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502A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502A
KR20220125502A KR1020210029420A KR20210029420A KR20220125502A KR 20220125502 A KR20220125502 A KR 20220125502A KR 1020210029420 A KR1020210029420 A KR 1020210029420A KR 20210029420 A KR20210029420 A KR 20210029420A KR 20220125502 A KR20220125502 A KR 20220125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lighting
illuminance
central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4193B1 (en
Inventor
조호원
홍성호
김대현
지철희
Original Assignee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193B1/en
Publication of KR2022012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lighting in all carriages by operating any on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among a plurality of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carriages, and capable of allowing independent control of the lighting in the carriage by operating a local light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specific carriage.

Description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 중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 조작을 통해 해당 객차 내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ontrol the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even if any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among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provided in plurality in a plurality of carriages is operated. And, it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a railroad vehicle capable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lighting in a specific carriage through manipulation of a local light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specific carriage.

다수의 객차로 하나로 연결된 열차에는 수많은 조명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조명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 객차 별로 그룹화시켜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 등을 제어하게 된다.A number of lights are installed in a train connected to one by a plurality of carriages.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se lights individually,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lights are controlled by grouping them for each carriage.

이러한 각 객차 별 제어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기관사가 위치한 기관실에 전체 객차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스터 제어패널을 설치하고, 각각의 객차 별로 해당 객차만을 제어할 수 있는 슬레이브 제어패널을 설치하게 된다.As a control method for each passenger vehicle, a master control panel that can collectively control all carriages is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where the engineer is located, and a slave control panel that can control only the corresponding carriage is installed for each carriage. do.

만약, 전체 객차 내 조명들의 일괄 제어가 필요할 경우 기관사는 기관실에 설치된 마스터 제어패널을 조작하게 되고, 특정 객차 내 조명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 승무원이 돌아다니면서 해당 특정 객차 내 슬레이브 제어패널을 조작하게 된다.If it is necessary to collectively control the lights in the entire carriage, the engineer operates the master control panel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이 경우, 마스터 제어패널은 기관실에만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 객차 내 조명들의 일괄 제어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반드시 기관사나 승무원이 기관실을 방문하여 직접 마스터 제어패널을 조작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master control panel is installed only in the engine room, it is inconvenient and cumbersome in that an engineer or crew must visit the engine room and directly operate the master control panel in a situation where collective control of the lights in the entire carriage is required. this will happen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 조작을 통해 해당 객차 내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can control the overall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regardless of operating any central lighting controller, and independently control the lighting in the carriag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ler provided in a specific carriage We have developed a technology that allows us to control it.

한국등록특허 제10-1816348호Korean Patent No. 10-1816348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 중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 조작을 통해 해당 객차 내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y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is operated among a plurality of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provided in a plurality of carriages, the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and the lighting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ration of a local lighting control unit provided in a specific carri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at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은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과 연결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를 포함하며, 다수 개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에 대한 제어권한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전체 객차(10)에 대한 조명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의 제어가 진행되는 도중 특정 객차에 설치된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에 대한 제어권한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해당 특정 객차에 대한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carriages 10 connected in a line, ea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each carriage 10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nd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one or more of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and any one or more of the carriages excluding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each connect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connected to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nstalled in the carriage, and when the control right for a specific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among a plurality of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20 is executed, the specific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When the lighting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for the entire carriage 10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and the control right for the specific local lighting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specific carriage is executed while the control of the specific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is in progress, the specific loc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for the specific carriage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lighting controll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로컬 전원 제어부(111),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photo sensor)(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전원 제어부(110)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점등 제어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railway vehicle,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and power cut off for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By acquiring control rights from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1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re independent of the control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 is connected to the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12 to control the Based on the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that adjusts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o a preset value based on the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hrough the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4 and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0 to change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within preset maximum illuminance values and minimum illuminance values. )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it may include a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5 to change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states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상기 로컬 전원 제어부(111),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점등 제어부(115)에 각각 대응하는 토글 스위치가 각각 마련된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ncludes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1, the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12, the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the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4 an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 115)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panel each provided with a toggle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되는 중앙 전원 제어부(121), 타 중앙 조명 제어부(12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전원 제어부(110)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railway vehicle, the central power control unit 121 operated in an on or off state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the other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or A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22 that obtains control rights from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to control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in a batch; (10) It is connected to the installed illuminance sensor 30, and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passenger car 10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30, the illuminanc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passenger car 10 is measured. Based on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3 for collectively adjusting to the set value, and a manipulation signal input through user manipulation, the illuminanc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is set at a preset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In the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hrough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24 and the central power control unit 110 to collectively change within the minimum illuminance value, the operation mode Accordingl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5 for collectively changing the on and off states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

