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734A -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 Google Patents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734A
KR20220132734A KR1020210037647A KR20210037647A KR20220132734A KR 20220132734 A KR20220132734 A KR 20220132734A KR 1020210037647 A KR1020210037647 A KR 1020210037647A KR 20210037647 A KR20210037647 A KR 20210037647A KR 20220132734 A KR20220132734 A KR 20220132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isture
hole
water supply
evap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희
Original Assignee
조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희 filed Critical 조상희
Priority to KR102021003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734A/ko
Publication of KR2022013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수기나 가뭄시에도 파종한 농작물에 물을 자주 공급하지 않아도 농작물에 지속적으로 수분과 양분을 충분히 공급되게 하므로 서 식물의 성장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더불어 고추대등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반되는 지지대 벤딩작업을 간단하게 클립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농사보조용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기능성 농사용구는 증산수분회수돔(100) 및 수분공급포트(200) 및 농작물지주봉(300) 및 음료수페트병(400) 및 클립퍼(50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 ; 도 1b 및 도 1c참조)에는 수급관(110) 및 수급관삽임홈(110a) 및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 및 농작물식재공간(120b)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 도 1b 및 도 1c참조)에는 급수관(210) 및 급수공(210a) 및 저수조(220) 및 저수조공(2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농작물지주봉(300 ; 도 2a 및 도 3a참조)에는 급수관삽임홈(310a) 및 지주봉낙수공(310b) 및 지반삽입촉(320) 및 투수공(3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음료수페트병(400 ; 도 3 및 도 3a참조)은 페트병뚜껑(410)과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페트병뚜껑(410)에 뚜껑급수공(410a)을 임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 상기 클립퍼(500 ; 도 4참조)에는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c)를 형성한 것에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증산수분회수돔(100)을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과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으로 분리하여 구성 또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갈수기에도 파종한 식물에 물을 자주 공급하지 않아도 식물에 지속적으로 수분과 양분을 충분히 공급되게 하므로 서 식물의 성장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더불어 매일 지속적으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미량의 수분과 양분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공급시켜주므로 서 병충해에 강한 작물의 재배와 관리가 용이하고 수확되는 농작물의 품질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농사보조용구{Functional tool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사보조용구에 관한 것으로 서, 일반적으로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하거나 식재나 파종한 농작물이 곧게 자랄 수 있로록 지주대를 세워주는 작업을 수반하였다. 또한 갈수기나 가뭄에도 파종한 농작물에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적당한 수분공급은 필수였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서, 식재나 파종한 농작물이 곧게 자랄 수 있게 하거나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주대를 세우고 농작물을 일일이 노끈 또는 벤드로 묶어주는 작업이 수반되어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갈수기나 가뭄시에 파종한 농작물에 물이나 양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할 경우 고사하거나 농장물의 생육의 부진을 초래하여 수확된 농장물의 품질저하를 유발하여 농가의 경쟁력을 상실을 유발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술하면 갈수기나 가뭄시에 파종한 농작물에 물을 자주 공급하지 않아도 농작물에 지속적으로 수분과 양분을 충분히 공급되게 하므로 서 식물의 성장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더불어 매일 지속적으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미량의 수분과 양분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공급시켜주므로 서 병충해에 강한 작물의 재배와 관리가 용이하고 수확되는 농작물의 품질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더불어 식재나 파종한 농작물이 곧게 자랄 수 있게 하거나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반되는 지지대 벤딩작업을 간단하게 클립퍼로 해결할 수 있어 상당한 노동력을 저감할 수 있게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는 증산수분회수돔(100) 및 수분공급포트(200) 및 농작물지주봉(300) 및 음료수페트병(400) 및 클립퍼(50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 ; 도 1b 및 도 1c참조)에는 수급관(110) 및 수급관삽임홈(110a) 및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 및 농작물식재공간(120b)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급관(11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수급관삽임홈(110a)에는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210)을 삽입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는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농작물 또는 식물의 광합성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되지 못하도록 호흡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을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으로 포집되게 하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으로 