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519A -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519A
KR20220133519A KR1020210038727A KR20210038727A KR20220133519A KR 20220133519 A KR20220133519 A KR 20220133519A KR 1020210038727 A KR1020210038727 A KR 1020210038727A KR 20210038727 A KR20210038727 A KR 20210038727A KR 20220133519 A KR20220133519 A KR 20220133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visitor
server
invitation
vis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주)아임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임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아임스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1003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3519A/ko
Publication of KR2022013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은 통신망을 기반으로 행사 주최자단말기와 참가업체단말기 및 참관객단말기를 연결하고, 행사를 관리하는 서버;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행사 초청장의 발송 정보 및 참관객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행사를 설정하고, 서버로부터 할당된 초청장을 각 참가업체에 배분하여 발송하는 주최자의 주최자단말기;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주최자로부터 받은 초청장을 각 참관객에게 발송하는 참가업체의 참가업체단말기 및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참가업체로부터 받은 초청장을 통해 서버에 행사 사전등록을 하는 참관객의 참관객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참관객이 서버에 행사 사전등록을 마치면, 참관객이 서버로부터 일정량의 초청장 발송 권한을 부여받아 참관객 간의 초청장 양도 또는 전달 과정이 무한하게 반복,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Event management and participant acquisition system}
본 발명은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행사 홍보 및 참관객의 사전 모집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행사를 기획,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식의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에 과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이 발전함에 따라, 신기술과 신제품이 우후죽순처럼 개발되고 있으며, 각 업체에서는 이러한 신기술과 신제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구매자와의 판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오프라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나 박람회 또는 컨벤션과 같은 행사는 유사한 업종에 있는 업체들끼리 연합하여 신기술과 신제품을 소개함으로써, 전시회 참가업체에게는 보다 많은 참관인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전시회 참가자에게는 다양한 제품 및 기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행사에 방문하는 참가자는 특정 기술이나 제품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거나 전시된 기술이나 물품을 대단위로 구매하려는 목적을 가진 바이어와, 향후 구매 가능성을 가진 잠재고객으로서의 일반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전시회와 같은 행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참가자가 방문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참가자 중에서도 해당 참가업체의 주력상품에 관심있는 참가자의 방문비율을 높임으로써, 참가업체와 참자가 간의 상담 횟수를 증가시켜 거래가 성사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기존의 전시회나 박람회 또는 컨벤션과 같은 행사는 일반적으로 참가자 모집을 위해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행사를 홍보하고, 이를 통해 사전에 참가자를 보다 많이 확보하려는 활동을 해왔다. 대표적으로, 신문 및 잡지광고, 초청장 우편발송, 인터넷 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s) 등이 있으며, 점차 온라인 기반의 홍보를 중심으로 진화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기반의 행사 홍보와 관련된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7513호에는 "웹 기반의 컨벤션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이 개시된 바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컨벤션에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컨벤션 진행에 관한 준비단계부터 마무리단계까지의 모든 업무를 총괄할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의 컨벤션 관리시스템으로써, 컨벤션을 주최하는 각종 단체 정보를 관리하는 그룹관리 모듈과, 컨벤션에 참가할 회원들을 모집 및 관리하는 모듈과, 컨벤션 진행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모듈과, 컨벤션 진행에 필요한 업무를 웹상에서 처리하는 모듈과, 컨벤션 준비, 진행 및 완료에 필요한 정보와 컨벤션을 주최하는 기관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컨벤션관리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핸들러 모듈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포함한다.