일 실시예에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가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각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에서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제어권한을 획득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로 인가하는 경우, 해당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의 제어권한은 소멸되고 상기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인가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가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권한을 새로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loc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12 acquires the control right, the control right in the centr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22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of any one of the respectiv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20 When a single recovery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loc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12 that has acquired the current control right, the control right of the corresponding loc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12 is extinguished and the central control right applying the control right recovery sign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one acquisition unit 122 newly acquires a control right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는 조도값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도값 저장부는 상기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를 통해 변경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며, 상기 로컬 점등 제어부(115)의 동작 모드가 점등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로컬 점등 제어부(115)는 상기 조도값 저장부로부터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을 불러온 후 해당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이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에 맞추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ast illuminance valu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wherein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is the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4 Stores the last illuminance valu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hanged through After the last illuminance value is called,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last stored illuminance valu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상기 중앙 전원 제어부(121),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점등 제어부(125)에 각각 대응하는 토글 스위치가 각각 마련된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includes the central power control unit 121,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22,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3,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24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 125)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panel each provided with a toggle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 중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 조작을 통해 해당 객차 내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y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is operated among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provided in multiple pieces in a plurality of carriages, the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an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provided in a specific carriage is operated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lighting independen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조명 별 조도값을 저장 후 재점등시 기 저장된 조도값을 토대로 마지막 조도값에 맞추어 재점등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light according to the last illuminance value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illuminance value when the illuminance value for each light is stored and then turned on again.

특히, 종래의 경우 기관실이 위치한 선두 객차의 중앙 조명 제어부에 예기치 못한 고장 혹은 파손이 발생할 시 전체 객차의 일괄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뿐만 아니라 다수의 객차에 중앙 조명 제어부가 마련됨에 따라, 선두 객차의 중앙 조명 제어부가 고장날 경우 다른 중앙 조명 제어부를 통해 전체 객차를 일괄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an unexpected failure or damage occurs in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of the front passenger car where the engine room is located, it is impossible to collectively control all the carriages. As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 i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of the leading carriage fail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llectively control the entire carriage through the other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또한, 종래의 경우 전체 객차를 일괄제어할 수 있는 중앙 조명 제어부가 기관실이 위치한 선두 객차에만 마련되기 때문에, 만약 기관사나 승무원이 후미 객차에 위치한 상태에서 중앙 조명 제어부의 조작이 필요할 시 반드시 선두 객차까지 이동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기관사나 승무원이 근처에 가까운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함으로써 전체 객차를 일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all the carriages is provided only in the lead carriage in which the engine room is located, if an engineer or crew member is located in the rear carriage and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is required, it must be reached to the leading carriage Although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ove occu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ngineer or a crew memb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llectively control the entire carriage by operating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close to the vicinity.

또한, 종래의 경우 기관실이 위치한 선두 객차에 설치된 조도센서의 센싱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의 조도값을 일괄적으로 조절하되, 조도센서의 위치가 기관실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모든 객차의 조도값이 기관실의 실시간 조도값으로 귀속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객차 별로 각각 조도센서가 마련되며 이때 조도센서의 센싱값을 토대로 각 객차 별로 조도 조절이 독립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각 객차 별 위치 및 그에 따른 외부 광량, 조도 등에 따라 조도값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illuminance value of all passenger cars is collectively adjust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illuminance sensor installed in the leading car where the engine room is locat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lluminance sensor is provided for each passenger car, and at this time, the illuminance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for each car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illuminance sensor.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dependently adjust the illuminance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ternal light, illuminance,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계된 제어 패널(110-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와 연계된 제어 패널(120-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을 제어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3 is a view showing a control panel 110-1 associated with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5 is a view showing a control panel 120-1 associated wit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shown in FIG.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s 20 in the passenger car 10 in a sequential order by using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100 shown in FIG. 1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nly in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and only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ay mean further including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본 발명에서 객차라 함은 기관실 객차 및 일반 승객용 객차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arriage" may be interpreted to include both an engine room car and a passenger car for general passeng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여부 알림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차량 운전석에 설치된 좌석 배치도 상에 마련되는 운전자용 LED(132)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 belt wearing or not notif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more detailed view of the LED 132 for the driver provided on the seat layout diagram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t is a drawing shown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크게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중앙 조명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조도값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nd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 and in one embodiment, additionally illuminanc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value storage unit.

