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336A -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336A
KR20220124336A KR1020210027803A KR20210027803A KR20220124336A KR 20220124336 A KR20220124336 A KR 20220124336A KR 1020210027803 A KR1020210027803 A KR 1020210027803A KR 20210027803 A KR20210027803 A KR 20210027803A KR 20220124336 A KR20220124336 A KR 2022012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head
valve
invasive surgery
minimally inv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창영
Original Assignee
채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창영 filed Critical 채창영
Priority to KR102021002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4336A/ko
Publication of KR2022012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19Sealing means between cannula an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각종 수술도구를 수술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캐뉼라와, 상기 캐뉼라의 내부를 관통하여 시술 부위에 구멍을 내는 투관침을 포함하는 캐뉼라 어셈블리로서, 상기 캐뉼라는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캐뉼라바디와, 상기 캐뉼라바디 상부에 설치되고 유체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뉼라헤드와, 상기 캐뉼라헤드의 상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밀봉수단과, 상기 밀봉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캐뉼라헤드 상부에 결합되는 캡커버와, 상기 캡커버와 캐뉼라헤드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유체투입구의 개방 또는 밀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투관침은 상기 캐뉼라바디에 삽입할 때 상기 밀봉수단의 기밀유지홀에 걸려 진입구간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디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격을 줄이기 위한 유선형 구조의 손잡이를 갖음으로써, 수술부위에 캐뉼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핸드 밸브를 돌리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어 수술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시에도 부품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A CANNULA ASSEMBLY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본 발명은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부위에 캐뉼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핸드 밸브를 돌리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어 수술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시에도 부품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관절경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이란 관절경(arthroscope)이라고 불리는 작은 망원경을 사용하여 신체내부를 보면서 수술을 진행하는 것으로, X선 또는 MRI에서 놓칠 수 있는 손상을 시각화하여 최소한의 절개만으로 수술을 할 수 있는 최소 침습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최소 침습수술은 캐뉼라(cannular)를 통해 각종 수술도구를 수술부위에 삽입하여 수술을 진행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의료용 캐뉼라는 작은 튜브 또는 삽입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절개된 피부에 삽입되어 내시경에 필요한 각종 시술 도구의 삽입 통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캐뉼라(cannular)를 통해 각종 수술도구를 수술부위에 삽입하여 수술 시행시 수술부위에는 에어나 물이 공급되어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상기 캐뉼라를 통해 삽입된 수술도구를 통해 피나 에어나 물 등이 외부로 흘러나와서는 아니되므로 캐뉼라 내부에는 물이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밀봉수단이 구비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가 상기 밀봉수단의 개폐를 조절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밀봉수단이 불확실하여 수술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캐뉼라를 통해 각종 수술도구를 수술부위에 삽입하여 수술 시행시 캐뉼라가 환자의 몸에 고정되지 못하고 빠지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에서는 캐뉼라를 조립 시 본드로 부품들을 결합시킨 후, 본드가 굳을 때까지 작업자가 계속 눌러줘야 하였는데, 이는 조립시간이 오래걸리고 작업성이 안좋을 뿐 아니라, 수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0906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핸드 밸브를 돌리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어 수술 시 의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밀봉기능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나 에어 또는 물 등의 유체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하여 줌으로써, 안심하고 수술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술부위에 캐뉼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어 수술 시 캐뉼라가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술작업을 보다 안심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드 작업 없이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작업자의 조립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종 수술도구를 수술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캐뉼라와, 상기 캐뉼라의 내부를 관통하여 시술 부위에 구멍을 내는 투관침을 포함하는 캐뉼라 어셈블리로서, 상기 캐뉼라는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캐뉼라바디와, 상기 캐뉼라바디 상부에 설치되고 유체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뉼라헤드와, 상기 캐뉼라헤드의 상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밀봉수단과, 상기 밀봉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캐뉼라헤드 상부에 결합되는 캡커버와, 상기 캡커버와 캐뉼라헤드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유체투입구의 개방 또는 밀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투관침은 상기 캐뉼라바디에 삽입할 때 상기 밀봉수단의 기밀유지홀에 걸려 진입구간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디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격을 