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073A -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필의 안전한 전개 - Google Patents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필의 안전한 전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073A
KR20220129073A KR1020227029132A KR20227029132A KR20220129073A KR 20220129073 A KR20220129073 A KR 20220129073A KR 1020227029132 A KR1020227029132 A KR 1020227029132A KR 20227029132 A KR20227029132 A KR 20227029132A KR 20220129073 A KR20220129073 A KR 20220129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ta
user
control module
user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텍스 버크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filed Critical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129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7Certifying or maintaining trusted computer platforms, e.g. secure boots or power-downs, version controls, system software checks, secure updates or assessing vulner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identity of one or more communicating identities is hidden
    • H04L63/0421Anonymous communication, i.e. the party's identifiers are hidden from the other party or parties, e.g. using an anonymiz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차량은 사용자 프로필을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에서 안전하게 전개되게 할 수 있다. 차량은 차체, 파워트레인, 차량 전자기기, 및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은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차량 전자기기로부터의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정보의 일부를 차량 전자기기로 발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 전자기기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다시 사용자 프로필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차량 전자기기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그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필의 안전한 전개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20년 2월 12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SECURE DEPLOYMENT OF A USER PROFILE IN A VEHICLE(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필의 안전한 전개)"인 미국 특허 출원 제16/789,10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개시가 이에 의해 본원에서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은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파일의 안전한 전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자동차, 트럭, 보트 및 항공기뿐만 아니라 군용, 건설용, 농업용 또는 레크리에이션용 차량 또는 차량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 전자기기를 통해 맞춤화되거나 개인화될 수 있다. 차량 전자기기는 차량에 사용되는 전자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전자기기는 차량의 드라이브트레인, 차량의 차체 또는 내부 피처, 차량 내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및 차량의 다른 부분들을 위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 엔진, 및 트랜스미션 전자기기는 종래의 자동차, 트럭, 모터사이클, 보트, 비행기, 군용 차량, 포크리프트, 트랙터 및 굴착기와 같은 내연 동력식 기계를 갖는 차량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기 차량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관련 요소가 또한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하이브리드 및 전기 차량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는 메인 추진 모터 제어 및 배터리 시스템 관리를 위해 전력 전자기기에 의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전자기기는 분산 시스템일 수 있고,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 및 파워트레인 전자기기, 차체 제어 모듈과 차체 전자기기, 내부 전자기기 및 섀시 전자기기, 안전 및 엔터테인먼트 전자기기, 및 탑승자 및 운전자 편의 시스템을 위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전자기기는 차량 자동화를 위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는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인공 지능 및 분산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이들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을 포함하여 복잡한 작업을 위한 자동화를 사용하는 차량은 반자율로서 지칭될 수 있다. 자동화에만 의존하는 차량은 자율로서 지칭될 수 있다. 자동차 기술자 협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는 자율도를 6 레벨로 분류하였다. 레벨 0 또는 비자동화. 차량이 특정 환경에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조향 또는 속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레벨 1 또는 운전자 보조. 차량이 특정 환경에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조향 및 속도 둘 다를 제어할 수 있는 레벨 2 또는 부분 자동화. 차량이 보통 환경 조건 하에서 자율적으로 조향 및 속도 둘 다를 제어할 수 있지만, 운전자 감독을 요구하는 레벨 3 또는 조건부 자동화. 차량이 보통 환경 조건 하에서 자율적으로 주행을 완료할 수 있고, 운전자 감독을 요구하지 않는 레벨 4 또는 고도의 자동화. 그리고, 차량이 어떠한 환경 조건에서든 자율적으로 주행을 완료할 수 있는 레벨 5 또는 완전 자율화.
사용자 프로필은 특정 사용자의 전자적, 디지털, 또는 컴퓨터화된 표현이다. 사용자 프로필은 운영 체제, 컴퓨터 프로그램, 다른 유형의 컴퓨팅 시스템, 전자 상거래 및 소셜 미디어 시스템뿐만 아니라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사용자 프로필은 적어도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프로필의 유형이다. 사용자 프로필은 사람의 신원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모델의 컴퓨터 표현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 모델은 개별 사용자에 대한 특정 특성들을 캡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이다. 그리고, 사용자 프로필을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사용자 모델링 또는 프로파일링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필은 또한 사람의 특성에 대한 설명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필의 정보는 사람의 특성 및 선호도를 고려하는 임의의 유형의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탑승자 편의 시스템과 같은 차량 시스템에 의한 사용자 프로필의 사용이 널리 보급되어져 왔다. 그러나, 사용자 프로필의 이러한 사용으로, 정보 보안이 중요한 관심사이다.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될 수 있는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보안 정보는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필의 전개로 해결할 많은 기술적 문제들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아래에 주어지는 구체적인 내용 및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첨부 도면들로부터 보다 충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 프로토콜을 통한 차량들에서의 사용자 프로필들의 안전한 전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의 양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의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은 보안 프로토콜을 통한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파일의 안전한 전개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탑승자 편의 시스템과 같은 차량 시스템에 의한 사용자 프로필의 사용이 널리 보급되어져 왔다. 이는 특히 고급 차량의 경우이다. 그러나, 사용자 프로필의 이러한 사용으로, 정보 보안이 중요한 관심사이다.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될 수 있는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보안 정보는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필의 전개로 해결할 많은 기술적 문제들이 존재한다. 차량들에서의 사용자 프로필들의 전개에서 기술적 문제들을 완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해결책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안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보안 프로토콜은 전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를 통제하는 협약 또는 규약들의 집합이다. 보안 프로토콜은 차량에 의해 사용, 저장 및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 저장 및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보안 프로토콜은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을 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프로토콜은 사용자 프로필의 어느 부분이 차량 및 그 시스템들과 공유될 수 있는지를 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안 프로토콜은 차량이 사용자에 관한 정보로 무엇을 하도록 허용되는지를 통제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이를 사용자에 대해 저장하고, 이를 분석 또는 기계 학습을 위해 익명화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들을 위해 사용하고, 이를 사용자 프로필에 피드백하고, 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 또한, 보안 프로토콜은 차량이 사용하도록 허용된 사용자 프로필의 일부에 대한 규칙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보안 프로토콜은 사용자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액세스 또는 사용을 허가하기 위한 기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안 프로토콜은 차량 컴퓨팅 시스템에 의한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정보의 검색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정보의 검색은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선택되는 사용자 프로필의 데이터 필드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보안 프로토콜에 따른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 프로필의 데이터 필드들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거나 허용하여, 사용자 프로필에서 액세스가능한 정보의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은 보안 프로토콜을 통한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파일의 안전한 전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프로필은 신원, 상이한 카테고리들에서의 선호도들, 상이한 카테고리들에서의 활동 이력들 등과 같은 다양한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보안 프로토콜은 사용자 프로필의 선택적으로 허가된 부분이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들을 개인화하기 위해 차량에 의한 사용을 위해 차량에서 전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프로토콜은 사용자 프로필 내의 어떤 정보가 차량에 대해 액세스가능한지, 차량 내의 사용자 활동에 관한 어떤 정보가 다시 사용자 프로필로 전달될 수 있는지, 그리고 차량이 차량 내의 사용자 활동에 대해 어떤 정보를 보유할 수 있는지를 제어한다.
