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925A -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 - Google Patents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9925A KR20220129925A KR1020210034860A KR20210034860A KR20220129925A KR 20220129925 A KR20220129925 A KR 20220129925A KR 1020210034860 A KR1020210034860 A KR 1020210034860A KR 20210034860 A KR20210034860 A KR 20210034860A KR 20220129925 A KR20220129925 A KR 202201299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meter reading
- anchoring bar
- bar
- measu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소정의 구조물을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 있어서, 콘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 중심에서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구멍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 중심에서 일단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구멍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제2구멍과,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 사이를 구분지으면서 중앙에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을 연결시키는 연통홀이 마련된 격벽부를 포함하는 매립콘; 및 일부는 상기 매립콘의 제1구멍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구멍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벽 내에 매립된 고정판에 결합될 수 있는 앵커링바;를 포함하는 앵커조립체와, 상기 매립콘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검침수단은, 상기 매립콘의 제2구멍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여 앵커링바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앵커링바가 상기 제1구멍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검침수단과 함께 상기 매립콘 내부에 삽입되어 제1구멍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어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내시경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 또는 클라이밍 시스템과 같은 소정의 구조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앵커조립체의 안전성을 쉽고 편하게 검침할 수 있는 검침장치 및 검침방법에 대한 것이다.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건물의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외벽에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외벽 작업을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외벽에 커튼월 등과 같은 외벽 마감재를 설치하거나, 클라이밍 시스템 폼(Climbing System Form) 및 유압인양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벽 마감용 작업대 또는 클라이밍 시스템 폼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들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해야 한다. 콘크리트 외벽 고정장치의 일례로서, 앵커조립체가 있다.
앵커조립체에서 매립콘에는 소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립콘의 구멍의 일측으로는 앵커링바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콘볼트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매립콘의 구멍 중앙에는 격벽이 마련되어 있어서 앵커링바가 삽입되는 구멍과 콘볼트이 삽입되는 구멍을 서로 구분짓게 되어 있다. 콘볼트가 끼워진 후에는 그 콘볼트에 갱폼 또는 클라이밍 시스템과 같은 소정의 구조물이 걸려고정됨으로서 상기 앵커조립체가 외벽에 배치된 소정의 구조물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매립콘은 콘볼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매립콘은 앵커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된 앵커링바에 의하여 외력에 견디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시공과정에서 매립콘과 앵커링바의 결합을 확실하게 하지 않는 경우 또는 작업자가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앵커링바를 분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콘볼트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게 되면 매립콘이 콘트리트 벽체에서 이탈되어 갱폼이 낙하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갱폼의 낙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2071478호를 통하여 매립콘과 앵커링바의 결합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검침수단을 제안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검침수단(160)은, 상기 상기 매립콘(130)의 제2구멍(133)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연통홀(135)을 통과하여 앵커링바(140)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앵커링바(140)가 상기 제2구멍(133)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침수단(160)은, 상기 연통홀(135)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측정바(161)와, 상기 측정바(161)의 중앙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정바(161)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지시부(162)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매립콘 내에 검침수단을 삽입한 후에 앵커링바가 매립콘 내에 충분하게 삽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되어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작업자가 앵커링바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수행하게 되면 매립콘 내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되는 경우가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콘 내부에 앵커링바가 결합되어야 할 부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되는 일이 있는데, 이때 작업자가 검침수단을 매립콘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매립콘 내에 채워진 콘크리트를 앵커링바로 잘못 인식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앵커링바가 아닌 콘크리트만이 매립콘 내에 채워진 경우에는 매립콘에 큰 하중이 가해졌을 때 콘크리트는 매립콘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큰 인명피해의 우려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매립콘과 앵커링바의 결합상태를 쉽게 확인함으로서 앵커조립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검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는, 소정의 구조물을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소정의 구조물을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 있어서,
