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955A -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955A
KR20220126955A KR1020210031312A KR20210031312A KR20220126955A KR 20220126955 A KR20220126955 A KR 20220126955A KR 1020210031312 A KR1020210031312 A KR 1020210031312A KR 20210031312 A KR20210031312 A KR 20210031312A KR 20220126955 A KR20220126955 A KR 2022012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문
이성철
권혜림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955A/ko
Publication of KR2022012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희석 모노머; 및 극성 가소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점착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저온 탄성률은 낮추면서 밀착력, 폴딩성 및 고온 신뢰성이 향상되어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FILM PREPARING FROM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터치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하거나, 고휘도 및 고투과성을 얻기 위해 광학적으로 투명한 감압 점착제를 다수 이용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산업에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은 점점 폴더블 형태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러한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패널에 투명 필름 또는 UTG (ultra thin glass)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제는 각종 기재에 대한 점착성과 동시에 고온, 고습 조건 등과 같은 가혹 조건에 노출된 경우에도 컬(curl)이나 기포 등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6265호는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60℃이고, 중량평균분자량 40,000 내지 60,000의 우레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점착제를 폴딩 형태로 구동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경우 탄성률의 부족으로 점착 필름이 파단되거나, 들뜨거나, 주름이 형성 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일정 경화도 미만에서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에, 탄성률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탄성률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폴딩시 응력 완화에 취약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탄성률을 일정 수준으로 낮출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탄성률을 낮추기 위해 가소제를 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 가소제를 사용하는 경우, 탄성률뿐만 아니라 밀착력도 같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밀착력 저하는 방지하면서 탄성률만 낮출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62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폴딩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극성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저온 탄성률은 낮추면서 밀착력, 저온 폴딩성 및 고온 신뢰성을 향상시킨 점착제 조성물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희석 모노머; 및 극성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극성 가소제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 극성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저온 탄성률은 낮추면서 밀착력, 저온 폴딩성 및 고온 신뢰성이 향상된, 저탄성 고내구성의 점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보다 적합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시트, 점착층 및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며, 이로부터 제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특정 극성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저온 탄성률은 낮추면서 밀착력, 저온 폴딩성 및 고온 신뢰성이 향상된 점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 점착제 조성물 >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희석 모노머 및 극성 가소제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시트는 -20℃ 및 1Hz에서 탄성률이 0.01 MPa 내지 0.3 MPa 범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 MPa 범위에 속하고, 글라스에 대한 밀착력이 10 N/25mm 이상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률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시트, 점착층 및/또는 점착 필름의 폴딩성이 현저히 우수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탄성률을 만족하는 점착시트, 점착층 및/또는 점착 필름이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경우 지속적인 폴딩 구동에 노출되더라도 점착시트, 점착층 및/또는 점착 필름의 파단, 들뜸, 박리 및 주름(줄무늬)형성 등의 문제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기재에의 밀착력 또한 우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본 발명에서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당업자에게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인식되는 물질 또는 아크릴레이트 수지 시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펜, 수첨 폴리부타디엔 및 수첨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지방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골격을 포함하고, 적어도 말단에 하나 이상의 광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통상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나, 구체적으로는 지방족 화합물의 골격을 갖는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광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수지 시럽은 아크릴계 단량체와 이들의 중합물인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용해되어 있는 수지 시럽으로, 점착필름의 취급 및 점착공정에 용이한 저장탄성률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메틸 크릴레이트, 에틸 크릴레이트, 이소 프로필 아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의 중합체이며 이중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HA)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 30,000 내지 150,000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0 내지 100,000일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상기 분자량을 만족할 경우 고온고습 조건하에서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함량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희석 모노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랑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로 포함될 경우 고온고습 조건하에서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희석 모노머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희석 모노머를 포함하며, 상기 희석 모노머는 UV 경화성 모노머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나, 탄소수 6 내지 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극성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마이드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극성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아마이드계 화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희석 모노머가 상기 구성을 포함할 경우 기재와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고온고습 조건하에서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폴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희석 모노머로 (메타)아크릴아마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점착력을 향상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가 6 내지 30인 알킬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모두를 의미한다. 상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일 수 있다.
상기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하이드록시기와 같은 극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하이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아미노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구체적으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하이드록시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12-하이드록시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EA),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4-HBA)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아마이드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마이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마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희석 모노머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극성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상기 함량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점착력 상승 및 신뢰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희석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희석 모노머의 합계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상기 함량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점착 코팅액의 점도를 조절하여 공정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극성 가소제
본 발명에서 극성 가소제는 상기 극성 가소제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의 폴딩성 향상을 위해 탄성률을 저하시키되, 밀착력은 유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극성 가소제는 일반적으로 식품류에 사용되던 극성 관능기를 가지는 지방산 계열의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극성 가소제는 하이드록시기 및 카복시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극성 관능기를 분자 내에 1 내지 4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관능기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밀착력은 유지하면서 탄성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극성 가소제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 내지 15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극성 가소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신뢰성에서 석출등에 의한 불량 발생의 가능성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 가소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피마자유(Castor Oil)라 불리우는 것일 수 있고,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다이머산(Dimer Acid)이라 불리우는 것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이라 불리우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극성 가소제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상기 희석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가소제가 상기 함량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적절한 저온 탄성률 조절과 밀착력 상승의 이점이 있다.