보안 프로토콜은 또한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 프로필로 다시 전달될 정보의 유형을 조절하기 위해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한 사용자 프로필에 데이터의 추가 또는 변경을 제한하도록 차량 컴퓨팅 시스템에 의한 사용자 프로필로의 정보의 전달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 또는 다른 유형의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정보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활동과 관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차량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은 차량이 사용자에 관해 보유하도록 허용되는 정보의 유형을 조절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에 따를 수 있다. 또한, 차량이 보유하도록 허용되는 정보의 유형은 차량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관한 정보의 미리 결정된 유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개시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은 사용자에 관한 정보(이를테면 사용자 프로필의 일부일 수 있는 정보)를 사용하고 생성할 수 있는 차량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시적인 차량은 차체, 파워트레인, 차량 전자기기, 및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 프로필을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에서 안전하게 전개되게 할 수 있다.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은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차량 전자기기로부터의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 및/또는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검색된 정보의 일부를 차량 전자기기로 발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 전자기기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다시 사용자 프로필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차량 전자기기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그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의 파워트레인은 차량의 차체 및/또는 섀시에 부착될 수 있다. 차량의 파워트레인은 엔진, 서스펜션 및 스티어링 시스템 및 파이널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널 드라이브는 휠, 무한 궤도, 프로펠러, 반동 추진 또는 전기 추진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차량 전자기기는 차체 또는 파워트레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위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은 컴퓨팅 디바이스들, 모바일 디바이스들 및 차량들을 포함하고, 보안 프로토콜을 통해 차량들에서의 사용자 프로필들의 보안 전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적어도 차체, 파워트레인, 차량 전자기기 및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자 프로필을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이를테면, 클라우드 컴퓨팅 또는 피어 투 피어 컴퓨팅에서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임의의 유형의 UI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 프로필 내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차량으로부터 수신하고; 보안 프로토콜 및 요청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 내의 정보를 차량으로 발신하고;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또는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며;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차체 제어 모듈 또는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전달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로 사용자 프로필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차량들 및 컴퓨팅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차량들(102, 202 및 130), 모바일 디바이스들(140 및 302) 및 컴퓨팅 디바이스(150) 참조)을 포함하고, 보안 프로토콜을 통해 차량들에서의 사용자 프로필들의 보안 전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네트워크화된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화된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115)를 통해 네트워크화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통신 네트워크들, 이를테면 통신 네트워크(들)(115)는 적어도 블루투스 등과 같은 로컬 대 디바이스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인트라넷, 4G 또는 5G와 같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엑스트라넷, 인터넷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화된 시스템(100)의 노드들(예를 들어, 차량들(102, 202 및 130), 모바일 디바이스들(140 및 302) 및 컴퓨팅 디바이스(150) 참조)은 각각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등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되는 장치들, 컴퓨팅 디바이스들, 차량들, 센서들 또는 카메라들,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임의의 것은 컴퓨팅 시스템 종류(예를 들어, 차량 컴퓨팅 시스템들(104 및 20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시스템은 LAN,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및/또는 인터넷에서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기계로서, 피어 투 피어(또는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피어 기계로서,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 또는 환경에서의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기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화된 시스템(100)은 보안 프로토콜(120)에 따라 네트워크(들)(115)를 통해 자신의 노드들 사이에 통신 채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보안 프로토콜(120)은 네트워크화된 시스템(100)에서의 전자 통신 시스템과 같은 전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를 통제하는 협약 또는 규약들의 집합의 일부이거나, 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의 일부일 수 있다. 보안 프로토콜(120)은 네트워크화된 시스템(100)에서의 차량에 의해 사용, 저장 및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뿐만 아니라 네트워크화된 시스템(100)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 저장 및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보안 프로토콜(120)은 네트워크화된 시스템(100)에서의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을 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프로토콜은 사용자 프로필의 어느 부분이 차량(102, 202 또는 130) 및 그 시스템들과 공유될 수 있는지를 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안 프로토콜(120)은 차량이 사용자에 관한 정보로 무엇을 하도록 허용되는지를 통제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이를 사용자에 대해 저장하고, 이를 분석 또는 기계 학습을 위해 익명화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들을 위해 사용하고, 이를 사용자 프로필에 피드백하고, 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 또한, 보안 프로토콜(120)은 차량이 사용하도록 허용된 사용자 프로필의 일부에 대한 규칙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보안 프로토콜(120)은 사용자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액세스 또는 사용을 허가하기 위한 기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100)은 적어도 차량(1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차량 컴퓨팅 시스템(104), 차체 및 차체의 제어 가능한 부분들(106), 파워트레인 및 파워트레인의 제어 가능한 부분들(108), 차체 제어 모듈(110), 파워트레인 제어모듈(112), 및 적어도 차량 컴퓨팅 시스템, 차체 제어 모듈, 및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을 연결하는 버스(114)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2)은 차량 컴퓨팅 시스템(104)을 통해 네트워크(들)(115)에 연결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30), 모바일 디바이스(140) 및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네트워크(들)(115)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차량(102)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버스(114)는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 버스(CAN 버스), 또는 마이크로제어기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이 차량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내의 다른 형태들의 통신 인프라스트럭처, 이를테면 이더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버스(114)는 차량 디바이스 상호작용이 보안 및 안전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들(API들)로 추상화되는 게이트웨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2)은 적어도 차체의 제어 가능한 부분들(106) 및 파워트레인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8)을 위한 전자기기를 포함하여, 차량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2)은 차체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6) 및 차체 제어 모듈(110)에 연결되는 이러한 부분들 및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차체는 파워트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프레임을 포함한다. 차량의 섀시는 차량의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차체는 또한 적어도 한 명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위한 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는 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6)은 또한 하나 이상의 파워 도어 및/또는 하나 이상의 파워 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는 또한 차량 차체의 임의의 다른 알려져 있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체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6)은 또한 컨버터블 탑, 선루프, 파워 시트들, 및/또는 차량의 차체의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제어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10)은 차체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6)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2)은 또한 파워트레인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8)을 포함한다. 