콘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 중심에서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구멍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 중심에서 일단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구멍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제2구멍과,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 사이를 구분지으면서 중앙에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을 연결시키는 연통홀이 마련된 격벽부를 포함하는 매립콘; 및 일부는 상기 매립콘의 제1구멍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구멍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벽 내에 매립된 고정판에 결합될 수 있는 앵커링바;를 포함하는 앵커조립체와,
상기 매립콘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검침수단은,
상기 매립콘의 제2구멍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여 앵커링바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앵커링바가 상기 제1구멍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검침수단과 함께 상기 매립콘 내부에 삽입되어 제1구멍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어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내시경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서,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연통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측정바와,
상기 측정바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정바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정바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지시부와,
상기 지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사용자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시부의 일단과 매립콘의 상대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삽입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서,
상기 내시경수단은,
영상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수단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수단은 상기 측정바의 단부에 상기 카메라 유닛이 위치할 수 있도록 측정수단의 중앙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서,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는,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서,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는, 통신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본체가 마련되며,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서,
상기 중앙홀에서 측정바의 단부에는, 카메라 유닛이 측정바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단부에는 둘레를 감싸는 탄성링이 형성되어 있어서 앵커링바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는, 소정의 구조물을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 있어서,
콘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 중심에서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구멍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 중심에서 일단을 향하여 연장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멍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제2구멍과,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 사이를 구분지으면서 중앙에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을 연결시키는 연통홀이 마련된 격벽부를 포함하는 매립콘; 및 일부는 상기 매립콘의 제1구멍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구멍과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벽 내에 매립된 고정판에 결합될 수 있는 앵커링바;를 포함하는 앵커조립체와,
상기 매립콘의 제2구멍을 통하여 삽입되고 연통홀을 통과하여 앵커링바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앵커링바가 상기 제1구멍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잎깊이를 측정함과 동시에, 제1구멍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침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서,
상기 검침수단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과,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형성되는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와 매립콘의 상대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삽입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성 검침방법은, 앵커조립체의 안전성을 검침하기 위한 안전성 검침방법으로서,
측정수단 내부에 내시경수단을 삽입하는 검침수단 준비단계;
상기 매립콘의 제2구멍에 검침수단을 삽입한 후에 내시경수단에 의하여 제1구멍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제1삽입단계;
상기 검침수단의 단부가 앵커링바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검침수단을 연통홀을 통과시킨 후에 제1구멍 내에 삽입하는 제2삽입단계;
상기 검침수단이 매립콘 내에 삽입된 깊이를 측정하여 앵커링바가 제1구멍 내에 삽입된 삽입깊이를 확인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침방법에서, 제1삽입단계와, 제2삽입단계의 사이에는, 내시경수단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통신장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매립콘 내부에 삽입된 앵커링바의 존재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매립콘의 격벽부에 마련된 연통홀을 통과하여 앵커링바의 단부에 접촉하면서 매립콘과 앵커링바의 결합안전성을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앵커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매립콘 내에 콘크리트가 채워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측정수단과 내시경수단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안전성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매립콘 내에 앵커링바가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앵커조립체의 내시경장치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검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매립콘 내에 콘크리트가 채워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측정수단과 내시경수단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안전성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매립콘 내에 앵커링바가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앵커조립체의 내시경장치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검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블럭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1) 및 검침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성 검침장치(10)는, 갱폼 또는 클라이밍 시스템와 같은 소정의 구조물을 외벽(C)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조립체(20)의 매립콘(30)에 앵커링바(40)가 충분하게 삽입되어 안전적으로 결속되어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이다.
상기 앵커조립체(20)는, 매립콘(30), 앵커링바(40)을 포함한다.
