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462A -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 - Google Patents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462A
KR20220133462A KR1020210038581A KR20210038581A KR20220133462A KR 20220133462 A KR20220133462 A KR 20220133462A KR 1020210038581 A KR1020210038581 A KR 1020210038581A KR 20210038581 A KR20210038581 A KR 20210038581A KR 20220133462 A KR20220133462 A KR 20220133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vehicle terminal
surplu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050B1 (ko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05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수전 차량 단말기로부터 잉여 전력 공급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송전 차량으로부터 수전 차량으로의 공급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 요금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구비하며, 통신부는 산출된 전력 공급 요금 정보를 수전 차량 단말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운전자가 다른 전기차의 잉여 전력을 직접 구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충전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한 전기차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운전자가 전기차의 잉여 전력을 다른 전기차 운전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력 판매를 통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Vehicle Terminal Executing Vehicle-to-Vehicle Surplus Power Transaction Method, and Electric Vehicle with the Vehicle Terminal Installed}
본 발명은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 운전자가 다른 전기차의 잉여 전력을 직접 구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충전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한 전기차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전기차 운전자가 전기차의 잉여 전력을 다른 전기차 운전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력 판매를 통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에 대한 각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내연 기관 차량에 대한 규제와 함께 수요자들의 인식 변화에 따라 전기차 시장은 향후 상당 기간 동안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전기차의 보급은 최근 대한민국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 핵심 과제 중 하나로서, 정부는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 대를 보급하겠다는 게 목표를 세우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이러한 목표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0년 10월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전기차 12만8258대가 이용할 수 있는 공용 전기차 충전기는 3만3000여 기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충전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전기차 운전자가 감수해야 하는 불편은 향후 전기차의 보급에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차 운전자가 다른 전기차의 잉여 전력을 직접 구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충전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한 전기차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전기차 운전자가 전기차의 잉여 전력을 다른 전기차 운전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력 판매를 통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은, (a) 송전 차량 단말기가,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b) 상기 송전 차량 단말기가, 수전 차량 단말기로부터 잉여 전력 공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송전 차량 단말기가, 상기 송전 차량으로부터 상기 수전 차량으로의 공급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송전 차량 단말기가, 산출된 상기 전력 공급 요금을 상기 수전 차량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잉여 전력 판매 정보에는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e) 상기 송전 차량 단말기가, 상기 수전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송전 차량 단말기가, 상기 송전 차량의 예상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잉여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송전 차량 단말기가, 산출된 상기 잉여 전력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송전 차량 단말기가,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잉여 전력 공급 요청에는 공급 요청 전력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잉여 전력 공급 요청에는 상기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에 대한 조정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수전 차량 단말기가, 상기 수전 차량의 예상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충전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전 차량 단말기가, 상기 수전 차량의 예상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필요 충전 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차량 단말기는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수전 차량 단말기로부터 잉여 전력 공급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송전 차량으로부터 상기 수전 차량으로의 공급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 요금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산출된 상기 전력 공급 요금을 상기 수전 차량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잉여 전력 판매 정보에는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전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송전 차량의 예상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잉여 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잉여 전력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잉여 전력 공급 요청에는 공급 요청 전력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잉여 전력 공급 요청에는 상기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에 대한 조정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에는 상기 수전 차량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운전자가 다른 전기차의 잉여 전력을 직접 구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충전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한 전기차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운전자가 전기차의 잉여 전력을 다른 전기차 운전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력 판매를 통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시스템은 송전 차량(10), 송전 차량 단말기(100), 수전 차량(20), 및 수전 차량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송전 차량(10)은 내부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통해 구동되는 전기차로서, 송전 차량(10)의 잉여 전력을 직접 판매하는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이다.
수전 차량(20) 또한 내부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통해 구동되는 전기차로서, 수전 차량(20)은 송전 차량(10)의 잉여 전력을 직접 구매하고자 하는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이다.