포집된 수분이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려 다시 땅속으로 스며들어 재활용되게 하므로 서 적은 량의 수분공급만으로 식물이나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어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나 가뭄이나 갈수기에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생육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급관(11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수분낙수공(120a)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농작물 또는 식물에 미량의 물방물을 지속적으로 떨어뜨려 수분을 공급시켜 주기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는 식재된 농작물이나 식물에 위치시키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내 식재된 식물 또는 농작물의 원활한 광합성을 위해 투명한 구성한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저층부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순환공(미도시)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저층부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공기순환공(미도시)의 경우 공온의 날씨에서도 식물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 또는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은 환절기에 식재된 농작물이나 식물을 냉해로 부터 보호하여 주고 가뭄이나 갈수기에 수분 증발을 최소화 시키므로 서 농작물의 생육에 유리한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 도 1b 및 도 1c참조)에는 급수관(210) 및 급수공(210a) 및 저수조(220) 및 저수조공(2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관(210)은 수급관삽임홈(110a)에 삽입시키기 위해 구성 또는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관(210)의 내측에는 급수공(21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공(210a) 또는 뚜껑급수공(410a)은 저수조(220) 또는 음료수페트병(400)의 물을 미량씩 수분낙수공(120a) 또는 지주봉낙수공(310b)으로 떨어뜨려주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저수조(22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저수조(220)에는 물을 임으로 공급해주거나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불투명재질로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를 불투명재질로 형성한 것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내 식재된 식물 또는 농작물이 고사를 막기 위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수분공급포트(200)가 볼록렌즈 역할을 하여 식물을 가열하여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저수조공(220a)은 저수조(220)에 저장된 물을 급수공(210a)으로 미량씩 흘려보내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는 음료수페트병(400)으로도 대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상기 농작물지주봉(300 ; 도 2a 및 도 3a참조)에는 급수관삽임홈(310a) 및 지주봉낙수공(310b) 및 지반삽입촉(320) 및 투수공(3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관삽임홈(310a)에는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210)을 삽입시키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농작물지주봉(300)의 지주봉낙수공(310b)은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공(210a) 또는 음료수페트병(400)의 페트병뚜껑(41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뚜껑급수공(410a)에서 떨어지는 물을 식물의 뿌리로 보내주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주봉낙수공(310b)은 투수공(320a)과 관통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투수공(320a)에서는 뿌리로 미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반삽입촉(320)은 농작물지주봉(300)을 지반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하여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반삽입촉(320)의 말단에는 투수공(3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투수공(320a)은 지주봉낙수공(310b)과 관통된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상태에서 저수조(220)의 급수공(210a)으로부터 흘러든 수분을 뿌리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 상기 음료수페트병(400 ; 도 3 및 도 3a참조)은 페트병뚜껑(410)과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페트병뚜껑(410)에 뚜껑급수공(410a)을 임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페트병뚜껑(410)의 뚜껑급수공(410a)은 미량의 물이 흘러서 떨어지는 것이 특징인 상태에서 페트병뚜껑(410)부분을 증산수분회수돔(1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삽임홈(110a) 또는 농작물지주봉(3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삽임홈(310a)에 꼽아놓고 지속적으로 장기간에 거처 농작물의 성장에 유리한 적정한 수분을 공급시켜주므로 서 갈수기나 가뭄시에도 최적화된 성장환경을 제공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이나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음료수페트병(400)은 수분공급포트(200)로도 대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상기 클립퍼(500 ; 도 4참조)에는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c)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은 농작물지주봉(300)의 무작위의 지점에 작은 힘으로도 간단하게 밀어서 결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라운드형태의 일부분을 절개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 및 텐션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는 식물의 줄기를 잡아서 묶어두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 강한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 상기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c)는 식물의 줄기를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의 내측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형성시킨 것이 특징이다.
