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851A -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851A
KR20220123851A KR1020210027300A KR20210027300A KR20220123851A KR 20220123851 A KR20220123851 A KR 20220123851A KR 1020210027300 A KR1020210027300 A KR 1020210027300A KR 20210027300 A KR20210027300 A KR 20210027300A KR 20220123851 A KR20220123851 A KR 2022012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recommendation
skin
informatio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21002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3851A/ko
Publication of KR2022012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시스템은,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고 인식된 이미지와 고객이 입출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취향 정보를 취합하여 고객의 니즈와 현재 상태에 부합하는 최적의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RECOMMENDATION SYSTEM EQUIPPED WITH CUSTOMIZED COSMETICS RECOMMEND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고객의 안면 이미지를 추출한 후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적합한 화장품을 찾고 추천하는 과정에서 고객의 취향정보를 수집하여 고객의 니즈와 부합하는 최적의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구매하는 경우, 매장에 방문하여 매장에 구비되는 샘플을 고객이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뒤, 고객에게 적합한 화장품을 찾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고객은 직접 사용해본 화장품을 믿고 구매할 수 있게 되고, 많은 제품 중에서 고객에게 어울리는 제품을 골라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십에서 수백가지가 되는 화장품 샘플을 모두 사용해보아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장품을 직접 사용하는 과정에서 여러 화장품을 단시간에 사용하기 위해 화장을 지울 수 있는 제품, 화장솜 등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닦아내는 반복 작업으로 인하여 피부에 자극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매장에 존재하는 많은 수의 샘플을 사용하는 것은 고객으로 하여금 불편함을 야기하고 이로 인해 사용하는 샘플의 수가 줄어들어 샘플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고 제품을 선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1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고, 인식된 안면의 곳곳의 RGB컬러를 추출하고, 추출된 색을 기반으로 가장 어울리는 색, 텍스쳐 등을 가진 화장품을 추천하는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입출력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고객의 취향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니즈와 부합하는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추천 시스템을 통해 추천된 제품을 구입한 고객이 후기를 작성하고, 후기를 통해 제3자가 제품을 구입할 경우 해당 후기를 작성한 고객에게 추천비용을 지급하여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은, 입출력장치로부터 고객의 안면의 톤 정보인 현재 피부 정보와 상기 고객의 화장품 취향 정보를 수집하는 피부 정보 수집수단 및 상기 피부 정보 및 상기 취향 정보를 기초로 추천 화장품을 산출하는 화장품 추천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은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에게 고객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는 제1 선택지를 제공하여 수집된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된 화장품을 추천하고,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선택지의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된 화장품 내에서 화장품이 재 추천될 수 있도록 제2 선택지를 제공하여 상기 취향 정보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상기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화장품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취향 정보는 화장품의 컬러, 텍스쳐, 브랜드 및 가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의 컬러는 레드컬러, 오렌지컬러, 코랄컬러, 버건디 컬러, 뉴트럴 컬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의 텍스쳐는 매트, 새미매트, 벨벳, 글로시 및 워터 제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고객과 관련된 피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객과 관련한 과거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과거 피부 값과 현재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소정 기준 이하라면, 고객의 현재 취향 정보를 반영한 추천 제품을 추천하고, 고객과 관련한 과거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과거 피부 값과 현재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 중 기설정된 시간대에 산출된 피부 값을 기준으로 화장품을 추천하는 재방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방문 관리부는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시간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시간대를 포함하는 피부 값에 고객의 취향 정보를 반영한 화장품을 추천하고,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현재 피부 값이 상기 시간대를 모두 포함하거나, 모두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과거 및 현재의 안면 이미지를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과 연동되는 입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고객에게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고객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안면 이미지를 통해 추출한 피부 정보와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화장품을 선정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화장품 추천부로부터 선정된 화장품을 구매하여 사용한 후 후기를 SNS 상에 작성하고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상기 후기를 통해 제3자 단말기가 해당 제품을 구매할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로 소정의 추천비용을 제공하는 제품후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추천방법은,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의 안면 이미지를 추출하는 안면 이미지 추출단계와 상기 안면 이미지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안면 이미지에서 피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의 화장품 취향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피부 정보와 상기 취향 정보에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화장품 추천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방법은 상기 화장품 추천단계를 통해 추천된 화장품을 고객 단말기가 구매하는 화장품 구매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화장품 구매단계를 통해 구입한 제품을 사용한 후 해당 제품의 후기를 SNS에 작성하는 제품후기 작성단계와 상기 제품 후기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후기를 통해 제3자 단말기가 해당 제품을 구매할 경우 고객 단말기로 소정의 추천비용을 지급하는 추천비용 지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방법은 상기 안면 이미지를 통해 피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고객이 재방문할 경우, 고객과 관련된 과거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과거 피부 값과 현재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하라면, 고객의 현재 설문 결과를 반영한 추천제품을 추천하고, 상기 차이가 일정 기준 초과한다면,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현재 피부 값 중 기설정된 시간대에 산출된 피부 값을 기준으로 화장품을 추천하는 재방문 고객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에 따르면, 고객의 안면 이미지 및 취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어울리는 제품을 추천 받을 수 있다.