송전 차량 단말기(100)와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각각 송전 차량과 수전 차량(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제어용 단말기로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송전 차량 단말기(100)과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송전 차량(10)의 운전자와 수전 차량(20)의 운전자가 각각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송전 차량 단말기(100)는 송전 차량(10)으로부터 수전 차량(20)으로의 전력 공급에 필요한 각 과정을 실행하며,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송전 차량(10)으로부터 수전 차량(20)으로의 전력 수급에 필요한 각 과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전 차량(20) 또한 내부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충분한 경우 다른 전기차에 잉여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으므로, 수전 차량 단말기(200)와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기능 및 구조는 동일하게 구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구조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연산부(130), 입력부(150), 표시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먼저,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는 송전 차량(10)에서의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수전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잉여 전력 공급 요청을 수신한다.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연산부(130)는 송전 차량(10)의 예상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잉여 전력량을 산출하고, 송전 차량(10)으로부터 수전 차량(20)으로의 공급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 요금을 산출한다.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표시부(170)는 송전 차량(10)의 예상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된 잉여 전력량 정보를 표시하며, 입력부(150)에는 송전 차량(10)의 운전자가 결정한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 정보가 입력된다.
한편,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제어부(190)는 통신부(110), 연산부(130), 입력부(150), 및 표시부(17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송전 차량(10)의 운전자가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는 목적지(예를 들면, 집 또는 충전소)를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입력부(150)에 입력함에 따라, 연산부(130)는 송전 차량(10)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이동 거리의 운행에 소요되는 전력량인 필요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연산부(130)는 송전 차량(10)의 배터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잔여 전력량(R) 정보와 상기 산출된 필요 전력량(N) 정보에 기초하여 송전 차량(10)의 잉여 전력량(R-L)을 산출하고, 산출된 잉여 전력량 정보를 송전 차량 단말기(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S410).
이에 표시부(170)를 통해 잉여 전력량 정보를 확인한 송전 차량(10)의 운전자가 목적지로의 출발 전에 잉여 전력을 판매하기로 결정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송전 차량 단말기(100)에 터치식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된 입력부(150)를 통해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예를 들면, 100원/kWh)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S420).
이에 제어부(190)는 운전자가 입력한 공급 단가 정보와 상기 산출된 잉여 전력량 정보를 포함하는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110)가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외부로 브로드캐스팅함에 따라(S430),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송전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10 단계에서 송전 차량(10)의 운전자는 잉여 전력량 정보를 확인한 후 입력부(150)를 통해 잉여 전력량 정보에 대한 수정값을 입력함으로써 판매 전력량을 직접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송전 차량(10)과 수전 차량(20)은 대형 주차장 등의 동일 공간에 각각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송전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전 차량(20)의 배터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잔여 전력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전 차량(20)의 전력 충전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S440).
구체적으로,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배터리 모듈의 잔여 전력량이 배터리 모듈의 완충시 전력량 대비 소정의 기준 비율(예를 들면, 10%) 미만인 경우에 수전 차량(20)의 전력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송전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운전자 좌석에 설치된 로드 셀로부터 운전자의 하중 감지 정보가 수신된 경우(즉, 운전자가 차량 내에 있는 경우)에는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수전 차량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수전 차량(20)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가 수전 차량 단말기(200)에 목적지를 입력하는 경우에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수전 차량(20)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이동 거리의 운행에 소요되는 전력량인 필요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필요 전력량이 잔여 전력량 이상인 경우에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송전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운전자 좌석에 설치된 로드 셀로부터 운전자의 하중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즉, 운전자가 차량 내에 없는 경우)에는 수전 차량 단말기(200)에 기 등록되어 있는 운전자의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로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목적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 