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376A -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376A
KR20220124376A KR1020210027891A KR20210027891A KR20220124376A KR 20220124376 A KR20220124376 A KR 20220124376A KR 1020210027891 A KR1020210027891 A KR 1020210027891A KR 20210027891 A KR20210027891 A KR 20210027891A KR 20220124376 A KR20220124376 A KR 20220124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agricultural machine
agricultural
unit
momen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409B1 (ko
Inventor
김경란
서민태
박수인
김경수
김효철
이경숙
김인수
박수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박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박수진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1002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4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기계의 운동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상태 및 사고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사고정보를 알릴 수 있는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는 농기계의 운동상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농기계의 동작상태 및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농기계가 동작 중이거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발생여부 또는 사고발생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사고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The device and method of agricultural machinery for accident alarm}
본 발명은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기계의 운동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상태 및 사고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사고정보를 알릴 수 있는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인 손상실태 조사에 따르면 농기계 관련 손상이 전체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경운기와 트랙터 관련 전도 및 추락사고가 주요 사고의 형태이다.
농촌인구 고령화 등에 의해 농기계 사용자의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농기계 관련 사고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그러나, 농기계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대부분의 사고는 좁은 농로, 경사지거나 굽은 길을 주행하거나, 논밭으로 진·출입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최근 농촌사회는 농업노동 인구 감소로 인해 혼자서 영농활동 하는 사례가 많고, 농촌 지형적 특성상 통행인이 적은 지역을 운행하기 때문에 사고발생시 조기 발견이 어려워 사고 조치에 대한 도움을 받지 못하여 치명적인 사망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주행형 농기계의 사용 급증과 더불어 도/농 복합지역(Urban-rural Complex Area) 확대에 따른 차량과 농기계의 추돌사고 발생률이 높아짐에 따라 농기계 사고예방을 위한 방안으로 안전교육, 야간반사판, 후미등 또는 경광등 부착 등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사고예방 및 사고발생 시 응급대응에 한계가 있다.
저속주행 농기계는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안전 확보가 어렵고, 전복·또는 추락 사고 발생시 주위로부터 발견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차량과의 추돌사고 예방을 위해 보다 효과적인 장치의 개발 및 ICT 융합기술을 활용한 사고예방 및 사고감지 기능이 구비된 농기계용 경광등 알람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20-0107022 A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기계의 동장상태를 외부에 알리고, 전복 또는 추락사고 감지 시 경광등 및 경보음을 발생시켜 농기계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는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는 농기계의 운동상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농기계의 동작상태 및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농기계가 동작 중이거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발생여부 또는 사고발생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사고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에서, 상기 출력부는, 전복 또는 추락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 및 상기 농기계가 동작 중이거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농기계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상기 농기계가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 및 상기 농기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운동량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크거나 상기 속도가 기 설정한 값 보다 큰 경우 농기계가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동작상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기울기 및 운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기울기가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전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추락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농기계의 기울기를 계산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농기계의 속도를 측정하여 전복 또는 추락 사고 발생을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는, 상기 감지부, 상기 제어부, 상기 출력부 또는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은 농기계의 운동상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감지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가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농기계 동작상태 판단단계,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가 전복되었거나 추락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농기계 사고발생 판단단계, 농기계가 전복되었거나 추락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고, 사고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사고정보 발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에서, 상기 농기계 동작상태 판단단계는,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운동량 및 속도를 계산하는 운동량/속도 계산단계 및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크거나 상기 속도가 기 설정한 값 보다 큰 경우 상기 농기계가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조명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판단 및 조명인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에서, 상기 농기계 사고 발생 판단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기울기 및 운동량을 계산하는 기울기/운동량 계산단계 및 상기 기울기가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전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추락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전복/추락 