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78Y1 - 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78Y1
KR200493178Y1 KR2020200003045U KR20200003045U KR200493178Y1 KR 200493178 Y1 KR200493178 Y1 KR 200493178Y1 KR 2020200003045 U KR2020200003045 U KR 2020200003045U KR 20200003045 U KR20200003045 U KR 20200003045U KR 200493178 Y1 KR200493178 Y1 KR 200493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vertical
pair
seating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0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용
이해인
이문경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3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7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는 내부에 복 수의 벌집틀이 일렬로 적층되는 벌통본체와, 상기 벌통본체의 상부를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벌통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벌통본체와 벌통뚜껑 사이에 안내공간이 형성된 복 수개의 벌통이 수직으로 적층되는 벌통부를 내검하는 벌통 내검보조기에 있어서, 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배치되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대가 구비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수직대 외측면에 삽입되며, 상기 수직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되고, 회전고정구의 회전에 의해 설정높이에 고정되는 수직이동부; 일단이 상기 수직이동부의 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의 받침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양단에 직각을 이루도록 수평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착대가 구비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안착대 사이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과 타측에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보조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이동부의 후면과 수평지지부의 하부 일단이 회전식브라켓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와 수평지지부가 접철되거나 직각으로 펼쳐지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안착대가 상기 벌통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안내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벌집틀이 상기 보조거치부에 걸쳐지거나, 상기 안착대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벌통부가 상기 수평지지부로 수평 이동된다.A multi-functional beehive-resistant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ehive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beehive frames are stacked in a row, and a beehive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eehive body to seal the interior thereof, and the beehive body and A beehive-proof aid device for inspecting a beehiv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eehives with a guide space formed between the beehive lids are vertically stacked, wherein a support placed on the ground and a vertical stand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and vertically erected are provided. Support; A vertical movable part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tand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moving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tand, and fixed to a set height by rotation of the rotating fixture;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able portion and provided with a hold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edestal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a pair of holders horizontally coupled to form a right angle to both ends of the holder; And an auxiliary mounting part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eating tables and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at a set interval to be fixed, w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re coupled with a rotary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moving pa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re folded or spread at a right angle, and the seating table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guide spaces selected from the beehive part, the honeycomb frame spans the auxiliary support part, or the The beehive portion disposed above the seating table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Description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 {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본 고안은 적층된 벌통의 내부를 쉽고 간편하게 개폐하여 안정적으로 내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eehive-proof assist device that allows the interior of the stacked beehives to be easily and conveniently opened and closed to perform a stable inspection operation.

일반적으로 양봉업자들은 좁은 공간에 수많은 벌통을 설치하여 꿀을 채집하고 있는데, 양봉작업은 공간활용과 양봉작업의 관리를 좋게 하기 위해 대부분의 벌통을 2단, 3단등으로 계상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단상벌통 위에 또 하나의 벌통을 적층하여, 하부벌통은 산란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상부벌통은 꿀을 저장하는 저밀방으로 사용하는 계상벌통 적층 방식이 많이 운용된다.In general, beekeepers install a number of beehives in a narrow space to collect honey, and in beekeeping operations, most of the beehives are counted as 2nd and 3rd layers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beekeeping operations. In addition, by stacking another beehive on the single-phase beehive, the lower beehive is used for spawning purposes, and the upper beehive is used as a low-tight room to store honey.

벌통은 꿀의 생산량 증가와 품질 향상을 위해 내검작업이 필수적이다. 이 내검을 통해 여왕벌 유무 확인, 산란과 육아상태, 병해충 발생유무, 일벌의 상태 및 벌집틀(소비) 점검 등의 확인과 바닥청소 작업이 이루어진다. 특히, 바닥에 찌꺼기가 오래되고 내부가 깨끗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누리가 생기기 쉽고, 누리가 생기면 구더기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검작업을 제때 하지 못하면 일벌의 활동량이 감소되어 벌꿀 수확량이 줄어들어 양봉장의 수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The beehive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honey's production and improve its quality. Through this internal examin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queen bees, spawning and rearing status, whether pests have occurred, the status of worker bees, and check the beehive frame (consumption), and floor cleaning work. In particular, if the debris on the floor is old and the interior is not managed cleanly, it is easy to generate the nuri, and when nuri is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maggots are generated. In addition, if the inspection work is not performed in a timely manner,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worker bees decreases and the yield of honey decreases,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ering the profitability of the apiary.

