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720A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720A
KR20220129720A KR1020210034283A KR20210034283A KR20220129720A KR 20220129720 A KR20220129720 A KR 20220129720A KR 1020210034283 A KR1020210034283 A KR 1020210034283A KR 20210034283 A KR20210034283 A KR 20210034283A KR 20220129720 A KR20220129720 A KR 20220129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isposed
layer
base layer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만
구민상
김상훈
김유리
최민훈
황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9720A/ko
Priority to US17/529,987 priority patent/US11514825B2/en
Priority to CN202210223554.2A priority patent/CN115083268A/zh
Publication of KR2022012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23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함몰부가 정의된 베이스층, 제1 함몰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나노 패턴층, 및 제1 나노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연질부를 포함하여, 윈도우의 폴딩 특성, 내충격 특성이 확보되면서도, 광학적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WINDDOW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딩 특성 및 내충격 특성이 확보되면서도,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다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 중 폴더블 표시 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된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가요성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된 가요성 윈도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폴딩 특성 및 내충격 특성이 확보되면서도,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윈도우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함몰부가 정의된 베이스층, 상기 제1 함몰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나노 패턴층, 및 상기 제1 나노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연질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연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질부와 상기 제2 연질부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중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나노 패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은 원뿔 형상, 회전 포물체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 각각의 선폭은 100 nm 이상 350 nm 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 각각의 높이는 200 nm 이상 300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함몰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함몰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제1 함몰부가 상기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깊이는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층에 정의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측면,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2 내측면, 및 상기 제1 내측면 및 상기 제2 내측면에 수직하는 제1 바닥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노 패턴층은 상기 제1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노 패턴층은 상기 제1 내측면 및 상기 제2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에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함몰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2 함몰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3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3 나노 패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몰부 및 상기 제2 함몰부 각각은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함몰부 및 복수의 상기 제2 함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교번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함몰부에 배치되는 제3 연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몰부가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도록 정의되고,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층에 정의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4 내측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노 패턴층은 상기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4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함께 폴딩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함몰부가 정의된 베이스층, 상기 제1 함몰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나노 패턴층, 및 상기 제1 나노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연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연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질부와 상기 제2 연질부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은 원뿔 형상, 회전 포물체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 각각의 선폭은 100 nm 이상 350 nm 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 각각의 높이는 200 nm 이상 3000 n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에 제공된 함몰부 및 함몰부에 배치된 나노 패턴층에 의해 표시 장치의 폴딩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모스아이 구조를 가지는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나노 패턴층을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함몰부가 정의된 패턴 영역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패턴층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패턴층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DD)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표시면(D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IM)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서는 영상(IM)의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도시하였다.
표시 영역(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영역(DA)의 형상과 비표시 영역(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에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정의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하나의 폴딩 영역(FA)과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이 도시되었으나, 폴딩 영역(FA) 및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3개 이상의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 및 비폴딩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A)은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폴딩축(FX)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표시 장치(DD)의 단변에 평행한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폴딩되면,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된 상태에서 표시면(DS)은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의 배면에 배면 표시 영역(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DD)가 폴딩되면, 상기 배면 표시 영역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인-폴딩(in-fold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 장치(DD)의 동작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가 폴딩되면,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서로 대향(opposing)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된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아웃-폴딩(out-fold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중 어느 하나의 동작만 가능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DD)는 인-폴딩 동작 및 아웃-폴딩 동작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DD)의 동일한 영역,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이 인-폴딩 및 아웃-폴딩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DD)의 일부 영역은 인-폴딩되고, 다른 일부 영역은 아웃-폴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3 방향(DR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표시 모듈(DM) 및 윈도우(W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 및 윈도우(WL) 각각은 폴딩축(FX, 도 1 및 도 2)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는 모듈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광형 표시 패널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표시 모듈(DM) 하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하고, 표시 모듈(DM)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표시 모듈(DM)의 형상과 대응되는 일체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체의 판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는 폴딩 영역(FA)에 중첩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재는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2개 이상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WL)는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L)는 외부 충격에 의해 표시 모듈(DM)이 파손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윈도우(WL)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모듈(DM)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L)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의 표시면은 윈도우(WL)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윈도우(WL)는 베이스층(BS), 제1 연질부(SP1), 및 제2 연질부(SP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에는 제1 함몰부(RE1)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함몰부(RE1)는 폴딩 영역(FA)에 중첩하고, 베이스층(BS)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함몰부(RE1)에는 제1 나노 패턴층(NP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질부(SP1)는 제1 함몰부(RE1)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질부(SP1)는 제1 함몰부(RE1)에 배치된 제1 나노 패턴층(NPL1) 상에 배치되어 제1 함몰부(RE1)를 전체적으로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질부(SP1)은 베이스층(BS)의 상면(UF)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연질부(SP2)는 베이스층(BS)의 상면(UF)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연질부(SP2)는 베이스층(BS)의 상면(UF)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질부(SP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함몰부(RE1)에 배치된 제1 연질부(SP1)와 접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의 적층 구조를 설명한다. 각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부(ISP), 및 반사 방지층(PO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가요성 표시 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표시 모듈(DM)은, 폴딩축(FX, 도 2)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기판(SUB), 회로층(CL), 표시 소자층(OL),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기판(SUB), 회로층(CL), 표시 소자층(OL), 및 박막 봉지층(TFE)은 제3 방향(DR3)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베이스기판(SUB)은 플렉서블(Flexible)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베이스기판(SUB)은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기판(SUB)은 단일층의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기판(SUB)은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일 수도 있다.