한편, 또 다른 온라인 기반의 행사 홍보와 관련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6987호에는 "페이퍼리스 전시회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이 개시된 바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전시회 또는 박람회 등의 행사에서 인증되는 사용자에게 인쇄물 없이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써, 복수의 비콘에 대응하는 정보와 복수의 단말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이 인근에 있는 상기 복수의 비콘 중 제1 비콘으로부터 상기 제1 비콘의 ID(Identification)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비콘의 ID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1 비콘에 대응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2 정보를 추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행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참가자를 모집하거나 행사을 홍보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방식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참가자 모집 및 홍보 방식은 행사에 적합한 대상을 특정(타겟팅)하는게 아닌 불특정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참가자를 모집하는데 많은 비용과 반복되는 노출을 전제로 해야 함은 물론, 행사에 참여도 또는 관련도가 높은 양질의 참가자를 모집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결국, 참가자 모집 및 행사 홍보 방식은 행사의 성공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는 행사 주관자들이 참가자의 사전 확보를 위해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이는 이유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행사 참가자의 사전 모집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효과적으로 참가업체를 홍보하면서, 안정적으로 행사를 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7513호(2008. 10. 01. 공개), "웹 기반의 컨벤션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6987호(2020. 11. 10. 공고), "페이퍼리스 전시회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초청장의 무한 반복되는 전달과 양도 과정을 통해 행사 참관객의 사전 모집과 참관객의 양적 또는 질적 확장을 지원함으로써, 행사 진행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성공적인 행사 운영을 가능케 함은 물론, 기존에 없던 새로운 방식의 행사 참관객 모집 및 마케팅 모델을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행사를 보다 안정적으로 기획, 진행하여 행사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망을 기반으로 행사 주최자단말기와 참가업체단말기 및 참관객단말기를 연결하고, 행사를 관리하는 서버;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행사 초청장의 발송 정보 및 참관객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행사를 설정하고, 서버로부터 할당된 초청장을 각 참가업체에 배분하여 발송하는 주최자의 주최자단말기;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주최자로부터 받은 초청장을 각 참관객에게 발송하는 참가업체의 참가업체단말기 및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참가업체로부터 받은 초청장을 통해 서버에 행사 사전등록을 하는 참관객의 참관객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참관객이 서버에 행사 사전등록을 마치면, 참관객이 서버로부터 일정량의 초청장 발송 권한을 부여받아 참관객 간의 초청장 양도 또는 전달 과정이 반복,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참관객의 단계별 초청장 전달 과정을 추적하여 등록율 또는 전달률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각 참관객의 초청장 파급력을 측정하여 주요 참관객 그룹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요 참관객 그룹을 대상으로 소정의 포인트 또는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초청장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단계별 초청장의 발송, 양도, 전달 과정 및 그 내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최자는 서버에 접속하여 행사 정보를 설정하고, 할당된 수량의 범위 내에서 해당 행사의 초청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참가업체는 초청장에 해당 업체의 홍보물 또는 이벤트 내용을 삽입하여 참관객에게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참가업체는 어느 참관객에게 복수의 초청장을 양도하는 과정에서, 상기 참관객에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직접 생성,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참가업체와 참관객은 서버를 통해 추가로 초청장 양도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참관객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초청장을 받으며, 상기 서버로부터 발송 권한을 부여받은 초청장을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양도 또는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최자와 참가업체 및 참관객은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초청장의 발송 및 사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은 참관객의 양적, 질적 확장은 물론, 참여도(충성도)와 관련도 높은 참관객의 안정적인 행사 참가를 보장받을 수 있어 행사 진행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성공적인 행사 운영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은 타겟팅 된 양질의 참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 참관객 모집 및 마케팅 모델을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행사가 보다 안정적으로 기획, 진행되어 행사 산업이 활성화 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은 참관객의 사전등록 이후 추가로 해당 참관객에게 초청장 발송 권한을 부여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행사와 연관성이 높은 유관 참관객 군을 무한 발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은 양질의 참관객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행사의 전문성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은 행사 참가업체가 발송하는 모바일 초청장에 해당 참가업체의 홍보물을 삽입하여, 상기 참가업체를 통해 확산된 참관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홍보 활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을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전시회별 