또한, 고객이 매장에 전시된 많은 제품을 직접 사용하지 않아도 어울리는 제품을 추천 받을 수 있다.
또한, 고객이 매장의 제품을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자극이나 트러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많은 제품 중에 어울리는 제품군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이 고객의 취향 정보를 수집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이 재방문한 고객에게 제품을 추천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방법의 제1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방법의 제2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이 고객의 취향 정보를 수집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이 재방문한 고객에게 제품을 추천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방법의 제1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방법의 제2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피부 정보 수집수단 및 화장품 추천수단을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추천 시스템과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시스템(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 기반 무인 키오스크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은, 입출력장치로부터 고객 안면의 톤 정보인 현재 피부 정보와 상기 고객의 화장품 취향 정보를 수집하는 피부 정보 수집수단 및 상기 피부 정보 및 상기 취향 정보를 기초로 추천 화장품을 산출하는 화장품 추천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은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에게 고객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는 제1선택지를 제공하여 수집된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한 화장품을 추천하고,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선택지의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된 화장품 내에서 화장품이 재추천될 수 있도록 제2선택지를 제공하여 상기 취향 정보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상기 고객에게 하나 이상의 질문을 통해 상기 취향 정보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질문은 여러 보기가 제공되는 설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보기는 이하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질문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고객이 제1선택지에 대한 취향을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결과를 기반으로 제품을 추천하게 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고객이 제1 선택지를 선택한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된 제품 중에서 추가적인 선택지를 원하는 고객에 한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질문에 대답을 한 고객이 추가 질문을 원할 경우 추가질문 선택하기를 선택하여 세부사항을 추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객은 상기 추천된 제품을 바로 선택할 수 있고, 또는 다른 선택지를 추가로 제공 받을 수 있다.
