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360A - 조명기구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360A
KR20200068360A KR1020180155248A KR20180155248A KR20200068360A KR 20200068360 A KR20200068360 A KR 20200068360A KR 1020180155248 A KR1020180155248 A KR 1020180155248A KR 20180155248 A KR20180155248 A KR 20180155248A KR 20200068360 A KR20200068360 A KR 20200068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rt
coupling
frame
coupling plat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014B1 (ko
Inventor
이세용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말타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말타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말타니
Priority to KR1020180155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0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 결합 장치는 설치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마주보도록 부착되는 결속구, 및 삽입 개구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에 결합 가능한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고정부, 이동부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장치에 따르면, 조명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전체 나사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여 천장 또는 벽면의 설치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순한 착탈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조명기구의 결합 및 분리가 더욱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조명기구 결합 장치{Coupling Device for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기구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탄성력을 가지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손쉽게 조명기구를 결합할 수 있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이나 벽면에 조명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먼저 다수의 체결볼트 또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천장이나 벽면의 설치면 상에 조명기구 하우징을 고정하고, 상기 조명기구 하우징 내로 인입된 전선과 연결된 소켓에 조명등을 접속한 후 조명기구 하우징의 개구부에 커버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명기구 설치과정에서는 설치면 상에 조명기구 하우징의 테두리 외에 중앙부에도 조명등을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체결볼트 또는 나사못을 체결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조명등을 교체할 때마다 체결공이 많아져 설치면의 내구성이 약해지거나 인접한 체결공 사이가 으스러지는 등 천장 또는 벽면의 보존 상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착탈식 구조가 형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조명기구의 결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장 또는 벽면의 설치면을 양호한 상태로 보존하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 결합 장치는 설치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마주보도록 부착되는 결속구, 및 삽입 개구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에 결합 가능한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고정부, 이동부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 중 탄성 부재 반대 쪽에 배치된 단부는 계단형으로 형성되며, 계단형의 단부는 돌출부 및 만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의 삽입 개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속구의 접촉면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바깥면이 경사진 슬라이딩 면을 가져, 상기 결합판을 상기 슬라이딩 면을 향해 밀어넣으면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판은 양단에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이 상기 슬라이딩 면과 접촉하여 가압되면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판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에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구는 적어도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결속구들로 구성되고, 상기 결속구의 이동부가 최대로 노출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는 만입부들 간의 거리는 상기 결합판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 중 계단형 단부의 반대쪽에는 스톱퍼(stopper)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고정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장치에 따르면, 조명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전체 나사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여 천장 또는 벽면의 설치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순한 착탈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조명기구의 결합 및 분리가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기구 결합 장치의 결합판과 결속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X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결속구를 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결속구를 B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결합판과 결속구의 결합 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결속구의 착탈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장치(1)의 사시도이다.
조명기구 결합 장치(1)는 천장 또는 벽면과 같이 조명이 필요한 곳의 설치면에 장착되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주로 나사 결합되거나 장착공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도 1에서 직사각형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조명기구 결합 장치(1)는 프레임(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는 결속구(200)를 포함하고, 마주보는 한 쌍의 결속구(200)는 결합판(300)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판(300)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결합판(300)에는 전선이 인입되는 제1 개구(310) 및 다양한 조명기구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판(300)의 장착면(301)에 고루 분포하는 복수의 제2 개구(3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개구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임의의 크기를 갖는 조명기구를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구(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적으면 적을수록 안전하므로, 상기 결합판(300)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구(200)는 프레임에 나사 결합된 프레임 바(150)에 나사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프레임 바(150)는 상기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결속구(200)는 상기 프레임 바(150)에 견고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속구(200)의 결합부(230)는 복수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결속구(200)의 한 측면에 여러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230)가 여러개 형성된 측면을 복수개 가질 수 있다.
