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936A -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936A
KR20220132936A KR1020210038122A KR20210038122A KR20220132936A KR 20220132936 A KR20220132936 A KR 20220132936A KR 1020210038122 A KR1020210038122 A KR 1020210038122A KR 20210038122 A KR20210038122 A KR 20210038122A KR 20220132936 A KR20220132936 A KR 20220132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time
video
shoot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050B1 (ko
Inventor
황두영
Original Assignee
비젼온칩 주식회사
주식회사 티비디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젼온칩 주식회사, 주식회사 티비디엑스 filed Critical 비젼온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050B1/ko
Priority to PCT/KR2022/002430 priority patent/WO2022203212A2/ko
Publication of KR2022013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232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는 출사할 영상을 외부 장치 또는 내부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영상을 출사하는 프로젝터; 동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제작에 필요한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에 대한 타임 스케줄을 매 주기마다 프로젝션이 투사되는 출사타임 구간과 상기 출사타임에 이어서 프로젝션이 투사되지 않는 비출사 타임구간을 포함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은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의 40 ~60% 범위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를 상기 프로젝터의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서 비출사 타임보다 작은 촬영 노출 프레임 시간으로 촬영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촬영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moving picture device using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이나, 홍보, 광고활동에 동영상 자료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녹화된 영상을 해당 사이트에서 고객이 찾아보는 방식을 주로 활용하며, 드물게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보통 기본 강의는 녹화로 진행하고, 질의응답은 스트리밍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이 경우 동영상 효과를 높이고 설명의 편이성을 높이기 위해 미리 녹화된 프로젝트를 칠판이나 데스크에 투영하고 이를 설명하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그 중 프로젝션 방식으로 실사물 위에 프로젝트로 디지털 정보를 그대로 투사하여 실사물 위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동작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는 실사물을 보면서 실감 있는 부가 정보를 체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학습의 이해도를 가장 높이는 방법은 교사나 전달자가 칠판을 이용하여 강의하듯이 직접 프로젝트 내용을 그리면서 설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프로젝트 내용의 동영상에 동시에 같이 녹화가 되면, 전달자의 의도하였던 강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방법으로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촬영을 한 후에 촬영 후에 크로마키 기법이나, 일부 배경을 제거하는 보정 기법 등을 통하여 프로젝트 영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나, 이는 별도의 추가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프로젝트로 디지털 정보를 그대로 투사하면서 교사나 동영상 제작자는 프로젝트 투영물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제작을 하되, 실제 제작물에서는 프로젝트로 비춰진 영상이 실시간으로 촬영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7645호(프로젝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패널에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기 위한 동영상 제공 장치)에 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7645호(프로젝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패널에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기 위한 동영상 제공 장치)
본 발명은 프로젝트로 디지털 정보를 그대로 투사하면서 동영상 제작자는 프로젝트 투영물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제작을 하되, 실제 제작물에서는 프로젝트로 비춰진 영상이 실시간으로 촬영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사할 영상을 외부 장치 또는 내부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영상을 출사하는 프로젝터; 동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프레임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제작에 필요한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에 대한 타임 스케줄을 매 주기마다 프로젝션이 투사되는 출사타임 구간과 상기 출사타임에 이어서 프로젝션이 투사되지 않는 비출사 타임구간을 포함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은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의 40 ~60% 범위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를 상기 프로젝터의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서 비출사 타임보다 작은 촬영 노출 프레임 시간으로 촬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촬영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프로젝터의 프로젝트 영상 프레임 주기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의 타임 스케줄 조건을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를 20 ~ 50m의 범위에서 일정한 주기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를 30~ 35ms 범위에서 설정하고, 상기 비출사 타임 구간을 15~18ms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촬영 노출 프레임 시간은 상기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 설정하되, 이전 출사타임이 끝나는 시점과 다음 출사타임이 시작하는 시점에서 2.5~3.5ms의 지연 시간을 제외하고 9~10ms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동영상의 제작에 필요한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에 대한 타임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타임 스케줄은 매 주기마다 프로젝션이 투사되는 출사타임 구간과 상기 출사타임 구간에 이어서 프로젝션이 투사되지 않는 비출사 타임구간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b) 상기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카메라의 촬영 주기를 상기 프로젝터의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서 비출사 타임보다 작은 촬영 노출 프레임 시간으로 촬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촬영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프로젝터의 출사주기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주기를 동기화하여 일치시키는 단계; 및 d)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의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은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의 40 ~60%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 후에 e)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의 출사타임과 비출사 타임구간 비율을 조정하여 촬영된 동영상에 프로젝션 영상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을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의 0 ~ 35% 범위에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설명프로그램, 강의 등 목적에 필요한 동영상을 카메라로 제작할 때, 사용자에게는 프로젝트 영상이 지속적으로 투사된 것으로 인식되면서, 