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334A - Utility vehicle - Google Patents

Utility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334A
KR20220132334A KR1020210037514A KR20210037514A KR20220132334A KR 20220132334 A KR20220132334 A KR 20220132334A KR 1020210037514 A KR1020210037514 A KR 1020210037514A KR 20210037514 A KR20210037514 A KR 20210037514A KR 20220132334 A KR20220132334 A KR 20220132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ngine
main frame
transmiss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진호
정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21003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334A/en
Publication of KR20220132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3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2005/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the internal combustion or jet propulsion unit is arranged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ultipurpose transporting vehicle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transporting vehicle comprises: a body part including a main frame, a deck frame provided above the main frame to be parallel to the main frame, and a rear suspension frame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main frame; a front axle combination composed of a front differential gear disposed in the center of a front end of the body part and a front wheel shaft for connecting the front differential gear and the front wheels; an engine disposed in a first area between the deck frame and the main frame; and a transmission combination disposed in a second area between the deck frame and the rear suspension frame.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is formed as one unit in which a transmission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engine and shifting gears and a rear differential gear connected to the rear wheels through a rear axle are integral. The direction of the engine flywheel of the engine faces the rear of the body part.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dispos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respectively,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overall length of the vehicle. Therefore, the multipurpose transporting vehicle can greatly improve assemblability and maintainability.

Description

다목적 운반용 차량{Utility vehicle}Utility vehicle

본 발명은 다목적 운반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 후방에 데크가 배치되고 데크(적재함) 하부 공간에 엔진과 변속기조합(변속기와 후방차동장치를 하나의 유닛 형태로 구성한 장치)이 배치된 다목적 운반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in particular,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in which a deck is disposed behind the driver's seat and a combination of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a device comprising a transmission and a rear differential device in one unit form) is disposed in the space below the deck (loading box) is about

유통, 건설, 레져, 산업용 등 폭넓은 분야에 걸쳐 소형의 다목적 운반용 차량(Utility vehicle, UTV)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 운반용 차량은 험로주행에 유리한 구조을 가지며, 따라서 건설현장 또는 농업현장에서 흙이나 작물 등을 싣고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작업에 필요한 도구 등을 싣고 나르기 위한 운반수단으로 주로 이용된다.Recently, a small utility vehicle (UTV) has been widely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distribution, construction, leisure, and industry. Such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has a structure advantageous for rough road driving, and thus is mainly used as a transport means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soil or crops at a construction site or agricultural site, or for loading and carrying tools necessary for various tasks.

운반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위해 대부분의 다목적 운반용 차량에는 데크(데크)이 갖추어져 있으며, 데크에 탑재된 적재물의 빠른 하역을 위해 덤프차량과 같이 차체 후방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한된 각도범위 내에서 데크(적재함)를 뒤쪽으로 기울이거나 다시 수평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덤핑식 구조로 데크를 구성하고 있다.In order to function as a means of transport, most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s are equipped with a deck (deck), and for quick unloading of loads mounted on the deck, deck (loading box) within a limited angular range based on the hinge at the rear of the body like a dump vehicle. The deck is constructed in a dumping-type structure that can be tilted backwards or returned to a horizontal state.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9216호는 다목적 작업차량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다목적 작업차량의 엔진룸구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9216호는 운전석 시트 하부에 엔진룸을 구성하여 엔진을 배치하되, 상기 엔진룸을 운전석 시트 하부에 엔진을 수용할 수 있는 격실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2-0009216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multi-purpose work vehicle, and in particular,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n engine room structure of a multi-purpose work vehicle.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2-000921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ine is arranged by configuring an engine room under the driver's seat, and the engine room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mpartment that can accommodate the engine under the driver's seat.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9216호와 같이 운전석 시트 하부에 격실 형태로 엔진 룸을 구성하고 여기에 엔진을 배치시킬 경우, 전체적인 차량의 조립성 및 정비성이 떨어지고, 특히 차량의 주된 소음 발생원인 엔진이 운전자와 지근거리에 위치함으로써 큰 엔진 소음으로 인해 작업 또는 운전 집중력이 떨어지고 불쾌감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s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009216, when the engine room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mpartment under the driver's seat and the engine is disposed there, the overall vehicle assembly and maintainability are deteriorated, and in particular, the main noise source of the vehicle is Since the engine is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dri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work or driving is decreased due to the loud engine noise and discomfort is caused.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9216호(공개일 2012. 02. 01)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009216 (published on February 01, 20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조립성 및 정비성, 그리고 종래 엔진 소음 문제를 명확하게 개선할 수 있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clearly improving the assembly and maintainability of the vehicle, and the conventional engine noise problem.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전륜과 후륜을 갖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에 있어서,In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hav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평행한 메인프레임 상부의 데크프레임, 메인프레임 후단의 후방 현가프레임을 포함하는 보디부;a body portion including a main frame and a deck frame on the main frame parallel to the main frame, and a rear suspension frame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상기 보디부의 전단 중앙에 배치되는 전방차동장치와 상기 전방차동장치와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전륜축으로 구성된 전방차축조합; a front axle combination comprising a front differential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front wheel shaft connecting the front differential and the front wheels;