한편, 벌통은 내검작업시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진행되고 소요되는 작업량이 많아 노동력이 가중되며, 무거운 벌통을 들어 옮기고 다시 들어 놓는 등의 엄청난 힘이 요구되어 내검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질환 유발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부벌통을 바닥에 내려 놓게 되면 벌통의 바닥에 이물질이 묻게 되고, 이 상부벌통을 다시 하부 벌통에 적층하게 되면 그 이물질이 하부벌통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beehive is carried out manually during the internal inspection, and labor is increased due to the large amount of work required, and a tremendous force such as lifting and relocating the heavy beehive is required.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when the upper beehive is put down on the floor, foreign substances ar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beehive, and when the upper beehive is stacked on the lower beehive again, the foreign substance enters the inside of the lower beehiv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3654호 “벌통 내검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벌통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서브폴대를 손으로 들고 벌통의 상부에 밀착시킨 후 전방걸이대와 후방걸이대를 벌통의 전후로 고정시킨 다음 작업자가 손잡이를 상부로 젖혀 벌통이 개방된다. 그러나 벌통이 뒤로 젖혀지면서 회전되어 내부의 벌들이 요동하게 되며, 내부의 꿀이나 애벌레가 벌집틀(소비)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발생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53654 "Hive Inner Inspection" has been disclosed. In order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eehive, the operator directly holds the sub-pole by hand and attaches it to the top of the beehive. After fixing the hook and rear hook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eehive, the operator flips the handle upward to open the beehive. However, as the hive is tilted back, it rotates, causing the bees inside to fluctuate,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honey or the larva inside will be separated from the hive frame (consumption).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2043395호 “가이드를 포함하는 계상 벌통의 내검보조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부벌통이 가이드의 상부로 회전되어 내검작업이 진행되는 구조로, 상부벌통을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가이드의 고정핀을 하부벌통에 고정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부벌통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와 같이 내부의 벌들이 요동하거나 꿀이나 애벌레가 이탈되는 문제로 인해 실질적으로 잘 활용되지 않았다. 또한, 내검작업시 가이드의 상부에 지지되는 상부벌통이 지지대를 벗어나면서 떨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0-2043395, “Anti-sighting aid for a hive including a guide” is disclosed, but the upper hive is rotated to the upper part of the guide to allow the internal examination. In the raised state, it was difficult to fix the fixing pin of the guide to the lower beehive. In addition, when the upper beehive is rotated, it has not been effectively utilized due to the problem that the internal bees swing or the honey or the larvae are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pper beehive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was dropped or damaged while leaving the support during the internal inspection opera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100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9110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365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5365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 수의 벌통이 적층된 상태에서 벌통을 들고 내리는 동작없이 간편하게 내검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벌집틀을 임시로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로 하지 않는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inspection work without lifting and lowering the beehiv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eehives are stacked, and a multifunctional beehive inspection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holder to temporarily mount the honeycomb frame. It is in providing a brac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는 내부에 복 수의 벌집틀이 일렬로 적층되는 벌통본체와, 상기 벌통본체의 상부를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벌통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벌통본체와 벌통뚜껑 사이에 안내공간이 형성된 복 수개의 벌통이 수직으로 적층되는 벌통부를 내검하는 벌통 내검보조기에 있어서, 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배치되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대가 구비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수직대 외측면에 삽입되며, 상기 수직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되고, 회전고정구의 회전에 의해 설정높이에 고정되는 수직이동부; 일단이 상기 수직이동부의 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의 받침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양단에 직각을 이루도록 수평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착대가 구비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안착대 사이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과 타측에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보조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이동부의 후면과 수평지지부의 하부 일단이 회전식브라켓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와 수평지지부가 접철되거나 직각으로 펼쳐지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안착대가 상기 벌통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안내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벌집틀이 상기 보조거치부에 걸쳐지거나, 상기 안착대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벌통부가 상기 수평지지부로 수평 이동된다.A multi-functional beehive-resistant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ehive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beehive frames are stacked in a row, and a beehive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eehive body to seal the interior thereof, and the beehive body and A beehive-proof aid device for inspecting a beehiv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eehives with a guide space formed between the beehive lids are vertically stacked, wherein a support placed on the ground and a vertical stand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and vertically erected are provided. Support; A vertical movable part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tand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moving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tand, and fixed to a set height by rotation of the rotating fixture;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able portion and provided with a hold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edestal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a pair of holders horizontally coupled to form a right angle to both ends of the holder; And an auxiliary mounting part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eating tables and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at a set interval to be fixed, w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re coupled with a rotary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moving pa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re folded or spread at a right angle, and the seating table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guide spaces selected from the beehive part, the honeycomb frame spans the auxiliary support part, or the The beehive portion disposed above the seating table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벌통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설정두께의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설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단턱지게 형성되며, 상부에 안착면이 갖추어지는 안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안착대는, 타측 하부면에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의 안착면에 배치되며, 상기 벌통본체의 가장자리 상단에 밀착되는 이동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착대가 상기 안내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이동방지홈이 상기 벌통본체의 가장자리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ehive body is made of a hexahedron having a set thickness with an open upper part, a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to a set interval, and having a seating surface thereon; Including, and the pair of seating, a rectangular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is dispos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the movement preventing groov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beehive body; As the pair of seats are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the movement preventing groove may be caught on the edge of the beehive body, thereby restricting movement.