설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설문표 설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초청장 양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초청장 사용현황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발송정보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초청장별 이동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사전등록자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초청장 설정 및 디자인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초청장 발송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등록자 검색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초청장 발송현황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초청장 사용현황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가업체의 초청장 수신 및 로그인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가업체의 초청장 전달 및 양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가업체별 초청장 발송현황을 나타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관객의 초청장 수신 및 로그인을 나타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관객의 행사 사전등록 및 초청장 전달 또는 양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의 초청장 발송, 전달 과정을 나타낸 구조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은 서버(10)와, 데이터베이스(20)와, 주최자단말기(30)와, 참가업체단말기(40) 및 참관객단말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을 설명하기에 앞서, 사용되는 용어 중 '행사'는 특정한 물건을 벌여 차려놓고 일반에게 참고가 되게 하는 전시회를 의미하는 것이 대표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벤션(convention), 박람회, 엑스포(expo), 학술대회(Conference), 세미나(Meeting), 기업행사(Incentive Meeting) 등 다양한 참여업체가 참관객을 상대로 자신의 제품을 전시하는 모든 모임을 의미한다. 또한, '발송'(發送, 물건, 편지, 서류 따위를 우편이나 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보냄)은 행사 초청장의 전달 또는 양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행사 초청장을 어떤 대상에게 보내는 모든 행위 및 과정을 의미하며, '양도'(讓渡, 권리나 재산, 법률에서의 지위 따위를 남에게 넘겨줌)는 어떤 대상에게 복수의 행사 초청장과 함께 그 전달 권한까지 넘겨주는 행위 및 과정을 의미하고, '전달'(傳達, 지시, 명령, 물품 따위를 다른 사람이나 기관에 전하여 이르게 함)은 어떤 대상에게 단일의 행사 초청장을 전하는 행위 및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를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전시회별 설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설문표 설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초청장 양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초청장 사용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서버(10)는 통신망을 기반으로 행사 주최자단말기(30)와 참가업체단말기(40) 및 참관객단말기(50)를 연결하고, 행사를 등록,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서버(10), 데이터베이스(20), 주최자단말기(30), 참가업체단말기(40) 및 참관객단말기(50) 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으로써, 이러한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으며,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전 세계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인 인터넷(Internet)을 들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주최자(32)가 등록, 설정한 행사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구성으로써, 인터넷 사이트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주최자단말기(30)와 참가업체단말기(40) 및 참관객단말기(50)가 접속되며, 데이터베이스(20)와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정보를 불러오거나, 새로운 정보 또는 변경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 업로드 하게 된다.
상기 서버(10)의 주요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서버(10)는 로그인과, 행사설정과, 초청장 및 등록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이용자 즉, 주최자(32) 또는 참가업체(42) 또는 참관객(52)의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관리하며, 이를 통해 이용자는 서버(10)에 접속 및 사용 권한을 부여받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10)는 주최자(32)가 서버(10)에 접속하여 직접 관련 행사의 각종 설정을 수정하거나, 자료를 올리거나, 그 내용을 출력 또는 집계할 수 있도록 플랫폼(platform, 특정 장치나 시스템 등에서 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틀 또는 골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버(10)에 행사코드, 행사명, 행사장소, 행사일정, 행사담당자 인적사항 등과 같은 행사의 기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주최자(32)는 기획한 행사를 등록 또는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참관객(52)을 대상으로 다양한 항목의 설문조사를 진행, 관리하고, 이를 행사의 참관객(52) 확보와 홍보 및 관리 시스템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설문조사는 행사 참관객(52)이 서버(10)에 접속하여 각 항목별로 설문지를 작성하게 되며, 작성된 설문지는 서버(10)에 의해 등록, 관리되고, 그 작성 내용은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주최자(32)가 진행하는 각 행사마다 초청장 발급 한도를 설정하고, 주최자(32)가 요청하면 기 설정된 한도 내에서 주최자(32)에게 초청장을 발급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최자(32)는 서버(10)에 접속하여 회사명, 담당자 성명, ID, PASSWORD, 전송받을 연락처, 양도 수량 등을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눌러 상기 서버(10)로부터 일정량의 행사 초청장을 양도받게 된다. 