상기 데크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사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엔진; 및an engine disposed in a first area between the deck frame and the main frame; and

상기 데크프레임과 후방 현가프레임 사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변속기조합;을 포함하며, It includes; a transmission combination disposed in the second area between the deck frame and the rear suspension frame;

상기 변속기조합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입력 받아 변속하는 변속기와 후륜축을 통해 상기 후륜과 연결되는 후방차동장치가 단일화된 하나의 유닛 형태로 구성되고,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unit in which a transmission that receives and shifts the output of the engine and a rear differential connected to the rear wheel through a rear wheel shaft are united,

상기 엔진의 엔진 플라이휠 방향이 상기 보디부의 후방을 향하며, The engine flywheel direction of the engine faces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엔진과 변속기조합이 직렬로 연결되고 차량 전장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arrang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respectively, is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the overall length of the vehicle.

바람직하게, 상기 변속기조합은 최종 변속된 동력 중 일부를 상기 전륜을 구동시키기 위해 출력하는 전륜 구동축을 구비하되, 상기 전륜 구동축은 상기 변속기조합의 일 측면부에 배치되고 변속기조합 내 최종 변속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동력전달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방차축조합의 전방차동장치와 상기 전륜 구동축이 전륜 프로펠러 사프트로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includes a front-wheel drive shaft that outputs a portion of the last-shifted power to drive the front wheels, wherein the front-wheel drive shaf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nal transmission shaft in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Alternatively, the power transmission element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o transmit power, and the front differential of the front axle combination and the front wheel drive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propeller shaft.

여기서 상기 전륜 프로펠러 샤프트는, 상기 전륜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엔진과 평행한 제1 프로펠러 샤프트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위치가 서로 다른 상기 제1 프로펠러 샤프트와 상기 전방차동장치의 입력축을 상호 연결하도록 평면 상 사선으로 배치되는 제2 프로펠러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ront wheel propeller shaft includes a first propeller shaft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drive shaft and parallel to the engine, the first propeller shaft having different positions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and the input shaft of the front differential.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propeller shaft disposed in an upper oblique line.

또한, 상기 데크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보다 특정 길이만큼 더 길게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인프레임보다 특정 길이만큼 더 길게 차량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데크프레임과 메인프레임 후단의 상기 후방 현가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제2 영역이 구획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ck frame extends to the rear of the vehicle by a specific length longer than the main frame, and the deck frame and the rear suspension frame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that extend to the rear of the vehicle longer than the main frame by a specific length are interconnected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area is partitioned.

여기서, 상기 특정 길이는 적어도 상기 변속기조합의 상기 차량 전장방향 길이 이상일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length may be at least the length of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또한, 상기 데크프레임의 전단에는 시트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은 적어도 둘 이상의 시트프레임 지지대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 frame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deck frame, and the seat frame may be support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main frame through at least two or more seat frame supports.

또한, 상기 보디부는 복수의 횡간부재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사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사이의 제3 영역에 연료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ide fram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through a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the fuel tank may be disposed in a third area between the side frame and the main frame.