먼저,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들이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다.First,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connected in a row of the railroad car, and ea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each carriage 10 is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 ) is associated with

이때,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토대로 객차(10) 내 조명(2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전원이 단락될 경우 객차(10) 내 조명(20)의 점등 상태는 점멸 상태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railway vehicle and supplies power to the lighting 20 in the carriage 10 based on this. Therefore, if the power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short-circuited,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20 in the carriage 10 may be a blinking state.

로컬 조명 제어부(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계된 제어 패널(110-1)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control panel 110-1 associated with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shown in FIG. 2 . It is the drawing shown.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로컬 전원 제어부(111),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photo sensor)(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전원 제어부(110)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점등 제어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railroad car, and controls power supply and power cut off for a plurality of lights 20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by acquiring control rights from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1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are independent from the control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It is connected to the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12 to control the illuminance sensor 3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nd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carriage 10 obtain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30. Based on the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o a preset value,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operation, the plurality of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hrough the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4 and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0 to change the illuminance of the lights 20 within the preset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the minimum illuminance valu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5 to change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states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

로컬 전원 제어부(111)는 도 3의 제어 패널(110-1)에 마련된 로컬 전원 스위치(110-1a)와 연결됨에 따라, 기관사 혹은 승무원이 로컬 전원 스위치(110-1a)를 조작하는 경우 동작 모드가 변경되면서 로컬 전원 제어부(111)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상태가 제어되게 된다. 여기에서 동작 모드라 함은, 로컬 전원 제어부(110)를 통한 전원 공급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로컬 전원 스위치(110-1a)는 푸쉬버튼 혹은 토글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로컬 전원 스위치(110-1a)의 조작 상태에 따라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상태가 조절되게 된다.As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1 is connected to the local power switch 110-1a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110-1 of FIG. 3, an operation mode when an engineer or a crew member operates the local power switch 110-1a is changed, the supply stat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1 is controlled. Here, the operation mode may mean a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0 . For example, a power supply mode or a power cut-off mode may be applied, and a push button or a toggle switch may be applied to the local power switch 110 - 1a corresponding thereto. The supply stat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 the carriage 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local power switch 110-1a.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는 후술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한다.The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12 obtains control rights from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 the carriage 10 are controlled by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and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controlled.

여기에서 제어권한을 획득한다는 의미는, 후술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에서 전체 객차(10)의 조명(20)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특정 객차(10)에 대해서만 독립적으로 조명(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권한을 분리시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Acquiring the control right here means that in the process of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lighting 20 of the entire carriage 10 in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lighting 20 independently only for a specific carriage 10 ) means that the control authority is separated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후술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에 의해 20개의 객차(10) 전체에 대한 조명(20)이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상황에서, 7번째 객차(10)의 조명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경우, 승무원은 해당 7번째 객차(10)의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를 통해 해당 7번?? 객차(20) 내 조명(2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lighting 20 for all 20 carriages 10 is collectively controlled by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lighting of the 7th carriage 10 should be independently controlled In this case, the crew member through the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2 of the 7th carriage 10 ??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lighting 20 in the carriage 20 .

이러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는 도 3의 로컬 제어권한 스위치(110-1b)와 연결됨에 따라, 승무원이 로컬 제어권한 스위치(110-1b)를 조작하는 경우 제어권한이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로 변경되면서 해당 객차(10) 내 조명(20)은 이제 해당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권한 아래에서 독립적으로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조절되게 된다.As the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local control authority switch 110-1b of FIG. 3, when the crew operates the local control authority switch 110-1b, the control authority is the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As it is changed to 112 , the lighting 20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is now independently illuminating and lighting state controlled under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corresponding local lighting controller 110 .

한편,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에서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에서 특정 스위치가 특정 설정대로 조작되는 경우, 제어권한은 다시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specific switch is operated according to a specific setting in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right is obtained from the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12, the control authority is transferred to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again. Howev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는 객차(10) 내 개별적으로 설치된 조도센서(photo sensor)(30)와 연결되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해당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is connected to a photo sensor 30 individually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 and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carriage 10 obtain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30 , the corresponding It serves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 the carriage 10 to a preset value.