줄이기 위한 유선형 구조의 손잡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캐뉼라헤드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크밸브와, 중앙에 원형의 기밀유지홀을 형성하는 씰링부재가 순차적으로 삽입설치 되어지되, 상기 체크밸브는 절개홀이 '─', '│' 또는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체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캐뉼라헤드에 형성되는 밸브장착홈과, 상기 밸브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유체투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밸브홀이 형성되는 핸드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드밸브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밸브홀이 유체투입구 통로와 연통되어 개방되고, 상기 핸드밸브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밸브홀이 유체투입구 통로와 단절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장착홈의 상면에는 연속적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밸브에는 상기 요철의 요(凹)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핸드밸브를 돌리면 요철을 타고 위치 이동이 가능한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캡커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캐뉼라헤드의 홈에 결합이 가능한 후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가 캐뉼라헤드의 홈에 결합되면서 캐뉼라헤드, 밀봉수단 및 캡커버가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캐뉼라바디의 외주면에는 일부 또는 전부에 헬릭스가 형성되어 수술부위에 캐뉼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헬릭스는 캐뉼라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중간부분에 나사산의 높이가 낮게 이루어지거나 나사산이 없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릭스는 캐뉼라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선단부는 나사산의 간격이 넓고 후단부에는 나사산의 간격이 좁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헬릭스는 나사산의 앞뒤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져 수술부위로의 진입은 용이하지만 캐뉼라바디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는 저항이 커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 밸브를 돌리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어 수술 시 의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밀봉기능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나 에어 또는 물 등의 유체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하여 줌으로써, 안심하고 수술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술부위에 캐뉼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어 수술 시 캐뉼라가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술작업을 보다 안심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드 작업 없이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작업자의 조립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수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캡커버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핸드밸브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캐뉼라바디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캐뉼라바디의 헬릭스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캐뉼라 어셈블리의 밀봉수단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캐뉼라 어셈블리는 각종 수술도구를 수술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캐뉼라와, 상기 캐뉼라의 내부를 관통하여 시술 부위에 구멍을 내는 투관침(200)을 포함한다.
상기 캐뉼라는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캐뉼라바디(110)와, 상기 캐뉼라바디(110) 상부에 설치되고 유체투입구(112)가 구비되는 캐뉼라헤드(120)와, 상기 캐뉼라헤드(120)의 상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밀봉수단(130)(140)과, 상기 밀봉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캐뉼라헤드(120) 상부에 결합되는 캡커버(150)와, 상기 캡커버(150)와 캐뉼라헤드(1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유체투입구(112)의 개방 또는 밀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캐뉼라는 절개된 피부에 삽입되어 내시경에 필요한 각종 시술 도구의 삽입 통로로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원통형 케뉼라바디(110)에 투관침(200)이 삽입되어 시술 부위에 구멍을 내도록 한다.
상기 투관침(200)은 상기 캐뉼라바디(110)에 삽입할 때 진입구간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디(212)(214)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격을 줄이기 위한 유선형 구조의 손잡이(22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마디(212)(214)는 캐뉼라 진입 시 상기 밀봉수단의 기밀유지홀(142)에 걸려 진입구간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마디가 형성되도록 설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뉼라가 삽입되는 수술부위에 따라 그 갯수 및 크기 등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캐뉼라는 상기 케뉼라헤드(120)의 상부에 복수개의 밀봉수단이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밀봉수단은 상기 캐뉼라헤드(12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크밸브(130)와, 중앙에 원형의 기밀유지홀(142)을 형성하는 씰링부재(140)가 순차적으로 삽입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체크밸브(130)와 씰링부재(140)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130)는 그 중앙에 절개홀(13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홀(132)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0°의 각도로 삼면이 커팅되는 '1/3 삼각형 커팅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홀(132)의 역할은 액체 및 공기가 일정 압력에서는 밀폐효과를 가지는 것이며, 상부의 씰링부재(140)와 적층되어 있어서 밀폐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140)에 형성된 기밀유지홀(142)은 원형타입으로 이루어지는데, 3mm~8mm 의료기구가 진입할 때 상기 기밀유지홀(142)을 관통하더라도 씰링부재(140)의 탄성에 의해 밀폐를 유지시키는 지속적인 밀폐효과를 가진다.