여기서 상기 제3 영역은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일측 후단부와 메인프레임 사이의 상기 보디부 측후방 영역일 수 있다.Here, the third region may be preferably a side rear region of the body portion between the rear end of one side of the side frame and the main fra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에 의하면, 운전석 후방의 데크(적재함) 하부 공간에 엔진과 변속기조합을 배치시킨 구조로써, 종래기술 대비 엔진과 운전자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 엔진 소음이 크게 줄고, 승강 실린더로 데크를 들어올리면 엔진과 변속기조합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드러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조립성 및 정비성 또한 크게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and transmission combination is arranged in the lower space of the deck (loading box) behind the driver's seat, and the engine noise is greatly reduced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engine and the driver is relatively long compared to the prior art. When the deck is lifted with an elevating cylinder, the engine and transmission combination is naturally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assembly and maintain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을 평면에서 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의 주요 구성요소들(엔진, 변속기조합, 동력전달요소)의 배치 및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차체(바디부)를 평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체(보디부)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1 is a side view of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vehicle body (body part) in order to explain the arrangement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main components (engine, transmission combination, and power transmission element)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body (body part) shown in FIG. 3 as viewed from one si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to the same drawing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을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의 외형적인 부분부터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1 is a side view of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the external part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looked at.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은, 조향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1)과 좌우 한 쌍의 후륜(2) 사이에 운전석(10)이 마련된다. 운전석(10)에는 착석을 위한 시트(12)가 구비되며, 시트(12) 전방의 운전석(10) 공간에는 차륜 조향을 위한 스티어링휠(부호 생략)을 포함하여 주행 조작과 관련한 각종 조작 스위치(미도시)가 배치된다.1 to 2 , in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ver's seat 10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steerabl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2 . The driver's seat 10 is provided with a seat 12 for seating, and in the driver's seat 10 space in front of the seat 12, various operation switches related to driving operation including a steering wheel (not shown) for steering wheels (not shown) city) is placed.

운전석(10)은 전복방지구조물(ROPS,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20)로 둘러싸여 차량 전복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석(10) 전방에는 보닛으로 둘러싸인 소정의 부품실장공간(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품실장공간(30)에는 예컨대, 엔진(40)에서 발생한 열의 일부를 냉각수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라디에이터(도시 생략)가 설치될 수 있다. The driver's seat 10 is surrounded by a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ROPS,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20) to protect the driver from overturning the vehicle. And a predetermined component mounting space 30 surrounded by the bonnet is form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10. In this component mounting space 30, for example, a radiator ( not shown) may be installed.

시트(12) 후방에는 물건을 싣고 나를 수 있도록 데크(적재함, 50)가 배치된다. 데크(50)는 제한된 각도범위 내에서 데크를 뒤쪽으로 기울이거나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덤핑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데크(50)의 하부에는 주행 동력을 출력하는 엔진(40)과 엔진이 출력하는 동력을 주행 또는 작업에 적절한 속도로 바꾸어주는 변속기조합(도 3 내지 도 4 참조, 45)이 배치된다. A deck (loading box, 50) is disposed behind the seat 12 so as to be able to load and carry things. The deck 50 may be of a dumpable form that can tilt the deck backward or return it to its original state within a limited angular range, and the engine 40 and the engine outputting driving power are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deck 50 A transmission combination (refer to FIGS. 3 to 4, 45) for changing the output power to a speed suitable for driving or work is disposed.

엔진(40)이 출력한 동력은 엔진(40)의 후단에 직결되는 상기 변속기조합(45)을 통해 적절한 속도로 변속된 후 후방차동장치(45b)를 통해 도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비율로 한 쌍의 후륜(2)에만 전달되거나(2륜 모드), 변속기조합(45)의 전륜 구동축(452) 및 이와 연결된 전륜 프로펠러 샤프트(72)를 통해 후륜(2)은 물론 전륜(1)에도 주행동력으로 전달될 수 있다(4륜 모드). The power output by the engine 40 is shifted to an appropriate speed through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engine 40, and then through the rear differential device 45b at an appropriate ratio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s. It is transmitted only to the rear wheel 2 (two-wheel mode), or transmitted as driving power to the front wheel 1 as well as the rear wheel 2 through the front wheel drive shaft 452 of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and the front wheel propeller shaft 72 connected thereto It can be (4 wheel mode).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엔진과 변속기조합의 배치 및 결합 구조, 변속된 동력을 주행 동력으로 차륜에 전달하는 주행 전동계 및 차량의 보디부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and coupling structure of the engine and transmission combination, the driving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the shifted power to the wheels as driving power,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part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의 주요 구성요소들(엔진, 변속기조합, 동력전달요소)의 배치 및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차체(바디부)를 평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체(보디부)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참고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 도 4에는 주요 구성요소를 제외한 주변 구성요소들의 도시가 생략되었음을 밝혀둔다.3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body (body part) in order to explain the arrangement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main components (engine, transmission combination, power transmission element)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body (body part) shown in FIG. 3 as viewed from one side. For refere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llustration of surround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main components is omitted in FIGS. 3 and 4 for better understanding.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의 보디부(60)는 전장방향(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62)을 포함한다. 전방 충격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전방 가드프레임(63)이 상기 메인프레임(62)의 전단부 연결되고, 전방 가드프레임(63)의 후단에는 대쉬보드프레임(64)이 연결될 수 있다.3 to 4 , the body portion 60 of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mainframes 62 that are elongated in the front-length direction (front-to-rear longitudinal direction). A front guard frame 63 for protecting the vehicle from front impact may be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main frame 62 , and a dashboard frame 64 may be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ront guard frame 63 .