파워트레인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8) 및 이의 부분들 및 서브시스템들이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11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파워트레인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8)은 적어도 엔진, 트랜스미션, 드라이브 샤프트들, 서스펜션 및 조향 시스템들, 파이널 드라이브 및 파워트레인 전기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널 드라이브는 휠, 무한 궤도, 프로펠러, 반동 추진 또는 전기 추진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트레인은 또한 차량 파워트레인의 임의의 다른 알려져 있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파워트레인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8)은 파워트레인의 임의의 다른 알려져 있는 제어가능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예를 들어, 차량(102 또는 202) 참조)은 적어도 차체, 파워트레인,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예를 들어,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112) 참조) 및 차량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차량 컴퓨팅 시스템들(10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량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차량 컴퓨터 시스템(104) 참조)은 보안 프로토콜(예를 들어, 보안 프로토콜(120) 참조)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검색된 정보의 일 부분을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 발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다시 사용자 프로필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 컴퓨팅 시스템의 메모리(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204)의 메모리(210) 참조)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은 사용자 프로필의 검색된 정보의 부분에 따라 파워트레인의 제어가능한 부분들(예를 들어, 파워트레인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8) 참조)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량은 차체의 제어가능한 부분들(예를 들어, 차체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6) 참조)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차체 제어 모듈(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11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검색된 정보의 제2 부분을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차체 제어 모듈로 발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다시 사용자 프로필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 컴퓨팅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차체 제어 모듈은 사용자 프로필의 검색된 정보의 제2 부분에 따라 차체의 제어가능한 부분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량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차량의 사용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에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컴퓨팅 시스템은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의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익명화하여, 익명화된 정보를 분석을 위한 입력으로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석은 복수의 사용자 프로필들로부터 검색된 데이터의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은 분석 및/또는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컴퓨팅 시스템은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의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익명화하여, 익명화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의 생성된 통계 및 다른 기계 학습된 정보와 조합될 통계 및 다른 기계 학습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계 학습을 위한 입력으로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계 학습은 생성된 통계 및 다른 기계 학습된 정보에 따라 그리고/또는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의 식별정보, 복수의 카테고리들에서의 사용자의 선호도들,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들과 연관된 사용자의 활동 이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사용자의 주행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고, 활동 이력들은 사용자의 주행 활동 이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차량 및 다른 소스들로부터 통신되는 사용자의 주행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고, 활동 이력들은 차량 및 다른 소스들로부터 통신되는 사용자의 주행 활동 이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시스템(104)은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들(140, 150 및 302) 참조)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필의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은 차량 또는 사용자를 위한 다른 차량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의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2)의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차체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6) 또는 파워트레인의 제어가능한 부분들(108)의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시스템(104)은 보안 프로토콜(120)에 따라, 차량(102)의 구성요소들의 설정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4)은 또한 보안 프로토콜(120)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필의 버전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식별된 설정들을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시스템(104)은 중앙 제어 모듈(central control module, CCM), 중앙 타이밍 모듈(central timing module, CTM) 및/또는 일반 전자 모듈(general electronic module, GE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은 차량 내의 전기 시스템들 또는 서브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자동차 전자기기 내의 임의의 내장 시스템인 전자 제어 유닛(ECU)을 포함할 수 있다. ECU의 유형들은 엔진 제어 모듈(ECM),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PCM), 트랜스미션 제어 모듈 (TCM), 브레이크 제어 모듈 (BCM 또는 EBCM), CCM, CTM, GEM, 차체 제어 모듈(BCM), 서스펜션 제어 모듈(SC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제어 유닛(DCU). ECU의 유형은 또한 파워 스티어링 제어 유닛(PSCU), 하나 이상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 유닛,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PCM) ― 이는 적어도 ECM 및 TCM으로서 기능할 수 있음 ―, 시트 제어 유닛, 속도 제어 유닛, 텔레마틱 제어 유닛, 트랜스미션 제어 유닛, 브레이크 제어 모듈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적어도 차량 컴퓨팅 시스템(204), 내부(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차체(도시되지 않음), 파워트레인(도시되지 않음), 공조 시스템(도시되지 않음) 및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적어도 차량(20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202)은 또한 다른 차량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4)과 유사한 구조 및/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204)은 적어도 블루투스 등과 같은 로컬 대 디바이스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인트라넷, 4G 또는 5G와 같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엑스트라넷, 인터넷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들)(115)에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204)은 기계에 의해 취해질 액션들을 특정하는 (순차적인 또는 그 외의) 명령어 세트를 실행할 수 있는 기계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204)에 대해 단일 기계가 도시되었지만, "기계"라는 용어는 또한 방법론 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또는 다수의 세트들)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임의의 기계군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질 것이다. 그리고, 이는 적어도 버스(예를 들어, 버스(206) 참조) 및/또는 마더보드, 하나 이상의 제어기(하나 이상의 CPU, 예를 들어, 제어기(208) 참조), 임시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메인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210) 참조),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2)), 영구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저장 시스템(예를 들어, 저장 시스템(214) 참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멀티 디바이스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일부 부분들을 완료할 수 있고, 그 후 또 다른 디바이스가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른 단계들을 계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또 다른 디바이스에 완료의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또한 컴퓨팅 시스템(204)의 예시적인 부분들을 도시한다. 컴퓨팅 시스템(20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들)(115)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204)은 적어도 버스(206), 제어기(208)(이를테면, CPU), 메모리(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2), 데이터 저장 시스템(214), 및 기타 구성요소들(216)(모바일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GPS 구성요소들, I/O 구성요소들 이를테면 다양한 유형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들, 및 센서들뿐만 아니라 카메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구성요소들일 수 있음)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요소들(216)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GUI,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촉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디스플레이, 상이한 유형들의 센서, 촉각, 청각 및/또는 시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추가적인 용도 특정 메모리, 하나 이상의 추가 제어기(예를 들어, GPU),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206)는 제어기(208), 메모리(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2), 데이터 저장 시스템(214) 및 기타 구성요소들(216)을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컴퓨팅 시스템(204)은 적어도 제어기(208), 메모리(210)(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이를테면 동기식 DRAM(SDRAM) 또는 램버스 DRAM(R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크로스바 메모리 등),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214) ― 이들은 버스(206)(다수의 버스들을 포함할 수 있음)를 통해 서로 통신함 ― 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시스템(204)은 실행될 때, 기계로 하여금 본원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기계는 LAN,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및/또는 인터넷(예를 들어, 네트워크(들)(115))으로 다른 기계들에 연결(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네트워킹)될 수 있다. 