회로층(CL)은 절연층,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및 증착 등의 방식으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베이스기판(SUB) 상에 형성되고, 이후, 복수 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들을 통해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선택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 후, 회로층(CL)의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OL)은 회로층(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OL)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층(OL)은 유기 발광 물질, 퀀텀닷, 퀀텀 로드,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OL)을 덮도록 회로층(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무기층, 유기층, 및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는 표시 패널(DP)을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일 수도 있다.
입력 감지부(IS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P)은 박막 봉지층(TFE)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부(ISP)은 박막 봉지층(TFE) 위에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감지부(ISP)은 별도의 공정을 통해 형성된 후, 표시 패널(DP)과 점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POL)은 입력 감지부(I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POL)은 외광 반사 방지 필름일 수 있다. 반사 방지층(POL)은 표시 장치(DD) 위에서부터 표시 패널(DP)을 향하여 입사되는 외부 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반사 방지층(POL)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복수 개의 접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모듈(DM)의 각 층들은 인접한 층들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층(BS)과 제2 연질부(SP2)을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패턴층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패턴층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a-a'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윈도우(WL)는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되어, 외부의 스크래치로부터 표시 모듈(DM)을 보호하고, 표시 모듈(DM)과 일체로 폴딩 동작 및 언폴딩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윈도우(WL)는 표시 모듈(DM)을 보호하기 위하여 높은 내충격성을 갖고, 용이한 폴딩 동작을 위한 높은 가요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WL)는 베이스층(BS)의 폴딩 부분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짐과 동시에 높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L)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윈도우(WL)는 베이스층(BS), 제1 연질부(SP1), 및 제2 연질부(SP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은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BS)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성질을 가지며, 물리적으로는 강도 및 경도가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S)은 투명한 유리(glass), 투명 폴리이미드(CPI; colorless 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및 시클로-올레핀 중합체(COP; Cyclo-Olefin Polymer)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베이스층(BS)의 재질이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층(BS)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은 상면(UF) 및 하면(LF)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상면(UF)과 하면(LF)은 각각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층(BS)의 상면(UF) 및 하면(LF)은 각각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함몰부(RE1)는 베이스층(BS)에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함몰부(RE1)는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며 베이스층(BS)의 상면(UF)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함몰부(RE1)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에는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함몰부(RE1)는 패턴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1 함몰부(RE1)가 정의된 영역 및 제1 함몰부(RE1)와 중첩하는 영역은 패턴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S)의 폴딩 영역(FA)은 패턴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함몰부(RE1)는 베이스층(BS)에 정의되는 제1 내측면(ISF1), 제2 내측면(ISF2), 및 제1 바닥면(BF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내측면(ISF1) 및 제2 내측면(ISF2)은 각각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내측면(ISF1) 및 제2 내측면(ISF2)은 서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닥면(BF1)은 제1 내측면(ISF1)의 일단 및 제2 내측면(ISF2)의 일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닥면(BF1)은 베이스층(BS)의 상면(UF)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닥면(BF1)은 제1 내측면(ISF1) 및 제2 내측면(ISF2)과 수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함몰부(RE1)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함몰부(RE1)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1 함몰부(RE1)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폴딩축(FX)과 평행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함몰부(RE1)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함몰부(RE1) 각각의 