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373A - 시각적 표시 시스템을 갖춘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시각적 표시 시스템을 갖춘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373A
KR20220128373A KR1020227026907A KR20227026907A KR20220128373A KR 20220128373 A KR20220128373 A KR 20220128373A KR 1020227026907 A KR1020227026907 A KR 1020227026907A KR 20227026907 A KR20227026907 A KR 20227026907A KR 20220128373 A KR20220128373 A KR 2022012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visual indication
light
visu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스 리차드
마이클 헤인즈
리차드 왓슨
세스 프랑켈
Original Assignee
에스.씨. 존슨 앤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 존슨 앤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씨. 존슨 앤 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Nozzl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용 라이트 링은 환형을 포함하고 디스펜서의 본체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시각적 표시 시스템을 갖춘 디스펜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743,93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임의의 및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연방 지원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참조
해당되지 않는다.
순차 상장
해당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도 및 효능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표시 시스템을 사용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소비재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특정 가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조성물을 구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집 내부 또는 외부에서 해충 방제제를 분무하기를 원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집을 향기 및/또는 탈취하기 위해 공기 청정 장치를 구입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조성물을 즉시 분배하는 것이, 예를 들어, 해충을 근절, 퇴치 또는 제거하기 위해 해충의 영역 상에 또는 내에 해충 방제 조성물을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경우에,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장기간에 걸쳐 조성물을 분배하는 것이, 예를 들어, 쾌적한 냄새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집안의 방에 각각 방향제 조성물, 또는 탈취제 또는 냄새 중화제를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경우에, 장기간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동일한 또는 다른 조성물의 연장된 작용이 뒤따르는 즉각적인 결과 모두를 제공하는 조성물을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분배 시스템과 관련된 한 가지 특정 장애물은 조성물이 초기 릴리스(예를 들어, 수동 릴리스) 후 일정 기간 동안 원하는 효과를 계속 제공한다는 통지와 함께 조성물이 적극적으로 릴리스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분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조성물 표시가 부족하므로, 사용자는 분배 시스템이 비어 있는 때를 알 수 없다. 일부 선행 기술 시스템은 시스템이 처음으로 켜지거나 설정되거나 초기 사용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조성물이 사용 중이라는 초기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일부 경우에는, 알림이 청각 인디케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른 경우에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된다.
그러나, 일부 시각 및 청각 인디케이터를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청각 및 시각 인디케이터는 일시적이며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효능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지 않는다. 다른 경우에,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전자식이며 LED 또는 기타 광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LED는 일반적으로 사용을 표시하기 위해 빠르게 깜박이는 매우 작은 전구로 제공된다. 전구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일부 개인은 전구를 보기 어려울 수 있다. 게다가, 전구는 더 비싸고 시스템의 제조 공정에 추가적인 복잡성과 비용을 추가한다.
다른 시스템에서는, 작동 중에 스프레이가 생성될 수 있다. 스프레이는 시스템의 활성 방출 상태에 대한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많은 시스템이 스프레이를 숨기는 하우징에 스프레이하므로,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숨겨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 표시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의 방출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시스템은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작동 및 효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용 라이트 링은 환형을 포함하고 디스펜서의 본체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서는 유동성 매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용기, 및 유동성 매질을 배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디스펜서는 제1 작동 상태 또는 제2 작동 상태에 있도록 구성된다. 라이트 링은 디스펜서가 제1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1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고 디스펜서가 제2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2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용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 본체의 전체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광이다. 또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에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유동성 매질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된 라이트 링이다. 또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용기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의 전방 등각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배 시스템의 분해된 전방 등각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배 시스템의 분해된 후방 등각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펜서의 하우징 상부의 전방 등각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의 다른 전방 등각도이다.
도 6은 도 1의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하부의 전방 등각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부의 후방 등각도이다.
도 8은 상단 커버, 제어 링 및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도 1의 디스펜서의 후방 등각도이다.
도 9는 상단 커버와 제어 링이 제거된 도 8의 디스펜서의 부분 등각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전방 등각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상단 커버가 제거된 도 8의 디스펜서의 전방 등각도이다.
도 21은 도 8의 제어 링의 전방 등각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제어 링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제어 링의 좌측 입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제어 링의 후방 입면도이다.
도 25는 도 8의 상단 커버의 전방 등각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상단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선 27-27을 따라 취한 상단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1의 분배 시스템의 좌측 입면도이다.
