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394A -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394A
KR20220122394A KR1020210026958A KR20210026958A KR20220122394A KR 20220122394 A KR20220122394 A KR 20220122394A KR 1020210026958 A KR1020210026958 A KR 1020210026958A KR 20210026958 A KR20210026958 A KR 20210026958A KR 20220122394 A KR20220122394 A KR 2022012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hold waste
recycling
acquirer
information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Priority to KR102021002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394A/ko
Publication of KR2022012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이나 가게 등에서 버려지는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폐기물을 버리는 사람과 재활용하고자 하는 일반인들이 서로 온라인 상에서 용이하게 연결되어 사용가능한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버리고자하는 배출자와,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취득하고자 하는 취득자,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배송업체, 수거업체(관공서 연계 업체 포함)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취득자와, 배출자, AS 전문가, 수거업체와 배송업체를 연계하여 필요한 취득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생활쓰레기를 전달하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 재활용 생활쓰레기를 배출하고자하는 배출자와 취득하고자 하는 취득자의 단말기로 스마트폰, PC로 구성되는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200); 및 재활용을 수거하는 업체의 담당자들의 단말기로 재활용품을 현장에서 촬영하여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Household waste recycl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생활폐기물 재활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이나 가게 등에서 버려지는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빠른 산업화와 맞물려 한정된 자원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갈수록 부족해지고 환경오염까지 야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자체로서는 생활 폐기품의 처리를 위한 용지 확보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오래지 않아 자원이 고갈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등장하고 원자재의 가격이 폭등하며 매립지는 줄어들고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생활 폐기품으로부터 자원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이른바 리사이클링 운동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09-0079539호(2009.07.22.)에 기재된 대형 생활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인용된 특허 기술은 대형 생활 폐기물 수거방식 가운데는 의뢰자가 인터넷을 통해 대형 생활 폐기물의 수거를 요청하고 전자결제를 완료하면 용역업체가 신고필증을 발행하고 의뢰자가 해당 신고필증을 출력하여 폐기물에 부착하게 되면 용역업체가 이를 수거해가는 일련의 절차로 진행되도록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식에 있어서는 의뢰자가 입력한 내용에만 의존하여 수거대상물의 품목, 수량, 크기, 중량 등이 확정되고, 별도의 확인절차 없이 수거비용의 결제까지 완결되게 되므로 수거업체로서는 수거현장에서 접수내용과 대상물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맞으면 수거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수거를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폐기 대상물의 중량, 크기 등을 놓고 의뢰자와 수거업체간 마찰이 잦고, 폐기물의 분류가 잘못되어 수거비용이 잘못 과금되거나 신청물품과 실제 수거된 물품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발견되어 수거된 폐기물의 재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수거비용의 과금과 결제가 부정확하고 투명하게 처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기존의 스티커 또는 신고필증을 폐기물에 부착하여 내어 놓게 되면 바람에 날려 떨어져 달아나거나 비에 젖어 글씨를 알아보기 어렵게 되기도 하고, 심지어 일부러 이를 떼어가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수거대상물의 정의를 명확히 함으로써 도용을 예방하고자 신고필증에 기록되는 정보의 항목을 늘리게 되면 신청자의 개인정보가 필요 이상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사용이 가능한 생활용품의 경우 재활용을 희망하더라도 중고 제품을 취급하는 업체의 정보를 검색하여 직접적으로 판매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사용이 가능한 생활용품임에도 불구하고 폐기되어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텔레비전이나 냉장고, 컴퓨터 등의 대형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의 생활 폐기품은 그 활용도가 다양하여 수거 및 재활용이 되고 있으나 소형 생활 폐기품에 대해서는 별도로 수거 및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순 쓰레기 분리수거를 통해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9539호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0874호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1872호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836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이나 가게 등에서 버려지는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폐기물을 버리는 사람과 재활용하고자 하는 일반인들이 서로 온라인 상에서 용이하게 연결되어 사용가능한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버리고자하는 배출자와,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취득하고자 하는 