깊이는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베이스층(BS)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베이스층(BS)의 상면(UF)에 10개의 제1 함몰부들(RE1)이 정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도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층(BS)의 상면(UF)에 정의되는 제1 함몰부(RE1)의 개수는 표시 장치(DD, 도 1)가 폴딩되는 곡률 및 폴딩 영역(FA)의 폭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함몰부(RE1)에는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을 포함하는 제1 나노 패턴층(NPL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노 패턴층(NPL1)은 제1 함몰부(RE1)의 제1 바닥면(BF1) 상에 배치되거나, 제1 함몰부(RE1)의 제1 내측면(ISF1) 및 제2 내측면(ISF2)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노 패턴층(NPL1)은 제1 바닥면(BF1), 제1 내측면(ISF1), 및 제2 내측면(ISF2) 상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나노 패턴층(NPL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질부(SP1)는 제1 함몰부(RE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질부(SP1)는 제1 함몰부(RE1)에 배치되는 제1 나노 패턴층(NP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질부(SP1)는 제1 나노 패턴층(NPL1) 상에 배치되며, 제1 연질부(SP1)의 상면이 베이스층(BS)의 상면(UF)과 평행하도록 제1 함몰부(RE1)를 채우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질부(SP1)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물질이면서 가요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연질부(SP1)는 베이스층(BS)에 비해 물리적으로 경도 및 강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질부(SP1)는 투명 고분자 수지(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질부(SP1)가 가요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제1 함몰부(RE1)에 제1 연질부(SP1)가 배치될 경우 폴딩 영역(FA)에서의 폴딩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2 연질부(SP2)는 베이스층(BS)의 상면(UF)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질부(SP2)는 베이스층(BS)의 상면(UF)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질부(SP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질부(SP1)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연질부(SP2)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연질부(SP2)의 두께는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베이스층(BS)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질부(SP2)의 두께는 0.2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연질부(SP2)는 윈도우(WL)를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 연질부(SP2)는 윈도우(WL)에 포함되는 베이스층(BS)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연질부(SP2)는 윈도우(WL)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1 연질부(SP1)가 제1 함몰부(RE1)에 배치될 경우, 제1 연질부(SP1)와 베이스층(BS)의 상면(UF) 간의 높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세한 요철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연질부(SP2)가 베이스층(BS)의 상면(UF)에 배치됨에 따라 제2 연질부(SP2)가 제1 연질부(SP1) 및 베이스층(BS)의 상면(UF)에 접합되므로 상기 요철을 평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윈도우(WL)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2 연질부(SP2)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물질이면서 가요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연질부(SP2)는 베이스층(BS)에 비해 물리적으로 경도 및 강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질부(SP2)는 투명 고분자 수지(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질부(SP1)와 제2 연질부(SP2)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질부(SP1)와 제2 연질부(SP2)는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되어 베이스층(BS) 상에서 일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L)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베이스층(BS)의 제1 함몰부(RE1) 및 베이스층(BS)의 상면(UF) 전면에 레진이 도포될 수 있고, 열 또는 광에 의해 경화(hardening)되어 제1 연질부(SP1) 및 제2 연질부(SP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연질부(SP1, SP2)의 형성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함몰부가 정의된 베이스층, 및 함몰부에 배치되는 연질부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는 폴딩 영역에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윈도우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에서의 높은 가요성 및 비폴딩 영역에서의 내충격 특성이 동시에 확보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폴딩 영역에 패턴이 형성된 윈도우의 경우 굴절률 차이로 인해 패턴 영역과 윈도우 사이의 계면에서 외부광에 의한 프레넬 반사(Fresnel reflection)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반사로 인해 패턴 영역이 외부로 시인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광 반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패턴 영역의 물질을 윈도우의 굴절률과 유사하게 매칭시키거나, 서로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다층 구조의 박막을 적용하여 각 층에서의 상쇄 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을 유도해 광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굴절률 매칭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적층된 박막의 안정성, 열 기계적 특성, 및 접착력 등과 같은 물성에 대해 제한 요건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층 박막을 적용하는 경우 광역대에 걸쳐 반사 