카메라에 의한 동영상에는 상기 프로젝트 영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프로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설명프로그램, 강의 등 목적에 필요한 동영상을 카메라로 제작할 때, 사용자에게는 프로젝트 영상이 지속적으로 투사된 것으로 인식되면서, 카메라에 의한 동영상에는 상기 프로젝트 영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또는 일부 구간에만 나타나도록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로 촬영되는 동영상에는 상기 그림 프로젝트 영상은 나타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설명과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그림 윤곽만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는 상기 사용자가 상당한 미술 실력을 갖춘 것으로 인식되어 동영상에 대한 반응 및 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100)가 하나의 기기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로젝터와 카메라의 동작 타이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로젝터와 카메라의 동작 타이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로 투사된 프로젝션 영상이 사용자에게 보이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에 의해 촬영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을 활용하여 그림 가이드 그리드를 투영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그림 작업을 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증강현실을 활용한 정치교육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교사나 동영상 제작자가 프로젝트로 디지털 정보를 그대로 투사한, 프로젝트 투영물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제작을 하되, 실제 제작물에서는 프로젝트로 비춰진 영상이 실시간으로 촬영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사람이 물건을 볼 때 신호가 없어져도 잠깐 동안 화면에 영상이 남아 있거나 화면의 영상이 없어져도 시각에는 남아 있는 잔상 현상이 발생한다. 잔상을 느끼는 시간은 1/16초 정도로 짧은 시간이다.
따라서 1/16초 이하의 속도 간격으로 프로젝트 영상이 간헐적으로 정지하여도 프로젝트 영상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프로젝트 영상이 지속적으로 투사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어 실제 동영상 제작이나 강의에 대해서 불편을 느끼지 못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위와 같은 잔상을 느끼는 시간을 착안하여, 프로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설명프로그램, 강의 등 목적에 필요한 동영상을 카메라로 제작할 때, 사용자에게는 프로젝트 영상이 지속적으로 투사된 것으로 인식되면서, 카메라에 의한 동영상에는 상기 프로젝트 영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상기 프로젝트 영상 프레임 주기 중에 주기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영상 투사를 비출사하는 비출사 프레임 타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카메라 촬영 타이밍은 상기 비출사 프레임 타임 내에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세계지도 프로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세계 지도에 관한 설명프로그램, 강의 등 목적에 필요한 동영상을 카메라로 제작할 때, 제작보드에 비춰지는 세계지도의 윤곽을 따라 스크린보드판에 마커로 세계지도를 그려가면서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로 촬영되는 동영상에는 상기 프로젝트 영상은 나타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설명과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세계지도 윤곽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잘 그려진 그림 프로젝트 영상을 이용하여 미술수업에 관한 설명프로그램, 강의 등 목적에 필요한 동영상을 카메라로 제작하거나, 동영상을 송출할 때, 스크린보드판에 비춰지는 잘 그려진 그림 프로젝트 영상 윤곽을 따라 스크린보드판에 마커로 필요한 그림을 그려가면서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로 촬영되는 동영상에는 상기 그림 프로젝트 영상은 나타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설명과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그림 윤곽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는 상기 사용자가 상당한 미술 실력을 갖춘 것으로 인식되어 시청률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100)는 출사할 영상을 외부 장치 또는 내부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영상을 출사하는 프로젝터(110), 동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카메라(120) 및 상기 프로젝터(110)의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와 상기 카메라(120)의 촬영(exposure) 프레임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100)는 하나의 기기 하우징에 프로젝터(100), 카메라(200) 및 제어부(500)가 모두 내장된 일체형 기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100)가 하나의 기기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는 프로젝터(110), 카메라(120) 및 제어부(150)가 각각 별개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50)의 장치로는 P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10) 또는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프로젝터(110)의 프로젝트 영상 프레임 주기와 상기 카메라(120)의 촬영 주기의 타임 스케줄 조건을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입력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로젝터와 카메라의 동작 타이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상단은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주기를 나타낸 것이고, 하단은 카메라의 촬영 주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프로젝터(110)의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에 프로젝션이 투사되는 출사타임과 프로젝션이 투사되지 않는 비출사 타임구간을 포함하도록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에 대한 타임 스케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은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의 40 ~60% 범위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카메라의 촬영 주기는 상기 프로젝터(110)의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서 비출사 타임보다 작은 촬영 노출 프레임(exposure) 시간으로 촬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촬영 주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는 잔상 형상을 고려하여 20 ~ 50ms의 범위에서 일정한 주기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의 촬영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a)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프로젝터의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에 대한 타임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a) 단계에서 프로젝터의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는 20 ~ 50ms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상기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에는 매 주기마다 프로젝션이 투사되는 출사타임 구간과 상기 출사타임에 이어서 프로젝션이 투사되지 않는 비출사 타임구간을 포함하도록 설정한다. 이때,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은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의 40 ~60%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b)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카메라의 촬영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는 상기 프로젝터(110)의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서 비출사 타임보다 작은 촬영 노출 프레임(exposure) 시간으로 촬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촬영 주기를 설정한다.
