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092A - 곡면 경계판 구조체 - Google Patents

곡면 경계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092A
KR20220131092A KR1020210036207A KR20210036207A KR20220131092A KR 20220131092 A KR20220131092 A KR 20220131092A KR 1020210036207 A KR1020210036207 A KR 1020210036207A KR 20210036207 A KR20210036207 A KR 20210036207A KR 20220131092 A KR20220131092 A KR 2022013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bent part
curved
bent portion
curved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훈
이승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엔씨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엔씨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엔씨플랜
Priority to KR102021003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092A/ko
Publication of KR2022013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이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 끝단에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여 절곡부를 형성하여, 끝단 날카로움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곡면 경계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면 경계판 구조체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곡면 형태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각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베이스판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판과 결합하며,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상기 베이스판의 곡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별도의 부재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면 경계판 구조체{Structure of curved boundary plate}
본 발명은 곡면 경계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 곡면 경계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화단은 꽃이나 수목 등을 심기 위한 장소로 공원, 광장, 도로변, 학교 및 유원지 그리고 개인 주택 등에 주로 조성되어 진다. 통상 화단은 화단 이외의 다른 부분과 구분하기 위해서 테두리에는 설치되는 경계석 또는 울타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울타리나 경계석은 화단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미관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토사를 지표면보다 높이 쌓아 올리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경계석이 화단의 경계 또는 미적 기능과 더불어 유수 등에 의해 토사가 흘러내려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므로, 적절한 높이와 경계석들도 서로 밀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조경석을 채취하여 화단 둘레에 쌓아 올림으로써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화단 경계석으로 이용하였으나, 석재의 채취로 인해 환경이 훼손되기 쉽고, 또한 채취할 수 있는 조경석의 개수도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멘트, 석고재, 석분말 등의 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일정한 틀에 넣고 건조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생산한 인조석을 화단의 경계석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경계석은 그 형상이 일정하여 쌓아올리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용이하며 그 표면에 원하는 형상의 문양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인조 화단 경계석을 화단 둘레를 따라 배치하거나 쌓아 올릴 때 경계석이 유실되거나 허물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몰탈과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경계석 상호 간을 접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전체 현장 자체에서 필요한 길이 및 크기로 시공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기능을 갖는 경계석의 구성들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 제20013-0005332호에 개시된, 화단의 높이가 보도보다 높아 비가 오거나 낙엽이 쌓일 경우 경계석을 넘어 보도에 흙이나 낙엽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경계석 본체 상부의 한쪽편에 방지턱을 만들어 흙이나 낙엽 등이 쉽게 보도쪽으로 넘치는것을 방지하는 경계석을 들 수 있다.
한편, 근래에는 화단의 경계부분을 석재가 아닌 철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건물 옥상에 화단을 설치하는 경우는 석재 대신 상대적으로 가벼운 철재를 이용하여 경계부분을 시공한다.
또한 상기 철재는 표면에 산화에 의하여 변색되며, 상기와 같인 산화된 색이 레토로적인 미감을 발휘하여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으나, 종래 철재 경계블럭의 경우에는 단순히 철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강인하고,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형상의 경계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의 안전성을 높인 새로운 형태의 곡면 경계판 구조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순한 구조이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 끝단에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여 절곡부를 형성하여, 끝단 날카로움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곡면 경계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면 경계판 구조체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곡면 형태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각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베이스판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판과 결합하며,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상기 베이스판의 곡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별도의 부재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베이스판 상단과 용접 결합하는 수평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절곡부에 수직 하방향으로 결합하는 수직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판은 지면과의 지지력 향상과 강성 증가를 위하여 하단에 부착되는 수평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판 상단과 상기 수평절곡부의 하면이 용접결합하고, 상기 수평절곡부의 하면과 상기 수직절곡부의 상단이 용접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과 상기 수평절곡부의 일끝단과 용접결합하고, 상기 수평절곡부의 타끝단과 수직절곡부의 측면과 용접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절곡부와 상기 수직절곡부는 상기 베이스판 중 연결부가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 경계판 구조체는 곡면 베이스판 끝단에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수평절곡부를 용접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부착하고, 추가적으로 수평절곡부에는 역시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수직절곡부를 용접에 의하여 부착하여 베이스판의 끝단에 절곡부를 구성하여, 정교한 곡률을 갖는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절곡부가 오랜 시간 변형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며, 전체 구조체의 강성이 증가되며, 또한 곡면 형상에 관계없이 베이스판에 공간 형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끝단 날카로움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 경계판 구조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곡면 베이스의 일예들이며,
