 통로(113) 내에 위치되는 지지 플레이트(1551) 및 스토퍼 바(1552)(15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이동 부재(155)는 지지 돌기부(15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51)는 고정 통로(11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정 통로(113)의 종단면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551)는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1551)는 고정 통로(113)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51)의 직경은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스토퍼 바(1552)는 지지 플레이트(1551)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 바(1552)는 지지 플레이트(1551)의 측면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155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토퍼 바(1552)는 지지 플레이트(1551)로부터 고정 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 바(1552)는 고정 바(110)를 관통하여 고정 바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돌기부(1553)는 지지 플레이트(1551)로부터 제2 결합 플레이트(14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지지 돌기부(1553)는 탄성 부재(150)인 스프링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150)가 지지 플레이트(1551) 상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바(110)는 내부에 고정 통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110)는 가압 이동 부재(155)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홀(117), 및 슬라이딩 홀(117)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고정 홀(119)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홀(117)과 고정 홀(119)들은 고정 바(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홀(117)은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홀(117)에는 가압 이동 부재(155)의 스토퍼 바(1552)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고정 홀(119)들은 슬라이딩 홀(117)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고정 홀(119)은 슬라이딩 홀(117)로부터 슬라이딩 홀(117)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정 홀(119)의 길이 방향은 슬라이딩 홀(117)의 길이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고정 홀(119)들 중 어느 하나에는 스토퍼 바(1552)가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작업자는 스토퍼 바(1552)를 슬라이딩 홀(117)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토퍼 바(1552)를 제2 결합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 바(1552)와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1551)도 제2 결합 플레이트(14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51)가 제2 결합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1551)는 탄성 부재(150)의 일단을 가압할 수 있다. 탄성 부재(150)가 가압됨으로써,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 또는 장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스토퍼 바(1552)를 슬라이딩 홀(117)을 따라 제2 결합 플레이트(140)를 향해 이동시킨 후, 스토퍼 바(1552)를 지지 플레이트(1551)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스토퍼 바(1552)가 회동함으로써, 스토퍼 바(1552)는 복수의 고정 홀(119)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 바(1552)가 고정 홀(119)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1551)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 플레이트(130)는 제1 면(131), 제2 면(133) 및 제1 결합 돌기(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플레이트는 제1 단턱부(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턱부(137)는 제1 결합 플레이트(13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단턱부(137)는 제1 결합 플레이트(13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플레이트(140)는 제3 면(141), 제4 면(143) 및 제2 결합 돌기(1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플레이트는 제2 단턱부(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턱부(137)와 제2 단턱부(147)는 브라켓(100)을 설치 홀에 삽입할 때, 브라켓(100)이 설치 홀(H)에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턱부(137)와 제2 단턱부(147)는 설치 홀(H)과 인접한 건물 벽에 걸림됨으로써, 브라켓(100)은 설치 홀(H)에 일정 이상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턱부(137)는 제1 결합 플레이트(130)의 제1 고정 돌기들(135)보다 제2 면(133)으로부터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턱부(147)는 제2 결합 플레이트(140)의 제2 고정 돌기들(145)보다 제4 면(143)으로부터 더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단턱부(137) 중 설치 홀(H) 내에 위치된 것은 제1 고정 돌기들(135)과 함께 설치 홀(H)의 내벽에 박힐 수 있다. 또한, 제2 단턱부(147) 중 설치 홀(H) 내에 위치된 것은 제2 고정 돌기들(145)과 함께 설치 홀(H)의 내벽에 박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00)은 설치 홀(H)의 내벽과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조명 장치의 광원 유닛(300)은 건물 벽의 설치 홀(H)의 외부에 위치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광원 유닛(300)은 건물 벽의 설치 홀(H)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 유닛(300)을 설치 홀(H) 내에 위치시키고, 브라켓(100)을 설치 홀(H) 내에 삽입하여 광원 유닛(300)을 브라켓(100)의 결합 부재(16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브라켓(100)의 결합 부재(160)를 광원 유닛(300)에 결합한 후에, 스토퍼 부재(170)를 제1 스토퍼 홀 및 제2 스토퍼 홀로부터 분리하여 브라켓(100)이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져 설치 홀(H)의 내벽에 설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 유닛(300)은 설치 홀(H)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천장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토퍼 부재(170)가 제1 스토퍼 홀(115)과 제2 스토퍼 홀(12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이동 바(120)의 타단이 제1 결합 플레이트(13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토퍼 부재(170)가 제1 스토퍼 홀(115) 및 제2 스토퍼 홀(12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브라켓(100)의 총 길이가 약 7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토퍼 부재(170)가 제1 스토퍼 홀(115) 및 제2 스토퍼 홀(12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탄성 부재(150)는 고정 바(110)와 이동 바(120)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1 힘만큼 가하고 있다.