다음은, c) 상기 프로젝터(110)와 상기 카메라(120)를 스크린보드판에 맞추어 세팅을 하고 상기 프로젝터(110)의 출사주기와 상기 카메라(120)의 촬영주기를 일치시키는 동기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프로젝터(110)의 출사주기와 상기 카메라(120)의 촬영주기 프레임이 일치하지 않으면, 카메라에 프로젝터 영상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c) 단계에서는 프로젝터가 패턴광을 출사하는 주기와 카메라가 영상을 획득하는 주기가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획득하는 영상의 해상도가 변경되거나 노출 시간이 바뀌는 등 카메라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시간이 변경되면 카메라와 프로젝터 간의 동기화가 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과정은 필요에 따라 또는 주변 여건에 따라 카메라의 노출환경이 변경이 되면, 수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단계 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의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단계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단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 시 e) 상기 입력부(155)를 통하여 상기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의 출사타임과 비출사 타임구간 비율을 조정하여 촬영된 동영상에 프로젝션 영상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을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의 35% 미만으로 줄이게 되면, 촬영된 동영상에 프로젝션 영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e) 단계는 필요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을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의 0 ~ 35% 범위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e) 단계는 동영상의 제작 목적에 따라 중간에 프로젝션 영상이 삽입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로젝터와 카메라의 동작 타이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유튜브 콘텐츠 제작, 실시간 강의 동영상 또는 기록용 동영상 콘텐츠 제작 시 움직이는 투사체에 대해 다양한 실험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에서 바람직한 프로젝터와 카메라의 동작 타이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프로젝터(110)의 바람직한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 주기와 카메라의 촬영 노출 프레임(exposure) 주기는 30~ 35ms 범위에서 번갈아 이어지도록 설정하였으며, 프로젝터(110)의 출사타임 구간은 프로젝션(projection) 프레임의 매 주기마다 15~ 18ms, 비출사 타임 구간은 상기 출사타임에 이어서 15~18ms 범위에서 설정한다. 또한, 카메라의 촬영 노출 프레임(exposure) 주기에서 촬영 노출 프레임(exposure) 시간은 상기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 설정하되, 이전 출사타임이 끝나는 시점과 다음 출사타임이 시작하는 시점에서 2.5~3.5ms의 지연 시간을 제외하고 설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촬영 노출 프레임(exposure) 시간은 9~10ms에서 설정한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인물그림을 그리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로 투사된 프로젝션 영상이 사용자에게 보이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에 의해 촬영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5에서 보이는 프로젝터로 투사된 프로젝션 영상을 따라 스크린보드판에 인물그림을 그리는 이미지를 촬영한 영상에는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인물윤곽은 촬영이 되고, 프로젝터로 투사된 프로젝션 영상은 촬영된 영상에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을 활용하여 그림 가이드 그리드를 투영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그림 작업을 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인물화 grid를 제공하고 인물을 그리는 예로서 실제 촬영된 영상에는 그려진 인물만 나타나고 grid는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프로젝터로부터 프로젝션 되는 그리드를 나타내고, 도 9는 원근 투영용 그리드를 이용하여 건물 스케치를 그리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제 촬영된 영상에는 그려진 건물 윤곽만 나타나고 grid는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110: 프로젝터
120: 카메라
150: 제어부
155: 입력부

Claims (10)

  1.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출사할 영상을 외부 장치 또는 내부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영상을 출사하는 프로젝터; 동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제작에 필요한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에 대한 타임 스케줄을 매 주기마다 프로젝션이 투사되는 출사타임 구간과 상기 출사타임에 이어서 프로젝션이 투사되지 않는 비출사 타임구간을 포함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은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의 40 ~60% 범위에서 제어하되,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를 상기 프로젝터의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서 비출사 타임보다 작은 촬영 노출 프레임 시간으로 촬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촬영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프로젝터의 프로젝트 영상 프레임 주기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의 타임 스케줄 조건을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를 20 ~ 50m의 범위에서 일정한 주기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를 30 ~ 35ms 범위에서 설정하고,
    상기 비출사 타임 구간을 15 ~ 18ms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 노출 프레임 시간은 상기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 설정하되, 이전 출사타임이 끝나는 시점과 다음 출사타임이 시작하는 시점에서 2.5~3.5ms의 지연 시간을 제외하고 9~10ms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프로젝터는 하나의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7.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동영상의 제작에 필요한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에 대한 타임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타임 스케줄은 매 주기마다 프로젝션이 투사되는 출사타임 구간과 상기 출사타임 구간에 이어서 프로젝션이 투사되지 않는 비출사타임 구간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b) 상기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카메라의 촬영 주기를 상기 프로젝터의 비출사 타임 구간 내에서 비출사 타임보다 작은 촬영 노출 프레임 시간으로 촬영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촬영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프로젝터의 출사주기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주기를 동기화하여 일치시키는 단계; 및
    d)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의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은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의 40 ~60%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에 e)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의 출사타임과 비출사 타임구간 비율을 조정하여 촬영된 동영상에 프로젝션 영상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방법.