또한,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증산수분회수돔(100)을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과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으로 분리하여 구성 또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구성과 기능은 도 1 및 도 1a 및 도 1b 및 도 1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에는 증산수분수집판(100B1) 및 수분공급공(100B2) 및 회수수분모음용가드(100B3) 및 회수수분모음용유도판(100B4) 및 수분증산구(100B5)를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수집판(100B1)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로부터 공급받은 수분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공(100B2)은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으로부터 공급받은 수분을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식물에 간헐적이고 미세하게 장기간에 거처 공급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회수수분모음용가드(100B3)는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을 증산수분수집판(100B1)으로 모아주기 위하여 수분증산구(100B5)의 상측면보다 높게 형성 또는 구성시켜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의 손실없이 증산수분수집판(100B1)의 중앙부로 효율적으로 모아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회수수분모음용유도판(100B4)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이 증산수분수집판(100B1)의 중앙부로 효율적으로 모아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증산구(100B5)는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식물에서 증산작용을 할 때 증발되는 수증기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부분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갈수기에도 파종한 식물에 물을 자주 공급하지 않아도 식물에 지속적으로 수분과 양분을 충분히 공급되게 하므로 서 식물의 성장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더불어 매일 지속적으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미량의 수분과 양분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공급시켜주므로 서 병충해에 강한 작물의 재배와 관리가 용이하고 수확되는 농작물의 품질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노끈으로 식물의 줄기를 지주대에 묶어주는 속도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농업 작업환경을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성장에 필요한 양분을 뿌리에만 집중적이고 지속적으로 미세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므로 서 경제적인 농장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므로 인해 기존의 농장전체에 과다하게 살포된 비료나 양분등으로 인해 하천의 오염을 가속화시키므로 서 수중의 산소포화도가 떨어뜨려 부영양화를 가속화시켜 녹조가 발생하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증산수분회수돔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
도 1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증산수분회수돔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
도 1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증산수분회수돔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증산수분회수돔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농작물지주봉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농작물지주봉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농작물지주봉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음료수페트병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음료수페트병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클립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입체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증산수분회수돔과 음료수페트병을 분리 또는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증산수분회수돔(100)을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과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으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증산수분회수돔(100)을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과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으로 분리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입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수분회수포트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으로 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수분회수포트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으로 서, 도 1 및 도 1b 및 도 1c 및 도 2 및 도 2a 및 도 2b 및 도 3 및 도 3a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는 증산수분회수돔(100) 및 수분공급포트(200) 및 농작물지주봉(300) 및 음료수페트병(400) 및 클립퍼(50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 ; 도 1b 및 도 1c참조)에는 수급관(110) 및 수급관삽임홈(110a) 및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 및 농작물식재공간(120b)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급관(11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수급관삽임홈(110a)에는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210)을 삽입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는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농작물 또는 식물의 광합성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되지 못하도록 호흡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을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으로 포집되게 하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으로 포집된 수분이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려 다시 땅속으로 스며들어 재활용되게 하므로 서 적은 량의 수분공급만으로 식물이나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어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나 가뭄이나 갈수기에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생육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급관(11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수분낙수공(120a)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농작물 또는 식물에 미량의 물방물을 지속적으로 떨어뜨려 수분을 공급시켜 주기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는 식재된 농작물이나 식물에 