보다 구체적으로, 조도센서(30)는 각 객차(10) 별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측정하게 되며,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에서는 이를 토대로 해당 객차(10) 내 조도가 항시 기 설정된 조도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illuminance sensor 30 may be provided for each carriage 10 , and measure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 and the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based on this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 Make sure that my illuminance is always maintained at the preset illuminance value.

이러한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는 도 3의 로컬 조도 자동제어 스위치(110-1c)와 연결됨에 따라, 승무원이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를 조작하는 경우 해당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의 조도가 항시 일정한 조도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As this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is connected to the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switch 110-1c of FIG. 3, when the crew operates the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a plurality of lights ( 20) can always be maintained at a constant illuminance value.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는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와는 반대로, 승무원이 도 3의 로컬 조도 수동제어 스위치(110-1d)를 조작하는 경우, 해당 객차(10) 내에 설치된 조명(20)의 조도는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 조절단계는 제한되지 않으며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4 is opposite to the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when the crew operates the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switch 110-1d of FIG. The illuminance may be manually changed within a preset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illuminance value. In this case, the adjustment step within the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the minimum illuminance value is not limited and may be formed to be able to be finely adjusted.

로컬 점등 제어부(115)는 로컬 전원 제어부(111)를 통해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hrough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1,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5 turns on and It serves to change the light-off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로컬 전원 제어부(111)에서 전원 공급을 중단할 경우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완전히 소등되지만, 로컬 점등 제어부(115)에서는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유지시키되 조명(20)의 점등 상태만을 소등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1 stops supplying power,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nd is completely turned off, but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5 is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Power is maintained to be supplied to the lighting 20, but only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20 is changed to the turned off state.

예를 들어 절전 모드와 유사한 것으로서, 승무원이 도 3에 도시된 로컬 점등 스위치(110-1e)를 조작하는 경우, 해당 객차(10) 내 조명은 절전 모드와 같이 소등 상태가 된다.For example, similar to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 crew operates the local lighting switch 110 - 1e shown in FIG. 3 , the lighting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is turned off like the power saving mode.

따라서, 승무원이 로컬 점등 스위치(110-1e)를 다시 점등 모드로 변경할 경우, 조도값 저장부 내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조도값에 따라 해당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조도값이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 여기에서, 마지막으로 저장된 조도값은 승무원이 로컬 조도 수동제어 스위치(110-1d)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상태값이 되며, 이러한 조도값이 조도값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rew changes the local lighting switch 110-1e back to the lighting mode,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last illuminance value stored in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will lose Here, the last stored illuminance value becomes a state value in which the crew last operated the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switch 110-1d, and the illuminance value is stored in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다음으로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와 연계된 제어 패널(120-1)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and FIG. 5 is a control panel 120-1 associated wit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shown in FIG. It is the drawing shown.

도 4를 살펴보면,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함께,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다수 개로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is installed in plurality in any one or more of the carriages except for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together with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among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 but each of them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connected to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nstalled in each carriage.

이때, 모든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일렬로 연결되어 있고, 중간 중간에 각 객차(10) 별 로컬 조명 제어부(110)가 연결된다. 따라서, 모든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를 통해서 모든 객차(10) 별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조명(20)의 일괄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At this time, all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20 are connected in a line, an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for each carriage 10 is connected in the midd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ontrol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nd the lighting 20 for all carriages 10 through any on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among all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20 .

이를 위하여,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되는 중앙 전원 제어부(121), 타 중앙 조명 제어부(12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전원 제어부(110)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railway vehicle, and operates in an on or off state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A central control right acquisition unit 122, which obtains control authority from the lighting control unit 110, and controls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passenger car 10 at once, the passenger car 10 It is connected to the installed illuminance sensor 30, and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passenger car 10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30, the illuminanc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passenger car 10 is set to a preset value.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3 for collectively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based on a manipulation signal input through a user manipulation, the preset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the lowest illuminance value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hrough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24 and the central power control unit 110 to be collectively changed in the interior, the entire carri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5 for collectively changing the on and off states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10).

