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392B1 -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392B1
KR102351392B1 KR1020210036667A KR20210036667A KR102351392B1 KR 102351392 B1 KR102351392 B1 KR 102351392B1 KR 1020210036667 A KR1020210036667 A KR 1020210036667A KR 20210036667 A KR20210036667 A KR 20210036667A KR 102351392 B1 KR102351392 B1 KR 10235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ed
treated water
unit
out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기
Original Assignee
백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기 filed Critical 백용기
Priority to KR102021003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은,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가 포함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오물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수의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 및 상기 판단장치에 의해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는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으로서, 상기 판단장치는, 상기 여과수를 방류하도록 판단한 경우,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상기 정화장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화장치를 통해 상기 여과수가 필터링되어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수로 정수하도록 상기 여과수의 비료 성분 농도에 따라 필터링을 반복하기 위한 기 설정된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여과장치는, 처리수가 내부 공간을 통과하며 오물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여과장치로서, 상기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는 인입구와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유닛, 상기 인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가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며 상기 오물이 여과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홀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상기 이동홀에서 탈락시키도록 회전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오물의 일부를 여과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오물을 여과시켜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며, 상기 인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오물이 1차적으로 여과되는 제1 여과부 및 상기 제1 여과부와 연통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오물이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 여과부에서 여과되지 않은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 및 상기 제2 여과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오물이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PURIFICATION AND DISCHARGE SYSTEM OF SEWAGE AND WASTEWATER GENEATED IN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AREA}
본 발명은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수 또는 폐수에 포함된 오물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여과수를 필터링하면서 방류수로 생산하며, 생산된 방류수는 하천에 방류하고, 일부 여과수를 액체비료로 활용하는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축산업이 이루어지는 지역에서는 축산업에 의한 오수, 생활하수, 농업에 의한 폐수나 오수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오수, 생활하수, 폐수를 정화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지나치게 축적되는 오물과 오물을 걸러내는 필터에 오물이 누적되어 여과효율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하천으로 오물 및 여과과정, 정수과정이 진행된 방류수를 방류하는 것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발생되는 오수, 폐수, 생활하수 등을 재활용함에 있어서 하천으로 방류하기 이전 하천에 방류하기 적합한 수준의 여과과정과 정수과정을 거쳐야하지만 그 과정에서 화학약품의 사용, 제대로 침전 및 여과되지 못한 오물로 인해 지속적으로 하천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하천으로 방류를 진행하게 되면서 여과과정과 정수과정만을 수행하다 보면, 유입되는 오수, 폐수, 생활하수의 양을 모두 처리하기에는 지나치게 방대한 양이 유입되어 오수, 폐수, 생활하수가 누적되며, 이에 따라 정수과정을 거치더라도 깨끗한 방류수를 얻기에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여과과정을 효율을 높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여과, 정수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일부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수 또는 폐수에 포함된 오물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여과수를 필터링하면서 방류수로 생산하며, 생산된 방류수는 하천에 방류하고, 일부 여과수를 액체비료로 활용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은,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가 포함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오물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수의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 및 상기 판단장치에 의해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는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으로서, 상기 판단장치는, 상기 여과수를 방류하도록 판단한 경우,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상기 정화장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화장치를 통해 상기 여과수가 필터링되어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수로 정수하도록 상기 여과수의 비료 성분 농도에 따라 필터링을 반복하기 위한 기 설정된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여과장치는, 처리수가 내부 공간을 통과하며 오물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여과장치로서, 상기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는 인입구와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유닛, 상기 인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가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며 상기 오물이 여과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홀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상기 이동홀에서 탈락시키도록 회전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오물의 일부를 여과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오물을 여과시켜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며, 상기 인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오물이 1차적으로 여과되는 제1 여과부 및 상기 제1 여과부와 연통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오물이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 여과부에서 여과되지 않은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 및 상기 제2 여과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오물이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탈락시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오물에 의해 상기 처리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분쇄하거나 흡입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과 맞닿아 상기 오물을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브러쉬부재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부재에 의해 분쇄되거나 상기 처리수 내부를 부유하는 상기 오물을 내부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재는, 상기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에 의해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내부로 상기 오물이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필터유닛의 외측방향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거부재를 