또한, 상기 한 쌍의 안착대는, 측면 내측상단과 하부면 내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대의 길이방향으로 설정폭을 갖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벌통부가 상기 한 쌍의 안착대로 이동되면서 상기 벌통부가 제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안내돌기를 따라 이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seats includes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side and the inner end of the lower surface, and protruding inward so as to have a set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unit, and the beehive unit includes the pair of seating units. The moving direction may be guided along the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beehive does not leave its position while being moved as it is.

또한, 상기 한 쌍의 안착대는, 하부면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대의 길이방향으로 설정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양끝단이 하향 경사진 슬라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벌통부가 상기 한 쌍의 안착대로 이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안착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seats ar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urface, and are formed to have a set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and both ends of the seats are inclined downwardly; includes, and the beehive portion is the pair of seats. While being moved, the slide can be moved to the pair of seating units by the slide rail.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 beehive internal sword a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복 수의 벌통이 적층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직접 들고 내릴 필요없이 내검작업을 수행할 벌통의 설치높이에 따라 수직이동부의 설정높이가 조절되며 적층된 벌통의 위치에 관계없이 내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state that multiple beehives are stacked, the set height of the vertical moving par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eehive to perform the inspection work without the need for the operator to lift and lower it. have.

이와 동시에 벌통의 안내공간으로 수평지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의 벌통부가 수평지지부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평이동 동작만으로 벌통의 내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work of the beehive only with the horizontal movement motion of the upper beehive part sli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while the horizontal support part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of the beehive, reducing working time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또한, 벌통의 내검작업시 벌집틀이 임시로 거치될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할 필요없이 보조거치부에 임시로 거치될 수 있어, 작업준비시 물품이 간소화되며 하나의 벌통 내검보조기로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ehive frame can be temporarily mounted on the auxiliary holder without the need to provide a separate holder for temporary installation of the beehive during the inspection work of the beehive. Can be done.

그리고 벌통의 안내공간으로 한 쌍의 안착대가 삽입되면서 벌통본체의 가장자리에 이동방지홈이 밀착되어 제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이 제한되며, 설치가 간편하고 정확한 지점에 설치를 완료할 수 있어, 재위치 조절이 필요하지 않아 불필요한 동작이 반복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a pair of seating pads are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of the beehive, the movement preventing groo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beehive body so that the movement is restricted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its 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unnecessary operations are not repeated because no adjustment is required.

또한, 벌통부가 한 쌍의 안착대에 이동되면서 한 쌍의 안착대에 형성된 안내돌기에 의해 좌우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안착대의 하부에 결합된 슬라이드레일에 의해 벌통부가 수평지지부로 매끄럽게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beehive is moved to the pair of seats, it can be stably moved without shaking left and right by the guide protrusions formed on the pair of seats, and the beehive portion is smoothly mov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by the slide rail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table. Can be.

그리고 수직이동부와 수평지지부가 접철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벌통 내검보조기를 미사용시 접혀진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 및 보관성이 우수하며, 사용시에만 펼쳐진 상태로 설치하여 편리함이 향상될 수 있다.And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movable pa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re folded, so that the beehive inspection aid can be stored in a folded state when not in use, so it has excellent portability and storage, and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installing it in an unfolded state only when in us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가 벌통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벌통부가 수평지지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벌통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수직이동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부와 수평지지부의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벌집틀이 보조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functional beehive-proof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eehiv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beehive part of FIG. 1 has been mov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ar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vertical moving part is moved up and down while the beehive part of FIG. 1 is removed.
4 shows a folded state of a vertical moving part and a horizontal suppor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neycomb frame of FIG. 1 is mounted on the auxiliary crad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r method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의 실시예에는 적층된 복 수의 벌통을 들고 내리는 동작이 반복되는 종래의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와 달리, 적층된 복 수의 벌통이 수평이동되는 동작만으로 내검작업이 간편하게 수행되며, 내검작업 수행시 벌집틀이 별도의 거치대없이 보조거치부에 임시로 거치되는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간략하게 "내검보조기"로 호칭하기로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ulti-functional beehive-proof aid in which the operation of lifting and lowering the stacked multiple beehives is repeated, the inspection work is easily performed only by the motion of horizontally moving the stacked multiple beehives. When the honeycomb frame is temporarily mounted on the auxiliary cradle without a separate cradle, it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eehive-proof aid, which will be briefly referred to hereinafter as a "test-proof aid".

