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500A -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 Google Patents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500A
KR20220129500A KR1020220111333A KR20220111333A KR20220129500A KR 20220129500 A KR20220129500 A KR 20220129500A KR 1020220111333 A KR1020220111333 A KR 1020220111333A KR 20220111333 A KR20220111333 A KR 20220111333A KR 20220129500 A KR20220129500 A KR 2022012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ion part
units
horizontal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철
신은미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알산업 filed Critical (주)이에스알산업
Priority to KR102022011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9500A/ko
Publication of KR2022012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04D1/08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of plastics; of asphalt; of fibrous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4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roof covering or structure with integral or premounted fastening means
    • E04D2001/3447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roof covering or structure with integral or premounted fastening means the fastening means being integral or premounted to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52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 E04D2001/3455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on the internal surface of the roof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옥의 지붕을 형성하는 기와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암키와와 수키와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판상으로 블록을 이루되도록 되고, 전체적인 설치 구조가 단순화된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기와 조립체는, 인접하여 배치되고 일 측면에서 상호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과;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의 외측 방향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갓기와 유닛과; 상기 복수의 메인기와 유닛이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되는 용마루 유닛과; 인접하는 갓기와 유닛이 내부에 수용되고 용마루 유닛이 내부에 수용되는 마감부를 포함하고,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수키와와, 상기 수키와 사이에 배치되는 암키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ROOF TILES ASSEMBLY USING COMPOSITE MOLDING MATERIAL}
본 발명은 가옥의 지붕을 형성하는 기와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암키와와 수키와가 일체로 됨과 아울러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된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한옥은 여러 개의 건축 자재를 조합해 집을 완성하는 주택으로서, 이중 기와는 점토 소재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가마에 넣고 높은 온도로 구워 만든다.
이 기와로 지붕을 형성할 때, 많은 수의 암키와와 수키와를 서로 교번하여 배치한다. 이후 암키와와 수키와를 진흙으로 붙여 잇는다. 이와 같이 기와 지붕을 형성하는 경우 기와의 무게 및 홍두께 흙의 무게로 인하여 지붕의 무게가 무거워지게 된다. 이 경우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두께도 두꺼워져야 하므로 한옥의 짓는데 드는 건축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개별 암키와와 수키와를 일일이 결합하여 시공하므로 건축 인건비도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흙으로 마감하므로,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 즉 눈, 비에 장시간 노출시 기와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의 수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87459호 (공고일: 2013. 07. 1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합 성형재를 이용하여 경량화 함과 아울러, 지붕을 형성하는 전체적인 조립 구조가 단순화된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와 조립체는 인접하여 배치되고 일 측면에서 상호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과; 상기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의 외측 방향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갓기와 유닛과; 상기 복수의 메인기와 유닛이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되는 용마루 유닛과; 인접하는 갓기와 유닛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용마루 유닛이 내부에 수용되는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수키와와, 상기 수키와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키와와 일체로 성형 형성되는 암키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은 상기 암키와 중 지붕의 길이 방향 일 측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암키와 중 지붕의 길이 방향 타 측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이 지붕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수키와의 평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 측에서 수키와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암키와의 끝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상향 연장부와, 상기 상향 연장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연결부는 제1연결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 연장부는 제1연결부의 수평부 저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부는 암키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부는 인접하는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의 암키와 상면에 접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수평부 길이는 제2연결부의 수평 연장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인접하는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은 특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은 상기 암키와의 높이 방향 일 측에 형성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암키와의 높이 방향 타 측에 형성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이 높이 방향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3연결부와 제4연결부가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암키와의 일측 끝단에서 평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3연결부 본체와, 상기 제3연결부 본체 상에 특정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연결부는 상기 암키와의 타 측 끝단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연결부의 돌출부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4연결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부 또는 돌출부의 암키와 방향 외측면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갓기와 유닛은 특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갓기와 본체와 상기 갓기와 본체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갓기와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연결부가 인접하는 갓기와 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갓기와 본체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중 