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750A -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rotating part - Google Patents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rotating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750A
KR20220129750A KR1020210034420A KR20210034420A KR20220129750A KR 20220129750 A KR20220129750 A KR 20220129750A KR 1020210034420 A KR1020210034420 A KR 1020210034420A KR 20210034420 A KR20210034420 A KR 20210034420A KR 20220129750 A KR20220129750 A KR 20220129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ng
beehive
fixed frame
geomg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동환
Original Assignee
조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환 filed Critical 조동환
Priority to KR102021003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9750A/en
Publication of KR20220129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7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Presented is a stairwell beehive internal inspector containing a rotating part of which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are simple, and which has no concern that rot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due to failure, etc. and can be implemented at low costs. The internal inspector includes: a guide unit for erecting or moving an upper beehive of the stairwell beehive; a vertical support connected to the guide unit,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including a cylindrical support; a fixed frame having a cylindrical support inserted thereinto and rotating with the guide using the support as a rotation axis; and a stopper attached to the support and preventing the lowering of the fixed frame. The guid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to form a lattice, and the fixed frame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s.

Description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rotating part}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rotating part}

본 발명은 계상벌통 내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부에 탑재된 상부벌통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sting beehive inner geo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ner geom of a nesting beehive including a rotating part capable of rotating an upper beehive mounted on a guide part.

양봉은 벌꿀과 그에 따른 산물인 밀랍, 화분, 로얄젤리 등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을 기르는 것이다. 최근에는 왕유, 화분하, 봉침독, 웅봉저의 생산을 비롯하여 종봉생산업, 여왕벌생산업, 임대양봉 또는 계획수정양봉에 이르기까지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다. 양봉을 위한 벌통은 상자를 만들어 내부에 벌집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벌들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이때, 벌통은 하나로만 이루어진 단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많은 양의 꿀을 모으기 위하여 두개 이상의 벌통을 다층으로 적층하는 계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계상벌통이라고 하고, 국내등록특허 제10-1925714호 등과 같이 다양하게 개량되고 있다. 그런데, 계상벌통의 내검작업을 할 때, 무거운 벌통으로 인하여 과도한 노동력을 요구하여 특히 고령 작업자가 수행하기 어렵고, 작업자에게 질환 유발의 우려가 있으며,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91100호는 가이드를 활용하여 작은 노동력으로 내검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Beekeeping is the cultivation of bees to produce honey and its products, such as beeswax, pollen, and royal jelly. Recently, the fields are diversifying from the production of king oil, pollen hay, bee stinging poison, and ungbongjeo to seed bee production, queen bee production, rental beekeeping, or planned fertilization beekeeping. Beehives for beekeeping provide a nest for bees by creating a box and artificially creating a hive inside. At this time, the hive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phase, bu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system in which two or more beehive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in order to collect a larger amount of honey. This is called a gyesang beehive, and it is being improved in various ways, such as domestic registration patent No. 10-1925714. However, when performing the internal inspection of the nesting hive, it is difficult for an elderly worker to perform, especially due to the heavy hive, which requires excessive labor, and there is a risk of inducing disease to the worker,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oreign substances may be introduc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91100 suggested a method to effectively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with a small labor force using a guide.

한편, 내검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부벌통을 회전시켜 하부벌통의 측면으로 옮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벌통이 옮겨지면, 작업자가 하부벌통으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된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93178호에는 회전식브라켓으로 벌통을 회전시키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그런데, 상기 실용신안은 상기 회전식브라켓이 요구되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별도의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회전식브라켓은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장 등으로 인하여 제대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회전식브라켓은 접철되거나 직각으로 펼치는 등과 같이 동작방식이 간단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the inner sword work efficiently,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upper beehive and move it to the side of the lower beehive. When the upper hive is moved, the operator has easy access to the lower hive. A method of rotating a beehive with a rotary bracket was proposed in Domestic Utility Model No. 20-0493178. However, the utility model requires the rotary bracket, which is structurally complicated and requires a separate cost. In addition, since the rotary bracket is expos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it may not rotate properly due to a breakdown over time. The rotary bracket is not simple in operation, such as folding or unfolding at a right ang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 및 동작방식이 간단하고, 고장 등으로 회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염려가 없으며, 적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nal sword of a brooding beehiv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there is no concern that rot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due to a malfunction, and includes a rotating part that can be implemented at a low cost.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의 하나의 사례는 계상벌통의 상부벌통이 세워지거나 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며 원통 형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세로지지부와, 상기 원통 형태의 지지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함께 회전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강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의 가로대 및 복수개의 세로대를 포함하여 격자를 이루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가로대에 결합된다.One example of the inner geomgi of the nesting beehive including a rotating par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uide part in which the upper beehive of the nesting beehive is erected or moved, and the guide part is connected to the guide part and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floor surface, A vertical support part including a cylindrical support, a fixed frame in which the cylindrical support is inserted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guide part using the support as a rotation axis, and a stopper attached to the support and preventing the lowering of the fixed frame include In this case, the guide part comprises a plurality of crossbar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to form a grid, and the fixed frame is coupled to the crossbar.