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은,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농기계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기울기 계산단계 및 감지부를 통해 상기 농기계의 속도를 측정하여 전복 또는 추락 사고 발생을 확정하는 사고발생 확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농기계와의 추돌을 조심하라는 주의표시와 사고 감지 시 경광등 및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변에 사고발생을 알리고, 위치정보(GPS)와 무선통신기술을 통하여 제3자에게 응급상황을 실시간으로 전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제1실시예의 하단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제1실시예의 출력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제1실시예의 감지부, 제어부 및 통신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구현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는 농기계의 운동상태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부(100),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농기계의 동작상태 및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0), 상기 농기계가 동작 중이거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300) 및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발생여부 또는 사고발생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사고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기계의 운동상태정보란 농기계의 운행속도, 가속도, 각속도, 운동량 또는 현재 위치 등 농기계 운행 시 발생하는 정보로서, 센서 등을 통해 측정하거나, 산출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농기계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110), 상기 농기계가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120) 및 농기계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감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 감지부(110)는 리드 스위치식 차속센서, 광전식 차속 센서, 전자식 차속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GPS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울기 감지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는 농기계의 속도 변화나 농기계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해 X, Y, Z 3축을 기준으로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가속도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에 의해 농기계의 기울기 정도 또는 흔들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중력 센서(gravity sensor)는 X, Y, Z 3축에 대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여 농기계의 방향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gyro sensor)는 X, Y, Z 3축에 대한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농기계의 기울기 정도 또는 회전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130)는 실시예에 따라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은 GPS 위성을 활용해 현재의 위치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속도 감지부(110)를 통해 측정한 농기계의 속도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운동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농기계의 기울어짐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GPS 모듈을 통해 알아낸 농기계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고발생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부(100)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운동량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크거나 상기 속도가 기 설정한 값 보다 큰 경우 농기계가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동작상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농기계 차체에 가해지는 운동량과 농기계의 속도를 검출하여 농기계의 상태가 엔진 가동상태인지 주행 중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기울기 및 운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기울기가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전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추락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농기계의 기울기를 계산하고, 상기 감지부(100)를 통해 상기 농기계의 속도를 측정하여 전복 또는 추락 사고 발생을 확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농기계 차체의 기울어짐을 검출하여 전복사고 여부, 운동량 패턴을 검출하여 추락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사고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해 사고감지 기울기와 속도를 검출하여 이전 농기계의 상태와 사고 이후 농기계의 상태를 비교하여 최종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통신부(400)를 통해 운전자의 보호자 또는 사고 수습 기관의 담당자와 같은 제3자의 단말기(800) 또는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700)로 사고 발생 사실, 사고 발생 위치 등의 정보(이하, '사고정보'라 함.)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00)는, 전복 또는 추락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310) 및 상기 농기계가 동작 중이거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출력부(310)는 제어부(200)에 의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여 사고발생지역 주변의 제3자에게 사고발생을 알림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부(320)는 제어부(200)에 의해 농기계가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제3자 등에게 농기계의 작동상황을 알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320)는 제어부(200)에 의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로 빛을 출력하여 사고발생지역 주변의 제3자에게 사고발생을 알림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비콘(beac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WI-FI 통신, Z-wave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원거리 무선 통신인 loT 광대역통신망, LTE 통신, 5G통신,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00)는 제어부(200)로부터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단말기(800) 또는 서버(700)로 사고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발생사실을 알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고 수습을 위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단말기(800)는, 농기계 운전자의 보호자 또는 사고 수습 기관의 담당자와 같은 제3자가 소지할 수 있는 단말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80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player,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800)는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통신부(400)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라면 족하다.
