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168A -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168A
KR20220126168A KR1020210030441A KR20210030441A KR20220126168A KR 20220126168 A KR20220126168 A KR 20220126168A KR 1020210030441 A KR1020210030441 A KR 1020210030441A KR 20210030441 A KR20210030441 A KR 20210030441A KR 20220126168 A KR20220126168 A KR 2022012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p
cap electrode
lamp body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주
장명기
고영철
김동효
주종욱
성대현
지재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이아이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이아이라이팅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168A/ko
Priority to PCT/KR2022/001833 priority patent/WO2022191441A1/ko
Priority to US17/702,590 priority patent/US11621157B2/en
Publication of KR2022012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732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735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12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희가스 램프 장치가 개시된다. 발광을 위한 희가스 및 형광물질을 수용하며 원통형으로 마련된 램프 바디로서, 램프 바디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발광영역을 포함하는램프 바디, 상기 램프 바디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캡 전극, 상기 상기 복수의 캡 전극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램프 바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여 상기 발광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램프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밴드 전극, 상기 복수의 캡 전극을 통해 밴드 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과 결합하는 스프링 홀더로서, 상기 캡 전극의 제1 측을 지지하는 제1 고정파트, 상기 캡 전극의 제2 측을 지지하는 제2 고정파트 및 상기 캡 전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과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스프링 홀더 및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광영역의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형광램프에는 열음극관 형광램프(Hot Cathode Florescent Lamp, HCFL), 냉음극관 형광램프(Cold Cathode Florescent Lamp, CCFL)과 같이 유리관 내부의 내부 전극을 이용하는 방식과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ight, EEFL)과 같이 유리관 외부 전극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유리관 자체가 유전체로 작용해서 방전을 유도하여 빛을 내는 방식으로,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여 냉음극관 형광램프 등에 비해 수명, 소비전력 등에 있어서 장점을 가진다.
외부전극 형광램프 중 유리관 자체가 유전체로 작용해서 방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리관의 표면에 유리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띠 형상의 외부 전극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램프도 있으며, 이를 대향전극이 있는 용량형 방전램프라고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유리관의 표면에 유리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띠 형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대향형 외부전극 형광램프로 지칭하기로 한다.
대향형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유리관 안에 제논가스와 같은 희가스(비활성기체)가 충전되어 있고 내부 표면에는 형광물질이 코팅되고 외부 표면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띠 형상의 외부 전극이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띠 형상 전극은 램프를 양단에서 클램프(clamp)하는 금속 재질의 홀더와 직접 연결되어 전압이 인가되거나, 램프를 양단에 배치되는 캡 전극(Cap Electrode)에 연결되고, 캡 전극이 홀더에 연결되어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금속 홀더가 인버터,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한 쌍의 띠 형상의 외부 전극에 고주파의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제논가스를 통한 방전이 발생, 엑시머 반응을 통하여 자외선이 방출된다.
다만, 램프가 홀더에 고정되는 상태에 따라, 램프로부터 발생한 광이 램프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외부 전극을 투과하지 못하여 램프의 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EEFL)에 있어서, 제1 밴드 전극과 제2 밴드 전극, 즉 외부 전극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의 노출면이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향할 수 있는 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희가스 램프 장치는, 발광을 위한 희가스 및 형광물질을 수용하며 원통형으로 마련된 램프 바디로서, 램프 바디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발광영역을 포함하는램프 바디; 상기 램프 바디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캡 전극; 상기 상기 복수의 캡 전극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램프 바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여 상기 발광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램프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밴드 전극; 상기 복수의 캡 전극을 통해 밴드 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과 결합하는 스프링 홀더로서, 상기 캡 전극의 제1 측을 지지하는 제1 고정파트, 상기 캡 전극의 제2 측을 지지하는 제2 고정파트 및 상기 캡 전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과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스프링 홀더; 및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광영역의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고정파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스토퍼 또는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으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토퍼는 상기 램프가 회전할 때, 상기 제1 고정파트 또는 상기 제2 고정파트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는 제1 면,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는 제2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도록 캡 전극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도록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의 외면으로부터 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홀의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램프 바디가 상기 램프 바디의 연장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제1 캡 전극 및 제2 캡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 전극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램프 바디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캡 전극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램프 바디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밴드 전극 각각은 제1 밴드 전극 및 제2 밴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 전극은 상기 제1 캡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밴드 전극은 상기 제1 밴드 전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램프 바디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캡 전극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캡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캡 전극 및 상기 제2 캡 전극이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광영역은 상기 제1 밴드 전극과 상기 제2 밴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구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램프 바디와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의 일부를 감싸는 비산방지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산 방지 필름의 일단과 상기 스프링 홀더는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산 방지 필름의 일단과 상기 스프링 홀더는 간격은 0.1mm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 및 스프링 홀더는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희가스 램프 장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EEFL)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가전 장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EEFL)로 마련되어 광을 발생하는 실린더 형상의 램프 바디;
상기 램프 바디의 외면 일부를 감싸며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실린더 형상의 제1 캡 전극, 제2 캡전극으로 마련되는 캡 전극;
상기 램프 바디의 외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밴드 전극 및 제2 밴드 전극으로서, 상기 제1 캡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밴드 전극, 상기 제2 캡 전극에 연결되는 제2 밴드 전극;
상기 제1 캡 전극 또는 상기 제2 캡전극을 클램핑하도록 제1 고정파트 및 제2 고정파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프링 홀더로서, 복수의 스프링 홀더 각각은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 전극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프링 홀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도록 상기 캡 전극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캡 전극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로서, 상기 제1 밴드 전극과 상기 제2 밴드 전극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 노출면이 상기 삽입구와 나란히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파트는 상기 캡 전극의 제1 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파트는 상기 램프의 제2 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고정파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또는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캡 전극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는 제1 면,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는 제2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도록 캡 전극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도록 제1 캡 전극의 외면으로부터 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전극으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토퍼는 상기 램프가 회전할 때, 상기 제1 고정파트 또는 상기 제2 고정파트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캡 전극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전극은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전극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램프 장치는 램프 바디의 양단에 고정된 캡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가 캡 전극을 고정하는 스프링 홀더에 간섭되어 램프 바디의 노출면이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가 설치된 신발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프링 홀더에 램프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램프 바디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램프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한 쌍의 밴드 전극으로 구성된 대향 전극과 피사체의 각도에 따른 UVC 강도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Z'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캡 전극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스프링 홀더의 사시도이다.