메인프레임(62)의 중앙 상부에는 시트프레임(65)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시트(12)와 함께 시트부를 구성한다. 이때 시트프레임(65)은 적어도 둘 이상의 시트프레임 지지대(650)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6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프레임(65)의 후단에는 데크프레임(66)이 연결되며, 데크프레임(66)에 전술한 데크(50)가 지지된다. A seat frame 65 is disposed on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62 to constitute a seat portion together with the seat 12 . In this case, the seat frame 65 may be support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ain frame 62 through at least two or more seat frame supports 650 . And the deck frame 66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eat frame 65 , and the above-described deck 50 is supported on the deck frame 66 .

시트프레임(65)과 연결되는 상기 데크프레임(66)은 후술할 후방 현가프레임(67) 및 상기 시트프레임 지지대(650)를 지지대로 하여 상기 시트프레임(65)과 마찬가지로 메인프레임(62)의 상부로 이격 배치되며, 데크프레임(66)이 상기 메인프레임(62)의 상측으로 이격됨으로써 데크프레임(66)과 메인프레임(62)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제1 영역)에 상기 엔진(40)이 배치된다.The deck frame 66 connected to the seat frame 65 uses the rear suspension frame 67 and the seat frame support 650 to be described later as supports, and similarly to the seat frame 65,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62 . The engine 40 is disposed in a space (first area) formed between the deck frame 66 and the main frame 62 by the deck frame 66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62 . do.

메인프레임(62)의 후단에는 후방 현가프레임(67)이 연결된다. 상기 데크프레임(66)은 메인프레임(62)보다 특정 길이(L1)만큼 더 길게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고, 메인프레임(62)보다 특정 길이만큼 차량 후방으로 더 연장된 상기 데크프레임(66)과 메인프레임(62) 후단의 상기 후방 현가프레임(67)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제2 영역, A2)에 변속기조합(45)이 배치된다.A rear suspension frame 67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62 . The deck frame 66 is extend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y a specific length (L1) longer than the main frame 62, and the deck frame 66 and the main extended further to the rear of the vehicle by a specific length than the main frame 62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is disposed in a space (second area, A2) formed by interconnecting the rear suspension frame 67 at the rear end of the frame 62 .

여기서, 특정 길이(L1)는 바람직하게, 제2 영역(A2)에 배치되는 상기 변속기조합(45)의 차량 전장방향 길이(L2)와 비교했을 때 적어도 그 이상일 수 있다.Here, the specific length L1 may be preferably at least greater than the length L2 of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disposed in the second area A2 in the vehicle front length direction.

보디부(60)는 또한, 복수의 횡간부재(69)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62)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사이드프레임(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프레임(68)과 메인프레임(62) 사이의 특정 영역(제3 영역)에 연료탱크(90)가 배치되되, 특정 영역(제3 영역)은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드프레임(68)의 일측 후단부와 메인프레임(62) 사이의 상기 보디부(60) 측후방 영역일 수 있다.The body part 60 may further include a side frame 68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62 through a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69 . At this time, the fuel tank 90 is disposed in a specific area (third area) between the side frame 68 and the main frame 62 , and the specific area (third area) is preferably one side of the side frame 68 . It may be a side rear region of the body portion 60 between the rear end and the main frame 62 .