본 발명의 내검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원통 형태의 제1 부분 및 각형인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부분에 부착된다. 상기 스토퍼는 각형 또는 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대에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는 밴드 및 조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를 회전시켜 상기 밴드의 직경을 변화시켜 상기 지지대에 고정한다. In the inner swo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s made of a first pa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part having a prismatic shape, and the stopper is attached to the second part. The stopper may have a prismatic or ring shape. The stopper is detachable from the support. The stopper includes a band and a tightening part, and by rotating the tightening part, the diameter of the band is changed and fixed to the support.

본 발명의 내검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원통 형태 또는 각형일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할 때에는 상기 고정이 해소시킨다.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버팀대가 결합된다. In the endospe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frame may be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rismatic shape. The fixing frame is fixed by a fixing lever, and when the fixing frame rotates, the fixing is eliminated. At least one brace on which a moving wheel is mounted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guide part.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의 다른 사례는 계상벌통의 상부벌통이 세워지거나 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세로지지부와, 상기 원통 형태의 지지대가 삽입되고,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세로지지대에 결합되고, 하부에 회전용 바퀴가 장착된 받침대를 포함한다.Another example of the inner geomgi of the nesting beehive including a rotating par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uide part in which the upper beehive of the nesting beehive is erected or moved, and a support connected to the guide part and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 vertical support unit including a, and the cylindrical support is inserted,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the vertical support fixed by a fixing lever, and includes a support equipped with a rotating wheel at the lower portion.

본 발명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에 의하면, 원통 형태의 회전축 또는 회전용 바퀴와 같은 회전부를 적용함으로써, 구조 및 동작방식이 간단하고, 고장 등으로 회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염려가 없으며, 적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ernal test of the gye-sang beehive including the rot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rotating part such as a cylindrical rotating shaft or a rotating wheel,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are simple, and there is no concern that the rot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due to a malfunction, etc., It can be implemented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내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내검기에 상부벌통이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의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의 다른 사례인 제3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내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내검기에 상부벌통이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ndog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liding part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eehive is mounted on the first inner g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ird stopper that is another example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ndog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eehive is mounted on the second inner g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내검기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내검기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the drawings, exaggerated representations are mad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 the other hand, terms indicating positions such as upper, lower, front, etc. are only rela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n practice, the endosperm can be used in any optional orientation, and in actual use, the spatial orient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and rotation of the endar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통 형태의 회전축 또는 회전용 바퀴와 같은 회전부를 적용함으로써, 구조 및 동작방식이 간단하고, 고장 등으로 회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염려가 없으며, 적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계상벌통의 내검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원통 형태의 회전부 또는 회전용 바퀴를 포함하는 내검기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회전부 및 회정용 바퀴를 이용하여 벌통을 회전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내검기는 벌통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거나 채밀 등과 같은 작업을 위해서는 적층된 벌통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적층된 벌통이 분리되면, 분리된 벌통마다 내부상태를 확인하거나 채밀 등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rotating part such as a cylindrical rotating shaft or a rotating wheel, so tha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are simple, there is no concern that the rot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due to a malfunction, etc., and can be implemented at a low cost. presents the introspection of To this e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inner sword including a cylindrical rotating part or a rotating wheel, and a process of rotating the beehive using the rotating part and rotating whe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ster is used to check the internal state of the hive or to separate the stacked hives for work such as mining. When the stacked hives are separat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ternal state of each separated hive or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mulch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내검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ndogu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rawings are not expressed in a strict sense, and there may be components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에 의하면, 제1 내검기(100)는 받침대(10), 세로지지부(20), 가이드부(30), 슬라이딩부(40) 및 스토퍼(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대(10)는 제1 내검기(100)를 지탱하며, 도면에서는, 받침대(10)는 막대 형태를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받침대(10)는 상기 벌통의 하중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강철 등과 같은 재질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부(40)는 상부벌통의 왕복운동(a)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FIG. 1 , the first inner gum device 100 includes a pedestal 10 , a vertical support unit 20 , a guide unit 30 , a sliding unit 40 , and a stopper 50 . The pedestal 10 supports the first naegumgi 100, and in the drawings, the pedestal 10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 rod,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eel that does not deform under the load of the beehive. The sliding part 40 is to facilitate the reciprocating motion (a) of the upper beehiv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세로지지부(20)는 높이(H)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H)는 바닥면으로부터 가이드부(30)의 상면까지를 지칭하며, 받침대(10) 및 제1 가로대(31)의 간격이다. 높이(H)를 조절하기 위하여, 받침대(10)와 결합되는 제1 지지대(21) 및 고정프레임(24)을 통하여 제1 가로대(31)와 결합되는 제2 지지대(25)를 포함한다. 제2 지지대(25)는 제1 지지대(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높이(H)가 조절된다. 즉, 제2 지지대(25)가 제1 지지대(21)의 내부로 깊게 삽입되면 높이(H)가 낮아지고, 제2 지지대(25)의 내부로 낮게 삽입되면 높이(H)가 높아진다. 높이(H)의 조절이 완료되면, 고정레버(22)를 돌려서 제2 지지대(25)를 고정한다. The vertical support 20 can adjust the height H. The height H refer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unit 30 from the bottom surface, an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edestal 10 and the first crossbar 31 .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H), a first support 21 coupled to the pedestal 10 and a second support 25 coupled to the first crosspiece 31 through the fixed frame 24 are included. The second support 25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support 21, and the height 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That is, when the second support 25 is deeply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21 , the height H is lowered, and when the second support 25 is inserted low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support 25 , the height H increases. When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H is completed, the second support 25 is fixed by turning the fixing lever 22 .

