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184B1 - 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184B1
KR102515184B1 KR1020210039112A KR20210039112A KR102515184B1 KR 102515184 B1 KR102515184 B1 KR 102515184B1 KR 1020210039112 A KR1020210039112 A KR 1020210039112A KR 20210039112 A KR20210039112 A KR 20210039112A KR 102515184 B1 KR102515184 B1 KR 102515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entral
control unit
illuminance
l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3687A (en
Inventor
조호원
홍성호
Original Assignee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9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184B1/en
Publication of KR2022013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6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1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의 역할을 함으로써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각 객차 별로 마련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의 조명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체 객차 내 조명의 제어 상태를 통합하여 모니터링 되도록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plurality of central lighting controllers provided in a plurality of carriages, so that the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by operating any central lighting controller, and in particular, the lighting control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ler provided for each carriage It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at integrates and monitors the control state of lighting in all carriages by acquiring and displaying the state in real time.

Figure R1020210039112
Figure R1020210039112

Description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의 역할을 함으로써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각 객차 별로 마련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의 조명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체 객차 내 조명의 제어 상태를 통합하여 모니터링 되도록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by playing the role of a plurality of central lighting controllers provided in a plurality of carriages, even if any central lighting controller is operated, the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is collectively In particular, by obtaining and displaying the lighting control status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provided for each carriage in real time, the lighting control status of the entire carriage can be integrated and monitored.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It is about.

다수의 객차로 하나로 연결된 열차에는 수많은 조명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조명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 객차 별로 그룹화시켜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 등을 제어하게 된다.A number of lights are installed on a train connected to one by a plurality of carriages.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se lights individually, they are grouped for each carriage to control the illumination intensity and lighting state of the lights.

이러한 각 객차 별 제어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기관사가 위치한 기관실에 전체 객차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스터 제어패널을 설치하고, 각각의 객차 별로 해당 객차만을 제어할 수 있는 슬레이브 제어패널을 설치하게 된다.As a control method for each carriage, in general, a master control panel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all carriages is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where the driver is located, and a slave control panel capable of controlling only the corresponding carriage for each carriage is installed. do.

만약, 전체 객차 내 조명들의 일괄 제어가 필요할 경우 기관사는 기관실에 설치된 마스터 제어패널을 조작하게 되고, 특정 객차 내 조명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 승무원이 돌아다니면서 해당 특정 객차 내 슬레이브 제어패널을 조작하게 된다.If it is necessary to collectively control the lights in the entire carriage, the engineer operates the master control panel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and if control of the lighting in a specific carriage is required, the crewman moves around and operates the slave control panel in the specific carriage.

이 경우, 마스터 제어패널은 기관실에만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 객차 내 조명들의 일괄 제어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반드시 기관사나 승무원이 기관실을 방문하여 직접 마스터 제어패널을 조작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master control panel is installed only in the engine room, in a situation where collective control of lights in the entire carriage is required, the driver or crew must visit the engine room and directly operate the master control panel, which is inconvenient and cumbersome this will happen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각 객차 별로 마련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의 조명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체 객차 내 조명의 제어 상태를 통합하여 모니터링 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can collectively control the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by operating any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and obtains the lighting control state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provided for each carriage in real time By displaying it, we have developed a technology that integrates and monitors the control status of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한국등록특허 제10-181634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6348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의 역할을 함으로써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각 객차 별로 마련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의 조명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체 객차 내 조명의 제어 상태를 통합하여 모니터링 되도록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plurality of central lighting controllers provided in a plurality of carriages, so that the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by operating any central lighting controller, and in particular, the lighting control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ler provided for each carriage Its object is to provide a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at integrates and monitors the control state of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by acquiring and displaying the state in real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 별로 설치된 다수의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10), 상기 다수의 로컬 조명 제어부(1)로부터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부(120) 및 사용자 조작을 통한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를 통해 각 객차 별로 설치된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된 상기 상태 정보가 출력 및 모니터링 되도록 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and rear carriage among a plurality of carriages 10, and any one or more of the carriages excluding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respectively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ocal lighting control units 1 installed for each carriage, and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local lighting control units 1 in real time It is provided to enable input of an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and user operation, and the illumination intensity and lighting state of the lights 20 installed for each carriage are controlled throug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and an output unit 130 for outputting and monitoring the status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는 타 중앙 조명 제어부(11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 상기 출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14) 및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가 설치된 객차(10)에 마련된 조명(20)의 출력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출력값을 상기 출력부(130)로 전달하는 조명 출력값 획득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cquires control authority from other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10 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to control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which allows the illumination and lighting conditions to be collectively controlled, and the illumination sensor 30 installed in the passenger car 10, in the passenger car 10 obtained through the illumination sensor 3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and the output unit 130 so that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is collectively adjusted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that allows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to be collectively changed within the preset maximum and minimum illuminance values,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s 20,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and the central Acquiring an output value of the lighting 20 provided in the carriage 10 in which the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installed,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output value to the output unit 13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ing output value acquisition unit 115 can do.