통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오물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상기 오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부의 내부 통로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상기 오물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가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여과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상기 인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는 지속적으로 상기 하우징유닛 내측을 향해 상기 처리수를 주입하고, 지속되는 압력 상승으로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제거부재로 상기 오물, 상기 처리수, 상기 여과수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구, 상기 배출구, 상기 슬러지 배출구에 각각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상기 오물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의 밸브를 통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상기 오물, 상기 처리수, 상기 여과수가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은,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수 또는 폐수에 포함된 오물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여과수를 필터링하면서 방류수로 생산하며, 생산된 방류수는 하천에 방류하고, 일부 여과수를 액체비료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여과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하우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필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필터유닛을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여과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과 필터유닛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제거부재 및 이동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제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시템은 내부의 공간이 형성되어 오물(F)이 포함된 처리수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오물(F)을 여과하는 여과장치(10), 상기 여과장치(10)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20) 및 상기 판단장치(20)에 의해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는 정화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 상기 여과수에 대해 설명하자면, 상기 처리수는 일반적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농축산업 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수, 생활환경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및 생활오수를 포함하는 오폐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수는 폐수에 포함된 쓰레기나 덩어리진 슬러지가 여과된 상태의 액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오물(F)은 앞서 상술한 쓰레기나 덩어리진 슬러지, 농축산업을 통해 발생되는 오수에 포함된 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여과장치(10)는 앞서 상술한 여러 상기 오물(F)을 걸러내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고,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수의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판단장치(20)에 의해 하천에 방류되거나 액체비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판단장치(20)는 평소에는 상기 정화장치(30)로 상기 여과수가 지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제한하다가, 상기 비료 성분이 기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에는 액체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판단장치(20)는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변경하여 액체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활용되는 액체비료의 양이 기 설정된 양 이상이 되면,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재 수정하여 상기 정화장치(30)를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상기 정화장치(30)를 향해 이동되게 하기 때문에 상기 정화장치(30)에서는 상기 여과수가 하천에 방류되기 위해 내부에 포함된 비료 성분 혹은 내부 물질의 오염도 등을 센싱하고, 상기 정화장치(30)에서 필터링을 반복하여 하천에 방류 가능한 방류수로 정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장치(20)는 상기 정화장치(30)에 유입되기 이전에 상기 여과수가 필터링되는 횟수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횟수만큼 필터링이 진행되도록 상기 정화장치(30)를 제어하되, 필터링이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상기 비료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방류수에 적합한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수를 상기 방류수로 판단하여 하천에 방류할 수 있는 것이다.
혹은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상기 비료 성분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상기 여과수가 재차 상기 여과장치(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수정하고, 이와 같이 농도의 지나침이 없는 상태에서는 하천에 방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상기 정화장치(30)를 향해 상기 여과수를 이동시키며, 필요에 따라 액체비료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상기 비료 성분의 농도를 파악하여 액체비료를 생산하기 위한 경로로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누적되지 않도록 상기 여과장치(10)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오물(F)을 여과하면서도, 액체비료 및 방류수로 상기 처리수를 여과 및 정수하여 빠른 활성화 및 재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상기 여과장치(10)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여과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하우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필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상기 여과장치(10)는 처리수가 인입되는 인입구(I)와 상기 오물(F)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O1)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I)에서 상기 배출구(O1)를 향해 상기 처리수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유닛(100), 상기 인입구(I) 및 상기 배출구(O1)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이동홀(H)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가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되며 상기 오물(F)이 여과되는 필터유닛(200) 및 상기 필터유닛(200)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H)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홀에 밀착된 상기 오물(F)을 상기 이동홀(H)에서 탈락시키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오물(F)을 제거하는 흡입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구(I)와 연통되고, 상기 오물(F)이 포함된 처리수가 상기 필터유닛(200) 내측으로 이동되는 제1 공간(120) 및 상기 필터유닛(200)에서 상기 배출구(O1)를 향해 상기 오물(F)이 여과된 여과수가 이동되는 제2 공간(1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유닛(100)에는 내부 부품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간(120)을 개폐하거나 상기 제2 공간(140)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1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 사이에서 상기 오물(F)이 상기 여과수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이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을 구분하는 구분막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120)은 상기 인입구(I)와 연통되어 상기 오물(F)이 포함된 상기 처리수가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구분막에 의해 상기 제2 공간(140)과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간(140)은 상기 배출구(O1)와 연통되어 상기 오물(F)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구분막을 