X'방향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캡 전극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스프링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가 신발관리기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프링 홀더에 램프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램프 바디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램프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한 쌍의 밴드 전극으로 구성된 대향 전극과 피사체의 각도에 따른 UVC 강도를 나타낸 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신발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힌지(23) 등을 통해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신발 관리실(30)의 내부를 마주보는 면에 마련되는 걸이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후술할 신발지지장치(50)의 손잡이(55)를 걸어 신발지지장치(5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다만 걸이부재(21)의 용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을 거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어(20)는 신발관리기(1)의 전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리하고자 하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에서 신발에 따른 알맞은 관리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발 관리실(30)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신발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어(20)의 하부에는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24)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24)는 리드스위치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24)가 리드스위치라면 도어 폐쇄시 자력이 유지되고, 개방시 자력이 끊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미도시)가 도어(20)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개폐감지센서(24)의 위치는 도어(20) 하부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은 개폐감지센서(24)가 본체(10) 내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외부캐비닛(11)과, 외부캐비닛(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캐비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캐비닛(12)은 캐비닛(12)으로 지칭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1)는 신발 관리실(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신발을 지지시키도록 마련되는 신발지지장치(50)를 포함 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신발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내부캐비닛(1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처리실(30)이라 지칭할 수 있다.
내부캐비닛(12)은 상벽(12a), 하벽(12b), 좌측벽(12c), 우측벽(12d), 및 후벽(12e)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캐비닛(12)의 내에는 신발을 관리하도록 마련되는 관리실(30)이 마련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1)는 신발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는 열교환기(47) 등이 마련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40)은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실(30)의 좌측벽(12c) 또는 우측벽(12d)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관리기(1)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신발의 측면이 보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측면의 길이를 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실(3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이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1)는 신발지지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내부캐비닛(12)의 측벽 내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실(30)의 좌측벽(12c)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열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면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실(30)에 우측벽(12d)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신발지지장치(50)는 내부캐비닛(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롱 부츠용 신발거치장치(미도시)를 신발 관리실(30)에 설치하거나 플레이트(80)에 신발을 놓아두는 경우에 신발지지장치(50)를 분리시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신발관리기는 살균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장치(100)는 내부캐비닛의 상벽(12a)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장치(100)는 외부캐비닛(11)과 내부캐비닛(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장치(100)는 외관에 드러나지 않을 수 있으며, 신발관리기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살균장치(100)는 신발지지장치(50)에 거치되는 신발의 외피를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실 내에 배치되는 신발은 살균될 수 있다. 살균장치(100)는 신발을 살균하도록 상벽(12a)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살균장치(10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살균장치(100)는 좌측벽(12c) 또는 우측벽(12d)에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벽(12e)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장치(100)는 신발지지장치(50)가 설치되는 벽 이외의 모든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살균장치(100)는 신발관리기 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신발관리기의 자유로운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부캐비닛(11)과 내부캐비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캐비닛(12)의 상벽(12a)에는 살균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장치(100)는 외부캐비닛(11)과 내부캐비닛(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장치(100)는 케이스(110, 160), 램프장치(10), 보호판(130), 반사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장치(10)는 램프 바디(100) 및 램프 바디(100)의 양단에 고정되는 캡 전극(200, 200'), 캡 전극(200, 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밴드 전극(400, 400') 및 캡 전극(200, 200')을 고정하는 스프링 홀더(50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장치(1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케이스(110, 160)는 램프장치(10), 보호판(130), 반사부재(14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 160)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하부케이스(110)가 될 수 있고, 제2케이스(160)는 상부케이스(160)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케이스(110)는 램프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램프장치(10)를 수용할 수 있고, 제2케이스(160)는 램프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램프장치(1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상벽(12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상벽(12a)에 마련되는 결합돌기(13)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상벽결합부(111)와, 안착홈(112)과, 스프링 홀더 결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램프장치(10)로부터 발생한 자외선이 관리실로 조사될 수 있도록 관리실을 향하여 개방된 개구(O)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벽결합부(111)는 상벽(12a)에 마련된 결합돌기(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벽결합부(111)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벽결합부(11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안착홈(112)은 램프장치(10)의 스프링 홀더(5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될 수 있다. 