수전 차량(20)의 충전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확인한 수전 차량(20)의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식 화면에 표시된 '충전 요청'을 선택함에 따라, 수전 차량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전 차량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확인한 운전자가 수전 차량 단말기(200)의 터치식 화면에 표시된 '충전 요청'을 선택하는 경우에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전 차량 단말기(200)가 송전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화면을 통해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출력하거나,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 이후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분)이 경과하도록 운전자로부터의 '충전 요청' 선택 또는 목적지 입력이 없는 경우에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수전 차량(20)의 과거 운행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수전 차량(20)의 1회 운행당 평균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1회 운행당 평균 소비 전력량이 잔여 전력량 이상인 경우에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수전 차량 단말기(200)가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충전이 필요한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S45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전술한 S440 단계에서 산출된 목적지까지의 필요 전력량(또는 1회 운행당 평균 소비 전력량)에서 수전 차량(20)의 현재 잔여 전력량을 뺀 수치를 충전 필요 전력량으로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이와 같이 산출된 충전 필요 전력량과 전술한 S430 단계에서 수신된 잉여 전력 판매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잉여 전력량을 상호 비교한 결과, 충전 필요 전력량이 잉여 전력량 보다 큰 경우에는 잉여 전력량을 공급 요청 전력량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충전 필요 전력량이 잉여 전력량 보다 작은 경우에는 충전 필요 전력량을 공급 요청 전력량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충전 필요 전력량이 잉여 전력량 보다 작은 경우에 전술한 S430 단계에서 수신된 잉여 전력 판매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공급 단가가 수전 차량(20)의 과거 충전 기록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 전력의 평균 공급 단가보다 낮은 경우에는 잉여 전력량을 공급 요청 전력량으로 결정하되, 수전 차량(20)의 완충에 필요한 전력량을 한도로 하여 공급 요청 전력량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이와 같이 결정된 공급 요청 전력량과 전술한 S420 단계에서의 공급 단가 정보를 포함하는 공급 요청 승인 문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수전 차량(20)의 화면을 통해 출력하거나, 운전자 좌석에 설치된 로드 셀로부터 운전자의 하중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즉, 운전자가 차량 내에 없는 경우)에는 수전 차량 단말기(200)에 기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이에 사용자가 수전 차량 단말기(200)의 터치식 화면을 통해 '승인'을 선택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승인'을 선택하는 경우에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송전 차량 단말기(100)로 공급 요청 전력량을 포함하는 잉여 전력 공급 요청을 송전 차량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46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급 요청 승인 문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공급 단가 정보를 확인한 수전 차량(20)의 운전자는 수전 차량 단말기(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 공급 단가(예를 들면, 90원/kWh 또는 110원/kWh)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전술한 S460 단계에서 송전 차량 단말기(100)는 공급 요청 전력량 정보와 수전 차량(20)의 운전자가 입력한 요청 공급 단가를 포함하는 잉여 전력 공급 요청을 수전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전 차량(20)의 운전자는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전 차량(20)의 운전자는 요청 공급 단가를 전술한 S420 단계에서의 공급 단가보다 낮게 입력함으로써 공급 단가에 대한 할인을 요청할 수도 있고, 요청 공급 단가를 전술한 S420 단계에서의 공급 단가보다 높게 입력함으로써 잉여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계약에의 입찰에서의 낙찰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송전 차량 단말기(100)는 복수의 수전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은 잉여 전력 공급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송전 차량(10)의 운전자는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공급 단가를 제안한 수전 차량(20)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잉여 전력 공급 요청을 검토한 송전 차량(10)의 운전자가 잉여 전력을 공급할 수전 차량(20)을 입력부(150)를 통해 선택함에 따라,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제어부(190)는 송전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결정 메시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전력 공급 결정 메시지를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통신부(110)가 해당 수전 차량 단말기(200)로 송신함에 따라,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전력 공급 결정 메시지를 화면을 통해 출력하거나, 운전자 좌석에 설치된 로드 셀로부터 운전자의 하중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즉, 운전자가 차량 내에 없는 경우)에는 수전 차량 단말기(200)에 기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이에 수전 차량(20)의 운전자가 수전 차량(20)의 운행을 시작함에 따라 수전 차량 단말기(200)는 전력 공급 결정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송전 차량(10)의 위치를 수전 차량(20)의 충전을 위한 목적지로 설정하고, 해당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수전 차량(20)의 운전자의 운행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전 차량(20)의 운전자는 송전 차량(10)의 위치까지의 운행을 완료한 후 도 1에서와 같이 송전 차량(10)과 수전 차량(20)을 상호 연결하는 송전 케이블(300)을 설치하게 된다.