도 29는 도 1의 분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선 30-30을 따라 취한 분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켜짐 상태에 들어갈 때 분배 시스템의 시각적 인디케이터로부터의 시각적 피드백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 강도 변화에 따른 분배 시스템의 시각적 인디케이터로부터의 시각적 피드백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 시스템이 슬립 상태에 들어갈 때 분배 시스템의 시각적 인디케이터로부터의 시각적 피드백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시스템의 용기가 낮은 상태에 들어갈 때 분배 시스템의 시각적 인디케이터로부터의 시각적 피드백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유동성 매질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의 목적을 위해, 에어로졸 기반 휘발성 활성제-함유 조성물을 이용하는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시스템은 에어로졸, 휘발성 물질, 조성물 등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구속되지 않고 에어로졸 시스템, 압축 가스 시스템, 펌프형 분무기 시스템,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수단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방출될 수 있는 임의의 수의 액체 또는 유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 설명된 디스펜서는 전력이 공급될 콘센트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인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는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독립형 장치 또는 휴대용 장치인 디스펜서와 같은 대안적인 디스펜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0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100)의 일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04) 내에 배치된 확산 요소(110)(예를 들어, 도 9 참조) 및 유동성 매질 용기(108)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동(106)을 갖는 하우징(104)을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디스펜서(102)를 포함한다. 용기(108)는 2018년 7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6/045,165에 개시된 용기와 구조 및 기능 면에서 유사할 수 있으며, 이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용기(108)는 용기를 제거 및 교체하지 않고 다시 채울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확산 요소는 히터, 팬, 압전 소자,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확산 요소일 수 있다. 확산 요소는 구조 및 기능 면에서 본 개시와 동일한 양수인에 의해 동일한 날짜에 출원되었고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향상된 히터 배열을 갖는 디스펜서"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출원에 개시된 히터 배열과 유사할 수 있다. 디스펜서(102)는 상단 커버(112), 시각적 인디케이터(114), 제어 다이얼(116), 및 선택적인 스위치(118)를 더 포함한다. 상단 커버(112), 제어 다이얼(116), 시각적 인디케이터(114) 및 하우징(104) 각각은 도 2의 분해도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조립될 때, 디스펜서(102)는 종축(120)을 형성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펜서(102)의 하우징(104)은 일반적으로 서로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내부 공동(106)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싱(124) 및 하부 케이싱(126)을 포함한다. 상부 케이싱(124) 및 하부 케이싱(126)은 얇은 벽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 성형 또는 사출 성형과 같은 알려진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4)이 상부 케이싱(124) 및 하부 케이싱(126)의 2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4 및 도 5는 상부 케이싱(124)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싱(124)은 제2 벽(130)을 갖는 제1 벽(128) 및 그 대향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제3 벽(132)을 포함한다. 제1 벽(128), 제2 벽(130) 및 제3 벽(132) 각각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제2 벽(130) 및 제3 벽(132)은 제1 벽(128)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4 벽(138)은 제1 벽(128)에 대향하여 제2 벽(130)으로부터 제3 벽(132)까지 연장된다. 제4 벽(138)은 실질적으로 반원통 형상이고, 이에 의해 제1 벽(128)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 후면(144)과 반대로 만곡된 전면(142)을 정의한다. 제1 벽(128), 제2 벽(130), 제3 벽(132) 및 제4 벽(138) 각각은 내부 공동(106)을 정의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4)의 상부 케이싱(124)은 그의 제1 상단부(148)에 배치된 원형 수용 구멍(146)을 더 포함한다. 내측으로 연장되는 립(152)은 원형 수용 구멍(146)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상단부(148)에서 상부 케이싱(124)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상향으로 연장되는 립(154)은 평면 후면(144)에 인접한 제1 상단부(148)로부터 연장된다. 상부 케이싱(124)은 하부 에지(158)를 형성하는 제2 상단부(156)를 더 포함한다. 도 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에지(158)는 반원형 에지 부분(160), 제1 직선 에지 부분(162) 및 반원형 에지 부분(160)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2 직선 에지 부분(164), 및 제1 직선 에지 부분(162) 및 제2 직선 에지 부분(164) 사이에서 연장되는 만곡된 에지 부분(166)을 포함한다. 제1 반원통형 연장부(168)는 반원형 에지 부분(16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반원통형 챔버(170)를 형성한다. 제1 직선 에지 부분(162) 및 제2 직선 에지 부분(164)은 반원형 에지 부분(160)으로부터 연장되고 각각 제1 래치(172) 및 제2 래치(174)를 포함한다. 제1 래치(172) 및 제2 래치(174)는 각각 제1 직선 에지 부분(162) 및 제2 직선 에지 부분(164)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각각 제2 벽(130) 및 제3 벽(132)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또한, 제1 래치(172) 및 제2 래치(174)는 각각 하우징(104)의 하부 케이싱(126)의 제1 래치 수용 구조(176) 및 제2 래치 수용 구조(178)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며(예를 들어, 도 7 참조),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싱(124)은 스위치 개구(184)를 정의하기 위해 그의 제2 벽(130)으로부터 연장되는 융기된 프레임(1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스위치 커버(186)는 융기된 프레임(182) 내에 제공될 수 있고 확산 요소(110)(예를 들어, 도 9 참조)의 제1 스위치 암(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디스펜서를 자동으로 켜고 끄기 위한 타이머와 같은 특정 제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펜서(102)가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6시간) 후에 자동으로 켜짐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슬립 상태 간격을 구현하기 위해 스위치를 켤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디스펜서(102)는 디스펜서(102)가 켜짐 상태로 되돌아가기 전에 유동성 매질을 능동적으로 디스펜싱하지 않거나 유동성 매질의 매우 적은 양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8시간) 동안 디스펜싱하는 슬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하부 케이싱(126)의 전방 등각도 및 후방 등각도를 도시한다. 하부 케이싱(126)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198)(예를 들어, 도 30 참조)을 갖는 하부 제1 단부(196)에서 채널(194)을 정의하는 원통형 중앙 부분(192)을 포함한다. 2개의 세장형 가이드 포스트(202)는 하부 케이싱(126)의 하부 제1 단부(19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종축(120)에 평행하다. 벽(204)은 그 하부 제2 단부(206)로부터 반원형 에지(208)까지 연장되고, 제2 반원통형 연장부(210)는 반원형 에지(208)로부터 연장되어 제2 반원통형 챔버(212)를 형성한다. 또한,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싱(126)의 제2 반원통형 연장부(210)는 상부 케이싱(124)의 제1 래치(172) 및 제2 래치(174)를 각각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1 래치 수용 구조(176) 및 제2 래치 수용 구조(178)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4 참조).