엔진(40)은 데크프레임(66)이 상기 메인프레임(62)의 상측으로 이격됨으로써 그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인 상기 제1 영역(A1)에 배치된다. 엔진(40)은 엔진 플라이휠(42)이 상기 보디부(60)의 후방을 향하도록 차량 전장방향으로 배치(세로 배치)되며, 제1 영역(A1) 후방의 상기 제2 영역(A2)에 변속기조합(45)이 배치되어 상기 제1 영역(A1)의 엔진(40)과 직결된다.The engine 40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A1,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deck frame 66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62 . The engine 40 is disposed (vertically disposed) in the vehicle's overall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engine flywheel 42 faces the rear of the body part 60, and the transmission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A2 behind the first area A1. A combination 45 is disposed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ngine 40 of the first area A1.

제1 영역(A1)에 배치되는 엔진(10) 후방에서 제2 영역(A2)에 배치되는 변속기조합(45)이 직결됨으로써, 엔진(10)과 변속기조합(45)은 구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고 차량의 전장방향과 평행한 구조를 이루며, 이때 변속기조합(45)은 상기 엔진(10)의 출력을 입력 받아 변속하는 변속기(45a)와, 후륜축(46)을 통해 상기 후륜(2)과 연결되는 후방차동장치(45b)가 하나의 유닛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Since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disposed in the second area A2 is directly connected from the rear of the engine 10 disposed in the first area A1, the engine 10 and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are structurally connected in series and It has a structur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45a that receives the output of the engine 10 and shifts the speed, and the rear wheel 2 through the rear wheel shaft 46 The rear differential device 45b to be use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one unit.

변속기조합(45)을 구성하는 변속기(45a)는 동심 배치된 2개의 클러치 각각에 대해 홀수 변속단과 짝수 변속단을 교대로 구성하도록 변속기구를 구성한 DCT(Double Clutcu Transmission)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유압식무단변속기(HST)나 여러 쌍의 기어와 시프터, 변속축 등 다수의 변속요소를 포함하는 동기치합식(Synchromesh type) 변속기를 단속 또는 조합한 구성일 수 있다. The transmission 45a constituting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is preferably a DCT (Double Clutcu Transmission) in which the transmission mechanism is configured such that an odd-numbered shift stage and an even-numbered shift stage are alternately configured for each of the two concentrically arranged clutches. No, it may be a configuration in which a hydrost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ST) or a Synchromesh type transmiss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hift elements such as a plurality of pairs of gears, a shifter, and a shift shaft is intermittent or combined.

변속기조합(45)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40)이 출력하는 동력을 작업 또는 주행에 적합한 속도로 변속시켜 후륜(2)에만 주행 동력으로 출력하거나, 전륜(1)과 후륜(2) 모두에 주행 동력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엔진(40)이 발생시킨 동력을 출력하는 상기 엔진 플라이휠(42)에 변속기조합(45)의 입력축(미도시)이 동력전달 가능하게 직결된다.As mentioned above,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shifts the power output from the engine 40 to a speed suitable for work or driving and outputs it as driving power only to the rear wheel 2, or the front wheel 1 and the rear wheel 2 It is output as driving power to all. To this end, the input shaft (not shown) of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ngine flywheel 42 that outputs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40 to enable power transmission.

변속기조합(45)은 데크프레임(66)과 메인프레임(62) 후단의 상기 후방 현가프레임(67)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인 상기 제2 영역(A2)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후방 현가프레임(67)은 상기 메인프레임(62L, 62R)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670) 및 후방 프레임(670)과 상기 데크프레임(66)을 연결하는 둘 이상 복수의 서스펜션 지지대(672)로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i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A2 which is a space formed by interconnecting the deck frame 66 and the rear suspension frame 67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62 . At this time, the rear suspension frame 67 includes a rear frame 670 coupled to the rear ends of the main frames 62L and 62R, and two or more suspension supports connecting the rear frame 670 and the deck frame 66 ( 672).