또한, 본 실시예의 내검보조기의 상하좌우 방향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된 내검보조기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을 '일측', 우측방향을 '타측'으로 규정하고, 지면방향을 '하방향', 반대 방향을 '상방향'으로 규정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고안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rosthetic prosthetic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the left direction is defined as'one side' and the right direction is'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prosthetic prosthetic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the paper direction is'downward'. , By defining the opposite direction as'upward direc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and of course, each direction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standard is plac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가 벌통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벌통부가 수평지지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내검보조기는 벌통 내검작업 수행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층된 벌통에 설치되는 장치로, 벌통이 수평으로 이동되어 지지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벌통 내부의 내검작업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functional beehive proof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eehive, and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beehive part of FIG. 1 is moved to a horizontal support part. 1 and 2, the inspection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installed in a stacked beehiv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rk when performing a beehive-proof operation, and consists of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beehive can be moved horizontally and supported. Internal inspection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상세히, 내검보조기는 적층된 복 수의 벌통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필요없이 벌통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벌통의 내부가 개방되어 내검작업이 수행되며, 별도의 거치대없이 벌집틀이 임시로 거치되어 벌통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벌통부(100)를 내검하는 벌통 내검보조기는 수직지지부(200), 수직이동부(300), 수평지지부(400) 및 보조거치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detail, the inspection aid is performed by opening the inside of the beehive as the beehive par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out the need to lift or lower the stacked plurality of beehives, and the beehive frame is temporarily mounted without a separate holder. Can be cleaned. The beehive-proof aid for inspecting the beehive part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support part 200, a vertical movable part 300, a horizontal support part 400, and an auxiliary cradle 500.

우선, 본 고안의 내검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전 내검을 위한 벌통부(10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벌통부(100)는 복 수개의 벌통이 수직으로 2단, 3단 등으로 적층된 구조로, 내검작업시 적층된 단수별로 벌통을 열어 벌통의 내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벌통은 벌통본체(110)와 벌통뚜껑(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벌통은 벌통본체(110)와 벌통뚜껑(120) 사이에 안내공간(101)이 형성되어 내검보조기가 안내공간(10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beehive unit 100 for internal examin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fore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sword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beehive unit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eehives are vertically stacked in two stages, three stages, etc., and an operation to check the inside of the beehive is performed by opening the beehives for each of the stacked stages during inspection. At this time, the beehive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eehive body 110 and a beehive lid 120, and the beehive is formed with a guide space 101 between the beehive body 110 and the beehive lid 120, so that the inner gum aid is guided. It is fixedly instal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101.

벌통본체(110)는 내부에 복 수의 벌집틀(10)이 일렬로 적층되어 벌들이 새끼를 키우고 꿀을 저장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방된 설정두께의 육면체로 이루어져 내검작업시 작업자가 벌통본체(110)의 상부를 통해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이때, 벌통본체(110)는 내부에 적층된 벌집틀(10)이 벌통본체(110)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검작업시 벌집틀(10)을 벌통본체(110)의 외부로 꺼내 벌집틀(10)을 점검하거나 벌통본체(110)의 내부 바닥청소 작업이 수행된다.The beehive body 11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honeycomb frames 10 are stacked in a row to provide a space for bees to raise their young and store honey. The upper part is made of a hexahedron of a set thickness with an open top for internal inspection. It is equipped so that the city worker can observe the inside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beehive body 110. At this time, the beehive body 110 is formed so that the honeycomb frame 10 stacked therein can be separated from the beehive body 110 individually, and the honeycomb frame 1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beehive body 110 during internal inspection. Take out and inspect the honeycomb frame 10 or clean the floor inside the beehive body 110 is performed.

또한, 벌통본체(110)는 내검보조기 설치를 위해 내검보조기가 안내공간(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착돌기(111)가 포함될 수 있다. 안착돌기(111)는 벌통본체(110)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설정간격(h)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단턱지게 돌출된다. 이때, 안착돌기(111)는 내검보조기가 안내공간(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평평한 안착면이 갖추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eehive body 110 may include a seating protrusion 111 that is formed to be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rosthetic prosthesis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01 for installation of the prosthetic prosthesis. The seating protrusion 111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beehive body 110 in a set interval h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protrudes stepped outward. At this time, the seating protrusion 111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having a flat upper portion so that the inner test aid can be stably sea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01.

벌통뚜껑(120)은 벌통본체(110)의 상부를 덮어 벌통본체(1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성으로, 일벌이 벌통본체(110)측으로 들어가거나 나갈 수 있도록 벌통뚜껑(120)의 양측에 개방된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벌통뚜껑(120)은 상부면에 벌통본체(11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음각된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벌통뚜껑(120)의 형상에 의해 복 수의 벌통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벌통부(100)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beehive lid 120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beehive body 110 to seal the interior of the beehive body 110, and is opened on both sides of the beehive lid 120 so that the worker bees can enter or exit the beehive body 110 side. Inlet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beehive lid 120 may have a fixing groove (not shown) engrav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eehive body 110 on the upper surface. Due to the shape of the beehive lid 120, a plurality of beehives can be stably stacked without shaking, and the beehive portion 1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특히, 벌통본체(110)와 벌통뚜껑(120) 사이에 형성된 안내공간(101)은 내검보조기 설치시 벌통에 삽입될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후술될 수평지지부(400)가 내검작업을 수행할 벌통의 안내공간(101)에 삽입된다. 또한, 안내공간(101)은 내검작업시 벌통부(100)가 수평지지부(400)의 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평지지부(400)의 형상과 수평한 형상으로 이동공간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guide space 101 formed between the beehive body 110 and the beehive lid 120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to be inserted into the beehive can be easily grasped when the prosthetic aid is installed, an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performs the internal examination. It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01 of the beehive to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guide space 101 is formed to extend the moving space in a shape horizontal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so that the beehive part 100 can be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during the internal examination. It is desirable.

