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303A -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303A
KR20220132303A KR1020210037444A KR20210037444A KR20220132303A KR 20220132303 A KR20220132303 A KR 20220132303A KR 1020210037444 A KR1020210037444 A KR 1020210037444A KR 20210037444 A KR20210037444 A KR 20210037444A KR 20220132303 A KR20220132303 A KR 20220132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air
air
liquefied
unit
pow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725B1 (ko
Inventor
이영롱
이근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7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 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4Gas-turbine plants having means for storing energy, e.g. for meeting peak loads
    • F02C6/16Gas-turbine plants having means for storing energy, e.g. for meeting peak loads for storing compress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4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ndensa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21C15/182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 G21C15/185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using energy stored in reactor system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1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압축, 냉각하여 저장탱크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공기 액화 및 저장부;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를 통과하여 액화된 공기가 저장되는 액화공기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의 액화된 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켜 공기를 배출하는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터빈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2차 계통부; 상기 2차 계통부와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를 연결하는 폐열 활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계통부에서 발생한 폐열은 상기 폐열 활용부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로 공급되어, 액화공기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Liquid air energy storage system linked to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의 폐열을 활용하여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효율을 개선시키고,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 사고시 원자력 발전소의 손상 및 방사능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며, 대용량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는 기존 양수발전(PSH, pumped storage hydroelectricity)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배터리, 플라이휠, 공기저장, 열저장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에너지 저장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LAES, Liquid Air Energy Storage)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중 하나로, 공기를 극저온으로 냉각 및 압축시켜 에너지 밀도가 높은 액체 상태로 액화시켜 에너지를 저장하고, 발전 시 저장된 액화공기를 가압, 재기화 그리고 터빈에서 팽창시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LAES)는 액화 및 재기화 공정에서 소모되는 많은 엑서지(Exergy) 손실로 인해 열에너지 저장을 하지 않는 단독 공정에서의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LAE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압축열을 저장하는 열매체유 순환 및 저장 공정이 결합되거나, 타 설비의 폐열을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한편, 원자력 발전소는 큰 설비용량을 가지며 임계압력 및 온도 이하로 운전되므로(150기압 및 300°C 가량, 초초임계압 석탄발전소는 240기압 및 593°C 이상으로 운전) 이로 인해 낮은 발전 효율과 대량의 온배수가 발생할 수 있어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LAES) 설치 시 낮은 효율을 보완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초기 원자력 발전소들은 공학적으로 상식적인 범주에서 예상되는 사고인 설계기준사고(DBA, Design Basis Accident)를 가정하고 이러한 사고 조건 하에서 동작이 가능한 안전설비들만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그러나, 운전원의 판단착오로 발생한 1979년 스리마일섬 원자력사고(TMI, Three Mile Island Accident), 안전기준을 무시한 상부의 잘못된 지시로 인한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지진과 고려되지 않았던 천재지변인 쓰나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후쿠시마 원자력사고(Fukushima dai-ichi Nuclear Accident) 등이 발생함에 따라 이후 원자력 발전소들은 이러한 사고 사례들을 설계기준초과사고(beyond design basis accident) 및 다중고장사고(Multiple Failure Accidents) 등으로 부르며 기존 설계기준사고(DBA)와 다른 개념으로 반영하게 되었다.
즉, 기존 설계기준사고(DBA)가 전용의 안전설비를 이용하여 발전소 수명중에 발생하는 하나의 사건(event)으로 설계에 고려하는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으나 상기에 언급한 설계기준사고 및 다중고장사고는 규모가 크고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전용의 안전설비 및 비안전 설비까지 고려하여 비상운전절차서(EOP, Emergency Operation Procedure) 및 사고관리절차서(AMP, Accident Management Plan)과 같은 대응 절차를 마련하여 사고 발생 시에도 장기적 오염을 유발하지 않도록 방사능 방출을 완화하는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다.
세계적인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강화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7-34호 사고관리 범위 및 사고관리능력 평가의 세부기준에 관한 규정이 공표되면서 사고시 대응 절차인 사고관리계획서의 인허가 기관 제출이 법제화되고 사고관리계획서에 고려해야 하는 사고들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었다.
이러한 사고들 중 최종열제거원 상실사고(LOUHS, Loss of Ultimate Heat Sink)는 전출력 정상운전 상태에서 기계적인 고장 등으로 인하여 1차측 기기냉각수 해수계통(CCWS, Component Cooling Water System)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어 원자로의 잔열제거가 불가능해지는 사고이다.