일 실시예에서,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각 중앙 조명 제어부(11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10)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에서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제어권한을 획득한 로컬 조명 제어부(1)로 인가하는 경우, 해당 로컬 조명 제어부(1)의 제어권한은 소멸되고 상기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인가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가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권한을 새로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has acquired the control authority, the control authority is recovered from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of any one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10 among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10 When a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that has acquired the current control authority,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extinguished and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that applied the control authority recovery sign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authority to collectively control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is newly acquired.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는 조도값 저장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도값 저장부(140)는 상기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를 통해 변경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며, 상기 중앙 점등 제어부(114)의 동작 모드가 점등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중앙 점등 제어부(114)는 상기 조도값 저장부(140)로부터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을 불러온 후 해당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이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에 맞추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the last illuminance valu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140 Stores the last illuminance valu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hanged through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and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is changed to the lighting mode, the corresponding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last previously stored illuminance value after the last pre-stored illuminance value is called from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140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 상기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 상기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 상기 중앙 점등 제어부(114)에 각각 상응하는 조작 영역과 상기 출력값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상기 출력값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각각 마련되는 제1 출력 영역(131), 상기 상태 정보 중에서 각 로컬 조명 제어부(1)에 대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마련되는 제2 출력 영역(132) 및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로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마련되는 제3 출력 영역(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put unit 130 corresponds to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respectively. A first output area 131 in which a manipulation area for performing operation and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the output value obtained through the output value acquisition unit 115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state information f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among the state information is provided. A second output area 132 where an output display area is provided and a third output area 133 where a display area wher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output is provided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출력 영역(132)에는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 ID값과,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 동작 상태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를 통한 제어 상태에 해당하는지 또는 로컬 조명 제어부(1) 자체 제어 상태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각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설치된 객차(10)에 마련된 조명(2)의 출력값과,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 통신 상태와, 각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전체에 대한 통합 알람 정보 및 각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별 세부 알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econd output area 132, an ID value f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ler 1 and an operating state f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ler 1 correspond to a control state throug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0. Whether or not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corresponds to its own control state,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ing 2 provided in the carriage 10 in which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installed, and the communication status f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And, any one or more of the integrated alarm information for the entire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each local light control unit 1 and detailed alarm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each local light control unit 1 is output that can be characteriz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출력 영역(133)에는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대한 조명(20) 별 ID값과, 각 조명(20) 별 통신 상태 및 정상동작 유무 상태와, 각 조명(20) 별 점등 시간과, 상기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설치된 객차(10) 내 조도센서(30)와의 통신 상태 및 해당 조도센서(30)의 정상동작 유무 상태 및 해당 조도센서(30)의 사용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output area 133 includes ID values for each light 20 for a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a specific local light control unit 1, communication status and normal status for each light 20. Operation status, lighting time for each light 20,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illuminance sensor 30 in the passenger car 10 in which the specific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installed, and normal operation status of the corresponding illuminance sensor 30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use time of the illuminance sensor 30 is outpu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 별로 설치된 다수의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 출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조작을 통한 조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에서 상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각 객차 별로 설치된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 상태 정보 획득부(120)에서, 각 객차 별 로컬 조명 제어부(1)로부터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상기 출력부(13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130)를 통해, 상기 상태 정보가 출력 및 모니터링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method for monitoring a 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one or more of the leading and trailing carriages among a plurality of carriages (10) and any one or more of the carriages excluding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each of which is When a manipulation signal through user manipulation is input through an output unit 130 connected to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ocal lighting controllers 1 installed for each carriag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Controlling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20 installed for each carriage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in 110, in the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connected to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local for each carriage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from the lighting control unit 1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it to the output unit 130, and outputting and monitoring the status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30.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 중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by operating any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among the plurality of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provided in a plurality of carri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객차 별로 마련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의 조명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체 객차 내 조명의 제어 상태를 통합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btaining and displaying the lighting control state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provided for each carriage in real time, it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nitor the control state of the lighting in the entire carriage in an integrated man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조명 별 조도값을 저장 후 재점등시 기 저장된 조도값을 토대로 마지막 조도값에 맞추어 재점등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oring the illuminance value for each light,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lighted according to the last illuminance value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illuminance value when re-lighting.

특히, 종래의 경우 기관실이 위치한 선두 객차의 중앙 조명 제어부에 예기치 못한 고장 혹은 파손이 발생할 시 전체 객차의 일괄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뿐만 아니라 다수의 객차에 중앙 조명 제어부가 마련됨에 따라, 선두 객차의 중앙 조명 제어부가 고장날 경우 다른 중앙 조명 제어부를 통해 전체 객차를 일괄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when an unexpected failure or damage occurs in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of the head car where the engine room is located, a situation in which collective control of the entire car is impossible occurs. As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is provid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llectively control all carriages through the other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in cas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of the lead carriage fails.