변속기(45a)와 하나의 유닛 형태로 구성된 상기 후방차동장치(Rear differential gear unit, 45b)는 상기 변속기(45a)에 의해 최종 변속된 동력을 후륜축(46)을 통해 좌우 한 쌍의 후륜(2)에 주행 상황(또는 구동 환경)에 따라 적절히 배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좌우 후륜(2)에 걸리는 부하 크기에 맞춰 동력을 적절히 배분한다. The rear differential gear unit 45b configured as a unit with the transmission 45a transmits the power finally shifted by the transmission 45a through the rear wheel shaft 46 to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2 )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r driving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power is appropriate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load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2 .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후방차동장치(45b)는 링기어를 갖춘 차동케이스, 차동케이스 내 차동기어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차동피니언, 차동피니언 좌우로 기어 물림되며 차동케이스 내부로 연장된 좌우 차동축 단부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기어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일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the rear differential device 45b is a differential case equipped with a ring gear,   a pair of differential pinion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ifferential gear shaft in the differential case, and a differential pinion   gear meshed left and right, and the differential case is extended inside   left and right It may be a known configuration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gear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ifferential shaf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4륜 모드에서는 전륜(1)에도 변속동력이 전달된다. 이를 위해 변속기조합(45)에는 최종 변속된 동력 중 일부를 상기 전륜(1)을 구동력으로 출력하는 전륜 구동축(452)이 구비된다. 전륜 구동축(452)은 상기 변속기조합(45)의 일 측면부에 외부로 노출토록 배치되고, 변속기조합(45) 내 최종 변속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동력전달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four-wheel mode, shifting power is also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s (1). To this end,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is provided with a front wheel drive shaft 452 for outputting a portion of the final shifted power to the front wheel 1 as a driving force. The front wheel drive shaft 452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one side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nal shift shaft in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45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element.

보디부(60)의 전단에는 전방차축조합(80)이 배치된다. 전방차축조합(80)은 전방차동장치(Front differential gear unit, 82) 및 전방차동장치(82)와 전륜을 연결하는 전륜축(84)으로 구성되고, 전방차동장치(82)와 전륜 구동축(452)이 전륜 프로펠러 사프트(72)로 연결됨으로써, 전륜 구동축(452)이 출력하는 변속동력은 전륜 프로펠러샤프트(72)와 전방차동장치(82)을 통해 전륜(1)에 주행동력으로 전달될 수 있다. A front axle combination 8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60 . The front axle combination 80 includes a front differential gear unit 82 and a front wheel shaft 84 connecting the front differential device 82 and the front wheels, and the front differential gear unit 82 and the front wheel drive shaft 452 ) is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propeller shaft 72, so that the shift power output from the front wheel drive shaft 452 is transmitted as driving power to the front wheel 1 through the front wheel propeller shaft 72 and the front differential device 82. .

전륜 프로펠러 샤프트(72)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륜 구동축(452)에 연결되고 상기 엔진(40)과 평행한 제1 프로펠러 샤프트(72-1)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위치가 서로 다른 상기 제1 프로펠러 샤프트(72-1)와 상기 전방차동장치(82)의 입력축(도시 생략)을 상호 연결하도록 평면 상(도 3에 도시된 평면도 기준) 사선으로 배치되는 제2 프로펠러 샤프트(72-2)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ont wheel propeller shaft 72 is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drive shaft 452 and is parallel to the engine 40 and the first propeller shaft 72-1, and the first propeller shaft 72-1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lan view. To the second propeller shaft 72-2 disposed in an oblique line on the plane (based on the plan view shown in FIG. 3) to interconnect the propeller shaft 72-1 and the input shaft (not shown) of the front differential device 82 can be configured.

전륜 프로펠러샤프트(72)의 제1, 제2 프로펠러 샤프트은 바람직하게, 요크 및 이웃하는 요크를 상호 연결하는 십자축으로 구성된 축 이음요소와, 주행 조건에 따른 길이 변화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전륜 구동축(452)에 스플라인 연결되는 입력축을 구비하며, 입력축에 축 이음요소를 통해 연결되는 강관형 추진축과 같은 축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propeller shafts of the front wheel propeller shaft 72 preferably include a shaft joint element composed of a cross shaft interconnecting the yoke and the neighboring yokes, and the front wheel drive shaft ( 452) and having an input shaft splined to the input shaft, it may be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haft element such as a steel pipe-type propulsion shaft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through a shaft joint element.

도면 상 미설명 부호 89와 49는 각각 전륜축과 후륜축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어 각속도의 변화 없이 회전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이음부재인 등속 조인트를 가리킨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89 and 49 denote constant velocity joints, which are joint members installed at respective ends of the front wheel shaft and the rear wheel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wheel without changing the angular velocity.