안착홈(112)은 램프장치(10) 및 스프링 홀더(5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112)은 원기둥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함몰될 수 있다. 다만, 안착홈(11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프링 홀더 결합부(113)는 스프링 홀더(500)과 결합되도록 스프링 홀더(5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홀더 결합부(113)는 돌기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스프링 홀더 결합부(113)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프링 홀더 결합부(113)는 스프링 홀더(500)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홀더 결합부(113)는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램프장치(10)는 케이스(110, 160) 내에 배치되어 신발을 살균하도록 자외선을 발산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장치(10)는 UVC를 발산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램프장치(10)는 UVA, UVB도 발산시킬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은 제1케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홀더(500)은 램프장치(1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은 제1케이스(110)의 스프링 홀더 결합부(113)와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과 스프링 홀더 결합부(113)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호판(130)은 관리실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1케이스(110)의 개구(O)를 커버할 수 있다. 보호판(130)은 제1케이스(110)의 개구(O)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호판(130)는 개구(O)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개구(O) 및 보호판(1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판(130)은 사용자가 케이스(110, 160) 내에 마련되는 램프장치(10)와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벽(12a)에는 자외선이 신발로 조사되기 위한 홀이 마련될 수 있고, 보호판(130)은 상기 홀을 폐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판(130)은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판(130)은 메쉬형상을 갖거나 석영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보호판(130)의 형상 및 재질을 상기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부재(140)는 램프장치(10)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다. 램프장치(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으로 향하는 자외선은 반사부재(140)를 통해 아래쪽으로 반사될 수 있고, 램프장치(10)의 자외선은 신발로만 향할 수 있다.
제2케이스(160)는 램프장치(10) 및 반사부재(140) 등을 수용하도록 제1케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케이스(160)는 제1케이스(110)의 상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10)는 램프 바디(100) 및 램프 바디(100)의 양단에 고정되는 캡 전극(200, 200'), 캡 전극(200, 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밴드 전극(400, 400') 및 캡 전극(200, 200')을 고정하는 스프링 홀더(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램프 바디(100)는 하나로 마련되어 있으나, 램프 장치(10)가 적용되는 가전 제품의 종류나 크기 사양에 따라 복수의 램프 장치(10)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램프 바디(100) 역시 복수로 마련되며, 램프 바디(100)의 연장 방향(E)으로 서로 나란하게 직렬 배치되거나, 램프 바디(100)의 연장 방향(E)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병렬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는 램프장치(10)가 고정되는 제1케이스(110)를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램프장치(10)는 피사체(미도시)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O)를 통하여 조사할 수 있다. 또는 피사체(미도시)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O)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조사할 수도 있으나 반사판(미도시)을 통하여 다시 개구(O)를 향해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도 있다.
램프 바디(100)의 재질은 자외선의 효율적인 투과를 위하여 석영관(Quatz)이나 붕규산 유리(Borosilicate)로 마련될 수 있다. 램프 바디(100)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 방향(X-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램프 바디(100)는 양단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램프 바디(100)는 내부에 중공으로 마련되는 방전공간(S)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바디(100)의 내부의 봉입가스는 제논(Xe) 및 제논 혼합가스(Xe, Ar, Ne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램프 바디(100)의 내벽에는 제논의 발광 파장대(172nm)를 살균파장 영역인 250~260nm로 변환할 수 있는 형광체를 코팅할 수 있다.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ight, EEFL) 방식의 램프를 구현하기 위하여 램프 바디(100)의 표면에 외부전극을 형성해야 한다. 외부 전극은 램프 바디(100)의 외면에 배치되며 램프 바디(100)가 연장되는 일 방향(X-X')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은 램프 바디(100)의 표면에 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부 전극의 재질은 도전성을 지닌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금, 은, 니켈, 카본, 금 팔라듐, 은 팔라듐, 백금, 알루미늄 등이나 이들의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전극을 밴드 전극(400,400')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밴드 전극(400,400')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밴드 전극(400,400')은 서로 마주보는 외부 전극이라는 점에서 대향 전극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한 쌍의 밴드 전극(400,400')은 소정의 두께를 지니며 서로 마주 보도록 램프 바디(100)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밴드 전극(400,40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램프 바디(100)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밴드 전극(400,400')은 램프 바디(100)의 지름의 양단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램프 바디(100)는 밴드 전극(400, 400')이 배치되지 않은 램프 바디(100)의 외면을 통하여 피사체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1 밴드 전극(400)과 제2 밴드 전극(400')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 노출면(101, 이하 노출면)을 통하여 피사체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한 쌍의 밴드 전극(400,40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경우, 램프 바디의 노출면(101)과 램프 바디(100)의 단면의 중심이 이루는 각(
Figure pat00001
)은 대략 90°에서 120°로 마련될 수 있다.