수직지지부(200)는 내검보조기가 지면에 설치되어 수평지지부(400)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으로, 내검보조기 설치시 벌통부(100)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놓여져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10)와 수직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support part 20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nner test aid is installed on the ground so that one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is support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eehive part 100 to one side when installing the inner test aid and placed on the ground. The vertical support part 200 may include a pedestal 210 and a vertical stand 220 as shown in FIG. 1.

받침대(210)는 철판 또는 각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벌통부(100)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지면에 세로방향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받침대(210)는 벌통부(100)의 하중이 편중되지 않고 양측으로 균일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벌통부(100)의 폭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대(210)는 면적이 확장될수록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The pedestal 210 may be formed of an iron plate or a bar, and is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at a point spaced from the beehive unit 100 to one side. The pedestal 210 is preferably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beehive part 100 so that the load of the beehive part 100 is not biased and can be uniformly supported on both sides. In addition, since the pedestal 210 can be stably supported from the ground as the area expands, it can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is.

수직대(220)는 받침대(210)의 중앙에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받침대(210)와 결합된다. 이때, 수직대(220)는 받침대(210)와 결합되는 하단 양측에 브라켓이 용접되어 받침대(210)로부터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수직대(220)는 사각바 또는 원형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될 수직이동부(300)가 수직대(200)의 외측면을 따라 걸림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The vertical stand 22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edestal 210 and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coupled with the pedestal 210. At this time, the vertical base 220 may be stably erected from the base 210 by welding brackets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coupled to the base 210. In addition, the vertical stand 2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ar or a circular bar, and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to slide smoothly without being jam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tand 200. .

또한, 수직대(220)는 벌통부(100)의 전체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수직이동부(300)가 내검작업을 수행할 벌통의 위치로 수직대(220)를 따라 이동되면서 각각의 벌통의 내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지지부(200)는 받침대(210)의 하부면 양측에 보조바퀴(미도시)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하방향으로 가압시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stand 2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beehive unit 100, and the vertical moving unit 300 is moved along the vertical stand 220 to the position of the beehive to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operation.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internal inspection work of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support part 20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edestal 210, and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when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operator can carry it conveniently.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3은 도 1의 벌통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수직이동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부와 수평지지부의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수직이동부(300)는 내검작업을 수행할 벌통의 위치에 수평지지부(400)가 수직이동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수직지지부(200)의 수직대(220) 외측면을 감싸도록 내부에 수직대(22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이동부(300)는 회전식브라켓(301)과 회전고정구(310)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vertical moving part is moved up and down while the beehive part of FIG. 1 is removed, and FIG. 4 is a folded state of the vertical moving pa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is installed to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at the position of the beehive to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vertical stand 220 is inserte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tand 220 of the support part 200.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may include a rotary bracket 301 and a rotation fixture 310.

회전식브라켓(301)은 수직이동부(300)가 수평지지부(400)로부터 접철되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 수직이동부(300)의 상부 타측면과 수평지지부(400)의 일측 하부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식브라켓(301)은 벌통 내검보조기가 미사용시 접혀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에만 펼쳐진 상태로 설치하여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otary bracket 301 is configured so that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can be folded or unfolde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and is coupled to the other upper side of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and on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do. Such a rotary bracket 301 allows the beehive inspection aid to be stored in a folded state when not in use, and can be installed in an unfolded state only when in use,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and storage.

회전고정구(310)는 손잡이의 회전동작에 의해 수직이동부(300)가 고정되거나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손잡이에 연결된 나사가 수직대(220) 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손잡이의 회전동작에 의해 나사가 전진되거나 후진되면서 수직대(220)측으로 조여지거나 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고정구(310)는 나사가 수직대(220)로부터 후진된 상태에서 수직이동부(300)가 수직대(220)의 외측면을 따라 내검작업을 수행할 벌통의 위치로 이동된 후, 작업자에 의해 회전고정구(310)가 회전 동작되면서 수직이동부(300)측으로 전진되어 수직이동부(300)가 고정된다.The rotating fixture 31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is fixed or mov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handle, and the screw connected to the handle is installed to protrude toward the vertical stand 220 and is screw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handle. As is advanced or reversed, it is tightened or loosened toward the vertical base 220. Such a rotation fixing device 31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beehive to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opera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movement unit 300 in a state in which the screw is retracted from the vertical stand 220, As the rotation fixing tool 310 is rotated by the operator, it is advanced toward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so that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is fixed.

