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964A -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964A
KR20220124964A KR1020210028734A KR20210028734A KR20220124964A KR 20220124964 A KR20220124964 A KR 20220124964A KR 1020210028734 A KR1020210028734 A KR 1020210028734A KR 20210028734 A KR20210028734 A KR 20210028734A KR 20220124964 A KR20220124964 A KR 2022012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erminal
manager terminal
server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263B1 (ko
Inventor
황의철
Original Assignee
황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철 filed Critical 황의철
Priority to KR102021002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2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64C2201/1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단말기;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관리자단말기; 구매처담당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관리자단말기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구매처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상기 구매처단말기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물품이 선택되고 주문이 완료되는 제 1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주문된 주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입력된 재고와 비교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주문 정보과 재고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배송일정이 선택되는 제 4단계;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배송일정을 전송하는 제 5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배송일정, 배송중량, 기상상황, 풍속, 배송거리, 배송시간, 배송드론을 포함하는 비행계획이 입력되는 제 6단계; 상기 서버에서 비행계획을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를 확인하는 제 7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초과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비행 승인 알림과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하는 제 8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하는 제 9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이 입력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 알림을 전송하는 제 10단계; 상기 배송드론의 배송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적재완료 알림을 전송하는 제 11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Delivery system using drone and deliver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용품을 드론을 사용하여 항만에서 묘박지로 직접 배송하는 것이다.
많은 선박들이 묘박지에 대기하고 있으며, 묘박지에 대기중인 선박에서 필요로 하는 선용품은 다양하다. 대부분 통선을 이용하고 있어 적시성이 떨어지며, 특히 선원들의 개인선용품은 물품 구매 및 배송이 제한되고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2206749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송 비용이 저렴하고, 선박에 즉시 배송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단말기;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관리자단말기; 구매처담당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관리자단말기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구매처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상기 구매처단말기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물품이 선택되고 주문이 완료되는 제 1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주문된 주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입력된 재고와 비교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주문 정보과 재고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배송일정이 선택되는 제 4단계;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배송일정을 전송하는 제 5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배송일정, 배송중량, 기상상황, 풍속, 배송거리, 배송시간, 배송드론을 포함하는 비행계획이 입력되는 제 6단계; 상기 서버에서 비행계획을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를 확인하는 제 7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초과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비행 승인 알림과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하는 제 8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하는 제 9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이 입력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 알림을 전송하는 제 10단계; 상기 배송드론의 배송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적재완료 알림을 전송하는 제 11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단계에서 주문 정보와 재고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부족한 물품에 대한 주문을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구매처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2단계; 상기 구매처단말기에서 배송가능 일정이 선택되는 제 13단계;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확인하여, 부분배송일정과 전체배송일정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 4단계로 돌아가는 제 1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배송중량, 풍속, 배송거리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서 저장된 비행계획과 비교하여 배송드론을 추천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눈 또는 비 또는 안개를 포함하는 기상상황, 12m/s 초과의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배송불가 알림과 다른 배송일자를 전송하고 상기 제 4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배송드론이 배송되며, 상기 배송드론과 상기 사용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일때,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적재장소가 선택되며,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선박의 선수가 북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선박의 선수가 남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선수로 적재장소를 선택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거주구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30도 미만, 330도 초과 360도 이하인 경우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거주구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30도 이상 150도 이하, 210도 이상 330도 이하인 경우 선수 또는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거주구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150도 초과 210도 미만인 경우 선수로 적재장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묘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을 대상으로 배송 비용이 저렴하고 즉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다양한 요구가 있는 선원들의 개인 선용품 구매 및 배송 틈새시장에 진입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포함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은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단말기(10),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관리자단말기(20), 구매처담당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와 상기 관리자단말기(20)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구매처단말기(30), 상기 사용자단말기(10), 상기 관리자단말기(20) 및 상기 구매처단말기(30)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서버(40)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서 물품이 선택되고 주문이 완료되는 제 1단계,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주문된 주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입력된 재고와 