추가로 제공 받는 제2선택지는 상기 제1선택지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된 제품 내에서 추가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선택지는 상기 제1선택지로부터 추천된 제품을 선택한 고객에게는 제공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객이 상기 제1 선택지(색상)에서 레드를 선택할 경우 레드와 관련한 제품을 추천하게 되고, 해당 제품 중에서 고객의 마음에 드는 제품이 있을 경우, 추가적인 선택을 하지 않고 상기 추천 제품 중에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고객이 상기 제1 선택지(색상)에서 레드를 선택하고 레드와 관련한 제품을 추천 받았으나, 마음에 드는 제품이 없을 경우 제2 선택지(텍스쳐)를 추가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선택지는 제1 및 제2 선택지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은 일종의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바일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 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리 PC 등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 및 고객 단말기라 함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da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t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스마트미러(smart mirrors), 키오스크 장치(kiosk)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된 값을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출력장치를 구성하는 일례로는 키오스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전면에 구비되는 거울에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되고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무인 정보단말기로 동적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정보, 경로 안내, 요금 카드 배포, 예약 업무, 각종 전화번호 및 주소 안내 정보제공,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을 제공하며 동시에 터치스크린과 사운드, 그래픽, 통신카드 등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음성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종합정보안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장치를 구성하는 또 다른 일례로는 스마트 미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 미러는 거울(Mirror)과 디스플레이(Display)의 결합으로 탄생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평소에는 거울이지만, 사용자가 접근을 하면 근접센서가 반응을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가정내 사물인터넷과 연동하는 B2C용 스마트홈 스마트미러와 의류매장의 가상 피팅솔루션, 성형외과나 화장품샵의 피부관리솔루션, 미용실의 모발 관리솔루션, 호텔솔루션 등의 B2B용 등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킨 광고플랫폼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은 상기 입출력장치가 고객이 근접할 경우 고객의 안면의 톤 정보인 현재 피부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정보는 상기 고객의 안면 이미지에서 최소 32 곳 이상의 RGB 색상을 추출하여 분석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안면 이미지에서 색상을 추출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0594호를 참조할 수 있다. 각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해당 특징점의 RGB색상을 추출하여 안면에 특정 지점의 RGB값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안면 이미지의 특정 부분의 RGB색상을 추출할 수 있는데, 상기 추출 값은 동일한 사람이 여러 번 측정할 경우 동일한 곳의 색상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부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의 현재 피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은 상기 제1 선택지를 선택한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된 제품 중에서 추가적인 선택지를 원하는 고객에 한하여 제2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상기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화장품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은 고객의 화장품 취향 정보의 수집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취향 정보는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고객이 직접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출력장치는 스마트 미러를 적용한 키오스크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장치는 화장품 매장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근처에 사람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거울 상태를 유지하여 매장의 심미감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장치는 일례로 센서를 구비하여 근처(예로써, 장치로부터 반경 2m이내)에 사람이 접근할 경우 키오스크로써 작동하기 위하여 각종 정보를 상기 거울 전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상기 고객이 인지하고 선택하여 원하는 정보 값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터치부는 상기 고객이 입출력장치 근처로 접근할 경우 함께 작동하여 정보의 출력과 함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출력장치는 자체적으로 작동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추천 시스템에서 특정 명령이 전송 받아 작동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추천 시스템에 구비되는 상기 피부 정보 수집 수단은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명령을 전달하는 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집부 및 상기 지시부를 통해 상기 입출력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고객이 근처에 접근하게 되면, 고객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고객이 접근할 경우 자동으로 상기 고객의 전체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고 촬영된 이미지는 실시간으로 상기 피부 정보 수집 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정보 수집 수단은 상기 촬영된 안면 이미지 중에 얼굴의 정면이 촬영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 피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정보 수집 수단은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고객의 안면 이미지를 추출한 뒤에 상기 지시부를 통해 상기 입출력장치가 상기 고객에게 설문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문은 고객의 취향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질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피부, 립스틱, 아이메이크업 등 여러 화장품에 대한 취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향 정보를 통해 고객이 원하는 취향을 수집하고, 상기 안면 이미지를 통해 수집된 피부 정보가 종합된 정보를 통해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이 적합한 화장품을 선택하여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에게 추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부는 상기 피부 정보 및 상기 취향 정보를 종합하여 화장품을 추천하는데, 일례로 웹, SNS 