위치시키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내 식재된 식물 또는 농작물의 원활한 광합성을 위해 투명한 구성한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저층부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순환공(미도시)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저층부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공기순환공(미도시)의 경우 공온의 날씨에서도 식물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 또는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은 환절기에 식재된 농작물이나 식물을 냉해로 부터 보호하여 주고 가뭄이나 갈수기에 수분 증발을 최소화 시키므로 서 농작물의 생육에 유리한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 도 1b 및 도 1c참조)에는 급수관(210) 및 급수공(210a) 및 저수조(220) 및 저수조공(2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관(210)은 수급관삽임홈(110a)에 삽입시키기 위해 구성 또는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관(210)의 내측에는 급수공(21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공(210a) 또는 뚜껑급수공(410a)은 저수조(220) 또는 음료수페트병(400)의 물을 미량씩 수분낙수공(120a) 또는 지주봉낙수공(310b)으로 떨어뜨려주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저수조(22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저수조(220)에는 물을 임으로 공급해주거나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불투명재질로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를 불투명재질로 형성한 것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내 식재된 식물 또는 농작물이 고사를 막기 위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수분공급포트(200)가 볼록렌즈 역할을 하여 식물을 가열하여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저수조공(220a)은 저수조(220)에 저장된 물을 급수공(210a)으로 미량씩 흘려보내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는 음료수페트병(400)으로도 대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상기 농작물지주봉(300 ; 도 2a 및 도 3a참조)에는 급수관삽임홈(310a) 및 지주봉낙수공(310b) 및 지반삽입촉(320) 및 투수공(3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관삽임홈(310a)에는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210)을 삽입시키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농작물지주봉(300)의 지주봉낙수공(310b)은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공(210a) 또는 음료수페트병(400)의 페트병뚜껑(41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뚜껑급수공(410a)에서 떨어지는 물을 식물의 뿌리로 보내주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주봉낙수공(310b)은 투수공(320a)과 관통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투수공(320a)에서는 뿌리로 미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반삽입촉(320)은 농작물지주봉(300)을 지반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하여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반삽입촉(320)의 말단에는 투수공(3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투수공(320a)은 지주봉낙수공(310b)과 관통된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상태에서 저수조(220)의 급수공(210a)으로부터 흘러든 수분을 뿌리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 상기 음료수페트병(400 ; 도 3 및 도 3a참조)은 페트병뚜껑(410)과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페트병뚜껑(410)에 뚜껑급수공(410a)을 임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페트병뚜껑(410)의 뚜껑급수공(410a)은 미량의 물이 흘러서 떨어지는 것이 특징인 상태에서 페트병뚜껑(410)부분을 증산수분회수돔(1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삽임홈(110a) 또는 농작물지주봉(3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삽임홈(310a)에 꼽아놓고 지속적으로 장기간에 거처 농작물의 성장에 유리한 적정한 수분을 공급시켜주므로 서 갈수기나 가뭄시에도 최적화된 성장환경을 제공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이나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음료수페트병(400)은 수분공급포트(200)로도 대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상기 클립퍼(500 ; 도 4참조)에는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c)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은 농작물지주봉(300)의 무작위의 지점에 작은 힘으로도 간단하게 밀어서 결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라운드형태의 일부분을 절개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 및 텐션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는 식물의 줄기를 잡아서 묶어두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 강한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 상기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c)는 식물의 줄기를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의 내측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요약하면, 식물지지용내측고리(500c)를 눌러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안으로 식물줄기를 밀어 넣게 되면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안으로 들어온 식물주기는 강한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보호되므로 서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물지지용내측고리(500c)는 식물줄기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의 내측 또는 외부로 출입이 될 수 있도록 텐션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즉, 상기 식물지지용내측고리(500c)를 눌러 식물줄기를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의 내측에 위치시킨 다음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을 밀어서 농작물지주봉(300)에 클립퍼(500)를 결속시키므로 서 기존의 원예용 지주대에 농장물을 노끈으로 묶어주는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기존에 노끈으로 식물의 줄기를 지주대에 묶어주는 속도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농업 작업환경을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해마다 다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농업폐기물을 줄여 지구환경개선에도 일조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수분회수포트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단면도로 