마주보는 결속구(200)는 한 쌍일 수 있으나, 견고함 및 안정성을 위해 두 쌍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두 쌍의 마주보는 결속구(200)를 도시하였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기구 결합 장치(1)의 결합판(300)과 결속구(2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 결합판(300)의 측면에는 삽입 개구(33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 개구(330)는 결속구(200)와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결속구(200)의 고정부(2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230)가 프레임 바(150)에 견고히 나사 결합된다. 나사 결합은 하나의 예시일 뿐, 견고한 결합 방식이라면 이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10)가 둘러싸고 있는 이동부(220)는 상기 고정부(210)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240)를 두고 상기 고정부(210)에 대하여 상대 운동한다. 즉, 이동부(220)의 단부 중 돌출부(223)가 상기 결합판(300)의 삽입 개구(330)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부(210)와 이동부(220) 사이에 탄성 부재(24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판(300)의 배면(302)에는 가이드 블록(35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블록(350)의 폭은 2개의 프레임 바(150)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2개의 프레임 바(150) 사이의 거리 이하로 형성된다. 결합판(300)의 배면에 가이드 블록(330)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결합판(300)을 프레임(100)에 부착할 때 쉽게 결속구(200)와 삽입 개구(330)를 정렬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가이드 블록(350)이 하나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 바(150)의 개수에 따라 추가될 수 있고, 가이드 블록(350)이 프레임 바(150)의 사이에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 바(150)의 바깥쪽에 맞춰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 바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는데, 상기 가이드 블록은 프레임 바와 치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 바가 존재하는 경우, 프레임 바 양쪽을 무는 형태로 2개의 가이드 블록(35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3개의 프레임 바가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 프레임 바 사이의 2개의 공간에 물리는 형태로 2개의 가이드 블록(3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장치 전체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이드 블록(350)의 높이는 프레임 바(150)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가이드 바(350)는 결합판(300)의 배면의 임의의 맞은 편에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판(300)의 정렬을 돕는 위치라면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결속구를 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결속구(200)는 크게 고정부(210)와 이동부(220)로 구성된다. 프레임 바(15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210)는 폐쇄 단부(211), 상기 폐쇄 단부(211) 반대편에 형성되는 개방 단부(214) 및 상기 폐쇄 단부(211)와 개방 단부(214)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212) 내면에는 가이드 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13)은 개방 단부(214) 측에 편향되어 형성되고, 가이드 홈(213)의 양 끝에 제1 경계면(212a) 및 제2 경계면(214a)이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224)의 이동 범위를 결정한다.
도 3에서 상기 고정부(210) 아래에 배치되는 이동부(220)는 스톱퍼(221), 만입부(222), 돌출부(223), 및 가이드 돌기(224)를 포함한다.
도 3(a)는 탄성 부재(240)인 스프링이 최대로 이완되었을 때의 결속구(200)를 도시하고, 도 3(b)는 탄성 부재(240)인 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의 결속구(20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최대로 이완" 및 "최대로 압축"은 스프링의 성질상 최대로 이완되거나 압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스톱퍼(221), 폐쇄 단부(211), 가이드 홈(213) 및 가이드 돌기(224)의 상호작용에 의해 최대로 이완되거나 압축될 수 밖에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3(a)는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자연스러운 상태다. 탄성 부재(240)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스프링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 형태의 탄성 부재(240)는 이동부(220)의 돌출부(223)의 내측면과 고정부의 폐쇄 단부(211)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240)의 양단은 이동부(220)의 돌출부(223)의 내측면과 고정부의 폐쇄 단부(211)의 내측면에 각각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240)의 양단은 이동부(220)의 돌출부(223)의 내측면과 고정부의 폐쇄 단부(211)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탄성 부재(24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220)를 고정부(210)의 폐쇄 단부(211)로부터 개방 단부(214) 측으로 밀어낸다. 탄성 부재(240)가 이동부(220)를 밀어내면 가이드 돌기(224)가 개방 단부(214)의 제2 경계면(214a)에 닿는 순간부터 이동부(220)는 더 이상 밀려나지 않는다.
가이드 돌기(224)가 제2 경계면(214a)에 닿으면, 이와 동시에 스톱퍼(221)가 고정부(210)의 폐쇄 단부(211)에 닿는다. 즉, 가이드 돌기(224) 및 스톱퍼(221)가 각각 제2 경계면(214a) 및 폐쇄 단부(211)와 접촉함으로써 2중으로 이동부(22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도 3(b)는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다. 외부 압력은 결합판(300)의 삽입 개구(330)를 돌출부(223)와 결합하려고 할 때 가해진다.
이동부(220)는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개방 단부(214) 쪽에서 폐쇄 단부(211)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탄성 부재(240)는 압축된다. 탄성 부재(240)의 압축이 과하면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이 과하지 않도록 가이드 돌기(224)의 내측 단부(224a)가 가이드 홈(213)의 제1 경계면(212a)에 닿으면 이동부(220)가 멈추고 더 이상 탄성 부재(240)가 압축되지 않는다.