광 개시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개시제는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화합물이며, 빛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이나 산을 발생하는 것으로,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광 개시제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광 개시제로서는,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알킬페논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요오드늄염,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 화합물로서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 화합물로서는, 벤조페논, o-벤조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페논 화합물로서는,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2-디페닐-2,2-디메톡시에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로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 화합물로서는,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광 개시제로서는, 이르가큐어(Irgacure) 907,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651, 이르가큐어 819, 이르가큐어 250, 이르가큐어 369(이상, 전부 치바 내지 재팬(주) 제조), 세이쿠올(SEIKUOL) BZ, 세이쿠올 Z, 세이쿠올 BEE(이상, 전부 세코카가쿠(주) 제조), 카야큐어(kayacure) BP100(니혼카야쿠(주) 제조), 카야큐어 UVI-6992(다우사 제조), 아데카옵토마 SP-152 또는 아데카옵토마 SP-170(이상, 전부 (주)ADEKA 제조), TAZ-A, TAZ-PP(이상, 니혼시이벨헤그나사 제조), TAZ-104(산와케미컬사 제조) 등의 시판되는 광중합 개시제도 이용할 수 있다.
광 개시제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희석 모노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점착제 조성물의 중합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져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 점착 시트, 점착층 및 점착 필름 >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점착 시트, 점착층 및 점착 필름을 제공하며,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 점착층 및 점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통상적으로 동 분야의 점착 시트, 점착층 및 점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및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술하나, 본 발명이 하기 내용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분야에서 필요한 정도에 의해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제조예 1: 우레탄 올리고머의 제조 1
평균 분자량이 1230인 폴리카프로락톤디올[다이셀화학공업(주)제, 상품명: Placcel212] 81중량부에 500ppm의 다이부틸틴다이라우레이트 촉매(DBTDL)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0 중량부를 80℃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에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9 중량부를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75,000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우레탄 올리고머의 제조 2
수소화 폴리부타디엔 폴리올(EPOL, Idemitsu Kosan) 80중량부에 500ppm의 다이부틸틴다이라우레이트 촉매(DBTDL)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0 중량부를 80℃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에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9 중량부를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120,000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우레탄 올리고머의 제조 3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9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10중량부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을 0.8중량부 추가로 투입하였다.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80℃로 유지하였다. UV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10 분 동안 조사시킴으로써 아크릴시럽을 제조하였다(중량평균분자량: 136만, PDI 4.6)
제조예 4: 우레탄 올리고머의 제조 4
분자량 1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한농화성, PPG1000) 81중량부에 400ppm의 다이부틸틴다이라우레이트 촉매(DBTDL)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9 중량부를 80℃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에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9 중량부를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64,000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합성한 우레탄 올리고머 40 중량%, 2-EHA(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 중량%, 4-HBA(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5 중량%, 2-HEA(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3 중량%, ACMO(아크릴로일 모르폴린) 2중량%와 같은 폴리머 생성 성분 100 중량부 대비 Castor oil(피마자유) 5 중량부 여기에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을 1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를 측정 결과 -66℃이었다 (측정 기기: DSC8000, PerkinElmer Inc.).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액 이형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75 ㎛)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이 후, UV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10 분 동안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두께가 50 ㎛가 되도록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및 2의 점착제 조성물의 함량비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구분 (단위: 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제조예1 40 40 40 40 40
제조예2 40
제조예3 40
제조예4 40
희석
모노머
2-EHA 40 40 40 40 40 40 40 40
4-HBA 15 15 15 15 15 15 15 15
2-HEA 3 3 3 3 3 3 3 3
ACMO 2 2 2 2 2 2 2 2
가소제 Castor Oil 5 5 5 5
Dimer Acid 5
Ricinoleic Acid 5
Diisononyl adipate 5
광 개시제 I-184 1 1 1 1 1 1 1 1
<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
제조예 1: 중량평균분자량 75,000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조예 2: 중량평균분자량 120,000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조예 3: 아크릴 시럽 (중량평균분자량: 136만, PDI 4.6)
제조예 4: 중량평균분자량 64,000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 희석 모노머 >
2-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HBA: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HE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ACMO: 아크릴로일 모르폴린
< 극성 가소제 >
Castor Oil(피마자유):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Dimer Acid(다이머산):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5
Ricinoleic Acid(리시놀레산):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at00006
< 비극성 가소제 >
Diisononyl adipate(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pat00007
< 광 개시제 >
I-184: 시바사
실험예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점착시트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탄성률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광학부재층이 적층되기 전의 각 점착시트에 대하여 저장탄성률을 측정하였다.
각 점착시트에 대해서, 25℃에서의 저장탄성률을 점탄성 측정 장치(MCR-301, Anton Paar사)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시트의 사이즈를 길이 30mm × 폭 30mm로 재단하고, 상기 재단한 점착시트의 한 면에 부착된 이형필름을 제거한 뒤, 유리기판에 접합하였으며, 그 후 측정팁(tip)과 접착한 상태로, -30 내지 100℃의 온도 영역에서 주파수 1.0Hz, 변형 2%, 승온 속도 5℃/min의 조건 하에서 측정하고, 이 때, -20℃의 측정값을 판독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2) 폴딩(Folding)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된 점착 필름을 50μm PET에 접합하여 20mmx100mm 로 절단하여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폴딩 평가를 위한 굴곡성 평가 장치(COVOTECH사, CFT-720C)에 시편을 고정시키고, 곡률반경 2mm으로 폴딩되도록 하고, 분당 25회 폴딩, 1회 폴딩 후 0.2초 유지의 조건으로 -20℃의 조건에서 폴딩 평가를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폴딩 평가 적용시 1회 폴딩을 1cycle이라 하고 폴딩 부위에서 줄무늬 등이 생기거나 점착필름의 파단, 들뜸, 박리 등이 생기는 최초 cycle 수를 평가하여 폴딩 부위에서 줄무늬 등이 생기거나 점착필름의 파단, 들뜸, 박리 등이 생기면 NG, 없으면 OK로 판정하였다.
(3) 밀착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시트 한 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PET에 접합 후 폭 25mm, 길이가 250mm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PET/점착제층 구성에 부착된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JIS Z 0237의 규정에 따라 2 kg의 롤러를 사용하여 점착시트를 무알칼리 강화 글라스에 부착 후, 항온 항습 조건(23℃, 50%RH)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 샘플을 오토 그라프(AG-1S, SHIMADZU사)를 이용하여, 상기 점착시트를 무알칼리 강화 글라스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200mm 박리하면서 점착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 평가기준 >
○: 10 N/25mm 이상
△: 5 N/25mm 초과 10 N/25mm 미만
×: 5 N/25mm 이하
(4) 고온 신뢰성 평가
편광판과 PET 사이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된 점착 필름을 위치시켜 합판한 후 고온고습 (85℃, 85% 상대습도) 상태에 10일간 보관한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기포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 평가기준 >
OK: 기포나 박리 없음
NG: 기포나 박리 있음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20℃ 탄성률(Pa) 73000 68000 75000 72000 72000 72000 98500 90800
-20℃ 폴딩성(회) 50,000 50,000 50,000 50,000 50,000 50,000 1,000 1,200
OK OK OK OK OK OK NG NG
밀착력
고온신뢰성 OK OK OK OK OK OK NG NG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은 -20℃에서의 저장 탄성률 및 폴딩성 평가, 밀착력 고온 신뢰성 평가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극성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극성 가소제를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20℃에서의 탄성률이 증가하였고, 저온 폴딩성 및 고온 신뢰성 평가 결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극성 가소제를 사용하는 경우, 밀착력 또한 저하되었다.