도 3으로 돌아가서, 상부 케이싱(124)과 하부 케이싱(126)은 서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싱(124)은 하부 케이싱(126)의 세장형 가이드 포스트(202)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부 케이싱(124)의 제1 래치(172) 및 제2 래치(174)는 각각 하부 케이싱(126)의 제1 래치 수용 구조(176) 및 제2 래치 수용 구조(178)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 반원통형 연장부(168) 및 제2 반원통형 연장부(210)는 원통형 연장부(216)를 생성하고, 이에 의해 내부에 플러그 어셈블리(220)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원통형 수용 챔버(218)를 형성한다. 도 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어셈블리(220)는 하우징(104)의 상부 케이싱(124) 및 하부 케이싱(126)에 의해 정의된 원통형 수용 챔버(218)로부터 연장된다. 플러그 어셈블리(220)는 종래의 콘센트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2개의 전기 갈래(222)를 포함한다. 플러그 어셈블리(220)가 미국의 일반적인 플러그 어셈블리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국가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어셈블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어셈블리(220)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러그 어셈블리(220)는 그 개시 전체가 참고로 포함된 2011년 9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제8,821,171호 및 제2011년 10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제8,858,236호에 개시된 플러그 어셈블리와 유사하게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104)의 상부 케이싱(124)은 하우징의 제1 상단부(148)에서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를 수용, 결합 또는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사용자에게 360도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라이트 링(light ring)(224)이다. 일반적으로 라이트 링(224)은 환형 본체(226)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소스로부터의 광을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 링(224)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LED(228)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반투명 재료로 제조된 중실 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LED(228)는 하우징(104)의 상부 케이싱(124)의 제1 상단부(148)에 배치되고, 라이트 링(224)은 그 발광 부분의 상단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라이트 링(224)은 하우징(104)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LED(228)로부터 광을 투과 또는 확산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 링(224)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0를 참조하면, 라이트 링(224)은 LED(228) 위에 배치된 중실 환형 본체(226)를 갖는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 링(224)의 환형 본체(226)는 상부 케이싱(124)의 제1 상단부(148)에 배치된 LED(228)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9 참조). 즉, 라이트 링(224)의 환형 본체(226)는 LED(228)의 발광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덮거나 둘러싸도록 구성된 그 길이를 따라 제공된 환형 채널(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라이트 링(224)은 하우징(104)에 스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9 참조).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12를 참조하면, 라이트 링(224)의 환형 본체(226)는 내부에 LED(22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환형 공동(230b)을 정의하도록 중공일 수 있다. 따라서, 라이트 링(224)은 LED(228)의 발광 부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전술한 예 중 임의의 것에서, 환형 본체(226)는 일체로 형성된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분리가능한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LED 라이트 링이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LED 광 스트립, 개별적으로 수용된 복수의 LED 광, 또는 단일 LED와 같은 상이한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백열 전구, 할로겐 전구, 형광 전구, 또는 백열 전구, 형광 전구 및 LED 전구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형 본체(226)는 테이프, 페인트, 또는 다른 인공 발광 물품과 같은 발광 구조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연 발광 구조 또는 유기체가 환형 본체(226)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종축(1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대향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고정 레그(232)를 갖는 환형 본체(226)를 포함한다. 환형 본체(226)는 그에 인접하게 배치된 LED(228)로부터 광을 증폭, 투사 또는 확산시키기 위해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정 레그(232)는 고정 목적을 위해 상부 케이싱(124)의 일부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지만, 라이트 링(224)은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104)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 링(224)은 제1 상단부(148)에서 상부 케이싱(124) 상에 배치된 수나사와 맞물리고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그 표면에 배치된 암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 링(224)은 패스너로 제자리에 고정되고/고정되거나 상부 케이싱(126)에 의해 정의된 리세스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 링은 상부 케이싱(126) 상의 개구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제자리에 스냅되도록 구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래치가 상부 케이싱(126)에 라이트 링(224)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 링(224)은 하우징(104)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하우징(104)에 접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가 2개의 고정 레그(232)를 갖는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를 도시하지만, 추가적인 실시예는 고정 레그(232)를 더 많이, 더 적게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레그(232)는 라이트 링(224)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라이트 링(224)의 환형 본체(226)는 라이트 링(22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고정 레그(232)가 유지 목적 또는 전력 공급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 링(224)은 라이트 링(224)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레그(232) 및/또는 전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레그(23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의 라이트 링(224)은 사용자에게 360도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라이트 링(224)은 디스펜서(102)(또는 축(120)) 주위의 모든 각도에서 보이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360도 유효 시야각을 제공한다. 기존 디스펜서에는 일반적으로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거의 또는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기능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특히 유용하다. 기존 디스펜서의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일반적으로 특정 또는 제한된 유효 시야각(예를 들어, 정면도)에서만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펜서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 링(224)은 넓은 유효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LED는 그 전체 원주를 따라 라이트 링(22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LED는 환형 본체(226)의 일부만을 따라 라이트 링(22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는 270도만큼 환형 본체(226)에만 인접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ED는 환형 본체(226)의 적어도 180도를 차지하지만, LED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환형 본체(226)의 250, 210, 180, 140, 110, 90, 75, 또는 40도를 차지할 수 있다.