일체형 메인기와 방향 측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중 일체형 메인기와 반대 방향 측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갓기와 본체의 일측 끝단에 상기 갓기와 본체와 동일 형상이고 크기는 작은 상태로 연장되는 연결부 본체와, 상기 연결부 본체 끝단에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갓기와 본체 중 연결부의 반대 방향 내측면에 내향 돌출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상기 갓기와 본체가 다수 개 결합될 때 상기 연결부가 갓기와 본체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부가 단턱부에 걸림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부는 인접하는 일체형 메인기와의 암키와 상면에 접하며 상기 제1수직부의 하단 일 부에는 상기 암키와의 단차가 흡수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갓기와 본체 내부에는 일체형 메인기와의 제1연결부 또는 제2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수평부 또는 제2연결부의 수평부의 길이는 갓기와 본체의 수평부 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연결부 또는 제2연결부는 상기 갓기와 본체 내부에서 특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마루 유닛은 '∧' 형상의 용마루 본체와 상기 용마루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마루 본체와 동일 형상이며 두께는 얇은 연결부 본체와, 상기 연결부 본체 끝단에 특정 높이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용마루 본체의 측면 중 연결부 반대 방향의 내측면에는 특정 깊이로 요홈되는 걸림홈과 상기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여, 상기 용마루 유닛이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연결부 본체는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돌출턱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는 돔 형상이고 내부와 하측은 개방되는 마감부 본체와, 상기 마감부 본체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일 부분이 개방되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용마루 유닛의 연결부와 갓기와 유닛의 연결부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기와 유닛, 상기 갓기와 유닛, 상기 용마루 유닛 및 상기 마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폴리에스터, 폴리비닐알콜계 합성섬유,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및 에폭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 된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소재가 혼합된 재활용 복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와 조립체는 재활용 복합재를 주원료로함으로써, 종래의 기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양산할 수 있다. 또한 암키와와 수키와가 판상 구조로 일체화 됨과 아울러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암키와 수키와 구조가 반복 배열 된 형태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를 적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서, 기와 지붕 설치 공사 시간 및 인건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와 조립체는 지붕 설치시 흙을 사용하지 않고, 경량화 된 소재를 사용하므로, 시공 후 기와 지붕의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붕의 하중을 크게 낮출 수 있으므로, 지붕을 지탱하는 구조물 또한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와 조립체는 복수의 메인기와 유닛을 이웃되게 조립시 빗물이 흐르는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빗물이 기와 지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기와 유닛와 갓기와 유닛 사이에 특정 거리(d) 만큼 여유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지붕의 칫수가 상이하더라도 손쉽게 조절하여 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와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와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와 조립체와 갓기와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갓기와 유닛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갓기와 유닛과 일체형 메인기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마루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마루 유닛과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유닛의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유닛과 갓기와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유닛과 갓기와 유닛 및 용마루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와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16은 도 15의 성형기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와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정을 보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와 조립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여 배치되고 일 측면에서 상호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를 포함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1쌍으로 구비되고 상호 특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호 일정 각도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수키와(110)와, 상기 수키와(110) 사이에 배치되는 암키와(120)를 포함하며, 상기 수키와(110)와 암키와(120)는 일체로 성형된다. 다시 말해서, 암키와(120)의 경우 지붕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 거리의 단차가 형성된다. 이러한 암키와(120) 사이에 수키와(11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암키와(120)와 수키와(110)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암키와(120)와 수키와(110)를 일시에 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암키와(120)를 배치하되 상호 일정 거리 단차가 발생하도록 배치해야 하는 관계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단차가 형성되는 암키와(120) 자체 및 상기 암키와(120)와 결합되는 수키와(110)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암키와(120)와 수키와(110)를 일시에 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외측 방향에는 갓기와 유닛(200)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양 측을 마감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메인기와 유닛(100)이 마주보는 측면 즉, 도면상 상면으로서 한 쌍의 메인기와 유닛(100)이 마주보는 측면에 용마루 유닛(300)이 구비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갓기와 유닛(200)와 용마루 유닛(300)은 마감부(400) 내부에 수용되어 전체적으로 지붕을 형성한다. 또한, 인접하는 갓기와 유닛(200)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용마루 유닛(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마감부(4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지붕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복수개 결합된다.