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특정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 수의 한계로 인해 적층 물질에 적용될 수 있는 재료 선택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에 일정한 패턴이 형성된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패턴에 3차원 형태의 나노 구조인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나노 패턴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윈도우와 패턴 간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광학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하여, 유리전이온도, 모듈러스, 및 연신률 등과 같은 물성을 만족하는 다양한 재료를 패턴 영역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열 기계적 변형이나 온도 변화 등에 따른 굴절률 변화에도 초저반사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확보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나노 패턴층(NPL1)은 베이스층(BS)의 제1 함몰부(RE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나노 패턴층(NPL1)이 제1 바닥면(BF1)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나노 패턴층(NPL1)은 제1 함몰부(RE1)의 제1 내측면(ISF1) 및 제2 내측면(ISF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나노 패턴층(NPL1)은 베이스부(BP) 및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BP)는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이 배치되는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및 베이스부(BP)는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BP)는 제1 함몰부(RE1)의 제1 바닥면(BF1)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정 방법 또는 공정 조건에 따라 제1 나노 패턴층(NPL1)의 베이스부(BP)는 생략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이 제1 함몰부(RE1)의 제1 바닥면(BF1)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은 나노 크기(nano size)를 가지는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은 모스아이(Moth-eye) 패턴일 수 있다. 한편, 모스아이 패턴은 나노 크기의 구조물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배열되는 패턴으로, 나방의 복안 구조를 모방한 생체모방 패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은 일정한 높이(h1) 및 선폭(d1)을 가지고 베이스부(BP) 상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의 높이(h1)는 200 nm 이상 3000 nm 이하일 수 있고,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의 선폭(d1)은 100nm 이상 350nm 이하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의 높이(h1) 및 선폭(d1)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할 경우 가시광 대역 전 영역에서 반사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패턴에 의한 빛의 회절이 최소화되어 반사율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선폭(d1)은 인접한 제1 돌출 패턴(PR1)의 중심 간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의 높이(h1)에 대한 선폭(d1)의 비율은 0.03 이상 1.75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4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의 높이(h1)에 대한 선폭(d1)의 비율이 상기 전술한 범위를 만족할 경우 반사 특성의 파장 의존성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반사 방지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의 높이(h1)에 대한 선폭(d1)의 비율은 상기 전술한 높이(h1) 및 선폭(d1) 범위 내에서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은 상기 전술한 선폭(d1)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각각의 제1 돌출 패턴(PR1)이 베이스부(BP) 상에서 행열로 균일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1) 각각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1) 각각의 선폭(d1)은 일정하고,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1)의 높이는 전술한 범위 내에서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은 원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은 양의 기울기를 갖는 측벽(SW)에 의해 정의된 원뿔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도 7a에서는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의 밑면이 서로 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의 밑면은 접하지 않을 수 있고,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 각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의 형상은 효과적인 반사 방지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은 원뿔 형상, 회전 포물체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제1 돌출 패턴(PR1)의 형상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 패턴(PR1)의 형상은 높이 방향으로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돌출 패턴(PR1)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도 7a에서 제1 돌출 패턴(PR1) 상에 제1 연질부(SP1, 도 5)가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도 7의 a, b, c, d 지점에서의 제1 돌출 패턴(PR1)과 의 제1 연질부(SP1)의 단면상 면적비는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 패턴(PR1)의 높이에 따른 굴절률이 선형적으로 변화되므로 입사광이 굴절률 차이에 의하여 반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 패턴(PR1)의 굴절률(nRI)은 하기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
nRI = nRS x A + nPR x B