기계는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기계로서, 피어-투-피어(또는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피어 기계로서,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 또는 환경에서의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기계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제어기(208)는 하나 이상의 범용 처리 디바이스 이를테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등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 디바이스는 복합 명령어 세트 컴퓨팅(CISC) 마이크로 프로세서, 축소 명령어 세트 컴퓨팅(RISC) 마이크로 프로세서, 훨씬 긴 명령어(VLIW) 마이크로 프로세서, 단일 명령어 다중 데이터(SIMD), 다중 명령어 다중 데이터(MIMD), 또는 다른 명령어 세트들을 구현하는 프로세서, 또는 명령어 세트들의 조합을 구현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제어기(208)는 또한 ASIC, 프로그래머블 로직 이를테면 FPGA,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네트워크 프로세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수 목적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어기(208)는 본원에서 논의되는 동작들 및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208)는 (네트워크(들)(115)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2)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시스템(214)은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론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세트 또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고도 알려져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시스템(214)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상주하는 명령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실행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명령어들은 또한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구성하는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210) 및 제어기(208)에 의한 이들의 실행 동안 메모리(210) 내에 그리고/또는 제어기(208) 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시스템(204)의 메인 메모리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메모리에 상주하는 명령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실행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차량(202)은 차체의 차체 제어 모듈(220), 파워트레인의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222), 파워 스티어링 제어 유닛(224), 배터리 관리 시스템(226),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인포테인먼트 전자기기(228), 및 적어도 차량 컴퓨팅 시스템(204), 차체 제어 모듈,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 파워스티어링 제어 유닛,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인포테인먼트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버스(218)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2)은 차량 컴퓨팅 시스템(204)을 통해 네트워크(들)(115)에 연결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30) 및 모바일 디바이스들(140 및 150)은 네트워크(들)(115)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차량(202)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버스(218)는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 버스(CAN 버스), 또는 마이크로제어기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이 차량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내의 다른 형태들의 통신 인프라스트럭처, 이를테면 이더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버스(218)는 차량 디바이스 상호작용이 보안 및 안전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들(API들)로 추상화되는 게이트웨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2)은 적어도 차량의 차체 및 파워트레인뿐만 아니라 차량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위한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차량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도 2로부터, 차량(202)은 적어도 차체, 차체의 내부(시트들 및 다른 내부 부속품들을 가질 수 있음), 파워트레인, 공조 시스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론될 수 있는데, 이는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이 차량(202)의 일부인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차량(202)의 차체는 파워트레인 및 차체 전기 시스템들을 지지하는 적어도 프레임을 포함한다. 차량(202)의 섀시는 차량의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내부는 적어도 한 명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위한 좌석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내부는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도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는 또한 차량 차체의 임의의 다른 알려져 있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워트레인은 차량 파워트레인의 임의의 다른 알려져 있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202)의 차체는 도어들 및 윈도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차체의 내부는 좌석, 대시보드 또는 센터 콘솔,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 및 내부는 또한 또는 차량(202)은 또한 공조 시스템들 또는 시트 조절 시스템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갖는 탑승자 및 운전자 편의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 및 내부는 또한 또는 차량(202)은 또한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또는 정보 및 오락 시스템들의 조합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2)의 차량 전자기기는 내부용 전자기기들, 탑승자 및 운전자 편의 시스템들, 및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차량의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내부의 구성요소들, 탑승자 및 운전자 편의 시스템들 또는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204)은 컴퓨팅 시스템들(104)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컴퓨팅 시스템(104)과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를테면 차량들(102 및 202)에서, 파워트레인은 제동 시스템, 배기 시스템, 연료 공급 시스템 또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를테면 차량들(102 및 202)에서, 차량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데이터의 통신은 보안되고 인증된 연결(이를테면 네트워크(들)(115)를 통한 보안되고 인증된 연결)을 통해 이루어지고, 사용자 프로필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유사한 보안되고 인증된 연결을 통해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으로 통신될 수 있다. 그리고, 보안되고 인증된 연결은 적어도 보안 프로토콜(120)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시스템(204)은 중앙 제어 모듈(central control module, CCM), 중앙 타이밍 모듈(central timing module, CTM) 및/또는 일반 전자 모듈(general electronic module, GE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202)은 차량 내의 전기 시스템들 또는 서브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자동차 전자기기 내의 임의의 내장 시스템인 전자 제어 유닛(ECU)을 포함할 수 있다. ECU의 유형들은 엔진 제어 모듈(ECM),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PCM), 트랜스미션 제어 모듈 (TCM), 브레이크 제어 모듈 (BCM 또는 EBCM), CCM, CTM, GEM, 차체 제어 모듈(BCM), 서스펜션 제어 모듈(SC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제어 유닛(DCU). ECU의 유형은 또한 파워 스티어링 제어 유닛(PSCU), 하나 이상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 유닛,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PCM) ― 이는 적어도 ECM 및 TCM으로서 기능할 수 있음 ―, 시트 제어 유닛, 속도 제어 유닛, 텔레마틱 제어 유닛, 트랜스미션 제어 유닛, 브레이크 제어 모듈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와 연관되고,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은 사용자의 운전자 선호도들과 관련되며, 운전자 선호도들은 차량 구성요소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설정 그룹 ― 각 설정 그룹(들)은 차량 제조사 및 모델을 갖는 특정 차량 제품에 대한 것임 ― 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선호도들은 또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입력 선호도들의 각 사용자 입력 선호도는 일반적인 차량 선호도, 차량 제품에 관련된 선호도, 차량 모델에 관련된 선호도 또는 차량 브랜드에 관련된 선호도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설정 그룹(들)의 각 그룹은 차량 차체, 파워트레인, 섀시, 차량 전자기기들, 차량 내부, 탑승자 및 운전자 편의 시스템들 또는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설정 그룹(들)의 각 그룹은 자동화된 주행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사용자 입력 선호도들은 차량 제품 또는 차량 모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주행 모드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모드 선호도들은 차량 제품 또는 차량 모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성능 모드, 연비 모드, 토우 모드, 완전 전기 모드, 하이브리드 모드, AWD 모드, FWD 모드, RWD 모드 또는 4WD 모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적어도 모바일 디바이스(302)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2) ― 컴퓨팅 시스템(104 또는 204)과 다소 유사한 구조 및/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음 ― 는 통신 네트워크(들)(11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차량들(102, 202 및 130)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140) 및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연결된다.