상기 매립콘(30)은, 몸체부(31), 제1구멍(32), 제2구멍(33), 격벽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1)는 일단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콘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부(31)의 타단에는 컵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구멍(32)은 상기 몸체부(31)의 일단 중심에서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몸체부(31)의 일단 중심에서 몸체부(31)의 중앙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1구멍(32)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앵커링바(40)가 나사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구멍(33)은 상기 몸체부(31)의 타단 중심에서 일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구멍(33)은 몸체부(31)의 타단 중심에서 몸체부(31)의 중앙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경이 상기 제1구멍(3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2구멍(33)은 외벽(C)에 매립된 상태에서도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멍이다. 상기 제1구멍(32)과 제2구멍(33)은 몸체부(31)의 중심과 동일축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2구멍(33)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콘볼트(미도시)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격벽부(34)는, 상기 제1구멍(32)과 제2구멍(33) 사이를 구분짓는 것으로서 원판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격벽부(34)의 중앙에는 상기 제1구멍(32)과 제2구멍(33)을 연결시키는 연통홀(35)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격벽부(34)는 상기 몸체부(31)의 중앙에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격벽부(34)에 의하여 상기 제1구멍(32)과 제2구멍(33)이 서로 구분되도록 막히게 되며 격벽부(34)에 의하여 앵커링바(40)가 상기 제2구멍(33) 내에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연통홀(35)은 상기 제1구멍(32) 및 제2구멍(3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제2구멍(33)에 삽입된 앵커링바(40)는 연통홀(35)을 통과하여 상기 제1구멍(32) 내에 진입함으로서 제1구멍(32) 내에 체결된 앵커링바(40)의 선단과 접촉된다. 즉, 격벽부(34)는 제1구멍(32)과 제2구멍(33)을 서로 구분짓되, 연통홀(35)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매립콘(30) 내에 삽입된 앵커링바(40)의 삽입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검침수단(60)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앵커링바(40)는, 일부는 상기 매립콘(30)의 제1구멍(32)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구멍(32)과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벽(70) 내에 매립된 고정판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긴 소정의 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된 바로서, 일단은 고정판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매립콘(30)의 제1구멍(32) 내에 삽입되어 상기 매립콘(30)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앵커링바(40)는 외벽(70) 내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판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타측이 매립콘(30)에 결합됨으로서 매립콘(30)이 외벽(7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앵커링바(40)의 타측에는 소정의 표식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표식까지 매립콘(30)에 삽입되었을 때 안전성을 확보하는 충분한 깊이까지 매립콘(30) 내에 삽입된 것을 표시하게 한다. 작업자는 앵커링바(40)를 매립콘(30) 내에 삽입할 때 상기 앵커링바(40)의 표식이 있는 부분까지 깊게 매립콘(30) 내에 결합함으로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깊이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미도시)은, 원판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중앙에는 소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앵커링바(40)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앵커링바(40)가 고정되도록 결합한다.
이러한 고정판은 외벽(70)내에 삽입되었을 때 외벽(70) 내에 고정되어 앵커링바(40)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은 종래의 앵커 플레이트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검침수단(50)은, 매립콘(30) 내에 앵커링바(40)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검침수단(50)은, 측정수단(60)과, 내시경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수단(60)은, 상기 매립콘(30)의 제2구멍(33)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연통홀(35)을 통과하여 앵커링바(40)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앵커링바(40)가 상기 제1구멍(32)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측정수단(60)은, 매립콘(30)의 제2구멍(33)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연통홀(35)을 통과하여 제1구멍(32) 내에 삽입된 앵커링바(40)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앵커링바(40)가 상기 제2구멍(33)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정수단(60)은, 상기 연통홀(35)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측정바(61)와, 상기 측정바(61)의 중앙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정바(61)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지시부(6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바(61)는, 상기 연통홀(35)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2구멍(33)을 통과한 상태에서 연통홀(35)을 지나서 상기 제1구멍(3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측정바(61)가 연통홀(35)을 지나서 앵커링바(40)의 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지시부(62)는, 측정바(61)의 중앙에 배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경이 확대된 부분으로서 이러한 지시부(62)는 일반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원추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지시부(62)가 매립콘(30)의 제2구멍(33)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전방 외경은 작고 뒤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진입이 용이하고 진입한 후에는 외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이 존재하여 진입후 중심을 유지하면서 검침부(61)의 선단이 연통홀(35)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시부(62)의 타단은 앵커링바(40)의 삽입위치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시부(62)의 타단이 매립콘(30)의 입구부와 동일한 위치에 놓이는 것을 안전적인 표준 삽입으로 규정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가 앵커링바(40)를 올바른 위치까지 삽입한 경우에는 상기 지시부(62)가 매립콘(30)의 입구부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게 한다. 만약 작업자가 앵커링바(40)를 깊게 삽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시부(62)의 타단까지 매립콘(30)의 제2구멍(33) 내에 깊게 삽입되어 버리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부적절한 결합으로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부(63)는, 지시부(6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지시부(62)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있게 된다.