중앙 전원 제어부(121)는 도 5의 제어 패널(120-1)에 마련된 중앙 전원 스위치(120-1a)와 연결됨에 따라, 기관사 혹은 승무원이 중앙 전원 스위치(110-1a)를 조작하는 경우 동작 모드가 전원 공급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로 변경되면서 중앙 전원 제어부(121)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상태가 제어되게 된다. 이러한 중앙 전원 스위치(110-1a)는 푸쉬버튼 혹은 토글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고, 중앙 전원 스위치(110-1a)의 조작에 의해 동작 모드가 전원 차단 모드로 변경될 경우, 해당 중앙 전원 조명 제어부(120)의 전원은 오프되면서 해당 객차(10)에 대한 제어권한은 해당 객차(10)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 돌아가게 된다.As the central power control unit 121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wer switch 120-1a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20-1 of FIG. 5, an operation mode when an engineer or crew member operates the central power switch 110-1a is changed to the power supply mode or the power cut mode, the supply stat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central power control unit 121 is controlled. The central power switch 110-1a may be a push button or a toggle switch, 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to a power cut-off mode by manipulation of the central power switch 110-1a, the corresponding central power lighting control unit 120 ) is turned off, and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returns to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는 전체 객차(10) 내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한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도 5의 제어 패널(120-1)에 마련된 중앙 제어권한 스위치(120-1b)와 연결됨에 따라, 승무원이 특정 중앙 제어권한 스위치(120-1b)를 조작하는 경우 제어권한이 해당 특정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로 변경되면서 전체 객차(10) 내 조명(20)은 이제 해당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권한 아래에서 일괄적으로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조절되게 된다.The centr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22 has a control right to collectively control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lights in the entire carriage 10, which is a central control right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20-1 of FIG. As it is connected with one switch 120-1b, when the crew operates the specific central control right switch 120-1b, the control authority is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specific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22, and within the entire carriage 10 The lighting 20 is now collectively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is controlled under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이때, 모든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는 독립적으로 제어권한을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선두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가 제어권한을 가진 상태에서 후미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의 중앙 제어권한 스위치(120-1b)가 조작될 경우, 선미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의 제어권한은 해제되고, 후미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로 넘어가게 된다. 즉, 모든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에서 오직 하나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만이 제어권한을 독점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all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s 122 independently have control rights,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22 installed in the leading passenger car has control authority,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installed in the rear carriage is obtained. When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switch 120-1b of the unit 122 is operated,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obtaining unit 122 installed in the stern carriage is released, and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obtaining unit 122 installed in the rear carriage will pass to That is, in all the centr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s 122 , only one centr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22 monopolizes the control right.

한편, 만약 특정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에서 획득한 제어권한을 회수하여야 하는 상황에서는, 특정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와 연결된 중앙 제어권한 스위치(120-1b)를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혹은 5초) 동안 조작하는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제어권한 회수 신호가 해당 특정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로 전달됨으로써 해당 특정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에서 해당 특정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의 제어권한을 회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right acquired by the specific loc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12 needs to be recovered, the central control right switch 120-1b connected to the specific centr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22 is turned on for a preset time (eg, For example, by maintaining the operation state for 3 seconds or 5 seconds), a control right recovery signal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ontrol right recover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pecific loc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12, so that the specific central control right The acquiring unit 122 recovers the control right of the specific loc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12 .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가 설치된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에 대한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3 is connected to the illuminance sensor 3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in whic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is installed, and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carriage 10 obtain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30 . , serves to collectively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20 for the entire carriage 10 to a preset value.

보다 구체적으로, 조도센서(30)는 각 객차(10) 별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측정하게 되며,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에서는 이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 조도가 항시 기 설정된 조도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illuminance sensor 30 may be provided for each carriage 10, and measure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and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3 based on this in the entire carriage 10. Make sure that my illuminance is always maintained at the preset illuminance value.

이러한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는 도 5의 중앙 조도 자동제어 스위치(120-1c)와 연결됨에 따라, 승무원이 중앙 조도 자동제어 스위치(120-1c)를 조작하는 경우 전체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의 조도가 항시 일정한 조도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As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3 is connected to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switch 120-1c of FIG. 5, when the crew operates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switch 120-1c, a plurality of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20 may be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illuminance value.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와는 반대로, 승무원이 도 5의 중앙 조도 수동제어 스위치(120-1d)를 조작하는 경우, 전체 객차(100 내에 설치된 조명(20)의 조도는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 조절단계는 제한되지 않으며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24 is opposite to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3, when the crew operates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switch 120-1d of FIG. 5, the illuminance of the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0 may be manually changed within a preset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illuminance value, in this case, the adjustment steps within the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the minimum illuminance value are not limited and may be formed to be finely adjusted.