취득자,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배송업체, 수거업체(관공서 연계 업체 포함)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취득자와, 배출자, AS 전문가, 수거업체와 배송업체를 연계하여 필요한 취득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생활쓰레기를 전달하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 재활용 생활쓰레기를 배출하고자하는 배출자와 취득하고자 하는 취득자의 단말기로 스마트폰, PC로 구성되는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 및 재활용을 수거하는 업체의 담당자들의 단말기로 재활용품을 현장에서 촬영하여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는, 재활용 생활쓰레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생활쓰레기에 대하여 제품명, 위치, 배출시기와 언어정보를 입력하고, 취득하고자 하는 생활쓰레기에 대하여 제품명, 자신의 위치, 취득시기와 언어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에서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DB와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DB, 재활용 쓰레기 배출 및 취득자 DB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에서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배출정보를 생활쓰레기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는 단계;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의 데이터검색 및 전송부에서는 재활용 쓰레기 배출 및 취득자 DB에서 제품, 위치, 시기, 언어 등을 매칭하고, 매칭된 정보에 대하여 사진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사진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물품에 대하여 취득자의 직접 수거 또는 배송요청에 따라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는 배송업체를 연결하거나 배출자와 취득자의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생활폐기물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정이나 사무실이나 가게 등에서 버려지는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폐기물을 버리는 사람과 재활용하고자 하는 일반인들이 서로 온라인 상에서 용이하게 연결되어 사용가능한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
둘째, 버려질 수 있는 생활폐기물에 대하여 해당 폐기물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버려지는 생활폐기물의 상태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고, 버리는 사람입장에서는 폐기물 비용처리없이 버릴 수 있어 서로간에 이익을 볼 수 있다.
셋째, 별도의 배송업체와 연계하여 생활폐기물을 버리는 사람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간의 물품 재송을 연결하는 경우 버리는 사람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간 편리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넷째, 폐기물을 습득하는 관공서와도 연계하여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생활폐기물 재활용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재활용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생활폐기물 재활용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200),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300), 재활용품 AS 전문가 단말기(400), 배송사 단말기(500), 소셜 미디어(600), 금융사 서버(700) 및 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는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버리고자하는 배출자와,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취득하고자 하는 취득자,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배송업체, 수거업체(관공서 연계 업체 포함)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취득자와, 배출자, AS 전문가, 수거업체와 배송업체를 연계하여 필요한 취득자에게 생활쓰레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200)는 재활용 생활쓰레기를 배출하고자하는 배출자와 취득하고자 하는 취득자의 단말기로 스마트폰, PC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배출하고자 하는 생활쓰레기에 대하여 제품명, 위치, 배출시기와 언어정보(국내거주 외국인)를 입력하고, 취득하고자 하는 생활쓰레기에 대하여 제품명, 자신의 위치, 취득시기와 언어정보(국내거주 외국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자의 경우에는 단말기를 통해 사진정보, 구입시기 정보, 고장정보, 사진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는 일종의 체크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들에서 다운로드 받아 입력하고, 이를 전송받아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는 매칭 정보를 배출자와 취득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300)는 재활용을 수거하는 업체의 담당자들의 단말기로 주로 스마트폰으로 재활용품을 현장에서 촬영하여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로 전송하며, 간단한 재활용품 정보 품목, 취득위치, 자신들의 수거업체 차량 이동정보 등을 입력하도록 하는 체크리스트를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재활용품 AS 전문가 단말기(400)는 재활용품 AS 전문가들의 단말기로 고장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해당 전문가들과 취득자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배송사 단말기(500)는 생활쓰레기 배출자와 취득자간의 배송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소셜 미디어(600)는 사람들의 의견, 생각, 경험, 관점 들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 도구나 플랫폼을 말한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블로그(blogs),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s), 메시지 보드(Message Boards), 팟캐스트(Podcasts), 위키스(Wikis), 비디오 블로그(Vlog) 등이 있다.