상기 측정수단(60)의 내부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하는 중앙홀(64)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중앙홀(64)은 측정바(61)의 단부 중앙에서 지시부(62)를 거쳐서 손잡이부(63)의 단부 중앙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측정바(61)의 단부와 손잡이부(63)의 단부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중앙홀(64)에는 내시경수단(70)이 삽입되며 내시경수단(70)은 중앙홀(64)에 삽입되며 측정수단(60)과 함께 매립콘(30) 내에 진입하여 앵커링바(40)가 매립콘(30)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시경수단(70)은, 상기 검침수단(50)과 함께 상기 매립콘(30) 내부에 삽입되어 제1구멍(32) 내에 앵커링바(40)가 삽입되어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내시경수단(70)은, 케이블(71), 카메라 유닛(72) 및 디스플레이부(7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71)은 관찰 대상의 좁고 깊은 작은 틈에서 쉽게 삽입되어 시각적으로 앵커링바(40)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케이블(71)의 일단에는 카메라 렌즈(721)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본체(8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가 마련된다.
상기 카메라 유닛(72)은 케이블(71)이 삽입된 대상의 영상을 얻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 유닛(72) 내에는, 카메라 렌즈(721)와 연결된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유닛(72)은 케이블(71)의 타단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721)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렌즈(721)는 8mm 직경의 초소형 카메라 렌즈(721)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는 선명한 화질을 위한 HD급 CMOS 센서일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카메라 화질이 중요하므로, 본 발명은 HD급의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고화질 카메라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근접 접사 렌즈가 카메라 렌즈(721)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수단(70)의 케이블(71)을 관찰 대상에 삽입하여 어둡고 좁은 틈도 쉽게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의 폭 및 크기가 작을 필요가 있다. 또한, 작은 틈에 카메라를 삽입해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사물에 근접해서 촬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721)는 5cm 이내의 초근접 접사 렌즈일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렌즈(721)는 넓은 시야 확보를 위한 140도(°) 광각 카메라 렌즈(72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72)은 탈착 가능 카메라가 교체방식으로 개발될 수 있어서, 접사뿐만 아니라 광각 카메라를 교체 탑재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광각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 유닛(72)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접사 렌즈 및 광각 렌즈 외에도, 산업현장의 용도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 렌즈(721)를 구비한 카메라 유닛(72)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현장의 환경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선택해서 교체 가능하므로, 내시경 수단에서도 상황에 맞는 카메라 유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업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렌즈(721)의 주변에는 led 조명(722)이 카메라 렌즈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led 조명(722)은 매립콘 내부가 어두운 경우 주변을 밝게 하여 앵커링바(40)의 존재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3)는 디스플레이를 가진 사용자 단말이다. 실시예에서는 스마트기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전용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앵커조립체(20)의 검침장치를 이용한 검침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침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측정수단(60) 내부에 내시경수단(70)을 삽입하는 검침수단 준비단계;와, 상기 매립콘(30)의 제2구멍(33)에 검침수단(50)을 삽입한 후에 내시경수단(70)에 의하여 제1구멍(32) 내에 앵커링바(40)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제1삽입단계;와, 상기 검침수단(50)의 단부가 앵커링바(40)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검침수단(50)을 연통홀(35)을 통과시킨 후에 제1구멍(32) 내에 삽입하는 제2삽입단계;와, 상기 검침수단(50)이 매립콘(30) 내에 삽입된 깊이를 측정하여 앵커링바(40)가 제1구멍(32) 내에 삽입된 삽입깊이를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한다.
검침수단 준비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 내에 매립된 매립콘(30) 내에 검침수단(50)을 삽입하기 전에 측정수단(60) 내부에 내시경수단(70)을 삽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수단(60)의 중앙홀(64) 내에 내시경수단(70)을 삽입하며 카메라 유닛(72)의 단부가 측정수단(60)의 단부에 삽입될 때까지 충분하게 깊게 내시경수단(70)을 측정수단(60) 내에 삽입한다.