중앙 점등 제어부(125)는 전체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5 serves to change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state of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 do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 점등 제어부(125)에서는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유지시키되 조명(20)의 점등 상태만을 소등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5 maintains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but changes only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20 to the turned off state.

예를 들어 절전 모드와 유사한 것으로서, 승무원이 도 5에 도시된 중앙 점등 스위치(120-1e)를 조작하는 경우, 전체 객차(10) 내 조명은 절전 모드와 같이 소등 상태가 된다. 이때, 본 발명에 포함된 조도값 저장부에는 전체 객차(10) 별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이 저장되게 된다.For example, similar to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 crew operates the central lighting switch 120 - 1e shown in FIG. 5 , the lights in the entire carriage 10 are turned off as in the power saving mode. In this case, the last illuminance value of the lights 20 for each carriage 10 is stored in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승무원이 중앙 점등 스위치(120-1e)를 다시 점등 모드로 변경할 경우, 조도값 저장부 내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조도값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조도값이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rew member changes the central lighting switch 120-1e back to the lighting mode,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last illuminance value stored in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will lose

한편, 일 실시예에서,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면서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control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ny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or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can do.

또한,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들은 각각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면서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may individuall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control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ny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or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respectively.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서,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별 조명 상태(온오프 동작 유무 및 조도값 포함), 조명 사용 시간, 조명의 통신 상태, 해당 조명 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ID값 및 로컬 조명 제어부(110) 자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ID값을 모두 저장한 후, 저장된 데이터들을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 관리 단말(혹은 외부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 관리 단말을 이용하여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의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a plurality of connected lighting state (including on/off operation and illuminance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lighting use time, communication state of the ligh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lighting After storing all of the ID value including the ID value and the ID valu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tself, the stored data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management terminal (or external equipment)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thi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control stat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 the carriage 10 using an external management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다음으로는, 앞서 살펴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을 통해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을 제어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 the carriage 10 through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1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을 제어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s 20 in the passenger car 10 in a sequential order by using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100 shown in FIG. 1 .

도 6을 살펴보면, 먼저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과 연결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 패널(110-1)이 조작됨에 따라,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된다(S601). 이 과정에서 제어권한은 우선적으로 중앙 조명 제어부(120)가 가지기 때문에, 현재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권한에 따라 전체 객차(10)의 조명(20)이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6 , first, a plurality of carriages 10 connected in a line are respectively installed, but ea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each carriage 10 is controlled. As the panel 110 - 1 is operated, powe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each carriage 10 and turned on ( S601 ). In this process, sinc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preferentially has the control authority in this process, the lighting 20 of the entire carriage 10 is colle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at present.

다음으로,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에서, 특정 객차(10)에 설치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 패널(120-1)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권한을 통해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된다(S602).Next,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among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ny one or more of the carriages excluding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and the local lighting installed in each carriage Among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2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0 , as the control panel 120-1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installed in a specific carriage 10 is operated, the control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are collectively controlled through authority (S602).

현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제어권한은 중앙 조명 제어부(120)가 가지기 때문에, 객차(10)를 돌아다니는 승무원이 가장 가까운 어떠한 제어 패널(120-1)을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1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current stage as well, sinc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has the control right, even if the crew member traveling around the carriage 10 operates any control panel 120-1 closest to it,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entire carriage 10 are controlled. It can be controlled collectively.

다음으로, 특정 객차(10)에 설치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 패널(110-1)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 후, 해당 특정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된다(S603).Next, as the control panel 110 - 1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nstalled in the specific carriage 10 is operate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cquires a control right from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 After that,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specific carriage 10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independently from the control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S603).

