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690A -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 - Google Patents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690A
KR20220131690A KR1020210036668A KR20210036668A KR20220131690A KR 20220131690 A KR20220131690 A KR 20220131690A KR 1020210036668 A KR1020210036668 A KR 1020210036668A KR 20210036668 A KR20210036668 A KR 20210036668A KR 20220131690 A KR20220131690 A KR 2022013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ed water
filtered
filter unit
uni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농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농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농환경
Priority to KR102021003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690A/ko
Publication of KR2022013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은, 처리수가 내부 공간을 통과하며 이물질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으로서, 상기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는 인입구와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유닛, 상기 인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가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며 상기 이물질이 여과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홀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동홀에서 탈락시키도록 회전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FILTRATION DEVICE CAPABLE OF INTERNAL WASHING}
본 발명은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수가 필터유닛 내부로 이동되면서 1차 여과되고, 필터유닛 내부의 처리수가 배출구로 배출되면서 2차 여과되며, 이물질이 여과되고 유체가 이동되는 이동홀에 밀착되는 이물질을 탈락시키기 위해 압력을 가하거나 이물질을 분쇄하고, 분쇄되는 이물질 또는 처리수 내부를 부유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고, 평소에는 이를 정화하여 방류하다가 필요에 따라 액체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공정을 통해 여과수를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물질이 포함된 처리수를 여과장치 내부로 주입하고, 다수의 필터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순수한 액체상태의 처리수인 여과수를 추출한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다수의 필터를 통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물질이 축적되면서 거름막을 통해 처리수가 이동되는 것을 방해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되거나 여과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과장치 내부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분리, 추출하는 작업을 진행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여과장치 내부에서 회전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시켜 지속적으로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회전되는 스크류가 여과되는 필터의 내부와 맞닿아 거름막이 손상 또는 마모되거나 오히려 잘게 부서진 이물질이 필터의 기공을 막아 여과수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에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필터에 밀착되는 이물질을 탈락시키면서도, 내부의 거름막 또는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크류를 변형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처리수가 필터유닛 내부로 이동되면서 1차 여과되고, 필터유닛 내부의 처리수가 배출구로 배출되면서 2차 여과되며, 이물질이 여과되고 유체가 이동되는 이동홀에 밀착되는 이물질을 탈락시키기 위해 압력을 가하거나 이물질을 분쇄하고, 분쇄되는 이물질 또는 처리수 내부를 부유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고, 평소에는 이를 정화하여 방류하다가 필요에 따라 액체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은, 처리수가 내부 공간을 통과하며 이물질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으로서, 상기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는 인입구와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유닛, 상기 인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가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며 상기 이물질이 여과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홀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동홀에서 탈락시키도록 회전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이물질의 일부를 여과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이물질을 여과시켜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인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이물질이 1차적으로 여과되는 제1 여과부 및 상기 제1 여과부와 연통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이물질이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 여과부에서 여과되지 않은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을 구분하는 구분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을 탈락시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처리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을 분쇄하거나 흡입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세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과 맞닿아 상기 이물질을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브러쉬부재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부재에 의해 분쇄되거나 상기 처리수 내부를 부유하는 상기 이물질을 내부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거부재는, 상기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에 의해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내부로 상기 이물질이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필터유닛의 외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거부재를 통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이물질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상기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 방류시스템은 이물질이 포함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이물질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 및 상기 판단장치에 의해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는 정화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단장치는, 상기 여과수가 기 설정된 농도 이하의 비료 성분이 포함되어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한 경우,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상기 정화장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화장치를 통해 상기 여과수가 필터링되어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수로 정수하도록 상기 여과수의 비료 성분 농도에 따라 필터링을 반복하기 위한 기 설정된 횟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판단장치는, 필터링을 진행하는 동안 필터링되는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비료 성분의 농도가 방류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화장치가 상기 방류수를 방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장치는, 상기 