상기 제1삽입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검침수단(50)을 제2구멍(33) 내에 삽입한 후에, 내시경수단(70)에 의하여 제1구멍(32) 내에 앵커링바(40)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내시경수단(70)의 단부에는 카메라 렌즈(721)가 마련되어 있어서 카메라 렌즈(721)가 근접으로 제1구멍(32) 내부를 볼 수 있게 한다. 필요하면 led 조명을 동작시켜 제1구멍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작업자는 제2구멍(33) 내에 삽입된 카메라 렌즈(721)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73)로 보면서 제1구멍(32) 내부에 앵커링바(40)가 존재하는지 또는 콘크리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앵커링바(40)는 금속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단부에 별도의 표식(노란색)이 있어서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73)를 통하여 제1구멍(32) 내부를 보면서 제1구멍(32) 내부에 앵커링바(40)가 존재하지는 또는 콘크리트만 채워져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2삽입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침수단(50)을 제2구멍(33)을 통과하고 연통홀(35)을 지나서 제1구멍(32) 내에 삽입된 앵커링바(40)의 선단에 닿을 때까지 검침수단(50)을 삽입하는 것이다.
측정단계는, 검침수단(50)의 지시부(62)의 타단과 매립콘(30)의 입구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부(62)의 타단과 매립콘(30)의 입구부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매립콘(30)에 앵커링바(40)가 충분히 안전성 있게 체결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조립체(20)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매립콘(30)과 앵커링바(40)의 결합된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즉, 매립콘(30) 내부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앵커링바(40)가 매립콘(30)의 내부에서 깊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매립콘(30) 내부를 보면서 확인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특히, 앵커조립체(20)가 외벽(c)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매립콘(30) 내부가 어둡고 시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고 원근감으로만 판단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안전성 검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구멍(33) 내부에 내시경수단(70)를 측정수단(60)과 함께 삽입하여 매립콘(30) 내부를 쉽게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먼저 매립콘(30) 내부에 앵커링바(40)가 존재하는지 또는 콘크리트가 채워져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매립콘(30)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있는 경우 콘크리트는 매립콘(3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어서 갱폼을 설치시 매립콘(30)이 외벽에서 빠져버리는 일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매립콘(30) 내부에 앵커링바(40)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앵커링바(40)가 매립콘(30)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측정수단(60)을 더 깊게 삽입하여 앵커링바(40)에 단부를 접촉시켜 앵커링바(40)가 삽입된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시경 수단(70)를 부가함으로서 매립콘(30) 내에 앵커링바(40)가 아닌 타설된 콘크리트가 채워진 경우 작업자가 이를 앵커링바(40)로 잘못 인식하는 일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침수단(50)의 중앙홀(64)이 일단과 타단에서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검침수단(50)에서 측정바(61)의 단부에 카메라 유닛(72)이 측정바(61)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64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걸림턱(641)은, 측정바(61)에서 앵커링바(40)와 접촉되는 단부에 위치하고 내측으로 링형태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걸림턱(641)은 카메라 유닛(72)에서 카메라 렌즈(721)를 제외한 둘레부분이 접촉되는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걸림턱(641)에 카메라 유닛(72)이 접촉된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721)가 매립콘(30) 내부를 촬영하는데 방해를 하지 않게 된다. 이와 함께 걸림턱(641)에 의하여 카메라 유닛(72)이 돌출되지 않고 측정바(6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앵커링바(40)와 카메라 유닛(72)이 집적 접촉되는 일이 없게 하며, 이에 따라서 고가의 카메라 렌즈(721)이 앵커링바에 접촉하면서 카메라 렌즈(72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에서는 카메라 유닛(72)의 단부에 둘레를 감싸는 탄성링(7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유닛(72)의 단부에 탄성링(7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721)가 직접 앵커링바(40)와 접촉되는 일이 없고 탄성링(723)이 카메라 유닛(72)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탄성링(723)은 카메라 렌즈(721)의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카메라 유닛(72)보다는 큰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검침수단(50')이 내시경수단(70')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검침수단(50')은 상기 매립콘(30)의 제2구멍(33)을 통하여 삽입되고 연통홀을 통과하여 앵커링바(40)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앵커링바(40)가 상기 제1구멍(32)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잎깊이를 측정함과 동시에, 제1구멍(32) 내에 앵커링바(40)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검침수단(50')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71')과, 상기 케이블(71)의 일단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72')과, 상기 케이블(71')의 외면에 형성되는 인식부(74')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74')와 매립콘(30)의 상대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삽입 깊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유닛(72')이 먼저 매립콘(30)의 제2구멍(33) 내부에 삽입되어 제1구멍(32) 내에 앵커링바(40)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에, 카메라 유닛(72')을 더 깊게 삽입하여 카메라 유닛(72')의 단부가 앵커링바(40)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때 케이블(71')의 표시된 인식부(74')와 매립콘(30)의 입구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면서 앵커링바(40)의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74')는 미리 설정한 복수의 띠일 수 있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눈금일 수 있다. 