제2 지지대(25)는 원통 형태로써, 제1 가로대(31)에 결합된 고정프레임(24)에 삽입되고, 고정레버(23)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레버(23)를 돌리면, 제2 지지대(25)는 고정프레임(24)에 고정된다. 고정프레임(24) 및 고정레버(23)는 제2 지지대(25)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사각과 같은 각형의 고정프레임(24)을 제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원통 형태의 고정프레임(24)을 적용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25 has a cylindrical shap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frame 24 coupled to the first crosspiece 31 , and is fixed by the fixing lever 23 . When the fixing lever 23 is turned, the second support 25 is fixed to the fixing frame 24 . The fixing frame 24 and the fixing lever 23 are for fixing the second support 25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fixed frame 24 of a rectangular shape such as a square is presented in the drawings, a cylindrical fixed frame 24 may be applied in some cases.

제2 지지대(25)는 가이드부(30)의 상부로 연장된다. 제2 지지대(25)가 가이드부(30)의 상부로 연장되면, 제2 지지대(25)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상부로 연장된 제2 지지대(25)는 작업자의 손을 지탱하는 손잡이가 된다.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제2 지지대(25)에 작업자가 손을 지탱하면, 제1 내검기(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내검기(100)가 움직이지 않으면,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지지대(25)의 단부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손잡이 커버(26)가 마련되어, 작업자의 손이 다치지 않고 충분하게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대(25)는 상기 계상벌통이 가이드부(30)로부터 밀려나가서, 바닥면으로 낙하되지 않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The second support 25 extends above the guide part 30 . When the second support 25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art 30 , the second support 25 may be held by an operator and work. That is, the second support 25 extending upward becomes a handle for supporting the operator's hand. When the operator supports the hand on the second support 25 serving as a handle, the first internal gum device 100 may not move. If the first endogum 100 does not m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A handle cover 26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25, so that the operator's hand is not injured and a sufficient force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25 serves as a stopper that is pushed out from the guide part 30 of the nesting beehive and does not fall to the floor.

제2 지지대(25)에는 고정프레임(24)과 간격(D, 도3 참조)을 가지거나 접촉하는 스토퍼(50)가 부착된다. 고정프레임(24)이 스토퍼(50)에 접촉하면, 간격(D)은 존재하지 않는다. 간격(D)은 제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스토퍼(50)는, 가이드부(30)에 탑재된 상부벌통(도 3의 TH)을 회전시킬 때, 고정프레임(24)이 지면 방향으로 하강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탑재된 상부벌통(TH)을 회전시키려면, 고정레버(23)를 돌려서 제2 지지대(25)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렇게 되면, 상부벌통(TH)의 중량으로 인하여, 가이드부(30)와 함께 고정프레임(24)이 하강한다. 가이드부(30)와 함께 고정프레임(24)이 하강하면, 상부벌통(TH)이 지면으로 추락할 위험이 있다. 스토퍼(50)는 고정프레임(24)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면에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스토퍼(50)에는 베어링이 삽입되어, 고정프레임(2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 stopper 50 is attached to the second support 25 having a gap (D, see FIG. 3) or in contact with the fixed frame 24. When the fixed frame 24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50, there is no gap (D). The interval D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The stopper 50 prevents the fixed frame 24 from descending in the ground direction when rotating the upper beehive (TH in FIG. 3) mounted on the guide unit 30. Specifically, to rotate the mounted upper beehive (TH), by turning the fixing lever 23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second support (25). In this case, due to the weight of the upper beehive (TH), the fixed frame 24 together with the guide part 30 is lowered. When the fixed frame 24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guide unit 30, there is a risk that the upper hive (TH) falls to the ground. The stopper 50 prevents the fixed frame 24 from descending.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bearing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50 ,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ixed frame 24 can be made smoothly.