여과수에 기 설정된 농도 이상의 비료 성분이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액체비료로 활용하도록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은, 처리수가 필터유닛 내부로 이동되면서 1차 여과되고, 필터유닛 내부의 처리수가 배출구로 배출되면서 2차 여과되며, 이물질이 여과되고 유체가 이동되는 이동홀에 밀착되는 이물질을 탈락시키기 위해 압력을 가하거나 이물질을 분쇄하고, 분쇄되는 이물질 또는 처리수 내부를 부유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고, 평소에는 이를 정화하여 방류하다가 필요에 따라 액체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하우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필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필터유닛을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여과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과 필터유닛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제거부재 및 이동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제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하우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필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은 처리수가 인입되는 인입구(I)와 이물질(F)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O1)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I)에서 상기 배출구(O1)를 향해 상기 처리수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유닛(100), 상기 인입구(I) 및 상기 배출구(O1)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이동홀(H)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가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되며 상기 이물질(F)이 여과되는 필터유닛(200) 및 상기 필터유닛(200)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H)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홀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F)을 상기 이동홀(H)에서 탈락시키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이물질(F)을 제거하는 흡입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구(I)와 연통되고, 상기 이물질(F)이 포함된 처리수가 상기 필터유닛(200) 내측으로 이동되는 제1 공간(120) 및 상기 필터유닛(200)에서 상기 배출구(O1)를 향해 상기 이물질(F)이 여과된 여과수가 이동되는 제2 공간(1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유닛(100)에는 내부 부품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간(120)을 개폐하거나 상기 제2 공간(140)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1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 사이에서 상기 이물질(F)이 상기 여과수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이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을 구분하는 구분막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120)은 상기 인입구(I)와 연통되어 상기 이물질(F)이 포함된 상기 처리수가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구분막에 의해 상기 제2 공간(140)과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간(140)은 상기 배출구(O1)와 연통되어 상기 이물질(F)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구분막을 통해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공간(140)은 상기 배출구(O1)를 통해 상기 이물질(F)이 여과된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면서도 상기 흡입유닛(300)을 통해 흡입한 상기 이물질(F)이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러지 배출공간(142)과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에서는 상기 흡입유닛(300)을 통해 흡입된 상기 이물질(F)이 배출되도록 슬러지 배출구(O2)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160)는 상기 제1 공간(120)과 연통되는 일측과 상기 제2 공간(140)과 연통되는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개폐되어 내부 노폐물 제거 및 부품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구(I) 및 상기 배출구(O1) 및 상기 슬러지 배출구(O2)에는 상기 처리수 및 상기 여과수의 공급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밸브(B1, B2, B3)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분막과 상기 필터유닛(200)이 밀착되어 있는 상황에서 압력 또는 수압에 의해 상기 필터유닛(200)의 외측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분막과 상기 필터유닛(200) 사이에는 고무부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입구(I), 상기 배출구(O1), 상기 슬러지 배출구(O2)에는 각각 상기 처리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입구 밸브(B1), 상기 배출구(O1)로 배출되는 상기 여과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배출구 밸브(B2) 및 상기 슬러지 배출구(O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여과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상기 슬러지 밸브(B3)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에서 상기 인입구(I) 및 상기 배출구(O1)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120)에서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이물질(F) 중 일부를 1차 여과하여 이동되는 제1 여과부(220) 및 상기 제1 여과부(220)와 연통되고, 상기 제2 공간(140) 상에 배치되어 내부의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물질(F)이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이물질(F)을 여과하는 제2 여과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여과부(220) 및 상기 제2 여과부(240)에는 상기 이물질(F)이 여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이동홀(H)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여과부(220) 및 상기 제2 여과부(240)는 메쉬망 형태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여과부(220)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되는 상기 이물질(F) 중에서 큰 덩어리를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서로 다른 크기의 상기 이동홀(H)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여과부(240)는 상기 제1 여과부(22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상기 이물질(F)의 잔여량을 모두 여과시켜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만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여과부(220)에 형성되는 상기 이동홀(H)보다 좁은 크기의 상기 이동홀(H)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여과부(220)는 상기 제1 공간(120)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H)을 통해 내부로 이동되며 상기 이물질(F) 중 일부가 1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고,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여과부(240)는 상기 제1 여과부(220)에서 이동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이물질(F)이 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여과부(220)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이동홀(H)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물질(F)이 상기 이동홀(H)에 의해 여과되어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2 공간(140)으로 이동되고,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 즉, 상기 여과수가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처리수는 