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c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수분회수포트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농작물지주봉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으로 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농작물지주봉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으로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농작물지주봉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음료수페트병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으로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공급포트와 음료수페트병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면으로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클립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입체도면으로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회수포트와 음료수페크병을 결합 또는 분리시킨 도면으h서,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증산수분회수돔(100)을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과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으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으로서, 도 1 및 도 1a 및 도 1b 및 도 1c와 도 6a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증산수분회수돔(100)을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과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으로 분리하여 구성 또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구성과 기능은 도 1 및 도 1a 및 도 1b 및 도 1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에는 증산수분수집판(100B1) 및 수분공급공(100B2) 및 회수수분모음용가드(100B3) 및 회수수분모음용유도판(100B4) 및 수분증산구(100B5)를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수집판(100B1)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로부터 공급받은 수분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공(100B2)은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으로부터 공급받은 수분을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식물에 간헐적이고 미세하게 장기간에 거처 공급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회수수분모음용가드(100B3)는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을 증산수분수집판(100B1)으로 모아주기 위하여 수분증산구(100B5)의 상측면보다 높게 형성 또는 구성시켜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의 손실없이 증산수분수집판(100B1)의 중앙부로 효율적으로 모아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회수수분모음용유도판(100B4)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이 증산수분수집판(100B1)의 중앙부로 효율적으로 모아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증산구(100B5)는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식물에서 증산작용을 할 때 증발되는 수증기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부분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증산수분회수돔(100)을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과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으로 분리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입체도으로서,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100.증산수분회수돔
100A.증산수분회수포트돔
100B.증산수분재활용포트
100B1.증산수분수집판
100B2.수분공급공
100B3.회수수분모음용가드
100B4.회수수분모음용유도판
100B5.수분증산구
110.수급관
110a.수급관삽임홈
120.증산수분회수용아치
120a.수분낙수공
120b.농작물식재공간
200.수분공급포트
210.급수관
210a.급수공
220.저수조
220a.저수조공
300.농작물지주봉
310a.급수관삽임홈
310b.지주봉낙수공
320.지반삽입촉
320a.투수공
400.음료수페트병
410.페트병뚜껑
410a.뚜껑급수공
500.클립퍼
500a.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
500b. 농작물지지용외측고리
500c. 농작물지지용내측고리

Claims (10)

  1.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증산수분회수돔(100) 및 수분공급포트(200) 및 농작물지주봉(300) 및 음료수페트병(400) 및 클립퍼(50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단계와,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에는 수급관(110) 및 수급관삽임홈(110a) 및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 및 농작물식재공간(120b)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급관(11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수급관삽임홈(110a)에는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210)을 삽입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는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농작물 또는 식물의 광합성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되지 못하도록 호흡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을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으로 포집되게 하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으로 포집된 수분이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려 다시 땅속으로 스며들어 재활용되게 하므로서 적은량의 수분공급만으로 식물이나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어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나 가뭄이나 갈수기에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생육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급관(11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수분낙수공(120a)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농작물 또는 식물에 미량의 물방물을 지속적으로 떨어뜨려 수분을 공급시켜 주기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는 식재된 농작물이나 식물에 위치시키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은 농작물식재공간(120b)내 식재된 식물 또는 농작물의 원활한 광합성을 위해 투명한 구성한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저층부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순환공(미도시)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저층부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공기순환공(미도시)의 경우 고온의 날씨에서도 식물의 열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 또는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은 환절기에 식재된 농작물이나 식물을 냉해로 부터 보호하여 주고 가뭄이나 갈수기에 수분 증발을 최소화 시키므로 서 농작물의 생육에 유리한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에는 급수관(210) 및 급수공(210a) 및 저수조(220) 및 저수조공(2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단계와,