이와 같은 사고 발생시에는 원자로 내부의 잔열을 제거(residual heat removal)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존 안전설비 외에도 이동형 설비, 안전설비는 아니나 내진성능을 갖춘 기기 등 다양한 설비를 활용하여 사고 시 대응 절차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기화과정을 통해 에너지 흡수가 가능한 액화공기는 원자로 내부의 잔열을 제거하는데 적합한 수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의 폐열을 활용하여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효율을 개선시키고,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 사고시 원자력 발전소의 손상 및 방사능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공기의 압축, 재기화, 팽창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압축, 냉각하여 저장탱크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공기 액화 및 저장부;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를 통과하여 액화된 공기가 저장되는 액화공기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의 액화된 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켜 공기를 배출하는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터빈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2차 계통부; 상기 2차 계통부와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를 연결하는 폐열 활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계통부에서 발생한 폐열은 상기 폐열 활용부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로 공급되어, 액화공기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원자력 발전소의 핵연료에 의해 가열되는 원자로 용기를 냉각시키는 1차 계통부와, 상기 1차 계통부와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안전 활용부를 더 포함하며, 원자로 사고 발생시, 상기 안전 활용부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된 공기를 상기 1차 계통부로 공급하여 원자로 사고 발생시의 잔열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의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에서 공기를 압축, 냉각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는 고온 저장탱크와 저온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에는 복수 개의 압축기와 복수 개의 냉각기가 구비되고,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에는 복수 개의 가열기와 복수 개의 터빈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의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에는, 상기 2차 계통부에서 발생한 폐열과 초저온의 공기를 열교환하는 폐열재생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의 상기 폐열재생 열교환기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의 상기 1차 계통부에는, 상기 안전 활용부를 통해 공급받은 액화공기를 재기화 시킬 수 있는 냉각열교환기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열교환기는, 액화공기를 재기화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흡열 반응을 통해 원자로 사고 발생시의 잔열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의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 사이에는 액화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격리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1차 계통부 사이에는 액화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비상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의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에서 액화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킬 때 상기 제1격리밸브는 열려있고, 상기 비상밸브는 닫혀 있으며, 원자로 사고 발생시에는 상기 제1격리밸브는 닫히고, 상기 비상밸브는 열릴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의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1차 계통부 사이에는 액화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격리밸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에서 액화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킬 때 상기 제2격리밸브는 닫혀 있으며, 원자로 사고 발생시에는 상기 제2격리밸브가 열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폐열을 활용하여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원자로 사고 발생시 안전관련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원자로 사고시 원자력 발전소의 손상 및 방사능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폐열을 활용하여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효율을 개선시키고,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 사고시 원자력 발전소의 손상 및 방사능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공기의 압축, 재기화, 팽창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에, 원자력 발전소의 폐열을 활용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추가하여 에너지 발전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비상밸브와 비상유로를 구비하고 원자력 발전소의 1차 계통부에 열교환기를 추가하여, 원자력발전 사고시 액화공기의 재기화를 통한 흡열반응을 통해 원자로의 잔열 제거(residual heat removal)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에너지 저장장치를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설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공기 액화 및 저장부(110), 액화공기 저장탱크(120),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 원자력 발전소의 2차 계통부(220), 폐열 활용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110)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압축, 냉각하여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에 저장하고, 압축과정 동안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상기 저장탱크(140)에 저장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110)의 공기흡입유로(AIR-IN)로 흡입된 공기는 공기 필터(113)를 거쳐 압축기(111) 및 냉각기(112)를 통해 압축 및 냉각된다.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110)에는 복수 개의 상기 압축기(111)와 상기 냉각기(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110)에는 초저온 냉각기(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11) 및 상기 냉각기(112)를 통해 압축되고 냉각된 공기는 줄-톰슨 효과(Joule-Thomson effect)를 이용한 교축밸브(115)를 통해 액화되어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에 저장된다.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110)에서 공기를 압축, 냉각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상기 저장탱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40)는 고온 저장탱크(141)와 저온 저장탱크(142)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140)는 열매체유를 통해 열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110)에서 공기를 압축, 냉각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상기 저장탱크(140)의 열매체유에 전달되면서 저장되며, 상기 열매체유에 저장된 열에너지는 이후 액화된 공기를 가열 및 기화시킬 때 사용된다.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는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110)를 통과하여 액화된 공기가 저장되는 탱크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는 상기 저장탱크(140)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의 액화된 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에 저장된 액화공기는 액화공기펌프(134)를 통해 가압된 이후 초저온 가열기(135)를 통해 기화될 수 있다. 이후 가열기(131)와 터빈(132)을 통해 에너지 발전 후 공기배출유로(AIR-OUT)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에는 복수 개의 상기 가열기(131)와 상기 터빈(1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기(131)는 상기 저장탱크(140)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받아 액화된 공기를 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액화된 공기가 기화되면서 상기 터빈(132)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원자력 발전소의 상기 2차 계통부(220)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터빈 발전기(221)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폐회로(closed loop)인 원자로냉각재계통(RCS)을 통해 핵연료에 의해 가열되는 고온, 고압의 냉각수(150기압 및 300°C 가량)를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로 순환시켜 포화증기를 만들고, 상기 증기 터빈 발전기(221)를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 증기 터빈 발전기(221)를 회전시킨 포화증기는 상기 2차 계통부(220)의 복수기(222)를 통해 응축되고 해수를 이용하여 냉각된다. 냉각된 물은 상기 증기 발생기로 다시 공급된다.