또한, 종래의 경우 전체 객차를 일괄제어할 수 있는 중앙 조명 제어부가 기관실이 위치한 선두 객차에만 마련되기 때문에, 만약 기관사나 승무원이 후미 객차에 위치한 상태에서 중앙 조명 제어부의 조작이 필요할 시 반드시 선두 객차까지 이동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기관사나 승무원이 근처에 가까운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함으로써 전체 객차를 일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sinc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all carriages is provided only in the front carriage where the engine room is located, if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is required while the driver or crew is located in the rear carriage, Although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ove occu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ngineer or crew member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llectively control the entire carriage by manipulating a nearby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또한, 종래의 경우 기관실이 위치한 선두 객차에 설치된 조도센서의 센싱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의 조도값을 일괄적으로 조절하되, 조도센서의 위치가 기관실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모든 객차의 조도값이 기관실의 실시간 조도값으로 귀속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객차 별로 각각 조도센서가 설치 가능하며, 이때 조도센서의 센싱값을 토대로 각 객차 별로 조도 조절이 독립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각 객차 별 위치 및 그에 따른 외부 광량, 조도 등에 따라 조도값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illuminance values of all passenger cars are collectively adjusted based on the sensing values of the illuminance sensors installed in the first carriage where the engine room is located, but the illuminance values of all carriages are limited to the engine room in that the position of the illuminance sensors is limited to the engine room.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each illuminance sensor for each carriage, and at this time, since the illuminance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for each carriage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illuminance sensor, each carriag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dependently adjust the illuminance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 and the amount of external light and illuminance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자체가 철도차량의 중앙 조명 제어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에 별도 중앙 조명 제어기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객차 별 다수 개의 조명을 제어함은 물론, 각 조명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itself can serve as a central lighting controller of the railway vehicle, even if a separat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is not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a plurality of lights for each carriage are controlled as well as ,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nitor each lighting condition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각 출력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철도차량 내 별도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각 객차(10) 별로 설치된 다수의 조명(20)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more specifically illustrating each output area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shown in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a central lighting controller separately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FIG. 4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onitoring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for each carriage 10 in real time using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only in representative embodiments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member.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ay mean that it further includes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본 발명에서 객차라 함은 기관실 객차 및 일반 승객용 객차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ssenger car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 including both an engine room passenger car and a general passenger c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각 출력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each output area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shown in FIG. This is a more detailed drawing.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크게 중앙 조명 제어부(110), 상태 정보 획득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조도값 저장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and an output unit 130. can be configured.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an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140 may be further included.

중앙 조명 제어부(110)는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함께,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다수 개로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다.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installed in plurality in one or more of the carriages excluding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together with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among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but ea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 each carriage It is connected to each installed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여기에서, 로컬 조명 제어부(1)는 철도차량의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들이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다.Here,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connected in a row of the railway vehicle, but ea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each carriage 10 are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 1) is connected with

이때, 로컬 조명 제어부(1)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토대로 객차(10) 내 조명(2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로컬 조명 제어부(1)의 전원이 단락될 경우 객차(10) 내 조명(20)의 점등 상태는 점멸 상태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railway vehicle and supplies power to the lighting 20 in the passenger car 10 based on this power. Therefore, if the power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short-circuited,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20 in the carriage 10 may be a blinking state.

한편, 모든 중앙 조명 제어부(110)는 일렬로 연결되어 있고, 중간 중간에 각 객차(10) 별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연결된다. 따라서, 모든 중앙 조명 제어부(11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10)를 통해서 모든 객차(10) 별 로컬 조명 제어부(1) 및 모든 조명(20)의 일괄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Meanwhile, all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10 are connected in a row, and local lighting control units 1 for each carriage 10 are connected in the middle. Therefore, collective control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ler 1 and all lights 20 for all carriages 10 is possible through any on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0 among all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s 110 .

이를 위하여, 중앙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타 중앙 조명 제어부(11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 상기 출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14) 및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가 설치된 객차(10)에 마련된 조명(20)의 출력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출력값을 상기 출력부(130)로 전달하는 조명 출력값 획득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railway vehicle, obtains control authority from other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s 110 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and I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that collectively controls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installed plurality of lights 20 and the illuminance sensor 30 installed in the passenger car 10, and the illuminance sensor 30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carriage 10 obtained through A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that collectively changes the illuminanc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within a preset maximum illuminance value and minimum illuminance value based on the manipulation signal input through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the center so that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states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are coll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 lighting output value acquisition unit ( 115).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는 전체 객차(10) 내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한을 가지게 되며, 도 2의 제1 출력 영역(131)에 마련되는 조작 영역의 조작 스위치(a)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 만약 승무원이 해당 조작 스위치(a)를 조작하는 경우, 제어권한이 해당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로 변경되면서 전체 객차(10) 내 조명(20)은 이제 해당 중앙 조명 제어부(111)의 제어권한 아래에서 일괄적으로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조절되게 된다.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has control authority to collectively control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lights in the entire carriage 10, and the operation area provided in the first output area 131 of FIG. 2 It can be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switch (a) of. If the crew member operates the control switch (a), the control authority is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lighting 20 in the entire carriage 10 is now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1 Illuminance and lighting conditions are controlled collectively under one.