소셜 미디어는 하나의 유행이 아니라 제2의 닷컴 시대를 창출하는 이른바 웹 2.0의 핵심 도구로 부상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공유·공개·참여의 철학에 기반해 소셜 미디어와 관련된 새로운 비즈니스 분야와 용어가 출현하고 있다.
특히 비즈니스 영역에서 웹 2.0에 충실한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지식 경영, 연구 개발, 서비스 제공, 고객관리 등의 모델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로는 유튜브, 페이스북, 카카오 스토리, 블로그,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에 대하여만 도시되어 있으나 사람들의 의견, 생각, 경험, 관점 들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 도구나 플랫폼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600)를 통해 배출정보를 취득자들에게 공개할 수도 있고, 해당 소셜 미디어(600) 접속자 중 배출정보를 취득한 취득자가 해당 배출자와 직접 연결되어 배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금융사 서버(700)는 생활쓰레기 중 사용가능한 생활쓰레기, 소정의 금액을 받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금액으로 받고자 하는 경우, AS 시, 배송 시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가 금융사 서버(700)와 연동하여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망은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와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200),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300), 재활용품 AS 전문가 단말기(400), 배송사 단말기(500), 소셜 미디어(600) 및 금융사 서버(700)간을 전기 통신적으로 연결하며, 유무선 인터넷 및 전화가 가능한 통신망이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를 위하여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101), 생활쓰레기 데이터베이스(DB)(102),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데이터베이스(103), 재활용품 취득고객 데이터베이스(104), 재활용품 배출고객 데이터베이스(105), 배송업체 데이터베이스(106), 데이터 검색 및 전송부(107), 전문가요청부(108), 전문가 해결 데이터 저장부(109), 만족도 저장부(110), 회원별 포인트 계산부(111), 회원별 포인트 정보 저장부(112), 금융거래정보 저장부(113) 및 제어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01)는 통신망을 통해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와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200),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300), 재활용품 AS 전문가 단말기(400), 배송사 단말기(500), 소셜 미디어(600) 및 금융사 서버(700)간 통신을 제공한다.
생활쓰레기 데이터베이스(DB)(102)는 통신부(101)를 통해 재활용 생활쓰레기의 배출정보와 취득요청 정보가 저장된다.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데이터베이스(103)는 AS 전문가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연락처, 전문분야/자격증, 경력증명, 가능언어, 활동국가와 지역, 소셜 미디어 URL 정보가 수집 및 저장될 수 있다.
재활용품 취득고객 데이터베이스(104)와, 재활용품 배출고객 데이터베이스(105)는 취득고객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일종의 회원제로 운영하여 각종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여 배출자와 취득자간의 배출 및 취득 시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름, 연락처, 배출 및 취득 재활용품명, 배출, 취득 시기, 위치, 외국인을 위한 언어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배송업체 데이터베이스(106)는 배송업체의 업체명, 전문배송분야, 지역, 가능언어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검색 및 전송부(107)는 재활용품 배출과 취득에 대하여 업로드되는 배출과 취득 요청 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회원의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취득고객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일종의 회원제로 운영하여 각종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여 배출자와 취득자간의 배출 및 취득 시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름, 연락처, 배출 및 취득 재활용품명, 배출, 취득 시기, 위치, 외국인을 위한 언어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문가요청부(108)는 AS가 요청된 경우 AS 전문가 단말기(400)로 AS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전문가 해결 데이터 저장부(109)는 AS된 제품에 대한 처리결과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최초 업로드된 생활재활용품의 사진정보와 전문가가 해결한 사진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족도 저장부(110)는 생활 재활용품에 대한 수리 만족도를 재활용품의 AS를 요청한 취득자 단말기로부터 만족도를 요청하여 저장된다.
회원별 포인트 계산부(111)는 배출자와 취득자 모두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며, 이는 추후 배출자에 대하여 취득물품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물품을 취득한 만조도 정보도 함께 포함하여 배출자의 우선순위 정보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출자의 이용을 독려할 수 있다.