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을 지붕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130)는 상기 암키와(120)의 중 지붕의 길이 방향 일 측(도 3에서 도면상 좌측 방향)에 형성되고, 제2연결부(140)는 상기 암키와(120) 중 지붕의 길이 방향 타 측(도 3에서 도면상 우측 방향)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에 의해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지붕의 길이 방향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1연결부(130)는 상기 수키와(110)의 평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131)와, 상기 수평부(131)의 양 측에서 수키와(110)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132) 및 제2수직부(13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수평부(131)는 수키와(110)와 같이 평면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평부(131)의 양 측에 제1수직부(132)와 제2수직부(133)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연결부(130) 내부에 제2연결부(14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2연결부(140)는 암키와(120)의 끝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상향 연장부(141)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 연장부(1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평 연장부(142)는 제1연결부(130)의 수평부(131) 저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30)의 제2수직부(133) 내측에 상향 연장부(141) 외측이 접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30)의 제1수직부(132)는 암키와(120A)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부(133)는 인접하는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암키와(120B) 상면에 접하게 됩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30)의 수평부(131) 길이는 제2연결부(140)의 수평 연장부(14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인접하는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특정 거리(d)만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는 설치 대상이되는 지붕의 크기나 형상이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130,140)의 형상 역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이나 크기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술된 특정 거리(d)의 여유분을 확보한 것이다.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상기 암키와(120)의 높이 방향(지붕의 폭 방향) 일 측에 형성되는 제3연결부(150) 및 상기 암키와(120)의 높이 방향(지붕의 폭 방향) 타 측에 형성되는 제4연결부(16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3연결부(150)는 암키와(120)의 도면상 우측에 형성되고, 제4연결부(160)는 도면상 좌측에 형성된 것이 나타난다. 이러한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이 높이 방향(지붕의 폭 방향)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3연결부(150)와 제4연결부(160)가 상호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연결부(150)는 상기 암키와(120)의 일측 끝단에서 평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3연결부 본체(151)와, 상기 제3연결부 본체(151) 상에 특정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3연결부(150)와 결합하는 제4연결부(160)는 상기 암키와(120)의 타 측 끝단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152)에 걸림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연결부(160)는 암키와(120)의 타 측 저면에서 하향 돌출된다. 이러한 제4연결부(160)가 상기 제3연결부(150)의 돌출부(152)에 걸림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3연결부(150)와 제4연결부(160)가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3연결부(150)의 돌출부(152)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비어 있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제4연결부(160)는 상기 돌출부(152)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4연결부(160)는 돌출부(152)의 암키와(1120) 방향 외측면(152a)에 걸림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된 제1연결부(130) 내지 제4연결부(160)에 의해 암키와 및 수키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의 길이 방향 및 지붕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결합된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호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상부가 상호 마주보게 된다. 이러한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측면 즉, 지붕의 길이 방향 양 측단은 갓기와 유닛(200)으로 마감된다.
갓기와 유닛(200)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갓기와 본체(210)와 상기 갓기와 본체(210)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갓기와 유닛(200)의 결합 시 상기 연결부(220)가 인접하는 갓기와 본체(21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이 다수 개 결합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갓기와 유닛(200) 역시 다수 개 결합된다.
상기 갓기와 본체(2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211)와, 상기 수평부(211) 중 일체형 메인기와(100) 방향 측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부(212)와, 상기 수평부(211) 중 일체형 메인기와(100) 반대 방향 측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부(2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수직부(212)는 암키와(12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직부(212)의 길이는 제2수직부(213)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갓기와 본체(210)의 일측 끝단에 상기 갓기와 본체(210)와 동일 형상이고 크기는 작은 상태로 연장되는 연결부 본체(221)와, 상기 연결부 본체(221) 끝단에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부(2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갓기와 본체(210) 중 연결부(220)의 반대 방향 내측면에 단턱부(223)가 내향 돌출된다.
상기 갓기와 본체(210)가 다수 개 결합될 때 상기 연결부(220)가 갓기와 본체(210)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부(222)가 단턱부(223)에 걸림되어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기 갓기와 본체(210)의 제1수직부(212)는 인접하는 일체형 메인기와(100)의 암키와(120) 상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수직부(212)의 하단 일 부에는 상기 암키와(120)의 단차가 흡수되도록 결합홈(2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암키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의 폭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수직부(212)는 암키와(120)에 접하므로 상기 단차를 흡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홈(23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30)은 상기 암키와(120)의 단차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제1수직부(212)가 상기 암키와(12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측면 즉, 지붕의 길이 방향 양 측단은 갓기와 유닛(200)으로 마감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갓기와 본체(210) 내부에는 일체형 메인기와(100)의 제1연결부(130) 또는 제2연결부(140)가 구비된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30)의 수평부(131) 또는 제2연결부(140)의 수평부(141)의 길이는 갓기와 본체(210)의 수평부(211) 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연결부(130) 또는 제2연결부(140)는 상기 갓기와 본체(210) 내부에서 특정 거리(d)만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 또는 용마루 유닛(200)의 형상이나 치수가 변동되거나 혹은 지붕의 형상이나 치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를 흡수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갓기와 본체(210) 중 제2수직부(213) 내측면에는 복수의 걸림 돌출부(213)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 돌출부(213)는 갓기와 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 돌출부(213)에 의해 상술된 제1연결부(130) 또는 제2연결부(140)가 추가적으로 걸림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호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상부가 상호 마주보게 된다.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상부는 용마루 유닛(300)에 의해 마감된다.