캡 전극은 복수로 마련되어 램프 바디(10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갭 전극은 램프 바디(100)의 외면에 대응되어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하나의 램프 바디(100)에 대하여 두 개의 캡 전극(200, 20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캡 전극은 제1 캡 전극(200)과 제2 캡 전극(20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캡 전극의 재질은 도전성을 지닌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금, 은, 니켈, 카본, 금 팔라듐, 은 팔라듐, 백금, 알루미늄 등이나 이들의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캡 전극(200)은 일 방향(X-X')으로 상기 램프 바디의 일단(100a)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캡 전극(200')은 일 방향(X-X')으로 램프 바디의 타단(100b)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동일한 기능 및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캡 전극(20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캡 전극(200)은 램프 바디(100)의 끝 단이 삽입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캡 전극(200)은 양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램프 바디(100)의 끝 단이 삽입되는 제1 캡 전극(200)의 일 측(202)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 측(201)에는 제한 돌기(204a)가 마련될 수 있다. 제한 돌기(204a)는 램프 바디(100)의 끝 단이 제1 캡 전극(200)의 타 측을 통과하여 튀어나오지 않도록 제1 캡 전극(200)의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한 돌기(204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 도 17 내지 도 18, 도 20 내지 도 21 참조)
이와 달리 램프 바디(100)의 끝 단이 삽입되는 제1 캡 전극(200)의 일 측(202) 만이 개방되며 타 측(201)은 폐쇄되어 램프 바디(100)의 끝 단이 제1 캡 전극(2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 참조)
이와 달리 램프 바디(100)의 끝 단이 삽입되는 제1 캡 전극(200)의 일 측 (202)만이 개방되며 타측(201)은 폐쇄되어 램프 바디(100)의 끝 단이 제1 캡 전극(2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 참조)
제1 캡 전극(200)은 제1 밴드 전극(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캡 전극은(200) 제1 밴드 전극(40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캡 전극(200)의 내측면은 제1 밴드 전극(200)에 접촉되며 램프 바디의 일단(100a)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캡 전극(200)은 제1 밴드 전극(40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캡 전극(200')은 제2 밴드 전극(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캡 전극은(200') 제2 밴드 전극(40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캡 전극(200')의 내측면은 제2 밴드 전극(400')에 접촉되며 램프 바디의 타단(100b)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캡 전극(200')은 제2 밴드 전극(40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캡 전극(200)은 제1 밴드 전극(40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캡 전극(200')은 제2 밴드 전극(40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므로, 제1 캡 전극(200)과 제 2 밴드 전극(400')의 타단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캡 전극(200')과 제 1 밴드 전극(400)의 타단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스프링 홀더(500)와 연결된 제1 캡 전극(200)은 제1 밴드 전극(400)에만 전원을 인가하며, 스프링 홀더(500)와 연결된 제2 캡 전극(200')은 제2 밴드 전극(400')에만 전원을 인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는 캡 전극(200, 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캡 전극과 결합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의 재질은 도전성을 지닌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금, 은, 니켈, 카본, 금 팔라듐, 은 팔라듐, 백금, 알루미늄 등이나 이들의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는 인버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의 개수는 캡 전극의 개수에 대응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램프 바디(100)의 양단에 두개의 캡 전극, 즉 제1 캡 전극(200)과 제2 캡 전극(200')이 고정된다면, 스프링 홀더(500)도 캡 전극의 수에 맞추어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스프링 홀더(500)의 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프링 홀더(500)의 개수는 복수로 마련되며, 각각의 스프링 홀더(500)는 동일한 기능 및 유사한 형상을 지닐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캡 전극(200)과 결합하는 스프링 홀더(50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프링 홀더(500)는 제1 캡 전극(200)의 제1 측(201)을 지지하는 제1 고정파트(510), 제1 캡 전극(200)의 제2 측(202)을 지지하는 제2 고정파트(520), 제1 고정파트(510)의 일단 및 제2 고정파트(520)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가 이루는 형상은 측면이 원주방향으로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파트(510)와 제2 고정파트(520)가 이루는 형상은 측면이 원주방향으로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파트(510)는 제1 캡 전극(200)의 제1 측(201)을 지지하므로, 제1 캡 전극(200)의 제1 측(20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파트(510)는 실린더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파트(510)는 대략 아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파트(520)는 제1 캡 전극(200)의 제2 측(202)을 지지하므로, 제1 캡 전극(200)의 제2 측(20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파트(520)는 실린더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파트(520)는 대략 아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는 제1 고정파트(510) 및 제2 고정파트(520)에 의하여 제1 캡 전극(200)을 클램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입구(540)는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 및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파트(510)와 제2 고정파트(520)가 이루는 형상은 측면이 원주방향으로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개방된 측면이 삽입구(540)로서 마련될 수 있다. 