물론, 상기 초청장 발급 한도는 주최자(32) 또는 참가업체(42) 또는 참관객(52)의 추가 또는 양도 요청에 의해 증설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초청장을 받은 참관객(52)의 행사 사전등록 및 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서버(10)는 초청장을 받은 참관객(52)이 서버(10)에 접속하여 행사 사전등록을 요청하면 일정한 확인 절차를 거쳐 참관객(52)의 인적사항을 포함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하고, 주최자(32)와 참가업체(42)와 참관객(52)이 요청하면 행사 초대장의 발송, 양도, 전달, 사용과 같은 현황 정보 및 그 과정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불러와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최자(32)가 서버(10)에 접속하여 행사명과 같은 검색 조건으로 관련 행사의 초청장 현황(사용수량, 양도수량, 발송수량, 잔여수량 등) 및 사전 등록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10)는 참관객(52)의 단계별 초청장 전달 과정을 추적하여 등록율 또는 전달률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각 참관객(52)의 초청장 파급력을 측정하여 주요 참관객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초청장 파급력은 참관객(52)의 단계별 전달과정 및 확장 효율 즉, 초청장을 전달 또는 양도 받은 참관객(52)이 서버(10)에 행사 사전등록을 마치게 되면 서버(10)가 상기 참관객(52)에게 일정량의 초청장을 양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참관객(52)이 서버(10)로부터 양도받은 초청장을 다른 참관객(52)에게 모두 전달하는가, 남기는가 등에 의한 초청장 소모량 체크 및 상기 참관객(52)을 기점으로 초청장이 몇단계를 거치면서 다른 참관객(52)으로 확장되는지 등에 의한 초청장 확산 단계 판단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참관객(52) 간의 초청장 확장 구조 및 그 과정은 참관객단말기(50)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나아가, 상기 서버(10)는 이와 같이 구성된 주요 참관객 그룹을 별도로 추적, 관리하여 별도의 홍보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주요 참관객 그룹을 통해 홍보 타겟을 구체화 하여, 빠르고 연관성 높은 관계를 활용함으로써, 행사 참관객의 사전확보와 홍보에 최선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상기 주요 참관객 그룹은 매우 중요한 행사 홍보자원이 된다. 또한, 상기 주최자(32)는 상기 주요 참관객 그룹을 대상으로 일정한 포인트 또는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하여 해당 행사에 대한 참관객(52)의 관심 및 참여도를 더 이끌어 낼 수 있는데, 이는 해당 행사에 대한 충성도 및 관련도가 높은 양질의 참관객(52) 참여를 적극 유도하게 되어, 성공적인 행사의 유치와 운영의 기반이 된다. 아울러, 행사 주최자(32)는 연관성 높은 참관객(52)의 안정적인 행사 참가를 보장받을 수 있어, 양질의 참관객(52) 데이터를 확보함은 물론, 행사의 전문성을 유지하고 장기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발송정보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초청장별 이동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사전등록자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서버(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행사 초청장의 발송 정보 및 참관객의 사전등록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행사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참가업체와 참관객의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할 때 제공되는 저장체로써, 이러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 출력이 가능한 저장 장치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행사에 대한 기본 정보와 참가업체 현황 등의 제반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행사 초청장을 발송하고자 하는 대상 즉, 주최자(32)와 참가업체(42) 및 참관객(52)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개인별 초청장 발송현황과 잔여량 및 발송자 명단 등을 저장, 관리하고, 각 발송인과 등록인 간의 관계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행사별 초청장의 시안과, 참가 기업의 각종 홍보물, 행사 이벤트 내용 등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행사 초청장을 발송하고자 하는 대상은 기 저장된 참가업체(42) 정보 및 주최자(32)로부터 새롭게 받은 참가업체(42)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의 주요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행사 초청장의 발송과 양도 및 전달 정보, 참관객(52)의 사전등록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주최자(32)와 참가업체(42) 및 참관객(52)이 행사 초청장의 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초청장의 발송, 양도, 전달 과정 및 그 모든 기록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서버(10)와 주최자단말기(30)와 참가업체단말기(40) 및 참관객단말기(50) 사이에서 행사 초청장이 발송 및 그 과정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청장 고유번호, 발송자(참가업체 또는 참관객) 구분, 발송자 등록번호, 발송자명, 발송자 연락처, 수신자명, 수신자 연락처, 날짜, 시간, 사용여부, 사전등록 번호 등의 초청장 발송 정보를 저장하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청장 번호, 날짜, 시간, 보낸사람, 보낸사람 연락처 등의 초청장별 이동 정보 즉, 행사 초청장이 주최자(32)와 참가업체(42)와 참관객(52)을 거치면서 발송, 양도되는 세부 과정 및 참관객(52)과 다른 참관객(52) 사이에 전달되는 세부 과정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행사 초대장의 현황 및 그 과정에 대한 정보는 서버(10)를 통해 주최자(32)와 참가업체(42)와 참관객(52)에게 제공되며, 상기 주최자(32)와 참가업체(42)와 참관객(52)은 실시간으로 행사 초청장의 발송 및 초청장별 이동 내역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행사 초청장을 양도 또는 전달받은 참관객(52)의 사전등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전등록 번호, 초청장 번호, 성명, 회사, 부서, 직책, 연락처 국가코드, 연락처, E-mail, 주소, 상세주소, 우편번호, 질문사항 등 사전등록 한 참관객(52)의 초청장과 전반적인 신상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참관객(52)의 사전등록 정보는 행사 초청장에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 code) 등과 같은 식별 방식으로 인쇄되어 현장에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의 도면에서는 단일의 데이터베이스(20)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베이스(20)가 복수로 형성되어, 행사 초청장의 발송과 양도 및 전달 정보, 그리고 참관객(52)의 사전등록 정보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 관리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초청장 설정 및 디자인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초청장 발송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등록자 검색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초청장 발송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최자의 초청장 사용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이다.