등에서 화장과 관련된 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피부 정보와 비슷한 피부 정보를 가진 이미지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품을 몇가지 추출하고 추출된 제품 중에 상기 취향 정보와 일치하는 제품을 추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취향 정보는 화장품의 컬러, 텍스쳐, 브랜드 및 가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취향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답이 입력되면 추가질문에 대한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취향 정보는 여러 정보를 포함하는데, 그 중에서 한가지를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고객이 선택할 경우 다른 취향 정보를 더 입력할 것인지 추가 선택 없이 본인에게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 받을 것인지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화장품 추천부는 상기 고객이 레드 컬러의 립스틱 중에서 본인의 피부 톤과 어울리는 립스틱을 추천 받기 위해 레드 컬러의 립스틱만을 선택하고 제품 추천을 받고, 마음에 들 경우 추가 선택 없이 립스틱 추천 받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고객이 레드 컬러를 선택한 뒤 맞춤 화장품을 추천 받았으나,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추가 세부사항(텍스쳐) 선택으로 넘어가서 텍스쳐를 매트로 선택하고 현재 선택 사항에 한하여 제품을 추천 받고,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추가 세부사항(브랜드) 선택 후 다시 추천 받고, 또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추가 세부사항(가격대)까지 모두 선택한 후 제품을 추천 받을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의 컬러는 레드컬러, 오렌지컬러, 코랄컬러, 버건디 컬러, 뉴트럴 컬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의 텍스쳐는 매트, 새미매트, 벨벳, 글로시 및 워터 제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컬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GB값을 기준으로 정의된 컬러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텍스쳐는 일부만을 제시했을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러스터, 프로스트, 새틴, 크림쉰, 앰플리파이드크림, 글레이즈 등 다양한 종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고객이 상기 취향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답을 입력하면, 추가질문을 위한 선택지를 제공하여, 추가질문을 선택할 것인지, 현재까지 선택된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제품을 추천 받을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고객과 관련된 피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객과 관련한 과거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과거 피부 값과 현재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소정 기준 이하라면 고객의 현재 취향 정보를 반영한 추천 제품을 추천할 수있다. 고객과 관련한 과거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과거 피부 값과 현재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 중 기설정된 시간대에 산출된 피부 값을 기준으로 화장품을 추천하는 재방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는 상기 고객이 화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일례로 13:00 이후부터 매장의 문을 닫는 시간까지 일 수 있다. 이는 화장품을 구매하려는 고객은 외출 시 방문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외출은 점심을 먹은 후 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외출시라면 화장을 했을 것이라 가정하고, 오후 시간대(13:00 이후)라면 화장을 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오전 시간대(13:00 이전)라면 아침에 급해서 화장을 안 한 상태로 제품을 집에 두고 일을 보러 나간 경우 구매를 위해 매장에 방문하는 경우가 빈번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화장을 안 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과거 피부 값은 상기 고객이 첫 방문 혹은 재방문 이전 방문시에 입출력장치를 통해 촬영된 안면 이미지를 통해 추출된 피부 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 피부 값은 상기 고객의 이전 방문 기록과는 별개로 현재 방문하여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추출된 피부 정보를 기초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거 피부 값은 상기 현재 피부 값을 측정한 시기를 기준으로 이전 방문을 뜻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고객이 첫 방문 한 이후 2차 방문시라면, 첫 방문 시의 피부 값이 과거 피부 값이 될 수 있고, 2차 방문시의 피부 값이 현재 피부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2차 방문 이후에 3차 방문이 이어졌다면, 2차 방문 시의 피부 값이 과거 피부 값이 될 수 있고, 3차 방문시의 피부 값이 현재 피부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과거 피부 값과 상기 현재 피부 값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100% 동일할 수 없다. 또한, 고객의 화장법이 바뀐 경우 다른 제품을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법의 변화를 인지하기 위해 변화를 측정할 경우 동일한 사람이라도 화장법이 동일한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큰 변화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 하기의 소정 기준을 가지고 화장법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기준은 피부 화장품, 입술 화장품 등 상황에 따라 다른 기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피부 화장품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소정 기준은 색상의 톤을 올리는 톤업을 기준으로 두 단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를 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술 화장품을 기준으로 할 경우 컬러 바뀐 상태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컬러는 기본 컬러(빨강, 주홍, 주황, 노란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자주)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 레드 컬러 -> 오렌지 컬러 로 바뀐 경우는 소정 값 이상 변화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라커 레드 -> 몽슈 레드 와 같이 레드 -> 레드 인 경우 소정 기준 이하로 변화하였기 때문에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컬러는 상기 안면 이미지를 통해 추출된 RGB값이 일반적인 RGB 색상표를 기준으로 하여 더 가까운 쪽의 색상인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랄의 색상은 RGB값((255, 127, 08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값의 변화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의 일례로, 상기와 같은 소정 기준으로 상기 과거 피부 값과 상기 현재 피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소정 기준 이하라면, 화장법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취향 정보를 반영한 추천 제품을 추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천은 상기 고객의 그날의 기분에 의해 입술 색이 달라진 경우일 수 있고, 그날의 기분에 맞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것으로 구매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일례로, 고객의 상기 