가이드부(30)는 제1 가로대(31), 제2 가로대(32), 제3 가로대(33) 및 복수개의 세로대(34)를 포함한다. 제1 가로대(31)는 세로지지부(20)와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세로지지부(20)는 제1 가로대(31)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2 가로대(32)는 제3 가로대(33)와 함께 복수개의 세로대(34)와 결합되어, 가이드부(3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한다. 제3 가로대(33)는 제1 내지 제3 가로대(31, 32, 33)에서 세로지지부(20)에 대하여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제1 가로대(31)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복수개의 세로대(34)는 제1 내지 제3 가로대(31, 32, 33) 상에 결합되고, 각각의 세로대(34)는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3 가로대(31, 32, 33)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한다. 즉, 제1 내지 제3 가로대(31, 32, 33) 및 세로대(34)는 격자 형태를 이룬다. The guide unit 30 includes a first cross bar 31 , a second cross bar 32 , a third cross bar 33 ,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34 . The first crosspiece 3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unit 20 , and preferably,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rosspiece 31 . The second crossbar 32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34 together with the third crossbar 33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guide part 30 . The third crossbar 33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20 in the first to third crossbars 31 , 32 , and 33 ,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rosspiece 31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34 are coupled on the first to third crossbars (31, 32, 33), each of the vertical bars 34 is spaced apart, the first to third crossbars (31, 32, 33) locat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at is, the first to third cross bars 31 , 32 , 33 and vertical bars 34 form a grid.

가이드부(30)는 고정프레임(24)과 함께 원통 형태의 제2 지지대(2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운동(b)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30)는 상부벌통(TH)이 탑재된 상태에서 회전운동(b)을 한다. 상부벌통(TH)이 탑재된 가이드부(30)는 360도로 회전운동(b)이 가능하다. 내검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부벌통(TH)을 회전시켜 하부벌통(LH)의 측면 방향으로 옮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벌통이 옮겨지면, 작업자가 하부벌통으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된다. 가이드부(30)가 회전운동(b)을 하는 정도는 내검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The guide unit 30 performs a rotational movement (b) with the fixed frame 24 and the second cylindrical support 25 as a rotation axis. Preferably, the guide part 30 makes a rotational movement (b)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beehive (TH) is mounted. The guide portion 30 on which the upper beehive (TH) is mounted is capable of 360-degree rotational movement (b). In order to make the inner sword work efficiently,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upper beehive (TH) and move i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wer beehive (LH). When the upper hive is moved, the operator has easy access to the lower hive. The degree to which the guide part 30 rotates (b)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internal sword operation.

가이드부(30)의 제3 가로대(33)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61)가 달린 적어도 하나의 버팀대(60)가 설치될 수 있다. 버팀대(60)는 제3 가로대(33) 중앙부위에 하나만 설치될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버팀대(60)는 제3 가로대(33)가 아닌 가이드부(30) 하면 중에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버팀대(60)는 가이드부(30)가 회전할 때,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 회전운동(b)을 하도록 한다. 제3 가로대(33)와 버팀대(60) 사이에는 경첩(도시되지 않음)이 부착되어, 버팀대(6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버팀대(6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지지대(21, 25)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At least one brace 60 with wheels 61 for moving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crossbar 33 of the guide part 30 . Only one brace 60 may be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crossbar 33, and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as shown in the drawing. In some cases, the brace 60 may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art 30 rather than the third crossbar 33 . The brace 60 makes a stable rotational movement (b) without shaking when the guide part 30 rotates. A hinge (not shown) is attached between the third crosspiece 33 and the brace 60 , and can be switched to a folded state when the brace 60 is not in use. In addition, the brace 60 can be adjusted in length 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21 and 25 described above.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부(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때, 제1 내검기(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liding part 40 of FIG. 1 . At this time, the first inner geomgi 100 will refer to FIG.

도 2에 의하면, 슬라이딩부(40)는 세로대(34)에 결합되고, 레일(41) 및 슬라이더(42)를 포함한다. 레일(41)은 슬라이더(42)가 삽입되어, 슬라이더(42)가 레일(41)을 따라 왕복운동(a)을 하도록 한다. 슬라이딩부(40)는 왕복운동(a)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요소, 예컨대 베어링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벌통을 슬라이딩부(40)에 옮긴 후에 힘을 가하면, 상기 상부벌통은 슬라이더(42)에 의해 쉽게 움직인다. 실제, 현장에서는 수많은 상부벌통을 옮겨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상기 상부벌통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면 작업에 대한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FIG. 2 , the sliding part 40 is coupled to the vertical bar 34 , and includes a rail 41 and a slider 42 . The rail 41 has a slider 42 inserted thereinto, so that the slider 42 reciprocates along the rail 41 (a).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ciprocating motion (a) of the sliding part 40, other elements, such as bearings, may be ad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orce is applied after moving the upper beehive to the sliding part 40 , the upper beehive is easily moved by the slider 42 . In fact, since it is necessary to move a number of upper beehives in the field, the burden on the work can be greatly reduced if the upper beehive can be easily mov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내검기(100)에 상부벌통이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1 내검기(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eehive is mounted on the first inner geomgi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first inner geomgi 100 will refer to FIG.