폐쇄 단부(211)와 스톱퍼(221)가 최대로 멀어지는 제1 이격 거리(D1), 탄성 부재(240)의 최대 변위(D2), 가이드 홈(213)의 제1 경계면(212a)과 가이드 돌기(224)의 내측 단부(224a)가 최대로 멀어지는 제2 이격 거리(D3), 및 가이드 홈(213)의 제2 경계면(214a)과 가이드 돌기(224)의 외측 단부(224b)가 최대로 멀어지는 제3 이격 거리(D4)는 동일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결속구를 B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에서, 가이드 돌기(224)는 이동부(220)가 한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도록 고정부(210)의 가이드 홈(213) 안에 삽입된다. 가이드 돌기(224)와 가이드 홈(213)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224)는 이동부(220)가 한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이동부(220)의 왕복 거리를 제한하여 탄성 부재(240)가 손상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고정부(210)의 양 측면 내부에도 추가 가이드 홈(215)이 형성되어 이동부(220)의 측면에 형성된 추가 가이드 돌기(226)가 상기 추가 가이드 홈(215)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 가이드 홈(215) 및 추가 가이드 돌기(226)의 기능은 가이드 홈(213) 및 가이드 돌기(224)와 동일하다.
가이드 홈(213) 및 추가 가이드 홈(215)은 가이드 돌기(224) 및 추가 가이드 돌기(226)와 동시에 조립될 수 있고, 이 경우 이동부(220)는 폐쇄 단부(211)와 개방 단부(214) 사이에서 움직이는 방향 외 다른 방향으로는 이동이 없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결합판(300)과 결속구(200)의 결합 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동부(220)의 돌출부(223)의 단부는 바깥면이 경사진 슬라이딩 면(225)을 포함한다. 결합판(300)을 상기 슬라이딩 면(225)을 향해 제1 방향(Q)으로 밀어넣으면 이동부(220)가 슬라이딩 면(225)의 경사에 의해 제2 방향(P)으로 미끌어지면서 상기 고정부(210) 내부로 삽입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결합판(300)은 배면(302)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면(340)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340)이 상기 슬라이딩 면(225)과 접촉하여 가압되면 상기 이동부(220)가 상기 고정부(2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슬라이딩 면(225)은 평면일 수 있고, 상기 경사면(340)은 평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면(225) 및 경사면(340)은 볼록한 형태의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면(225)과 경사면(340)이 곡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결속구(200)에 결합판(300)을 결합할 때 상기 슬라이딩 면(225)과 경사면(34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결속구의 착탈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결합판(300)이 결속구(200)에 결합되어 프레임(100)에 연결되면, 탄성 부재(240)는 이완 상태가 되어 결속구(200)의 이동부(220)가 결합판(300)을 가압하며 지지한다. 즉, 결속구(200)는 도 6(a)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장치(1)는 버튼(250)을 포함함으로써 결합판(300)을 더욱 쉽게 탈착할 수 있다.
결속구(200)는 버튼(250)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250)은 고정부(210)에 형성된 버튼 개구(270)에 삽입된 상태로 작동된다. 탄성 부재(240)의 이완 상태에서는 고정부(210) 바깥으로 밀려난 위치에 있다.
결합판(30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동부(220)를 고정부(210) 내부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250)을 누름으로써 이동부(220)를 고정부(210) 내부로 이동시키고 결합판(30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동부(220) 내부에는 이동 공간(260)이 형성되어 버튼(250)이 제1 방향(Q)으로 왕복 운동을 하면 이동부(220)가 제2 방향(P)으로 왕복 운동한다.