도 9로 돌아가서,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상부 케이싱(124)의 제1 상단부(148)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레그(232)(예를 들어, 도 13 참조)는 상부 케이싱(124)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립(152)에 의해 정의된 수용 개구(234)(예를 들어, 도 4 참조)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상부 케이싱(124)의 원형 수용 구멍(146)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디스펜서(102)의 약 360도 연장된다.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상부 케이싱(124)의 제1 상단부(148)에 배치되지만,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인 실시예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갖는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상부 케이싱(124)의 제1 상단부(148)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대안적으로,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상부 케이싱(124)의 제1 상단부(148)와 제2 상단부(15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상부 케이싱(124)의 제2 상단부(156)에 또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상부 케이싱(124)의 원형 수용 구멍(146)의 원주의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오히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예를 들어, 270, 250, 210, 180, 140, 110, 90, 75, 또는 40도와 같은 원형 수용 구멍(146)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만곡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특정 유효 시야각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다이얼(116)은 시각적 인디케이터(114)에 인접하여 고정된다. 즉,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는 하우징(104)의 상부 케이싱(124)과 제어 다이얼(116)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21 내지 도 24는 제어 다이얼(116)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특히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 다이얼(116)은 중공 중심(240)을 형성하는 상부(236) 및 하부(238)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구성요소이다. 상부(236)는 제1 외부 에지(242) 및 제1 외부 벽(244)을 형성하는 반면, 하부(238)는 제2 외부 에지(246) 및 제2 외부 벽(248)을 정의한다. 제어 다이얼(116)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 22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외부 벽(244)은 제2 외부 벽(24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부(236)는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리브(250)에 의해 하부(238)에 일체로 고정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 다이얼(116)은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슬롯(252), 제3 래치(254) 및 제4 래치(256)를 더 포함한다. 제3 래치(254) 및 제4 래치(256)는 하우징(104)에 제어 다이얼(116)을 고정하도록 제공된다(예를 들어, 도 20 참조). 예시된 실시예가 그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제3 래치(254) 및 제4 래치(25)를 갖는 제어 다이얼(116)을 예시하지만,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다양한 방향으로 더 많거나 더 적은 래치를 가질 수 있다. 슬롯(252)은 하부(238) 내에 위치되고 제2 외부 벽(248)을 통해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즉, 슬롯(252)의 제1 슬롯 단부(258)는 제2 외부 에지(246)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슬롯(252)은 제1 외부 에지(242) 및 제2 슬롯 단부(26)를 향해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슬롯(252)은 축(120)을 중심으로 90도 이상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슬롯(252)은 축(120)을 중심으로 100도 이상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롯(252)은 축(120)을 중심으로 90도와 180도 사이로 연장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슬롯(252)은 축(120)을 중심으로 대략 130도 연장된다.
도 25 내지 도 27은 상단 커버(112)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25를 특히 참조하여, 상단 커버(112)는 그 주변 에지(268)로부터 연장되는 환형 림(266)을 갖는 원형 벽(264)을 포함한다. 환형 림(266)은 제어 다이얼(116)의 수용 부분(272)에 의해 수용되고 고정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래치(270)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21 참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단 커버(112)는 3개의 래치(270)를 포함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는 더 많거나 더 적은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단 커버(112)의 원형 벽(264)은 주변 에지(268)로부터 안쪽으로 배치된 내부 에지(274)를 포함한다. 도 27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주변 에지(268) 및 내부 에지(274)는 내부 에지(274)가 상단 커버(112)의 최상부 부분을 정의하도록 상이한 평면 상에 배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에지(274) 및 주변 에지(268)는 거리 h 만큼 이격된다. 일부 경우에, 거리 h는 2밀리미터("mm")보다 클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거리 h는 8mm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원형 벽(264)은 주변 에지(268)로부터 내부 에지(274)를 향해 오목한 방식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형 벽(264)은 홈(276)을 향해 제1 방향으로 하향, 예를 들어 오목한 방식으로 하향 연장된다. 홈(276)으로부터, 원형 벽(264)은 내부 에지(274)와 만날 때까지 제2 방향으로, 예를 들어 오목한 방식으로 상향으로 만곡한다. 따라서, 원형 벽(264)은 만곡된 벽을 정의하고, 내부 에지(274)는 중앙 구멍(278)을 정의한다.