이러한 상기 용마루 유닛(3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을 가지고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용마루 본체(310)와 상기 용마루 본체(3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이 지붕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결합되므로 상기 일체헝 메인기와 유닛(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용마루 유닛(300) 역시 지붕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320)는 상기 용마루 본체(310)와 동일 형상이며 두께는 얇은 연결부 본체(321)와, 상기 연결부 본체(321) 끝단에 특정 높이로 돌출되는 걸림턱(3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용마루 본체(310)의 측면 중 연결부(320) 반대 방향의 내측면에는 특정 깊이로 요홈되는 걸림홈(323)과 상기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턱(324)을 포함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20)가 용마루 본체(310)의 도면상 좌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걸림홈(323)과 돌출턱(324)은 용마루 본체(310)의 도면상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용마루 유닛(300)이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연결부 본체(321)는 상기 걸림홈(323)에 안착되고 상기 연결부 본체(321)의 끝부분은 용마루 본체(310)의 끝단면(311)에 맞닿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20)의 걸림턱(322)은 상기 용마루 본체(310)의 돌출턱(324)에 걸림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용마루 유닛(300)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용마루 유닛(300) 내부에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이 삽입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수키와(110)가 용마루 유닛(3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특정 각도(θ1)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 각도는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의 각도 변경 시 상기 용마루 유닛(300)의 용마루 본체(310)가 이루는 각도(θ2) 역시 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갓기와 유닛(200)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용마루 유닛(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마감부(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마감부(400)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형상이고 내부와 하측은 개방되는 마감부 본체(410)와, 상기 마감부 본체(410)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마감판(420)과 상기 마감판(420)의 일 부분이 개방되는 개방부(430)를 포함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마감부 본체(410) 하측에 마감판(420)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판(420)은 특정 원주 길이 만큼 형상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개방부(4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430)를 통해 용마루 유닛(300)의 연결부(320)와 갓기와 유닛(200)의 연결부(220)가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마감부(400)와 용마루 유닛(300) 그리고 갓기와 유닛(200)과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은 널리 알려진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거나 혹은 볼트나 피스 등의 결합구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와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 즉,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100), 갓기와 유닛(200), 용마루 유닛(300), 마감 유닛(400)은 복합 성형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기와 조립체의 구성요소 각각은 재활용 복합재로 구성될 수 있다. 재활용 복합재는 폴리에스터, 폴리비닐알콜계 합성섬유,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및 에폭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 된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소재가 혼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재활용 복합재의 예로서, 생활계 폐기물 중 폐플라스틱을 세척, 선별 및 파쇄한 상태의 혼합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와 조립체는 재활용 복합재에 소정 비율로 혼압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첨가제는 경탄, 목분, 무기질, 폴리에틸렌 신재(新材) 및 폴리프로필렌 신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신재 및 폴리프로필렌 신재는 생활계 폐기물로 부터 추출한 재활용재와 구별되는 개념으로써, 화학 공장에서 실질상 순도 100%로 제조된 소재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재활용 복합재의 부피를 V1, 상기 첨가제의 부피를 V2라 할 때, 1 ≤ V1/V2 ≤ 20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위 조건식에서 하한값을 벗어나는 경우 첨가제의 사용이 증가하므로,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한값을 벗어나는 경우는 첨가제의 부피가 재활용 복합재 대비 5% 미만이므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는 고형의 복합 성형재를 용융, 압출, 사출 및 성형을 통하여 소정 형상의 기와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일체형 메인기와 유닛, 갓기와 유닛, 용마루 유닛, 마감 유닛)를 제조하는 성형장치로서 압출기(510), 유압사출기(520), 이송경로(530), 성형기(540), 히터부(550) 및 제어부(5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합 성형재는 상기한 재활용 복합재 및 첨가제가 혼합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550)는 압출기(510), 유압사출기(520) 및 이송경로(530)에 각각 설치되어, 복합 성형재를 가열한다. 이에 따라 투입되고, 압출기(510)에서 용융된 복합 성형재가 겔 상태를 유지하면서 성형기(540)에 도달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는 압출기(510), 유압사출기(520), 성형기(540) 및 히터부(5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압출기(510)는 외부에서 투입되는 복합 성형재를 일차적으로 용융 시키면서 일 방향 즉, 유압사출기(520)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압출기(510)는 복합 성형재가 투입되는 투입구(513)를 가지는 압출기 하우징(511)과, 압출기 하우징(511)에 마련되어 복합재 성형재를 이송하는 이송부(515)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515)는 압출기 하우징(511)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원(517)과, 압출기 하우징(5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원(517)의 회전축에 연결된 오우거 스크류(516)를 포함 할 수 있다.