비교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주문 정보과 재고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40)에서 배송일정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서 배송일정이 선택되는 제 4단계, 상기 서버(40)에서 배송일정을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배송일정을 전송하는 제 5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배송일정, 배송중량, 기상상황, 풍속, 배송거리, 배송시간, 배송드론을 포함하는 비행계획이 입력되는 제 6단계, 상기 서버(40)에서 비행계획을 저장하고,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를 확인하는 제 7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초과인 경우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비행 승인 알림과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하는 제 8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하는 제 9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이 입력되고,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 알림을 전송하는 제 10단계, 상기 배송드론의 배송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적재완료 알림을 전송하는 제 11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에는 사용자단말기(10)가 마련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위치, 선박명칭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해서 각종 알림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위치한 지점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단말기 사용에 따른 진일보된 개인화 서비스이며 사용자의 이동성에 기반하여 고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특징이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무선 측위 기술(PDT :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이 기지국 수신 신호를 이용하는 망 기반(Network-Based) 방식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에서 두 가지 기술을 혼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가 부각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위치파악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단말기(20)가 마련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20)는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드론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물품을 배송하는 것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단말기(20)를 통해서 각종 알림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기(20)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기(20)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위치한 지점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단말기 사용에 따른 진일보된 개인화 서비스이며 사용자의 이동성에 기반하여 고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특징이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무선 측위 기술(PDT :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이 기지국 수신 신호를 이용하는 망 기반(Network-Based) 방식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에서 두 가지 기술을 혼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가 부각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위치파악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처단말기(30)가 마련된다. 상기 구매처단말기(30)는 구매처담당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와 상기 관리자단말기(20)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물품을 상기 관리자에게 배송하는 것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구매처담당자가 상기 구매처단말기(30)를 통해서 각종 알림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매처단말기(30)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매처단말기(30)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위치한 지점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단말기 사용에 따른 진일보된 개인화 서비스이며 사용자의 이동성에 기반하여 고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특징이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무선 측위 기술(PDT :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이 기지국 수신 신호를 이용하는 망 기반(Network-Based) 방식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에서 두 가지 기술을 혼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가 부각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위치파악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 상기 관리자단말기(20) 및 구매처단말기(30)와 연동되어 서버(40)가 마련된다. 상기 서버(4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 상기 관리자단말기(20) 및 구매처단말기(30)에 마련된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4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 상기 관리자단말기(20) 및 구매처단말기(30)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연산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4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 상기 관리자단말기(20) 및 구매처단말기(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서 물품이 선택되고 주문이 완료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결제를 하고 주문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의 GPS 사용 여부를 입력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40)에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한다.
제 2단계는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주문된 주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입력된 재고와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와 비교하여 부족한 물품을 확인한다.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주문 정보과 재고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40)에서 배송일정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단계에서 주문된 상기 주문 정보와 상기 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가 일치하는 경우, 배송이 가능하므로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상기 배송일정을 송부한다.
여기서, 상기 배송일정은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관리자의 배송일정을 확인하고, 가능한 일정을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며, 날짜와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제 4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서 배송일정이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원하는 배송일정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4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상기 배송일정을 다수개로 송부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제 5단계는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배송일정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배송일정을 전송한다.
제 6단계는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배송일정, 배송중량, 기상상황, 풍속, 배송거리, 배송시간, 배송드론을 포함하는 비행계획이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상기 비행계획을 입력한다.
배송중량은 배송될 물품의 전체중량이며, 기상상황은 맑음, 흐림, 눈, 비, 안개 등과 같은 날씨에 관한 것이며, 배송거리는 상기 배송드론이 이착륙하는 지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까지를 잇는 직선경로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배송중량, 풍속, 배송거리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40)에서 저장된 상기 비행계획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배송드론을 추천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 입력된 데이터를 배송중량(A), 풍속(B), 배송거리(C)라고 하고, 상기 서버(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배송중량(a), 풍속(b), 배송거리(c)라고 한다.