삽입구(540)는 원주방향으로 개방된 측면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파트(510)의 일단 및 원주방향으로 개방된 측면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고정파트(520)의 일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540)를 형성하는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에는 제1 고정파트(510)로부터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파트(511)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삽입구(540)를 형성하는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에는 제2 고정파트(520)로부터 연장되는 제2 가이드 파트(5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파트(511)의 폭은 제1 고정파트(51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파트(521)의 폭은 제2 고정파트(52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파트(511)는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으로부터 시작되어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도 9을 참조하면,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을 좌표계의 원점에 위치시켰다고 가정할 때, 제1 가이드 파트(511)는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으로부터 시작되어 Y'Z 평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파트(521)는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으로부터 시작되어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도 9을 참조하면,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을 좌표계의 원점에 위치시켰다고 가정할 때, 제2 가이드 파트(521)는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으로부터 시작되어 YZ 평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파트(511)의 경사면과 제2 가이드 파트(521)의 경사면 사이의 거리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 수록 점점 벌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 캡 전극(200)이 삽입구(5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500)는 제1 고정파트의 타단(510b) 및 제2 고정파트의 타단(520b)이 고정되는 지지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30)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램프 장치(10)가 설치되는 가전제품의 프레임 형상에 따라 판 형상의 일부가 절곡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530)는 가전제품의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홀(5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램프 바디(100)의 양단에 고정된 제1 캡 전극(200) 및 제2 캡 전극(200')은 삽입 방향(D1)으로 각각 스프링 홀더(500)의 삽입구(540)를 통과하여 스프링 홀더(500)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제1 캡 전극(200) 및 제2 캡 전극(200')이 각각에 대응되는 스프링 홀더(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램프 바디(100)는 밴드 전극(400, 400')이 배치되지 않은 램프 바디(100)의 외면을 통하여 피사체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1 밴드 전극(400)과 제2 밴드 전극(400')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 노출면(101, 이하 노출면)을 통하여 피사체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다만 단순히 스프링 홀더(500)가 제1 고정파트(510) 및 제2 고정파트(520)에 의하여 제1 캡 전극(200)을 클램핑한다면 외력에 의하여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하게 향하지 않을 경우, 피사체에 도달하는 광의 Intensity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는 램프 바디(100)의 직경이 5mm, 램프 바디(100)의 연장 길이가 13cm, 밴드 전극(400, 400')의 두께가 2.5mm, 노출면(101)이 형성하는 원주각이 120°인 UVC 램프를 4W의 인버터에 의하여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노출면(101)이 향하는 방향에 따른 광의 Intensity를 측정한 결과표이다. 램프 바디(100)와 피사체간의 간격은 2cm로 유지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상단의 0°, 30°, 60°, 90°가 의미하는 것은, 노출면(101)이 향하는 방향과 램프 바디(100) 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삽입구(540)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다. 편의상 피사체는 램프 바디(100) 단면의 중심과 삽입구(540)의 중심을 이은 직선 상에 놓이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도면에는 캡 전극의 도시는 생략하며, 한 쌍의 밴드 전극(400, 400')과 스프링 홀더(500)만을 도시하도록 한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하게 마주하고 있는 상태에서 광의 Intensity가 가장 높으며, 노출면(101)이 램프 바디(100)의 회전에 따라 피사체를 향하지 않고 틀어짐에 따라 광의 Intensity는 점점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과정 또는 설치 상태와 무관하게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히 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램프 바디(100)가 스프링 홀더(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히 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캡 전극(200)이 스프링 홀더(500)에 간섭되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D2 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제1 캡 전극(200)이 스프링 홀더(500)에 간섭되는 구조로서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311, 31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311, 312)는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311, 312)는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R) 외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311, 312)는 제1 고정파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스토퍼(311), 제2 고정파트(52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 스토퍼(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11)은 제1 고정파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1 가이드 파트(51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스토퍼(312)는 제2 고정파트(520)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2 가이드 파트(52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토퍼(311) 또는 제2 스토퍼(312)는 제1 캡 전극(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캡 전극(200)에는 제1 캡 전극(200)의 둘레를 따라 제1 스토퍼(311)와 제2 스토퍼(312)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53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531)를 통하여 제1 캡 전극(200)의 외부과 제1 캡 전극(200)의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개구(531)가 형성되므로 인하여 램프 바디(100)와 제1 캡 전극(200)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다만 제1 캡 전극(20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531)가 형성되지 않고 막혀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삽입구(531)는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 및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311)와 제2 스토퍼(312) 사이의 간극은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과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사이의 간극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밴드 전극(400)과 제2 밴드 전극(400')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100)의 노출면(101)이 삽입구(54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제1 스토퍼(311)와 제2 스토퍼(312)가 각각 스프링 홀더(500)의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와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에 간섭될 수 있다.