오우거 스크류(516)는 서로 이웃되게 설치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오우거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513)를 통하여 압출기 하우징(511) 내부에 투입된 성형재가 오우거 스크류(516)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유압사출기(520)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히터부(550)의 일부인 제1히터(551)는 상기 압출기 하우징(511)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출기 하우징(511) 내에 투입된 성형재에 대해 열을 가하여 용융시킨다. 이를 위하여 히터부(550)는 전기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제1히터(551)는 제어부(570)에 의해 제어되면서 투입된 성형재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성형재 투입구(513)를 통하여 투입된 고형의 복합 성형재(A)는 상기 오우거 스크류(516)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용용되면서 상기 유압사출기(520)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압출기 하우징(511) 내에 투입된 성형재가 잔류한 상태에서 성형장치가 멈춘 경우는 성형재는 압출기 하우징(511) 내에서 고체 상태로 굳게 된다. 한편, 성형장치가 재가동되는 경우는 먼저 상기 제1히터(551)에 의해 상기 압출기 하우징(511)이 가열되면서 고체 상태의 성형재가 다시 용용되면서 겔 상태로 바뀐 후, 후 공정이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는 압출기(510)의 투입구(513)에 설치되어, 상기 압출기(510) 내부로 투입되는 복합 성형재의 투입량을 측정하는 제1센서(5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센서(561)에 의해 측정된 복합 성형재의 투입량을 기초로, 단위 시간당 복합 성형재의 투입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유압사출기(520) 및 성형기(540)를 제어함으로써, 제작에 필요한 성형재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서(561)는 투입되는 성형재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사출기(520)는 압출기(510)를 통하여 이송되고, 압출기(510)의 토출구(519)를 통하여 토출되는 용융 상태의 복합 성형재를 소정의 부피 단위로 수용하며, 복합 성형재 내에 포함된 기포 등의 기체를 제거한 후 성형기(540)로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유압사출기(520)는 유압 하우징(521) 및 유압 실린더(525)를 포함한다. 유압 하우징(521)은 상기 압출기(510) 및 이송경로(530)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상기 압출기(510)로부터 제공받은 용융된 복합 성형재(A)를 수용한다.
상기 유압 하우징(521)의 상부는 후술하는 제1압력(P1)이 인가되기 전에는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유압 하우징(521)에 수용된 복합 성형재(A)에 포함된 기포의 일부는 유압 하우징(521)의 개방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유압 실린더(525)는 유압 하우징(521)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 하우징(521)에 일 회에 상기 성형기에 투입되는 상기 복합 성형재의 용량이 모두 채워지면, 상기 유압 실린더(525)가 제1압력으로 유압 하우징(521)에 충진 된 복합 성형재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유압사출기(520)는 복합 성형재 내에 포함된 기체가 복합 성형재 외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부피가 축소되면서 겔(gel) 상태의 성형재(A)의 밀도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는 상기 유압사출기(520)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사출기(520) 내에 수용되는 용융된 복합 성형재(5A)의 양을 측정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센서(565)에 의해 유압 하우징(521) 내에 수용되는 성형재(A)의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제작에 필요한 성형재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센서(565)는 투입되는 성형재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 센서로 구성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센서(565)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압출기(510)의 오우거 스크류(516)의 회전 속도 및/또는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성형재의 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유압 하우징(521)에 단위 시간 당 수용되는 성형재(5A)의 용량을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다.
상기 히터부(550)의 다른 일부인 제2히터(553)는 상기 유압 하우징(521)의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출기 하우징(511) 내에 투입된 성형재에 대해 열을 가하여 용융 된 성형재가 고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제2히터(553)는 제어부(570)에 의해 제어되면서 압출기 하우징(511) 내에 투입된 성형재가 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경로(530)는 상기 유압사출기(520)에서 기체 제거 후 압축된 성형재를 성형기(540)로 이송하기 위한 경로이다. 이 이송경로(530)는 지하(5G)에 매설된 상태로 유압사출기(520)와 성형기(540)의 하부틀(541) 사이에 연통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융된 상기 복합 성형재를 상기 성형기(540) 내부로 자동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이송경로(530)가 외부 시설물이나 작업자의 이동 동선과 간섭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이송경로(530)가 매설된 지하(G)에는 이송경로(530)와 제2히터(553)를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부(550)의 또 다른 부분인 제3히터(555)는 상기 이송경로(530)의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이송경로(530)에 투입된 성형재에 대해 열을 가하여 용융 된 성형재가 겔 상태를 유지하면서 성형기(540) 내로 주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성형기(540)는 이송경로(530)를 통하여 상기 유압사출기(520)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 성형기(540)는 기와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소정 형상의 형틀을 가지며, 유압사출기(520)를 통하여 상기 형틀 내에 주입된 상기 복합 성형재(A)에 대해 소정의 제2압력(P2)을 인가하여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한다.