눈금을 통해서 정확한 깊이를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케이블이 디스플레이부와 커넥터에 의하여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은 통신수단이 마련된 본체(80)에 연결되고, 통신수단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84) 또는 서버(85)에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84) 또는 서버(85)에 기록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80)는 카메라 유닛(72)과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는 내시경 수단의 본체(80)로서, 프로세서(81), 배터리(82) 및 통신 장치(8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80)는 카메라 유닛(72)이 획득한 영상을 사용자 단말(84)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8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아 그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대신 통신 장치(83)를 포함하여 카메라 유닛(72)으로 촬영한 영상이 사용자 단말(8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8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72)으로부터 입력 받은 이미지를 처리하고, 제1 통신망 또는 제2 통신망을 통한 통신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카메라 유형의 변경에 따른 카메라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플러그인을 실행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81)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811), 제2 통신 인터페이스(812), 카메라 인터페이스(813)를 포함한다.
먼저, 제1 통신 인터페이스(811)는 서버(85) 및 사용자 단말(84)과 제1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제1 통신망은 802.11n WiFi 통신망일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811)를 이용하여, 내시경 수단(70) 사용자 단말(84)에 고화질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인터페이스(811)는 WiFi 기반의 실시간 영상전송 스트리밍(Streaming)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1)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84)을 통해 수신하고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고성능의 H.264 압축 코덱을 사용하여 고화질 영상을 효율적으로 실시간 전송 가능한 스트리머(Streamer)가 탑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통신 인터페이스(812)는 서버(85) 및 사용자 단말(84)과 P2P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단(70)은 쉬운 설치환경 제공을 위한 P2P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인 IP 기반의 네트워크 장비는 성능 및 기능측면에서 뛰어나지만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며, 내시경 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복잡한 설정을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단(70)은 최소한의 설정만으로 쉽게 사용 및 설치가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2 통신 인터페이스(812)가 P2P 기반의 프로토콜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서버와 연계하여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용이하게 송수신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카메라 인터페이스(813)는 다양한 카메라 유닛(72)의 접속을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카메라 인터페이스(813)는 카메라 렌즈(721) 또는 이미지 센서의 타입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용도에 맞게 카메라를 선택 할 수 있도록 설계되므로, 이를 위해 다양한 타입의 카메라를 수용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탑재될 수 있다. 카메라 인터페이스(813)는 다양한 타입의 카메라 에 적용될 수 있는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84)은 디스플레이를 가진 사용자 단말(84)이다. 이러한 단말로서 PC(Personal Computer),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기기가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라면 제한없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84)이 될 수 있다.
서버(85)는 클라우드 서버로서, P2P 연동 프로토콜 서버이다.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는 원격에서 개인이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84)에 쉽게 접속하여 내시경 수단(7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진단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내시경 수단(70)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812)는 P2P 프로토콜을 탑재하고 서버(85)와 연동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원격지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격에 있는 전문가와 함께 분석이 가능한 대화형 내시경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85)는 클라우드 서버의 기능을 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8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본 내시경 수단(70)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데이터는 서버(85)에 저장하고, 원하는 시간에 사용자 단말(84로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할 수 있다.