이 단계에서는, 제어권한이 중앙 조명 제어부9120)에서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객차(10)를 돌아다니는 승무원이 판단하였을 때 특정 객차(10)의 조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승무원이 해당 특정 객차(10) 내에 설치된 제어 패널(110-1)을 조작함으로써 해당 특정 객차(10) 내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ep, the control authority is passed from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9120 to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lluminance adjustment of the specific carriage 10 is necessary when the crew member traveling around the carriage 10 is determined, the crew operates the control panel 110-1 installed in the specific carriage 10.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20 in a specific carriage 10 .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르면 각 객차(10) 별로 로컬 조명 제어부(110)가 마련되고 또한 다수 개의 객차(10)에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가 마련됨에 따라, 다수 개의 객차 중 어느 객차의 중앙 조명제어부(120)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10)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10)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 조작을 통해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해당 객차(10) 내 조명(2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As can be s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provided for each carriage 10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the center of any carriage among the plurality of carriages Even if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is operated, the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10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and the control right is obtain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provided in the specific carriage 10 to obta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I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dependently control my lighting 20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객차
20: 조명
100: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110: 로컬 조명 제어부
110-1: 제어 패널
111: 로컬 전원 제어부
112: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
113: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
114: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
115: 로컬 점등 제어부
120: 중앙 조명 제어부
120-1: 제어 패널
121: 중앙 전원 제어부
122: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
123: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
124: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
125: 중앙 점등 제어부
10: carriage
20: lighting
100: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110: local lighting control
110-1: control panel
111: local power control
112: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3: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4: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5: local lighting control
120: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1: control panel
121: central power control
122: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23: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4: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25: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Claims (8)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과 연결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를 포함하며,
다수 개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에 대한 제어권한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전체 객차(10)에 대한 조명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의 제어가 진행되는 도중 특정 객차에 설치된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에 대한 제어권한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해당 특정 객차에 대한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a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that is install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carriages 10 connected in a line, ea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each carriage 10; and
Among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ny one or more of the carriages excluding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and ea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an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nstalled in each carriage )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connected to;
When the control authority for a specific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among a plurality of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20 is executed, the lighting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entire carriage 10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specific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right for a specific local lighting control unit installed in a specific carriage is executed while the control of the specific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is in progress,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for the specific vehicle are independent through the control of the specific local lighting control unit Controlled b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로컬 전원 제어부(111);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photo sensor)(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전원 제어부(110)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점등 제어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 local power control unit 111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railroad car and controls power supply and power cutoff for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Local control authority to obtain control authority from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to control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independently from the control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acquisition unit 112;
A plurality of lights ( 20) a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to adjust the illuminance to a preset value;
a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4 for changing the illuminanc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within a preset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illuminance value based on a manipulation signal input through a user manipulation; and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hrough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0,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states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a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5 to be chang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상기 로컬 전원 제어부(111),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점등 제어부(115)에 각각 대응하는 토글 스위치가 각각 마련된 제어 패널(11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 control panel provided with toggle switch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local power control unit 111 , the loc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12 , the loc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 the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4 , an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5 , respectively. (110-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되는 중앙 전원 제어부(121);
타 중앙 조명 제어부(12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전원 제어부(110)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a central power control unit 121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railway vehicle and operates in an on or off st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Central control right to obtain control authority from the other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to collectively control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an acquisition unit 122;
It is connected to the illuminance sensor 30 installed in the passenger car 10, and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passenger car 10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30, the illuminanc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passenger car 10 is a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3 for collectively adjusting to a preset value;
A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24 for collectively changing the illuminanc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within a preset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illuminance value based on a manipulation signal input through user manipulation ); and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hrough the central power control unit 110,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stat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5 for collectively changing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가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각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에서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제어권한을 획득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로 인가하는 경우, 해당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의 제어권한은 소멸되고 상기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인가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가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권한을 새로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12 has acquired the control right, the centr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22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of any one of each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rol right recovery signal When applying to the loc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12 that has acquired the current control right by doing so, the control right of the corresponding loc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12 is extinguished and the central control right acquiring unit 122 applying the control right recovery signal ) is a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newly acquires a control right to collectively control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제4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는 조도값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도값 저장부는 상기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를 통해 변경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며, 상기 로컬 점등 제어부(115)의 동작 모드가 점등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로컬 점등 제어부(115)는 상기 조도값 저장부로부터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을 불러온 후 해당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이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에 맞추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t further includes; an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ast illuminance valu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stores the last illuminance values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hanged through the loc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4, and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5 is changed to the lighting mode, the local lighting The control unit 115 retrieves the last pre-stored illuminance value from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and then causes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to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pre-stored last illuminance value.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상기 중앙 전원 제어부(121),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점등 제어부(125)에 각각 대응하는 토글 스위치가 각각 마련된 제어 패널(12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A control panel provided with toggle switch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wer control unit 121,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ring unit 122,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23,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24,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5, respectively. (120-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과 연결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 패널(110-1)이 조작됨에 따라,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되는 단계;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 패널(120-1)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권한을 통해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단계; 및
특정 객차(10)에 설치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 패널(110-1)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 후, 해당 특정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방법.
A control panel 110-1 of a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rriages 10 connected in a line, each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each carriage 10 As this operation is performed, powe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each carriage 10 and turned on;
Among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ny one or more of the carriages excluding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and ea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an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nstalled in each carriage ) and the control panel 120-1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connected to the operation,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s are collectively controlled; and
As the control panel 110-1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nstalled in the specific carriage 10 is operate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10 obtains control right from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and then Controlling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a specific carriage (10) independently from the control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20); .
KR1020210029420A 2021-03-05 2021-03-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KR102514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420A KR102514193B1 (en) 2021-03-05 2021-03-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420A KR102514193B1 (en) 2021-03-05 2021-03-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02A true KR20220125502A (en) 2022-09-14
KR102514193B1 KR102514193B1 (en) 2023-03-27