상기 히터부(5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출기(510), 유압사출기(520) 및 이송경로(530)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히터(551)(553)(555)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히터(551)(553)(555) 각각은 제어부(57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제1히터(551)에 의한 가열온도가 상기 제2 및 제3히터(553)(555) 각각에 의한 가열온도 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1히터(551)는 고형의 복합 성형재를 일차적으로 가열 용융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가열한다. 한편 제2 및 제3히터(553)(555)는 겔 상태로 이송되는 복합 성형재를 가열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제1히터(55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하더라도 복합 성형재가 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70)는 제2센서(565)를 통하여 측정된 유압 하우징(521) 내에 수용되는 복합 성형재의 용량의 정도에 따라 압출기(510)에서 토출되는 단위 시간당 복합 성형재의 양이 가변되도록 오우거 스크류(516)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재가 용량을 초과하여 성형기(540)에 투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70)는 제1센서(561)를 통하여 측정된 성형재의 투입 용량 및/또는 제2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유압 하우징(521) 내에 수용되는 복합 성형재의 용량을 기초하여, 유압사출기(520)에 인가되는 제1압력(P1)과 성형기(540)에 인가되는 제1압력(P1)의 가압 시퀀스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유압 하우징(521) 내에 단일 성형품 제작에 필요한 용량의 복합 성형재가 충진 된 것으로 제2센서(565)에 의하여 측정된 경우, 성형기(540)이 상부틀(545)을 제2압력(565)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유압 하우징(521) 내의 성형재를 제1압력(P1)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 하우징(521) 내의 성형재는 그 내부에 포함된 기포가 제거됨과 아울러 고밀도로 압력을 받은 상태로 상기 이송경로(530)를 따라 사출되어 상기 성형기(540) 내에 주입된다. 따라서 기포 등이 제거된 상태의 고품질의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제1압력(P1)과 제2압력(P2)각각은 500 내지 1500 [tsi] 범위의 값을 만족하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tsi]는 평방 인치당 톤(5ton per square inch)을 의미한다. 이 값은 제조되는 성형품의 스펙 등을 감안한 것으로, 500 [tsi] 미만의 값을 가지는 경우는 성형품의 강도가 약하여 외부 충격에 의하여 성형품이 쉽게 부서질 수 있다. 반면 1500 [tsi]를 초과하는 경우 유압사출기(520)와 성형기(540) 각각에 압력을 인가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 소모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설비 운영비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성형기(540)는 사출공간을 가지는 소정 형상의 형틀을 가진다. 여기서, 형틀로서, 하부틀(541)과 하부틀(541) 상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틀(5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형기(540)는 상기 사출공간 내에 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금속제 코어(51)가 상기 사출공간 내에서 정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543)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기(540)의 상부틀(545)은 제2압력(P2)이 인가되기 전후에는 압력이 해제된 상태 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성형 과정에서는 상기 유압사출기(520)에 제1압력(P1)이 인가됨과 함께 성형기(540)에 제2압력(P2)이 인가되어, 고온 고압 상태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리체의 각 구성요소를 제조하기위한 성형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성형품 제조방법은 상기한 성형품 제조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크게 5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순차적으로 배치된 압출기(510), 유압사출기(520) 및 이송경로(530) 상에 각각 설치된 히터부(550)를 통하여, 상기 압출기(510), 상기 유압사출기(520) 및 상기 이송경로(530)의 내부를 독립적으로 가열한다(S10). 이를 위하여 히터부(550)는 제 1 내지 제3히터(551)(553)(555)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제어부(57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압출기(510)에 새롭게 투입되는 고형의 복합 성형재 뿐만 아니라, 압출기(510), 유압사출기(520) 및 이송경로(530) 상에 고형 상태로 잔류하는 성형재는 가열 용융됨으로써, 겔 상태을 유지한다.