도 3에 의하면, 상부벌통(TH)을 세우거나 이동하기 이전에, 제1 내검기(100)의 높이(H)를 조절한다. 계상벌통(SH)을 이루는 하부 및 상부벌통(LH, TH)는 나왕과 같은 목재, EPP, EPS와 같은 고분자, 스티로폴과 같은 발포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부벌통(TH)는 10kg 내지 20kg의 중량을 가진다. 계상벌통(SH)은 팔레트와 같은 지지부(PB)에 안착된다. 상부벌통(TH)을 세우는 과정은 상부벌통(TH)을 90도로 회전하여 슬라이딩부(40)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부벌통(TH)을 대략 90도로 회전시키면, 상부벌통(TH)이 세워져서 하부 및 상부벌통(LH, TH)가 노출된다. 하부 및 상부벌통(LH, TH)가 노출되면, 하부 및 상부벌통(LH, TH) 각각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거나 채밀 등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다. 상부벌통(TH)을 세우면, 중량이 무거운 상부벌통(TH)을 직접 들어 올리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 과도한 노동력을 요구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작업시간이 짧고 적은 인력으로 작업을 할 수 있고, 특히 고령 작업자가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제2 지지대(25)를 손을 잡고, 제1 내검기(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According to FIG. 3 , before the upper beehive (TH) is erected or moved, the height (H) of the first inner geomgi (100) is adjusted. The lower and upper hives (LH, TH) constituting the nested hive (SH) may be made of wood such as lauan, polymers such as EPP and EPS, and foamed polymers such as styrofoam. Typically, the upper hive (TH) has a weight of 10 to 20 kg. The nesting hive (SH) is seated on a support (PB) such as a pallet. The process of erecting the upper beehive TH is to rotate the upper beehive TH by 90 degrees to position it on the sliding part 40 . When the upper beehive TH is rotated approximately 90 degrees, the upper hive TH is erected to expose the lower and upper hives LH, TH. When the lower and upper hives (LH, TH) are expos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ternal state of each of the lower and upper hives (LH, TH), or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milling. When the upper hive TH is erected, the heavy upper hive TH is not directly lifted, so that excessive labor is not required for the worker. In this way, the work time is short and the work can be done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especially the elderly workers can easily perform it. At this time, the operator holds the second support 25 by hand, and prevents the first internal geom device 100 from moving.

상부벌통(TH)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부벌통(TH)을 밀어서 슬라이딩부(40)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제2 지재대(25)는 상부벌통(TH)이 슬라이딩부(4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부벌통(TH)을 이동시키면, 상부벌통(TH)이 세워져서 하부 및 상부벌통(LH, TH)가 노출된다. 하부 및 상부벌통(LH, TH)가 노출되면, 하부 및 상부벌통(LH, TH) 각각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거나 채밀 등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다. 상부벌통(TH)을 이동하면, 중량이 무거운 상부벌통(TH)을 직접 들어 올리지 않고 상부벌통(TH)을 슬라이더(42)로 쉽게 왕복운동(a)을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과도한 노동력을 요구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작업시간이 짧고 적은 인력으로 작업을 할 수 있고, 특히 고령 작업자가 쉽게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 of moving the upper beehive (TH) is to push the upper beehive (TH) and position it on the sliding part (40). The second support 25 prevents the upper beehive TH from leaving the sliding part 40 . When the upper beehive (TH) is moved, the upper beehive (TH) is erected to expose the lower and upper beehives (LH, TH). When the lower and upper hives (LH, TH) are expos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ternal state of each of the lower and upper hives (LH, TH), or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milling. When the upper hive TH is moved, the upper hive TH is easily reciprocated with the slider 42 without lifting the heavy upper hive TH directly, so that excessive labor is not required for the worker. . In this way, the work time is short and the work can be done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especially the elderly workers can easily perform it.