도 2에 도시한 밀봉수단은 이중구조의 체크밸브(130)와 씰링부재(140)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본 발명의 밀봉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130)가 2개로 이루어지는 삼중구조의 밀봉수단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체크밸브의 절개홀이 '─', '│' 또는 '┼'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홀들은 크로스 형태로 결합하여 밀폐효과를 더욱 높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밀봉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캐뉼라헤드(120) 상부에는 캡커버(150)가 결합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캐뉼라헤드와 커버를 본드로 결합하여 조립하였으므로, 조립 작업 시 작업자가 계속 눌러줘야 하여 시간이 오래걸리고 작업성이 안좋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캡커버(150)와 캐뉼라헤드(1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캡커버(15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캐뉼라헤드(120)의 홈에 결합이 가능한 후크(152)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캡커버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캡커버(150)의 후크(152)가 캐뉼라헤드(120)의 홈에 결합되면서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고, 실리콘 재질의 체크밸브(130)와 씰링부재(140)가 탄성으로 인해 압착되면서 상기 캐뉼라헤드, 밀봉수단 및 캡커버가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커버(150)의 내부에 밀봉수단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캡커버(150)의 내부에 상기 체크밸브(130)와 씰링부재(140)가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캡커버(150)의 후크가 캐뉼라헤드(12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캡커버(150)의 위치 결정이 필요없이 잘 고정되어 작업자의 조립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실리콘의 탄성 및 후크 체결로 인해 밀폐가 얻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체투입구(112)의 개방 또는 밀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핸드밸브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체투입구(112)와 연통되도록 상기 캐뉼라헤드(120)에 형성되는 밸브장착홈(114)과, 상기 밸브장착홈(114)에 삽입되고 상기 유체투입구(112)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밸브홀(162)이 형성되는 핸드밸브(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드밸브(16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핸드밸브(160)는 정밀 공차로 인해서 밸브장착홈(114)에 억지로 밀어넣으면 밀착이 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핸드밸브의 몸체가 밸브장착홈(114)에 삽입되어 유체투입구(112)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핸드밸브(160)는 밸브홀(162)과 유체투입구(112)의 통로가 평행상태가 되면 개방이 되고 크로스가 되면 밀폐가 되는 구조로서, 상기 핸드밸브(160)를 일방향으로 90°회동시키면 상기 밸브홀(162)이 유체투입구 통로와 연통되어 개방되고, 상기 핸드밸브(160)를 반대방향으로 90°회동시키면 상기 밸브홀이 유체투입구 통로와 단절되어 밀폐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장착홈(114)의 상면에는 연속적으로 요철(凹凸)(114a)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핸드밸브(160)에는 상기 요철(114a)의 요(凹)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핸드밸브를 돌리면 요철을 타고 위치 이동이 가능한 고정돌기(16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철(114a)과 고정돌기(164)의 형상에 따라, 밸브 회전시 부드러운 정도나 위치결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요철(114a)과 고정돌기(164)의 형상을 뾰족한 형상으로 하면, 밸브 회전시 부드러움은 저하되나 위치결정력은 좋게 된다. 반면, 요철(凹凸)(114a)과 고정돌기(164)에 굴곡을 형성하면, 상기 핸드밸브(160)를 돌릴 때 부드럽게 고정돌기의 이동이 가능하고 위치결정도 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요철(凹凸)(114a)의 철(凸)부를 좁게 만들어서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뉼라바디(110)의 외주면에는 일부 또는 전부에 헬릭스(110a)가 형성되어 수술부위에 캐뉼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캐뉼라바디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플레인(Plain) 캐뉼라바디로서, 헬릭스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이다. 이와 같은 플레인 캐뉼라바디는 수술부위에 쉽게 들어가지만 쉽게 빠질 수 있으므로 수술 환경에 따라 헬릭스(Helix) 타입(도 2)이나 풀 헬릭스(Full Helix) 타입(도 5의 (b))을 사용한다. 관절경 수술시 사용환경에 따라 Plain, Helix, Full Helix를 적절히 사용하면 캐뉼라가 몸박으로 이탈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릭스를 캐뉼라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중간부분에 나사산의 높이가 낮게 이루어지거나(도 5의 (c)) 나사산이 없는 구조(도 5의 (d))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캐뉼라바디의 헬릭스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헬릭스는 캐뉼라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선단부는 나사산의 간격이 넓고 후단부에는 나사산의 간격이 좁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도 6의 (a)).