이제 도 26을 참조하면, 원형 벽(264)은 중앙 구멍(278)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구멍(280)을 더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멍(280)은 중앙 구멍(278)으로부터 멀리 위치될수록 크기가 감소한다. 즉, 주변 에지(268)에 근접한 복수의 구멍(280)은 내부 에지(274)에 근접한 복수의 구멍(280)보다 작다. 복수의 구멍(280)는 통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통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는 다양한 디자인 및 구성에서 더 많거나 더 적거나 없는 개구를 갖는 상단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각각 디스펜서 어셈블리(100)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제공한다. 도 30은 도 29의 선 30-30을 따라 취한 디스펜서 어셈블리(10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126)의 채널(194)은 내부에 용기(108)의 심지(286)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고정 부분(198)은 용기(108)를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용기(108)의 일부를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 다이얼(116)의 슬롯(252)은 내부에 확산 요소(110)의 구성요소일 수 있는 강도 스위치 암(28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 다이얼(116)의 회전 운동은 축(120)에 의해 정의된 축 방향으로 강도 스위치 암(288)의 병진을 초래하고, 이는 용기(108) 내에 유지된 유동성 매질의 분배 강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초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산 요소(110)가 히터 배열을 포함하는 경우에, 강도 스위치 암(288)은 히터의 온도를 변경하기 위해 컨트롤러(예를 들어, 도 31의 컨트롤러(292)와 같은)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확산 요소(110)가 팬 배열을 포함하는 경우에, 강도 스위치 암(288)은 팬 배열의 강도를 수정하기 위해 컨트롤러(예를 들어, 도 31의 컨트롤러(292)와 같은)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강도 스위치 암(288)은 유동성 매질의 분배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확산 요소(110) 또는 심지(286) 중 하나 이상을 이동함으로써 확산 요소(110)에 대한 심지(286)의 근접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어 다이얼(116)이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면, 확산 요소(110)는 더 낮은 강도에서 작동할 수 있고(예를 들어, 히터는 더 낮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음) 디스펜서(102)는 제어 다이얼(116)이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경우보다 더 적은 유동성 매질을 분배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다이얼(116)이 완전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확산 요소(110)는 더 낮은 강도에서 작동할 수 있고(예를 들어, 히터는 더 낮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음) 디스펜서(102)는 다이얼(116)이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경우보다 더 적은 유동성 매질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는 강도 스위치 암(288)이 달성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미리 설정된 분배 강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 요소(110)는 3개의 미리 설정된 강도: 낮음, 중간 및 높음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산 요소(110)가 히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히터는 미리 설정된 강도에 따른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제어 다이얼(116)이 완전히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강도 스위치 암(288)이 제2 슬롯 단부(260)(예를 들어, 도 24 참조)에 배치되면, 확산 요소(110)(예를 들어, 히터)는 낮은 강도(예를 들어, 낮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강도 스위치 암(288)이 제1 슬롯 단부(258)와 제2 슬롯 단부(260) 사이의 슬롯(252)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도록 제어 다이얼(116)이 회전되면(예를 들어, 도 24 참조), 확산 요소(110)(예를 들어, 히터)는 중간 강도(예를 들어, 중간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다이얼(116)이 완전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강도 스위치 암(288)이 제1 슬롯 단부(258)에 배치되면(예를 들어, 도 24 참조), 확산 요소(110)(예를 들어, 히터)는 높은 강도(예를 들어, 높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제어 다이얼(116)이 시계 방향 및/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확산 요소(110)의 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강도의 변화에 있어서 더 많거나 더 적은 불연속(discrete)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다이얼(116)은 사용자가 비교적 인지할 수 없지만 꺼짐 강도와 최대 강도 사이의 스펙트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는 강도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포함하는 강도의 연속적인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2)는 용기(108)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센서(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센서(290)는 정전용량 센서이지만, 센서(290)는 자기 또는 기계적 플로트, 압력 센서 또는 광학 센서와 같은 유체 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해당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유형의 센서일 수 있다. 센서(290)는 용기(108) 내의 유동성 매질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1을 참조하여, 센서(290)는 용기(108)의 충전 레벨을 컨트롤러(292)에 전달할 수 있고, 컨트롤러(292)는 밝기 강도, 펄스(또는 깜박임) 케이던스, 및/또는 디스펜서(102) 상의 시각적 인디케이터(114)의 색상을 조정하여 디스펜서의 충전 레벨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펜서(102)는 다양한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는 시각적 인디케이터(114)를 조정할 수 있는 컨트롤러에 분배 강도 변화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는 디스펜서의 전력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상호작용적이고 직관적인 표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0에 도시된 시각적 인디케이터(114)와 같은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색상, 밝기, 펄스 및 깜박임과 같은 특정 매개변수에 의해 정의되는 시각적 표시 또는 피드백 시퀀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밝기, 펄스 시퀀스 및/또는 깜박임 시퀀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두 가지 색상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두 가지 색상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2개의 밝기 강도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2개의 펄싱(또는 깜박임) 시퀀스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표시 또는 피드백 시퀀스의 예를 도시한다. 설명을 위해, 디스펜서에 전력이 공급되면 디스펜서는 켜짐 상태로 간주된다. 즉, 디스펜서가 예를 들어 팬 또는 히터와 같은 동력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확산 요소를 갖는 경우, 동력 구성 요소는 디스펜서가 켜짐 상태에 있을 때 의도된 사용을 위해 전력을 공급받거나 작동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펜서와 그에 따라 동력 구성요소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의도한 용도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디스펜서는 꺼짐 상태로 간주된다. 