Family

ID=8327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420A KR102514193B1 (en) 2021-03-05 2021-03-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19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73B1 (en) * 2013-03-04 2013-09-0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Illumination control system for railway vehicles
KR20160007995A (en) * 2014-07-11 2016-01-21 현대로템 주식회사 Passenger room lamp control system of rail car via light sensor and Ethernet
KR101650502B1 (en) * 2015-09-25 2016-08-23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compartment of rail motor car
KR20160116468A (en)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Smart illumination control systems of railway passenger room
KR101816348B1 (en) 2015-08-06 2018-01-0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Electrical Circuit for LED Lamp in Salon of Rail Cars and Light Controlling System with there
KR102174439B1 (en) * 2020-04-23 2020-11-04 김태형 Intelligent cabin lighting system for emergency escape guidance and ambient lighting,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73B1 (en) * 2013-03-04 2013-09-0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Illumination control system for railway vehicles
KR20160007995A (en) * 2014-07-11 2016-01-21 현대로템 주식회사 Passenger room lamp control system of rail car via light sensor and Ethernet
KR20160116468A (en)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Smart illumination control systems of railway passenger room
KR101816348B1 (en) 2015-08-06 2018-01-0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Electrical Circuit for LED Lamp in Salon of Rail Cars and Light Controlling System with there
KR101650502B1 (en) * 2015-09-25 2016-08-23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compartment of rail motor car
KR102174439B1 (en) * 2020-04-23 2020-11-04 김태형 Intelligent cabin lighting system for emergency escape guidance and ambient lighting,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193B1 (en) 202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022B2 (en)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utomobile headlights
JP6185941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8588997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le lights
US11052815B2 (en) Snowplow light control system
US20220416555A1 (en) Vehicle-mounted network system
KR20220125502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KR101590718B1 (en) Passenger room lamp control system of rail car via light sensor and Ethernet
KR102515184B1 (en) 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
JP5787117B2 (en) Room lighting
KR101143533B1 (en) The control system ans control method to adjust intensity of illumination in train
US9381854B2 (en) Vehicle for supporting lighting control function
KR101650502B1 (en)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compartment of rail motor car
JP5749238B2 (en) Lamp control unit for vehicle
KR101901994B1 (en) Airfield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utomatic switching method of constant current regulator using the same
KR101532677B1 (en) Control circuit for salon lighting of rail cars by light sensor and its method
US10272821B2 (en) Control of at least one lighting means of a vehicle headlight depending on an electrical quantity providable on a vehicle headlight connection of a vehicle
US11130505B2 (en) System for illuminating a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US9566902B1 (en) Control circuit for vehicle with composite brake/turn lights
KR101672184B1 (en) A power supply for a LED headlight of a diesel locomotive
JP2015166213A (en) Light control system
JPH11222083A (en) On-vehicle load synchronizing drive control system
KR200186634Y1 (en) An automatic controlling load lamp system
KR100507094B1 (en) A rear lamp control module of intelligent harness network in vehicle
JP7104086B2 (en)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
JP2015227159A (en) Passenger cabin ligh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