도 3은 도 3은 평판형태의 절곡부의 일예들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 경계판 구조체 중 수평절곡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 경계판 구조체 중 수직절곡부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7은 도 4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 경계판 구조체 중 베이스와 수평절곡부와 수직절곡부의 결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수평절곡부에 형성된 끝단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 경계판 구조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강판 재질로 구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판(10), 상기 베이스판(10)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부(20), 상기 베이스판(10) 각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부(30) 및 상기 베이스판(10) 상단에 형성되는 절곡부(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0)은 설치 시 실제 경계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판 형태의 구성에서 가공을 통하여 적절한 곡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곡면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원호 형태 또는 'S'자와 같은 이중 원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평면에서 가공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곡면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는 이웃하는 다른 베이스판(10)과의 연결 고정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판(10)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 등의 결합을 위한 볼트홀들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모서리에는 안전과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모따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볼트홀에는 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구성을 측면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홀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 이외에 연결부(70)에 형성된 부재들의 끼움에 의하여 결합하는 방식 등도 적용될 수 있어, 두개의 베이스판(10)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이면 이떠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이면서, 상기 연결부(30)에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방식 이외에 구조체(100)를 바닥에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절곡부(40)는 베이스판(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끝단의 날카로움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평면 형태의 베이스판(1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로 절곡하는 접힘 절곡과 상단에 적절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90도로 단일 절곡하거나 이중으로 연속하여 절곡하는 공간 절곡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접힘 절곡의 경우에는 곡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초기 평판 형태의 베이스판(10)의 끝단을 접힘 절곡한 후, 곡면으로 베이스판(10)을 가공하는 경우, 곡면 베이스판(10)에서 적용 가능하나, 공간 절곡의 경우에는 곡면 베이스판(10)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 경계판 구조체(100)는 곡면 형태의 베이스판(10)의 끝단에 공간 절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베이스판(10) 상단에 상기 베이스판(10)의 곡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별도의 부재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절곡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 경계판 구조체(100)의 절곡부(40) 중 단일 절곡부를 갖는 공간 절곡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태의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과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단에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되는 수평절곡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0)은 곡면 형태로 가공이 완료된 상태이며, 지지부(20)와 연결부(30)가 형성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였다.
상기 수평절곡부(50)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판(10)의 곡면 형상과 동일하며, 일정한 폭으로 구성되는 평판 구성이 바람직하나, 미감적 측면에서 폭의 크기는 길이 방향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다.
즉, 적어도 베이스판(10)와 결합되는 일측면은 상기 베이스판(10)의 곡면과 동일하게 구성한다.
상기 수평절곡부(50)의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단과 연속하여 부착되며, 상기 수평절곡부(50)와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단은 용접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접 시에는 하방향으로 용접을 실시하여 용가재 등에 의하여 돌출되는 용접비드 등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미감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상기 수평절곡부(50)는 상기 베이스판(10)과 곡면과 곡면이 접촉하는 형태이므로, 서로 수직으로 접촉하는 것이 접촉력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절곡부(50)는 이웃하는 수평절곡부(50)와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양끝단이 서로 정확히 일치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형태로 사전에 설정한다.
한편, 필요한 경우 상기 수평절곡부(50)의 타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절곡부(60)가 하방향으로 부착된다.
상기 수직절곡부(60)의 부착 역시 용접 등에 의하여 수행되며, 용접부가 하면에서 진행하여 용접 비드 등의 외면 노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절곡부(60)는 상기 베이스판(10)과 동일한 곡면의 형태로 구성하나, 수평절곡부(50)의 폭이 길이 방향으로 달리 구성되는 경우에는 결합되는 수평절곡부(50)의 타측면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말단부(61)의 구성에 따라 곡면 형태의 베이스판(10)에서도 공간 절곡으로 구성되는 절곡부(40)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절곡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의 반대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는 상기 수평절곡부(50) 내부에 엘이디와 같은 조명 장치 등과 같이 부가적인 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평절곡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하면에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0)의 하단에 형성된 수평절곡부(50)는 지면을 지지하는 역할과 동시에 베이스판(10)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베이스판(10)과 수평절곡부(50) 및 수직절곡부(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상단과 수직절곡부(60)의 상단이 수평절곡부(50)의 하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용접을 수행하는 것이 용접부가 절곡부(40)의 상단으로 노출되지 않아 가공적 측면과 미감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필요한 경우,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측면과 수평절곡부(50)의 일끝단이 접촉하는 형태로, 그리고 수평절곡부(50)의 타끝단과 수직절곡부(60)의 측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식은 용접 부분이 상하면으로 노출되는 용접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사전 설계없이 양산형 제품으로 곡면 경계판 구조체(100)를 제조하는 경우에, 상기 수평절곡부(50)의 양끝단에 형성된 끝단부(51)는 서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의 접선 중 내측 방향의 각도 a만큼 경사지게 형성한다.
특히 a가 90도인 경우에는 두개의 곡면 경계판 구조체(100)를 연결하는 경우 서로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a를 30도 내지 70도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겨서 30도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끝단부(51)의 영역이 너무 크져서 불리하고, 70도를 초과하는 경우, 곡률이 일정 수준 이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여 부적절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 경계판 구조체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베이스판 20: 지지부
30: 연결부 40: 절곡부
50: 수평절곡부 51: 끝단
60: 수직절곡부 100: 곡면 경계판 구조체