수평지지부(400)는 내검작업시 적층된 복 수의 벌통이 수평으로 이동되어 임시로 거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벌통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내검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벌통이 개방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이러한 수평지지부(400)는 고정대(410)와 안착대(4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is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so that a plurality of stacked beehives can be moved horizontally and temporarily mounted during the internal inspection work, and is intend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beehive part 100 and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work. It is equipped so that the hive can be opene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table 410 and a seating table 420.

고정대(410)는 수직지지부(200)의 받침대(2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고정대(410)의 하부면이 수직이동부(300)의 타측면에 회전식브라켓(301)으로 결합되어 수직이동부(3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같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대(410)는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이동부(300)가 고정대(410)의 중앙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대(410)가 지면으로부터 수평되도록 결합되어 안착대(420)가 연결되게 한다.The fixing table 41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edestal 210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table 41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by a rotary bracket 301 I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300). As for the fixing table 410,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moving part 30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xing table 410 so as to maintain the balance, and the fixing table 410 is coupled to be horizontal from the ground so that the mounting table 420 is connected. Let it be.

안착대(420)는 내검작업을 수행할 벌통의 안내공간(101)에 삽입되어 벌통부(10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L'자형상으로 형성된 형강 또는 절곡된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대(410)의 양단에 직각을 이루도록 수평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안착대(420)는 이동방지홈(421)과 안내돌기(422) 및 슬라이드레일(4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table 420 is a configura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01 of the beehive to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operation to provide a space for the beehive part 100 to slide, and is formed of a section steel formed in a'L' shape or a bent steel plate. It can be made and is horizontally coupled to form a right angle to both ends of the fixing table 410. The mounting table 420 may include a movement preventing groove 421 and a guide protrusion 422 and a slide rail 423.

이동방지홈(421)은 안착대(420)의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홈으로, 내검작업을 수행할 벌통의 안내공간(101)에 안착대(420)를 삽입시 설치위치를 벗어나 더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방지홈(421)은 안착대(420)가 안내공간(101)에 삽입되면서 이동방지홈(421)의 내측단이 벌통본체(110)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이때, 이동방지홈(421)은 벌통본체(110)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리면서 이동이 제한된다.The movement preventing groove 421 is a rectangular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420, and when inserting the seating table 420 into the guide space 101 of the beehive to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operation, it leaves the installation position. It acts as a stopper to prevent it from being inserted. In this movement preventing groove 421, the inner end of the movement preventing groove 4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beehive body 110 as the seating table 4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01. At this time, the movement preventing groove 421 is restricted while being caught on the upper edge of the beehive body 110.

이와 같이, 이동방지홈(421)은 벌통의 안내공간(101)으로 한 쌍의 안착대(420)가 수평되게 삽입되면서 벌통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이동방지홈(421)이 밀착되어 제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이 제한되며, 설치가 간편하고 정확한 지점에 설치를 완료할 수 있어, 재위치 조절이 필요하지 않아 불필요한 동작이 반복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movement preventing groove 421 is a movement preventing groove 421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beehive body 110 while the pair of seating tables 420 are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01 of the beehive. Movement is limit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device, and installation is easy and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at an exact point,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unnecessary operations are not repeated because reposition adjustment is not required.

안내돌기(422)는 벌통부(100)가 한 쌍의 안착대(420)로 이동되면서 좌우로 흔들림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구성으로, 한 쌍의 안착대(420)의 측면 상단과 하부면 내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돌기(422)는 안착대(420)의 길이방향으로 설정폭을 가지며, 벌통부(100)가 안착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안내돌기(422)는 한 쌍의 안착대(420)가 안내공간(101)에 삽입된 후 안착대(420)의 상부에 배치된 벌통부(100)가 안착대(420)로 이동시 수평 이동방향을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여 벌통부(100)가 제위치를 벗어나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422 is a configuration that protrudes so that the beehive part 100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without shaking while moving to the pair of seating tables 420,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seating tables 420 It can be formed on the inner end. The guide protrusion 422 has a set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table 420 and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on which the beehive portion 100 is seated. In detail, the guide protrusion 422 is horizontal when the beehive unit 10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table 420 is moved to the seating table 420 after a pair of seating tables 42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01 By guiding not to deviate from the moving direction, an accident in which the beehive unit 100 falls out of the position may be prevented.

슬라이드레일(423)은 벌통부(100)가 한 쌍의 안착대(420)로 이동시 매끄럽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안착대(420)의 하부면 내측에 결합되며 안착대(420)의 길이방향으로 설정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레일(423)은 벌통본체(110)와 선접촉 되도록 형성되어 벌통부(100)가 한 쌍의 안착대(420)로 이동시 마찰력이 최소화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레일(423)은 양단이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적층된 벌통을 슬라이드레일(423)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slide rail 423 is configured to slide smoothly when the beehive part 100 moves to the pair of seating tables 420, and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420 and It can be formed to have a set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ide rail 423 is formed to be in line contact with the beehive body 110 so that when the beehive part 100 moves to the pair of seating tables 420, frictional force is minimized, so that the slide can be moved. In addition, the slide rail 423 ha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both ends are inclined downward, so that an operator can slide the stacked beehi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ide rail 423 without exerting great force.