또한, 디스펜서에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일반적으로 디스펜서가 꺼짐 상태일 때 시각적 인디케이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디스펜서는 동력 구성 요소가 의도한 용도로 작동하지 않을 때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지만 여전히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확산 요소가 히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히터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디스펜서가 슬립 상태에 있을 때 저전력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립 상태에 있을 때, 동력 구성 요소는 일시적인 시간 동안 의도한 사용을 위해 작동하지 않거나 소량의 유동성 매질을 분배하지만,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여전히 시각적 표시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여전히 슬립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슬립 상태 간격으로 자동 전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가 하루 중 16시간 동안 켜짐 상태에 있을 수 있고 8시간 동안 슬립 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슬립 상태 간격을 시작하는 스위치가 활성화될 수 있다. 8시간 동안 슬립 상태를 유지한 후, 디스펜서는 자동으로 켜짐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로서 또는 전술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때,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시각적 표시 또는 피드백 시퀀스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켜짐 상태, 꺼짐 상태 및 슬립 상태 각각 동안,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상이한 시각적 표시 또는 피드백 시퀀스를 방출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다시 설명의 목적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용기(108)와 같은, 디스펜서에 부착되고 유동성 매질을 보유하는 용기는, 용기가 내부에 보유된 유동성 매질의 미리 설정된 최소량 이상을 갖는 경우, 채워진 상태에 있다. 일부 경우에, 미리 설정된 최소값은 용기(108) 내부 부피의 2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최소값은 내부 부피의 10%일 수 있다. 이 미리 설정된 최소값은 내부 볼륨의 0%에서 99%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미리 설정된 최소값은 용기(108)에 보유된 유동성 매질의 부피의 백분율 감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최소값은 유동성 매질의 75%, 80% 또는 85%가 용기(108)의 내부 부피로부터 분배될 때일 수 있다. 용기가 그 안에 보유된 유동성 매질의 미리 설정된 최소량 미만이면 용기는 낮은 상태에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가 용기 내부 용적의 15%의 미리 설정된 최소값을 갖는 경우, 유동성 매질이 내부 용적의 최소 15%를 차지한다면 용기는 채워진 상태에 있게 되며, 유동성 매체가 내부 부피의 15% 미만을 차지하는 경우 용기는 낮은 상태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펜서가 용기에 보유된 유동성 매질의 부피의 90% 감소의 미리 설정된 최소값을 갖는 경우, 유동성 매체가 90% 이하의 부피 감소를 경험했다면 용기는 채워진 상태에 있을 것이며, 유동성 매질이 90%보다 큰 부피 감소를 경험했다면 용기는 낮은 상태에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켜짐, 꺼짐 및 슬립 상태와 유사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용기가 전술한 상태 사이를 전환할 때 또는 그로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시각적 표시 또는 피드백 시퀀스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채워진 상태 및 낮은 상태 중 하나에 있을 때,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상이한 시각적 표시 또는 피드백 시퀀스를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꺼짐 상태에서 켜짐 상태로 전환할 때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예시적인 시각적 표시 또는 피드백 시퀀스를 도시한다. 꺼짐 상태에서는 시각적 인디케이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시각적 표시가 제공되지 않는다. 디스펜서가 꽂혀 있을 때(또는 전원이 켜질 때),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제1 시각적 표시를 방출할 수 있다. 제1 시각적 표시는 피드백 플래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W" 럭스의 밝기를 가질 수 있는 2개의 연속 0.25초 플래시(a-b 초 및 c-d 초)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래시의 지속시간은 변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피드백 플래시를 완료한 후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제2 시각적 표시를 방출할 수 있다(d초). 제2 시각적 표시는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X" 럭스의 특정 밝기를 방출하는 정상 상태 밝기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X" 럭스의 정상 상태 밝기는 "W" 럭스의 피드백 플래시보다 작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X" 럭스는 "W" 럭스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정상 상태의 밝기와 피드백 플래시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비록 도 32에 도시된 시각적 표시 순서는 디스펜서가 꺼짐 상태에서 켜짐 상태로 전환할 때 밝기(또는 럭스)의 변화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꺼짐 상태에서 켜짐 상태로 전환할 때 깜박임, 펄스, 색상 변경 또는 다양한 광 패턴과 같은 다른 유형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비록 도 32는 디스펜서가 켜짐 상태에 있을 때 일정한 밝기(또는 럭스)를 도시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켜짐 상태에 있을 때 펄스, 플래시, 색상 변경 또는 다양한 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3은 도 21 내지 도 24의 제어 다이얼(116)과 같은 제어 다이얼이 조정될 때(또는 그로서)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다른 예시적인 시각적 표시 또는 피드백 시퀀스를 도시한다. 첫째, 디스펜서가 켜짐 상태이므로,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X" 럭스의 정상 상태 밝기를 방출할 수 있다. 제어 다이얼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또는 이와 같이), 즉 분배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 다이얼이 회전할 때(또는 이와 같이), 다이얼이 회전을 멈출 때까지(e-f 초)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밝기가 동기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밝기는 "X" 럭스에서 "Y" 럭스로 점진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밝기는 연속적인 모양을 주기 위해 "X" 럭스에서 "Y" 럭스로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가 상이한 불연속(discrete) 밝기 수준으로 전환하고 있음이 명백한 단계적 방식으로 증가할 수 있다. 다이얼의 회전 후,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W" 럭스의 피드백 플래시를 제공하기 전에 f-g 초, 예를 들어 0.95초 동안 "Y" 럭스의 밝기로 유지될 수 있다(g-h 및 i-j 초). 그러면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X" 럭스 (k초에서)의 정상 상태 밝기로 돌아갈 수 있다. 비록 도 33에 도시된 시각적 표시 순서는 디스펜서의 분배 강도가 변할 때 밝기(또는 럭스)의 변화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분배 강도가 변경될 때(또는 그에 따라) 깜박임, 펄스, 색상 변화 또는 다양한 광 패턴과 같은 다른 유형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33은 디스펜서의 분배 강도가 증가함에 따른 시각적 표시를 도시하지만, 이 예시적인 시각적 표시는 디스펜서의 분배 강도가 동일하거나 관련된 방식으로 감소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의 분배 강도가 감소하면,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e-f 기간 동안 밝기를 감소시키고, f-g 기간 동안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g-h 및 i-j 기간 동안 피드백 플래시를 제공한 다음, k 초에서 "X" 럭스의 정상 상태 밝기로 돌아갈 수 있다(그림 33 참조).