특허 서버와 연결된 영상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되어 차후 공사 사고 발생시 상황에 따라서 어느 작업자가 해당 작업을 실수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안전성 검침방법은, 측정수단(60) 내부에 내시경수단(70)을 삽입하는 검침수단 준비단계(S100); 상기 매립콘(30)의 제2구멍(33)에 검침수단(50)을 삽입한 후에 내시경수단(70)에 의하여 제1구멍(32) 내에 앵커링바(40)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제1삽입단계(S200); 상기 검침수단(50)의 단부가 앵커링바(40)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검침수단(50)을 연통홀을 통과시킨 후에 제1구멍(32) 내에 삽입하는 제2삽입단계(S300); 상기 검침수단(50)이 매립콘(30) 내에 삽입된 깊이를 측정하여 앵커링바(40)가 제1구멍(32) 내에 삽입된 삽입깊이를 확인하는 측정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삽입단계(S200)와, 제2삽입단계(S300)의 사이에는, 내시경수단(70)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통신장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250)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를 통해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공사상태를 면밀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앵커조립체 20...콘볼트
30...매립콘 31...몸체부
32...제1구멍 33...제2구멍
34...격벽부 35...연통홀
40...앵커링바 50...검침수단
60...측정수단 61...측정바
62...지시부 63...손잡이부
64...중앙홀 70...내시경수단
71...케이블 72...카메라 유닛
73...디스플레이부 721...카메라 렌즈
722...led 조명 723...탄성링
80...본체 81...프로세서
82...배터리 83...통신장치
30...매립콘 31...몸체부
32...제1구멍 33...제2구멍
34...격벽부 35...연통홀
40...앵커링바 50...검침수단
60...측정수단 61...측정바
62...지시부 63...손잡이부
64...중앙홀 70...내시경수단
71...케이블 72...카메라 유닛
73...디스플레이부 721...카메라 렌즈
722...led 조명 723...탄성링
80...본체 81...프로세서
82...배터리 83...통신장치
Claims (11)
- 소정의 구조물을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 있어서,
콘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 중심에서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구멍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 중심에서 일단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구멍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제2구멍과,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 사이를 구분지으면서 중앙에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을 연결시키는 연통홀이 마련된 격벽부를 포함하는 매립콘; 및 일부는 상기 매립콘의 제1구멍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구멍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벽 내에 매립된 고정판에 결합될 수 있는 앵커링바;를 포함하는 앵커조립체와,
상기 매립콘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검침수단은,
상기 매립콘의 제2구멍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여 앵커링바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앵커링바가 상기 제1구멍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검침수단과 함께 상기 매립콘 내부에 삽입되어 제1구멍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어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내시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연통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측정바와,
상기 측정바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정바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정바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지시부와,
상기 지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사용자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시부의 일단과 매립콘의 상대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삽입 깊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수단은,
영상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수단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수단은 상기 측정바의 단부에 상기 카메라 유닛이 위치할 수 있도록 측정수단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는,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는, 통신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본체가 마련되며,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에서 측정바의 단부에는, 카메라 유닛이 측정바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단부에는 둘레를 감싸는 탄성링이 형성되어 있어서 앵커링바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 소정의 구조물을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에 있어서,
콘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 중심에서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구멍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 중심에서 일단을 향하여 연장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멍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제2구멍과,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 사이를 구분지으면서 중앙에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을 연결시키는 연통홀이 마련된 격벽부를 포함하는 매립콘; 및 일부는 상기 매립콘의 제1구멍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구멍과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벽 내에 매립된 고정판에 결합될 수 있는 앵커링바;를 포함하는 앵커조립체와,