원자력 발전소는 큰 설비용량을 가지며 임계압력 및 온도 이하로 운전되므로(150기압 및 300°C 가량, 초초임계압 석탄발전소는 240기압 및 593°C 이상으로 운전), 이로 인해 낮은 발전효율과 대량의 온배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온배수를 배출하는 경우 해양환경에 열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원자력발전소는 상기의 온배수 배출에 따른 해양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전소 연안이 아닌 수백미터 이상 떨어진 해역에 온배수를 희석 및 배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온배수에 의한 해양환경 영향을 완전히 없애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상기 폐열 활용부(150)를 통해 상기 온배수의 폐열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폐열 활용부(150)는 상기 2차 계통부(220)와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폐열 활용부(150)는 상기 2차 계통부(220)에서 발생한 폐열을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2차 계통부(220)에서 발생한 폐열은 상기 복수기(222)에서 배출되는 데워진 해수일 수 있으며, 상기 해수가 상기 폐열 활용부(150)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2차 계통부(220)에서 발생한 폐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2차 계통부(220)에서 발생한 폐열은 전력생산 후 터빈을 거쳐 상기 복수기(222)에서 응축되어 데워진 2차 냉각수, 전력생산 후 복수기로 가는 터빈 증기 등 다양한 폐열원일 수 있다.
상기 2차 계통부(220)에서 발생한 폐열은 상기 폐열 활용부(150)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로 공급되어 액화공기를 가열시키게 된다.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에는 상기 2차 계통부(220)에서 발생한 폐열과 액화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폐열재생 열교환기(13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폐열재생 열교환기(133)를 통해 상기 2차 계통부(220)에서 발생한 폐열을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온 저장탱크(141)에서 공급되는 열 에너지로 공기를 팽창시키기 전에, 상기 폐열재생 열교환기(133)를 통해 상기 2차 계통부(220)에서 발생한 폐열을 공급받아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는 상기 폐열재생 열교환기(133)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폐열재생 열교환기(133)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2차 계통부(220)는 원자력 발전소를 구성하는 계통 중 1차측기기냉각해수계통(Essential Service Water System)과 1차측기기냉각수계통(Primary Component Cooling Water System)의 일부분과 증기터빈발전기(221), 복수기(222)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원자력 발전소(20)는 형태에 따라 기기 냉각수 펌프(23), 필수냉각 해수펌프(21), 기기 냉각수 열교환기(22)의 대수 및 배치방법, 유로의 배치(CCW-COOL, SEA-IN, SEA-OUT) 등이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원자력 발전소의 1차 계통부(210)와 안전 활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계통부(210)는 원자력 발전소의 핵연료에 의해 가열되는 원자로 용기(211)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1차 계통부(210)는 원자력 발전소를 구성하는 계통 중 원자로냉각재계통(RCS, Reactor Coolant System)과 비상노심냉각계통(ECCS,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원자력 발전소(20)에서 정지냉각 펌프(25), 정지냉각 우회밸브(26), 정지냉각 열교환기(24)의 대수 및 배치방법, 정지냉각유로의 배치(RCS-IN, RCS-OUT) 등은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안전 활용부(160)는 상기 1차 계통부(210)와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를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자로 사고 발생시, 상기 안전 활용부(160)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에 저장된 액화된 공기를 상기 1차 계통부(210)로 공급하여 원자로 사고 발생시의 잔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1차 계통부(210)는 원자로 사고 발생시, 상기 안전 활용부(160)를 통해 액화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1차 계통부(210)에는 상기 안전 활용부(160)를 통해 공급받은 액화공기를 재기화 시킬 수 있는 냉각열교환기(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열교환기(213)는 재장전수탱크(212)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열교환기(213)는 액화공기를 재기화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흡열 반응을 통해 원자로 사고 발생시의 잔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 활용부(160)는 원자로 사고 발생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원자로 정상 운전시에는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에 저장된 액화공기는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로 공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와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 사이에는 액화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격리밸브(121)가 구비되며,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와 상기 1차 계통부(210) 사이에는 액화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비상밸브(12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에서 액화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킬 때 상기 제1격리밸브(121)는 열려있고, 상기 비상밸브(122)와 제2격리밸브(214)는 닫혀 있게 된다. 원자로 정상 운전시에는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에서 액화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키게 되다가, 원자로 사고 발생시에는 상기 제1격리밸브(121)는 닫히고, 상기 비상밸브(122)와 제2격리밸브(214)가 열리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에 저장된 액화공기가 상기 1차 계통부(210)로 이동하게 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비상밸브(122)는 비상유로(123)에 구비되면서 원자로 사고 발생 시에 열리게 된다.