이때, 모든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는 독립적으로 제어권한을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선두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가 제어권한을 가진 상태에서 후미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의 조작 스위치(a)가 조작될 경우, 선미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의 제어권한은 해제되고, 후미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로 넘어가게 된다. 즉, 모든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에서 오직 하나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 만이 제어권한을 독점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all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s 111 independently have control authority, for exampl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installed in the front passenger car acquires central control authority installed in the rear passenger car in a state where it has control authority When the operation switch (a) of the unit 111 is operated,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installed in the stern carriage is released, and it is passed to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installed in the rear carriage . That is, among all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s 111, only on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monopolizes the control authority.

한편, 만약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에서 획득한 제어권한을 회수하여야 하는 상황에서는, 특정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와 연결된 조작 스위치(a)를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혹은 5초) 동안 조작하는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제어권한 회수 신호가 해당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로 전달됨으로써 해당 특정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에서 해당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의 제어권한을 회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 situation where the control authority obtained from the specific local lighting controller 1 needs to be retrieved, the operation switch a connected to the specific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is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3 seconds or 5 seconds) to generate a control authority recovery signal by maintaining the operating state, and the generated control authority recover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pecific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so that the specific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ler 1 is recovered.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는 중앙 조명 제어부(110)가 설치된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에 대한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illuminance sensor 30 installed in the passenger car 10 in whic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installed, and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passenger car 10 obtain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30 , It serves to collectively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20 for the entire carriage 10 to a preset value.

보다 구체적으로, 조도센서(30)는 각 객차(10) 별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측정하게 되며,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12)에서는 이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 조도가 항시 기 설정된 조도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illuminance sensor 30 may be provided for each carriage 10, and measures the illuminance value in real time within the corresponding carriage 10, and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12 controls the entire carriage 10 based on this. Ensure that my illuminance is always maintained at the preset illuminance value.

이러한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는 도 3의 제1 출력 영역(131)에 마련되는 조작 영역의 조작 스위치(b)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승무원이 해당 조작 스위치(b)를 조작하는 경우 전체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의 조도가 항시 일정한 조도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This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can be operated through an operation switch b of an operation area provided in the first output area 131 of FIG. 3 . Therefore, when the crew operates the corresponding control switch (b),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 the entire carriage 10 can always be maintained at a constant illuminance value.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와는 반대로, 승무원이 도 3의 제1 출력 영역(131)에 마련되는 조작 영역의 조작 스위치(c)를 조작하는 경우,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 조절단계는 제한되지 않으며,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가 비활성화 된 상태에서 작동 가능하며, 출력부(130)의 제1 출력 영역(131)에 마련되는 조작 영역의 UP 조작 스위치(c-1)가 눌려지는 동안 해당 UP 조작 스위치(c-1)에 마련되는 별도의 LED가 켜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만약 조명(20)의 최대 조도값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해당 UP 조작 스위치(c-1)가 점멸됨으로써 현재 최대 조도값에 도달하였음을 알리게 된다.Contrary to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when the crew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c of the operation area provided in the first output area 131 of FIG. )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may be manually changed within preset maximum and minimum illuminance values. At this time, the adjustment step within the maximum and minimum illuminance values is not limited, and may be formed to be finely adjusted.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can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is deactivated, and the UP operation switch (c-) of the operation area provided in the first output area 131 of the output unit 130 While 1) is pressed, a separate LED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UP control switch (c-1) is kept on. In addition, if the illumination 20 reaches the maximum illuminance value, the corresponding UP control switch c-1 flickers to indicate that the current maximum illuminance value has been reached.

이와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출력부(130)의 제1 출력 영역(131)에 마련되는 조작 영역의 DOWN 조작 스위치(c-2)가 눌려지는 동안 해당 DOWN 조작 스위치(c-2)에 마련되는 별도의 LED가 켜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만약 조명(20)의 최저 조도값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해당 DOWN 조작 스위치(c-2)가 점멸됨으로써 현재 최저 조도값에 도달하였음을 알리게 된다.Similarly, in the opposite case, while the DOWN manipulation switch (c-2) of the manipulation area provided in the first output area 131 of the output unit 130 is pressed, a separate The LED of will remain on. In addition, if the lighting 20 reaches the lowest illuminance value, the corresponding DOWN operation switch c-2 flickers to notify that the current minimum illuminance value has been reached.