이어서, 압출기(510)를 통하여 외부에서 투입되는 복합 성형재를 용융하여 이송한다. 즉, 제1센서(561)에 의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성형재의 투입량을 측정하면서, 복합 성형재를 압출기(510) 내에 투입할 수 있다(S20). 그리고, 히터부(550)에 의해 용융된 복합 성형재를 압출기(510)에서 유압사출기(520) 내로 이송한다(S30).
이후, 유압사출기(520) 내에 용융된 복합 성형재를 소정의 부피 또는 질량 단위로 수용한다(S40).
이어서 유압사출기(520)에 설치된 제2센서(565)에 의해 측정된 유압 하우징(521) 내에 수용된 복합 성형재(5A)의 용량이 1회 성형용 용량을 충족하면, 상기 유압사출기(520) 내에 수용된 복합 성형재에 대해 유압사출기(520)를 통하여 제1압력(P1)을 인가하여, 그 내부에 포함된 기체를 제거한다(S50).
여기서, 제2센서(565)에 의하여, 상기 유압사출기(520) 내에 수용되는 용융된 상기 복합 성형재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제2센서(565)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유압사출기(520) 내에 수용되는 상기 복합 성형재의 용량을 기초로 상기 제어부(570)에 의하여 상기 압출기(510)에서 토출되는 단위 시간당 복합 성형재의 양이 가변되도록 상기 압출기(510)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유압사출기(520)에서 사출된 복합 성형재를 이송경로(530)를 통하여 성형기(540)로 이송하고(S60), 상기 성형기(540)에 수용된 복합 성형재에 대해 소정의 제2압력(P2)을 인가하여 성형품 형상으로 성형한다(S70).
여기서, 상기 제2센서(565)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유압사출기(520) 내에 수용되는 상기 복합 성형재의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570)에 의하여 상기 유압사출기(520)와 상기 성형기(540) 각각에 인가되는 제1 및 제2압력(P1)(P2)의 가압 시퀀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 110 : 수키와
120 : 암키와 130 : 제1연결부
140 : 제2연결부 150 : 제3연결부
160 : 제4연결부 200 : 갓기와 유닛
210 : 갓기와 본체 220 : 연결부
300 : 용마루 유닛 310 : 용마루 본체
320 : 연결부 400 : 마감 유닛
410 : 마감부 본체 420 : 마감판
510: 압출기 511: 압출기 하우징
515: 이송부 520: 유압사출기
521: 유압 하우징 525: 유압 실린더
530: 이송경로 540: 성형기
541: 하부틀 545: 상부틀
550: 히터부 551: 제1히터
553: 제2히터 555: 제3히터
561: 제1센서 565: 제2센서
570: 제어부

Claims (11)

  1. 인접하여 배치되고 일 측면에서 상호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과;
    상기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의 외측 방향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갓기와 유닛과;
    상기 복수의 메인기와 유닛이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되는 용마루 유닛과;
    인접하는 갓기와 유닛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용마루 유닛이 내부에 수용되는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수키와와, 상기 수키와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키와와 일체로 성형 형성되는 암키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은,
    상기 암키와 중 지붕의 길이 방향 일 측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암키와 중 지붕의 길이 방향 타 측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이 지붕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수키와의 평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 측에서 수키와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암키와의 끝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상향 연장부와, 상기 상향 연장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연결부는 제1연결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 연장부는 제1연결부의 수평부 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부는 암키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부는 인접하는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의 암키와 상면에 접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수평부 길이는 제2연결부의 수평 연장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인접하는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은 특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은 상기 암키와의 높이 방향 일 측에 형성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암키와의 높이 방향 타 측에 형성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일체형 메인기와 유닛이 높이 방향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3연결부와 제4연결부가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암키와의 일측 끝단에서 평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3연결부 본체와, 상기 제3연결부 본체 상에 특정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연결부는 상기 암키와의 타 측 끝단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의 돌출부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4연결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부 또는 돌출부의 암키와 방향 외측면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갓기와 유닛은 특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갓기와 본체와 상기 갓기와 본체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갓기와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연결부가 인접하는 갓기와 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갓기와 본체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중 일체형 메인기와 방향 측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중 일체형 메인기와 반대 방향 측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갓기와 본체의 일측 끝단에 상기 갓기와 본체와 동일 형상이고 크기는 작은 상태로 연장되는 연결부 본체와, 상기 연결부 본체 끝단에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갓기와 본체 중 연결부의 반대 방향 내측면에 내향 돌출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상기 갓기와 본체가 다수 개 결합될 때 상기 연결부가 갓기와 본체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부가 단턱부에 걸림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부는 인접하는 일체형 메인기와의 암키와 상면에 접하며 상기 제1수직부의 하단 일 부에는 상기 암키와의 단차가 흡수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갓기와 본체 내부에는 일체형 메인기와의 제1연결부 또는 제2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수평부 또는 제2연결부의 수평부의 길이는 갓기와 본체의 수평부 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연결부 또는 제2연결부는 상기 갓기와 본체 내부에서 특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 유닛은 '∧' 형상의 용마루 본체와 상기 용마루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마루 본체와 동일 형상이며 두께는 얇은 연결부 본체와, 상기 연결부 본체 끝단에 특정 높이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용마루 본체의 측면 중 연결부 반대 방향의 내측면에는 특정 깊이로 요홈되는 걸림홈과 상기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여,