상기 주최자단말기(30)는 서버(10)와 연결되어 행사를 설정하고, 서버(10)로부터 할당된 초청장을 각 참가업체단말기(40)로 배분하여 발송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행사를 주최하는 주최자(32)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에서는 주최자단말기(30)가 데스크탑 PC(desktop PC)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주최자단말기(30)의 주요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주최자단말기(30)는 행사설정, 초청장의 설정과 발송 및 현황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최자단말기(30)는 데이터베이스(20)에 미리 저장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바탕으로 로그인 과정을 거쳐 서버(10)와 접속하게 된다.
상기 주최자단말기(30)는 서버(10)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10)에 행사 일정 및 개요와 같은 행사 정보를 설정하는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버(10)에 행사명, 행사장소, 행사일정, 행사담당자 인적사항 등의 행사 기본 정보를 입력,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행사 설정이 완료되면, 참가업체(42)나 참관객(52)에게 발송할 초청장 시안을 설정하게 되는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여부, 최대 발송수량, 배포(등록) 일정, 등록번호 대역, 상단 이미지, 버튼 이미지, 버튼 색상, ADMIN 상단 이미지, 배경색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항목들은 서버(10)에서 미리 정한 고정값으로 대체되고, 그 외의 항목들만 주최자(32)가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주최자단말기(30)는 서버(10)에 접속하여 정해진 수량의 범위 내에서 해당 행사의 초청장을 요청하고, 이를 통해 양도받은 일정량의 초청장을 각 참가업체단말기(40) 별로 배분하여 발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최자단말기(30)는 서버(10)에 초청장 요청 수량 및 주최자(32)가 보유하고 있는 참가업체(42), 그리고 참관객(52)의 발송리스트를 보내게 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최자(32)는 주최자단말기(30)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10)에 보내는 사람의 이름과 회사명, 받는 사람의 이름과 회사명 및 전송받을 연락처 등을 입력한 후, 전송(send) 버튼을 눌러 행사 초청장을 원하는 대상에게 개별 전송하거나, 다수의 연락처가 저장된 파일을 이용하여 일괄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최자단말기(30)는 행사 초청장의 발송 및 발송된 행사 초청장의 사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최자(32)는 행사 적용 시점부터 일자별 초청장 전달률, 등록률을 측정하여 행사 참관객(52)의 규모를 미리 예상할 수 있으며, 이를 행사 준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최자(32)가 주최자단말기(30)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하고, 도 11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에 등록번호, 성명, 휴대폰,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급, 국가, 지역, 등록구분, 결제여부, 결제금액, 입장일자 등의 검색 조건을 설정한 후, 서치(search) 버튼을 눌러, 등록 참관객 리스트 또는 초청장의 발송 리스트를 파악할 수 있으며,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에 행사명과 같은 검색 조건으로 관련 행사의 초청장 사용 현황(사용수량, 양도수량, 발송수량, 잔여수량 등) 및 사전등록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최자(32)는 주최자단말기(30)를 통해 단계별 파급력이 큰 참관객(52)의 분류 기준을 정하고, 이러한 기준에 의해 선별된 참관객(52)들에게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거나, 전달에 대한 포인트를 제공하여 참관객(52)의 행사 참여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최자(32)는 주최자단말기(30)를 통해 참관객(52)의 전달력 기준에 따른 이벤트 및 포인트 사용 계획 등을 미리 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참관객(52)의 분류 기준은 앞서 설명한 서버(10)에서 주요 참관객 그룹을 정하는 데 적용될 수도 있고, 주최자(32)가 별도로 이벤트 제공이나 포인트 지급을 위한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가업체의 초청장 수신 및 로그인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가업체의 초청장 전달 및 양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가업체별 초청장 발송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참가업체단말기(40)는 서버(10)와 연결되어 주최자(32)로부터 양도받은 행사 초청장을 참관객(52)에게 발송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행사에 참여하는 참가업체 및 참관객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에서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중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참가업체단말기(40)는 서버(10)에 접속하여 행사 초청장의 수신, 발송 및 현황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가업체단말기(40)는 데이터베이스(20)에 미리 저장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바탕으로 로그인 과정을 거쳐 서버(10)와 접속하게 된다.