    ; 상기 급수관(210)은 수급관삽임홈(110a)에 삽입시키기 위해 구성 또는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관(210)의 내측에는 급수공(21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공(210a) 또는 뚜껑급수공(410a)은 저수조(220) 또는 음료수페트병(400)의 물을 미량씩 수분낙수공(120a) 또는 지주봉낙수공(310b)으로 떨어뜨려주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저수조(22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저수조(220)에는 물을 임으로 공급해주거나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불투명재질로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를 불투명재질로 형성한 것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내 식재된 식물 또는 농작물이 고사를 막기 위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수분공급포트(200)가 볼록렌즈 역할을 하여 식물을 가열하여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저수조공(220a)은 저수조(220)에 저장된 물을 급수공(210a)으로 미량씩 흘려보내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는 음료수페트병(400)으로도 대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농작물지주봉(300)에는 급수관삽임홈(310a) 및 지주봉낙수공(310b) 및 지반삽입촉(320) 및 투수공(3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단계와,

    ; 상기 급수관삽임홈(310a)에는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210)을 삽입시키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농작물지주봉(300)의 지주봉낙수공(310b)은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공(210a) 또는 음료수페트병(400)의 페트병뚜껑(41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뚜껑급수공(410a)에서 떨어지는 물을 식물의 뿌리로 보내주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주봉낙수공(310b)은 투수공(320a)과 관통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투수공(320a)에서는 뿌리로 미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반삽입촉(320)은 농작물지주봉(300)을 지반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하여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반삽입촉(320)의 말단에는 투수공(3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투수공(320a)은 지주봉낙수공(310b)과 관통된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상태에서 저수조(220)의 급수공(210a)으로부터 흘러든 수분을 뿌리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음료수페트병(400)은 페트병뚜껑(410)과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페트병뚜껑(410)에 뚜껑급수공(410a)을 임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단계와,

    ; 상기 페트병뚜껑(410)의 뚜껑급수공(410a)은 미량의 물이 흘러서 떨어지는 것이 특징인 상태에서 페트병뚜껑(410)부분을 증산수분회수돔(1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삽임홈(110a) 또는 농작물지주봉(3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삽임홈(310a)에 꼽아놓고 지속적으로 장기간에 거처 농작물의 성장에 유리한 적정한 수분을 공급시켜주므로 서 갈수기나 가뭄시에도 최적화된 성장환경을 제공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이나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음료수페트병(400)은 수분공급포트(200)로도 대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클립퍼(500)에는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c)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와,

    ; 상기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은 농작물지주봉(300)의 무작위의 지점에 작은 힘으로도 간단하게 밀어서 결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라운드형태의 일부분을 절개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 및 텐션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는 식물의 줄기를 잡아서 묶어두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 강한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 상기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c)는 식물의 줄기를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의 내측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물지지용내측고리(500c)를 눌러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안으로 식물줄기를 밀어 넣게 되면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안으로 들어온 식물주기는 강한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보호되므로 서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물지지용내측고리(500c)는 식물줄기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의 내측 또는 외부로 출입이 될 수 있도록 텐션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2.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증산수분회수돔(100)을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과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으로 분리하여 구성 또는 형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에는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을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에는 증산수분수집판(100B1) 및 수분공급공(100B2) 및 회수수분모음용가드(100B3) 및 회수수분모음용유도판(100B4) 및 수분증산구(100B5)를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수집판(100B1)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로부터 공급받은 수분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공(100B2)은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으로부터 공급받은 수분을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식물에 간헐적이고 미세하게 장기간에 거처 공급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회수수분모음용가드(100B3)는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을 증산수분수집판(100B1)으로 모아주기 위하여 수분증산구(100B5)의 상측면보다 높게 형성 또는 구성시켜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의 손실없이 증산수분수집판(100B1)의 중앙부로 효율적으로 모아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회수수분모음용유도판(100B4)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이 증산수분수집판(100B1)의 중앙부로 효율적으로 모아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증산구(100B5)는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식물에서 증산작용을 할 때 증발되는 수증기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부분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3.