상기 비상밸브(122)가 열리면서 상기 비상유로(123)를 통해 액화공기가 상기 1차 계통부(210)의 상기 냉각열교환기(213)로 공급되고, 상기 냉각열교환기(213)에서 액화공기와 잔열이 열교환되면서 원자로 사고 발생시의 잔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에 저장되는 액화공기의 저장용량은, 원자로 사고 발생시 잔열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최소 액화 공기의 양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와 상기 1차 계통부(210) 사이에는 액화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격리밸브(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격리밸브(214)는 상기 냉각열교환기(213)로 액화공기를 유입시키는 지점과, 상기 냉각열교환기(213)에서 기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격리밸브(214)는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에서 액화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킬 때 닫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격리밸브(214)는 원자로 사고 발생시에는 열릴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120), 상기 제1격리밸브(121), 상기 비상밸브(122)는 내진 설계된 건물(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열교환기(213), 상기 제2격리밸브(214)는 원자력 안전설계기준에 따라 설계되며, 내진 설계된 원자력 발전소 건물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상기 폐열 활용부(150)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의 폐열을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로 공급함에 따라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발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동시에, 원자로 사고 발생시에 상기 안전 활용부(160)를 통해 상기 1차 계통부(210)에 액화공기를 공급하여 원자로 사고 발생시의 잔열을 제거함에 따라,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 관련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전력 수요가 적은 경부하(off-peak) 시간대에서는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110)를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전력수요가 많은 최대부하(on-peak) 시간대에서는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130)를 통해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원자력 발전소의 대량의 폐열을 활용하여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원자로 사고 발생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안전관련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원자로 사고시 원자력 발전소의 손상 및 방사능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자력 발전소는 임계압력 및 온도 이하로 운전되며(150기압 및 300°C 가량), 이로 인해 낮은 발전효율과 큰 설비용량으로 대량의 온배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원자력 발전소의 온배수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효과와 함께 원자력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해양환경에 미치는 열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설비로서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의 추가적인 안전설비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내진 설계된 건물 20...원자력 발전소
21...필수냉각 해수펌프 22...기기 냉각수 열교환기
23...기기 냉각수 펌프 24...정지냉각 열교환기
25...정지냉각 펌프 26...정지냉각 우회밸브
110...공기 액화 및 저장부 111...압축기
112...냉각기 113...공기 필터
114...초저온 냉각기 115...교축밸브
120...액화공기 저장탱크 121...제1격리 밸브
122...비상밸브 123...비상유로
130...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 131...가열기
132...터빈 133...폐열재생 열교환기
134...액화공기 펌프 135...초저온 가열기
140...저장탱크 141...고온 저장탱크
142...저온 저장탱크 150...폐열 활용부
160...안전 활용부 210...1차 계통부
211...원자로 용기 212...재장전수탱크
213...냉각열교환기 214...제2격리밸브
220...2차 계통부 221...증기 터빈 발전기
222...복수기

Claims (9)

  1. 공기의 압축, 재기화, 팽창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압축, 냉각하여 저장탱크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공기 액화 및 저장부;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를 통과하여 액화된 공기가 저장되는 액화공기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의 액화된 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켜 공기를 배출하는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터빈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2차 계통부;
    상기 2차 계통부와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를 연결하는 폐열 활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계통부에서 발생한 폐열은 상기 폐열 활용부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로 공급되어, 액화공기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원자력 발전소의 핵연료에 의해 가열되는 원자로 용기를 냉각시키는 1차 계통부와, 상기 1차 계통부와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안전 활용부를 더 포함하며,