먼저 상기 서버(40)에서 a값이 (A± A * 0.1), b값이 (B ± B * 0.1), c값이 (C ± C * 0.1)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A,B,C와 유사한 a,b,c의 값을 가진 데이터를 먼저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데이터 중 (a / A) * 제 1가중치 + (b / B) * 제 2가중치 + (c / C) * 제 3가중치의 값이 가장 큰 순으로 상기 배송드론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가중치는 0.7의 값을 가지며, 상기 제 2가중치는 0.2, 상기 제 3가중치는 0.4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눈 또는 비 또는 안개를 포함하는 기상상황, 12m/s의 풍속 중 어나 하나 이상이 입력되면, 상기 배송드론이 운항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때,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배송불가 알림과 다른 배송일자를 전송하고 상기 제 4단계로 돌아간다.
제 7단계는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비행계획을 저장하고,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를 확인한다.
제 8단계는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초과인 경우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비행 승인 알림과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한다.
여기서, 최대 이륙 중량이 25kg 이하인 경우는 비행승인 없이 비행이 가능하나, 초과인 경우 비행승인을 받아야한다. 또한, 세관에 적재 신고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승인이 필요하다.
제 9단계는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한다.
제 10단계는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이 입력되고,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 알림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물품이 배송되기 전에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을 입력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배송드론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가 상기 배송드론을 통해서 물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배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송드론과 상기 사용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일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선박(S) 내에서 적재장소가 선택된다. 여기서, 설정거리는 선박(S)에서 거주구(D)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선박(S)에서 선미에는 상기 거주구(D)가 위치하며 상기 배송드론이 이동하면서 상기 거주구(D)와 같은 장애물과의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자단말기(20)와 상기 배송드론 사이에 상기 거주구(D)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주구(D)에 의한 전파장애가 발생하여 상기 배송드론의 조종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송드론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보내주는 모니터링 영상이 전파장애 때문에 전송되지 못하고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영상이 끊어지면 충돌이나 추락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배송드론이 붉은색 빗금으로 표시된 전파음영지역(Z)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장소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먼저, 도 2와 같이 상기 관리자단말기(20)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선박(S)의 선수가 북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선미를 적재상장소로 선택한다. 이때, 상기 배송드론을 선수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전파음영지역(Z)과 겹치게 되면서 전파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관리자단말기(20)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선박(S)의 선수가 남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선수를 적재장소로 선택한다. 이때, 상기 배송드론을 선미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전파음영지역(Z)과 겹치게 되면서 전파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4의 (a)와 같이 상기 관리자단말기(20)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20)와 상기 거주구(D)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S)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30도 미만인 경우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한다. 이는 선미가 상기 전파음영지역(Z)이 없어서 전파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화물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4의 (b)와 같이 상기 관리자단말기(20)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20)와 상기 거주구(D)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S)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330도 초과 360도 이하인 경우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한다. 이는 선미가 상기 전파음영지역(Z)이 없어서 전파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화물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5의 (a)와 같이 상기 관리자단말기(20)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20)와 상기 거주구(D)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S)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30도 이상 150도 이하인 경우 선수 또는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30도 이상 90도 미만인 경우 면적이 더 넓은 반면에 상기 전파음영지역(Z)이 일부 공존하는 선수보다는 면적이 작더라도 상기 전파음영지역(Z)이 전혀 없는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90도 이상 150도 이하인 경우 면적이 더 넓고 상기 전파음영지역(Z)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 선수로 적재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의 (b)와 같이 상기 관리자단말기(20)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20)와 상기 거주구(D)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S)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210도 이상 330도 이하인 경우 선수 또는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할 수 있으나 면적이 더 넓은 선수로 적재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210도 이상 270도 이하인 경우 면적이 더 넓고 상기 전파음영지역(Z)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 선수로 적재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270도 초과 330도 이하인 경우 면적이 더 넓은 반면에 상기 전파음영지역(Z)이 일부 공존하는 선수보다는 면적이 작더라도 상기 전파음영지역(Z)이 전혀 없는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a), (b)와 같이 상기 관리자단말기(20)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20)와 상기 거주구(D)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S)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150도 초과 210도 미만인 경우 선수로 적재장소를 선택한다. 이는 선수가 상기 전파음영지역(Z)이 없어서 전파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화물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1단계는 상기 배송드론의 배송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적재 완료 알림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물품 수령 완료를 선택하게 되면, 세관에 적재 완료 신고를 해야하므로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적재 완료 알림을 전송한다.