상기 식 1에서, nRS는 제1 연질부(SP1)의 굴절률이고, nPR은 제1 돌출 패턴(PR1)의 굴절률이고, A는 제1 연질부(SP1)의 단면상에서의 면적비율, B는 제1 돌출 패턴(PR1)의 단면상에서의 면적비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nPR은 nRS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식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돌출 패턴(PR1)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 1은 후술하는 제2 돌출 패턴 및 제3 돌출 패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나노 패턴층(NPL1)은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노 패턴층(NPL1)은 경화성 수지, 금속, 금속 산화물, 탄화규소와 같은 탄화물, 중공 실리카와 같은 무기 중공 산화물, 또는 실리콘 웨이퍼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화성 수지는 UV 경화 반응에 의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시광 등으로 경화 가능한 광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Au, Zn, Sn, Ti, Si, Al, Ag, Zr, Ni, Mn, Cu, Cr, Fe, Co, Pt, Pd, Wu, Ba 등의 금속 또는 상기 금속에 1종 이상의 금속 원소 또는 비금속 원소를 첨가한 금속의 합금을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로서는 Au, Zn, Sn, Ti, Si, Al, Ag, Zr, Ni, Mn, Cu, Cr, Fe, Co, Pt, Pd, Wu, Ba 등의 금속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이루어진 금속 산화물의 나노 입자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iO2, Al2O3, CeOx ZnO, TiO2, Sn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나노 패턴층(NPL1)이 금속 산화물의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나노 입자 상에는 레진이 도포될 수 있다. 레진은 예를 들어, 실록산(siloxane), 폴리실라잔(polysilazane),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라잔(polysilazane)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나노 패턴층(NPL1)은 플라즈마 식각(plasma Etching), 이온 빔 식각(ion beam etching), 레이저 식각(laser Etching) 등의 건식 식각법(dry Etching), 식각 용액을 제공하는 습식 식각법(wet Etching), 딥 코팅(dip coating), 소성(calcination), 핫-엠보싱(hot embossing),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라피(nano-imprint lithography), 아노다이징(anodizing), 나노-스피어 리소그라피(nano-sphere lithography), 및 레이저 홀로그라피 리소그라피(laser holographic lith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L-1, WL-2, WL-3, WL-4)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L-1)는 제2 나노 패턴층(NP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노 패턴층(NPL2)은 베이스층(BS-1)의 상면(UF-1) 중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나노 패턴층(NPL2)의 일부는 베이스층(BS-1)의 상면(UF-1) 중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부분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나노 패턴층(NPL2)은 베이스층(BS-1)의 상면(UF-1) 중 제1 함몰부(RE1-1)가 정의되지 않은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나노 패턴층(NPL1-1)은 제1 함몰부(RE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나노 패턴층(NPL1-1)은 제1 함몰부(RE1-1)의 제1 내측면(ISF1-1), 제2 내측면(ISF2-1), 및 제1 바닥면(BF1-1)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나노 패턴층(NPL1-1)은 제1 함몰부(RE1-1)의 제1 바닥면(BF1-1) 상에 배치되고, 제1 내측면(ISF1-1) 및 제2 내측면(ISF2-1)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함몰부(RE1-1)에는 제1 나노 패턴층(NPL1-1)이 배치되고, 제1 함몰부(RE1-1)가 정의되지 않은 부분에는 제2 나노 패턴층(NPL2)이 배치됨에 따라 베이스층(BS) 전면에서 외광 반사 방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즉, 베이스층(BS-1)의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 모두 외광 반사 방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광특성 및 시인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나노 패턴층(NPL1-1)과 제2 나노 패턴층(NPL2)는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나노 패턴층(NPL1-1)과 제2 나노 패턴층(NPL2)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나노 패턴층(NPL2)은 도 6에 도시된 제1 나노 패턴층(NPL1)과 동일한 패턴층일 수 있다. 즉, 제2 나노 패턴층(NPL2)은 베이스부(BP) 및 베이스부(BP)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복수의 제2 돌출 패턴은 도 6에 도시된 제1 돌출 패턴(PR1)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질부(SP1-1)는 제1 함몰부(RE1-1)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질부(SP1-1)는 제1 함몰부(RE1-1)에 배치된 제1 나노 패턴층(NPL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질부(SP2-1)는 제2 나노 패턴층(NP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질부(SP2-1)는 제2 나노 패턴층(NPL2)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고, 베이스층(BS-1)의 상면(UF-1)과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연질부(SP2-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질부(SP1-1)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윈도우(WL-1)가 제2 나노 패턴층(NPL2)을 더 포함함에 따라 내스크래치성으로 인하여 나노 크기를 가지는 제2 돌출 패턴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으로 인해 제2 나노 패턴층(NPL2)의 반사 방지 효과가 감소되어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WL-1)에서는, 제2 나노 패턴층(NPL2) 상에 제2 연질부(SP2-1)가 배치됨에 따라 제2 나노 패턴층(NPL2)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L-2)는 도 5에 도시된 윈도우(WL)와 비교하여, 제1 함몰부(RE1-2)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L-2)에서, 제1 함몰부(RE1-2)는 베이스층(BS-2)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는 홀(hol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함몰부(RE1-2)의 깊이는 베이스층(BS-2)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함몰부(RE1-2)는 