도 34는 디스펜서가 슬립 상태에 들어갈 때(또는 이와 같이)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시각적 표시 또는 피드백 시퀀스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는 설정된 시간 후에 자동으로 슬립에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가 슬립 상태에 들어갈 때(또는 그와 동시에)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피드백 플래시를 제공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m-1초 및 o-n 초, 또는 약 0.25초 동안 "X" 럭스의 정상 상태 밝기에서 두 번 깜박일 수 있다. 피드백 플래시를 제공한 후,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슬립 상태 기간 동안 천천히 펄스할 수 있다. 즉,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빛이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o-p초) "X" 럭스에서 밝기를 점진적으로 낮출수 있고, "Z" 럭스(q-r초)에 도달할 때까지 밝기를 점차 높일 수 있다.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전체 슬립 상태에서 이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데 약 8초가 걸릴 수 있다(o-p 초). 그런 다음, 8초(q-r초)에 걸쳐 "Z" 럭스로 점차 증가하기 전에,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약 q-p초(예를 들어, 3초) 동안 빛을 방출하지 않은 상태로 진행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Z" 럭스는 "X" 럭스보다 작고;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Z" 럭스는 "X" 럭스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Z" 럭스는 "X" 럭스의 대략 50%일 수 있다. 또한, "Z" 럭스는 "X" 럭스의 40%, 60% 또는 70% 미만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디스펜서가 켜짐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이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또한, 비록 도 34에 도시된 시각적 지시 시퀀스는 디스펜서가 슬립 상태로 들어갈 때 밝기(또는 럭스)의 변화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슬립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될 때(또는 그와 같이), 깜박임, 펄스, 색상 변화 또는 다양한 광 패턴과 같은 다른 유형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용기가 낮은 상태에 들어갈 때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35를 참조하면,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용기가 채워진 상태에 있을 때 제1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고 용기가 낮은 상태에 있을 때 제2 시각적 표시를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각적 표시 및 제2 시각적 표시는 상이한 색상, 상이한 밝기, 또는 상이한 펄스/플래시 시퀀스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용기가 낮은 상태에 있거나 낮은 상태에 들어갈 때 빠르게 펄스하거나 깜박일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충전 상태와 관련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용기가 낮은 상태로 들어갈 때만 제공되며 다른 작동 매개변수에 대해 이전에 논의된 것 이외의 추가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디스펜서는 용기가 일정 시간 동안 낮은 상태로 유지될 때 자동으로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 낮은 상태에 있는 후, 확산 요소 및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동력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전체 디스펜서는, 용기가 리필 용기로 교체될 때까지, 용기가 채워져 있다면, 또는 디스펜서가 재설정될 때까지(예를 들어, 플러그가 뽑힐 때까지) 더 이상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수많은 변형은 전술한 설명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당업자가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수행하는 최상의 모드를 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수정 사항에 대한 배타적 권리는 유보된다.

Claims (42)

  1.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용 라이트 링으로서,
    상기 라이트 링은 형상이 환형이고 디스펜서의 본체에 결합되는, 라이트 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은 그에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LED 광을 갖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링은 그를 통해LED로부터의 광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라이트 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으로부터 발산된 광은 상기 디스펜서의 원주 주위에서 360도 볼 수 있는, 라이트 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으로부터 발산된 광은 상기 디스펜서의 원주 주위에서 적어도 180도 볼 수 있는, 라이트 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광 강도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라이트 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펄스 패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라이트 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상기 라이트 링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제1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제2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시각적 표시와 상기 제2 시각적 표시는 상이한, 라이트 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유동성 매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적어도 제1 배출 강도 또는 제2 배출 강도에서 상기 유동성 매질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라이트 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강도는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는, 라이트 링.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은 배출 강도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3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시각적 표시는 상기 제1 및 제2 시각적 표시와 상이한, 라이트 링.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각적 표시는 펄스를 포함하는, 라이트 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콘센트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2개의 전기 프롱을 포함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라이트 링.