제 12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주문 정보와 재고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40)에서 부족한 물품에 대한 주문을 상기 관리자단말기(20)와 상기 구매처단말기(3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단계에서 주문된 상기 주문 정보보다 상기 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가 작은 경우에는 바로 배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부족한 물품에 대한 주문을 위해서 상기 구매처단말기(30)로 알림을 전달한다.
제 13단계는 상기 구매처단말기(30)에서 배송가능 일정이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매처담당자가 물품의 배송가능 일정을 확인하고 상기 구매처단말기(30)로 배송가능 일정을 선택한다.
제 14단계는 상기 서버(40)에서 배송일자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40)에서 배송일정을 확인하여 부분배송일정과 전체배송일정을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고 상기 제 4단계로 돌아간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40)에서 상기 구매처담당자의 배송일정과 상기 관리자의 배송일정을 비교하여 배송일정을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때, 바로 배송이 가능한 물품만 먼저 배송하기 위한 부분배송일정과 모든 제품을 한꺼번에 배송하기 위한 전체배송일정을 모두 송부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관리서버 및/또는 시스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관리서버 및/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단말기 20 : 관리자단말기
30 : 구매처단말기 40 : 서버

Claims (5)

  1.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단말기;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관리자단말기;
    구매처담당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관리자단말기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구매처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상기 구매처단말기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물품이 선택되고 주문이 완료되는 제 1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주문된 주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입력된 재고와 비교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주문 정보과 재고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배송일정이 선택되는 제 4단계;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배송일정을 전송하는 제 5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배송일정, 배송중량, 기상상황, 풍속, 배송거리, 배송시간, 배송드론을 포함하는 비행계획이 입력되는 제 6단계;
    상기 서버에서 비행계획을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를 확인하는 제 7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초과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비행 승인 알림과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하는 제 8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배송중량과 상기 배송드론의 무게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적재 신고 알림을 전송하는 제 9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이 입력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배송드론의 색깔 알림을 전송하는 제 10단계;
    상기 배송드론의 배송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적재완료 알림을 전송하는 제 11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주문 정보와 재고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부족한 물품에 대한 주문을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구매처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2단계;
    상기 구매처단말기에서 배송가능 일정이 선택되는 제 13단계;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서 배송일정을 확인하여, 부분배송일정과 전체배송일정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 4단계로 돌아가는 제 1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배송중량, 풍속, 배송거리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서 저장된 비행계획과 비교하여 배송드론을 추천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눈 또는 비 또는 안개를 포함하는 기상상황, 12m/s 초과의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배송불가 알림과 다른 배송일자를 전송하고 상기 제 4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단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배송드론이 배송되며,
    상기 배송드론과 상기 사용자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일때,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적재장소가 선택되며,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선박의 선수가 북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선박의 선수가 남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선수로 적재장소를 선택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거주구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30도 미만, 330도 초과 360도 이하인 경우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거주구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30도 이상 150도 이하, 210도 이상 330도 이하인 경우 선수 또는 선미로 적재장소를 선택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남쪽에 위치할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거주구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선박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연장선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150도 초과 210도 미만인 경우 선수로 적재장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