중앙 점등 제어부(114)는 전체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4 serves to change the lighting and unlit states of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do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 점등 제어부(114)에서는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유지시키되 조명(20)의 점등 상태만을 소등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maintains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ing 20 installed in the passenger car 10, but changes only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20 to an off state.

이는 절전 모드와 유사한 것으로서, 승무원이 도 3의 제1 출력 영역(131)에 마련되는 조작 영역의 조작 스위치(d)를 조작하는 경우, 전체 객차(10) 내 조명은 절전 모드와 같이 소등 상태가 된다. 이때, 본 발명에 포함된 조도값 저장부(140)에는 전체 객차(10) 별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이 저장되게 된다.This is similar to the power save mode, and when the crew member operates the control switch d of the control area provided in the first output area 131 of FIG. do. At this time, the last illuminance value of the lighting 20 for each carriage 10 is stored in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14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승문원이 조작 스위치(d)를 다시 점등 모드로 변경할 경우, 조도값 저장부(140) 내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조도값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조도값이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ttendant changes the operation switch d to the lighting mode again, the illuminance values of the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are automatically matched according to the last illuminance value stored in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140. will lose

조명 출력값 획득부(115)는 중앙 조명 제어부(110)가 설치된 객차(10)에 마련된 조명(20)의 출력값을 획득하고, 이를 출력부(130)로 전달함으로써 도 3의 제1 출력 영역(131)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영역(e)을 통해 해당 출력값이 퍼센트(%)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한다.The light output value acquisition unit 115 acquires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ing 20 provided in the carriage 10 in whic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installed, and transmits it to the output unit 130, thereby obtaining the first output area 131 of FIG. ) through the display area (e) provided, the corresponding output value is output in a percentage (%) method.

한편, 앞서 살펴본 중앙 조명 제어부(110)는 각 객차(10) 별로 마련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1)와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면서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described above communicates with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provided for each carriage 10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of a CAN communication method or an RS-485 communication method,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control. It can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and data.

특히, 상태 정보 획득부(120)는 다수의 로컬 조명 제어부(1)와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을 통해 로컬 조명 제어부(1)의 상태 정보 및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조명(20) 별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i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and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through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local lighting control units 1 and a CAN communication method or an RS-485 communication method ( 1) It is possible to collect state information for each lighting 20 connected to it in real time.

또한, 각각의 중앙 조명 제어부(110)들은 각각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면서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may individuall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control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of a CAN communication method or an RS-485 communication method.

뿐만 아니라, 중앙 조명 제어부(110)는 상태 정보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되는 각 조명(20) 별 조명 상태(온오프 동작 유무 및 조도값 포함), 조명 사용 시간, 조명의 통신 상태 및 조명 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ID값과, 로컬 조명 제어부(1) 자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ID값을 모두 저장한 후, 저장된 데이터들을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 관리 단말(혹은 외부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 관리 단말을 이용하여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의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a lighting state for each lighting 20 obtained through the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including on/off operation and illumination value), lighting usage time, lighting communication status, and lighting After storing both the ID value including the sta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 valu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ler 1 itself, the stored data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management terminal (or external equipment) located in a remote loca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ntrol stat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 the carriage 10 using an external management terminal located in a remote location.

뿐만 아니라, 상태 정보 획득부(120)는 외부 관리 단말(혹은 외부 장비)로부터 조명(20)에 대한 알람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출력부(130)로 전달함으로써 출력부(130)를 통해 해당 알람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may receive an alarm signal for the lighting 20 from an external management terminal (or external equipment), and transmit it to the output unit 130 through the output unit 130.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alarm signal has been received may be output.

한편, 출력부(130)의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 중앙 점등 제어부(114)에 각각 상응하는 조작 스위치(a, b, c, d)와, 중앙 조명 제어부(110)가 설치된 객차(10)에 마련된 조명(20)의 출력값을 퍼센트(%) 형태로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영역(e)이 포함된 제1 출력 영역(131)과, 로컬 조명 제어부(1)에 대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인 제2 출력 영역(132)과, 각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대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인 제3 출력 영역(133)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output unit 130, as described above, operation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respectively. (a, b, c, d) and a display area (e) for outputting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ing 20 provided in the carriage 10 in whic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percentage (%). 1 output area 131, a second output area 132, which is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state information about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and a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t is formed as a third output area 133, which is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state information.

제2 출력 영역(132)의 경우,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 ID값과,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 동작 상태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를 통한 제어 상태에 해당하는지 또는 로컬 조명 제어부(1) 자체 제어 상태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각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설치된 객차(10)에 마련된 조명(2)의 출력값과,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 통신 상태와, 각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전체에 대한 통합 알람 정보 및 각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별 세부 알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output area 132, whether the ID value of each local lighting controller 1 and the operating state of each local lighting controller 1 correspond to the control state throug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0 or local lighting. Whether the control unit 1 corresponds to its own control state,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ing 2 provided in the carriage 10 in which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installed, the communication status f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and each local At least one of integrated alarm information for all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the light control unit 1 and detailed alarm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each local light control unit 1 may be output.