종래 다목적 운반용 차량 중 운전석 시트 하부에 격실 형태로 엔진 룸을 구성하고 여기에 엔진을 배치시킨 구조의 경우, 전체적인 차량의 조립성 및 정비성이 떨어지며, 특히 차량의 주된 소음 발생원인 엔진이 운전자와 지근거리에 위치함으로써, 엔진 소음이 상대적으로 크고 이로 인해 작업 또는 운전 집중력이 떨어지고 불쾌감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an engine room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mpartment under the driver's seat among conventional multi-purpose vehicles and an engine is placed there, the overall vehicle assembly and maintainability are poor. By being located in a short dist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ngine noise is relatively large, there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work or driving and causing discomfort.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용 차량은, 운전석 후방의 데크(적재함) 하부 공간에 엔진과 변속기조합을 배치시킨 구조로써, 종래기술 대비 엔진과 운전자의 거리가 멀어 엔진 소음 및 그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승강 실린더로 데크를 들어올리면 엔진과 변속기조합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드러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조립성 및 정비성 또한 크게 개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gine and transmission combination are arranged in the space under the deck (loading box) behind the driver's seat, and the engine and the driver are farther apart than the prior art, so engine noise and damage caused by it Since the engine and transmission combination are naturall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eck is lifted with the elevating cylinder, the assembly and maintainability of the vehicle can also be greatly improved.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i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1 : 전륜 2 : 후륜
10 : 운전석 12 : 시트
20 : 전복방지구조체 30 : 부품실장공간
40 : 엔진 42 : 엔진 플라이휠
45 : 변속기조합 45a : 변속기
45b : 후방차동장치 46 : 후륜축
49, 89: 등속조인트
50 : 데크 60 : 보디부(차체)
62 : 메인프레임 63 : 전방 가드프레임
64 : 대쉬보드프레임 65 : 시트프레임
66 : 데크프레임 67 : 후방 현가프레임
68 : 사이드프레임 69 : 횡간부재
72 : 전륜 프로펠러샤프트 72-1 : 제1 프로펠러 샤프트
72-2 : 제2 프로펠러 샤프트 80 : 전방차축조합
82 : 전방차동장치 84 : 전륜축
90 : 연료탱크 452 : 전륜 구동축
650 : 시트프레임 지지대 670 : 후방 프레임
672 : 서스펜션 지지대
A1 : 제1 영역 A2 : 제2 영역 A3 : 제3 영역
1: front wheel 2: rear wheel
10: driver's seat 12: seat
20: rollover prevention structure 30: parts mounting space
40: engine 42: engine flywheel
45: transmission combination 45a: transmission
45b: rear differential 46: rear axle
49, 89: constant velocity joint
50: deck 60: body part (body)
62: main frame 63: front guard frame
64: dashboard frame 65: seat frame
66: deck frame 67: rear suspension frame
68: side frame 69: transverse member
72: front wheel propeller shaft 72-1: first propeller shaft
72-2: second propeller shaft 80: front axle combination
82: front differential 84: front axle
90: fuel tank 452: front wheel drive shaft
650: seat frame support 670: rear frame
672: suspension support
A1: first area A2: second area A3: third area

Claims (8)