이에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제어부(190)는 전술한 S460 단계에서 수전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공급 요청 전력량 만큼 송전 차량(10)으로부터 수전 차량(20)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 모듈의 전력 송출구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송전 차량(10)으로부터 수전 차량(20)으로의 전력 공급이 진행됨에 따라 송전 케이블(300)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량 측정 미터기는 공급 전력량을 송전 차량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이후 수전 차량(20)으로의 전력 공급이 완료되는 경우에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연산부(130)는 전력량 측정 미터기로부터 수신된 공급 전력량 정보와 전술한 S420 단계에서의 공급 단가 정보 또는 전술한 S460 단계에서의 잉여 전력 공급 요청에 포함된 요청 공급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 요금을 산출한다(S470).
한편,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전력 공급 요금 정보를 수전 차량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48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송전 차량 단말기(100)의 연산부(130)는 블록체인의 분산원장기술(DLT)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 요금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 공급 요금 정보의 사본을 생성하여 이를 수전 차량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수전 차량 단말기(200)가 자체 구비되어 있는 전자 화폐 지갑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 요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함에 따라, 송전 차량 단말기(100)는 수전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전력 공급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490).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송전 차량, 20: 수전 차량,
100: 송전 차량 단말기, 200: 수전 차량 단말기,
300: 송전 케이블.

Claims (3)

  1. 잉여 전력 판매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수전 차량 단말기로부터 잉여 전력 공급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송전 차량으로부터 상기 수전 차량으로의 공급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 요금을 산출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산출된 상기 전력 공급 요금 정보를 상기 수전 차량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인 차량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 전력 판매 정보에는 잉여 전력의 공급 단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차량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의 상기 차량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차.
KR1020210038581A 2021-03-25 2021-03-25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 KR10253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581A KR102539050B1 (ko) 2021-03-25 2021-03-25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581A KR102539050B1 (ko) 2021-03-25 2021-03-25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462A true KR20220133462A (ko) 2022-10-05
KR102539050B1 KR102539050B1 (ko) 2023-06-01

Family

ID=8359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581A KR102539050B1 (ko) 2021-03-25 2021-03-25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0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788A (ko) * 2017-03-13 2018-09-27 (주)유씨티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90140531A (ko) * 2018-05-31 2019-12-20 (주)유씨티 차량간 충전 및 통신 시스템
KR20200093403A (ko) * 2019-01-04 2020-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간 전기 동력을 전송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자동차의 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788A (ko) * 2017-03-13 2018-09-27 (주)유씨티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90140531A (ko) * 2018-05-31 2019-12-20 (주)유씨티 차량간 충전 및 통신 시스템
KR20200093403A (ko) * 2019-01-04 2020-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간 전기 동력을 전송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자동차의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050B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2834B2 (en) Platoon travel system
US108992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user interface therefor
US119078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transportation or freight capacity exchange for one or more transportation or freight capacity units
US11225162B2 (en) Providing on-demand power charging for electric vehicles
US201002284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cost of efficient vehicles
KR102182321B1 (ko) V2g 기반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190251503A1 (en) Strategy game layer over price based navigation
US20120116575A1 (en) Combinatio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point of sale device
JP5067383B2 (ja) 電気自動車の二酸化炭素排出量算出装置
US118300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user interface therefor
CN103198580A (zh) 一种停车场终端、停车计费系统及方法
US20120116955A1 (en) Charging purchases to utility accounts
EP3894268B1 (en) System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JPWO2020148848A1 (ja) 送受電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704464B1 (ko) 모바일 차량의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539050B1 (ko) 차량 대 차량 간의 잉여 전력 거래 방법을 실행하는 송전 차량 단말기, 및 그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전기차
KR102047913B1 (ko) 게임요소를 반영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가상발전소 관리 방법,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20200219017A1 (en) Market layer price queue map routing for multi-layered nodal network topology for a multi-modal secure forward market auction in transportation capacity and space
CN116402515A (zh) 一种电动汽车用户一站式全生命周期服务方法及系统
KR101662949B1 (ko) 전기자동차의 축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ess 운영 방법 및 시스템
WO2011111768A1 (ja) 充電システム
US201202904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ransaction data
KR102527950B1 (ko) 소규모 태양광 전력 거래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053096A (ko) 카 셰어링 요금의 요금 설정 장치, 요금 설정 방법 및 요금 설정 시스템
KR102388205B1 (ko) 유가 변동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주유소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