Claims (10)

  1.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희석 모노머; 및 극성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극성 가소제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성 가소제는 중량 평균 분자량 200 이상 1500 이하인 것인, 점착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는 하이드록시기 및 카복시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성 가소제는 분자 내에 1 내지 3개의 극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성 가소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화학식 2]
    Figure pat00009

    [화학식 3]
    Figure pat00010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상기 희석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극성 가소제를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희석 모노머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극성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아마이드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시트는 -20℃ 및 1Hz에서 탄성률이 0.01 MPa 내지 0.3 MPa인 것인, 점착제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점착 필름.
KR1020210031312A 2021-03-10 2021-03-10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KR20220126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12A KR20220126955A (ko) 2021-03-10 2021-03-10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12A KR20220126955A (ko) 2021-03-10 2021-03-10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55A true KR20220126955A (ko) 2022-09-19

Family

ID=8346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312A KR20220126955A (ko) 2021-03-10 2021-03-10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69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265A (ko) 2013-05-20 2014-11-28 (주)엘지하우시스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265A (ko) 2013-05-20 2014-11-28 (주)엘지하우시스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649B1 (ko) 우레탄 올리고머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JP7366552B2 (ja) 粘着剤層付き反射防止フィルム、自発光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531167A (ja) 保護フィルム
CN105807356B (zh) 两面带有粘合剂层的偏振薄膜、其制造方法及图像显示装置
JP7143918B2 (ja) 導電部材用粘着シート、導電部材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6620092B2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貼り合せ方法及び物品
JP6722584B2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貼り合せ方法及び物品
JP6778106B2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貼り合せ方法及び物品
JP6625534B2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及び物品
JP6756340B2 (ja) 硬化性組成物、粘着層、透明面材、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5190558A1 (ja) 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物品
JP2016169335A (ja) 硬化性組成物、硬化物、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20126955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KR102494970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JP2016222861A (ja) 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物品
JPWO2019093157A1 (ja) 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を用いた光学部材の製造方法
KR20190011220A (ko) 자외선경화형 점착제, 경화물, 점착시트
WO2017073584A1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硬化物及びタッチパネル
KR20220006900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JP2021120437A (ja) 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1070707A (ja) 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
CN113518808A (zh) 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KR102446328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2487395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JP2024509554A (ja) 粘着剤組成物、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粘着剤層、前記粘着剤層を含む粘着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