    원자로 사고 발생시, 상기 안전 활용부를 통해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된 공기를 상기 1차 계통부로 공급하여 원자로 사고 발생시의 잔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에서 공기를 압축, 냉각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는 고온 저장탱크와 저온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액화 및 저장부에는 복수 개의 압축기와 복수 개의 냉각기가 구비되고,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에는 복수 개의 가열기와 복수 개의 터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에는, 상기 2차 계통부에서 발생한 폐열과 액화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폐열재생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재생 열교환기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계통부에는, 상기 안전 활용부를 통해 공급받은 액화공기를 재기화 시킬 수 있는 냉각열교환기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열교환기는, 액화공기를 재기화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흡열 반응을 통해 원자로 사고 발생시의 잔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 사이에는 액화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격리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1차 계통부 사이에는 액화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비상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에서 액화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킬 때 상기 제1격리밸브는 열려있고, 상기 비상밸브는 닫혀 있으며,
    원자로 사고 발생시에는 상기 제1격리밸브는 닫히고, 상기 비상밸브는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1차 계통부 사이에는 액화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격리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액화공기 재기화 및 발전부에서 액화공기를 가열, 재기화, 팽창시킬 때 상기 제2격리밸브는 닫혀 있으며,
    원자로 사고 발생시에는 상기 제2격리밸브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KR1020210037444A 2021-03-23 2021-03-23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KR10253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44A KR102531725B1 (ko) 2021-03-23 2021-03-23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44A KR102531725B1 (ko) 2021-03-23 2021-03-23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303A true KR20220132303A (ko) 2022-09-30
KR102531725B1 KR102531725B1 (ko) 2023-05-11

Family

ID=8345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444A KR102531725B1 (ko) 2021-03-23 2021-03-23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7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790A (ja) * 1998-06-18 2000-01-07 Toshiba Corp 原子力コンビナート
JP2000064813A (ja) * 1998-08-25 2000-02-29 Toshiba Corp 冷熱貯蔵型負荷平準化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発電方法
JP2000111693A (ja) * 1998-10-05 2000-04-21 Toshiba Corp 負荷平準化原子力プラント
KR20200049009A (ko) * 2018-10-31 2020-05-0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산업 플랜트와 연계한 액화공기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790A (ja) * 1998-06-18 2000-01-07 Toshiba Corp 原子力コンビナート
JP2000064813A (ja) * 1998-08-25 2000-02-29 Toshiba Corp 冷熱貯蔵型負荷平準化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発電方法
JP2000111693A (ja) * 1998-10-05 2000-04-21 Toshiba Corp 負荷平準化原子力プラント
KR20200049009A (ko) * 2018-10-31 2020-05-0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산업 플랜트와 연계한 액화공기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725B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288B1 (ko) 핵 기지 정전 동안에 수동 전력 생산
US20130044851A1 (en) Backup nuclear reactor auxiliary power using decay heat
KR101973996B1 (ko) 원자로용기 외벽 냉각 및 발전 시스템
CN204480678U (zh) 一种核电站非能动余热排出系统
CN107403650B (zh) 海上浮动核电站的二次侧非能动余热排出系统
JPS6186682A (ja) 原子炉装置
KR20180128796A (ko) 원자로용기 내 냉각 및 발전 시스템
KR20180135740A (ko)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KR101629657B1 (ko) 초소형 발전 모듈
KR102531725B1 (ko)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KR102550139B1 (ko) 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과 연계된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RU2758159C1 (ru) Система пассивного отвода тепла
CN112951464B (zh) 采用液态金属磁流体发电换热器的空间核电系统及发电方法
Ricotti et al. Preliminary safety analysis of the IRIS reactor
Golovko et al. Features of adapting gas turbine cycle and heat exchangers for HTGRs
KR20160097157A (ko) 초소형 발전 모듈
CN113436760A (zh) 热态下非能动余热排出系统排热能力调试试验方法
KR20130004305A (ko) 가스 냉각 고속로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
Sviridenko et al. Passive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for the WWER with thermosiphon heat exchanging equipment
Conway et al. Simplified safety and containment systems for the IRIS reactor
US10557627B2 (en) Cooling medium generating apparatus using steam of nuclear power plant and cooling method therefor
US11984230B2 (en) Dual-mode heat removal system that allows first direction natural circulation flow through a heat exchanger during nuclear reactor emergency cooling and allows opposite direction forced flow through the heat exchanger during decay heat removal
US20220199271A1 (en) Multi-mode heat removal systems for nuclear reac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9166637B (zh) 一种基于orc的压水堆核电站核安全系统及方法
JP6109579B2 (ja) 配管取合機器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