이와 같이, 헬릭스가 캐뉼라바디의 선단부에는 간격이 넓고 후단부에는 간격이 좁게 이루어지면, 수술부위에 비교적 쉽게 들어가지만 수술부위에는 여러개의 헬릭스 구조로 인해 캐뉼라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헬릭스는 나사산의 앞뒤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헬릭스가 나사산의 앞뒤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지면 수술부위로의 진입은 용이하지만 캐뉼라바디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는 저항이 커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나사산의 앞면 각도는 125°이고 뒷면 각도는 85°로 형성되면, 수술부위로의 진입은 용이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저항이 커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절경 수술시 사용환경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안한 나사산의 높이, 간격 또는 각도가 다른 다양한 형태의 헬릭스를 갖는 캐뉼라를 적절히 사용하면 캐뉼라가 수술 중에 몸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캐뉼라바디 112: 유체투입구
114: 밸브장착홈 114a: 요철
120: 캐뉼라헤드 130: 체크밸브
132: 절개홀 140: 씰링부재
142: 기밀유지홀 150: 캡커버
152: 후크 160: 핸드밸브
162: 밸브홀 164: 고정돌기

Claims (9)

  1. 각종 수술도구를 수술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캐뉼라와, 상기 캐뉼라의 내부를 관통하여 시술 부위에 구멍을 내는 투관침을 포함하는 캐뉼라 어셈블리로서,
    상기 캐뉼라는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캐뉼라바디와, 상기 캐뉼라바디 상부에 설치되고 유체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뉼라헤드와, 상기 캐뉼라헤드의 상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밀봉수단과, 상기 밀봉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캐뉼라헤드 상부에 결합되는 캡커버와, 상기 캡커버와 캐뉼라헤드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유체투입구의 개방 또는 밀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투관침은 상기 캐뉼라바디에 삽입할 때 상기 밀봉수단의 기밀유지홀에 걸려 진입구간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디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격을 줄이기 위한 유선형 구조의 손잡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캐뉼라헤드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크밸브와, 중앙에 원형의 기밀유지홀을 형성하는 씰링부재가 순차적으로 삽입설치 되어지되,
    상기 체크밸브는 절개홀이 '─', '│' 또는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체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캐뉼라헤드에 형성되는 밸브장착홈과,
    상기 밸브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유체투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밸브홀이 형성되는 핸드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드밸브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밸브홀이 유체투입구 통로와 연통되어 개방되고, 상기 핸드밸브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밸브홀이 유체투입구 통로와 단절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착홈의 상면에는 연속적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밸브에는 상기 요철의 요(凹)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핸드밸브를 돌리면 요철을 타고 위치 이동이 가능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캡커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캐뉼라헤드의 홈에 결합이 가능한 후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가 캐뉼라헤드의 홈에 결합되면서 캐뉼라헤드, 밀봉수단 및 캡커버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바디의 외주면에는 일부 또는 전부에 헬릭스가 형성되어 수술부위에 캐뉼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헬릭스는 캐뉼라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중간부분에 나사산의 높이가 낮게 이루어지거나 나사산이 없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헬릭스는 캐뉼라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선단부는 나사산의 간격이 넓고 후단부에는 나사산의 간격이 좁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헬릭스는 나사산의 앞뒤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져 수술부위로의 진입은 용이하지만 캐뉼라바디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는 저항이 커서 고정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KR1020210027803A 2021-03-03 2021-03-03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KR20220124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03A KR20220124336A (ko) 2021-03-03 2021-03-03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03A KR20220124336A (ko) 2021-03-03 2021-03-03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36A true KR20220124336A (ko) 2022-09-14

Family

ID=8327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803A KR20220124336A (ko) 2021-03-03 2021-03-03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43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665B1 (ko) 2011-05-18 2011-12-07 손정완 길이 조절형 캐뉼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665B1 (ko) 2011-05-18 2011-12-07 손정완 길이 조절형 캐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242B2 (en) Suction control unit for an endoscope having two working channels
US5989228A (en) Trocar flapper valve
JP6453352B2 (ja) トロカール
EP2095781B1 (en) Button cannula
JP4184413B2 (ja) 細長い物体をシール状態で受け入れる弁組立体
US9839344B2 (en) Cannula assembly
ES2634238T3 (es) Cierre de pico de pato con recurso de drenaje de fluido
US8562520B2 (en) Access port
BRPI0505782B1 (pt) conjunto de vedação e conjunto de trocarte
KR101268705B1 (ko) 복강경 트로카
KR101151310B1 (ko) 복강경 투관침
MXPA02006512A (es) Trocar que tiene un diseno mejorador de sello.
KR101956592B1 (ko) 트로카용 실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트로카
US11666359B2 (en) Access apparatus with integrated fluid connector and control valve
KR101317960B1 (ko) 트리플 리플렛 구조를 갖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트로카 장치
JP2010518901A (ja) シールを有する可撓性カニューレ
US11849969B2 (en) Cannula with smoke evacuation housing
KR20220124336A (ko) 최소 침습수술을 위한 캐뉼라 어셈블리
JP2005103284A (ja) マルチアングル・ダックビルシール組立体
JP2005103291A (ja) トロカール組立体用の目立たない嵌め込みストップコック弁
US10413322B2 (en) Assembling surgical access device
EP2266481B1 (en) Access assembly with flexible housing
US20190183527A1 (en) Laparoscopic guide
CN113456181B (zh) 套管穿刺器
US20160106400A1 (en) Endoscopic side release biopsy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