상기 참가업체단말기(40)는 서버(10) 접속을 통해 주최자단말기(30)로부터 일정량의 초청창을 양도받는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참가업체단말기(40)는 주최자단말기(30)로부터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참가업체(42)는 MMS 메시지를 통해 서버(10)와 연결하는데, 상기 MMS 메시지에는 초청장의 수신자와 발신자 및 초청장을 확인하기 위해 서버(10)와 연결되는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가업체(42)는 참가업체단말기(40)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주최자(32)에게 추가로 필요한 양의 초청장 양도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가업체단말기(40)는 주최자단말기(30)로부터 양도받은 초청장을 다수의 참관객단말기(50)에게 양도하거나 개별 전송할 수 있다. 즉, 참가업체(42)는 어느 참관객(52)에게 여러장의 초청장 및 그 발송 권한까지 양도하여 상기 참관객(52)이 다른 참관객(52)에게 다시 초청장을 전달케 할 수도 있고, 다른 참관객(50)에게 단일의 초청장을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참가업체(42)가 다수의 초청장을 참관객(52)에게 양도하는 과정에서, 초청장의 불법 사용 방지를 위해 해당 초청장에 대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참관객(52)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관객(52)에게 부여하는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는 서버(10)를 거치지 않고 참가업체(42)가 집접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참가업체단말기(40)는 서버(10)를 통해 초청장을 참관객단말기(50)에 양도 또는 개별전송 하게 되는데, 어느 참관객단말기(50)에 초청장을 양도할 경우 받는 사람의 회사명, 아이디(ID), 성명, 패스워드(PW), 전송받을 연락처, 양도 수량 등을 설정해 복수의 초청장을 해당 참관객단말기(50)로 양도하게 되며, 어느 참관객단말기(50)에 초청장을 개별 전송할 경우 받는 사람의 회사명, 성명, 전송받을 연락처 등을 설정해 단일의 초청장을 해당 참관객단말기(50)로 개별 전송하게 된다. 물론, 상기 참가업체(42)는 행사 초청장의 양도 수량이 일정한 참관객(52)에게 상기 행사 초청장을 일괄 발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참가업체(42)는 해당 업체의 홍보물 또는 이벤트 내용을 초청장에 삽입하여 함께 참관객(52)에게 양도 또는 개별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참가업체(42)는 참가업체단말기(40)를 통해 참관객단말기(50)로 발송하는 모바일 초청장에 자사의 부스번호 또는 URL 또는 제품이미지와 같은 홍보물을 첨부함으로써, 자사를 통해 초청장이 발송된 참관객(52)을 대상으로 자사의 상품과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가업체단말기(40)는 서버(10)에 접속하여 행사 초청장의 사용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참가업체(42)는 자신이 발송한 행사 초청장의 사용현황 확인을 통해 얼마나 많은 수의 참관객(52)이 행사장을 방문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은 물론, 실제 방문 참관객(52)의 리스트를 제공받아, 계획적이면서 집중적으로 행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가업체(42)는 참가업체단말기(40)로 서버(10)에 접속하여 등록번호, 성명, 휴대폰,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급, 국가, 지역, 등록구분, 결제여부, 결제금액, 입장일자 등의 검색 조건을 설정하고, 서치(search) 버튼을 눌러, 참관객(52)의 사전등록 리스트 및 그 참관객(52)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관객의 초청장 수신 및 로그인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관객의 행사 사전등록 및 초청장 전달 또는 양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의 초청장 발송, 전달 과정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상기 참관객단말기(50)는 서버(10)와 연결되어 참가업체단말기(40)로부터 받은 초청장을 통해 행사 사전등록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참관객단말기(50)는 참관객(52)이 행사 초청장을 수신받고, 실시간으로 서버(10)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거나 사전등록을 할 수 있도록,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중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참관객단말기(50)는 서버(10)에 접속하여 행사 사전등록, 초청장 전달 및 사용현황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관객단말기(50)는 초청장 전달 및 사용현황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부여받은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이용한 로그인 과정을 거쳐 서버(10)와 접속하게 된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참관객단말기(50)는 참가업체단말기(40)로부터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로 모바일 초청장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통해 서버(10)와 연결하여 상기 참관객(52)의 모바일 기기 화면으로 행사 초청장을 불러오게 되며, 상기 행사 초청장의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행사 사전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MS 메시지에는 초청장의 수신자와 발신자 및 초청장을 확인하기 위해 서버(10)와 연결되는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행사 초청장의 '등록하기' 버튼은 서버(10)의 행사 사전등록 페이지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관객단말기(50)는 서버(10)와 