다수의 상기 이물질(F)이 포함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여과수는 상기 제2 여과부(240)에 의해 상기 이물질(F)이 여과되어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만이 여과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유닛(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유닛(200) 내부에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유닛(300)은 상기 필터유닛(200) 내부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320) 및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필터유닛(200) 내측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필터유닛(200)의 상기 이동홀(H)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F)을 상기 이동홀(H)에서 분쇄시키거나 흡입하는 세척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부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일측이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 사이의 구분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개폐부(160)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유닛(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여과부(22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며 외측에 상기 이물질(F)이 부착된 상태이므로 내부의 유압만으로는 상기 이물질(F)을 탈락시키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여과부(240)의 내측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부(240)의 상기 이동홀(H)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 여과부(220)는 내부로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공간(120)에서 상기 흡입유닛(300)이 회전되면 상기 제1 여과부(22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의 양이 줄어 생산효율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여과부(240)의 내부에서만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320)와 상기 세척부(340)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세척부(34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부(340)가 결합되는 결합홈(322)이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320)에는 추후 상술할 제거부재(342)에서 흡입한 상기 이물질(F) 또는 상기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과 연통되는 내부 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부(340)는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부(340)는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이물질(F)의 크기를 작은 입자로 분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여과부(240)의 내측과 밀착되는 브러쉬부재(342)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이물질(F) 또는 상기 처리수를 흡입하는 제거부재(3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러쉬부재(342)는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홀(H)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F)을 상기 이동홀(H)에서 탈락시키거나 상기 이물질(F)을 작은 입자로 분쇄시켜 상기 제거부재(344)가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부재(344)는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거부재(344)에서 흡입된 상기 이물질(F) 또는 상기 처리수는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이동되고, 음압 또는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거부재(344)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상기 이물질(F)이 상기 제거부재(344)의 흡입홈(S)을 통해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거부재(344)를 통해 흡입되는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가 상기 회전부(320)를 통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배출구 밸브(O2)를 차단하고, 상기 제1 공간(120) 및 상기 제2 공간(140)에 지속적으로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상기 처리수를 주입하면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가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를 따라 이동된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는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과 연통된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를 따라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배출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슬러지 밸브(B3)를 개방하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가 상기 슬러지 배출구(O2)를 통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러지 배출구(O2)를 통해 이동된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는 재차 여과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재투입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상기 이물질(F)을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침전공간을 경유하여 일부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
앞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반적인 처리과정을 도 5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필터유닛을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여과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과 필터유닛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세척부 및 이동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제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상기 처리수를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로 인입시키면 상기 처리수는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상기 제1 공간(120)으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제1 공간(120)에서 상기 제1 여과부(220)의 내측으로 상기 이동홀(H)을 통해 이동되면서 일부 상기 이물질(F)이 1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여과부(220)에 형성되는 상기 이동홀(H)에는 상기 이물질(F)이 여과되면서 상기 이동홀(H)에 일부 상기 이물질(F)이 밀착되면서 상기 제1 여과부(220)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의 양이 줄어들 수 있는데, 이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1 여과부(220)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여과부(240)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1 공간(120)에서 상기 제2 공간(140)으로 직접적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물질(F)이 상기 여과수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 사이의 상기 구분막을 통해 상기 이물질(F)이 상기 여과수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적인 여과과정을 통해 상대적으로 큰 상기 이물질(F)을 여과하여 상기 이물질(F)이 상기 제2 여과부(240)에 형성되는 상기 이동홀(H)에 다량 밀착되면서 여과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를 풀어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여과부(220)에서는 외측에 상기 이물질(F)이 누적되어 상기 이물질(F)을 여과하며, 상기 제2 여과부(240)에서는 내측에 상기 이물질(F)이 누적되며 상기 이물질(F)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여과부(220) 내부로 이동된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2 