한편, 적절한 내검작업을 확보하기 위하여, 원통 형태의 제2 지지대(2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가이드부(30)를 고정프레임(24)과 함께 회전운동(b)을 한다. 이때, 상부벌통(TH)은 가이드부(30)에 탑재된 상태이므로, 상부벌통(TH)은 하부벌통(LH)의 측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부벌통(TH)이 옮겨지면, 상부벌통(TH)은 하부벌통(LH)의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하부벌통(LH)의 내검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높아진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cure an appropriate inner sword operation, the second support 25 in the form of a cylinder is rotated as a rotation axis to rotate the guide part 30 together with the fixed frame 24 (b).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beehive (TH) is mounted on the guide part 30, the upper beehive (TH)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wer beehive (LH). When the upper hive (TH) is moved, the upper hive (TH)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wer hive (LH), so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operation of the lower hive (LH), thereby increasing the working efficiency.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의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때, 제1 내검기(1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first internal test device 1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스토퍼(51)는 원통 형태의 제2 지지대(25)에 부착된다. 이때, 제2 지지대(25)는 앞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제2 스토퍼(52)는 원통 형태의 제1 부분(27a) 및 사각과 같은 각형인 제2 부분(27b)으로 이루어진 제3 지지대(27)의 제2 부분(27b)에 부착된다. 제2 부분(27b)가 각형이면, 제1 지지대(21)의 각형에 부합되므로, 제3 지지대(27)는 제1 지지대(21)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스토퍼(51)는 링 형태, 제2 스토퍼(52)는 각형을 사례로 제시하였으나, 제1 및 제2 스토퍼(51, 52)는 고정프레임(24)의 하강을 차단한다는 역할을 하면 형상에는 구애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토퍼(52)는 각각 각형 및 링 형태일 수 있다. 4 and 5 , the first stopper 51 is attached to the second supporter 25 having a cylindrical shape.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25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econd stopper 52 is attached to the second portion 27b of the third support 27 consisting of a first portion 27a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portion 27b having a square shape such as a square. If the second portion 27b is prismatic, it conforms to the prismatic shape of the first support 21 , so that the third support 27 is firmly fixed to the first support 21 . Here, the first stopper 51 is a ring shape, and the second stopper 52 is a square shape as examples, but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51 and 52 block the lowering of the fixed frame 24. If it does, it is not limited by the shape.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52 may have a square shape and a ring shape,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의 다른 사례인 제3 스토퍼(53)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때, 제1 내검기(1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ird stopper 53 that is another example of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first internal test device 1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6에 의하면, 제3 스토퍼(53)는 밴드(53a), 고정부(53b) 및 조임부(53c)를 포함한다. 제3 스토퍼(53)는 원통 형태의 제2 지지대(25)에 부착되는 제1 스토퍼(51)를 대체할 수 있다. 제3 스토퍼(53)는 조임부(53c)의 회전에 의해 밴드(53a)의 직경이 변화됨으로써, 제2 지지대(25)의 외주연에 압력을 가하여 연결하되, 밴드(53a)와 제2 지지대(25)의 체결력이 향상된다. 이때, 제3 스토퍼(53)는 사례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제3 스토퍼(53)가 적용될 수 있다. 제3 스토퍼(53)는 세로지지부(20)에서의 높이(H)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스토퍼(51, 52)는 높이(H)가 결정된 상태에서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나, 제3 스토퍼(53)는 높이(H)가 달라지면 제3 스토퍼(5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3 스토퍼(52)는 탈착이 가능한 스토퍼이다. Referring to FIG. 6 , the third stopper 53 includes a band 53a, a fixing part 53b and a tightening part 53c. The third stopper 53 may replace the first stopper 51 attached to the cylindrical second support 25 . The third stopper 53 is connect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upport 25 by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band 53a by the rotation of the tightening part 53c, but the band 53a and the second supporter The fastening force of (25) is improved.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stopper 53 is only presented as an example, various types of the third stopper 53 may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opper 53 may respon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height H in the vertical support 20 . Specifically, it is useful to apply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51 and 52 in a state where the height H is determined, but the third stopper 53 is the position of the third stopper 53 when the height H is differ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djustable. Accordingly, the third stopper 52 is a detachable stopper.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내검기(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상부벌통(TH)이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2 내검기(200)는 회전용 바퀴(70)를 포함하는 구조인 것을 제외하고, 제1 내검기(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inner geomgi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eehive (TH) is mounted. At this time, the second inner geom 200 is the same as the first inner geom 100, except that the structure including the rotating wheel (70).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받침대(10)의 하부에는 받침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용 바퀴(70)가 장착된다. 회전용 바퀴(70)는 360도로 회전이 가능한 바퀴가 바람직하며, 공지된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받침대(10)가 회전하면, 가이드부(30)도 같이 회전한다. 가이드부(30)에 상부벌통(TH)이 탑재되면, 회전용 바퀴(70)에 의한 회전으로 상부벌통(TH)는 하부벌통(LH)의 측면으로 이동한다. 회전용 바퀴(70)는 회전을 멈추고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71)는 받침대(1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회전용 바퀴(70)에 설치될 수 있다. 7 and 8 , a rotating wheel 70 for rotating the pedestal 1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edestal 10 . The rotating wheel 70 is preferably a wheel capable of rotating 360 degrees, and any known one is possible. When the pedestal 10 rotates, the guide part 30 also rotates. When the upper beehive (TH) is mounted on the guide unit 30 , the upper beehive (TH) moves to the side of the lower beehive (LH) by rotation by the rotating wheel 70 . The rotating wheel 70 may include a fixing part 71 for stopping rotation and fixing to the ground. The fixing part 71 may be installed on the pedestal 10 , and may be installed on the rotating wheel 70 as is already known.