따라서, 수평지지부(400)가 벌통의 안내공간(10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의 벌통부(100)가 수평지지부(40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평이동 동작만으로 벌통의 내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01 of the beehive, the upper beehive part 100 slides in th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to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of the beehive. As a result, work time can be shortene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worker safety can be secured.

도 5는 도 1의 벌집틀이 보조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거치부(500)는 벌통부(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해주며, 벌집틀(10)이 임시로 거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조거치부(500)는 한 쌍의 안착대(420) 사이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과 타측에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벌집틀(10)의 양단과 대응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neycomb frame of FIG. 1 is mounted on the auxiliary cradle. Referring to FIG. 5, the auxiliary cradle 500 reinforces the strength so that the beehive part 10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provides a space so that the honeycomb frame 10 can be temporarily mounted. These auxiliary cradles 500 are connected between a pair of seating tables 420, and are preferably fixedly installed to correspond to both ends of the honeycomb frame 10 by being spaced apart at a set interval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이때, 보조거치부(500)는 벌통부(1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과 동시에 벌집틀(10)을 확인하고 벌통본체(1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벌집틀(10)이 거치되는 거치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조거치부(500)는 벌통의 내검작업시 벌집틀(10)이 임시로 거치되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할 필요없이 보조거치부(500)에 임시로 거치되도록 하여, 내검작업 준비시 물품이 간소화되며 하나의 벌통 내검보조기로 벌통 내검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cradle 500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beehive unit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honeycomb frame 10 is mounted to check the honeycomb frame 10 and clean the inside of the beehive body 110 It acts as a cradle. Therefore, the auxiliary cradle 500 is temporarily mounted on the auxiliary cradle 500 withou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cradle for temporarily mounting the honeycomb frame 10 during the inspection work of the beehive. The article is simplified, and the beehive inspection work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one beehive inspection aid.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는 수평지지부(400)의 안착대(420)가 벌통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안내공간(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벌집틀(10)이 보조거치부(500)에 걸쳐지거나, 안착대(420)의 상부에 배치된 벌통부(100)가 수평지지부(400)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벌통이 개방되도록 돕는다. The multi-function beehive-proof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honeycomb frame 10 in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table 420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guide spaces 101 selected from the beehive part. 500), or the beehive part 10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table 420 is slid to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00 to help open the beehive.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we have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 벌집틀
100 : 벌통부
101 : 안내공간
110 : 벌통본체
111 : 안착돌기
120 : 벌통뚜껑
h : 설정간격
200 : 수직지지부
210 : 받침대
220 : 수직대
300 : 수직이동부
301 : 회전식브라켓
310 : 회전고정구
400 : 수평지지부
410 : 고정대
420 : 안착대
421 : 이동방지홈
422 : 안내돌기
423 : 슬라이드레일
500 : 보조거치부
10: honeycomb frame
100: beehive
101: information space
110: beehive body
111: seating protrusion
120: beehive lid
h: setting interval
200: vertical support
210: pedestal
220: vertical bar
300: vertical moving part
301: rotary bracket
310: rotation fixture
400: horizontal support
410: fixture
420: seating table
421: movement prevention groove
422: guide protrusion
423: Slide rail
500: auxiliary cradle

Claims (5)