통해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공간(140)은 상기 배출구(O1)를 통해 상기 오물(F)이 여과된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면서도 상기 흡입유닛(300)을 통해 흡입한 상기 오물(F)이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러지 배출공간(142)과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에서는 상기 흡입유닛(300)을 통해 흡입된 상기 오물(F)이 배출되도록 슬러지 배출구(O2)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160)는 상기 제1 공간(120)과 연통되는 일측과 상기 제2 공간(140)과 연통되는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개폐되어 내부 노폐물 제거 및 부품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구(I) 및 상기 배출구(O1) 및 상기 슬러지 배출구(O2)에는 상기 처리수 및 상기 여과수의 공급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밸브(B1, B2, B3)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분막과 상기 필터유닛(200)이 밀착되어 있는 상황에서 압력 또는 수압에 의해 상기 필터유닛(200)의 외측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분막과 상기 필터유닛(200) 사이에는 고무부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입구(I), 상기 배출구(O1), 상기 슬러지 배출구(O2)에는 각각 상기 처리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입구 밸브(B1), 상기 배출구(O1)로 배출되는 상기 여과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배출구 밸브(B2) 및 상기 슬러지 배출구(O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오물(F) 및 상기 여과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상기 슬러지 밸브(B3)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에서 상기 인입구(I) 및 상기 배출구(O1)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120)에서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오물(F) 중 일부를 1차 여과하여 이동되는 제1 여과부(220) 및 상기 제1 여과부(220)와 연통되고, 상기 제2 공간(140) 상에 배치되어 내부의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물(F)이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오물(F)을 여과하는 제2 여과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여과부(220) 및 상기 제2 여과부(240)에는 상기 오물(F)이 여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이동홀(H)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여과부(220) 및 상기 제2 여과부(240)는 메쉬망 형태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여과부(220)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되는 상기 오물(F) 중에서 큰 덩어리를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서로 다른 크기의 상기 이동홀(H)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여과부(240)는 상기 제1 여과부(22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상기 오물(F)의 잔여량을 모두 여과시켜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만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여과부(220)에 형성되는 상기 이동홀(H)보다 좁은 크기의 상기 이동홀(H)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여과부(220)는 상기 제1 공간(120)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H)을 통해 내부로 이동되며 상기 오물(F) 중 일부가 1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고,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여과부(240)는 상기 제1 여과부(220)에서 이동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오물(F)이 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여과부(220)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이동홀(H)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오물(F)이 상기 이동홀(H)에 의해 여과되어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2 공간(140)으로 이동되고,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 즉, 상기 여과수가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처리수는 다수의 상기 오물(F)이 포함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여과수는 상기 제2 여과부(240)에 의해 상기 오물(F)이 여과되어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만이 여과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유닛(3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유닛(200) 내부에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유닛(300)은 상기 필터유닛(200) 내부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320) 및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필터유닛(200) 내측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필터유닛(200)의 상기 이동홀(H)에 밀착된 상기 오물(F)을 상기 이동홀(H)에서 분쇄시키거나 흡입하는 세척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부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일측이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 사이의 구분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개폐부(160)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유닛(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여과부(22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며 외측에 상기 오물(F)이 부착된 상태이므로 내부의 유압만으로는 상기 오물(F)을 탈락시키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여과부(240)의 내측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부(240)의 상기 이동홀(H)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 여과부(220)는 내부로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공간(120)에서 상기 흡입유닛(300)이 회전되면 상기 제1 여과부(22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의 양이 줄어 생산효율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여과부(240)의 내부에서만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320)와 상기 세척부(340)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세척부(34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부(340)가 결합되는 결합홈(322)이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320)에는 추후 상술할 제거부재(342)에서 흡입한 상기 오물(F) 또는 상기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과 연통되는 내부 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부(340)는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부(340)는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오물(F)의 크기를 작은 입자로 분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여과부(240)의 내측과 밀착되는 브러쉬부재(342) 및 회전되면서 상기 오물(F) 또는 상기 처리수를 흡입하는 제거부재(3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러쉬부재(342)는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홀(H)에 밀착된 상기 오물(F)을 상기 이동홀(H)에서 탈락시키거나 상기 오물(F)을 작은 입자로 분쇄시켜 상기 제거부재(344)가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부재(344)는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거부재(344)에서 흡입된 상기 오물(F) 또는 상기 처리수는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이동되고, 음압 또는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거부재(344)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상기 오물(F)이 상기 제거부재(344)의 흡입홈(S)을 통해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거부재(344)를 통해 흡입되는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가 상기 회전부(320)를 통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배출구 밸브(O2)를 차단하고, 상기 제1 공간(120) 