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274A -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 Google Patents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274A
KR20220129274A KR1020210033955A KR20210033955A KR20220129274A KR 20220129274 A KR20220129274 A KR 20220129274A KR 1020210033955 A KR1020210033955 A KR 1020210033955A KR 20210033955 A KR20210033955 A KR 20210033955A KR 20220129274 A KR20220129274 A KR 20220129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signal
light
lighting
bulb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768B1 (ko
Inventor
서민용
Original Assignee
서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용 filed Critical 서민용
Priority to KR102021003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7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01>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이 발생한 전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원호 형상의 신호전구 접속홀이 형성되는 신호전구 접속부가 정면에 형성되며, 원호 형상의 조명전구 접속홀이 형성되는 조명전구 접속부가 저면에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신호전구 접속홀에 삽입 및 회전되어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와 체결되는 신호전구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신호전구 및 상기 조명전구 접속홀에 삽입 및 회전되어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와 체결되는 조명전구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명전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Bulb changeable Traffic Signal Lamp}
본 발명은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이 발생한 전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기구로서 주로 빨강, 노랑, 초록색으로 교통조건을 표시하는 3색 신호기가 주를 이룬다.
또한, 사거리 등과 같이 비교적 차선이 넓고 교차하는 도로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은 좌회전 신호기가 추가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교통신호등의 광도는 대상으로 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일부 상이하나 일반적인 도로의 경우 주간을 기준으로 150m전방에서 인식할 수 있는 광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166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도록 나선이 형성된 전원 연결부(10), 상기 전원연결부(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연결부(10)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으로 LED(21)를 구동할 수 있도록 소자들이 설치된 복수 개의 원판형의 PCB(20)가 큰 직경에서 작은 직경까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피라미드 형태로 적층되는 교통신호등용 LED전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교통신호등용 LED전구는 복수 개의 LED(21)를 통하여 시안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상기 전원연결부(10)를 전원부에 회전시켜 체결함에 따라, 전구를 교체하기 위한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교통신호등용 LED전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연결부(10)를 회전시켜 전원부에 결합함에 따라 회전 토크가 부족한 경우 전원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회전 토크가 과한 경우 전구 자체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166호(공고일 2006.02.07.)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전구와 전원의 결합 또는 분리 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구와 전원의 결합 시 결합 토크에 의하여 파손 또는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은 원호 형상의 신호전구 접속홀이 형성되는 신호전구 접속부가 정면에 형성되며, 원호 형상의 조명전구 접속홀이 형성되는 조명전구 접속부가 저면에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신호전구 접속홀에 삽입 및 회전되어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와 체결되는 신호전구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신호전구 및 상기 조명전구 접속홀에 삽입 및 회전되어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와 체결되는 조명전구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명전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신호전구 접속홀은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일단이 형성되고 이로부터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연장되어 타단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전구 접속홀은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일단이 형성되고 이로부터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연장되어 타단이 형성되며, 상기 일단 측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이 상기 타단 측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명전구 단자는 단부에 상기 조명전구 단자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걸림 디스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은 전구와 전원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함에 따라 전구 교체 시 발생하는 교통 흐름의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은 전구 교체 시 발생되는 파손 또는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교통신호등용 LED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의 정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에서 신호전구와 조명전구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의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의 정면도와 저면도이다.
또한,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에서 신호전구와 조명전구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은 케이싱(100)과 신호전구(200) 및 조명전구(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100)은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은 전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신호전구 접속부(110)가 형성되며 저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조명전구 접속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110)와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110)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는 양측에 1개씩 총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110)는 각각 원호 형상의 신호전구 접속홀(111)이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전구 접속홀(111)은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11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동일선상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는 각각 원호 형상의 조명전구 접속홀(121)이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전구 접속홀(121)은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동일선상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전구 접속홀(121)은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홀의 직경이 타단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는 배면 측에 형성되는 회동축(122)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122)에는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가 유동되지 않도록 회전이 방지되도록 키(미도시) 등의 기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전구(20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LED 등을 포함한 다양한 조명수단을 포함하며 배면에 상기 신호전구 접속홀(111)에 삽입되는 2개의 신호전구 전원단자(2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전구(200)는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빨강, 노랑 또는 오렌지, 초록, 좌회전 표시를 각각 수행할 수 있도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전구(200)는 상기 신호전구 전원단자(210)가 상기 신호전구 접속홀(111) 중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11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측에 형성되는 홀 측에 삽입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11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110)와 상기 신호전구(200) 사이에는 상기 신호전구 접속홀(111)과 상기 신호전구 전원단자(210)와 동일한 기구 구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케이싱(100)과 상기 신호전구(200)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전구(30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LED 등을 포함한 다양한 조명수단을 포함하며 배면에 상기 조명전구 접속홀(121)에 삽입되는 2개의 조명전구 전원단자(3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명전구(3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이 설치되는 인근 도로에 형성된 횡단보도를 비추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신호전구(200)와 비교하여 광도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전구 전원단자(310)는 단부에 상기 조명전구 전원단자(310)의 몸체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걸림 디스크(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전구(300)는 상기 조명전구 전원단자(310)가 상기 조명전구 접속홀(121) 중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측에 형성되는 비교적 직경이 큰 홀 측에 삽입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11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걸림 디스크(311)로 인하여 상기 조명전구(300)는 중력 등에 의하여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전구(300)와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의 체결 구조는 상기 신호전구(200)와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110)의 체결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전구(3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120)가 상기 회동축(12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이 설치되는 인근 도로에 형성된 횡단보도 측을 대향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케이싱
110. 신호전구 접속부
111. 신호전구 접속홀
120. 조명전구 접속부
121. 조명전구 접속홀
122. 회동축
200. 신호전구
210. 신호전구 전원단자
300. 조명전구
310. 조명전구 전원단자
311. 걸림 디스크