제1 스토퍼(311)의 돌출 폭은 제1 고정파트(510)의 일단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토퍼(312)의 돌출 폭은 제2 고정파트(520)의 일단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스토퍼(311)의 돌출 폭 또는 제2 스토퍼(312)의 돌출 폭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대응되는 고정파트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넓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 전극(400)과 제2 밴드 전극(400')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100)의 노출면(101)은 삽입구(54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311)는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에 간섭되고, 제2 스토퍼(312)는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에 간섭되므로 제1 캡 전극(200)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램프 바디(100)가 스프링 홀더(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히 향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램프 장치는 램프 바디(100)와 제1 캡 전극(200) 일부를 감싸는 비산방지필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산방지필름(700)은 내부식성을 가지며 파열강도가 강한 불소수지 재질의 튜브로 마련될 수 있다. 비산방지필름(700)은 열로 수축시켜 램프 바디(100)의 외면에 밀착시켜 마감처리 될 수 있다.
비산방지필름(700)의 일단(700a)은 스프링 홀더(500)와 간격(L)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비산방지필름(700)의 일단(700a)과 스프링 홀더(500)간의 간격(L)은 0.1mm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비산방지필름(700)의 일단(700a)이 스프링 홀더(50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므로 비산방지필름(700)의 일단(700a)이 스프링 홀더(500)가 맞닿아서 발생할 수 있는 방전에 의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의 도면부호 중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난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존재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캡 전극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캡 전극(200)과 제 2캡 전극(200')으로 마련되며 이하에서는 제1 캡 전극(2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 역시 제1 캡 전극(200)이 스프링 홀더(500)에 간섭되는 구조로서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32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320)는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에 간섭되는 제1 면(321),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에 간섭되는 제2 면(322), 제1 면(321)과 제2 면(322)을 연결하도록 제1 캡 전극(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면(323)을 포함하도록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면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320)는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을 따라 대략 아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아치 형상으로 마련된 스토퍼(320)는 제1 고정파트의 일단(510a)과 제2 고정파트의 일단(520a)의 사이에 배치되며 삽입구(5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320)의 반경방향으로의 돌출 높이는, 제1 가이트 파트(511) 또는 제2 가이드 파트(521)의 연장길이보다 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 전극(400)과 제2 밴드 전극(400')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100)의 노출면(101)은 삽입구(54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320)의 제1 면(321)은 제1 고정파트(510)의 일단에 간섭되고, 스토퍼(320)의 제2 면(322)는 제2 고정파트(520)의 일단에 간섭되므로 제1 캡 전극(200)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램프 바디(100)가 스프링 홀더(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히 향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1 스토퍼(311) 또는 제2 스토퍼(312)에 비하여 향상된 구조적 강성을 지닐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도 14는 도 13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의 도면부호 중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난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존재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캡 전극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캡 전극(200)과 제 2캡 전극(200')으로 마련되며 이하에서는 제1 캡 전극(2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 역시 제1 캡 전극(200)이 스프링 홀더(500)에 간섭되는 구조로서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331, 332, 33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제1 스토퍼(331) 및 제2 스토퍼(332)는 각각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1 스토퍼(311) 및 제2 스토퍼(312)와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스토퍼(333)는 제1 캡 전극(200)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3 스토퍼(333)는 제1 스토퍼(331) 또는 제2 스토퍼(332)와 달리 지지부(530)를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스토퍼(333)는 제1 고정 파트의 타단(510b) 및 제2 고정 파트의 타단(520b) 사이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토퍼(331) 또는 제2 스토퍼(332)가 외력으로 인하여 파쇄되었을 경우, 제1 캡 전극(200)이 원주방향(R2)로 회전하게 되어, 제1 밴드 전극(400)과 제2 밴드 전극(400')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100)의 노출면(101)은 삽입구(540)와 나란히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램프 바디(100)의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히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스토퍼(333)는 제1 스토퍼(331) 또는 제2 스토퍼(332)가 외력으로 인하여 파쇄되어 램프 바디(100)가 회전되더라도, 제1 고정파트(331) 또는 제2 고정파트(332)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램프 바디(100)가 회전할 때, 제1 고정파트의 타단(510a) 또는 제2 고정파트의 타단(520a)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의 도면부호 중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존재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캡 전극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캡 전극(200)과 제 2캡 전극(200')으로 마련되며 이하에서는 제1 캡 전극(2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 역시 제1 캡 전극(200)이 스프링 홀더()에 간섭되는 구조로서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341, 342) 및 유동방지부(34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스토퍼(341) 및 제2 스토퍼(342)는 각각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1 스토퍼(311) 및 제2 스토퍼(312)와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343)는 제1 캡 전극(200)으로부터 돌출되며 램프 바디(100)의 연장방향 내측에 위치한 상기 스프링 홀더(500)의 일단에 간섭(도 15의 B영역 참조)되어 램프 바디(100)가 연장되는 일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343)는 제1 고정파트(510)의 몸체 및 제1 고정파트의 타단(510a)에 걸리도록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면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유동방지부(343)는 제2 고정파트(520)의 몸체 및 제2 고정파트의 타단(520a) 걸리도록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면 돌출될 수 있다. 