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증산수분회수돔(100) 및 수분공급포트(200) 및 농작물지주봉(300) 및 음료수페트병(400) 및 클립퍼(50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4.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기 위한 수단인 증산수분회수돔(100) 수급관(110) 및 수급관삽임홈(110a) 및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 및 농작물식재공간(120b)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급관(11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수급관삽임홈(110a)에는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210)을 삽입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는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농작물 또는 식물의 광합성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되지 못하도록 호흡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을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으로 포집되게 하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으로 포집된 수분이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려 다시 땅속으로 스며들어 재활용되게 하므로서 적은량의 수분공급만으로 식물이나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어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나 가뭄이나 갈수기에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생육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급관(11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수분낙수공(120a)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농작물 또는 식물에 미량의 물방물을 지속적으로 떨어뜨려 수분을 공급시켜 주기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는 식재된 농작물이나 식물에 위치시키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은 농작물식재공간(120b)내 식재된 식물 또는 농작물의 원활한 광합성을 위해 투명한 구성한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저층부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순환공(미도시)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의 저층부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공기순환공(미도시)의 경우 고온의 날씨에서도 식물의 열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 또는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돔(100)은 환절기에 식재된 농작물이나 식물을 냉해로 부터 보호하여 주고 가뭄이나 갈수기에 수분 증발을 최소화 시키므로 서 농작물의 생육에 유리한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6. 제 4항에 있어서,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기 위할 목적으로 증산수분회수돔(100)을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과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으로 분리하여 구성 또는 형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에는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을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에는 증산수분수집판(100B1) 및 수분공급공(100B2) 및 회수수분모음용가드(100B3) 및 회수수분모음용유도판(100B4) 및 수분증산구(100B5)를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증산수분수집판(100B1)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로부터 공급받은 수분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공(100B2)은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 및 수분낙수공(120a)으로부터 공급받은 수분을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식물에 간헐적이고 미세하게 장기간에 거처 공급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회수수분모음용가드(100B3)는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을 증산수분수집판(100B1)으로 모아주기 위하여 수분증산구(100B5)의 상측면보다 높게 형성 또는 구성시켜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의 손실없이 증산수분수집판(100B1)의 중앙부로 효율적으로 모아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회수수분모음용유도판(100B4)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에서 흘러 내려온 수분이 증산수분수집판(100B1)의 중앙부로 효율적으로 모아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증산구(100B5)는 증산수분재활용포트(100B)의 농작물식재공간(120b)에 식재된 식물에서 증산작용을 할 때 증발되는 수증기가 증산수분회수포트돔(100A)의 증산수분회수용아치(120)부분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7.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기 위할 수단인 수분공급포트(200)에는 급수관(210) 및 급수공(210a) 및 저수조(220) 및 저수조공(2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단계와,

    ; 상기 급수관(210)은 수급관삽임홈(110a)에 삽입시키기 위해 구성 또는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관(210)의 내측에는 급수공(21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급수공(210a) 또는 뚜껑급수공(410a)은 저수조(220) 또는 음료수페트병(400)의 물을 미량씩 수분낙수공(120a) 또는 지주봉낙수공(310b)으로 떨어뜨려주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저수조(22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저수조(220)에는 물을 임으로 공급해주거나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불투명재질로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 를 불투명재질로 형성한 것은 증산수분회수돔(100)의 농작물식재공간(120b)내 식재된 식물 또는 농작물이 고사를 막기 위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수분공급포트(200)가 볼록렌즈 역할을 하여 식물을 가열하여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저수조공(220a)은 저수조(220)에 저장된 물을 급수공(210a)으로 미량씩 흘려보내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수분공급포트(200)는 음료수페트병(400)으로도 대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8.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고 농작물줄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인 농작물지주봉(300)에는 급수관삽임홈(310a) 및 지주봉낙수공(310b) 및 지반삽입촉(320) 및 투수공(3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단계와,