모바일 디바이스(302)는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등,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IoT 디바이스, 스마트 텔레비전, 스마트 워치, 안경 또는 다른 스마트 가전 제품, 차량내 정보 시스템,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게임 콘솔, PC,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302)는 적어도 블루투스 등과 같은 로컬 대 디바이스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인트라넷, 4G 또는 5G와 같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엑스트라넷, 인터넷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들)(115)에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 각각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 PC, 셋탑 박스(set-top box, STB),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 전화, 웹 기기, 서버,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릿지, 또는 해당 기계에 의해 취해질 액션들을 특정하는 (순차적인 또는 그 외의) 명령어 세트를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기계일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차량들의 컴퓨팅 시스템들은 기계에 의해 취해질 액션들을 특정하는 (순차적인 또는 그 외의) 명령어 세트를 실행할 수 있는 기계일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대해 단일 기계가 도시되었지만, "기계"라는 용어는 또한 본원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또는 동작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또는 다수의 세트들)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임의의 기계군을 포함하는 것으로 취해져야 한다. 그리고,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들 각각은 적어도 버스 및/또는 마더보드, 하나 이상의 제어기(이를테면, 하나 이상의 CPU), 임시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메인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영구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저장 시스템,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멀티 디바이스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일부 부분들을 완료할 수 있고, 그 후 또 다른 디바이스가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른 단계들을 계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또 다른 디바이스에 완료의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또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302)의 예시적인 부분들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들)(115)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2)는 적어도 버스(306), 제어기(308)(이를테면, CPU), 메모리(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2), 데이터 저장 시스템(314), 및 기타 구성요소들(316)(모바일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GPS 구성요소들, I/O 구성요소들 이를테면 다양한 유형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들, 및 센서들뿐만 아니라 카메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구성요소들일 수 있음)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요소들(316)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GUI,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촉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디스플레이, 상이한 유형들의 센서, 촉각, 청각 및/또는 시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추가적인 용도 특정 메모리, 하나 이상의 추가 제어기(예를 들어, GPU),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306)는 제어기(308), 메모리(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2), 데이터 저장 시스템(314) 및 기타 구성요소들(316)을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모바일 디바이스(302)는 적어도 제어기(308), 메모리(310)(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이를테면 동기식 DRAM(SDRAM) 또는 램버스 DRAM(R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크로스바 메모리 등),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314) ― 이들은 버스(306)(다수의 버스들을 포함할 수 있음)를 통해 서로 통신함 ― 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작동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302)의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시스템은 실행될 때, 기계로 하여금 본원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일부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기계는 LAN,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및/또는 인터넷(예를 들어, 네트워크(들)(115))으로 다른 기계들에 연결(예를 들어,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네트워킹)될 수 있다. 기계는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기계로서, 피어-투-피어(또는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피어 기계로서,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 또는 환경에서의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기계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제어기(308)는 하나 이상의 범용 처리 디바이스 이를테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등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 디바이스는 복합 명령어 세트 컴퓨팅(CISC) 마이크로 프로세서, 축소 명령어 세트 컴퓨팅(RISC) 마이크로 프로세서, 훨씬 긴 명령어(VLIW) 마이크로 프로세서, 단일 명령어 다중 데이터(SIMD), 다중 명령어 다중 데이터(MIMD), 또는 다른 명령어 세트들을 구현하는 프로세서, 또는 명령어 세트들의 조합을 구현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제어기(308)는 또한 ASIC, 프로그래머블 로직 이를테면 FPGA,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네트워크 프로세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수 목적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어기(308)는 본원에서 논의되는 동작들 및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308)는 (네트워크(들)(115)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2)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시스템(314)은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론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세트 또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고도 알려져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시스템(314)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상주하는 명령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실행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명령어들은 또한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구성하는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310) 및 제어기(308)에 의한 이들의 실행 동안 메모리(310) 내에 그리고/또는 제어기(308) 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메모리(310)는 디바이스(304)의 메인 메모리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10)는 메모리에 상주하는 명령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실행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 제어기, 및 데이터 저장 부분들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각각 단일 부분인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각 부분은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이들의 각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단일 부분 또는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기계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거나 인코딩할 수 있고 기계로 하여금 본 개시의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취해져야 한다. 이에 따라,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는 용어는 고체 상태 메모리들, 광학 매체들, 및 자기 매체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것으로 취해져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3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기타 구성요소들(31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촉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302)의 일부일 수도 있는 웨어러블 구조체,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카메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GUI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촉각 UI(터치), 시각 UI(시야), 청각 UI(음향), 후각 UI(향기), 평형 UI(균형) 및 미각 UI(맛)를 포함하여, 임의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302)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들인 버스(306), 제어기(308), 메모리(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2) 및 저장 시스템(31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2)의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 프로필 내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2)의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보안 프로토콜 및 요청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 내의 정보를 차량으로 발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2)의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또는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302)의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차체 제어 모듈 또는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로 사용자 프로필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의 양태들에 의해 수행될 수 방법(400)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방법(4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임의의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 및/또는 다른 부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 방법(400)은 단계(402)에서, 차량(예를 들어, 차량들(102 및 202) 참조)에 의해, 보안 프로토콜(예를 들어, 보안 프로토콜(120) 참조)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정보를 검색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어, 단계(402)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들(104 및 204) 참조)에 의해,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들(140 및 302) 참조)로부터 사용자 프로필 내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4a)에서, 방법(400)은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404b)에서, 방법(400)은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404c)에서, 방법(400)은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차체 제어 모듈 또는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이 아닌 다른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404c)는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발신할 수 있는 차량의 제어 모듈들의 많은 유형들이 존재하고,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이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그러한 요청을 차량의 임의의 유형의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단계(406a)에서, 방법(400)은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정보의 제1 부분을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차체 제어 모듈로 발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406b)에서, 방법(400)은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정보의 제2 부분을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 발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406c)에서, 방법(400)은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정보의 다른 부분을 차체 제어 모듈 또는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이 아닌 제어 모듈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차체 제어 모듈도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도 아닌 제어 모듈로 발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406c)는 검색된 정보의 다른 부분을 수신할 수 있는 차량의 제어 모듈들의 많은 유형들이 존재하고,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이 그러한 정보를 차량의 임의의 유형의 제어 모듈로 발신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단계들(406a, 406c 및 406c)에서의 발신은 또한 보안 프로토콜에 따를 수 있다.