과거 피부 값과 상기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소정 기준을 초과한다면, 화장법이 바뀐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과거 피부 값과 상기 현재 피부 값을 추출한 안면 이미지가 찍힌 시간대를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를 포함하는 피부 값에 따른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과거 피부 값을 추출할 당시의 안면 이미지가 11:00에 촬영된 것이라면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 이전 시간이므로 화장을 안 했을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현재 피부 값을 추출할 당시의 안면 이미지가 14:00에 촬영된 것이라면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 이후 시간이므로 화장을 한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현재 피부 값에 따른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추천은 현재 피부 값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고객의 현재 취향 정보를 반영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추천 시스템은 고객이 많은 제품들을 직접 써보지 않고 현재 상태에 알맞은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재방문 관리부는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시간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시간대를 포함하는 피부 값에 고객의 취향 정보를 반영한 화장품을 추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이 상기 시간대를 모두 포함하거나, 모두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과거 및 현재의 안면 이미지를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과 연동되는 입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고객에게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방문 관리부는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이 상기 소정 기준 이상 차이가 날 때,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 중 어느 하나만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가 포함된 피부 값과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과거 피부 값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에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추출된 값이고, 상기 현재 피부 값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에 촬영되지 않은 이미지를 기초로 추출된 값이라면, 상기 과거 피부 값을 기준으로 맞춤 화장품을 추천하는 것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과거 피부 값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에 촬영되지 않은 이미지를 기초로 추출된 값이고, 상기 현재 피부 값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에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추출된 값이라면, 상기 현재 피부 값을 기준으로 맞춤 화장품을 추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을 추출한 이미지가 모두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에 촬영되었거나, 모두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에 촬영되지 않은 이미지일 경우, 화장법이 바뀐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입출력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고객에게 과거 방문시의 촬영 이미지와 현재 촬영 이미지를 모두 디스플레이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화장품을 추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천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고객의 매장 방문시에 과거 이력을 활용하여 제품 추천이 가능하기에, 고객으로 하여금 과거 화장법과 현재 화장법을 비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매장의 화장품을 직접 사용하지 않더라도 최적의 제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인 키오스크 시스템은 정보 전달이 가능한 고객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안면 이미지를 통해 추출한 피부 정보와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화장품을 선정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로 구비되어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문자, 이미지,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상기 추천 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매장에 설치되는 입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피부 정보가 저장된 고객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추천 시스템을 처음 이용하는 고객일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고객의 현재 이미지를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고, 전송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현재 피부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상기 현재 피부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화장품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추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추천 시스템은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의 개인정보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고, 입력된 개인정보와 상기 고객 단말기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인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동일인인 경우 상기 재방문 고객과 같이 과거 피부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인정보는 아이디,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부 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화장품 추천부로부터 선정된 화장품을 구매하여 사용한 후 후기를 SNS 상에 작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상기 후기를 통해 제3자 단말기가 해당 제품을 구매할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로 소정의 추천비용을 제공하는 제품후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개인정보가 수집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상기 개인정보가 수집된 고객 단말기가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을 통해 추천 받은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한 후 SNS 상에 후기를 작성하고, 상기 후기를 통해 제3자 단말기가 제품을 구매할 경우 상기 구매금액의 일부(소정의 추천비용)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추천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상기 개인정보가 수집된 고객 단말기만이 상기 제품 후기를 이용한 비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정의 추천비용은 상기 제3자 단말기가 구매한 제품 가격의 일부비용이 될 수 있고, 상기 제품 가격에 5% 내외(일례로, 5~15%)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기를 통해 제3자 단말기의 구매를 촉진하여 상기 추천 시스템을 이용하는 매장은 제품 판매를 촉진할 수 있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소정의 비용을 받을 수 있다.