회원별 포인트 정보 저장부(112)는 회원별 포인트 계산부(111)의 계산된 포인트가 저장된다.
금융거래정보 저장부(113)는 생활재활용품에 대한 금융거래 발생 시 해당 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14)는 통신부(101), 생활쓰레기 데이터베이스(DB)(102),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데이터베이스(103), 재활용품 취득고객 데이터베이스(104), 재활용품 배출고객 데이터베이스(105), 배송업체 데이터베이스(106), 데이터 검색 및 전송부(107), 전문가요청부(108), 전문가 해결 데이터 저장부(109), 만족도 저장부(110), 회원별 포인트 계산부(111), 회원별 포인트 정보 저장부(112) 및 금융거래정보 저장부(113)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재활용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재활용 방법의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에서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DB와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DB, 재활용 쓰레기 배출 및 취득자 DB를 구축한다(S100).
그리고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에서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배출정보(제품, 고장정보, 위치, 시기, 언어 및 사진정보 등)를 생활쓰레기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한다(S110). 물론, 재활용 생활쓰레기를 취득하고자 하는 취득자의 정보(제품, 위치 언어 및 시기)도 업데이트된다. 이를 위하여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체크리스트를 취득자와 배출자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300)로도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의 데이터검색 및 전송부(111)에서는 재활용 쓰레기 배출 및 취득자 DB에서 제품, 위치, 시기, 언어 등을 매칭하고(S120), 매칭된 정보에 대하여 사진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사진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30). 이때, 외국인의 경우에는 해당 언어를 번역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취득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예를 들어 제품설명이나 고장정보, 사진상의 스크레치 등에 대한 AS 요청 문의가 오면,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에서는 전문가 요청부(111)를 통해 해당 제품의 전문가 단말기(400)들로 AS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AS 전문가로부터의 답변을 취득 요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140). 이때, 필요한 비용 정보 역시 함께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협의된 재활용 생활쓰레기 물품에 대하여 취득자의 직접 수거 또는 배송요청에 따라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는 배송업체를 연결하거나 배출자와 취득자의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S150). 이때, 데이터 검색 및 전송부(110)의 매칭결과에 따라 재활용품 수거일과 장소 및 재활용품 취득자의 취득요청일과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300)에 전송하여 배출자의 배출 생활쓰레기를 취득자에게 직접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배출, 배송 완료된 재활용 생활쓰레기 물품에 대하여,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배출자, 취득자, 배송자 및 AS 전문가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를 만족도 저장부(114)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회원별(배출자, 취득자, 배송사, AS 전문가 등) 포인트를 제공하고, 비용이 발생한 경우 필요 금융 발생(취득, 배송, AS 등)에 대하여 금융사 서버와 연동하여 비용처리 및 포인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경우 배출자는 무료 또는 일정의 유료 비용으로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물품을 배출할 수 있고, 취득자 역시 무료 또는 일정의 유료 비용(AS, 배송 등)만으로 사용가능한 생활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배송업체 역시 일정의 이득을 얻을 수 있고, AS 전문가들 역시 자신이 가능한 범위에서 AS에 따른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
200 :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
300 :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
400 : 재활용품 AS 전문가 단말기
500 : 배송사 단말기
600 : 소셜 미디어
700 : 금융사 서버

Claims (3)

  1.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버리고자하는 배출자와,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취득하고자 하는 취득자,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배송업체, 수거업체(관공서 연계 업체 포함)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취득자와, 배출자, AS 전문가, 수거업체와 배송업체를 연계하여 필요한 취득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생활쓰레기를 전달하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
    재활용 생활쓰레기를 배출하고자하는 배출자와 취득하고자 하는 취득자의 단말기로 스마트폰, PC로 구성되는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200); 및
    재활용을 수거하는 업체의 담당자들의 단말기로 재활용품을 현장에서 촬영하여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재활용 수거업체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200)는,
    재활용 생활쓰레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생활쓰레기에 대하여 제품명, 위치, 배출시기와 언어정보를 입력하고, 취득하고자 하는 생활쓰레기에 대하여 제품명, 자신의 위치, 취득시기와 언어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생활폐기물 재활용 방법으로,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에서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DB와 생활쓰레기 AS 전문가 DB, 재활용 쓰레기 배출 및 취득자 DB를 구축하는 단계(S100);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에서는 재활용 생활쓰레기 배출정보를 생활쓰레기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는 단계(S110);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의 데이터검색 및 전송부(111)에서는 재활용 쓰레기 배출 및 취득자 DB에서 제품, 위치, 시기, 언어 등을 매칭하고(S120), 매칭된 정보에 대하여 사진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사진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물품에 대하여 취득자의 직접 수거 또는 배송요청에 따라 상기 재활용 생활쓰레기 서버(100)는 배송업체를 연결하거나 배출자와 취득자의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생활폐기물 재활용 방법.