제1 캡 전극(200)은 X'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돌출된 유동방지부(343)로 인하여 대략 D형상을 지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343)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의 스토퍼(320)와 달리 지지부(53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방지부(343)가 제1 고정파트(510)의 몸체 및 제1 고정파트의 타단(510a)에 걸리도록 마련될 경우, 제1 캡 전극(200)의 중심을 좌표계의 원점에 위치시켰다고 가정할 때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Z'Y'평면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343)가 제2 고정파트(520)의 몸체 및 제2 고정파트의 타단(520sa에 걸리도록 마련될 경우, 제1 캡 전극(200)의 중심을 좌표계의 원점에 위치시켰다고 가정할 때 제1 캡 전극(200)의 외면으로부터 Z'Y평면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유동방지부(343)에 의하여 램프 바디(100)가 연장되는 일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341) 또는 제2 스토퍼(342)가 외력으로 인하여 파쇄되어 램프 바디(100)가 회전되더라도, 유동방지부(343)가 지지부(530)에 간섭되어 제1 밴드 전극(400)과 제2 밴드 전극(400')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100)의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캡 전극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스프링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의 도면부호 중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난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존재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캡 전극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캡 전극(200)과 제 2캡 전극(200')으로 마련되며 이하에서는 제1 캡 전극(2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지지부(530)는 지지부(530)로부터 제1 캡 전극(200)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 전극(200)은 고정돌기(610)에 대응되는 고정 홀(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610)는 제1 고정파트의 타단(510a) 및 제2 고정파트의 타단(52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홀(620)은 제1 캡 전극(200)의 타 측(201)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610)는 고정 홀(6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돌기(610)가 고정 홀(620)에 삽입되어 제1 스토퍼(311) 및 제2 스토퍼(312)와 함께 제1 캡 전극(200) 즉 램프 바디(100)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610)가 고정 홀(620)에 삽입되어 램프 바디(100)가 연장되는 일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램프 바디(100)가 스프링 홀더(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히 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캡 전극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스프링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의 도면부호 중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난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존재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캡 전극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캡 전극(200)과 제 2캡 전극(200')으로 마련되며 이하에서는 제1 캡 전극(2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캡 전극(200)는 지지부(530)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30) 고정돌기(610')에 대응되는 고정 홀(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610')는 제1 고정파트의 타단(510b) 및 제2 고정파트의 타단(5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홀(620')은 제1 캡 전극(200)의 타 측(201)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610')는 고정 홀(6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돌기(610')가 고정 홀(620')에 삽입되어 제1 스토퍼(311) 및 제2 스토퍼(312)와 함께 제1 캡 전극(200) 즉 램프 바디(100)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610')가 고정 홀(620')에 삽입되어 램프 바디(100)가 연장되는 일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램프 바디(100)가 스프링 홀더(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히 향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도 24는 도 23의 X'방향으로 스프링 홀더 및 캡 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4의 도면부호 중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난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존재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캡 전극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캡 전극(200)과 제 2캡 전극(200')으로 마련되며 이하에서는 제1 캡 전극(2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지지부(530)는 지지부(530)로부터 제1 캡 전극(200)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6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611)의 형상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고정돌기(61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돌기(611)는 제1 캡 전극(200)의 타 측(201)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돌기(611)는 제1 캡 전극(200)의 타 측(201) 둘레 중 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611)는 제1 캡 전극(200)의 타 측(201) 둘레 중 지지부(530)에 인접한 둘레 일부를 램프바디 연장 방향(E) 외측에서 연장 방향(E) 내측을 향하여, 즉, X'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램프 바디(100)가 스프링 홀더(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노출면(101)이 피사체를 정확히 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램프 장치
100; 램프 바디
101; 제1 밴드 전극과 제2 밴드 전극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 노출면
200; 제1 캡 전극
200'; 제2 캡 전극
311, 331, 341; 제1 스토퍼
312, 332, 342; 제2 스토퍼
320; 스토퍼
400; 제1 밴드 전극
400'; 제2 밴드 전극
500; 스프링 홀더
510; 제1 고정파트
510a; 제1 고정파트의 일단
520; 제2 고정파트
520a; 제2 고정파트의 일단
530; 지지부
540; 삽입구

Claims (20)

  1. 발광을 위한 희가스 및 형광물질을 수용하며 원통형으로 마련된 램프 바디로서, 램프 바디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발광영역을 포함하는램프 바디;
    상기 램프 바디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캡 전극;
    상기 상기 복수의 캡 전극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램프 바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여 상기 발광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램프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밴드 전극;
    상기 복수의 캡 전극을 통해 밴드 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과 결합하는 스프링 홀더로서, 상기 캡 전극의 제1 측을 지지하는 제1 고정파트, 상기 캡 전극의 제2 측을 지지하는 제2 고정파트 및 상기 캡 전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과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스프링 홀더; 및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광영역의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희가스 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고정파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희가스 램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스토퍼 또는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으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토퍼는 상기 램프가 회전할 때, 상기 제1 고정파트 또는 상기 제2 고정파트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는 제1 면,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는 제2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도록 캡 전극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도록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의 외면으로부터 면 돌출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홀의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램프 바디가 상기 램프 바디의 연장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은 제1 캡 전극 및 제2 캡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 전극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램프 바디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캡 전극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램프 바디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밴드 전극 각각은 제1 밴드 전극 및 제2 밴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 전극은 상기 제1 캡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밴드 전극은 상기 제1 밴드 전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램프 바디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캡 전극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캡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캡 전극 및 상기 제2 캡 전극이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영역은 상기 제1 밴드 전극과 상기 제2 밴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구와 나란히 배치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바디와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의 일부를 감싸는 비산방지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산 방지 필름의 일단과 상기 스프링 홀더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 방지 필름의 일단과 상기 스프링 홀더는 간격은 0.1mm이상으로 마련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캡 전극 각각 및 스프링 홀더는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가스 램프 장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EEFL)로 마련되는 희가스 램프 장치.