연결되어 행사 사전등록을 진행한 후, 다시 초청장을 다른 참관객(52)에게 양도 또는 전달할 수 있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관객(52)은 참관객단말기(50)로 서버(10)에 성명, 소속(회사명), 부서, 직책, 휴대폰, 전화, 팩스, 이메일, 지역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행사 사전등록을 할 수 있으며, 이처럼 사전등록 과정을 마치게 되면 서버(10)는 해당 참관객(52)에게 일정량의 행사 초청장 발송 권한을 부여하게 되고, 상기 참관객(52)은 부여받은 권한으로 초청장을 다른 참관객(52)에게 다시 양도 또는 전달하여 확산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행사 초청장의 확산 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행사는 행사에 참관하는 참관객의 모집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해 더욱 많은 참관객을 유치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기존의 행사 참가자 유치 방식은 행사의 홍보 즉, 행사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누가, 무엇을 한다는 내용을 공중파 또는 인쇄매체 또는 DM(direct marketing) 및 온라인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홍보하는 것에 그쳤는데, 이는 행사 정보의 노출량은 클지 몰라도 누가 언제 본 정보를 습득하는지에 대한 피드백이 전혀 없으며, 이런 방식을 통해 행사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과정도 복잡하여 그 실효성이 적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은 참관객 개인의 모바일 기기(휴대폰)를 및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연관성 높은 사람들의 관계를 기반으로, 행사 초청장의 양도 또는 전달 과정을 계속 확장하는 피라미드 기법과 무한증식 등의 알고리즘을 채택함으로써, 양질의 참관객 확보와, 계획적인 행사 준비 및 안정적인 행사 운영을 가능케 한 것이다.
즉, 참관객(52)의 모바일 기기(개인 휴대폰)를 매개로 하여 행사 초청장을 발송하되,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한 참관객(52)이 서버(10)에 행사 사전등록을 마치면 해당 참관객(52)에게 다시 일정량의 초청장 발송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참관객(52)의 모바일 기기(개인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지인에게 초청장을 전달하여 주변으로 계속 확산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A'가 모바일 초청장을 전달 받고, 상기 초청장을 이용하여 행사 사전등록 과정을 거치면 서버(10)가 다시 그 'A'에게 소정의 모바일 초청장의 발송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A'가 자신의 휴대폰에 저장된 연락처 중 유사 직업군이거나 업무 연관성이 높은 'B'에게 초청장을 전달한다. 이후 'A'로부터 모바일 초청장을 전달받은 'B'가 행사 사전등록 과정을 거치면 서버(10)가 다시 그 'B'에게 소정의 모바일 초청장 발송 권한을 부여하며, 이와 같은 행사 초청장 전달 및 행사 사전등록 과정을 무한 반복하여 단계별 무한증식 알고리즘 방식을 바탕으로 한 '피라미드' 구조로 확장하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 참관객(52)의 사전등록 이후 추가로 받은 초청장의 발송과정은 행사와 연관성이 높은 유관 참관객 군을 무한 발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참관객(52)는 참관객단말기(50)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추가로 필요한 양의 초청장 양도를 요청할 수 있으며, 행사 초청장의 발송 시 발송자의 인사말을 첨부할 수 있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참관객(52)은 참관객단말기(50)로 서버(10)와 접속하고, 발송 회사명, 보내는 번호 등과 같은 보내는 사람 정보 및 회사명, 성명 등과 같은 받는 사람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10)로부터 발송 권한을 부여받은 초청장을 다른 참관객(52)에게 양도 또는 개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관객(52)은 참관객단말기(50)로 서버(10)와 접속하여 행사 초청장의 사용현황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발송자를 기점으로 확산된 초청장 및 사전 등록자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서버 20: 데이터베이스
30: 주최자단말기 32: 주최자
40: 참가업체단말기 42: 참가업체
50: 참관객단말기 52: 참관객

Claims (10)

  1. 통신망을 기반으로 행사 주최자단말기와 참가업체단말기 및 참관객단말기를 연결하고, 행사를 관리하는 서버;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행사 초청장의 발송 정보 및 참관객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행사를 설정하고, 서버로부터 할당된 초청장을 각 참가업체에 배분하여 발송하는 주최자의 주최자단말기;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주최자로부터 받은 초청장을 각 참관객에게 발송하는 참가업체의 참가업체단말기 및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참가업체로부터 받은 초청장을 통해 서버에 행사 사전등록을 하는 참관객의 참관객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참관객이 서버에 행사 사전등록을 마치면, 참관객이 서버로부터 일정량의 초청장 발송 권한을 부여받아 참관객 간의 초청장 양도 또는 전달 과정이 반복,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참관객의 단계별 초청장 전달 과정을 추적하여 등록율 또는 전달률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각 참관객의 초청장 파급력을 측정하여 주요 참관객 그룹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참관객 그룹을 대상으로 소정의 포인트 또는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초청장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단계별 