스토퍼 부재(170)가 제1 스토퍼 홀(115) 및 제2 스토퍼 홀(125)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100)은 벽의 설치 홀(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브라켓(100)의 총 길이가 짧기 때문에, 브라켓(100)은 설치 홀(H)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토퍼 부재(170)가 제1 스토퍼 홀(115) 및 제2 스토퍼 홀(125)로부터 분리될 때, 이동 바(120)는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바(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고정 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바(120)와 고정 바(110)가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1 결합 플레이트(130)와 제2 결합 플레이트(140)는 설치 홀(H)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돌기들(135)과 제2 결합 돌기들(145)은 설치 홀(H)의 내벽에 박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00)은 설치 홀(H)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브라켓(100)이 설치 홀(H)에 고정될 때, 하우징(200)을 결합 부재(16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160)의 걸림부(161)를 둘레부(225)에 위치된 결합 홈(210)의 제4 홈부(214)에 삽입할 수 있다.
걸림부(161)는 제4 홈부(214)를 통해 제1 홈부(211)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161)는 제1 홈부(211)를 따라 베이스부(220)에 위치된 제3 홈부(213)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연결부(162)는 제2 홈부(212)를 따라 걸림부(16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걸림부(161)는 하우징(200)의 하중에 의해 제3 홈부(213)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161)가 제3 홈부(213)에 삽입될 때, 걸림부(161)는 제1 홈부(211)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하우징(200)의 이동이 제한되며, 브라켓(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11: 조명 장치 100: 브라켓
110: 고정 바 120; 이동 바
130: 제1 결합 플레이트 135: 제1 결합 돌기
140: 제2 결합 플레이트 145: 제2 결합 돌기
150: 탄성 부재 160: 결합 부재
200: 하우징 210: 결합 홈
300: 광원 유닛

Claims (8)

  1.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에 형성된 설치 홀에 삽입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바;
    상기 고정 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바; 및
    상기 고정 바와 상기 이동 바 내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바와 상기 고정 바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는 상기 이동 바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 통로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 바는 상기 고정 바가 상기 이동 통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조명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는 내부에 상기 고정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바는 상기 고정 통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조명 장치.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 바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이격되고, 상기 이동 바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결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결합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 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면, 상기 제3 면과 대향되는 제4 면, 및 상기 제4 면으로부터 상기 이동 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결합 돌기들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 바 및 상기 이동 바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제1 폭을 갖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상기 고정 바 및 상기 이동 바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고,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고,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홈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부의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홈부의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작으면서 상기 제2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명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인 조명 장치.
KR1020210039183A 2021-03-25 2021-03-25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KR10250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183A KR102502910B1 (ko) 2021-03-25 2021-03-25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KR1020230021478A KR102595228B1 (ko) 2021-03-25 2023-02-17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183A KR102502910B1 (ko) 2021-03-25 2021-03-25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478A Division KR102595228B1 (ko) 2021-03-25 2023-02-17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713A true KR20220133713A (ko) 2022-10-05
KR102502910B1 KR102502910B1 (ko) 2023-02-23

Family