KR1020210028734A 2021-03-04 2021-03-04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 KR10256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734A KR102569263B1 (ko) 2021-03-04 2021-03-04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734A KR102569263B1 (ko) 2021-03-04 2021-03-04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964A true KR20220124964A (ko) 2022-09-14
KR102569263B1 KR102569263B1 (ko) 2023-08-23

Family

ID=8327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734A KR102569263B1 (ko) 2021-03-04 2021-03-04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2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08006A (zh) * 2023-05-19 2023-06-23 安徽省赛达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数字乡村综合服务云平台
KR102551153B1 (ko) * 2022-11-25 2023-07-04 (주)에디넷 드론을 이용한 해상 배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890A (ko) * 2015-11-02 2017-05-11 씨제이대한통운 (주) 드론을 이용한 물품 분할배송 통합 관리 서버 및 물품 분할배송 드론
WO2018159256A1 (ja) * 2017-03-01 2018-09-07 株式会社イシダ 離着陸装置、離着陸システム及び無人配送システム
KR101965775B1 (ko) * 2017-12-13 2019-04-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드론의 무인선박으로의 리턴홈 모드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206749B1 (ko) 2020-03-04 2021-01-25 도브텍 주식회사 광역 대상지역에서 드론을 활용한 택배배송을 위한 조닝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배송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890A (ko) * 2015-11-02 2017-05-11 씨제이대한통운 (주) 드론을 이용한 물품 분할배송 통합 관리 서버 및 물품 분할배송 드론
WO2018159256A1 (ja) * 2017-03-01 2018-09-07 株式会社イシダ 離着陸装置、離着陸システム及び無人配送システム
KR101965775B1 (ko) * 2017-12-13 2019-04-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드론의 무인선박으로의 리턴홈 모드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206749B1 (ko) 2020-03-04 2021-01-25 도브텍 주식회사 광역 대상지역에서 드론을 활용한 택배배송을 위한 조닝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배송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153B1 (ko) * 2022-11-25 2023-07-04 (주)에디넷 드론을 이용한 해상 배송 방법 및 시스템
CN116308006A (zh) * 2023-05-19 2023-06-23 安徽省赛达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数字乡村综合服务云平台
CN116308006B (zh) * 2023-05-19 2023-08-01 安徽省赛达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数字乡村综合服务云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263B1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2843B2 (en) Unmanned aerial delivery to secure location
KR102569263B1 (ko)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
US91279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cargo transaction
US11593750B2 (en) Managing and tracking shipments
US20240013137A1 (en) Intelligent dynamic routing and delivery systems
US20230219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duct sorting and coordinated delivery using autonomous delivery vehicles within a facility
CA3159551C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 identification, messaging, and tolling of aerial vehicles
US11138551B2 (en) Bundled application for load management system
CN108776482A (zh) 无人配送车、用于无人配送车的配送控制方法和装置
EP3803807B1 (en) Airspace tolling
CN106406357A (zh) 一种货物投递控制方法、无人机及终端
KR20210087013A (ko) 다중 모드 화물 운송 서비스의 자동 형성 방법
US20190172169A1 (en) System and Method of Predicting Freight Rates
US20090058648A1 (en) Methods and systems of using rfid tags in emergency situations
US20210056494A1 (en) Online system for facilitating delivery of packages via drone delivery
US202303257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re-allocating storage containers
KR20200124867A (ko) 자율 이동체를 이용한 배송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169924A (ko) 화물 운송비 견적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446665A (zh) 一种物品运输实现方法、系统、机器人和存储介质
US20170323260A1 (en) Shipping request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cargo tracking application
KR102616770B1 (ko) 비대면 해상 물품 배송 통합 관리 시스템
Henesey et al. A multi-agent system with blockchain for container stacking and dispatching
Senarak et al. 0 Technology for Port Digitalization and Automation
US20210012277A1 (en) Package shipping system by using characteristic identifier and method thereof
KR102340986B1 (ko) 국제 물류 포워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