및 상기 제2 공간(140)에 지속적으로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상기 처리수를 주입하면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가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를 따라 이동된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는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과 연통된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를 따라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배출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슬러지 밸브(B3)를 개방하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에 위치한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가 상기 슬러지 배출구(O2)를 통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러지 배출구(O2)를 통해 이동된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는 재차 여과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재투입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상기 오물(F)을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침전공간을 경유하여 일부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
앞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반적인 처리과정을 도 6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필터유닛을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여과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과 필터유닛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세척부 및 이동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제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상기 처리수를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로 인입시키면 상기 처리수는 상기 인입구(I)를 통해 상기 제1 공간(120)으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제1 공간(120)에서 상기 제1 여과부(220)의 내측으로 상기 이동홀(H)을 통해 이동되면서 일부 상기 오물(F)이 1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여과부(220)에 형성되는 상기 이동홀(H)에는 상기 오물(F)이 여과되면서 상기 이동홀(H)에 일부 상기 오물(F)이 밀착되면서 상기 제1 여과부(220)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의 양이 줄어들 수 있는데, 이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1 여과부(220)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여과부(240)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1 공간(120)에서 상기 제2 공간(140)으로 직접적으로 이동되며 상기 오물(F)이 상기 여과수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 사이의 상기 구분막을 통해 상기 오물(F)이 상기 여과수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적인 여과과정을 통해 상대적으로 큰 상기 오물(F)을 여과하여 상기 오물(F)이 상기 제2 여과부(240)에 형성되는 상기 이동홀(H)에 다량 밀착되면서 여과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를 풀어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여과부(220)에서는 외측에 상기 오물(F)이 누적되어 상기 오물(F)을 여과하며, 상기 제2 여과부(240)에서는 내측에 상기 오물(F)이 누적되며 상기 오물(F)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여과부(220) 내부로 이동된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2 여과부(240)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여과부(220)와 상기 제2 여과부(240) 사이에는 상기 구분막이 구비되지 않아 상기 제1 여과부(220)에서 1차적으로 여과된 상기 처리수만 상기 제2 여과부(240)로 이동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여과부(220)와 상기 제2 여과부(240) 사이에 별도의 제3 여과부가 구비되어 상기 오물(F)을 추가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여과부(240)로 이동된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물(F)이 상기 제2 여과부(240)의 이동홀(H)을 통해 여과되고, 결과적으로 유체상태의 상기 처리수만 상기 배출구(O1)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처리과정 및 여과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이동홀(H)에는 다량의 상기 오물(F)이 밀착되어 여과효율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320)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홀(H)에서 상기 오물(F)을 탈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제거부재(344)는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측과 맞닿아 상기 필터유닛(20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유닛(200)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앞서 상술한 바를 통해 상기 제거부재(344)는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소정거리 이격된 틈새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를 흡입하면서도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여과부(24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하자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20)가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부재(342)는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게 되고,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측과 맞닿아 상기 필터유닛(200)의 내측에 밀착된 상기 오물(F)을 작은 입자로 분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처리수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부재(344)을 통해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물(F)이 상기 이동홀(H)에서 탈락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340)는 상기 회전부(3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서로 다른 선상에 구비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거부재(344)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홈(322)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제2 여과부(24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홈(S)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부재(344)의 타단부에는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홈(S)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흡입홈(S)은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가 상기 회전부(320)를 통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상기 처리수를 인입시키는 상기 인입구(I)와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상기 배출구(O1) 중에서 상기 입입구(I)는 지속적으로 상기 처리수를 공급하지만 상기 배출구(O1)는 상기 배출구 밸브(B2)를 통해 상기 여과수의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지는 내부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향해 유체가 흐르게 되며, 상기 회전부(320)의 내부 통로를 통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142)으로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거부재(344)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O1)에서 상기 여과수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더라도 상기 인입구(I)에서는 상기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는데에 반해 상기 필터유닛(200)의 상기 이동홀(H)에 상기 오물(F)이 밀착되어 상기 여과수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하우징유닛(1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상기 제거부재(344)의 내부로 상기 오물(F) 및 상기 처리수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부재(344)는 회전되는 방향상에서 상기 오물(F)을 효과적으로 흡입하도록 도 12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오물(F)을 두 번에 걸쳐 여과하면서도, 상기 이동홀(H)에 부착된 상기 오물(F)을 탈락시키도록 상기 회전부(320)를 회전시켜 상기 브러쉬부재(342)에 의해 상기 오물(F)을 분쇄하고, 상기 제거부재(344)를 통해 상기 오물(F)을 흡입하여 상기 필터유닛(200)에 부착된 상기 오물(F)을 효과적으로 탈락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B1: 인입구 밸브