베이스층(BS-2)의 제3 내측면(ISF3) 및 제4 내측면(ISF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3 내측면(ISF3) 및 제4 내측면(ISF4)은 각각 베이스층(BS-2)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고,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제3 내측면(ISF3) 및 제4 내측면(ISF4)은 서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함몰부(RE1-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함몰부(RE1-2)는 각각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함몰부(RE1-2)는 도 2에 도시된 폴딩축(FX)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함몰부(RE1-2)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도 9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나노 패턴층(NPL1-2)은 제1 함몰부(RE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함몰부(RE1-2)가 베이스층(BS-2)을 관통함에 따라, 제1 나노 패턴층(NPL1-2)은 제3 내측면(ISF3) 및 제4 내측면(ISF4)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나노 패턴층(NPL1-2)은 제3 내측면(ISF3) 및 제4 내측면(ISF4)의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질부(SP1-2)는 제1 함몰부(RE1-2)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질부(SP1-2)는 제1 나노 패턴층(NPL1-2) 상에 배치되어 제1 함몰부(RE1-2)를 전체적으로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질부(SP1-2)의 상면 및 하면 각각이 베이스층(BS-2)의 상면(UF-2) 및 하면(LF-2) 각각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질부(SP2-2)는 베이스층(BS-2) 상면(UF-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질부(SP2-2)는 베이스층(BS-2)의 상면(UF-2)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연질부(SP2-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질부(SP1-2)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L-3)는 도 5에 도시된 윈도우(WL)와 비교하여, 제2 함몰부(RE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3)에는 폴딩 영역(FA)과 중첩하는 제1 함몰부(RE1-3) 및 제2 함몰부(RE2)가 정의될 수 있다. 베이스층(BS-3)의 제1 비폴딩 영역(NFA1)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는 각각 제1 함몰부(RE1-3)와 제2 함몰부(RE2)가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함몰부(RE1-3)는 베이스층(BS-3)의 상면(UF-3)에서 하부 방향(예컨대, 제3 방향(DR3)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함몰부(RE2)는 베이스층(BS-3)의 하면(LF-3)에서 상부 방향(예컨대, 제3 방향(DR3))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한편, 제1 함몰부(RE1-3) 및 제2 함몰부(RE2) 각각의 깊이는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베이스층(BS-3)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함몰부(RE1-3) 및 제2 함몰부(RE2)는 각각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즉, 제1 함몰부(RE1-3) 및 제2 함몰부(RE2)는 도 2에 도시된 폴딩축(FX)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함몰부(RE2)는 베이스층(BS-3)에 정의되는 제5 내측면(ISF5), 제6 내측면(ISF6), 및 제2 바닥면(BF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5 내측면(ISF5) 및 제6 내측면(ISF6)은 각각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제5 내측면(ISF5) 및 제6 내측면(ISF6)은 서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닥면(BF2)은 제5 내측면(ISF5)의 일단 및 제6 내측면(ISF6)의 일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닥면(BF2)은 베이스층(BS-3)의 상면(UF-3)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바닥면(BF2)은 제5 내측면(ISF5) 및 제6 내측면(ISF6)과 수직할 수 있다.
제1 함몰부(RE1-3) 및 제2 함몰부(RE2) 각각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함몰부(RE1-3) 및 복수의 제2 함몰부(RE2)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교번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인접한 제1 함몰부들(RE1-3) 사이에는 제2 함몰부(RE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따라 복수의 제1 함몰부(RE1-3)와 복수의 제2 함몰부(RE2)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함몰부(RE1-3)에는 제1 나노 패턴층(NPL1-3)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나노 패턴층(NPL1-3)은 제1 바닥면(BF1-2) 상에 배치되거나, 제1 내측면(ISF1-2) 및 제2 내측면(ISF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질부(SP1-3)는 제1 함몰부(RE1-3)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질부(SP1-3)는 제1 나노 패턴층(NPL1-3) 상에 배치되어 제1 함몰부(RE1-3)을 전체적으로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질부(SP1-3)는 베이스층(BS-3)의 상면(UF-3)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함몰부(RE2)에는 복수의 제3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3 나노 패턴층(NPL3)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나노 패턴층(NPL3)은 제2 함몰부(RE2)의 제2 바닥면(BF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나노 패턴층(NPL3)은 제2 함몰부(RE2)의 제5 내측면(ISF5) 및 제6 내측면(ISF6)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3 나노 패턴층(NPL3)은 도 6에 도시된 제1 나노 패턴층(NPL1)과 동일한 패턴층일 수 있다. 즉, 제3 나노 패턴층(NPL3)은 베이스부(BP) 및 베이스부(BP)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3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복수의 제3 돌출 패턴은 도 6에 도시된 제1 돌출 패턴(PR1)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 패턴(PR1) 및 제3 돌출 패턴은 형상, 높이, 및 선폭 등이 상이할 수 있다.