  15.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EEFL)로 마련되어 광을 발생하는 실린더 형상의 램프 바디;
    상기 램프 바디의 외면 일부를 감싸며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실린더 형상의 제1 캡 전극, 제2 캡전극으로 마련되는 캡 전극;
    상기 램프 바디의 외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밴드 전극 및 제2 밴드 전극으로서, 상기 제1 캡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밴드 전극, 상기 제2 캡 전극에 연결되는 제2 밴드 전극;
    상기 제1 캡 전극 또는 상기 제2 캡전극을 클램핑하도록 제1 고정파트 및 제2 고정파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프링 홀더로서, 복수의 스프링 홀더 각각은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 전극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프링 홀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도록 상기 캡 전극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캡 전극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로서, 상기 제1 밴드 전극과 상기 제2 밴드 전극 사이로 노출된 램프 바디 노출면이 상기 삽입구와 나란히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파트는 상기 캡 전극의 제1 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파트는 상기 램프의 제2 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고정파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또는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캡 전극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가전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는 제1 면, 상기 제2 고정파트의 일단에 간섭되는 제2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도록 캡 전극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도록 제1 캡 전극의 외면으로부터 면 돌출되는 가전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전극으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토퍼는 상기 램프가 회전할 때, 상기 제1 고정파트 또는 상기 제2 고정파트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가전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캡 전극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전극은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가전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제1 고정파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고정파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전극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가전장치.
KR1020210030441A 2021-03-08 2021-03-08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KR20220126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441A KR20220126168A (ko) 2021-03-08 2021-03-08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PCT/KR2022/001833 WO2022191441A1 (ko) 2021-03-08 2022-02-07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US17/702,590 US11621157B2 (en) 2021-03-08 2022-03-23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441A KR20220126168A (ko) 2021-03-08 2021-03-08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168A true KR20220126168A (ko) 2022-09-15

Family

ID=8322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441A KR20220126168A (ko) 2021-03-08 2021-03-08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26168A (ko)
WO (1) WO20221914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898A (ko) * 2005-08-08 2007-02-13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외부 전극형 방전 램프, 및 그 램프 장치
KR100764849B1 (ko) * 2006-09-19 2007-10-09 금호전기주식회사 열음극 형광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유닛
JPWO2009104395A1 (ja) * 2008-02-20 2011-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陰極蛍光ランプ、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129185B1 (ko) * 2009-11-02 2012-03-26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광촉매커버를 구비한 램프
KR20190056838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램프 및 자외선 살균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1441A1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99005A1 (en) Lighting and air cleaning device
BR102018069794A2 (pt) Sistema refletor para um conjunto de iluminação
US8124012B2 (en) Air purification system, method for purifying air inside a structure
KR20220126168A (ko)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RU14076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и стерилизации объектов
US20100232163A1 (en) Lighting device with reflector and metal housing
US11621157B2 (e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JP4547331B2 (ja) 照明装置及び金属蒸気放電ランプ
US7626322B2 (en)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and lighting apparatus
JP2010251328A (ja) 照明装置及び金属蒸気放電ランプ
US20240115755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comprising same
JP2009158180A (ja) 無電極ランプ用保持具および照明器具
US7621649B2 (en) Light distribution control type Illuminator
CN212522462U (zh) 一种消毒灯具
TW202128231A (zh) 紫外線照射裝置
JP3269105B2 (ja) 照明装置
KR101440765B1 (ko) 자외선 살균기
CN218106409U (zh) 一种紫外线杀菌装置
JPH0423260Y2 (ko)
RU165318U1 (ru) Бактерицидный облучатель
JP3182240U (ja) 光殺菌ユニット
KR100547948B1 (ko) 외부전극형 형광램프를 이용한 등기구
KR20040019790A (ko) 직하발광형 평면광원
KR200374943Y1 (ko) 자외선살균기
JP3495349B2 (ja) 重金属含有ガラス判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