Claims (5)

  1. 원호 형상의 신호전구 접속홀이 형성되는 신호전구 접속부가 정면에 형성되며, 원호 형상의 조명전구 접속홀이 형성되는 조명전구 접속부가 저면에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신호전구 접속홀에 삽입 및 회전되어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와 체결되는 신호전구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신호전구; 및
    상기 조명전구 접속홀에 삽입 및 회전되어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와 체결되는 조명전구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명전구;를 포함하는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구 접속홀은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일단이 형성되고 이로부터 상기 신호전구 접속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연장되어 타단이 형성되는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전구 접속홀은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일단이 형성되고 이로부터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연장되어 타단이 형성되며, 상기 일단 측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이 상기 타단 측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전구 단자는 단부에 상기 조명전구 단자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걸림 디스크가 형성되는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전구 접속부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KR1020210033955A 2021-03-16 2021-03-16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KR10249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955A KR102493768B1 (ko) 2021-03-16 2021-03-16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955A KR102493768B1 (ko) 2021-03-16 2021-03-16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274A true KR20220129274A (ko) 2022-09-23
KR102493768B1 KR102493768B1 (ko) 2023-01-31

Family

ID=8344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955A KR102493768B1 (ko) 2021-03-16 2021-03-16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7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66Y1 (ko) 2005-11-22 2006-02-07 진우산전 주식회사 교통신호등용 led 전구
JP2014060091A (ja) * 2012-09-19 2014-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装置
KR20160142921A (ko) * 2015-06-03 2016-12-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689537B1 (ko) * 2016-08-05 2016-12-26 주식회사 시티컴 신호등에 내장된 일체형 led 투광등
KR101996960B1 (ko) * 2018-01-19 2019-07-05 아이씨비 주식회사 신호등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66Y1 (ko) 2005-11-22 2006-02-07 진우산전 주식회사 교통신호등용 led 전구
JP2014060091A (ja) * 2012-09-19 2014-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装置
KR20160142921A (ko) * 2015-06-03 2016-12-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689537B1 (ko) * 2016-08-05 2016-12-26 주식회사 시티컴 신호등에 내장된 일체형 led 투광등
KR101996960B1 (ko) * 2018-01-19 2019-07-05 아이씨비 주식회사 신호등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768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4625B2 (ja) レトロフィット可能な電光式交通信号用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AU2013100835A4 (en) Smart led light device with light color automatically changeable
US6731222B2 (en) Sun phantom LED traffic signal
US5594433A (en) Omni-directional LED lamps
US5608290A (en) LED flashing lantern
EP1106432B1 (en) Selected direction lighting device
US20080037255A1 (en) Heat Dissipating LED Signal Lamp Source Structure
CN101675293A (zh) 道路发光装置及其使用方法
US20040022057A1 (en) Led lamp for signal light
CN102691928A (zh) 照明装置
KR20220129274A (ko) 전구 교체형 교통신호등
KR200408166Y1 (ko) 교통신호등용 led 전구
EP0952387A2 (de) Beleuchtungssystem mit Niederspannungs-Leuchten und Lampen
KR100437927B1 (ko) 교통 신호등용 엘이디 전구
CN105822925B (zh) 玉米灯
US10774995B2 (en) PCB module LED lamp having irradiation angle setting up function for Edison socket
CN207065119U (zh) 一种可转动的led灯
CN2515520Y (zh) 发光二极管旋转信号灯
CN218781210U (zh) 一种新型led射灯
KR200274430Y1 (ko) 교통 신호등용 엘이디 전구의 소켓연결부 길이가변장치
CN210532249U (zh) 一种旋转型led灯光球
CN210051995U (zh) 一种led摄影灯
KR100750680B1 (ko) 신호등
JP2004234525A (ja) 交通信号機
CN106032876A (zh) 环形分镜式led光源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