또한, 제3 출력 영역(133)의 경우, 제2 출력 영역(132)에 출력된 다수 개의 로컬 조명 제어부(1)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 해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선택될 경우, 해당 선택된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대한 조명(20) 별 ID값과, 각 조명(20) 별 통신 상태 및 정상동작 유무 상태와, 각 조명(20) 별 점등 시간과, 상기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설치된 객차(10) 내 조도센서(30)와의 통신 상태 및 해당 조도센서(30)의 동작 상태 및 해당 조도센서(30)의 사용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hird output area 133, when a specific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local lighting control units 1 output to the second output area 132 by a user operation, the selected The ID value for each light 20 for the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the local light control unit 1, the communication state and normal operation status for each light 20, and the lighting time for each light 20, Any one or more of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illuminance sensor 30 in the passenger car 10 in which the specific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install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illuminance sensor 30, and the use time of the corresponding illuminance sensor 30 are output can

즉, 제2 출력 영역(132)은 중앙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 모든 로컬 조명 제어부(1)에 대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제3 출력 영역(133)은 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조명(20)들의 세부적인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output area 132 may refer to a screen area on which status information for all local lighting controllers 1 connected to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0 is output, and the third output area 133 is one of them. It may refer to a screen area where detailed state information of lights 20 connected to a specific local light control unit 1 selected by a user is output.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철도차량에 별도로 마련 가능한 중앙 조명 제어기의 역할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중앙 조명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도시 및 언급하였지만, 일 실시예에서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철도차량에 별도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기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has been shown and mentioned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so that it can perform the role of a central lighting controller that can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railway vehicle. In the embodiment,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may be connected to a central lighting controller separately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This will be reviewed through FIG. 3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철도차량 내 별도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a central lighting controller separately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경우, 기본적으로 중앙 조명 제어부(110)를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에 별도로 중앙 조명 제어기가 마련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철도차량에 마련된 각 객차(10) 별 로컬 조명 제어부(1)와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면서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basically included in itself, even i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is not separately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local lighting for each carriage 10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contro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1 through one or more of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또한, 도 3과와 같이 철도차량에 별도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기와도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앙 조명 제어부(110)의 역할은 철도차량에 별도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기가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중앙 조명 제어부(110)가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에 별도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기나 중앙 조명 제어부(11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는 그대로 상태 정보 획득부(120)에서 획득되어 출력부(130)에서 출력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t may be connected to a central lighting controller separately provided in a railway vehicle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of a CAN communication method or an RS-485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role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is It may be performed by a central lighting controller separately provided in the railroad car or by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0. Therefor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the control performed by either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or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which a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are obtained as they are from the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and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 output is possibl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각 객차(10) 별로 설치된 다수의 조명(20)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onitoring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for each carriage 10 in real time using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e monitor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각 객차 별로 설치된 다수의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10)와 출력부(130)가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력부(130)를 조작함에 따라 조작 신호가 입력되며(S401), 이 경우 중앙 조명 제어부(110)에서는 상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각 객차 별로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S402).Referring to FIG. 4, first,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nd the output unit 13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ocal lighting control units 1 installed for each carriage use one or more of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or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In the connected state, as the user manipulates the output unit 130, an operating signal is input (S401), and in this cas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based on the operating signal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for each carriage It controls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S402).