서버(700)는, 본 발명이 포함하고 있지 않은 외부 서버로서, 농기계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관리서버 또는 기관들이 보유하는 외부 서버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사고정보 관리서버 또는 안전신고센터나 응급의료 병원이 사고 수습 기관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보험사도 사고 수습 기관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600)는, 실시간 농기계 동작 감지 및 사고 감지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제어부(20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600)는 자기 저장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는, 감지부(100), 제어부(200), 출력부(300) 또는 통신부(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500)는 태양광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원부(500)를 태양광 패널로 구성할 경우, 태양광 패널에 의해 충전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이고, 사고 발생시 배터리 충전 여부에 구애 받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제1실시예의 하단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제1실시예는 (ㅠ)자형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는 전원부(500)의 하단은 제1 결합부(30)와 결합되며, 제1 결합부(30)는 통신부(400), 전원부(500) 및 감지부(100)가 포함된 하우징(10)과 출력부(300)가 결합된다.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는 전원부(500)는 하단에 결합되는 출력부(300), 감지부(100), 제어부(200) 및 통신부(400) 등이 야외에 노출된 환경에서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손상 없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결합부(40)는 농기계에 탈부착 가능한 지지대(20)와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대(20)는 제2 결합부(40)를 관통하는 나사홀과 지지대(20)를 관통하는 나사홀에 나사가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제2 결합부(40)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제1실시예의 출력부(300)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력부(300)는 상단의 소리 출력부(310) 및 하단의 조명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리 출력부(310)의 상단 중앙부에 나사가 구비되어 제1 결합부(30)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제1실시예의 감지부(100), 제어부(200) 및 통신부(40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부(100), 제어부(200) 및 통신부(400)는 하나의 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에 외벽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구비됨으로써, 감지부(100), 제어부(200) 및 통신부(400)는 제1 결합부(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은, 농기계의 운동상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감지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가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농기계 동작상태 판단단계(S100),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가 전복되었거나 추락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농기계 사고발생 판단단계(S200), 농기계가 전복되었거나 추락한 경우 소리나 빛 등의 알람을 발생시키고, 사고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사고정보 발송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농기계 동작상태 판단단계(S100)는, 감지부(100)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단계(S110),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운동량 및 속도를 계산하는 운동량/속도 계산단계(S120) 및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크거나 상기 속도가 기 설정한 값 보다 큰 경우 농기계가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조명부(320)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판단 및 조명인가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르면, 농기계의 운동량과 속도를 검출하여 기 설정한 값 이상인 경우 조명부(320)에 전원을 인가하여 농기계의 동작상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상기 농기계 사고발생 판단단계(S200)는,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기울기 및 운동량을 계산하는 기울기/운동량 계산단계(S211) 및 상기 기울기가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전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추락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전복/추락 판단단계(S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르면, 농기계의 기울기 및 운동량을 검출하여 기 설정한 값 이상인 경우, 전복 또는 추락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은,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농기계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기울기 계산단계(S221) 및 감지부(100)를 통해 상기 농기계의 속도를 측정하여 전복 또는 추락 사고 발생을 확정하는 사고발생 확정단계(S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의 농기계의 기울기와 속도를 검출하여 이전 농기계의 상태와 비교하여 최종 사고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구현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는 경운기와 같은 기존의 농기계에 지지대(20)를 고정할 수 있는 부분이 있거나, 지지대(20)를 삽입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 경우 설치가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농기계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의 설치가 가능한바, 사고 알람 장치 설치 시 발생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지지대
30: 제1 결합부
40: 제2 결합부
100: 감지부
110: 속도 감지부
120: 기울기 감지부
130: 위치 감지부
200: 제어부
300: 출력부
310: 소리 출력부
320: 조명부
400: 통신부
500: 전원부
600: 메모리
700: 서버
800: 단말기

Claims (12)

  1. 농기계의 운동상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농기계의 동작상태 및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농기계가 동작 중이거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발생여부 또는 사고발생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사고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전복 또는 추락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 및
    상기 농기계가 동작 중이거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농기계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상기 농기계가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 및