상기 이동 공간(260)은 버튼 접촉면(261)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버튼 접촉면(261)이 평면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곡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볼록한 곡면일 수도 있고 오목한 곡면일 수도 있다. 상기 버튼 접촉면(261)에 접촉하는 버튼 단부(251)는 평면일 수도 있고 곡면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버튼 단부(251)가 평면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버튼 단부(251)는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 결합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프레임
150: 프레임 바
151: 결합 나사
200: 결속구
210: 고정부
211: 폐쇄 단부
212: 연장부
212a: 제1 경계면
213: 가이드 홈
214: 개방 단부
214a: 제2 경계면
215: 추가 가이드 홈
220: 이동부
221: 스톱퍼
222: 만입부
223: 돌출부
224: 가이드 돌기
224a: 내측 단부
224b: 외측 단부
225: 슬라이딩 면
226: 추가 가이드 돌기
230: 결합부
240: 탄성 부재
250: 버튼
251: 버튼 단부
260: 이동 공간
261: 버튼 접촉면
270: 버튼 개구
300: 결합판
301: 장착면
302: 배면
310: 제1 개구
320: 제2 개구
330: 삽입 개구
340: 경사면

Claims (9)

  1. 설치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마주보도록 부착되는 결속구; 및
    삽입 개구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에 결합 가능한 결합판;
    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고정부, 이동부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대 운동하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 중 탄성 부재 반대 쪽에 배치된 단부는 계단형으로 형성되며,
    계단형의 단부는 돌출부 및 만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판의 삽입 개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속구의 접촉면 반대쪽에 형성되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바깥면이 경사진 슬라이딩 면을 가져, 상기 결합판을 상기 슬라이딩 면을 향해 밀어넣으면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은 양단에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이 상기 슬라이딩 면과 접촉하여 가압되면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에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는 적어도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결속구들로 구성되고, 상기 결속구의 이동부가 최대로 노출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는 만입부들 간의 거리는 상기 결합판의 길이보다 짧은 조명기구 결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중 계단형 단부의 반대쪽에는 스톱퍼(stopper)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고정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에 가이드 블록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프레임 바와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조명기구 결합 장치.
KR1020180155248A 2018-12-05 2018-12-05 조명기구 결합 장치 KR10214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248A KR102141014B1 (ko) 2018-12-05 2018-12-05 조명기구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248A KR102141014B1 (ko) 2018-12-05 2018-12-05 조명기구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60A true KR20200068360A (ko) 2020-06-15
KR102141014B1 KR102141014B1 (ko) 2020-08-06

Family

ID=7108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248A KR102141014B1 (ko) 2018-12-05 2018-12-05 조명기구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713A (ko) * 2021-03-25 2022-10-05 임채규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61B1 (ko) * 2013-04-05 2014-06-20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전등 커버 결합구
KR101781149B1 (ko) * 2017-05-04 2017-09-25 유한회사 하이에스텍 조명장치
KR20170003459U (ko) * 2016-03-29 2017-10-12 주식회사 아이엠엘이디 엘이디 조명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61B1 (ko) * 2013-04-05 2014-06-20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전등 커버 결합구
KR20170003459U (ko) * 2016-03-29 2017-10-12 주식회사 아이엠엘이디 엘이디 조명등
KR101781149B1 (ko) * 2017-05-04 2017-09-25 유한회사 하이에스텍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713A (ko) * 2021-03-25 2022-10-05 임채규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KR20230029735A (ko) * 2021-03-25 2023-03-03 (주)루멘룩스 길이 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한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014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8194B2 (en) LED lighting system
EP3511607A1 (en) Ceiling lamp structure
CN101771201B (zh) 用于导体的接触端子
KR200448799Y1 (ko) 천정등 커버 고정장치
US9273832B2 (en) Fixation device and an assembly structure
KR102141014B1 (ko) 조명기구 결합 장치
JPH10283808A (ja) 蛍光ランプ
JP2012243716A (ja) ダクトレール
CN113757582B (zh) 一种卡接结构及应用其的台灯
KR101748681B1 (ko) 조명등 천장 결합장치
CN210069605U (zh) 一种高安全性的可拼接式线条灯
US9121569B2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a housing to accomodate a removable diffuser
KR101170374B1 (ko) 천장 부착형 led 등기구
US20230037351A1 (en) Light string structure
KR200483716Y1 (ko) Led 모듈 장착장치
CN112436304B (zh) Dmd组件及电子设备
CN214957405U (zh) 分层锁定机构
KR20080023416A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CN219955099U (zh) 二次锁结构及磁吸轨道灯
KR20150059763A (ko)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
KR100904399B1 (ko) 컨트롤 박스
CN217540680U (zh) 导电结构和灯具
KR100674583B1 (ko) 플러그를 자신의 결합된 위치에서 내진동 상태로 고정하기위한 장치
CN101989102A (zh) 电子设备
KR102093068B1 (ko) 직착등 장착용 마운팅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