이와 동시에, 중앙 조명 제어부(110)와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을 통해 연결된 상태 정보 획득부(120)에서는, 각 객차 별 로컬 조명 제어부(1)로부터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을 통해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한 후 이를 출력부(130)에 전송하고(S403), 출력부(130)에서는 획득된 상태 정보를 출력 및 모니터링 함으로써 승무원에게 시인 되도록 한다(S404).At the same time, in the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connected to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or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for each carriage Or, after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among RS-485 communication methods, it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130 (S403), and the output unit 130 outputs and monitors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It is made visible to the crew (S40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객차
20: 조명
30: 조도센서
100: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110: 중앙 조명 제어부
111: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
112: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
113: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
114: 중앙 점등 제어부
115: 조명 출력값 획득부
120: 상태 정보 획득부
130: 출력부
131: 제1 출력 영역
132: 제2 출력 영역
133: 제3 출력 영역
140: 조도값 저장부
10: carriage
20: lighting
30: light sensor
100: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us monitoring system
110: central lighting control
111: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2: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3: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4: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5: light output value acquisition unit
120: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0: output unit
131: first output area
132: second output area
133: third output area
140: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Claims (8)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 별로 설치된 다수의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10);
상기 다수의 로컬 조명 제어부(1)로부터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부(120); 및
사용자 조작을 통한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를 통해 각 객차 별로 설치된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된 상기 상태 정보가 출력 및 모니터링 되도록 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는 타 중앙 조명 제어부(11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 상기 출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14) 및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가 설치된 객차(10)에 마련된 조명(20)의 출력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출력값을 상기 출력부(130)로 전달하는 조명 출력값 획득부(115)를 포함하고,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각 중앙 조명 제어부(11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10)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에서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제어권한을 획득한 로컬 조명 제어부(1)로 인가하는 경우, 해당 로컬 조명 제어부(1)의 제어권한은 소멸되고 상기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인가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가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권한을 새로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mong the plurality of passenger cars 10, a plurality of local lighting control units install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and any one or more of the carriages excluding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each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for each carriage (1)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connected to;
State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0 for acquiring the stat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n real time; and
It is provided to enable input of a manipulation signal through user manipulation so that the illumination intensity and lighting state of the lights 20 installed for each carriage are controlled throug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based on the manipulation signal, and the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 output unit 130 for outputting and monitoring the statu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120; includes,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0 obtains control authority from other central lighting controllers 110 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ler 1, and the illumination intensity and light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to be collectively controlled and the illuminance sensor 30 installed in the passenger car 10,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passenger car 10 obtain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30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and the output unit 130 so that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is collectively adjusted, the entire carriage 10 )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that allows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preset maximum and minimum illuminance values to be collectively changed, and to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that collectively change the on and off states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Acquires an output value of the lighting 20 provided in the carriage 10 on which is installed, and includes a lighting output value acquisition unit 115 for transmitting the obtained output value to the output unit 130,
In a state where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has acquired the control authority,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obtaining unit 111 of any on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of each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control authority recovery signal, and now When the control authority is applied to the acquired local lighting controller 1,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ler 1 is extinguished and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that applied the control authority recovery signal )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authority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vehicle is newly acquired, the 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us monitor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는 조도값 저장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도값 저장부(140)는 상기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를 통해 변경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며, 상기 중앙 점등 제어부(114)의 동작 모드가 점등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중앙 점등 제어부(114)는 상기 조도값 저장부(140)로부터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을 불러온 후 해당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이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에 맞추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the last illuminance valu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arriages 10;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140 stores the last illuminance valu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hanged through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is changed to a lighting mode. In this case,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reads the last previously stored illuminance value from the illuminance value storage unit 140, and then turns on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last previously stored illuminance valu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us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 상기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 상기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 상기 중앙 점등 제어부(114)에 각각 상응하는 조작 영역과 상기 출력값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상기 출력값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각각 마련되는 제1 출력 영역(131);
상기 상태 정보 중에서 각 로컬 조명 제어부(1)에 대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마련되는 제2 출력 영역(132); 및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로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마련되는 제3 출력 영역(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unit 130,
The control area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the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respectively, and the output value acquisition unit 115 a first output area 131 each provided with a display area where the output value obtained through the display is outputted;
A second output area 132 provided with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amo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A third output area 133 provided with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on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each local light control unit 1;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영역(132)에는,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 ID값과,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 동작 상태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를 통한 제어 상태에 해당하는지 또는 로컬 조명 제어부(1) 자체 제어 상태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각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설치된 객차(10)에 마련된 조명(2)의 출력값과, 각 로컬 조명 제어부(1) 별 통신 상태와, 각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전체에 대한 통합 알람 정보 및 각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별 세부 알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In the second output region 132,
Whether the ID value of each local lighting controller 1 and the operating state of each local lighting controller 1 correspond to a control state through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0 or a control state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ler 1 itself. Whether or not,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s 2 provided in the carriage 10 in which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installed, the communication state f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and a plurality of lights connected to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20)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integrated alarm information for the whole and detailed alarm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each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output, the railroad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us monitoring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출력 영역(133)에는,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대한 조명(20) 별 ID값과, 각 조명(20) 별 통신 상태 및 정상동작 유무 상태와, 각 조명(20) 별 점등 시간과, 상기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설치된 객차(10) 내 조도센서(30)와의 통신 상태 및 해당 조도센서(30)의 정상동작 유무 상태 및 해당 조도센서(30)의 사용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In the third output region 133,
The ID value for each light 20 for the plurality of lights 20 connected to the specific local light control unit 1, the communication state and normal operation status for each light 20, and the lighting time for each light 20 ,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illuminance sensor 30 in the passenger car 10 in which the specific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is install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rmal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illuminance sensor 30, and the usage time of the corresponding illuminance sensor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he railway vehicle lighting control status monitoring system.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 별로 설치된 다수의 로컬 조명 제어부(1)와 연결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 출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조작을 통한 조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에서 상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각 객차 별로 설치된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 상태 정보 획득부(120)에서, 각 객차 별 로컬 조명 제어부(1)로부터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상기 출력부(13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130)를 통해, 상기 상태 정보가 출력 및 모니터링 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는 타 중앙 조명 제어부(11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12), 상기 출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13),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14) 및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10)가 설치된 객차(10)에 마련된 조명(20)의 출력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출력값을 상기 출력부(130)로 전달하는 조명 출력값 획득부(115)를 포함하고,
로컬 조명 제어부(1)가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각 중앙 조명 제어부(11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10)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에서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제어권한을 획득한 로컬 조명 제어부(1)로 인가하는 경우, 해당 로컬 조명 제어부(1)의 제어권한은 소멸되고 상기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인가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11)가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권한을 새로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방법.
Among the plurality of passenger cars 10, a plurality of local lighting control units (1 ) When an operation signal through user manipulation is in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connected to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connected to,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lights installed for each carriage ( 20) controlling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btaining, in real tim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for each passenger vehicle in the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connected to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130; and
Through the output unit 130, the step of outputting and monitoring the state information; includes,
The central lighting controller 110 obtains control authority from other central lighting controllers 110 or each local lighting controller 1, and the illumination intensity and light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to be collectively controlled and the illuminance sensor 30 installed in the passenger car 10, based on the real-time illuminance value in the passenger car 10 obtain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30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central illuminance automatic control unit 112 and the output unit 130 so that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is collectively adjusted, the entire carriage 10 ) Central illuminance manual control unit 113 that allows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preset maximum and minimum illuminance values to be collectively changed, and to the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carriage 10 A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4 and th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that collectively change the on and off states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entire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Acquires an output value of the lighting 20 provided in the carriage 10 on which is installed, and includes a lighting output value acquisition unit 115 for transmitting the obtained output value to the output unit 130,
In a state where the local lighting control unit 1 has acquired the control authority,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obtaining unit 111 of any one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of each central lighting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control authority recovery signal, and now When the control authority is applied to the acquired local lighting controller 1,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local lighting controller 1 is extinguished and the central control authority acquisition unit 111 that applied the control authority recovery signal )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authority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s 20 installed in the vehicle is newly obtaine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trol state of a railroad vehicle.
KR1020210039112A 2021-03-25 2021-03-25 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 KR1025151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112A KR102515184B1 (en) 2021-03-25 2021-03-25 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112A KR102515184B1 (en) 2021-03-25 2021-03-25 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687A KR20220133687A (en) 2022-10-05
KR102515184B1 true KR102515184B1 (en) 2023-03-29