제3 연질부(SP3)는 제2 함몰부(RE2)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연질부(SP3)는 제3 나노 패턴층(NPL3) 상에 배치되어 제2 함몰부(RE2)를 전체적으로 채우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연질부(SP3)는 베이스층(BS-3)의 하면(LF-3)와 평행할 수 있다.
제3 연질부(SP3)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물질이면서 가요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연질부(SP3)는 베이스층(BS-3)에 비해 물리적으로 경도 및 강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연질부(SP3)는 투명 고분자 수지(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연질부(SP3)가 가요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제2 함몰부(RE2)에 제3 연질부(SP3)가 배치될 경우 윈도우(WL-3)의 폴딩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질부(SP1-3)와 제3 연질부(SP3)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L-3)에서, 베이스층(BS-3)의 폴딩 영역에 중첩하도록 상면(UF-3)과 하면(LF-3) 각각에 제1 함몰부(RE1-3) 및 제2 함몰부(RE2)가 정의되고, 제1 함몰부(RE1-3) 및 제2 함몰부(RE2)에 각각 가요성을 가지는 제1 연질부(SP1-3) 및 제3 연질부(SP3)가 배치됨에 따라 윈도우(WL-3)의 폴딩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질부(SP1-3)와 베이스층(BS-3)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제1 연질부(SP1-3)와 베이스층(BS-3) 사이의 계면에서 빛의 반사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함몰부(RE1-3)의 제1 내측면(ISF1-2), 제2 내측면(ISF2-2), 및 제1 바닥면(BF1-2)에서 빛의 반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함몰부(RE1-3)의 제1 내측면(ISF1-2), 제2 내측면(ISF2-2), 및 제1 바닥면(BF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나노 패턴층(NPL1-3)을 구비하여 상기 계면에서 발생되는 빛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함몰부(RE1-3)가 형성된 패턴 영역이 외부로 시인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연질부(SP3)와 베이스층(BS-3)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제3 연질부(SP3)와 베이스층(BS-3) 사이의 계면에서 빛의 반사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2 함몰부(RE2)의 제5 내측면(ISF-5), 제6 내측면(ISF-6), 및 제2 바닥면(BF2)에서 빛의 반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함몰부(RE2)의 제5 내측면(ISF-5), 제6 내측면(ISF-6), 및 제2 바닥면(BF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3 나노 패턴층(NPL3)을 구비하여 상기 계면에서 발생되는 빛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함몰부(RE2)가 형성된 패턴 영역이 외부로 시인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L-4)는 도 5에 도시된 윈도우(WL)와 비교하여, 제1 함몰부(RE1-4)가 상이할 수 있다.
베이스층(BS-4)에 정의된 제1 함몰부(RE1-4)의 깊이는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함몰부(RE1-4)는 제1 방향(DR1)으로부터 연장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함몰부(RE1-4)는 중심에서 최대 깊이를 가질 수 있고,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각각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함몰부(RE1-4)의 깊이는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함몰부(RE1-4)가 곡면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1 나노 패턴층(NPL1-4)은 제1 함몰부(RE1-4)의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나노 패턴층(NPL1-4)은 제1 함몰부(RE1-4)의 전체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나노 패턴층(NPL1-4)은 제1 함몰부(RE1-4)의 곡면 중 일부분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폴딩 영역에 패턴이 형성된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패턴영역으로 입사된 광은 굴절률 차이로 인해 패턴 영역과 윈도우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패턴 영역이 외부로 시인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턴 영역과 윈도우 사이의 계면에 나노 사이즈의 돌출 패턴을 구비한 나노 패턴층을 적용함으로써 초저반사 효과를 통해 패턴 영역이 외부로 시인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나노 패턴층이 구비된 윈도우를 표시 장치에 적용할 경우 표시 장치의 광학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패턴 영역을 채우는 물질과 윈도우의 굴절률 값을 동일하게 혹은 유사하게 매칭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허용 가능한 굴절률의 범위가 높아짐에 따라 패턴 영역의 물질 종류의 선택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유리전이온도, 모듈러스, 및 연신률 등과 같은 물성을 만족하는 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열 기계적 변형이나 온도 변화에 따른 굴절률 변화에도 저반사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WL: 윈도우 NFA1: 제1 비폴딩 영역
NFA2: 제2 비폴딩 영역 FA: 폴딩 영역
BS: 베이스층 RE1: 제1 함몰부
RE2: 제2 함몰부 NPL1: 제1 나노 패턴층
BP: 베이스부 PR1: 제1 돌출 패턴

Claims (20)

  1.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함몰부가 정의된 베이스층;
    상기 제1 함몰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나노 패턴층; 및
    상기 제1 나노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연질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연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질부와 상기 제2 연질부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윈도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중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나노 패턴층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은 원뿔 형상, 회전 포물체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 각각의 선폭은 100 nm 이상 350 nm 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 각각의 높이는 200 nm 이상 3000 nm 이하인 윈도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함몰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윈도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제1 함몰부가 상기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깊이는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보다 작은 윈도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층에 정의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측면;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2 내측면; 및
    상기 제1 내측면 및 상기 제2 내측면에 수직하는 제1 바닥면에 의해 정의되는 윈도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패턴층은 상기 제1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패턴층은 상기 제1 내측면 및 상기 제2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에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함몰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2 함몰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3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3 나노 패턴층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 및 상기 제2 함몰부 각각은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함몰부 및 복수의 상기 제2 함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교번하게 배열되는 윈도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에 배치되는 제3 연질부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가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도록 정의되고,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층에 정의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4 내측면에 의해 정의되는 윈도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패턴층은 상기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4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윈도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곡면 형상을 가지는 윈도우.