초청장의 발송, 양도, 전달 과정 및 그 내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최자는 서버에 접속하여 행사 정보를 설정하고, 할당된 수량의 범위 내에서 해당 행사의 초청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가업체는 초청장에 해당 업체의 홍보물 또는 이벤트 내용을 삽입하여 참관객에게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가업체는 어느 참관객에게 복수의 초청장을 양도하는 과정에서, 상기 참관객에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직접 생성,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가업체와 참관객은 서버를 통해 추가로 초청장 양도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관객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초청장을 받으며, 상기 서버로부터 발송 권한을 부여받은 초청장을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양도 또는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최자와 참가업체 및 참관객은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초청장의 발송 및 사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KR1020210038727A 2021-03-25 2021-03-25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KR20220133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727A KR20220133519A (ko) 2021-03-25 2021-03-25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727A KR20220133519A (ko) 2021-03-25 2021-03-25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519A true KR20220133519A (ko) 2022-10-05

Family

ID=8359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727A KR20220133519A (ko) 2021-03-25 2021-03-25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35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513A (ko) 2007-03-27 2008-10-0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기반의 컨벤션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176987B1 (ko) 2017-09-18 2020-11-10 주식회사 킨터치 페이퍼리스 전시회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513A (ko) 2007-03-27 2008-10-0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기반의 컨벤션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176987B1 (ko) 2017-09-18 2020-11-10 주식회사 킨터치 페이퍼리스 전시회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46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vents
US20110071843A1 (en) Occurrence marketing tool
KR101236508B1 (ko) 온라인 전시회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93475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advertising and incentive marketing
WO2016010823A1 (en) Synchronization of exposition data and generation of customized communications and reports
US20040225551A1 (en) System and methodology for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administration
KR102236320B1 (ko) 온라인 박람회 사이트 제공방법 및 서버
KR20080087513A (ko) 웹 기반의 컨벤션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180060821A1 (en) Employee referral system
KR20220133519A (ko) 행사 관리 및 참관객 확보 시스템
JP2021043731A (ja) オークション管理システム、オークション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626905B1 (ko) 행사용 마이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 및 운용하는 방법
JP2011248838A (ja) Snsを用いた会員制デジタルコンテンツ及び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システム
US20140330652A1 (en) Online advertising model
JP2021163119A (ja) セミナー運営システム、セミナー運営方法、及びサーバ装置
US20150248735A1 (en) Commun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enabling online exchange sessions
KR20160094697A (ko) 재능기부 마케팅 시스템
TWM580759U (zh) Real estate object with confirmation and reply management system
TW202025070A (zh) 房地產物件帶看的確認及回覆的管理系統
WO2021212924A1 (zh) 供建立人际网络的社区照护系统
JP2019101881A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931884B1 (ko) 경조사용 서비스 시스템
Tiell Marketing Minor League Sports in the Digital Age
Liu et al. Services to Mobile Users: The Best Practice from the Top-Visited Public Libraries in the US
KR20230072028A (ko) 상생을 위한 광고 융복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