여과부(240)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여과부(220)와 상기 제2 여과부(240) 사이에는 상기 구분막이 구비되지 않아 상기 제1 여과부(220)에서 1차적으로 여과된 상기 처리수만 상기 제2 여과부(240)로 이동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여과부(220)와 상기 제2 여과부(240) 사이에 별도의 제3 여과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F)을 추가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여과부(240)로 이동된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물질(F)이 상기 제2 여과부(240)의 이동홀(H)을 통해 여과되고, 결과적으로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만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처리과정 및 여과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이동홀(H)에는 다량의 상기 이물질(F)이 밀착되어 여과효율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320)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홀(H)에서 상기 이물질(F)을 탈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제거부재(344)는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측과 맞닿아 상기 필터유닛(20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유닛(200)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앞서 상술한 바를 통해 상기 제거부재(344)는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소정거리 이격된 틈새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를 흡입하면서도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여과부(24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하자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20)가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부재(342)는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게 되고,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측과 맞닿아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측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F)을 작은 입자로 분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처리수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부재(344)을 통해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물질(F)이 상기 이동홀(H)에서 탈락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340)는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서로 다른 선상에 구비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거부재(344)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홈(322)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홈(S)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부재(344)의 타단부에는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홈(S)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흡입홈(S)은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가 상기 회전부(320)를 통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상기 처리수를 인입시키는 상기 인입구(I)와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상기 배출구(O1) 중에서 상기 입입구(I)는 지속적으로 상기 처리수를 공급하지만 상기 배출구(O1)는 상기 배출구 밸브(B2)를 통해 상기 여과수의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지는 내부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향해 유체가 흐르게 되며,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를 통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거부재(344)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O1)에서 상기 여과수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더라도 상기 인입구(I)에서는 상기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는데에 반해 상기 필터유닛(200)의 상기 이동홀(H)에 상기 이물질(F)이 밀착되어 상기 여과수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상기 제거부재(344)의 내부로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부재(344)는 회전되는 방향상에서 상기 이물질(F)을 효과적으로 흡입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물질(F)을 두 번에 걸쳐 여과하면서도, 상기 이동홀(H)에 부착된 상기 이물질(F)을 탈락시키도록 상기 회전부(320)를 회전시켜 상기 브러쉬부재(342)에 의해 상기 이물질(F)을 분쇄하고, 상기 제거부재(344)를 통해 상기 이물질(F)을 흡입하여 상기 필터유닛(200)에 부착된 상기 이물질(F)을 효과적으로 탈락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 방류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2를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 방류시시템은 앞서 상술한 여과장치(10), 상기 여과장치(10)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20) 및 상기 판단장치(20)에 의해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는 정화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이물질(F) 및 상기 처리수, 상기 여과수에 대해 설명하자면, 상기 처리수는 일반적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농축산업 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수 및 분뇨, 생활환경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포함하는 오폐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수는 폐수에 포함된 쓰레기나 덩어리진 슬러지가 여과된 상태의 액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F)은 앞서 상술한 쓰레기나 덩어리진 슬러지, 농축산업을 통해 발생되는 오수에 포함된 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여과장치(10)는 앞서 상술한 여러 상기 이물질(F)을 걸러내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고,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수의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판단장치(20)에 의해 하천에 방류되거나 액체비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판단장치(20)는 평소에는 상기 정화장치(30)로 상기 여과수가 지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제한하다가, 상기 비료 성분이 기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에는 액체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판단장치(20)는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변경하여 액체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활용되는 액체비료의 양이 기 설정된 양 이상이 되면,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재 수정하여 상기 정화장치(30)를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상기 정화장치(30)를 향해 이동되게 하기 때문에 상기 정화장치(30)에서는 상기 여과수가 하천에 방류되기 위해 내부에 포함된 비료 성분 혹은 내부 물질의 오염도 등을 센싱하고, 상기 정화장치(30)에서 필터링을 반복하여 하천에 방류 가능한 방류수로 정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장치(20)는 상기 정화장치(30)에 유입되기 이전에 상기 여과수가 필터링되는 횟수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횟수만큼 필터링이 진행되도록 상기 정화장치(30)를 제어하되, 필터링이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상기 비료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방류수에 적합한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수를 상기 방류수로 판단하여 하천에 방류할 수 있는 것이다.