전륜과 후륜을 갖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에 있어서,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로 이격된 데크프레임, 메인프레임 후단의 후방 현가프레임을 포함하는 보디부;
상기 보디부의 전단 중앙에 배치되는 전방차동장치와 상기 전방차동장치와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전륜축으로 구성된 전방차축조합;
상기 데크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사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엔진; 및
상기 데크프레임과 후방 현가프레임 사이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변속기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변속기조합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입력 받아 변속하는 변속기와 후륜축을 통해 상기 후륜과 연결되는 후방차동장치가 단일화된 하나의 유닛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엔진의 엔진 플라이휠 방향이 상기 보디부의 후방을 향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엔진과 변속기조합이 직렬로 연결되고 차량 전장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
In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hav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a body part including a main frame and a deck fram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and a rear suspension frame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a front axle combination comprising a front differential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front wheel shaft connecting the front differential and the front wheels;
an engine disposed in a first area between the deck frame and the main frame; and
It includes; a transmission combination disposed in the second area between the deck frame and the rear suspension frame;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unit in which a transmission that receives and shifts the output of the engine and a rear differential connected to the rear wheel through a rear wheel shaft are united,
The engine flywheel direction of the engine faces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The combination of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arrang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respectively, is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the overall length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조합은 최종 변속된 동력 중 일부를 상기 전륜을 구동시키기 위해 출력하는 전륜 구동축을 구비하되,
상기 전륜 구동축은 상기 변속기조합의 일 측면부에 배치되고 변속기조합 내 최종 변속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동력전달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방차축조합의 전방차동장치와 상기 전륜 구동축이 전륜 프로펠러 사프트를 통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includes a front wheel drive shaft that outputs a portion of the last shifted power to drive the front wheel,
The front wheel drive shaft is disposed on one side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nal transmission shaft in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or is connected to transmit power indirectly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element,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differential of the front axle combination and the front wheel drive shaft are interconnected through a front wheel propeller shaf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프로펠러 샤프트는,
상기 전륜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엔진과 평행한 제1 프로펠러 샤프트와,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위치가 서로 다른 상기 제1 프로펠러 샤프트와 상기 전방차동장치의 입력축을 상호 연결하도록 평면 상 사선으로 배치되는 제2 프로펠러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wheel propeller shaft,
a first propeller shaft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drive shaft and parallel to the engine;
and a second propeller shaft disposed diagonally on a plane so as to interconnect the input shaft of the front differential with the first propeller shaft having different positions when viewed in a plan vie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보다 특정 길이만큼 더 길게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인프레임보다 특정 길이만큼 더 길게 차량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데크프레임과 메인프레임 후단의 상기 후방 현가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제2 영역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deck frame extends to the rear of the vehicle by a specific length longer than the main frame,
The deck frame extend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y a specific length longer than the main frame and the rear suspension frame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are interconnected, and the second area is partition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길이는 적어도 상기 변속기조합의 상기 차량 전장방향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pecific length is at least the length of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combination,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프레임의 전단에 시트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은 적어도 둘 이상의 시트프레임 지지대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
5. The method of claim 4,
A seat frame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deck frame,
The seat frame is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main frame through at least two or more seat frame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부는 복수의 횡간부재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사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사이의 제3 영역에 연료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 side fram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through a plurality of cross members,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uel tank is disposed in a third area between the side frame and the main fra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일측 후단부와 메인프레임 사이의 상기 보디부 측후방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용 차량.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hird area is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side rear area between the one rear end portion of the side frame and the main frame.
KR1020210037514A 2021-03-23 2021-03-23 Utility vehicle KR202201323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514A KR20220132334A (en) 2021-03-23 2021-03-23 Utility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514A KR20220132334A (en) 2021-03-23 2021-03-23 Utility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334A true KR20220132334A (en) 2022-09-30

Family

ID=8345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514A KR20220132334A (en) 2021-03-23 2021-03-23 Utility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233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216A (en) 2010-07-23 2012-02-01 대동공업주식회사 Engine Room Structure of Utility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216A (en) 2010-07-23 2012-02-01 대동공업주식회사 Engine Room Structure of Utility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892B2 (en) Utility vehicle
KR102449338B1 (en)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for construction and snow removing work
US7188893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US710459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11613178B1 (en) All-terrain vehicle
GB2168015A (en) Transmission arrangement of service vehicle
US5129476A (en) Four-wheel-drive motor vehicle of transversely-disposed engine type
US4057121A (en) Modular rear axle suspension and drive arrangement for trucks
JP6758028B2 (en) Work vehicle
US3273912A (en) Off-road motor vehicle with opposite swinging axles
KR20220132334A (en) Utility vehicle
CA2740144A1 (en) Hub reduction gear for wheeled vehicle and driveline for such a vehicle and multi-shaft wheeled vehicle with such a driveline
US5222573A (en) Construction of an automobile power train
GB2332183A (en) Articulated vehicle
WO2020115839A1 (en) Electric vehicle chassis and electric vehicle
WO2020115840A1 (en) Chassis for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RU2641951C1 (en) Multifunctional vehicle
US20100200323A1 (en) Work vehicle
KR20170130146A (en)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for construction and snow removing work
EP1495899B1 (en) Traveling vehicle
WO2012082021A1 (en) Wheel-steered vehicle
US3858730A (en) Four-wheel drive lift truck
JP5228564B2 (en) Body front structure
JP4960938B2 (en) Passenger work vehicle
US20240157785A1 (en) Travel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