상기 매립콘의 제2구멍을 통하여 삽입되고 연통홀을 통과하여 앵커링바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앵커링바가 상기 제1구멍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잎깊이를 측정함과 동시에, 제1구멍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수단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과,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형성되는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와 매립콘의 상대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삽입 깊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 제1항의 앵커조립체의 안전성을 검침하기 위한 안전성 검침방법으로서,
측정수단 내부에 내시경수단을 삽입하는 검침수단 준비단계;
상기 매립콘의 제2구멍에 검침수단을 삽입한 후에 내시경수단에 의하여 제1구멍 내에 앵커링바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제1삽입단계;
상기 검침수단의 단부가 앵커링바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검침수단을 연통홀을 통과시킨 후에 제1구멍 내에 삽입하는 제2삽입단계;
상기 검침수단이 매립콘 내에 삽입된 깊이를 측정하여 앵커링바가 제1구멍 내에 삽입된 삽입깊이를 확인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검침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제1삽입단계와, 제2삽입단계의 사이에는, 내시경수단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검침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4860A KR102578181B1 (ko) | 2021-03-17 | 2021-03-17 |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4860A KR102578181B1 (ko) | 2021-03-17 | 2021-03-17 |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9925A true KR20220129925A (ko) | 2022-09-26 |
KR102578181B1 KR102578181B1 (ko) | 2023-09-14 |
Family
ID=8345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4860A KR102578181B1 (ko) | 2021-03-17 | 2021-03-17 |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818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8756B1 (ko) * | 2015-08-11 | 2015-12-18 |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 스마트폰을 이용한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WO2016006049A1 (ja) * | 2014-07-09 | 2016-01-14 | 一般社団法人日本建設機械施工協会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ひび割れ調査方法およびひび割れ調査システム |
KR20180101825A (ko) * | 2017-03-06 | 2018-09-14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
KR20190125854A (ko) * | 2018-04-30 | 2019-11-07 | 에스폼 주식회사 |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 |
-
2021
- 2021-03-17 KR KR1020210034860A patent/KR1025781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06049A1 (ja) * | 2014-07-09 | 2016-01-14 | 一般社団法人日本建設機械施工協会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ひび割れ調査方法およびひび割れ調査システム |
KR101578756B1 (ko) * | 2015-08-11 | 2015-12-18 |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 스마트폰을 이용한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KR20180101825A (ko) * | 2017-03-06 | 2018-09-14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
KR20190125854A (ko) * | 2018-04-30 | 2019-11-07 | 에스폼 주식회사 |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8181B1 (ko) | 2023-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92548B2 (en) | Security cable,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 |
JP2503900Y2 (ja) | 内視鏡 | |
JP6109079B2 (ja) | ケーブル接続構造および撮像装置 | |
JP2008311232A (ja) | 視覚インディケータを有する高電圧電気コネクタ | |
KR101863530B1 (ko) |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 |
CN109073841A (zh) | 具有光电检测器的光连接器、用于光连接器的适配器、以及系统 | |
KR20220129925A (ko) | 앵커조립체의 안전성 검침장치 및 안전성 검침방법 | |
WO2016093452A1 (ko) |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모니터링 시스템 | |
JP2018512819A (ja) | ユーザ端末を配置するための仰角推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JP2007279914A (ja) | 配線接続管理システム | |
JP2010038988A (ja) | アダプタおよび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 |
CN108627685A (zh) | 用于设置有接线端子的电气设备的监测附件 | |
WO2014109494A1 (ko) | 카메라 도난 방지장치 | |
JP3921063B2 (ja) | 光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 |
US8182148B2 (en) | X-ray detector system | |
JP2005266076A (ja) | 光コネクタ・アダプタの嵌合状態測定工具 | |
JP7196065B2 (ja) | 電圧インジケータ表示モジュール | |
KR200228680Y1 (ko) |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 |
CN215576708U (zh) | 一种多功能电力巡检装置 | |
KR102659867B1 (ko) | 원격 검침용 케이블 연결장치 | |
CN209230786U (zh) | 红外热成像在线监测系统 | |
CN112822344B (zh) | 一种仪表监控摄像装置 | |
TWI528042B (zh) | Logic analyzer and its probe | |
KR20140101487A (ko) | 거치대 및 유선으로 외장형모뎀과 연결되는 블랙박스를 갖는 블랙박스장치 | |
KR20190056035A (ko) |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