  17.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함께 폴딩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함몰부가 정의된 베이스층;
    상기 제1 함몰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나노 패턴층; 및
    상기 제1 나노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연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연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질부와 상기 제2 연질부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은 원뿔 형상, 회전 포물체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 각각의 선폭은 100 nm 이상 350 nm 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패턴 각각의 높이는 200 nm 이상 3000 nm 이하인 표시 장치.
KR1020210034283A 2021-03-16 2021-03-16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129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283A KR20220129720A (ko) 2021-03-16 2021-03-16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7/529,987 US11514825B2 (en) 2021-03-16 2021-11-18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210223554.2A CN115083268A (zh) 2021-03-16 2022-03-09 窗及包括窗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283A KR20220129720A (ko) 2021-03-16 2021-03-16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720A true KR20220129720A (ko) 2022-09-26

Family

ID=8324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283A KR20220129720A (ko) 2021-03-16 2021-03-16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14825B2 (ko)
KR (1) KR20220129720A (ko)
CN (1) CN115083268A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549A (ko) 2011-12-15 201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반사 유리 및 그 제조방법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KR20150017819A (ko) 2013-08-07 2015-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145002A (ko) 2014-06-18 2015-1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윈도우 글라스,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20160050698A (ko) * 2014-10-30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020462B1 (en) 2015-07-30 2018-07-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KR102426512B1 (ko) * 2016-06-09 2022-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636648B1 (ko) *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KR20180079016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95305B1 (ko) 2017-12-21 2023-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54623B1 (ko) * 2017-12-29 2022-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9219545A (ja) 2018-06-21 2019-12-26 彰 平井 高硬度フレキシブル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HUE062408T2 (hu) * 2019-03-11 2023-10-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Összehajtható lemezt tartalmazó elektronikus berendezés
BR112021023955B1 (pt) * 2019-05-31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dobrável incluindo estrutura de proteção de exibidor
CN114424272A (zh) * 2019-09-20 2022-04-29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模块和包括该显示模块的电子装置
KR20210042206A (ko) * 2019-10-08 2021-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79462A (ko) * 2019-12-19 2021-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30873A (ko) * 2020-04-22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메탈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06672A (ko) *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19158A (ko) * 2020-08-06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83268A (zh) 2022-09-20
US11514825B2 (en) 2022-11-29
US20220301463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67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660323A (zh) 柔性显示设备
US20160054479A1 (en) Optical film
CN108695366B (zh) 与触摸传感器集成的柔性滤色器、包括柔性滤色器的有机发光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9719770B2 (en) Touchscreen sensor
WO2013125312A1 (ja) 表示装置
US20150009427A1 (en) Touch panel
KR20220006672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08204A (ko) 폴더블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52845A1 (en) Electronic device
KR20220132720A (ko) 표시장치
KR20220129720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134114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2018590A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光学装置
US20230255091A1 (en) Cover plate and display device
JP5293134B2 (ja) 透明電波吸収体用の吸収層、透明電波吸収体、および透明電波吸収体用の吸収層を製作する方法
CN218069217U (zh) 显示装置
KR100817289B1 (ko) 표시창 및 그 제조 방법
US20210257582A1 (en) Display device
US20240115752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10989240B (zh) 显示模组、电子设备及显示模组的制备方法
US11217766B2 (en) Display cov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US20240081132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085954A1 (en) Anti-corrosion and waterproof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3012791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