혹은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상기 비료 성분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상기 여과수가 재차 상기 여과장치(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수정하고, 이와 같이 농도의 지나침이 없는 상태에서는 하천에 방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상기 정화장치(30)를 향해 상기 여과수를 이동시키며, 필요에 따라 액체비료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상기 비료 성분의 농도를 파악하여 액체비료를 생산하기 위한 경로로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B1: 인입구 밸브
B2: 배출구 밸브
B3: 슬러지 밸브
F: 이물질
H: 이동홀
I: 인입구
O1: 배출구
O2: 슬러지 배출구
S: 흡입홈
100: 하우징유닛
120: 제1 공간
140: 제2 공간
142: 슬러지 배출공간
160: 개폐부
200: 필터유닛
220: 제1 여과부
240: 제2 여과부
300: 흡입유닛
320: 회전부
322: 결합홈
340: 세척부
342: 브러쉬부재
344: 제거부재

Claims (13)

  1. 처리수가 내부 공간을 통과하며 이물질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로서,
    상기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는 인입구와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유닛;
    상기 인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가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며 상기 이물질이 여과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홀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동홀에서 탈락시키도록 회전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이물질의 일부를 여과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이물질을 여과시켜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인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이물질이 1차적으로 여과되는 제1 여과부; 및
    상기 제1 여과부와 연통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이물질이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 여과부에서 여과되지 않은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 및 상기 제2 여과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을 탈락시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처리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이물질을 분쇄하거나 흡입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과 맞닿아 상기 이물질을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브러쉬부재;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부재에 의해 분쇄되거나 상기 처리수 내부를 부유하는 상기 이물질을 내부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는,
    상기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에 의해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내부로 상기 이물질이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필터유닛의 외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거부재를 통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이물질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상기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10. 이물질이 포함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이물질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 및
    상기 판단장치에 의해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는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정화 방류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장치는,
    상기 여과수가 기 설정된 농도 이하의 비료 성분이 포함되어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한 경우,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상기 정화장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화장치를 통해 상기 여과수가 필터링되어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수로 정수하도록 상기 여과수의 비료 성분 농도에 따라 필터링을 반복하기 위한 기 설정된 횟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방류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장치는,
    필터링을 진행하는 동안 필터링되는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비료 성분의 농도가 방류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화장치가 상기 방류수를 방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방류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장치는,
    상기 여과수에 기 설정된 농도 이상의 비료 성분이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액체비료로 활용하도록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방류시스템.
KR1020210036668A 2021-03-22 2021-03-22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 KR20220131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68A KR20220131690A (ko) 2021-03-22 2021-03-22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68A KR20220131690A (ko) 2021-03-22 2021-03-22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90A true KR20220131690A (ko) 2022-09-29

Family

ID=8346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668A KR20220131690A (ko) 2021-03-22 2021-03-22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16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854B1 (ko) 여과장치
JPH0349607B2 (ko)
CN211097838U (zh) 一种反冲洗过滤器
JP2009045562A (ja) 濾過フイルター式スラッジ脱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957423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정수장치
KR102253769B1 (ko) 정수 처리 시스템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KR101830393B1 (ko) 이물질 제거장치를 갖춘 원형 슬러지 수집설비
KR20220131690A (ko)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
KR200201856Y1 (ko) 드럼필터
KR102351392B1 (ko)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JPS6216125B2 (ko)
KR101301717B1 (ko) 초기 우수의 연속 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KR100762416B1 (ko) 침전상등수용 여과장치
KR100720598B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KR200381733Y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KR100894645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KR20030075348A (ko) 수처리시스템의 입자분리장치
KR200242570Y1 (ko) 오폐수 처리용 여과기
KR20010059504A (ko) 스트레이너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복합식 밸브
JP3947310B2 (ja) 沈澱池
KR100424346B1 (ko) 오폐수 내의 협잡물 제거장치
KR101689151B1 (ko) 폐수 처리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양방향 여과 장치
KR20020085698A (ko) 여과사를 이용한 원수 여과장치
CN115321709B (zh) 一种染整污水循环处理系统及多级水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