세로지지부(20a)는 높이(H)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H)는 바닥면으로부터 가이드부(30)의 상면까지를 지칭하며, 받침대(10) 및 제1 가로대(31)의 간격이다. 높이(H)를 조절하기 위하여, 받침대(10)와 결합되는 제1 지지대(21) 및 제1 가로대(31)와 결합되는 제4 지지대(28)를 포함한다. 제4 지지대(28)는 제1 지지대(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높이(H)가 조절된다. 즉, 제4 지지대(28)가 제1 지지대(21)의 내부로 깊게 삽입되면 높이(H)가 낮아지고, 제4 지지대(28)의 내부로 낮게 삽입되면 높이(H)가 높아진다. 높이(H)의 조절이 완료되면, 고정레버(22)를 돌려서 제4 지지대(28)를 고정한다. 제4 지지대(28)의 단부는 제1 내검기(10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손잡이 커버(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support 20a can adjust the height H. The height H refer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unit 30 from the bottom surface, an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edestal 10 and the first crossbar 31 .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H, it includes a first support 21 coupled to the base 10 and a fourth support 28 coupled to the first crosspiece 31 . The fourth support 28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support 21, the height (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That is, when the fourth support 28 is deeply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21 , the height H decreases, and when the fourth support 28 is inserted low into the inside of the fourth support 28 , the height H increases. When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H is completed, the fourth support 28 is fixed by turning the fixing lever 22 . The end of the fourth supporter 28 may include a handle cover 29 serving the same role as the first inner gum device 100 .

제4 지지대(28)는 제1 가로대(31)에 접합된 고정프레임(24)에 삽입되고, 고정레버(23)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프레임(24)은 제1 가로대(31)에 접합된다. 고정레버(23)를 돌리면, 제2 지지대(25)는 고정프레임(24)에 고정된다. 고정프레임(24) 및 고정레버(23)는 제2 지지대(25)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내검기(200)는 회전용 바퀴(70)에 의해 회전하므로, 고정레버(23)에 의해 고정되는 제4 지지대(28)의 고정을 해소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다 확실한 고정을 위하여, 제4 지지대(28)은 각형이 바람직하다. The fourth support 28 is inserted into the fixing frame 24 joined to the first crosspiece 31 , and is fixed by the fixing lever 23 . To this end, the fixed frame 24 is bonded to the first crosspiece (31). When the fixing lever 23 is turned, the second support 25 is fixed to the fixing frame 24 . The fixing frame 24 and the fixing lever 23 are for fixing the second support 25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inner gum 200 is rotated by the rotating wheel 70 , it is not necessary to eliminate the fixing of the fourth support 28 fixed by the fixing lever 23 . In addition, for more reliable fixing, the fourth support 28 is preferably a square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내검기(100)는 가이드부(30)와 함께 고정프레임(24)이 회전을 하고, 받침대(10)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런데, 제2 내검기(200)는 받침대(10)와 함께 가이드부(30)가 회전하여, 받침대(10)도 회전한다. 또한, 제1 내검기(100)는 회전을 위하여 고정레버(23)에 의한 고정프레임(24)의 고정을 해소해야 하고, 고정프레임(24)의 하강을 방지하는 스토퍼(50)가 필요하다. 하지만, 제2 내검기(200)는 고정레버(23)에 의한 고정프레임(24)의 고정을 해소할 필요가 없다. 다만, 가이드부(30)를 회전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서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30)의 회전에 역할을 부여하는 고정프레임(24), 회전용 바퀴(70)를 회전부라고 한다. The first inner geomgi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frame 24 with the guide unit 30 rotates, and the pedestal 10 does not rotate. By the way, in the second inner geomgi 200, the guide unit 30 rotates with the pedestal 10, and the pedestal 10 also rotates. In addition, the first test device 100 is required to eliminate the fixing of the fixed frame 24 by the fixed lever 23 for rotation, and a stopper 50 to prevent the lowering of the fixed frame 24 . However, there is no need to solve the fixing of the fixing frame 24 by the fixing lever 23 in the second internal test device 200 .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rotating the guide part 30, they are the same as each other. In this way, the fixed frame 24, which gives a role to the rotation of the guide unit 30, and the rotating wheel 70 are referred to as a rotating unit.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100, 200; 제1 및 제2 내검기
10; 받침대
20, 20a; 세로지지대
21, 25, 27, 28; 제1 및 제4 지지대
22, 23; 고정레버 24; 고정프레임
26, 29; 손잡이 커버
30; 가이드부
31, 32, 33; 제1 내지 제3 가로대
34; 세로대 40; 슬라이딩부
41; 레일 42; 슬라이더
50; 스토퍼
51, 52, 53; 제1 내지 제3 스토퍼
60; 버팀대 61; 이동용 바퀴
70; 회전용 바퀴 71; 고정부
100, 200; 1st and 2nd Endoscopy
10; Pedestal
20, 20a; vertical support
21, 25, 27, 28; first and fourth supports
22, 23; fixing lever 24; fixed frame
26, 29; handle cover
30; guide
31, 32, 33; first to third crossbars
34; column 40; sliding part
41; rail 42; slider
50; stopper
51, 52, 53; first to third stoppers
60; brace 61; mobile wheels
70; swivel wheel 71; fixed part