상술한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에 개시된 내용은 이하 설명하는 화장품 추천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추천방법은 기본적으로 안면 이미지 추출단계, 화장품 추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추천방법은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의 안면 이미지를 추출하는 안면 이미지 추출단계와 상기 안면 이미지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안면 이미지에서 피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의 화장품 취향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피부 정보와 상기 취향 정보에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화장품 추천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객이 매장에 방문하여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안면 이미지가 자동 촬영되며, 촬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추출된 피부 정보와 상기 입출력장치가 몇가지 질문을 통해 상기 고객의 취향을 파악하여 저장한 취향 정보를 취합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을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천된 제품은 고객이 매장에서 제품을 고를 시 제품을 직접 사용해 보아야하는 번거러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추천방법은 상기 화장품 추천단계를 통해 추천된 화장품을 고객 단말기가 구매하는 화장품 구매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화장품 구매단계를 통해 구입한 제품을 사용한 후 해당 제품의 후기를 SNS에 작성하는 제품후기 작성단계와 상기 제품 후기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후기를 통해 제3자 단말기가 해당 제품을 구매할 경우 고객 단말기로 소정의 추천비용을 지급하는 추천비용 지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천된 제품이 고객의 마음에 들 경우 구매로 이어지게 되고, 구매한 제품을 고객이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품을 구매한 고객(1차 구매자)과 매장(판매자)이 일종의 제휴를 맺고 사용 후기(장점)를 SNS 상에 게시하여 해당 게시물을 통해 추가 고객(2차 구매자)이 제품을 구매할 경우 해당 금액에 대한 일정 부분을 수수료로 지불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판매자는 제품의 추가 판매로 이어질 수 있고, 1차 구매자는 소정 금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고, 2차 구매자는 좋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추천방법은 상기 안면 이미지를 통해 피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고객이 재방문할 경우, 고객과 관련된 과거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과거 피부 값과 현재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하라면, 고객의 현재 설문 결과를 반영한 추천 제품을 추천하고 상기 차이가 일정 기준을 초과한다면,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현재 피부 값 중 기설정된 시간대에 산출된 피부 값을 기준으로 화장품을 추천하는 재방문 고객 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천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11)

  1. 입출력장치로부터 고객의 안면의 톤 정보인 현재 피부 정보와 상기 고객의 화장품 취향 정보를 수집하는 피부 정보 수집수단; 및
    상기 피부 정보 및 상기 취향 정보를 기초로 추천 화장품을 산출하는 화장품 추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은,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에게 고객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는 제1 선택지를 제공하여 수집된 결과를 기반으로 화장품을 추천하고,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선택지의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된 화장품 내에서 화장품이 재추천될 수 있도록 제 2 선택지를 제공하여 상기 취향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은,
    상기 제1 선택지를 선택한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된 제품 중에서 추가적인 선택지를 원하는 고객에 한하여 제2선택지를 제공하고,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상기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화장품 추천부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향 정보는,
    화장품의 컬러, 텍스쳐, 브랜드 및 가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의 컬러는,
    레드컬러, 오렌지컬러, 코랄컬러, 버건디 컬러, 뉴트럴 컬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의 텍스쳐는,
    매트, 새미매트, 벨벳, 글로시 및 워터 제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고객과 관련된 피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객과 관련한 과거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과거 피부 값과 현재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소정 기준 이하라면,
    고객의 현재 취향 정보를 반영한 추천 제품을 추천하고,
    고객과 관련한 과거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과거 피부 값과 현재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 중 기설정된 시간대에 산출된 피부 값을 기준으로 화장품을 추천하는 재방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방문 관리부는,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 중 어느 하나만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를 포함하는 피부 값에 고객의 취향 정보를 반영한 화장품을 추천하고,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상기 현재 피부 값이 상기 시간대를 모두 포함하거나, 모두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과거 및 현재의 안면 이미지를 상기 피부 정보 수집수단과 연동되는 입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고객에게 선택지를 제공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고객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화장품 추천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안면 이미지를 통해 추출한 피부 정보와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화장품을 선정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화장품 추천부로부터 선정된 화장품을 구매하여 사용한 후 후기를 SNS 상에 작성하고,