내부에 복 수의 벌집틀이 일렬로 적층되는 벌통본체와, 상기 벌통본체의 상부를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벌통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벌통본체와 벌통뚜껑 사이에 안내공간이 형성된 복 수개의 벌통이 수직으로 적층되는 벌통부를 내검하는 벌통 내검보조기에 있어서,
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배치되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대가 구비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수직대 외측면에 삽입되며, 상기 수직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되고, 회전고정구의 회전에 의해 설정높이에 고정되는 수직이동부;
일단이 상기 수직이동부의 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의 받침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양단에 직각을 이루도록 수평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착대가 구비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안착대 사이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과 타측에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보조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이동부의 후면과 수평지지부의 하부 일단이 회전식브라켓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와 수평지지부가 접철되거나 직각으로 펼쳐지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안착대가 상기 벌통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안내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벌집틀이 상기 보조거치부에 걸쳐지거나, 상기 안착대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벌통부가 상기 수평지지부로 수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
A beehive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honeycomb frames are stacked in a row, and a beehive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eehive body to seal the interior, and a plurality of beehives having a guide space formed between the beehive body and the beehive lid In the beehive-proof aid for inspecting the beehives vertically stacked,
A vertical support unit disposed on the ground and provided with a vertical stand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and and vertically erected;
A vertical movable part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tand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moving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tand, and fixed to a set height by rotation of the rotating fixture;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able portion and provided with a hold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edestal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a pair of holders horizontally coupled to form a right angle to both ends of the holder; And
Includes; an auxiliary cradle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eats and fixed to the low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t a set interval, and
Any one of the guide spaces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able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re coupled with a rotary bracket so that the vertical movable pa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re folded or unfolded at a right angle, and the seating table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is selected from the beehive part.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beehive frame is over the auxiliary crater, or the multi-functional beehive-proof aid, characterized in that the beehive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horizontal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설정두께의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설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단턱지게 형성되며, 상부에 안착면이 갖추어지는 안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안착대는,
타측 하부면에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의 안착면에 배치되며, 상기 벌통본체의 가장자리 상단에 밀착되는 이동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착대가 상기 안내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이동방지홈이 상기 벌통본체의 가장자리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eehive body,
It consists of a hexahedron of a set thickness with an open top,
Including; a sea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a position spaced from the upper end to a set interval to be stepped, and has a seating surface on the upper side,
The pair of seats,
Including; a rectangular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is dispos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beehive body;
A multi-functional beehive-proof ai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of the pair of seats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while the movement preventing groove is caught by the edge of the beehiv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착대는,
측면 내측상단과 하부면 내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대의 길이방향으로 설정폭을 갖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벌통부가 상기 한 쌍의 안착대로 이동되면서 상기 벌통부가 제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안내돌기를 따라 이동방향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seats,
Includes; a guide protrusion formed at the inner upper end of the side surface and the inner end of the lower surface, and protruding inward to have a set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table,
As the beehive unit is moved to the pair of seating zones, the moving direction is guided along the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beehive unit does not leave its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착대는,
하부면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대의 길이방향으로 설정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양끝단이 하향 경사진 슬라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벌통부가 상기 한 쌍의 안착대로 이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안착대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seats,
It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have a set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both ends of the slide rail inclined downward; includes,
As the beehive unit is moved to the pair of seating zones, the multi-functional beehive-proof assis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moving portion is moved to the pair of seating zones by the slide rail.
삭제delete
KR2020200003045U 2020-08-20 2020-08-20 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KR2004931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45U KR200493178Y1 (en) 2020-08-20 2020-08-20 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45U KR200493178Y1 (en) 2020-08-20 2020-08-20 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78Y1 true KR200493178Y1 (en) 2021-02-10

Family

ID=7456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045U KR200493178Y1 (en) 2020-08-20 2020-08-20 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7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05U (en) * 2020-12-09 2022-06-16 조동환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sliding part
KR20230053742A (en) * 2021-10-14 2023-04-24 안영신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54B1 (en) 2012-11-23 2014-01-20 상주시 Inspecting apparatus inner beehive
KR200491100Y1 (en) 2019-10-24 2020-02-19 조동환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uilt up bee hive having gu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54B1 (en) 2012-11-23 2014-01-20 상주시 Inspecting apparatus inner beehive
KR200491100Y1 (en) 2019-10-24 2020-02-19 조동환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uilt up bee hive having guid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05U (en) * 2020-12-09 2022-06-16 조동환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sliding part
KR200495984Y1 (en) * 2020-12-09 2022-10-06 조동환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sliding part
KR20230053742A (en) * 2021-10-14 2023-04-24 안영신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KR102659757B1 (en) * 2021-10-14 2024-04-23 안영신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178Y1 (en) Multifunctional auxiliary device of internal inspection for beehive
KR101353654B1 (en) Inspecting apparatus inner beehive
KR101306319B1 (en) Machine that automatically remove the beeswax from the honeycomb
JP7196321B2 (en) automatic bee sweeper
KR102046485B1 (en) Inspecting apparatus for inner beehive
EP1827200A1 (en) Crockery basket for a dishwasher
JP3173936U (en) Beekeeping nest frame and beekeeping nest box
SE436982B (en) WATER PROTECTION TABLE FOR STOVE MACHINE
KR102169625B1 (en) Apparatus for inspecing internal of beehive box
KR102435659B1 (en) Automatic apparatus for removing bees
CN211430530U (en) Pet cage convenient to wash
CN211910139U (en) Balcony bee-keeping device
KR20190001701U (en) Internal inspection apparatus of beehive
KR102421176B1 (en) Horizontal flame for collecting royal jelly
KR102062909B1 (en) Inspecting Apparatus for Inner of Divided Type Beehive
KR200383113Y1 (en) A beehive slide opening and shutting type heaping a format
JP3170555U (en) Capture trap
RU215987U1 (en) Hive
KR200333819Y1 (en) Duplex beehive opening and shutting of beehive is easy
KR200495984Y1 (en) 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sliding part
CN214071239U (en) Beehive base with powder removing function and beehive
CN110961345A (en) A screening plant for rape seed processing
CN217446300U (en) Silkworm breeding box convenient to silkworm excrement clearance
CN218587963U (en) Novel multifunctional beehive
JP6134517B2 (en) Beekeep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