ID=835967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183A KR102502910B1 (ko) 2021-03-25 2021-03-25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KR1020230021478A KR102595228B1 (ko) 2021-03-25 2023-02-17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478A KR102595228B1 (ko) 2021-03-25 2023-02-17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2910B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29U (ja) * 1992-05-18 1994-01-21 小泉産業株式会社 埋込型照明器具の取付金具
KR200169548Y1 (ko) * 1999-08-14 2000-02-15 현진조명주식회사 천정매립형 형광등 기구
KR200221527Y1 (ko) * 2000-11-28 2001-04-16 주식회사엠.에스.라이팅 형광등 현가장치
US6237884B1 (en) * 1999-06-03 2001-05-29 Stephen E. Howe Ceiling fan mounting assembly
US20030006353A1 (en) * 2001-07-06 2003-01-09 Dinh Cong Thanh Hanger bar assembly
US6768071B1 (en) * 2003-11-21 2004-07-27 Arlington Industries, Inc. Electrical box mounting assembly
US20050121558A1 (en) * 2003-12-03 2005-06-09 Universal Formations, Inc. Bracket assembly
US20080067313A1 (en) * 2003-11-20 2008-03-20 Greg Herth Variable spacing mounted versatile paddle fan and ceiling electrical box
KR20120121106A (ko) * 2011-04-26 2012-11-05 양광섭 매입형 전등 프레임 행거장치
KR20170067270A (ko) 2015-12-08 2017-06-16 에프엘티코리아 주식회사 조명기구용 고정장치
KR101772649B1 (ko) * 2016-12-20 2017-08-29 정용석 이동식 걸쇠가 구비된 매립등
KR20170119550A (ko) *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조명등 설치구조
KR101798637B1 (ko) * 2017-04-06 2017-11-16 (주)에스앤비라이팅 Led 등기구 설치대
KR20200068360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말타니 조명기구 결합 장치
EP3822537A1 (en) * 2019-11-15 2021-05-19 Arianna S.p.A. Universal bracket for lighting appliances
KR102267857B1 (ko) * 2020-11-04 2021-06-22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원터치 체결용 등기구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29U (ja) * 1992-05-18 1994-01-21 小泉産業株式会社 埋込型照明器具の取付金具
US6237884B1 (en) * 1999-06-03 2001-05-29 Stephen E. Howe Ceiling fan mounting assembly
KR200169548Y1 (ko) * 1999-08-14 2000-02-15 현진조명주식회사 천정매립형 형광등 기구
KR200221527Y1 (ko) * 2000-11-28 2001-04-16 주식회사엠.에스.라이팅 형광등 현가장치
US20030006353A1 (en) * 2001-07-06 2003-01-09 Dinh Cong Thanh Hanger bar assembly
US20080067313A1 (en) * 2003-11-20 2008-03-20 Greg Herth Variable spacing mounted versatile paddle fan and ceiling electrical box
US6768071B1 (en) * 2003-11-21 2004-07-27 Arlington Industries, Inc. Electrical box mounting assembly
US20050121558A1 (en) * 2003-12-03 2005-06-09 Universal Formations, Inc. Bracket assembly
KR20120121106A (ko) * 2011-04-26 2012-11-05 양광섭 매입형 전등 프레임 행거장치
KR20170067270A (ko) 2015-12-08 2017-06-16 에프엘티코리아 주식회사 조명기구용 고정장치
KR20170119550A (ko) *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조명등 설치구조
KR101772649B1 (ko) * 2016-12-20 2017-08-29 정용석 이동식 걸쇠가 구비된 매립등
KR101798637B1 (ko) * 2017-04-06 2017-11-16 (주)에스앤비라이팅 Led 등기구 설치대
KR20200068360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말타니 조명기구 결합 장치
EP3822537A1 (en) * 2019-11-15 2021-05-19 Arianna S.p.A. Universal bracket for lighting appliances
KR102267857B1 (ko) * 2020-11-04 2021-06-22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원터치 체결용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735A (ko) 2023-03-03
KR102595228B1 (ko) 2023-10-27
KR102502910B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2230B2 (ja) 天井埋込形照明器具
US9979169B1 (en) Junction box of a recessed luminaire for installation in shallow spaces
EP2966348A1 (en) Ceiling-recessed bar-type lighting apparatus
US10520169B2 (en) Snap in retrofit panel
KR20170119550A (ko) 조명등 설치구조
KR20160051352A (ko) 원터치 결합 방식의 조명모듈
KR20220133713A (ko)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CA2998125C (en) Externally actuated joiner assembly for connecting adjacent structures
KR101020466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US10591115B2 (en) Retrofit kit and methods for conversion of fluorescent light assemblies to LED assemblies
US20100208476A1 (en) Light Fixture Having Socket Track Assemblies with Detachable Row Aligner
KR20160100062A (ko) 조명장치
KR101413601B1 (ko) 램프 고정 조립체
KR200412313Y1 (ko) 천정매입형 조명등기구 소켓
KR100849354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CN105745490A (zh) 照明设备
KR101173912B1 (ko) 분해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KR20060109000A (ko) 매입형 등기구
US6190200B1 (en) Lamp holder base and attachment method
KR101140842B1 (ko) 천정매입형 형광등 장착용 프레임
KR100997178B1 (ko)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자동 고정장치
CN215061897U (zh) 灯具嵌装支架
KR200320750Y1 (ko) 천정 매입형 램프조립체
KR20190094775A (ko) 레이스 웨이 설치용 조명기구의 탄성클립
KR200493003Y1 (ko) 탈착형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