    .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 상기 비출사 타임구간을 상기 프로젝션 프레임 주기의 0 ~ 35% 범위에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방법.
KR1020210038122A 2021-03-24 2021-03-24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7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22A KR102470050B1 (ko) 2021-03-24 2021-03-24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22/002430 WO2022203212A2 (ko) 2021-03-24 2022-02-18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22A KR102470050B1 (ko) 2021-03-24 2021-03-24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936A true KR20220132936A (ko) 2022-10-04
KR102470050B1 KR102470050B1 (ko) 2022-11-25

Family

ID=8339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122A KR102470050B1 (ko) 2021-03-24 2021-03-24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0050B1 (ko)
WO (1) WO20222032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707B1 (ko) * 2022-08-01 2024-01-30 비젼온칩 주식회사 3d 인식장치 및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645B1 (ko) 2008-07-23 2010-10-13 주식회사 엑스쿨 동영상 제공 장치
JP2014032159A (ja) * 2012-08-06 2014-02-20 Canon Inc 投影撮像システム及び投影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6092779A (ja) * 2014-11-11 2016-05-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5872A (ja) * 2015-06-30 2017-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アルタイム計測投影装置及び三次元投影計測装置
KR101909897B1 (ko) * 2017-08-10 2018-10-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카메라와 프로젝터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6519B2 (ja) * 2013-11-29 2017-05-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空間投影装置、空間投影方法、空間投影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645B1 (ko) 2008-07-23 2010-10-13 주식회사 엑스쿨 동영상 제공 장치
JP2014032159A (ja) * 2012-08-06 2014-02-20 Canon Inc 投影撮像システム及び投影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6092779A (ja) * 2014-11-11 2016-05-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5872A (ja) * 2015-06-30 2017-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アルタイム計測投影装置及び三次元投影計測装置
KR101909897B1 (ko) * 2017-08-10 2018-10-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카메라와 프로젝터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707B1 (ko) * 2022-08-01 2024-01-30 비젼온칩 주식회사 3d 인식장치 및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050B1 (ko) 2022-11-25
WO2022203212A3 (ko) 2022-11-17
WO2022203212A2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45837A1 (ko) 가상 및 증강 현실 강의실에서 인공지능 기능의 자동 장면 전환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원격 강의 방법 및 그 장치
KR101270780B1 (ko) 가상 강의실 강의 방법 및 장치
US5737031A (en) System for producing a shadow of an object in a chroma key environment
CN105608715B (zh) 一种在线合影方法及系统
US20070122786A1 (en) Video karaoke system
DE60235880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lockieren der projektion ausgewählter bereiche eines projizierten bildes
JP2006162692A (ja) 講義コンテンツ自動作成システム
US5886747A (en) Prompting guide for chroma keying
KR20090028674A (ko) 가상 스튜디오 강의 및 회의 장치
KR20130106483A (ko) 실물화상기
KR20150084586A (ko) 가상 3d 아바타를 이용한 동영상 강의 저작 키오스크 및 저작 시스템
KR102470050B1 (ko)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52494A (ko) 대형 강의실 컨퍼런스 시스템
Davis et al. A robust human-silhouette extraction technique for interactive virtual environments
EP0993204A1 (en) Chroma keying studio system
CN108268847B (zh) 一种电影蒙太奇语言分析的方法与系统
JP2003241630A (ja) 動画配信方法、動画表示システム、教育モデ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手動操作手順
KR20150038147A (ko) 영상 생성 방법
KR102630707B1 (ko) 3d 인식장치 및 프로젝터를 활용한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4039610B2 (ja) 画像合成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776839B1 (ko) 휴대용 강의저장 및 방송 시스템
Fukaya et al. An effective interaction tool for performance in the virtual studio-invisible light projection system
Blau Revisiting ecological film theory
Muench An Evening at the Ballroom: Whatever Happened to Televanilla?
Lartigue et al. Leveraging oculus rift for an immersive distance-learning experience: a high definition, panoramic lecture recording/playback system using commercial virtual reality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