단계(408)에서, 방법(400)은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차체 제어 모듈,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 및/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다시 사용자 프로필로 전달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예를 들어, 단계(408)는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다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프로필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방법(400)은 차체 제어 모듈,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 및/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법(400)은 차체 제어 모듈에 의해, 사용자 프로필의 검색된 정보의 제1 부분에 따라 차체의 제어가능한 부분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400)은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에 의해, 사용자 프로필의 검색된 정보의 제2 부분에 따라 파워트레인의 제어가능한 부분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법(400)은 차량의 다른 유형의 제어 모듈에 의해, 사용자 프로필의 검색된 정보의 다른 부분에 따라 대응하는 제어가능한 부분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법(400)은 차량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차량의 사용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차량 또는 차량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400)은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의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익명화하여, 익명화된 정보를 분석을 위한 입력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분석은 복수의 사용자 프로필들로부터 검색된 데이터의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또한 분석이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또한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의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익명화하여, 익명화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의 생성된 통계 및 다른 기계 학습된 정보와 조합될 통계 및 다른 기계 학습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계 학습을 위한 입력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또한 기계 학습이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의 식별정보, 복수의 카테고리들에서의 사용자의 선호도들 및 복수의 카테고리들과 연관된 사용자의 활동 이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사용자의 주행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고, 활동 이력들은 사용자의 주행 활동 이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트레인 구성요소들은 섀시에 대한 커플링들, 엔진 구성요소들, 서스펜션 및 스티어링 구성요소들, 파이널 드라이브 및 파워트랜트 전기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내연 기관 동력식 기계류를 갖는 차량들에 있어서, 파워트레인 구성요소들은 점화, 엔진 및 트랜스미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트레인 구성요소들은 또한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들과 같은 하이브리드 및 전기 차량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기 시스템들의 제어를 위한 관련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트레인 구성요소들은 메인 추진 모터 제어뿐만 아니라 배터리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파워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워트레인 구성요소들은 자율 자동차들 및 차량들의 추진 및 제어를 위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파워트레인 및 이의 구성요소들은 엔진, 서스펜션 및 조향 시스템들, 및 파이널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널 드라이브는 휠, 무한 궤도, 프로펠러, 반동 추진 또는 전기 추진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들 등에서, 차량 전자기기는 파워트레인용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뿐만 아니라 방법(500)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와 연관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은 사용자의 운전자 선호도들에 관련될 수 있다. 운전자 선호도들은 차량 구성요소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설정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그룹(들)의 각 그룹은 차량 제조사 및 모델을 갖는 특정 차량 제품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선호도들은 복수의 사용자 입력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입력 선호도들의 각 사용자 입력 선호도는 일반적인 차량 선호도, 차량 제품에 관련된 선호도, 차량 모델에 관련된 선호도 또는 차량의 브랜드에 관련된 선호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설정 그룹(들)의 각 그룹은 차량 차체, 파워트레인, 섀시, 차량 전자기기, 차량 내부, 탑승자 및 운전자 편의 시스템들 또는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그룹(들)의 각 그룹은 자동화된 주행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그룹(들)의 각 그룹은 SAE에 따른 자동화의 다양한 레벨들에 관련된 구성들 및 선호도들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있다. 설정 그룹(들)의 각 그룹은: 비자동화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0), 운전자 보조 선호도들이나 구성들(레벨 1), 부분 자동화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2), 조건부 자동화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3), 고도의 자동화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4) 또는 완전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5)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계들(402 내지 410)은 연속적인 프로세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각 단계는 입력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동작들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후속 단계로 출력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단계들(402 내지 410)은 개별 이벤트 프로세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각 단계는 트리거하도록 되어 있는 이벤트들로 트리거되고 특정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된 방법들보다 더 복잡한 컴퓨터 시스템의 가능한 더 큰 방법 내의 최소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은 더 복잡한 시스템의 더 큰 방법과 연관된 다른 단계들로부터 그리고 다른 단계들로 공급하는 다른 단계들과 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의 양태들에 의해 수행될 수 방법(500)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방법(5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방법(500)은 IoT 디바이스, 스마트 텔레비전, 스마트 워치, 안경 또는 다른 스마트 가전 제품, 차량내 정보 시스템,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게임 콘솔, PC,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다른 유형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서, 방법(500)은 단계(50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302) 참조)에 의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네트워크(들)(115) 참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50) 참조)로부터 사용자 프로필을 검색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단계(502)에서의 검색은 (보안 프로필(120)과 같은) 보안 프로필에 따를 수 있다. 단계(504)에서, 방법(500)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프로필 내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차량(예를 들어, 차량들(102, 202 및 130) 참조)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506)에서, 방법(500)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프로필 내의 정보를 보안 프로토콜(예를 들어, 보안 프로토콜(120) 참조) 및 요청에 따라 차량으로 발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508)에서, 방법(500)은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 및/또는 다른 유형의 제어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510)에서, 방법(500)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을 차체 제어 모듈,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 및/또는 차량의 다른 유형의 제어 모듈로부터 전달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로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단계(512)에서, 방법(500)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업데이트된 사용자 프로필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계들(502 내지 512)은 연속적인 프로세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각 단계는 입력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동작들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후속 단계로 출력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단계들(502 내지 512)은 개별 이벤트 프로세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각 단계는 트리거하도록 되어 있는 이벤트들로 트리거되고 특정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된 방법들보다 더 복잡한 컴퓨터 시스템의 가능한 더 큰 방법 내의 최소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단계들은 더 복잡한 시스템의 더 큰 방법과 연관된 다른 단계들로부터 그리고 다른 단계들로 공급하는 다른 단계들과 조합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필 정보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차량에 대한 구성들/선호도들을 입력하는 UI를 통해 수동으로 생성될 수 있고/있거나, 차량 사용자 프로필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서들, 자동차 전자기기 또는 차량(들)의 컴퓨팅 디바이스(들)로부터의 피드백, 또는 인터넷 브라우징, 소셜 미디어에 제시된 선호도들 등과 같은 다른 소스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선호도 및 구성 정보에 관련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로부터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으로 스포츠카에 관심을 보이는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스포츠 주행 모드 또는 퍼포먼스 주행 모드에 대한 선호도를 갖는 차량 사용자 프로필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연비 또는 비용 절감에 온라인으로 관심을 보이는 사용자는 연비 모드에 대한 선호도를 갖는 차량 사용자 프로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탑승자 환경을 약 화씨 70도로 유지하는 사용자는 70도에 대한 선호도를 보여주는 프로필을 가질 수 있다. 70도에 대한 선호도는 또한 사용자의 가정에서 HVAC 제어기와 같은 비차량 소스로부터 올 수도 있다. 상상하는 바와 같이, 구성들/선호도들은 풍부하고, 구성들/선호도들을 생성하는 방식들도 풍부하다.