B2: 배출구 밸브
B3: 주입구 밸브
F: 오물
H: 이동홀
I: 인입구
O: 배출구
S: 흡입홈
10: 여과장치
20: 판단장치
30: 정화장치
100: 하우징유닛
120: 제1 공간
140: 제2 공간
142: 압축공간
160: 개폐부
180: 주입구
200: 필터유닛
220: 제1 여과부
240: 제2 여과부
300: 흡입유닛
320: 회전부
322: 결합홈
340: 세척부
342: 브러쉬부재
344: 제거부재

Claims (3)

  1.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가 포함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오물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수의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 및 상기 판단장치에 의해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는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으로서,
    상기 판단장치는, 상기 여과수를 방류하도록 판단한 경우,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상기 정화장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화장치를 통해 상기 여과수가 필터링되어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수로 정수하도록 상기 여과수의 비료 성분 농도에 따라 필터링을 반복하기 위한 기 설정된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여과장치는, 처리수가 내부 공간을 통과하며 오물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여과장치로서, 상기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는 인입구와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유닛, 상기 인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가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며 상기 오물이 여과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홀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상기 이동홀에서 탈락시키도록 회전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오물의 일부를 여과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오물을 여과시켜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며, 상기 인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오물이 1차적으로 여과되는 제1 여과부 및 상기 제1 여과부와 연통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오물이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 여과부에서 여과되지 않은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 및 상기 제2 여과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오물이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탈락시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오물에 의해 상기 처리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분쇄하거나 흡입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과 맞닿아 상기 오물을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브러쉬부재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부재에 의해 분쇄되거나 상기 처리수 내부를 부유하는 상기 오물을 내부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거부재는,
    상기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에 의해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내부로 상기 오물이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필터유닛의 외측방향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브러쉬 부재에 의해 분쇄된 상기 오물도 함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서 회전하는 개방된 일부분의 길이가 뒤따라서 회전하는 개방된 타부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거부재를 통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오물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상기 오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부의 내부 통로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상기 오물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가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여과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상기 인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는 지속적으로 상기 하우징유닛 내측을 향해 상기 처리수를 주입하고, 지속되는 압력 상승으로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제거부재로 상기 오물, 상기 처리수, 상기 여과수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구, 상기 배출구, 상기 슬러지 배출구에 각각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상기 오물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의 밸브를 통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상기 오물, 상기 처리수, 상기 여과수가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방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036667A 2021-03-22 2021-03-22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KR10235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67A KR102351392B1 (ko) 2021-03-22 2021-03-22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67A KR102351392B1 (ko) 2021-03-22 2021-03-22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392B1 true KR102351392B1 (ko) 2022-01-13

Family

ID=7934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667A KR102351392B1 (ko) 2021-03-22 2021-03-22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3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43A (ko) * 1999-12-16 2000-03-06 지은상 축산폐수처리방법
KR20110119225A (ko) * 2010-04-27 2011-11-02 (주)클린솔루션 필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폐 슬러지 정제 방법
KR102046694B1 (ko) * 2017-08-22 2019-11-19 주식회사 영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43A (ko) * 1999-12-16 2000-03-06 지은상 축산폐수처리방법
KR20110119225A (ko) * 2010-04-27 2011-11-02 (주)클린솔루션 필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폐 슬러지 정제 방법
KR102046694B1 (ko) * 2017-08-22 2019-11-19 주식회사 영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854B1 (ko) 여과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KR100518805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2351392B1 (ko)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KR100343198B1 (ko) 드럼필터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0926078B1 (ko) 오수정화장치
JPS6216125B2 (ko)
KR20220131690A (ko)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
KR20160090599A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10059504A (ko) 스트레이너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복합식 밸브
KR20030075348A (ko) 수처리시스템의 입자분리장치
RU2232618C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0242570Y1 (ko) 오폐수 처리용 여과기
KR100293903B1 (ko) 유입유로 변경에 의한 역세척방법 및 여과장치
RU213877U1 (ru) Блок до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RU209470U1 (ru) Комби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KR100424346B1 (ko) 오폐수 내의 협잡물 제거장치
CN115321709B (zh) 一种染整污水循环处理系统及多级水池
KR100894645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WO2024070864A1 (ja) 水処理装置
KR100194329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0142996B1 (ko) 역 세척이 가능한 폐수의 여과 처리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