    ; 상기 급수관삽임홈(310a)에는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210)을 삽입시키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농작물지주봉(300)의 지주봉낙수공(310b)은 수분공급포트(2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공(210a) 또는 음료수페트병(400)의 페트병뚜껑(41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뚜껑급수공(410a)에서 떨어지는 물을 식물의 뿌리로 보내주기 위해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주봉낙수공(310b)은 투수공(320a)과 관통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투수공(320a)에서는 뿌리로 미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반삽입촉(320)은 농작물지주봉(300)을 지반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하여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지반삽입촉(320)의 말단에는 투수공(320a)을 형성 또는 구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투수공(320a)은 지주봉낙수공(310b)과 관통된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상태에서 저수조(220)의 급수공(210a)으로부터 흘러든 수분을 뿌리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9.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수단인 음료수페트병(400)은 페트병뚜껑(410)과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페트병뚜껑(410)에 뚜껑급수공(410a)을 임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단계와,

    ; 상기 페트병뚜껑(410)의 뚜껑급수공(410a)은 미량의 물이 흘러서 떨어지는 것이 특징인 상태에서 페트병뚜껑(410)부분을 증산수분회수돔(1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삽임홈(110a) 또는 농작물지주봉(300)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급수관삽임홈(310a)에 꼽아놓고 지속적으로 장기간에 거처 농작물의 성장에 유리한 적정한 수분을 공급시켜주므로 서 갈수기나 가뭄시에도 최적화된 성장환경을 제공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이나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음료수페트병(400)은 수분공급포트(200)로도 대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10. 수분공급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갈수기나 사막등 농업환경이 척박한 지역에서도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고 농작물줄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인 클립퍼(500)에는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 및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c)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와,

    ; 상기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은 농작물지주봉(300)의 무작위의 지점에 작은 힘으로도 간단하게 밀어서 결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확장형지지봉결속용홈(500a)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라운드형태의 일부분을 절개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 및 텐션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는 식물의 줄기를 잡아서 묶어두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 강한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 상기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c)는 식물의 줄기를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의 내측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물지지용내측고리(500c)를 눌러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안으로 식물줄기를 밀어 넣게 되면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안으로 들어온 식물주기는 강한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보호되므로 서 농작물이 쓰러지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물지지용내측고리(500c)는 식물줄기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식물지지용외측고리(500b)의 내측 또는 외부로 출입이 될 수 있도록 텐션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KR1020210037647A 2021-03-24 2021-03-24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KR20220132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47A KR20220132734A (ko) 2021-03-24 2021-03-24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47A KR20220132734A (ko) 2021-03-24 2021-03-24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734A true KR20220132734A (ko) 2022-10-04

Family

ID=8360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647A KR20220132734A (ko) 2021-03-24 2021-03-24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27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0497A1 (en) Method of hydroponic cultivation and components for use therewith
US1140815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irrigating water for plant growth in dry regions
CN110604030A (zh) 一种苗木移栽方法
US20210092909A1 (en) Plant care tubes and method for using plant care tubes
Exley Vanilla production in Australia
CN109429649A (zh) 一种设施葡萄的栽培方法
CN105638358A (zh) 桂花苗的培育方法
CN105325236A (zh) 一种桂花树的培育方法
KR20220132734A (ko) 기능성 농사보조용구
Sánchez-del-Castillo et al. Development of alternative crop systems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vegetables in hydroponics-I: Tomato
CN105724148A (zh) 一种茶叶种植方法
CN111937711A (zh) 一种用于薰衣草盆栽的介质土及培育薰衣草盆栽的方法
CN110024654A (zh) 霍山石斛林下种植方法
CN114431132B (zh) 一种西瓜制种套种油葵的方法
Wade et al. Crape myrtle culture
CN211745867U (zh) 抗旱保湿型免种免维护直铺绿化色块栽培结构
KR20120006860U (ko) 방초 관수용 필름
Ciorchina et al. Features of cultivation of blackberry in the Republic of Moldova
JP6610909B2 (ja) ボラ土栽培容器の形状及びボラ土容器栽培方法
KR20170088206A (ko) 농작물 재배용 지중 물 공급기
Crummitt et al. English Lavender in the garden
JP2004208550A (ja) 莓の栽培方法及び莓の子苗の生産方法
Drost et al. English Lavender in the Garden
Brune Reproductive biology and tropical plantation forestry
US20190008104A1 (en) Root Trellis For Use In Hydroponic Growing And Methods Of Us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