구성 및 선호도 정보는 (각 자동차 전자기기를 통한 트랜스미션, 엔진, 섀시, 탑승자 환경, 안전 피처들 등의 조절과 같은) 자동차 전자기기를 통한 차량의 조절에 관련될 수 있다. 구성 및 선호도 정보는 또한 자동화된 주행 구성들 및 선호도들에 관련될 수 있다. 구성 및 선호도 정보는 SAE에 따른 다양한 자동화 레벨들에 관련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비자동화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에 관한 것이다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0), 운전자 보조 선호도들이나 구성들(레벨 1), 부분 자동화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2), 조건부 자동화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3), 고도의 자동화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4) 또는 완전 선호도들 또는 구성들(레벨 5)에 관련될 수 있다.
선호도 정보는 스포츠 또는 퍼포먼스 모드, 연비 모드, 토우 모드, 완전 전기 모드, 하이브리드 모드, AWD 모드, FWD모드, RWD 모드, 4WD 모드 등과 같은 주행 모드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들은 특이적이거나 일반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자동차 제조사의 특정 스포츠 모드를 선호한다.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퍼포먼스 모드들 또는 스포츠 모드들보다 연비 모드들을 선호한다.
한편,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차량에 대한 사용자를 위한 특정 트랜스미션 구성들, 엔진 구성들, 섀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선호도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그리고 구성 정보는 차량의 부분들을 부분들에 대한 각 전자기기들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선호도들/구성들은 또한 차량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들, 탑승자 편의 시스템들, 전자 통합 조종실 시스템들 등의 선호도들/구성들에 관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차량은 차량이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임의의 유형의 차량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차량은 자동차, 트럭, 보트 및 항공기뿐만 아니라 군용, 건설용, 농업용 또는 레크리에이션용 차량 또는 차량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들, 차량 부분들, 또는 차량의 운전자들 또는 탑승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전자기기는 차량 전자기기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차량 전자기기는 엔진 관리, 점화, 라디오, 카퓨터, 텔레매틱스, 차량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및 차량의 다른 부분들을 위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전자 기기는 가스 동력식 자동차, 트럭, 모터사이클, 보트, 비행기, 군용 차량, 포크리프트, 트랙터 및 굴착기와 같은 내연 동력식 기계를 갖는 차량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점화 및 엔진 및 트랜스미션 제어와 또는 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전자 기기는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하이브리드 및 전기 차량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기 차량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관련 요소와 또는 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차량들은 메인 추진 모터 제어뿐만 아니라 배터리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파워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율 차량들은 거의 전적으로 차량 전자기기에 의존한다.
선행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일부 부분들은 컴퓨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 비트들에 대한 동작들의 알고리즘들 및 상징적 표현들과 관련하여 제시되었다. 이러한 알고리즘적 설명들 및 표현들은 데이터 처리 분야의 기술자들에 의해 자신들의 작업 내용을 해당 기술분야의 다른 기술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들이다. 알고리즘은 본원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목적하는 결과를 도출하는 동작들의 자기 일관적인 시퀀스인 것으로 구상된다. 동작들은 물리적 수량들의 물리적 조작들을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반드시 그렇지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수량들은 저장, 조합, 비교, 및 다른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들의 형태를 띤다. 주로 일반적인 용법의 이유로, 이러한 신호들을 비트들, 값들, 요소들, 심볼들, 문자들, 용어들, 숫자들 등으로서 나타내는 것이 때때로 편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그리고 유사한 용어들은 모두 적절한 물리적 수량들과 연관되어야 하고 단지 이러한 수량들에 적용되는 편리한 라벨들일 뿐임을 유념해야 한다. 본 개시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들 및 메모리들 내 물리적(전자적) 수량들로서 표현된 데이터를 조작하고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들 또는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이러한 정보 저장 시스템들 내 물리적 수량들로서 유사하게 표현되는 다른 데이터로 변환하는 유사한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작 및 프로세스들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본원에서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의도된 목적들을 위해 특별히 구성될 수 있거나, 컴퓨터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활성화되거나 재구성되는 범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이를테면 각각 컴퓨터 시스템 버스에 결합되는, 플로피 디스크, 광학 디스크, CD-ROM, 및 자기-광학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EPROM, EEPROM, 자기 또는 광학 카드, 또는 전자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데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시된 알고리즘들 및 디스플레이들은 본질적으로 임의의 특정 컴퓨터 또는 다른 장치와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범용 시스템들이 본원에서의 교시에 따른 프로그램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거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보다 특화된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편리함을 증명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시스템들에 대한 구조는 아래의 설명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나타날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임의의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를 참조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교시 내용을 구현하는 데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에 따라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프로그래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계 판독가능(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이를테면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구성요소들 등을 포함한다.