Claims (7)

  1. 곡면 경계판 구조체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곡면 형태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각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베이스판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판과 결합하며,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상기 베이스판의 곡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별도의 부재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경계판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베이스판 상단과 용접 결합하는 수평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경계판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절곡부에 수직 하방향으로 결합하는 수직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경계판 구조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지면과의 지지력 향상과 강성 증가를 위하여 하단에 부착되는 수평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경계판 구조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상단과 상기 수평절곡부의 하면이 용접결합하고, 상기 수평절곡부의 하면과 상기 수직절곡부의 상단이 용접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경계판 구조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과 상기 수평절곡부의 일끝단과 용접결합하고, 상기 수평절곡부의 타끝단과 수직절곡부의 측면과 용접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경계판 구조체.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곡부와 상기 수직절곡부는 상기 베이스판 중 연결부가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경계판 구조체.
KR1020210036207A 2021-03-19 2021-03-19 곡면 경계판 구조체 KR20220131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207A KR20220131092A (ko) 2021-03-19 2021-03-19 곡면 경계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207A KR20220131092A (ko) 2021-03-19 2021-03-19 곡면 경계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092A true KR20220131092A (ko) 2022-09-27

Family

ID=8345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207A KR20220131092A (ko) 2021-03-19 2021-03-19 곡면 경계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10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US3662985A (en) Reusable concrete form alignment device
KR102171690B1 (ko) 화단용 경계판
KR20220131092A (ko) 곡면 경계판 구조체
KR100800604B1 (ko) 은폐된 보강구성을 갖는 가로등
US6293046B1 (en) Landscape edging
KR102277077B1 (ko) 화단용 곡면 경계판
KR101960696B1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KR102291683B1 (ko) 경계판을 이용한 화단 경계면 시공 방법
KR20180133758A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지주와 프레임의 연결 구조
JP3047063U (ja) アンカーパイル
CN204626915U (zh) 一种大跨度大截面桁架跨内组装支架平台
CN2491517Y (zh) 地板可升起的移动房屋
CN205804999U (zh) 预制装配式建筑塔吊的连接结构
KR20240041708A (ko) 경계판 고정 구조체
KR102185075B1 (ko) 겹침조립 용이성이 증대된 건식 및 습식 시공용 이형 암기와
JPH03156076A (ja) エアードーム用基礎構造
KR101271666B1 (ko)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JP6768171B1 (ja) ビニールハウス
KR102365828B1 (ko) 디자인형 울타리
JP3995950B2 (ja) 屋上工作物設置用基礎枠
CN206707341U (zh) 一种凉亭基座
KR20100008380U (ko) 이동식 원두막 구조
JP3001672U (ja) 墓用外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