Claims (11)

계상벌통의 상부벌통이 세워지거나 이동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며, 원통 형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세로지지부;
상기 원통 형태의 지지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함께 회전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강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의 가로대 및 복수개의 세로대를 포함하여 격자를 이루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가로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
The upper beehive of the nesting beehive is erected or moved;
a vertical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guide part and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including a cylindrical support;
a fixed frame into which the cylindrical support is inserted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guide part using the support as a rotation axis; and
It is attached to the support and include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lowering of the fixed frame,
The guide por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crossbar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to form a grid, and the fixed frame is an inner geomgi of the gyeyangbeoltong comprising a rot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ross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원통 형태의 제1 부분 및 각형인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is made of a cylindrical first part and a prismatic second part, and the stopper is attached to the second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각형 또는 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is an inner geomgi of gyesang beehong comprising a rot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quare or ring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대에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is the inner geomgi of the gyesangbeehong comprising a rot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from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밴드 및 조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를 회전시켜 상기 밴드의 직경을 변화시켜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includes a band and a tightening unit, and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band by rotating the tightening unit, the inner geomgi of the gyeyangbeoltong comprising a rot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원통 형태 또는 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frame is a cylindrical shape or a prismatic inner geomgi of the gyesangbeehong comprising a rot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할 때에는 상기 고정이 해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frame is fixed by a fixed lever, and when the fixed frame rotates, the fixed frame inner geom including a rot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is resol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버팀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is equipped with at least one brace equipped with a moving wheel, the inner geomgi of the gyesanbeehong comprising a rot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계상벌통의 상부벌통이 세워지거나 이동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세로지지부;
상기 원통 형태의 지지대가 삽입되고,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세로지지대에 결합되고, 하부에 회전용 바퀴가 장착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
The upper beehive of the nesting beehive is erected or moved;
a vertical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guide part and including a support part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 fixing frame into which the cylindrical support is inserted and fixed by a fixing lever; and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the inner geomgi of the gyesangbeoltong comprising a rotating part comprising a pedestal mounted with a rotating wheel at the botto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검기는 회전용 바퀴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ner geomgi gyeomgi containing a rot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portion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whee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버팀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is equipped with at least one brace equipped with a moving wheel, the inner geomgi of the gyeyangbeehong comprising a rot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0034420A 2021-03-17 2021-03-17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rotating part KR202201297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420A KR20220129750A (en) 2021-03-17 2021-03-17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rotat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420A KR20220129750A (en) 2021-03-17 2021-03-17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rotating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750A true KR20220129750A (en) 2022-09-26

Family

ID=8345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420A KR20220129750A (en) 2021-03-17 2021-03-17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rotating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97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2110503A1 (en) Divider of a milking parlor arrangement and milking parlor arrangement
EP2825031B1 (en) Milking parlor arrangement with an inner robot device
DE2418210C2 (en) Rotary haymaker
DE1937997A1 (en) Collapsible scaffolding
RU2006118343A (en) AGRICULTURAL MACHINE FOR ROLLING AND COLLECTION OF MILLED MASS LOCATED ON THE LAND
EP1391149A1 (en) Cover for a vehicle with open topped container
DE60110065T2 (en) CAROUSEL MILKING MANAGEMENT
KR20220129750A (en)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rotating part
PT2210472E (en) Harvesting head and self-propelled high-clearance machine applying same, used for harvesting berries from hedges
MX2008012724A (en) A rotary parlour for milking of animals.
DE1603179B2 (en)
KR200493178Y1 (en) 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KR200495984Y1 (en)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sliding part
CN110463471A (en) A kind of Novel crop planting growth climbing frame
DE60106877T2 (en) DEVICE FOR AT LEAST ONE MELKSTAND AND STALL WITH MULTIPLE MELKSTAENEN
DE202009016489U1 (en) Apparatus for relieving branches and trees or bushes, in particular supporting fruit trees
KR20180001415U (en) Farm-based plastic coating
DE849777C (en) Portable pneumatic milking machine
CN220338125U (en) Insect pest monitoring system
DE3638221C2 (en)
KR101842582B1 (en) harvest asist device of fruit
CN214595160U (en) Quilt support
EP3020271B1 (en) Stall arrangement
DE69909216T2 (en) Lifting device, in particular to facilitate the turning of cheese trays during maturation
KR20240033758A (en) The device for lifting beeh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