앞에서의 명세서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다음의 청구항들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보다 넓은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처리 디바이스; 및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디바이스에게: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차량 상에 위치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일 부분을 상기 디바이스로 발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상기 부분을 상기 디바이스로 발신한 후에,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추가하기 위해 상기 추가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추가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기록할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상기 부분에 따라 상기 차량의 파워트레인의 부분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인 것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상기 부분은 제1 부분이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차체의 부분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차체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디바이스에게: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상기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제2 부분을 상기 차체 제어 모듈로 발신하고;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추가하기 위해 상기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의 데이터를 발신하며;
    상기 차체 제어 모듈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1 메모리에 기록할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상기 제2 부분에 따라 상기 차체의 부분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디바이스에게: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차량의 사용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추가할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디바이스에게,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익명화하여, 상기 익명화된 데이터를 분석을 위한 입력으로서 제공할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석을 위한 입력은 복수의 사용자 프로필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디바이스에게,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익명화하여, 상기 익명화된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들의 생성된 통계 및 다른 기계 학습된 데이터와 조합될 통계 및 다른 기계 학습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계 학습을 위한 입력으로서 제공할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것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의 식별정보, 복수의 카테고리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들, 또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상기 사용자의 주행 선호도들을 포함하며;
    상기 활동 이력들은 상기 사용자의 주행 활동 이력들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상기 차량 및 다른 소스들로부터 통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주행 선호도들을 포함하고, 상기 활동 이력들은 상기 차량 및 다른 소스들로부터 통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주행 활동 이력들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10. 방법으로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의 사용자와 연관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상기 차량 상에 위치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의 일 부분을 상기 차량 상에 위치된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상에 위치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용자와 연관된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해 보유된 정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에 위치된 디바이스는 차체 제어 모듈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차체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상기 발신된 부분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체의 부분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 발신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부분은 제1 부분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요청을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데이터의 제2 부분을 상기 파워드레인 제어 모듈로 발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로부터 발신된 상기 송신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차량의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2 부분에 따라 상기 차량의 파워트레인의 부분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차량의 사용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프로필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익명화하여, 익명화된 데이터를 분석을 위한 입력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은 복수의 사용자 프로필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분석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 프로필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익명화하여, 익명화된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들의 생성된 통계 및 다른 기계 학습된 데이터와 조합될 통계 및 다른 기계 학습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계 학습을 위한 입력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은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인,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의 식별정보, 복수의 카테고리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들, 또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상기 사용자의 주행 선호도들을 포함하며;
    상기 활동 이력들은 상기 사용자의 주행 활동 이력들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20.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프로필 내의 데이터에 대한 차량으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차량으로 발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또는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공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사용자 프로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27029132A 2020-02-12 2021-02-09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필의 안전한 전개 KR20220129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89,104 US11541898B2 (en) 2020-02-12 2020-02-12 Secure deployment of a user profile in a vehicle
US16/789,104 2020-02-12
PCT/US2021/017263 WO2021163060A1 (en) 2020-02-12 2021-02-09 Secure deployment of a user profile in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073A true KR20220129073A (ko) 2022-09-22

Family

ID=7717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132A KR20220129073A (ko) 2020-02-12 2021-02-09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필의 안전한 전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41898B2 (ko)
EP (1) EP4104423A4 (ko)
KR (1) KR20220129073A (ko)
CN (1) CN115428493A (ko)
WO (1) WO20211630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6388B2 (en) 2005-08-04 2016-03-1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specific content delivery
US9171268B1 (en) * 2011-04-22 2015-10-27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setting and transferring user profiles to vehicles and temporary sharing of user profiles to shared-use vehicles
US9229905B1 (en) * 2011-04-22 2016-01-05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defining vehicle user profiles and managing user profiles via cloud systems and applying learned settings to user profiles
US9288270B1 (en) * 2011-04-22 2016-03-15 Angel A. Penilla Systems for learning user preferences and generating recommendations to make settings at connected vehicles and interfacing with cloud systems
US10755284B2 (en) 2013-12-19 2020-08-25 Legatus Solu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storing and recording compliant records for motor carriers, registrants,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US20180349975A1 (en) 2017-05-30 2018-12-06 Sung Hyun Lee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consumer-assisted vehicle sales platform
US20170274908A1 (en) 2017-06-12 2017-09-28 Xiaoning Huai Personalize self-driving cars
JP6791569B2 (ja) * 2017-06-16 2020-11-25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ユーザプロ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端末
US20190228367A1 (en) * 2018-01-24 2019-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ofile building using occupant stress evaluation and profile matching for vehicle environment tuning during ride sharing
WO2019214799A1 (en) * 2018-05-07 2019-11-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mart dialogue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ing enriched semantics from personal and contextual learning
US11049194B2 (en) * 2018-11-05 2021-06-29 Honda Motor Co., Ltd. Identifying and analyzing vehicle refueling events
US11148670B2 (en) * 2019-03-15 2021-10-1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type of vehicle occupant based on locations of a portable device
US11628786B2 (en) * 2019-11-04 2023-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lying user profile to a vehicle
US20210152665A1 (en) * 2019-11-15 2021-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vanced vehicle pre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4423A1 (en) 2022-12-21
EP4104423A4 (en) 2024-03-06
CN115428493A (zh) 2022-12-02
US20210245772A1 (en) 2021-08-12
US11541898B2 (en) 2023-01-03
US20230092985A1 (en) 2023-03-23
WO2021163060A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6692A1 (en) Ann training through processing power of parked vehicles
US20210316754A1 (en) Vehicles that can be customized and personalized via mobile user profiles
CN105450722B (zh) 自动化驾驶解决方案网关
US11840246B2 (en) Selectively enable or disable vehicle features based on driver classification
US11494865B2 (en) Passenger screening
US20210347367A1 (en) Driver Screening Using Biometric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US11328599B2 (en) Crowdsourcing road conditions from abnormal vehicle events
CN113928328A (zh) 受损驾驶辅助
US20210385294A1 (en) Gateway for vehicle with caching buffer for distributed storage system
KR20220129073A (ko) 차량에서의 사용자 프로필의 안전한 전개
US11884235B2 (en) Mobile control of a vehicle
US11738804B2 (en) Training a vehicle to accommodate a driver
US11554669B2 (en) Dedicated digital experience communication b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