Family

ID=8359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112A KR102515184B1 (en) 2021-03-25 2021-03-25 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1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7722B (en) * 2023-10-18 2024-03-22 深圳市长龙铁路电子工程有限公司 Carriage environment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rail trans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73B1 (en) 2013-03-04 2013-09-0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Illumination control system for railway vehicles
KR101650502B1 (en) 2015-09-25 2016-08-23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compartment of rail motor car
KR102174439B1 (en) 2020-04-23 2020-11-04 김태형 Intelligent cabin lighting system for emergency escape guidance and ambient lighting,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348B1 (en) 2015-08-06 2018-01-0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Electrical Circuit for LED Lamp in Salon of Rail Cars and Light Controlling System with the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73B1 (en) 2013-03-04 2013-09-0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Illumination control system for railway vehicles
KR101650502B1 (en) 2015-09-25 2016-08-23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compartment of rail motor car
KR102174439B1 (en) 2020-04-23 2020-11-04 김태형 Intelligent cabin lighting system for emergency escape guidance and ambient lighting,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687A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022B2 (en)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utomobile headlights
EP2750479A2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amp
US9194091B2 (en) Wireless snow plow control
EP34986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elevator car operating panel condition
KR102515184B1 (en) System and mehtod for monitoring the lighting conditions of railway vehicles
JP7243761B2 (en) signal information generator
JP6468378B2 (en) Signal control device and signal
KR100964424B1 (en) Fire detection system
CA3086565A1 (en) Erro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in a vehicle lighting system
KR20140017157A (en) A crewless service system for railway car
CA3046572A1 (en) Controlling an indicator at a rear car of a train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lead car
WO2020110496A1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25141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JP2009158280A (en) Lighting control system
JP6762801B2 (en) Seat ticketing status display device
JP2017084397A (en) Traffic light control device, traffic light and program
CN208515596U (en) A kind of city rail vehicle guest room lighting control system
JP5454551B2 (en) Traffic sign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20210139055A1 (en) System for illuminating a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JP6964953B2 (en) Seat ticketing status display device
KR101983730B1 (en) Control device of automotive vehicles
JP6275968B2 (en) Lamp unit control system
KR102411196B1 (en) Self-diagnostic Ambulance System
JP5911770B2 (en) Electric vehicle control device
JP2002110367A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