    상기 화장품 추천수단은,
    상기 후기를 통해 제3자 단말기가 해당 제품을 구매할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로 소정의 추천비용을 제공하는 제품후기 관리부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9. 고객의 안면 이미지를 통해 피부 정보를 추출하여 고객에게 화장품을 추천하는 화장품 추천방법에 있어서,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의 안면 이미지를 추출하는 안면 이미지 추출단계와
    상기 안면 이미지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안면 이미지에서 피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고객의 화장품 취향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피부 정보와 상기 취향 정보에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화장품 추천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이용한 화장품 추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추천방법은,
    상기 화장품 추천단계를 통해 추천된 화장품을 고객 단말기가 구매하는 화장품 구매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화장품 구매단계를 통해 구입한 제품을 사용한 후 해당 제품의 후기를 SNS에 작성하는 제품후기 작성단계와
    상기 제품 후기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후기를 통해 제3자 단말기가 해당 제품을 구매할 경우 고객 단말기로 소정의 추천비용을 지급하는 추천비용 지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이용한 화장품 추천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추천방법은,
    상기 안면 이미지를 통해 피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고객이 재방문할 경우, 고객과 관련된 과거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과거 피부 값과 현재 피부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현재 피부 값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하라면, 고객의 현재 설문 결과를 반영한 추천제품을 추천하고,
    상기 차이가 일정 기준을 초과한다면, 상기 과거 피부 값 및 현재 피부 값 중 기설정된 시간대에 산출된 피부 값을 기준으로 화장품을 추천하는 재방문 고객 고객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이용한 화장품 추천방법.
KR1020210027300A 2021-03-02 2021-03-02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KR20220123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00A KR20220123851A (ko) 2021-03-02 2021-03-02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00A KR20220123851A (ko) 2021-03-02 2021-03-02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851A true KR20220123851A (ko) 2022-09-13

Family

ID=8328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300A KR20220123851A (ko) 2021-03-02 2021-03-02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38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148A (ko) 2011-11-23 2013-05-31 차대성 사용자의 피부색에 따른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148A (ko) 2011-11-23 2013-05-31 차대성 사용자의 피부색에 따른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873B1 (ko) 구매를 위한 증강 현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08667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ghly personalize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and services
US20170024589A1 (en) Smart Beauty Delivery System Linking Smart Products
CN110163715A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系统
Baier et al. How to increase multichannel shopping satisfaction? An adapted Kano based stage-gate approach to select new technologies
JP71948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07279A1 (en) Retail automation platform
MX2014003124A (es) Recomendaciones basadas en las similitudes explicitas de usuarios.
KR20130027801A (ko)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스타일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32331A1 (en) Method for interacting with customers at a point of sale for goods or services
US201802686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ales program and user interface
JP2002063508A (ja) 商品表示・販売システム
KR20150061089A (ko) 아바타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및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2890A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US11615481B1 (en) Receipt capture with goal encouragement
Chu et al. Countertop responsive mirror: supporting physical retail shopping for sellers, buyers and companions
US20140012628A1 (en) Estimating wholesale demand for consumer products
JP6799992B2 (ja) 利用明細・店舗情報リンク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2298101B1 (ko) 성인용품 판매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20220123851A (ko) 고객 맞춤형 화장품 추천기능을 구비한 추천 시스템
KR101391664B1 (ko) 웨딩 서비스 관리 시스템
WO2014007567A1 (ko) 온/오프 라인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품 매매용 단말기, 및 이에 따른 매매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57583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5632A (ko) 고객별 맞춤형 화장품 판매 운영 시스템
CN114758106A (zh) 一种在线拟真的购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