    상기 용마루 유닛이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연결부 본체는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돌출턱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돔 형상이고 내부와 하측은 개방되는 마감부 본체와, 상기 마감부 본체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일 부분이 개방되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용마루 유닛의 연결부와 갓기와 유닛의 연결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와 유닛, 상기 갓기와 유닛, 상기 용마루 유닛 및 상기 마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폴리에스터, 폴리비닐알콜계 합성섬유,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및 에폭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 된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소재가 혼합된 재활용 복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KR1020220111333A 2021-03-16 2022-09-02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KR20220129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33A KR20220129500A (ko) 2021-03-16 2022-09-02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30A KR102444587B1 (ko) 2021-03-16 2021-03-16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KR1020220111333A KR20220129500A (ko) 2021-03-16 2022-09-02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330A Division KR102444587B1 (ko) 2021-03-16 2021-03-16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500A true KR20220129500A (ko) 2022-09-23

Family

ID=834458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330A KR102444587B1 (ko) 2021-03-16 2021-03-16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KR1020220111333A KR20220129500A (ko) 2021-03-16 2022-09-02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330A KR102444587B1 (ko) 2021-03-16 2021-03-16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45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95B1 (ko) * 2022-10-11 2023-06-13 대한한옥개발 주식회사 재활용 플라스틱을 주원료로 한 기와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459B1 (ko) 2013-04-26 2013-07-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옥형 조립기와 및 상기 조립기와로 설치된 기와지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23Y2 (ja) * 1990-11-30 1995-05-24 碧南特殊機械株式会社 瓦屋根の棟部及びそれに使用する冠瓦
JP2777055B2 (ja) * 1994-03-22 1998-07-16 鍋順瓦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瓦
KR101185498B1 (ko) * 2011-08-24 2012-09-24 박수구 한옥형 판기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459B1 (ko) 2013-04-26 2013-07-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옥형 조립기와 및 상기 조립기와로 설치된 기와지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95B1 (ko) * 2022-10-11 2023-06-13 대한한옥개발 주식회사 재활용 플라스틱을 주원료로 한 기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587B1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9500A (ko)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US7344334B2 (en) Paver system
CA2396449C (en) Multi-well plate fabrication
CN204715575U (zh) 一种装配式聚氨酯保温墙体
KR101302069B1 (ko) 벽돌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벽돌 제조설비
KR20080107008A (ko) 열팽창 압력을 흡수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블록 및 그제조방법
CN205272496U (zh) 注塑模具
KR102036727B1 (ko) 폐부직포와 폐비닐을 이용한 경계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CN104260364A (zh) 一种纤维增强热塑性制品的制备方法
KR101037331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202849998U (zh) 高分子复合材料水渠
KR102117941B1 (ko) 복합 성형재를 이용한 성형품 제조장치 및 방법
CN102912765A (zh) 高分子复合材料水渠
SE9701764L (sv) Arrangemang och förfarande för formning av lasttagande element av armerad termoplast, samt ett sådant lasttagande element
CN105235151B (zh) 注塑模具
CN205009615U (zh) 生产用纤维增强热塑性塑料的模具
CN210216809U (zh) 一种耐久性好的混凝土加气砖
CN106159865A (zh) 一种全玻璃钢新型电缆沟
KR20220001163A (ko) 건축용 플라스틱블록
KR20080070233A (ko) 건축자재용 재생판재 제조방법
PL221046B1 (pl) Sposób otrzymywania kompozytów z odpadów termoplastycznych tworzyw sztucznych oraz urządzenie do otrzymywania kompozytów z odpadów termoplastycznych tworzyw sztucznych
KR102323916B1 (ko) 투수블럭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투수블럭
RU157400U1 (ru) Кровельно-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100257677B1 (ko)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85102515A (zh) 大型组合式聚丙烯塑料模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