KR1020210026958A 2021-02-26 2021-02-26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2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58A KR20220122394A (ko) 2021-02-26 2021-02-26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58A KR20220122394A (ko) 2021-02-26 2021-02-26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394A true KR20220122394A (ko) 2022-09-02

Family

ID=8328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958A KR20220122394A (ko) 2021-02-26 2021-02-26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239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539A (ko) 2008-01-18 2009-07-22 조규하 대형 생활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1872A (ko) 2009-05-11 2010-11-19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이산화탄소 저감량 산출 집계 기능을 갖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 및 그 운용 방법
KR101860874B1 (ko) 2016-11-18 2018-05-24 장선용 소형 생활 폐기품 재활용 시스템
KR102188364B1 (ko) 2020-07-30 2020-12-08 김호준 플라스틱 포장재 생활계 폐기물의 재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539A (ko) 2008-01-18 2009-07-22 조규하 대형 생활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1872A (ko) 2009-05-11 2010-11-19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이산화탄소 저감량 산출 집계 기능을 갖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 및 그 운용 방법
KR101860874B1 (ko) 2016-11-18 2018-05-24 장선용 소형 생활 폐기품 재활용 시스템
KR102188364B1 (ko) 2020-07-30 2020-12-08 김호준 플라스틱 포장재 생활계 폐기물의 재활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09783A1 (en) Systems and methods used in the operation of a recycling enterprise
WO2013187686A1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760174A (zh) 基于地理位置的分布式实况搜索引擎及交易系统
JP2017500621A (ja) 個人ビッグデータの収集、管理及び授権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6009366A1 (en) Target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using secondary keywords having relation to first internet searching keywords,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list of the secondary keywords
CN105654343A (zh) 实现基于客户网络行为定点发送广告及联系客户的系统和方法
CN110929893B (zh) 一种回收业务管理的方法及装置
CN106878445A (zh) 资源文件更新方法及装置
KR101270649B1 (ko) 소셜마케터를 이용한 타겟 광고시스템
US10147120B2 (en) Smart commer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CN103942702A (zh) 基于电子名片开展电子商务的系统和方法
CN109214870A (zh) 基于互联网大数据的垃圾分类服务提供方法及其系统
CN111047387B (zh) 一种回收管理的方法及装置
US20100235232A1 (en)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1882283A (zh) 一种在手机上实现的购物车技术
KR100859216B1 (ko)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2394A (ko)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596265B1 (ko) 일회용품 보증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0040A (ko)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
KR20230033239A (ko) 생활용 폐기물의 수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6936A (ko) 소셜마케터를 이용한 타겟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7427A (ko) 광고 수익 공유 시스템
KR20200091613A (ko) 인터넷 통신망을 사용한 재활용품 수거법
CN106327228A (zh) 一种数据交互处理方法、装置以及系统
KR101560564B1 (ko) 중소기업의 소비자 분쟁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