  13. 디스펜서로서,
    유동성 매질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용기; 및
    상기 유동성 매질을 배출하기 위한 메커니즘;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제1 작동 상태 또는 제2 작동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고, 라이트 링은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1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고, 디스펜서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2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각적 표시는 상기 제2 시각적 표시의 밝기와 상이한 밝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는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확산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확산 요소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확산 요소는 전력이 공급되는, 디스펜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3 상태 또는 제4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상기 라이트 링은 상기 용기가 상기 제3 상태에 있을 때 제3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고 상기 용기가 상기 제4 상태에 있을 때 제4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시각적 표시 및 상기 제4 시각적 표시는 상이한 색상인, 디스펜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은 그에 인접하게 배치된 LED 광을 갖고 제1 축을 정의하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9. 제18항에 있어서,
    LED 광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환형 본체의 적어도 90도를 차지하는, 디스펜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는 그의 제1 단부에서 원형 개구를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링은 상기 원형 개구 주위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
  21.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용 시각적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상기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의 본체의 전체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광이고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는 제1 작동 상태 또는 제2 작동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은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1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고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2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각적 표시 및 상기 제2 시각적 표시는 상이한, 시각적 인디케이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복수의 LED 광을 포함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그에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LED 광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환형 본체를 포함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본체는 상기 디스펜서의 상기 본체를 통해 연장되는 종방향 축에 직교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광 강도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펄스 패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색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31.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에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유동성 매체를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상기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라이트 링이고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확산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 요소는 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이트 링은 상기 확산 요소가 전력이 공급될 때 제1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은 상기 확산 요소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 제2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각적 표시는 상기 제2 시각적 표시와 상이한,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슬립 상태 간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링은 상기 슬립 상태 간격 동안 제3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시각적 표시는 상기 제1 시각적 표시 및 상기 제2 시각적 표시와 상이한, 방법.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매질의 낮은 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링은 낮은 충전 상태가 검출될 때 제4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시각적 표시는 상기 제1 시각적 표시, 상기 제2 시각적 표시 및 상기 제3 시각적 표시와 상이한, 방법.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은 상기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의 원주의 적어도 180도에 걸쳐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시각적 표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링은 그에 인접하게 배치된 LED 광을 갖고 제1 축을 정의하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환형 본체의 적어도 90도를 따라 배치되는, 방법.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매질 디스펜서는 그의 제1 단부에 원형 개구를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링은 상기 원형 개구 주위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KR1020227026907A 2020-01-15 2021-01-11 시각적 표시 시스템을 갖춘 디스펜서 KR20220128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43,933 US20210213471A1 (en) 2020-01-15 2020-01-15 Dispenser with a visual indication system
US16/743,933 2020-01-15
PCT/US2021/012911 WO2021146129A1 (en) 2020-01-15 2021-01-11 Dispenser with a visual ind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373A true KR20220128373A (ko) 2022-09-20

Family

ID=7455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907A KR20220128373A (ko) 2020-01-15 2021-01-11 시각적 표시 시스템을 갖춘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213471A1 (ko)
EP (1) EP4090388A1 (ko)
JP (1) JP2023511866A (ko)
KR (1) KR20220128373A (ko)
CN (1) CN115297899A (ko)
AR (1) AR121053A1 (ko)
AU (1) AU2021208455A1 (ko)
BR (1) BR112022014000A2 (ko)
MX (1) MX2022008810A (ko)
WO (1) WO2021146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9038S1 (en) * 2019-09-26 2023-02-21 The Yankee Candle Company, Inc. Fa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7132B2 (en) * 2002-05-28 2010-11-23 S.C. Johnson & Son, Inc. Automated cleansing sprayer
US7942544B2 (en) * 2008-02-12 2011-05-17 Smathers Randall H Hose mounted visual indicating device
US8821171B2 (en) 2011-09-22 2014-09-02 S.C. Johnson & Son, Inc. Rotatable plug assembly and housing for a volatile material dispenser
US8858236B2 (en) 2011-10-28 2014-10-14 S.C. Johnson & Son, Inc. Rotatable plug assembly and method of reducing strain in a wire
US8983279B2 (en) * 2012-07-31 2015-03-17 S.C. Johnson & Son, Inc. Volatile material dispenser and method of emitting a volatile material
US9669126B2 (en) * 2012-08-06 2017-06-06 S.C. Johnson & Son, Inc. Volatile material dispenser and method of emitting a volatile material
US10314763B2 (en) * 2013-12-31 2019-06-11 Teeny Clean, Llc Eyelid care appliance
US10034530B2 (en) * 2015-08-18 2018-07-31 L'oreal Photo-activatable formulation applicator
CN205102315U (zh) * 2015-11-13 2016-03-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器
CN105276737A (zh) * 2015-11-13 2016-0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器
MX2018012096A (es) * 2016-04-11 2019-01-10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shisha para calentar un sustrato sin combustion.
US10764963B2 (en) * 2016-10-07 2020-09-01 S. C. Johnson & Son, Inc. Volatile material dispenser
CN206817679U (zh) * 2017-06-01 2017-12-29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灯光显示结构、具有灯光显示结构的旋钮开关及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08455A1 (en) 2022-08-04
CN115297899A (zh) 2022-11-04
WO2021146129A9 (en) 2022-12-08
BR112022014000A2 (pt) 2022-10-11
JP2023511866A (ja) 2023-03-23
MX2022008810A (es) 2022-08-18
AR121053A1 (es) 2022-04-13
WO2021146129A1 (en) 2021-07-22
US20210213471A1 (en) 2021-07-15
EP4090388A1 (en)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8022B1 (en) Led light bulb with active ingredient emission
EP1954326B1 (en) Air freshener with electric lighting
US7281811B2 (en) Multi-clarity lenses
CA2603622C (en) Night light with fragrance dispenser
AU2006230458B2 (en) Bottle eject mechanism
US7740395B2 (en) Illuminated air treatment device
US20070014549A1 (en) Combination White Light and Colored LED Light Device with Active Ingredient Emission
WO2007045835A2 (en) Air freshener with removable cartridge
WO2007045832A1 (en) Air freshener with lighting unit
KR20220128373A (ko) 시각적 표시 시스템을 갖춘 디스펜서
US9833530B2 (en) Volatile material dispenser having a faceplate
WO2007045831A2 (en) Dispensing device with electrical heated w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