    상기 농기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운동량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크거나 상기 속도가 기 설정한 값 보다 큰 경우 농기계가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동작상태 알람을 출력하는 것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기울기 및 운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기울기가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전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추락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농기계의 기울기를 계산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농기계의 속도를 측정하여 전복 또는 추락 사고 발생을 확정하는 것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상기 제어부, 상기 출력부 또는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패널인 것인,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8. 농기계의 운동상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감지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가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농기계 동작상태 판단단계;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가 전복되었거나 추락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농기계 사고발생 판단단계;
    농기계가 전복되었거나 추락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고, 사고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사고정보 발송단계를 포함하는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 동작상태 판단단계는,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운동량 및 속도를 계산하는 운동량/속도 계산단계; 및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크거나 상기 속도가 기 설정한 값 보다 큰 경우 상기 농기계가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조명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판단 및 조명인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 사고 발생 판단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기계의 기울기 및 운동량을 계산하는 기울기/운동량 계산단계; 및
    상기 기울기가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전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동량이 기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추락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전복/추락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농기계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기울기 계산단계; 및
    감지부를 통해 상기 농기계의 속도를 측정하여 전복 또는 추락 사고 발생을 확정하는 사고발생 확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기계 사고 알람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027891A 2021-03-03 2021-03-03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2495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91A KR102495409B1 (ko) 2021-03-03 2021-03-03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91A KR102495409B1 (ko) 2021-03-03 2021-03-03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76A true KR20220124376A (ko) 2022-09-14
KR102495409B1 KR102495409B1 (ko) 2023-02-06

Family

ID=8327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891A KR102495409B1 (ko) 2021-03-03 2021-03-03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4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414A (ko) * 2014-12-02 2016-06-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응급 상황 알림 시스템
JP2017211707A (ja) * 2016-05-23 2017-11-30 地方独立行政法人青森県産業技術センター 転倒警報装置、転倒事故通報システム、及び転倒警報プログラム
KR20200061481A (ko) * 2018-11-23 2020-06-03 오연재 사고 예방 기능을 갖는 농업용 기계 안전사고 감지장치
KR20200067536A (ko) * 2018-12-04 2020-06-12 한국세라믹기술원 자가발전 방식의 농기계 주행 안전 발광기
KR20200107022A (ko) 2019-03-05 2020-09-16 박지홍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414A (ko) * 2014-12-02 2016-06-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응급 상황 알림 시스템
JP2017211707A (ja) * 2016-05-23 2017-11-30 地方独立行政法人青森県産業技術センター 転倒警報装置、転倒事故通報システム、及び転倒警報プログラム
KR20200061481A (ko) * 2018-11-23 2020-06-03 오연재 사고 예방 기능을 갖는 농업용 기계 안전사고 감지장치
KR20200067536A (ko) * 2018-12-04 2020-06-12 한국세라믹기술원 자가발전 방식의 농기계 주행 안전 발광기
KR20200107022A (ko) 2019-03-05 2020-09-16 박지홍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409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0347B (zh) 一种人体跌倒检测和报警的设备和方法
CN106274779B (zh) 一种车辆侧翻和碰撞的检测方法、装置及其应用
US20130015963A1 (en) Person-based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roximity Warnings
CN105329210A (zh) 基于异常震动监测的车辆智能防盗系统
CN206021500U (zh) 一种防拆除报警系统
CN102862548A (zh) 具有加速度传感器的gps车辆防盗方法及车辆防盗装置
JP7318136B2 (ja) 衝撃検出および関連するデータ伝送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Bhuvaneswari et al. A Smart Speed Governor Device For Vehicle Using Iot
Sethuraman et al. Implementing vehicle black box system by IoT based approach
CN110544363A (zh) 一种基于安全帽的报警方法、装置、安全帽及存储介质
CN202196514U (zh) 一种智能车载终端
US20080319606A1 (en) Vehicle rollover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
CN206446570U (zh) 一种基于信息融合与无线传感网络的汽车防盗系统
CN101022985A (zh) 一种自动探测列车编组分离的设备
Dolui et al. Smart device sensing architectures and applications
KR102495409B1 (ko)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
CN209373742U (zh) 一种汽车防偷油装置
ITMO20090251A1 (it) Apparecchiatura telematica per veicoli
Senthilkumar et al. Vehicle accident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using MQTT
CN106458278A (zh) 用于自行车或类似车辆的远程信息处理设备
KR20070100587A (ko) 교통사고 감지 장치와 교통사고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교통상황 보고 시스템
CN106864409A (zh) 一种基于信息融合与无线传感网络的汽车防盗系统
CN106686093A (zh) 应用物联网传感器监测车辆异常震动的车辆保障系统
Jain et al. Blind Vision and Theft Protection Device in Vehicles using Embedded Systems
CN106564441B (zh) 一种车载无线智能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